KR100647030B1 - 도전체 접속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전체 접속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030B1
KR100647030B1 KR1020037009311A KR20037009311A KR100647030B1 KR 100647030 B1 KR100647030 B1 KR 100647030B1 KR 1020037009311 A KR1020037009311 A KR 1020037009311A KR 20037009311 A KR20037009311 A KR 20037009311A KR 100647030 B1 KR100647030 B1 KR 100647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transmitting
sound wave
conductors
transmitting rod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809A (ko
Inventor
스타이너에른스트
스트로흐디에터
디에테를레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쉔크 울트라샬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쉔크 울트라샬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쉔크 울트라샬테크니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7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having a component of vibra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welding surface
    • B29C65/082Angular, i.e. torsional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23K20/106Features related to sono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1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ables or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without preliminary removing of insulation before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05K3/4084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deforming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64Conductor shape
    • H05K2201/0379Stack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88Other aspects of conductors
    • H05K2201/0394Conductor crossing over a hole in the substrate or a gap between two separate substrate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45Crossin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95Tool for a process not provided for in H05K3/00, e.g. tool for handling objects using suction, for deforming object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85Using ultrasound, e.g. for cleaning, soldering or wet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w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10T29/49149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metal fusion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9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metal fusion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94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43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을 생성하는 음파 전달 봉(52) 및 그와 연계된 상대 전극에 의해 중첩된 평탄한 도전체(47, 49)와 연계되어, 외부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여진 전기 도전체를 접속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속될 도전체는 음파 전달 봉과 상대 전극 사이에서 연장하는 캐리어(50)의 표면(48)상에 배열된다. 캐리어는 상대 전극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음파 전달 봉, 전기 도전체, 접속, 캐리어, 초음파

Description

도전체 접속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conductors}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을 생성하는 음파 전달 봉(sonotrode) 및 그와 연계된 전극에 의해 중첩된 가요성 케이블의 외부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여진 전기 도전체의 용접 같은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접속될 도전체는 음파 전달 봉과 전극 사이에서 연장하는 캐리어의 표면상에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을 생성하는 음파 전달 봉과 그와 연계된 전극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의 중첩시 외부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여진 전기 도전체의 접속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용접될 도전체는 전극과 음파 전달 봉 사이에서 연장하는 캐리어의 표면상에 배열된다.
특히 자동차에서, 가요성 케이블(FPC=Flexible Printed Cable; FLV=Flexible Laminated Cable; FFC = Flexible Flat Cable)은 차량 전기 시스템의 배선을 위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높은 가요성, 낮은 공간 소요 및 중량 절감은 플랫 케이블이라 지칭되는 적합한 가요성 케이블 분야에서 직면하고 있는 당면 과제이다. 가요성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에, 소요 전류/신호 파워를 보증하기 위해 접점은 기계적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중첩하는 가요성 케이블의 전기 도전체가 속박된 공간에서 전기 도전식으로 접속될 필요가 있다. 가요성 케이블이 케이블 하네스(harnesses)를 점점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가요성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이들 가요성 케이블은 하나의 평면 내에서 서로 정렬되어야만 한다.
