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308B1 - 곤포 방법, 곤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곤포 방법, 곤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308B1
KR100644308B1 KR1020030101075A KR20030101075A KR100644308B1 KR 100644308 B1 KR100644308 B1 KR 100644308B1 KR 1020030101075 A KR1020030101075 A KR 1020030101075A KR 20030101075 A KR20030101075 A KR 20030101075A KR 100644308 B1 KR100644308 B1 KR 10064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introduction
wrapping
buffer medium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834A (ko
Inventor
니시야스히로
고또아쯔시
와따나베다이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5/0073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illow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8Protectors contacting five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five-sided en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0Embedding contents in shock-absorbing media, e.g. plastic foam,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물체를 곤포하기 위한 곤포 부재로서, 매체를 수납하는 매체 수납부와, 매체 수납부로 향하는 매체는 통과시키고 매체 수납부로부터 역류하는 매체는 규제하는 역지 밸브와, 매체 수납부를 팽창시키기 위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를 통해 매체 수납부 내로 매체를 도입하는 도입부와, 도입부로부터 곤포 부재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체의 도입부에 대항하여 밀봉하기 위하여 도입부로부터 역지 밸브로 향하는 매체의 도입 방향에 있어서 역지 밸브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밀봉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영역은 매체 수납부 내에서 매체를 유지하도록 밀봉된다.
완충 매체 수납부, 곤포 부재, 역지 밸브, 도입부, 카트리지

Description

곤포 방법, 곤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PACKING METHOD, PACK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단계들 중 하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곤포 부재의 부분적으로 권취되지 않은 롤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카트리지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카트리지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곤포 부재의 밀봉 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로 카트리지를 곤포하는 다른 단계(곤포 부재의 밀봉 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1은 수납부의 내압이 높은 수납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곤포 부재의 완충 매체 수납부들 중 하나의 단면도.
도12는 공기가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누설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도면이며, 도14의 (a)는 그의 평면도(배면측)이며, 도14의 (b)는 노치로부터 시작되는 곤포 부재의 절취부를 도시하는 곤포 부재의 그의 평면도(배면측)이며, 도14의 (c)는 절취 안내 시임이 없는 영역을 가로질러 절취되는 곤포 부재의 평면도(배면측)이다.
도15는 곤포 부재를 개방하기 위해 곤포 부재가 노치로부터 절취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6은 곤포 부재를 개방하기 위해 곤포 부재가 노치로부터 절취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곤포 부재의 평면도.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단면도이며, 도19의 (a)는 본 발명에 따 른곤포 부재와 곤포 부재로 곤포되는 피곤포물의 조합의 단면도이며, 도19의 (b)는 제2 도입부를 갖지 않는 곤포 부재와 곤포 부재로 곤포되는 카트리지의 조합의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곤포 부재의 평면도.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단면도이며, 도22의 (a)는 곤포 부재와 곤포 부재로 곤포되는 피곤포물의 조합의 단면도이며, 도22의 (b)는 공기가 주입될 수 없는 완충 매체 수납부를 갖지 않는 곤포 부재와 곤포 부재로 곤포되는 피곤포물의 조합의 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절취 안내부의 평면도이며, 도23의 (a), (b), (c) 및 (d)는 하나씩 절취 안내부의 다양한 패턴을 도시한다.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곤포 상자의 사시도.
도25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곤포 상자의 사시도.
도26은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곤포 상자의 사시도.
도2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호한 곤포 상자의 사시도.
도2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호한 곤포 상자의 사시도.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완충 매체 수납부들 중의 하나의 역지 밸브 및 그의 입접부의 단면도.
도30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의 완충 매체 수납부들 중의 하나의 역지 밸브 및 그의 입접부의 평면도.
도3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상자의 전개도.
도32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상자의 전개도.
도33은 수송 팰릿과 종래 기술에 따른, 팰릿 상에 적재된 180개의 상자의 사시도.
도34는 수송 팰릿과 본 발명에 따른, 팰릿 상에 적재된 203개의 상자의 사시도.
도35는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와, 이것으로 곤포되는 카트리지의 조합의 단면도.
도36은 제2 도입부를 갖지 않는 곤포 부재와, 이것으로 곤포되는 카트리지의 조합의 단면도.
도37은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와, 이것으로 곤포되는 카트리지의 조합의 단면도.
도38은 공기가 주입될 수 없는 완충 매체 수납부가 없는 곤포 부재와, 이것으로 곤포되는 카트리지의 조합의 단면도.
도39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 서플라이의 사시도.
도4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상자와, 그 내부의 포장 서플라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필름
3 : 완충 매체 수납부
4 : 역지 밸브
5 : 도입부
11 : 주입구
15 : 노치
18, 21 : 개구
35a : 감광체 드럼
35b : 커버
35c : 손잡이부
35d : 하우징
35e : 전사 롤러
38, 43 : 상자
S1 : 곤포 부재
K1 : 가위
K2 : 금속 코어
본 발명은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곤포 부재,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해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방법 및 피곤포물을 곤포하는데 이용되는 곤포 부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것과 같은 곤포 부재에 대해서는, 이하 공보에 개시된 곤포 부재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완충 매체를 보유하기 위한 완충 매체 수납부와,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완충 매체가 수납부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와,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부를 포함한다.(미국 특허 제5427830호의 도2 및 일본 공개 실용출원 제1-164142호의 도1 참조)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부재의 경우에, 그러나 곤포 부재가 고온고습 환경 또는 저압 환경에서 장시간동안 저장됨에 따라, 곤포 부재의 완충 매체 수납부 내의 완충 매체는 용적이 증가하여, 이에 의해 수납부의 내압을 증가시킨다. 완충 매체 수납부 내의 증가된 내압은 완충 매체가 역지 밸브를 통해 역류하도록 하여, 수납부 내의 완충 매체의 양을 점차 감소시킨다. 수납부 내의 완충 매체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곤포 부재의 충격 흡수 효과는 감소된다. 본 발명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자 내에 피곤포물을 신뢰성 있게 보호하는 곤포 부재,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방법, 곤포 부재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피곤포물을 보호할 수 있는 곤포 부재,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및 곤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완충 매체가 주위의 변화로 인해 역류할지라도 내부의 완충 매체가 누설되지 않는 곤포 부재,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 는 곤포 방법 및 곤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 매체가 곤포 부재 내로 주입될 수 있는 효율이 우수한 곤포 부재,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및 곤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종 목적지로 곤포 부재의 운반 후에 완충 매체가 주입될 수 있어서, 운반 효율이 우수한 곤포 부재,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및 곤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 매체를 보유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와;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를 향해 유동하는 한편,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역지 밸브와; 완충 매체 수납부를 팽창시키기 위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도입부와;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역류된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역지 밸브로 도입되는 방향에 있어 역지 밸브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가 주입된 후에 도입부가 밀봉되는 밀봉 영역을 포함하는 곤포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지 밸브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도입부 내로 역류된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역지 밸브로 도입되는 방향에 있어 역지 밸브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가 주입된 후에 도입부가 밀봉되는 밀봉 영역을 포함하는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할 때, 곤포 부재가 피곤포물이 곤포 부재로 곤포된 후에 상기 밀봉 영역을 가로질러 밀봉되며,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주입되는 곤포 방법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지 밸브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도입부 내로 역류된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역지 밸브를 향해 도입되는 방향에 있어 역지 밸브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가 주입된 후에 도입부가 밀봉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도입부를 형성하기 위한 완충 매체 도입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곤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 매체를 보유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와;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를 향해 유동하도록 하는 동안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역지 밸브와; 완충 매체 수납부를 팽창시키기 위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도입부와; 역지 밸브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로부터 도입부 내로 역류된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곤포 부재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매체가 도입부를 통해 역지 밸브로 도입되는 방향에 있어 역지 밸브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가 주입된 후에 도입부가 밀봉되는 밀봉 영역을 포함하는 곤포 부재로 적어도 수송될 때 곤포될 수 있으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곤포 부재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형태의 곤포 부재(S1)는 2매의 가요성 플라스틱 필름(1, 2)을 열용착하여 형성된 층상 시트이다. 도면 부호(6, 8, 9, 10)로 표시된 라인(용착 시임)은 2매의 가요성 플라스틱 필름이 열용착된 라인이다. 곤포 부재(S1)에는 완충 매체로서 공기가 수납될 수 있는 복수개의 평행한 완충 매체 수납부(3)가 제공된다. 각각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제1 및 제2 필름(1, 2)을 용착 라인(10)을 따라 열용착하여 생성된다. 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좁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요성 필름(1, 2)은 3개의 층을 갖는 층상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은 나일론 층, 폴리에틸렌 층 및 폴리프로필렌 층을 포함하는데, 나일론 층이 폴리에틸렌 층과 폴리프로필렌 층 사이에 개재된다. 나일론 층은 완충 매체가 사실상 투과되기 어렵고,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열용착하기가 용이하다.