초음파 용접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을 서로 접속하는 방식이 EP 1 014 515 A1호 및 EP 0 191 175 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되는 문제점은 중첩하는 가요성 케이블의 전기 도전체가 많은 수의 가요성 케이블이 하나의 평면 내에서 서로 정렬되는 경우에도 높은 정밀도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두에 기술된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가요성 케이블이 하나씩 용접되고, 음파 전달 봉 및 다양한 영역이 일관성 있게 서로 정렬되며, 사용되는 캐리어가 적어도 영역 내에서 전극으로 설계되거나, 가요성 케이블이 용접되는 영역에서 그 위에 전극이 필요한 범위로 정렬되어 있는 용접된 관통부를 가지거나, 전극상에서 필요한 범위로 정렬되는 것인 프로세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해결된다. 여기서, 음파 전달 봉은 특히 캐리어에 대하여 이동된다. 음파 전달 봉에 대한 캐리어의 조절 또는 서로에 대한 상호 이동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에 무관하게, 사용되는 음파 전달 봉은 토션 발진기, 로커로서 장착된 종방향 발진기, 평행-안내식 종방향 발진기 또는 가요성 발진기로서 설계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전체의 용접 같은 접속을 위해 필요한 초음파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음파 전달 봉이 토션 진동으로 변환되고, 여기서, 음파 전달 봉의 종축이 접속 또는 용접될 가요성 케이블이 배열되는 캐리어의 표면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초음파 용접 장치는 특히, 토션 발진기, 로커로서 장착된 종방향 발진기, 평행-안내식 종방향 발진기, 가요성 발진기 또는 필요한 초음파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으로부터 공지된 다른 음파 전달 봉 디자인과 함께 사용된다. 음파 전달 봉 또는 그 용접면은 그후 용접될 도전체상에 정렬될 수 있다. 캐리어 그 자체가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캐리어상에는 가요성 케이블이 서로 정렬되어 정밀하게 위치설정되어 배열된다. 그러나, 용접이 이루어질 때, 접속될 도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로 이들상에 전극을 정렬하기 위해 캐리어에 관통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토션 발진기가 초음파 에너지를 방출하는 음파 전달 봉으로서 사용될 때 순수 기계적 접속 및 용접 양자 모두에 의해 도전체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는 음파 전달 봉 헤드가 그 단부면상의 첨단부까지 테이퍼형성되도록 설계되고, 그래서, 접속될 도전체가 팁에 의해 관통되며, 그 결과, 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변형되고, 특히, 서로 능동적 형태로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이 방식으로 관통된 도전체의 용접은 전극과 음파 전달 봉의 용접면을 접합하고, 전극상에 그들을 지지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전극은 기계적으로 접속된 도전체의 관통에 의해 생성되는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펀늘형 함몰부를 가질 수 있으며, 그를 따라, 관통된 도전체의 제한면이 연장한다.
특정 영역에서 도전체의 정밀한 용접을 허용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파 전달 봉이 광학 시스템의 도움으로 시각적 제어하에서 용접된 도전체상에 정렬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 시각적 제어는 이미지 처리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용접이 수행되는 도전체의 영역에서 음파 전달 봉의 자동 이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후의 음파 전달 봉의 자동 또는 수동 전진을 위해, 예로서, 레이저 빔에 의해 광학적으로 용접될 영역을 식별하는 것도 부가적으로, 또는 상보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체의, 즉, 금속의 용접이 음파 전달 봉에 의해 이루어질 분만 아니라, 중첩된 외부 절연체도 초음파에 의한 플라스틱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파 전달 봉은 금속 용접이 음파 전달 봉의 실제 또는 명백한 진동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다른 영역 위의 플라스틱 용접 및 일 영역위에서의 금속 용접이 수행되도록 설계된다.
서두에 상술한 유형의 장치는 특히, 음파 전달 봉이 다양한 영역에서 도전체의 용접을 위해 캐리어 표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캐리어가 전극이 그 위에 정렬되는 관통부를 갖거나, 또는, 적어도 영역에서 전극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파 전달 봉은 토션 발진기, 로커로서 장착된 종방향 발진기, 평행-안내식 종방향 발진기 또는 가요성 발진기일 수 있다.
특히, 음파 전달 봉은 그 종축이 가요성 케이블을 수용하는 캐리어의 표면에 경사 또는 수직인 토션 발진기인 것이 적합하다. 음파 전달 봉과 전극은 용접 텅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음파 전달 봉과 전극은 가요성 케이블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는 단일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토선 발진기 같은 음파 전달 봉이 2 좌표 방향으로 표면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은 받침대로부터 연장하고, 이 받침대에는 음파 전달 봉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배열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음파 전달 봉은 바람직하게는 받침대를 따라 조절 가능한 횡단 캐리어로부터 연장하며, 이를 따라 그리고, 이에 대하여 음파 전달 봉이 조절될 수 있다.
가요성 케이블을 위해 제공된 캐리어가 전극이 아닌 경우에, 전극은 서로 용접되는 가요성 케이블의 이들 영역이 짧은 시간에 높은 정밀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극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제안에 따라서, 음파 전달 봉은 다축 로봇 시스템을 사용하여, 또는 SCARA 로봇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접속 또는 용접될 전기 도전체상에 음파 전달 봉을 정렬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도 존재한다.
용접될 도전체상에 선택적으로 용접접의 평면 범위를 정렬하기 위해, 및/또는 긴 서비스 수명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션 발진기의 형태의 음파 전달 봉이 서로 다른 범위를 가질 수 있는 둘 이상의 용접면을 구비한 음파 전달 봉 헤드면을 갖는다. 여기서, 필요한 용접면은 그 종축에 대한 토션 발진기의 경사 및/또는 회전에 의해 용접될 도전체상에 정렬될 수 있다.
특히, 음파 전달 봉 헤드면은 원추체, 절두 원추체, 피라미드 또는 절두 피라미드 같은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그후, 다양한 용접면이 표면 위에 분포 제공될 수 있으며, 토션 발진기의 종축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제공될 수 있고, 음파 전달 봉을 회전/경사시킴으로써, 즉, 토션 발진기에 의해 용접 영역상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제안은 토션 발진기 형태의 음파 전달 봉이 접속될 가요성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해 그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첨단부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도전체의 기계적, 그리고, 특히 능동적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상보적으로, 그후, 도전체의 초음파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극은 관통된 도전체 내에서 그 용접을 허용하도록 연장하는 펀늘형 리세스를 갖는다.
또한, 음파 전달 봉, 즉, 그 헤드를 일 영역에서 금속 용접을 수행하고, 즉, 서로에 대해 도전체를 접속하고, 다른 영역에서 플라스틱 용접, 즉, 가요성 케이블의 외부 절연체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용접될 도전체상의 음파 전달 봉의 위치설정은 광학적인 점검 수단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미지 처리 수단 및/또는 레이저 빔 같은 광학적 빔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음파 전달 봉 또는 그 용접면의 자동 또는 수동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용접 영역 또는 용접점상에 정렬될 수 있다.
용접과 함께, 동시에 품질 감시를 바람직하게는 예로서 서보-드라이브를 사용하여 경로-의존적으로, 또는 에너지, 시간 또는 힘 의존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다단계 용접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적합한 기술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예로서, 접속될 재료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것도 어렵지 않게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장점 및 특징은 청구항에 단독으로 및/또는 조합으로 예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도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가요성 케이블의 중첩 영역의 평면도.
도 2는 가요성 케이블의 용접을 위한 장치의 원리도.
도 3은 가요성 케이블을 용접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도.
도 4는 토션 발진기 형태의 음파 전달 봉의 부분도.
도 5는 전기 도전체를 접속하는 전극을 구비한 토션 발진기의 원리도.
도 6은 종방향 발진기로서 설계된 음파 전달 봉의 원리도.
도 7은 가요성 발진기로서 설계된 음파 전달 봉의 원리도.