완충 매체 수납부(3)에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된 역지 밸브(4)가 제공된다. 역지 밸브(4)는 공기가 충전되는 방향으로 역지 밸브(4)를 지나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유동하게 한다. 도2를 참조하면, 공기를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충전한 후,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의 공기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역지 밸브(4)에 의해 사용된다. 역지 밸브(4)의 상세한 구성은 도29 및 도30에 도시된다. 역지 밸브(4)는 이하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필름(1)에는 역지 밸브(4)의 상부가 제공되는데, 이는 필름(1)의 부분(1a)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필름(2)에는 역지 밸브(4)의 하부(4b)와 역지 밸브(4)의 밀봉부(4c)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또한 필름(2)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필름(1, 2)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6, 8, 9, 10)을 따라 서로 열용착된다. 밀봉 부재(4c)는 2개의 필름(1, 2)이 라인(8)을 따라 서로 용착되는 온도 수준에서 용융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다. 라인(9, 10)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라인(6, 8)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라인(6)은 영역(8)으로부터 곤포 부재(S1)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에 위치된다.
도30을 참조하면, 2개의 필름(1, 2)은 라인(8)(용착 시임)의 부분(8b, 8c)을 따라 용착되지만, 밀봉 부재(4c)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8a)을 가로지르지는 않아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공기가 도입되게 한다.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은 공기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지나가게 되는 방향과 사실상 동일하여,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공기가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곤포 부재(S1)에는 완충 매체 수납부(3)를 팽창시키기 위해, 각각 외부로부터 복수개의 역지 밸브(4)를 통해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매체(공기)가 도입되는 복수개의 도입부(5)가 제공된다. 각각의 도입부(5)의 외향 단부는 공기가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주입되는 주입구(11)를 구성한다. 또한, 도입부(5)는 필름(1, 2)을 서로 용착하여 생성된다. 2개의 필름(1, 2)이 용착된 라인은 라인(7)이다. 도6을 참조하면, 각각의 주입구(11)의 폭(W1)은 전술된 매체 주입 방향에 있어서 도입부(5)의 하류측에 위치된 역지 밸브(4)와 도입부(5) 사이의 접속부의 폭(W2)보다 작다. 더욱이, 복수개의 주입구(11)가 나란히 위치되어, 주입구(11)를 통해 한 번에 모든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출구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공기가 복수개의 도입부(5) 내로 주입되는 방향은 각각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공기가 도입되는 방향과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공기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효율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더욱이, 역지 밸브(4)와 주입구(11)로의 도입부(5) 사이의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라인(7)(용착 시임)의 각각은 주입구(11)를 향해 절곡된다.
곤포 부재(S1)의 영역(48)은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도입부(5) 내로 역류한 공기가 곤포 부재(S1)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입부(5)를 밀봉하기 위해 필름(1, 2)이 서로 용착된 영역이다. 곤포 부재(S1)는 공기를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에 주입한 후 (도시되지 않은) 전용 용착 장치에 의해 이러한 영역(48)을 가로질러 밀봉된다.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각각에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나머지보다 좁고,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각각 소정 위치에 위치된 한 쌍의 부분(3b)이 제공된다.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이러한 좁은 부분(3b)은 완충 매체를 완충 매체 수납부(3)에 주입한 후 곤포 부재(S1)로 곤포된 피곤포물에 가해지는 압력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곤포 부재(S1)와 피곤포물 사이에서 접촉 압력에 의해 손상(변형)될 수 있는, 피곤포물의 부분의 위치에 좁은 부분(3b)이 대응하도록 곤포 부재(S1)가 구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좁은 부분(3b)의 폭(W4)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다른 부분의 폭(W3)보다 작다. 즉,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좁은 부분(3b)의 단면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다른 부분보다 작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좁은 부분(3b)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필름(1, 2)이 서로 용착되는 용착 시임(23)을 용착 시임(10)보다 넓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착 시임(23)은 (도시되지 않은) 전용 용착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곤포 부재(S1)의 전술된 구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곤포 부재(S1)는 완충 매체를 수납하는 완충 매체 수납부(3)와, 각각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이들을 통해 완충 매체가 지나가게 하지만 완충 매체가 이들을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4)와, 완충 매체 수납부(3)를 팽창시키기 위해 각각 완충 매체를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 도입하는 도입부(5)와, 역지 밸브(4) 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도입부(5) 내로 역류한 완충 매체의 부분이 곤포 부재(S1)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완충 매체가 도입부(5)를 통해 역지 밸브(4)로 도입되는 방향에 있어서 역지 밸브(4)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완충 매체 수납부(3)가 완충 매체로 충전된 후 곤포 부재(S1)가 밀봉되는 영역(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길고 좁은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은 완충 매체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유동하는 방향과 사실상 동일하다.
각각의 도입부(5)는, 도입부(5)의 외향 단부에 위치되고 완충 매체가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주입되는 주입구(11)를 갖는다.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주입되는 방향은 완충 매체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유동하는 방향과 대략 동일하다.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역지 밸브(4)와 도입부(5)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각각에 대해 하나씩 제공된다.
영역(48)은 곤포 부재(S1)를 영역(48)을 가로질러 밀봉한 후 완충 매체가 도입부(5)의 각각 내에 수납될 수 있는 양과 복수개의 도입부(5)가 대략 동일해지도록 위치된다.
복수개의 도입부(5)의 각각에는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완충 매체를 주입하도록, 완충 매체 주입 방향에 있어서 도입부(5)의 상류측 단부에 위치된 주입구(11)가 제공된다. 주입구(11)의 폭(W1)은 완충 매체 주입 방향에 있어서 도입부(5)의 하류측에 위치된 역지 밸브(4)와 도입부(5) 사이 의 접속부의 폭(W2)보다 작다. 주입구(11)의 폭(W1)이 접속부의 폭(W2)보다 작고 복수개의 주입구(11)가 서로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주입구(11)를 통해 곤포 부재(S1) 내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의 주입구(11)의 폭(W1)은 10 내지 15 mm의 범위 내에 있고, 각각의 접속부의 폭(W2)은 25 내지 30 mm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완충 매체를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에 주입한 후 곤포 부재(S1)로 곤포된 피곤포물에 가해진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각각의 완충 매체 수납부(3)에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다른 부분보다 좁고,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각각 소정 위치에 위치된 부분(3b)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복수개의 역지 밸브(4) 및 복수개의 도입부(5)를 갖는 본 실시예의 곤포 부재(S1) 등과 같은 곤포 부재는 상당수의 곤포 부재(S1)를 포함하는 롤의 형태일 수 있다. 주어진 피곤포물을 적절히 곤포하기에 적절한 크기의 곤포 부재를 얻기 위해, 단일 또는 복수개의 곤포 부재(S1)가 곤포 부재의 롤로부터 절단된다. 얻어진 단일 또는 복수개의 곤포 부재(S1)의 유닛은 피곤포물을 적절히 곤포하도록 전술된 바와 같이 처리된다. 다음으로, 전술된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를 사용하는 곤포 방법)
도3 내지 도9를 참조하면, 곤포 부재(S)를 사용하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 치의 주 조립체 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장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또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로서,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컨대, 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계, 워드프로세서 등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이 전자사진 감광체를 따라 일체적으로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1) 곤포 부재 롤로부터 곤포 부재를 절단하는 단계(도3)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복수개의 역지 밸브(4) 및 복수개의 도입부(5)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 모서리에서 연결된 상당수의 곤포 부재로 구성되는 긴 롤(S)의 시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35)를 곤포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길이를 갖는 곤포 부재가 절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롤은 한 쌍의 가위(K1)로 절단된다. 그러나, 절단기 또는 전용 절단 장치로 절단될 수 있다. 곤포 부재 롤(S)은 롤(S)의 중심에 금속 코어(K2)를 구비하여, 곤포 부재 시트(S)를 인출하여 절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금속 코어(K2) 설비는 곤포 부재 시트의 롤(S)을 자동 절단 장치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하는 것 등을 용이하게 한다.