도 1은 원론적으로 가요성 케이블(12, 14) 사이의 중첩 영역(10)만을 도시한다. 도면은 가요성 케이블(12, 14)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원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이는 통상적인 중첩면,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의 위에 가요성 케이블들이 배치되고, 그 도전체가 전기 도전식으로 접속되는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구현을 위해 복수의 가요성 케이블이 하나의 평면 위에 서로 펼쳐져 정렬되며, 이는 원론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후 전기 도전체를 필요한 범위로 접속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1은 가요성 케이블(12, 14)이 PCB 처럼 설계된 평탄한 구리 도전체 같은 전기 도전체(16, 18 또는 20, 24)를 공지된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전체(16, 18, 20, 24)는 그후, 평면 외부 절연체(26, 28)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이는 예로서, 폴리에스터막 내에 도전체를 매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가요성 케이블의 도전체가 서로 접속되는 경우에, 중첩 영역 내의 도전체는 노출되고, 그후 서로 접합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도전체(18, 24 및 16, 20)가 접촉점(30, 32)에서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이를 위해서, 절연체(26, 28)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로서, 레이저에 의해 제거되고, 그후, 노출된 도전체가 서로 접속된다. 그러나, 특정 응용분야에서, 초음파 용접에 의한 접합은 절연부를 제거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접점에 대하여, 매우 높은 기계적 응력을 견디기 위해, 중첩 영역(10)은 덮개들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으며, 상기 덮개들은 그의 부분들(38, 40, 42, 44)이 케이블들(12, 14) 외측까지도 연장하면서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는 접촉점(30, 32)을 안정화한다. 그러나, 동시에, 가요성 케이블(12, 14) 등의 가요성이 소실되지 않으며, 그 이유는 평면 덮개가 핫-멜트 접착제 같은 플라스틱 재료, 핫-멜트 접착제를 갖는 플라스틱 테이프로 구성되며, 가요성 케이블의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덮개의 높이의 도움으로, 가요성 케이블(12, 14)의 구조 높이는 실질적으로 크게 변경되지 않는다.
덮개는 라운드 형태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케이블들(12, 14)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38. 40, 42, 44)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외주측상에서 직선화될 수 있다. 또한, 부분들(38, 40, 42, 44)은 케이블들(12, 14)의 결합 이후에, 예로서, 자동차에서, 패스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고정점은 도 1에 46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기 도전식으로 가요성 케이블(47, 49)을 서로 접속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가요성 케이블(47, 49)은 캐리어(50)의 표면(46)상에 위치되고, 그후,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기 도전식으로 접속된다. 이를 위해서, 적합한 음파 전달 봉(52)은 접속될 지점상에 정렬되어야만 한다. 음파 전달 봉(52)은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변환기에 연결된 토션 발진기일 수 있으며, 이는 전기적 진동을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의 초음파 진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변환기는 횡단 부재(56)를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우징(54) 내에 배열되며, 이 횡단 부재는 순차적으로 받침대(5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체 표면(48)위에서 음파 전달 봉(52)을 이동, 즉, 소정의 필요한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에 도시된 xy 좌표가 관할될 수 있다. 또한, 음파 전달 봉(52)을 구비한 하우징(54)도 z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순차적으로 그 종축 둘레에서 선회될 수 있고, 이는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파 전달 봉 헤드의 소요 용접 영역을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음파 전달 봉(52)에 할당된 전극은 캐리어(50) 그 자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62)상에 가요성 케이블(64, 66)이 서로에 대하여 위치되는 캐리어(60)는 관통부(68)를 가질 수 있다. 용접될 가요성 케이블(64, 66)의 영역은 관통부와 일치되어 정렬된다. 그후, 관통부(68)는 가요성 케이블(64, 66)을 지지하기 위해 전극(72)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 토션 발진기(74)가 접속 영역상에 설치되고, 금속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 진동(화살표 76)하도록 설정된다.
도 2 등의 음파 전달 봉(52)과 도 4의 대응 음파 전달 봉(74)에 대해, 음파 전달 봉(74)은 절두 원추형 헤드(78)를 갖는 원통형 본체(76)를 구비하고, 상기 절두 원추형 헤드의 헤드면(80)상에는 가능하게는 차등 치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용접면(82, 84, 86)이 제공되고, 이는 그후, 전극(72)상에 지지되면서 동시에 가요성 케이블(64, 66)의 전기 도전체를 용접하기 위해 용접될 가요성 케이블(64, 66)의 이들 영역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영역상에 음파 전달 봉 헤드의 소요 용접면(82, 84, 86)을 정렬하기 위해서, 음파 전달 봉(74)이 그 종축(88)에 대해 회전 및/또는 선회(이중 화살표 90)되기만 하면 된다.
음파 전달 봉(74) 또는 용접면(82, 84, 86)을 용접 영역상에 정밀하게 정렬하기 위해서, 이미지 처리 수단 같은 광학적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파 전달 봉을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용접될 영역이 예로서, 레이저 빔에 의해 광학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핸들(55)이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54)으로부터 연장한다.
도 3의 실시예에 관하여, 음파 전달 봉(74) 및 전극(72)은 용접 텅(tong)으로서 설계될 수 있고, 그래서, 동기식 이동이 달성된다.
도 2에 원론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받침대 구조의 경우에, 캐리어(50)가 전극으로서 설계되지 않고, 대신, 접촉점이 그 위에 정렬되는 도 3에 따른 관통부를 갖는 경우에, 전극 또는 엔빌은 음파 전달 봉(52)의 이동과 동기식으로 표면(48) 아래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가 토션 발진기(52, 74)에 의해 중첩 가요성 케이블(12, 14, 47, 49, 64, 66) 내의 도전체의 접촉점을 용접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교지는 종방향 발진기(102)(도 6) 또는 가요성 발진기(104)(도 7) 같은 초음파 용접 기술로부터 공지된 다른 음파 전달 봉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방향 발진기(102) 및 가요성 발진기(104) 양자 모두는 경사질 수 있게, 바람직하게는, 로커의 방식으로 설계되며, 이는 중첩 케이블들(12, 14, 64, 66)의 소요 용접점상에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종방향 발진기(102)는 이중 화살표(110)에 따라 경사지도록 진동 노드(108) 내에 장착되며, 그래서, 용접점상으로 하강된다. 본 실시예의 음파 전달 봉(106)은 여기서 부스터 없이 변환기(112)에 연결된다.
또한, 용접점에 평행하게 발진기(102, 104)를 전진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가요성 발진기(104)는 가요성 발진기의 음파 전달 봉(118)을 변환기(120)에 연결하는 부스터(116)의 영역(114) 내에 로커 처럼 장착된다. 종방향 발진기(102) 및 가요성 발진기(104)의 디자인 및 기능에 관하여서는 적합한 공지 기술을 참조하기 바라며, 이 점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용접 자체 동안 품질 감시가 이루어진다. 이는 예로서, 서보-드라이브를 사용하여 경로에 따라, 및/또는 에너지, 시간 또는 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단계 용접도 가능하다.
음파 전달 봉의 정렬은 상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다축 로봇 시스템 또는 SCARA 로봇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기술적 구현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인자는 음파 전달 봉 또는 그 용접면이 용접될 영역상에서 매우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용접점에 대한 최적의 접근성이 보증되어야 한다. 이는 특히,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 발진기의 디자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지의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가요성 케이블 내의 접속될 전기 도전체의 용접이 토션 발진기(92)에 의해 달성될 뿐만 아니라, 도전체 그 자체의 천공에 의해 이런 도전체의 기계적 접속도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음파 전달 봉(92)은 그 단부면에 접속될 전기 도천체가 특정 지점에서 천공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된 첨단부(94)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첨단부(94)의 형태에 의해 유발되는 접속될 도전체의 분화구형 형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전체의 강제 이격은 음파 전달 봉(92)과 연계된, 트럼펫형 또는 펀늘형 리세스(98)를 갖는 전극(96)에 의해 한정되며, 이 리세스 내로는 도전체가 관통될 때, 일부 영역에서, 전극(92)의 첨단부(94)가 연장된다. 첨단부(94) 및 리세스(98)는 따라서, 서로 기하학적으로 정합된다. 여기서, 도전체는 음파 전달 봉(92)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한 도전체의 후속 용접을 허용하도록 리세스(98)의 한계면(100)에 긴밀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전극(96)의 리세스(98)의 한계면(100)은 앤빌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도전체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관통되고, 초음파 용접된다.