(2) 곤포 부재를 주머니로 가공하는 공정(도4 내지 도6)
롤(S)로부터 절취된 곤포 부재(S1)는 곤포 부재(S1)의 후단부(53)가 도5에 도시된 곤포 부재(S1)의 영역에 부합하도록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대 하여 그 중심에서 대략 절반으로 절첩된다.
그 후에, 곤포 부재(S1)의 절반부는 곤포 부재(S1)를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개구를 갖는 주머니를 형성하도록 모서리 영역[라인(12, 13)]을 따라 다른 절반부에 열용착된다. 또한, 라인(12, 13; 용착 시임)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하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곤포 부재(S1)는 파지부, 예를 들면 작은 노치(15)를 구비하여 곤포 부재(S1)로 제조된 주머니로부터 피곤포물을 취출할 때 곤포 부재(S1)를 절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노치(15)는 곤포 부재(S1)의 일부이며, 이로부터 곤포 부재가 용이하게 절취되며 완충 매체를 완충 매체 수납부에서 방출시키기 위한 완충 매체 수납부의 개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곤포 부재(S1)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개방된 주머니로 형성된다. 그러나, 곤포 부재(S1)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단부 또는 양 단부가 개방되는 주머니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 단부에 수직한 일단부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개방되는 주머니로 형성될 수 있다.
(3) 곤포 부재(도5)로 형성된 주머니에 피곤포물[카트리지(35)]을 삽입하는 단계(도5)
도5를 참조하면, 피곤포물인 카트리지(35)는 주머니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된 개구(18)를 통해 곤포 부재(S1; 이하 "주머니(S1)"로 참조됨)로 형성된 주머니에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카트리지(35)는 카트리지(35)의 길이 방향과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이 사실상 평행하게 되도록 삽입된다. 그 후에, 주머니(S1) 내의 카트리지를 기밀하게 밀봉하기 위해 주머니(S1)의 앞면과 배면은 라인(19)을 가로질러 서로 열용착되어 개구(18)를 밀봉한다(주머니(S1)는 가열 밀봉된다). 라인(19; 용착 시임)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다시 말하면, 라인(19; 용착 시임)은 카트리지(35)의 짧은 모서리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라인(19)은 라인(8; 용착 시임) 및 역지 밸브(4)보다도 주입구(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러나,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S1)의 앞면과 배면은 전술된 밀봉 부재(4c)가 섹션(19a)을 가로질러 연장하기 때문에 라인(19)의 각 섹션(19a)을 가로지르는 부분은 서로 열용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는 역지 밸브(4)를 통하여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카트리지(35)가 기밀하게 밀봉된 주머니(S1)의 완충 매체 수납부(3)로 주입될 수 있다.
(4) 완충 매체를 주입하는 단계(도5 및 도9)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인 완충 매체는 주입구(11), 도입부(5) 및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역지 밸브(4)를 통해 주머니(S1)의 완충 매체 수납부(3) 각각으로 주입된다. 주머니(S1) 안에 카트리지(35)를 밀봉한 후에 공기를 주입하는 이유는 카트리지(35)가 삽입될 때 카트리지와 필름(1, 2)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머니(S1)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에 공기를 주입한 후에 피곤포물(카트리지; 35)을 주머니(S1) 안으로 삽입할 경우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피곤포물(카트리지; 35)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카트리지(35)를 삽입한 후에 공기를 주입하는 곤포 방법이 카트리지(35)를 삽입하 기 전에 공기를 주입하는 곤포 방법보다 작업 효율이 우수하다. 특히, 도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35)를 주머니(S1) 안에 삽입한 후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이 완충 매체 수납부(3)에서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이러한 압력은 도입부(5)를 평평하게 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작용시킨다. 결국, 도입부(5)의 공기는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주입구(11)를 통해 도입부(5)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머니(S1)의 완충 매체 수납부로 주입된 완충 매체는 공기이다. 그러나, 완충 매체의 선택은 공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질소 가스, 산소 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질소 가스는 질소의 분자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형성된 완충 매체 수납부에서 누설되기 어렵다. 또한, 액체와 같은 유동체가 완충 매체로 사용되더라도 문제없다.
(5) 완충 매체 도입부를 밀봉하는 단계(열용착)
다음에, 도10을 참조하면, 주머니(S1)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용착 시임의 주입구(11)측 상에 있는 영역(밀봉 범위; 48)부를 가로질러 밀봉된다. 특히, 주머니(S1)는 완충 매체 도입부(5)가 존재하는 영역을 가로질러 열용착되고, 특히 라인(50)을 따라 주머니(S1)를 밀봉한 후에 용착 시임(8)과 라인(50) 사이의 완충 매체 도입부(5)의 완충 매체 용량이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전체 완충 매체 용량의 5 내지 10% 정도가 되도록 완충 매체 라인(50)을 따라 열용착된다. 주머니(S1)를 열용착시키는 라인(50)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이러한 공정은 고온 다습 및/또는 저압의 환경에서 오랜 시간 방치되었을 때,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에 주입된 공기가 팽창하여 주머니[완충 매체 수납부(3)]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행해진다. 다시 말하면, 주머니(S1)는 각각의 완충 매체 수납부(3)에서 역지 밸브(4)를 통해 역류하는 소정량을 공기가 저장되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영역(48)을 가로질러 열용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머니(S1)는 라인(50)의 주입구(11)측으로 위쪽에 있는 라인(51)을 따라 열용착된다. 이러한 공정은 공기가 열용착 라인(50)을 통해 주입구(11)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열용착 라인(51)은 또한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연장한다.
또한, 도8을 참조하면, 완충 매체가 카트리지(35)를 포함한 주머니(S1)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주입될 때, 주머니(S1)는 변형되어 네 개의 코너(C1, C2, C3, C4)가 코너(C1, C2) 사이의 모서리 및 코너(C3, C4) 사이의 모서리와 비교하여 튀어나온다. 이러한 돌출된 코너(C1, C2, C3, C4)는 주머니(S1)의 충격 흡수 기능을 부가하여 피곤포물을 포함한 주머니(S1)가 그 코너들 중 하나로 착지할 때 내부 피곤포물을 더욱 우수하게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35)는 소정 개수의 팽창 가능한 완충 유닛을 포함하는 전술된 팽창 가능한 곤포 부재(S1)로 형성된 주머니 안에 삽입된다. 그러나, 카트리지(35)는 곤포 부재(S1)로 카트리지(35)를 직접 곤포한(덮은) 후에, 카트리지(35)의 일측면에 있는 곤포 부재(S1)의 반부를 모서리를 따라 곤포 부재(S1)의 다른 반부에 열용착함으로써 팽창 가능한 곤포 부재(S1)를 주머니로 형성하는 팽창 가능한 완충 주머니(S1) 안에 공기 기밀식으로 밀봉될 수 있다.