Claims (24)

  1. 초음파 진동을 생성하는 음파 전달 봉(sonotrode) 및 그와 연계된 전극에 의해 중첩된 가요성 케이블들 내에서 외부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여진 전기 도전체들을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접속될 상기 도전체들은 음파 전달 봉과 전극 사이에서 연장하는 캐리어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들은 복수의 영역에서 차례로 용접되고,
    상기 음파 전달 봉과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속적으로 정렬되며,
    사용되는 상기 캐리어는 적어도 영역 내에서 전극으로서 설계되거나, 상기 가요성 케이블들이 용접되는 영역들에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전극은 상기 관통부상에서 필요한 범위로 정렬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용접되는 복수의 영역상에서 연속적으로 정렬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음파 전달 봉은 토션 발진기, 로커(rocker)로서 장착된 종방향 발진기, 평행-안내식 종방향 발진기 또는 가요성 발진기로서 설계되는 것인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들의 용접을 위해 필요한 초음파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토션 진동으로 전환되고, 상기 음파 전달 봉의 종축은 용접될 가요성 케이블들이 정렬되는 표면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지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들은 토션 진동으로 전환된 음파 전달 봉에 의해 기계적인 관통 및 용접 양자 모두를 받게 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광학 시스템의 보조로 시각적 제어하에 용접될 도전체들상에 정렬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제어는 이미지 처리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들의 용접될 영역은 시각적으로 식별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방법.
  9. 초음파 진동을 생성하는 음파 전달 봉(52, 74, 92, 102, 104) 및 그와 연계된 전극(72)에 의해, 중첩된 가요성 케이블들(12, 14, 47, 49, 64, 66) 내에서 외부 절연체(26, 28)에 의해 둘러싸여진 전기 도전체들(16, 18, 20, 24)을 접속하는 장치로서,
    용접될 상기 도전체들은 상기 음파 전달 봉과 상기 전극 사이에서 연장하는 캐리어(50, 60)의 표면(48, 62)상에 정렬되고,
    상기 도전체들(16, 18, 20, 24)의 용접을 위한 상기 음파 전달 봉(52, 74, 92, 102, 104)은 다양한 영역에서 캐리어(50, 60)의 표면(48, 62)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전극(72)이 정렬되는 관통부(68)를 가지거나, 또는, 적어도 영역 내에서 상기 전극으로서 설계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토션 발진기(74, 92), 로커로서 장착된 종방향 발진기(102), 평행-안내식 종방향 발진기 또는 가요성 발진기(104)인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발진기(74)의 종축(88)은 상기 가요성 케이블들을 지지하는 캐리어(50, 60)의 표면(48, 62)에 수직 또는 경사지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74)과 상기 전극(72)은 용접 텅(tong)으로서 설계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52)은 2 좌표 방향으로 표면(48)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받침대(56, 58)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음파 전달 봉은 상기 받침대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배열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52)은 받침대(58)를 따라 조절 가능한 횡단-캐리어(50)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음파 전달 봉은 상기 받침대에 대해, 그리고, 상기 받침대를 따라 조절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배열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션 발진기(74) 형태의 상기 음파 전달 봉은 둘 이상의 용접면들(82, 84, 86)을 갖는 음파 전달 봉 헤드면(80)을 구비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면들(82, 84, 86)은 상기 토션 발진기(74)의 경사 또는 회전에 의해 용접될 도전체들상에 정렬될 수 있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 헤드면(80)은 원추체, 절두 원추체, 피라미드 또는 절두 피라미드와 같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8.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72)은 상기 음파 전달 봉(74)과 동기식으로 조절될 수 있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19.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다축 로봇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또는, SCARA 로봇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20.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금속 용접 및 플라스틱 용접 양자 모두를 위해 설계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21.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션 발진기 형태의 상기 음파 전달 봉(92)은 접속될 가요성 케이블들을 관통하기 위해 그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첨단부(94)를 갖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22.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전달 봉은 광학적 점검 수단을 사용하여 용접될 도전체들상에 위치될 수 있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2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될 도전체들상에서의 상기 음파 전달 봉의 위치설정은 광학적 점검 수단을 사용하여 달성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2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될 도전체들의 영역은 레이저 빔 같은 광학적 빔에 의해 표시되는 전기 도전체 접속 장치.