(6) 곤포된 카트리지를 상자에 삽입하는 단계
팽창 가능한 곤포 부재(S1)로 형성되고 카트리지(35)를 포함하여 공기 기밀식으로 밀봉된 주머니(S1)는 상자(38) 안에 삽입된다. 그 후에, 상자의 탭(38a, 38b)이 90° 각도로 내향 절곡된다. 다음에, 상자(38)의 탭(38c)이 탭(38a, 38b) 위로 내향 절곡된다. 그 후에, 상자(38)의 탭(38d)이 탭(38c) 위에 내향 절곡되어 탭(38c)에 접착된다. 이러한 공정 중에, 탭(38c)의 부속부(38c1, 38c2)는 탭(38d)의 슬릿(38d1, 38d2) 내로 삽입된다. 도24 내지 도34를 참조하면, 그러한 피곤포물으로 카트리지(35)가 위치된 본 실시예는 피곤포물이 길이 방향의 일단부부터 상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비교해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상자는 아래의 이유 때문에 피곤포물[카트리지(35)]이 도27 및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의 일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자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카트리지(35)는, 카트리지(35)가 곤포 주머니(42) 안에 삽입되어 한 쌍의 측면 패드(39, 40)가 주머니(42) 위로 카트리지(35)의 길이방향 단부들에 끼워 맞춰지고, 카트리지(35), 주머니(42) 및 한 쌍의 측면 패드(39, 40)의 조합체가 곤포 상자(43) 안에 위치되는(도39 및 도40) 단계를 통해 곤포 상자(43)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위치된다.
포장될 피곤포물[카트리지(35)]이 위에서 설명된 포장 주머니의 조합체 및 포장 방법을 따라 곤포 상자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곤포 상자를 채용하는 것은 이하의 장점을 제공한다.
(1)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상자의 개구(43e)와 같은 개구를 구비한 곤포 상자의 일측벽을 제공하는 대신에, 개구(38e)가 곤포 상자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전체 강도면에서 곤포 상자를 더욱 강화시킨다.
(2) 본 실시예의 곤포 상자는 양적으로 더 작다. 즉, 도25 및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이유로 곤포 상자를 제조하기에 요구되는 표면 면적의 크기가 종래 기술의 곤포 상자(43)보다 더 작다. 즉, 본 실시예의 탭(38a 내지 38d)이 탭(43b 내지 43d)보다 작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곤포 상자(43)의 전체 크기 전개도(B1)의 개수는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보드지(B2) 한 장에 단지 세 개가 들어가지만, 본 실시예의 곤포 상자(38)의 전체 크기 전개도(B3)의 개수는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보드지(B2) 한 장에 네 개가 들어간다. 다시 말하면, 카드보드지(B2) 한 장으로 세 개의 곤포 상자(43)만을 만들 수 있는 반면, 카드보드지(B2) 한 장으로 네 개의 곤포 상자(38)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곤포 상자 구조 설계를 채용하는 것은 곤포 상자 비용 및 전체 카트리지 비용을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이다.
(3) 수송 팰릿(B4)에 장착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상자(43)의 개수는 180개(도33)인 반면, 이하의 이유로 본 실시예의 상자(38)의 개수는 203(도34)개 이다. 우선, 본 실시예의 상자(38)는 종래 기술의 상자(43)보다 크기가 작고, 둘째로 (1)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자(38)의 전체 강도가 종래 기술의 상자(43)의 전체 강도보다 크다.
(4) 곤포 상자(38)가 재료(카드보드지)를 더욱 작게 절취하여 완성될 수 있는 등의 이유로 곤포 상자(38)를 제조하는 기계가 곤포 상자(43)를 제조하는 기계보다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다.
(5) 곤포 상자(38)의 절취선부(38f)가 곤포 상자(43)의 절취선부(43f)보다 더 작고 곤포 상자(38)는 위에서 설명한 한 쌍의 측면 패드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곤포 상자(38)로부터 피곤포물[카트리지(35)]를 취출하기가 용이하다.
위에서 설명한 곤포 부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이하로 요약될 수 있다.
곤포 부재(S1)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완충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완충 매체가 이를 통해 각각의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주입되는 것은 허용하지만 완충 매체가 이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역류하는 것은 방지하는 역지 밸브(4), 완충 매체 수납부(3)를 팽창시키기 위해 완충 매체를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4)를 통해 각각의 완충 매체 수납부(3)로 도입하는 도입부(5), 완충 매체의 일부가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역지 밸브(4)를 통해 도입부(5)로 역류하여 곤포 부재(S1)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매체가 도입부(5)에서 각각의 역지 밸브(4)로 도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류에 위치되어 완충 매체 수납부(3)가 완충 매체로 충전된 후에 밀봉된 곤포 부재(S1)를 가로지르는 영역(48)을 포함하며, 곤포 부재(S1)는 피곤포물이 곤포 부재(S1)로 형성된 주머니 내에 위치된 후에 완충 매체가 도입부(5)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주입되고, 그 후에 영역(48)을 가로질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S1)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상기 곤포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곤포 부재(S1)의 도입부(5) 각각이, 도입부(5)의 외향 단부에 위치되고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완충 매체 수납부(3)내로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내로 통과하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으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는 주입구(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S1)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상기 곤포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곤포 부재(S1)의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고, 곤포 부재(S1)의 복수개의 역지 밸브(4)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각각에 대해 하나가 제공되고,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며, 곤포 부재(S1)의 복수개의 도입부(5)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각각에 대해 하나가 제공되며, 완충 매체는 도입부(5) 및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내로 각각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상기 곤포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곤포 부재(S1)의 복수개의 도입부(5) 각각이 완충 매체 도입 방향에 대해 도입부(5)의 상류측의 단부에 위치되어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완충 매체 수납부(3)내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는 주입구(11)를 구비하며, 주입구(11)의 폭(W1)은 도입부(5)와, 완충 매체 도입 방향에 대해 도입부(5)의 하류측에 위치된 역지 밸브(4)와의 사이의 접속부의 폭(W2)보다 좁으며, 복수개의 주입구(11)는 각각에 대해 바로 옆에 나란히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된 곤포 방법은 수작업에 알맞은 곤포 방법이다.
완충 매체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와, 완충 매체가 각각 완충 매체 수납부(3)로 통과될 수 있게 하고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역지 밸브(4)와, 완충 매체 수납부(3)를 팽창시키기 위해, 각각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 내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는 복수개의 도입부(5)와,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도입부(5)로 역류한 완충 매체부가 곤포 부재(S1)의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매체가 도입부(5)로부터 역지 밸브(4)로 도입되는 방향에 대해 역지 밸브(4)의 상류측에 각각 위치되는 영역(48)으로서, 완충 매체 수납부(3)가 완충 매체로 충전된 후 이 영역(48)을 가로질러 곤포 부재(S1)가 밀봉되는 상기 영역(48)을 포함하는 곤포 부재(S1)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곤포 부재(S1)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와, 곤포 부재(S1)로 형성된 주머니에 피곤포물을 위치 설정시키는 위치 설정 단계와, 위치 설정 단계 후, 완충 매체 수납부(3)로 도입부(5)를 통해 완충 매체를 도입하는 도입 단계와, 영역(48)을 가로질러 주머니를 밀봉하는 밀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S1)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준비 단계에서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완충 매체를 도입하기 위해 도입부(5)가 도입 방향에 대한 상류측의 단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주입구(11)를 각각 갖는 곤포 부재(S1)가 준비되며, 도입 단계에서 완충 매체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쪽으로 통과하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으로 완충 매체가 주입구(11) 를 통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준비 단계에서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평행하게 위치된 복수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와, 각 완충 매체 수납부(3)에 대해 하나씩 제공된 복수개의 역지 밸브(4)와, 각 완충 매체 수납부(3)에 대해 하나씩 제공된 복수개의 도입부(5)를 갖는 곤포 부재(S1)가 준비되고, 도입 단계에서 완충 매체가 도입부(5) 및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곤포 부재(S1)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은, 준비 단계에서 각각이 곤포 부재(S1)의 외부로부터 완충 매체를 도입하기 위해 완충 매체 도입 방향에 대한 상류측의 단부에 위치된 주입구(11)를 구비하며 주입구(11)의 폭(W1)는 도입부(5)와, 완충 매체 도입 방향에 대해 도입부(5)의 하류측에 위치된 역지 밸브(4)와의 사이의 접속부의 폭(W2)보다 좁으며, 복수개의 주입구(11)는 각각에 대해 바로 옆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도입부(5)를 갖는 곤포 부재(S1)가 준비되며, 도입 단계에서 완충 매체가 복수개의 주입구(11)를 통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된 곤포 방법은 기계적 곤포 작업, 예를 들면, 자동 곤포기를 사용한 곤포 작동에 적합한 것으로 말해질 수 있다.
[완충 매체 도입부(5)]
상술된 바와 같이, 팽창된 곤포 부재(S1)가 고온 고습 및/또는 저압의 환경에서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면, 완충 매체 수납부(3)는 내압이 상승되어, 완 충 매체 수납부(3)내의 완충 매체(공기)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역류되게 한다. 이러한 경우,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부재는 도입부(5)를 가로질러 밀봉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부재의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완충 매체(공기)는 점차 누설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곤포 부재에 의해 곤포된 피곤포물이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10, 도11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내압의 상승에 의해 역지 밸브(4)를 통해 역류한 공기가 유지되는 버퍼부로서 도입부(5)가 이용된다. 즉,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도입부(5)로 역지 밸브(4)를 통해 역류한 공기는, 도입부(5)를 가로질러 라인(50, 51)을 따라 곤포 부재(S1)를 밀봉함으로써, 곤포 부재(S1) 외부로 도입부(5)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입부(5)를 가로질러 밀봉된 곤포 부재(S1)에 의해, 곤포 부재(S1)에 의해 곤포된 피곤포물이 저장된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완충 매체(공기)가 역지 밸브(4)를 통해 역류할지라도, 완충 매체는 곤포 부재(S1)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팽창된 곤포 부재, 즉, 버퍼 영역을 갖지 않았던 곤포 부재가 혹독한 시험 환경(40°의 온도 및 95%의 습도)에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면, 당초 50 Kpa이었던 이 곤포 부재(S1)의 내압이 24 시간 경과 후 O Kpa로 강하되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팽창된 곤포 부재(S1)가 동일하게 혹독한 시험 환경(40°의 온도 및 95%의 습도)에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면, 마찬가지로 당초 50 Kpa이었던 이 곤포 부재(S1)의 내압이 60일 후에 도 대략 20 Kpa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팽창된 곤포 부재(S1)가 상온 환경(23°의 온도 및 60%의 습도)에서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면, 이러한 압력 손실 속도에서, 이 실시예의 팽창된 곤포 부재(S1)의 50 Kpa의 내압이 10 Kpa로 강하되는데 4.58년이 걸린다. 즉, 본 실시예의 곤포 부재(S1)에 의해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것은 피곤포물이 충격으로부터 보호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실시예의 곤포 부재(S1)의 긴 모서리들 중 하나에는 라인(8, 50) 사이의 지점에 위치면에서 대응되는 노치(15)가 제공된다(도6). 곤포 부재(S1)의 표면은 노치(15)의 인접부를 가로질러 조악하게 만들어지며, 미끄럼 방지 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노치(15)로부터 시작되어 곤포 부재(S1)를 절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미끄럼 방지 영역은 완충 매체 도입 방향에 대해, 곤포 부재(S1)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상류측 단부와 도입부(5) 사이에서 열용착되는 라인(8)(용착 시임)으로부터 상류측 상에 존재한다. 노치(15)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에 대해, 라인(12)의 외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곤포 부재(S1)가 노치(15)로부터 개시되어 절취될 때, 완충 매체 수납부(3)는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되고, 카트리지(35)를 취출할 수 있는 개구(21)가 형성되며, 완충 매체 수납부(3)에 잔류하는 공기도 해제되어, 사용된 곤포 부재(S1)의 용적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곤포 부재(S1)로 형성된 주머니로부터 카트리지(35)를 제거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곤포 부재(S1)는 도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22, 49)을 따라 용착되어, 완충 매체 수납부(3)[곤포 부재(S1)]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취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14의 (a)는 곤포 부재(S1)로 형성되고 카트리지(35)를 포함하는 주머니의 반대측의 평면도이다. 곤포 부재(S1)가 용착되는 라인(22)은 용착 라인(19)의 내향으로[역지 밸브(4)] 7 mm의 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용착 시임은 20 mm의 길이를 갖고,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 설정된다. 곤포 부재(S1)가 용착되는 라인(49)은 상기 라인(22)의 내향측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용착 시임도 20 mm의 길이를 갖고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 설정된다. 라인(19, 49)을 따른 용착 라인은 열용착에 의해 형성된다. 절취 안내 용착 시임(19, 49)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곤포 부재(S1)[완충 매체 수납부(3)]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취되기에 어려우며, 곤포 부재(S1)로 형성된 주머니로부터 피곤포물[카트리지(35)]를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도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포 부재(S1)가 라인(19)(용착 시임)을 따라 보다 더 절취되기 쉬우며,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공기를 해제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도14의 (a)를 참조하면, 절취 안내 용착 시임(22)은 인접한 두 개의 완충 매체 수납부(3) 사이에서 용착 시임(10)에 걸쳐 각각 연장되는데, 왜냐하면, 절취 안내 용착 시임(22)이 각각 용착 시임(10)에 걸쳐(straddle) 있지 않다면, 용착 시임(10)은 절취 작용을 방해하여, 노치(15)로부터 개시되어, 도입부(5)에 수직한 방향으로 곤포 부재(S1)를 절취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용착 시임(22) 사이의 간격(34)(용착되지 않은 부분), 및 인접한 두 개의 용착 시임(49) 사이의 간격(35)(용착되지 않은 부분)이 제공되므로, 곤포 부재(S1)가 절취 안내 용착 시임(19)과 절취 안내 용착 시임(22) 사이에서 절취될지라도,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완충 매체(공기)는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절취 안내 용착 시임(22, 49)은 곤포 부재(S1)가 도3에 도시된 형태일 때 생성된다.
절취 안내 용착 시임(22, 49)은 도23의 (a)에 도시된 절취 안내 용착 영역(38), 도23의 (b)에 도시된 절취 안내 영역(39), 도23의 (c)에 도시된 절취 안내 영역(40), 또는 도23의 (d)에 도시된 절취 안내 영역(41, 48)의 조합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영역(43, 44, 46, 47)이 각각 제공되어, 곤포 부재(S1)의 앞뒤 측면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영역(43, 44, 46, 47)을 가로질러 용착되지 않는다.
(완충 매체 수납부)
이 실시예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잔여부보다 더 좁고,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좁은 영역(3b)이 제공됨으로써, 완충 매체가 완충 매체 수납부(3)로 도입된 후 카트리지(35)로 인가되는 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도17을 참조하면, 좁은 영역(3b)의 폭(W4)은, 공기 주입 방향에서의 좁은 영역(3b)에 대한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상류측 및 하류측 영역(3a)의 폭(W3)보다 좁다. 즉,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좁은 영역(3b)의 단면적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다른 영역(3a)의 단면적보다 작다. 또한, 도17을 참조하면, 좁은 영역(3b)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필름(1)과 필름(2)이 서로 열용착되는 용착 시임(10)의 부분(23)을 좁은 영역(3b)에 위치적으로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확장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넓은 용착 시임(23)은 전용의 열용착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폭(W3)은 25 내지 35 mm의 범위 내에 있고, 좁은 영역(3b)의 폭(W4)은 15 내지 20 mm의 범위 내에 있다.