KR1020037009311A 2001-01-12 2002-01-11 도전체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0647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1236.5 2001-01-12
DE10101236A DE10101236A1 (de) 2001-01-12 2001-01-1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Leitern
PCT/EP2002/000198 WO2002061895A1 (de) 2001-01-12 2002-01-1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lei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809A KR20030071809A (ko) 2003-09-06
KR100647030B1 true KR100647030B1 (ko) 2006-11-17

Family

ID=767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311A KR100647030B1 (ko) 2001-01-12 2002-01-11 도전체 접속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124504B2 (ko)
EP (1) EP1350287B1 (ko)
JP (1) JP2004526279A (ko)
KR (1) KR100647030B1 (ko)
CN (1) CN1251364C (ko)
AT (1) ATE410802T1 (ko)
BR (1) BR0206365A (ko)
CZ (1) CZ20031923A3 (ko)
DE (2) DE10101236A1 (ko)
HU (1) HUP0302605A2 (ko)
MX (1) MXPA03006166A (ko)
PL (1) PL366581A1 (ko)
UA (1) UA73830C2 (ko)
WO (1) WO2002061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1433B4 (de) * 2003-01-16 2008-05-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Ultraschallschweißanlage und Verfahren zur Erfassung der Position von Sonotroden zu Bauteilaufnahmen
DE10301423B4 (de) * 2003-01-16 2008-03-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Ultraschallschweißanlage und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von Sonotroden und Bauteilaufnahmen
EP1443604A1 (de) * 2003-01-29 2004-08-04 I & T Flachleiter Produktions-Ges.m.b.h. Isolieren der electrischen Verbindungen mehrerer Flachleiterkabel
DE10345951B4 (de) * 2003-10-02 2005-07-14 Lisa Dräxlmaier GmbH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von Flachbandleitungen
DE102004009048A1 (de) * 2004-02-23 2005-09-08 Schunk Ultraschalltechnik Gmbh Werkzeug
DE102004012099B3 (de) * 2004-03-08 2005-11-10 Volkswagen Bordnetz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indungen von Folienleitern durch Ultraschallschweißen
DE102004012098B3 (de) * 2004-03-08 2005-08-18 Volkswagen Bordnetze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Qualitätskontrolle beim Ultraschallschweißen von kunststoffisolierten, metallischen Folienleitern
FR2876779B1 (fr) * 2004-10-18 2007-03-02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S Procede de fixation d'un ecran thermique sur une piece plastique et ecran thermique adapte
EP2153697B1 (en) * 2007-05-07 2010-12-01 Exatec, LLC. Electrical connections for plastic panels having conductive grids
JP4374040B2 (ja) * 2007-06-29 2009-12-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製造装置
US8129220B2 (en) * 2009-08-24 2012-03-06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bonding electrical devices u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EP2457683A1 (de) 2010-11-25 2012-05-30 Telsonic Holding AG Torsionales Schweissen
DE102013208749B4 (de) * 2013-05-13 2015-11-19 Schunk Sonosystems Gmbh Ultraschallschweiß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Verschweißen von Komponenten mittels einer Ultraschallschweißvorrichtung
CN104308416B (zh) * 2014-09-23 2016-03-02 浙江杨明斯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焊接花纹板扶手的夹具
US9796134B2 (en) * 2015-03-25 2017-10-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a warped workpiece to another workpiece
WO2017000998A1 (de) 2015-06-30 2017-01-05 Telsonic Holding Ag Vorrichtung zum verschweissen von bauteilen mittels ultraschalls durch torsionschwingungen
US10052714B2 (en) * 2016-10-14 2018-08-21 Sonics & Materials, Inc. Ultrasonic welding device with dual converters
JP6497420B2 (ja) * 2017-02-23 2019-04-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DE102017216988A1 (de) * 2017-09-25 2019-03-28 Schunk Sonosystems Gmbh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von Schweißgut in einer Ultraschall-Schweißeinrichtung sowie Ultraschall-Schweiß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702A (en) * 1982-10-22 1990-07-24 The Ohio State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welding process
NL8403755A (nl) * 1984-12-11 1986-07-01 Philips Nv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een meerlaags gedrukte bedrading met doorverbonden sporen in verschillende lagen en meerlaags gedrukte bedrading vervaardigd volgens de werkwijze.