본 실시예는, 피곤포물[카트리지(35)]의 대략 중앙 부분에 위치적으로 상응하는 곤포 부재(S1)의 완충 매체 수납부 각각의 중앙 부분 내로 주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중앙 부분에 대하여 곤포 부재(S1)의 완충 매체 수납부 각각의 공기 주입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부분 내로 주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보다 작도록 곤포 부재(S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중앙 부분(3b) 내에 주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나머지 부분(3a)에 비해서 중앙 부분(3b)을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폭 방향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된다.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중앙 부분(3b)의 폭은 중앙 부분(3b)에 상응하는 범위에 걸쳐 용착 시임(23)을 확장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중앙 부분(3b)이 이 중앙 부분(3b) 내로 주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물체[카트리지(35)]의 대략 중앙 부분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의 크기는 작다[도19의 (a) 참조]. 곤포 부재(S1)로 곤포되는 물체가 카트리지(35)인 경우, 카트리지(35)의 하우징(35d), 커버(35b), 손잡이부(35c) 등이 위치하는 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은 카트리지(35)의 단부보다 완충 매체 수납부(3) 내의 공기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기가 더 쉽다. 또한, 카트리지(35)의 감광체 드럼(35a) 및 전사 롤러(35e)는 도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35)의 하우징(35d), 커 버(35b) 등의 변형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의 압력이 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나머지 부분(3a)보다 더 좁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부분(3b)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곤포 부재(S1)는 곤포 부재(S1)가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기 전에 완충 매체 수납부(3)의 좁은 중앙 부분(3b)이 곤포 부재(S1)에 의해 곤포되는 물체[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과 정렬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35)의 감광체 드럼(35a)의 축선 방향에 대해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이 수직한 곤포 부재(S2)의 경우, 감광체 드럼(35a)의 축선 방향에서의 위치적으로 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에 상응하는 곤포 부재(S2)의 영역 내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곤포 부재(S2)의 전후방측을 라인(26)(용착 시임)을 따라 서로 열용착함으로써 역지 밸브(28)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이 곤포 부재(S2)의 부분(25)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곤포 부재(S2)를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22의 (b)는 도19의 (b)에서와 같이 변형된 하우징(35d) 및 커버(35b)를 갖는 카트리지(35)를 나타내고 있다]. 도22의 (a)는, 카트리지(35)가 곤포 부재(S2)로 곤포될 때, 공기가 주입되지 않을 수 있는 곤포 부재(S2)의 완충 매체 수납부(25)가 카트리지(35)의 손잡이부(35c)에 대해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35)의 길이 방향에서의 물체[ 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에 위치적으로 상응하는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곤포 부재(S1)의 완충 매체 수납부(3) 각각의 폭은 완충 매체 수납부(3)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걸쳐 감소되거나, 또는 카트리지(35)의 중앙 부분에 위치적으로 상응하는 곤포 부재(S2)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성은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돌기(44 및 47)를 구비한 물체[카트리지(35)]가 곤포 부재(S)에 의해 곤포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곤포 부재(S)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물체[카트리지(35)]의 돌기(44 및 47)에 상응하는 부분에 걸친 폭에 있어서 감소되거나, 곤포 부재(S)의 완충 매체 수납부(3)는 물체[카트리지(35)]의 돌기(44 및 47)에 상응하는 부분에 걸쳐 차단됨으로써, 완충 매체 수납부(3)가 돌기(44 및 47)에 의해 손상되어 내부의 공기가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곤포 부재(S)(S1 및 S2)는 곤포 부재(S)(S1 및 S2)에 의해 곤포되는 물체로서 카트리지(35)를 참조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곤포 부재(S)는 예컨대,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카메라, 프린터의 본체, 비디오 카메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정착 유닛 등의 카트리지(35) 이외의 물체를 곤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곤포 부재(S)용 가요성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 이외에, 종이 필름, 금속 필름 등일 수도 있다.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
물체를 곤포하기 위한 팽창 가능한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가능한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은,
2개의 가요성 시트, 즉 플라스틱 필름(1) 및 플라스틱 필름(2)을 중첩하기 위한 시트 중첩 단계와,
완충 매체를 유지하기 위한 완충 매체 수납부(3)를 형성하도록, 중첩된 제1 및 제2 필름을 복수개의 평행한 라인[용착 시임(9 및 10)]을 따라 서로 열용착하기 위한 완충 매체 수납부 형성 단계와,
완충 매체 수납부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곤포 부재(S)의 길이 방향 단부 중의 일단부의 근방에서 라인(6)(용착 시임)을 따라 시트 중첩 단계에서 중첩된 플라스틱 필름(1 및 2)을 서로 열용착하기 위한 완충 매체 수납부 밀봉 단계와,
열용착된 단부에 대향하는 완충 매체 수납부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에, 완충 매체 수납부로 향하는 완충 매체는 통과시키는 한편, 완충 매체 수납부 내의 완충 매체가 역류하는 것은 방지하는 역지 밸브를 부착하기 위한 역지 밸브 부착 단계와,
각각 완충 매체 수납부로 완충 매체를 도입하는 도입부(5)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열용착된 길이 방향 단부에 대향하는 곤포 부재(S)의 길이 방향 단부에 라인(9 및 10)(용착 시임)으로부터 연장하는 라인에서 시트 중첩 단계에서 중첩된 플라스틱 필름(1 및 2)을 열용착하며, 또한 역지 밸브(4)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3)로부터 도입부(5)로 역류하는 완충 매체의 부분이 도입부(5)를 통해 곤포 부재(S)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곤포 부재(S)를 밀봉하기 위해, 완충 매체 수납부로의 완충 매체의 주입 후에, 도입부를 통해 역지 밸브(4)를 향해 완충 매체가 도입되는 방향에서의 역지 밸브(4)의 상류측에 곤포 부재(S)로 밀봉되는 영역(8)을 형성하기 위한 도입부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곤포 부재(S)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곤포 부재(S)의 길이 방향 모서리가 롤의 길이 방향 모서리에 수직하게 되고 곤포 부재(S)의 폭 방향 모서리가 롤의 길이 방향 모서리에 평행하게 되도록, 자체의 길이방향 모서리들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곤포 부재(S)를 갖는 롤의 형태로 되어 있다.
곤포 부재(S)를 위한 상기 제조 방법은, 곤포 부재(S1)의 폭 방향 모서리에 수직한 방향, 즉, 곤포 부재(S1)의 롤의 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곤포 부재(S1)의 롤을 절단함으로써 소정 개수의 곤포 부재(S1)를 포함하는 곤포 유닛을 얻을 수 있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은, 절단 공정 후에 곤포 부재(S1)의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곤포 유닛을 절첩하기 위한 절첩 공정과, 긴 모서리 또는 짧은 모서리[용착 시임(12 및 13)]를 따라 곤포 유닛의 2개의 반부를 서로 용접하여, 모서리들 중의 한 모서리에 걸쳐 개방된 주머니로 곤포 유닛을 형성하는 주머니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주머니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주머니에 물체를 수납하기 위한 물체 수납 공정과, 상기 물체 수납 공정의 후에 도입부를 통해 완충 매체 수납부 내로 완충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완충 매체 주입 공정과, 상기 완충 매체 주입 공정 후에 밀봉 영역(48)을 가로질러 곤포 유닛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공정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곤포 부재 제조 방법의 경우에는, 중첩된 플라스틱 필름(1 및 2)이 소정의 라인(용착 시임)을 따라 열용착에 의해 서로 부착되었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1 및 2)을 접착하기 위한 방법은 열용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두 개의 필름(1 및 2)이 소정의 라인을 따라 밀봉될 수 있는 한 어떠한 수단도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곤포 부재(S) 내의 완충 매체가 환경 변화 등에 의해 곤포 부재(S)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물체를 곤포 부재(S)에 의해 확실하게 곤포할 수 있다. 또한, 피곤포물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곤포 부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곤포 부재(S)는 최종 목적지까지 곤포 부재(S)가 운반된 이후에 완충 매체로 주입될 수 있어, 운반 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곤포 부재(S)는 피곤포물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곤포 부재 내의 완충 매체가 환경 변화 등에 의해 역지 밸브를 역류하더라도, 곤포 부재의 외부로 누설하지 않아, 물체를 안전하게 곤포된 상태로, 즉,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곤포 부재의 길이 방향과 완충 매체가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방향은 완충 매체가 역지 밸브를 통과하는 방향과 대략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곤포 부재는 곤포 부재의 완충 매체 수납부에 완충 매체를 주입할 수 있는 효율에 있어서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곤포 부재는 최종 목적지까지 곤포 부재가 운반된 이후에 완충 매체로 주입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효율에 있어서 뛰어나다.
비록 본 발명을 전술한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변형이나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29)

  1.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이며,
    어레이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매체 수납부(3, 24)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제공되어,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향하는 매체는 통과시키고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서 역류하는 매체는 규제하는 역지 밸브(4, 28)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개별적으로 제공되어,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상기 역지 밸브(4, 28)를 거쳐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매체를 도입하는 도입부(5)와,
    상기 도입부(5)로부터 상기 역지 밸브(4, 28)로의 매체의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지 밸브(4, 28)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 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도입부(5)를 밀봉함으로써 매체가 각각의 상기 도입부(5) 내에 유지되도록 밀봉되는 밀봉 영역(48, 50, 51)을 포함하는 곤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는 긴 형상이고,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의 길이 방향은 매체가 상기 역지 밸브(4, 28)를 통과하는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곤포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입부(5)는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매체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11)를 갖고, 상기 주입구로의 매체의 도입 방향은 매체가 상기 역지 밸브(4, 28)를 거쳐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로 통과하는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곤포 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입부(5)가 대체로 동일한 용적을 가지도록 상기 밀봉 영역(48, 50, 51)이 배치되는 곤포 부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입부(5)는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단부에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매체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11)를 갖고, 상기 주입구(11)의 폭은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입부(5)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상기 도입부(5)와 상기 역지 밸브(4, 28) 사이의 접속부의 폭보다 좁으며, 상기 주입구(11)는 서로 인접하는 곤포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는, 매체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수납된 후에 상기 피곤포물에 인가된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매체 수납부(3, 2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측정된 폭이 좁은 영역을 상기 매체 수납부(3, 24)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가지는 곤포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곤포물을 상기 곤포 부재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개구(21)를 형성하고 매체를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부터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들을 형성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곤포 부재.
  9. 어레이의 형태로 배열된 매체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매체 수납부(3, 24)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제공되어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향하는 매체는 통과시키고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서 역류하는 매체는 규제하는 역지 밸브(4, 28)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상기 역지 밸브(4, 28)를 거쳐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매체를 도입하는 도입부(5)를 포함하는 곤포 부재를 이용하여,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이며,
    상기 곤포 부재에 피곤포물을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수납하는 단계 후에,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개별적으로 제공된 상기 도입부(5)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 내로 매체를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도입부(5)로부터 상기 역지 밸브(4, 28)로의 매체의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지 밸브(4, 28)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 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도입부(5)를 밀봉하는 밀봉영역(48, 50, 51)을 밀봉함으로써, 밀봉 영역(48, 50, 51)이 각각의 상기 도입부(5) 내에 매체가 유지되도록 밀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입부(5)는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매체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11)를 갖고, 상기 매체 도입 단계에서 상기 주입구(11)로의 매체의 도입 방향은 매체가 역지 밸브(4, 28)를 거쳐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통과하는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입부(5)가 대체로 동일한 용적을 가지도록 상기 밀봉 영역(48, 50, 51)이 배치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13.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입부(5)는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에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부터 매체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11)를 갖고, 상기 주입구(11)의 폭은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입부(5)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상기 도입부(5)와 상기 역지 밸브(4, 28) 사이의 접속부의 폭보다 좁으며, 상기 주입구(11)는 서로 인접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가요성 시트(1, 2)를 중첩하는 단계와,
    어레이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매체 수납부(3, 24)를 제공하기 위해 시트들이 중첩되는 동안에 복수개의 위치에서 시트를 밀봉하는 매체 수납부 형성 단계와,
    상기 매체 수납부 형성 단계에 의해 밀봉된 시트(1, 2)를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밀봉하는 매체 수납부 밀봉 단계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제공되어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향하는 매체의 유동을 허용하고 역류하는 매체의 유동은 규제하는 역지 밸브(4, 28)를, 상기 매체 수납부 형성 단계에 의해 밀봉된 상기 곤포 부재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설치하는 역지 밸브 설치 단계와,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에 개별적으로 제공되어 각각의 매체 수납부(3, 24)로 매체를 도입하는 도입부(5)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 방향의 일단에 상기 중첩하는 단계에 의해 중첩된 가요성 시트(1, 2)를 밀봉하는 도입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곤포 부재는, 상기 도입부(5)로부터 상기 역지 밸브(4, 28)로의 매체의 도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지 밸브(4, 28)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곤포 부재의 외부로 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도입부(5)를 밀봉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도입부(5) 내에 매체가 유지되도록 밀봉되는 밀봉 영역(48, 50, 51)을 포함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곤포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롤 형상으로 준비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곤포 부재를 준비하기 위해 롤을 롤의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K1)를 더 포함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단계에 의해 롤로부터 절단된 절단 곤포 부재를 절단 곤포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절첩하는 절첩 단계(도4)와, 절첩된 곤포 부재를 모서리를 일개소 남기고 밀봉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는 주머니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형성 단계에 의해 형성된 주머니에 피곤포물을 수납하는 피곤포물 수납 단계와,
    상기 피곤포물 수납 단계 후에, 상기 도입부(5)를 거쳐 각각의 상기 매체 수납부(3, 24)로 매체를 도입하는 매체 도입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곤포물 수납 단계와 상기 매체 도입 단계 후에, 상기 밀봉 영역(48, 50, 51)이 밀봉되는,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 부재의 제조 방법.
  23.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곤포 부재에 의해 곤포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유닛.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주머니로 형성된 상기 곤포 부재로 포장되는 유닛.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인 유닛.