US4589584A (en) * 1985-01-31 1986-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for polymeric conductive material
DD279979B5 (de) * 1987-02-25 1994-07-21 Css Semiconductor Equipment Gm Vorrichtung fuer die Ultraschallkontaktierung
US5354392A (en) * 1992-01-24 1994-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a wiring arranged on a sheet with another wiring arranged on another sheet by ultrasonic waves
JPH07221141A (ja) * 1994-02-03 199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
DE4434132A1 (de) * 1994-09-24 1996-03-28 Bosch Gmbh Robert Ultraschall-Schweißverfahren und Ultraschall-Schweißvorrichtung sowie eine damit hergestellte Schweißverbindung
US5857259A (en) * 1995-02-24 1999-01-12 The Wiremold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JPH0952185A (ja) * 1995-08-14 1997-02-25 Yazaki Corp 超音波溶着機
US5971251A (en) * 1997-10-27 1999-10-26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ethod of welding a terminal to a flat flexible cable
ES2152868B1 (es) * 1998-12-18 2001-09-01 Mecanismos Aux Es Ind S L Metodo para la interconexion ultrasonica multidireccional de cables planos.
JP2000294332A (ja) * 1999-04-12 2000-10-20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配線体の接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0287A1 (de) 2003-10-08
CZ20031923A3 (cs) 2003-10-15
BR0206365A (pt) 2003-12-23
JP2004526279A (ja) 2004-08-26
KR20030071809A (ko) 2003-09-06
UA73830C2 (en) 2005-09-15
US20040038598A1 (en) 2004-02-26
CN1494753A (zh) 2004-05-05
EP1350287B1 (de) 2008-10-08
HUP0302605A2 (hu) 2003-11-28
DE10101236A1 (de) 2002-07-25
PL366581A1 (en) 2005-02-07
US7124504B2 (en) 2006-10-24
WO2002061895A1 (de) 2002-08-08
CN1251364C (zh) 2006-04-12
DE50212861D1 (de) 2008-11-20
MXPA03006166A (es) 2004-05-04
ATE410802T1 (de)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030B1 (ko) 도전체 접속 장치 및 방법
CN108080781B (zh) 用于超声波焊接工艺的喇叭
EP2176027B1 (en) Ultrasonic joining method using a flat end face of chip provided with straight grooves
US6296171B1 (en) Utilize ultrasonic energy to reduce the initial contact forces in known-good-die or permanent contact systems
KR20120099128A (ko) 와이어들의 전기전도성 접속을 위한 방법 및 조립체
JPS63310299A (ja) 超音波探触子の製造方法
JPH0549288B2 (ko)
JPH09174268A (ja) 溶接ジョイントの形成方法及び装置
JPH0577071A (ja) 金属箔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装置
US3893223A (en) High frequency vibratory spot welding of sheet metal
Dawes et al. Ultrasonic ball/wedge bonding of aluminium wires
JPH05123317A (ja) 2次元アレイ超音波プローブ
JP2005319483A (ja) 超音波溶接装置
JP3241873B2 (ja) マイクロ部品を立体実装するための組立方法。
JP2022550263A (ja) 少なくとも2つの構成部品を溶接するための溶接装置および方法
JPS63242479A (ja) 複合振動を用いた超音波溶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211590A (ja) 超音波溶接
KR101697198B1 (ko) 초음파 용접 장치
JPH03108207A (ja)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6957054B1 (ja) リベット接合方法及び接合処理装置
JPH02106092A (ja) 導線接合方法
JP2000176654A (ja) 超音波振動接合方法
JP2816090B2 (ja) 線材の接合方法
JPH10175083A (ja) 超音波溶接方法及び溶接機
JP3851743B2 (ja) 電子走査型超音波探触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