KR1020030101075A 2003-05-19 2003-12-31 곤포 방법, 곤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4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0351 2003-05-19
JP2003140351A JP3639834B2 (ja) 2003-05-19 2003-05-19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34A KR20040100834A (ko) 2004-12-02
KR100644308B1 true KR100644308B1 (ko) 2006-11-13

Family

ID=3309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075A KR100644308B1 (ko) 2003-05-19 2003-12-31 곤포 방법, 곤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7128211B2 (ko)
EP (1) EP1479618B1 (ko)
JP (1) JP3639834B2 (ko)
KR (1) KR100644308B1 (ko)
CN (1) CN1318274C (ko)
DE (1) DE603077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4281B2 (en) * 2002-09-04 2008-07-29 Sun A. Kaken Co., Ltd. Cushioning packaging body containing packaged articl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packaging body
US7897219B2 (en) 2004-06-01 2011-03-01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Web and method for making fluid filled units
HUE032732T2 (en) 2004-06-01 2017-10-30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Machine for producing fluid filled units
KR100716164B1 (ko) * 2004-08-2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포장 용기
JP4750474B2 (ja) * 2005-05-27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梱包する梱包方法
US7770731B2 (en) * 2005-06-09 2010-08-10 Bo Xin Jian Apparatus using air cylinders as cushioning medium
TWM278659U (en) * 2005-06-09 2005-10-21 Bo-Shin Jian Damper device for air column piece
US7410057B2 (en) * 2005-09-07 2008-08-12 Air-Paq, Inc.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422108B2 (en) * 2005-10-17 2008-09-09 Air-Paq, Inc.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20070175522A1 (en) * 2006-01-30 2007-08-02 Cheng-Yung Chen Check valves of multiple-layer films
TW200800744A (en) * 2006-06-23 2008-01-01 Yao-Sin Liao Folding style air buffer device
TWM306997U (en) * 2006-09-22 2007-03-01 Yao-Sin Liao Buffering package for heterogeneous compound substrate
TW200815249A (en) * 2006-09-29 2008-04-01 Yao-Sin Liao Air enclosure with strengthened air-tightness function
TW200823116A (en) * 2006-11-17 2008-06-01 Yao-Sin Liao Air enclosure with independent double-layer air chambers
TW200827253A (en) 2006-12-29 2008-07-01 Chieh-Hua Liao Block reinforced air enclosure and manufacture thereof
US20080175522A1 (en) * 2007-01-18 2008-07-24 Chin-Hsin Chuang Packing bag having a drawing structure
TW200848328A (en) * 2007-06-04 2008-12-16 Chieh-Hua Liao Air packing bag for tightly hold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0900333A (en) 2007-06-22 2009-01-01 Chieh-Hua Liao Vacuum sucking and binding air packaging bag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CN101357705B (zh) * 2007-08-03 2010-06-23 廖耀鑫 逆向止气阀及带有该逆向止气阀的空气密封装置
WO2009058749A1 (en) 2007-10-31 2009-05-07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Web and method for making fluid filled units
CN101462622B (zh) * 2007-12-19 2011-05-25 廖建华 可转折的多段缓冲包装套袋及装有该包装套袋的包装箱
US20090169134A1 (en) * 2008-01-02 2009-07-02 Yi-Chen Hsu Hand-carrying bag with cushioning protection
CN102556503B (zh) * 2008-03-31 2014-09-10 上海艾尔贝包装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空气包装装置及其生产方法
CN102556502B (zh) * 2008-03-31 2014-03-19 上海尼禄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空气包装装置及其生产方法
CN102514830B (zh) * 2008-03-31 2014-08-06 上海艾尔贝包装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空气包装装置及其生产方法
CN101549774B (zh) * 2008-03-31 2013-09-18 上海尼禄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空气包装装置及其生产方法
JP2010070232A (ja) * 2008-09-19 2010-04-02 Canon Inc 梱包部材
US9004758B2 (en) * 2008-10-22 2015-04-14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structure for packag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US8272510B2 (en) 2008-10-22 2012-09-25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structure for packag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US9085405B2 (en) 2008-10-22 2015-07-21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structure for packag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8468779B2 (en) * 2009-05-05 2013-06-25 Sealed Air Corporation (Us)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inflating, and sealing a mailer comprising an inner inflatable liner
US8745960B2 (en) * 2009-05-05 2014-06-10 Sealed Air Corporation (Us)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ting and sealing an inflatable mailer
CN102107749A (zh) * 2009-12-29 2011-06-29 阿尔派株式会社 捆包用袋体
US9623622B2 (en) 2010-02-24 2017-04-18 Michael Baines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TWI399325B (zh) 2010-07-27 2013-06-21 Naturally open the air valve of the air seal
CN102398729B (zh) * 2010-09-16 2013-09-25 廖国雄 自然开启气阀的空气密封体及其制造方法
US9010075B2 (en) * 2011-03-31 2015-04-21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gas packaging
US20140130461A1 (en) * 2011-06-22 2014-05-15 Pronova Ab Device for producing shock-absorbing inflatable package and method for filling it
MX341459B (es) 2011-07-07 2016-08-19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Máquina para inflar cojines de aire.
CN102897417B (zh) * 2011-07-27 2014-12-24 廖耀鑫 具头部平整且可重复装填的气袋
US8936156B1 (en) * 2012-04-05 2015-01-20 Inflatable Packaging, Inc.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with product suspension pocket
JP2014081404A (ja) * 2012-10-12 2014-05-08 Canon Inc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6112783B2 (ja) 2012-06-08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CN104349992A (zh) 2012-06-08 2015-02-11 佳能株式会社 包装构件和包装在包装构件中的盒
JP6144884B2 (ja) * 2012-08-21 2017-06-07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用インキカートリッジ収納箱
JP6108728B2 (ja) 2012-08-31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US8978693B2 (en) 2013-01-28 2015-03-17 Windcatcher Technology LLC Inflation valve allowing for rapid inflation and deflation of an inflatable object
KR20150130271A (ko) 2013-03-15 2015-11-23 오토메이티드 패키징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주문형 팽창식 포장
US9969136B2 (en) 2013-04-19 2018-05-15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pouches
JP2014237472A (ja) 2013-06-07 2014-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US9321236B2 (en) 2013-06-25 2016-04-26 Sealed Air Corporation (Us) Automated inflation device
JP2016537275A (ja) 2013-11-21 2016-12-01 オートメイテッド パッケージ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クッション膨張機械
US11858712B2 (en) 2014-04-14 2024-01-02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Flexible structure with perforation-free inflation channel
EP2977820B1 (en) 2014-07-25 2021-02-17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22451B2 (ja) 2014-09-30 2019-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
JP6330617B2 (ja) 2014-10-21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24671B2 (ja) 2015-01-21 2019-06-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緩衝部材
JP6375961B2 (ja) 2015-01-21 2018-08-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梱包部材
ES2678995T3 (es) * 2015-03-13 2018-08-21 Ecolean Ab Equipo y método para llenar un envase del tipo de bolsa
US10946606B2 (en) * 2015-10-20 2021-03-16 Sealed Air Corporation (Us) Machine for manufacturing inflated cushioning products
JP2019503306A (ja) * 2015-12-21 2019-02-07 オートメイテッド パッケージ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ンデマンドの膨張可能包装
CN106003840A (zh) * 2016-06-23 2016-10-12 王兴明 无耐热层设计的充气气囊及其制造方法
KR101772821B1 (ko) * 2016-09-13 2017-08-29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KR101752101B1 (ko) * 2016-09-13 2017-06-30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MX2019003741A (es) * 2016-09-30 2019-10-15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Embalaje protector conectivo.
EP3529067B1 (en) * 2016-10-24 2021-02-24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pouches with reduced exterior distortions
JP6570099B2 (ja) * 2017-06-06 2019-09-04 株式会社ニチワ 梱包資材と梱包袋と梱包方法
WO2018236687A1 (en) 2017-06-19 2018-12-27 Sealed Air Corporation (Us) PADDED PACKAGING OF OBJECT PROTECTION
US10717583B2 (en) 2017-09-29 2020-07-21 Amazon Technologies, Inc. Packaging products and associated material
US10967995B1 (en) * 2018-03-13 2021-04-06 Amazon Technologies, Inc. Inflatable packaging materials, automated packag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20003368A1 (ja) * 2018-06-26 2020-01-02 日本包装機械株式会社 包装体と包装体の製造方法
US11338980B2 (en) * 2018-07-20 2022-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flexible shipping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CN109178646B (zh) * 2018-07-28 2019-10-29 朱飞龙 一种保护物品输送的气柱卷
CN108910293B (zh) * 2018-07-28 2019-08-30 徐欢 一种用于物品全方位保护的气柱卷
US11078001B2 (en) * 2018-08-14 2021-08-03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Inflatable packaging with tear initiation feature
US11130620B1 (en) 2018-09-28 2021-09-28 Amazon Technologies, Inc. Cushioned packaging materials, cushioned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11084637B1 (en) 2018-09-28 2021-08-10 Amazon Technologies, Inc. Cushioned packaging materials, cushioned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CN109515983B (zh) * 2018-11-02 2020-04-28 昆山亚比斯环保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缩肩式包装袋
US11584581B2 (en) 2019-01-17 2023-02-21 Konica Minolta, Inc. Cushion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shioning member
JP7326819B2 (ja) * 2019-04-02 2023-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緩衝部材及び緩衝部材形成材
DE102019004313A1 (de) * 2019-06-19 2020-12-24 Rainer Gmbh Luftkissen als Verpackungsschutz
US11897682B2 (en) 2020-03-13 2024-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package
JP2021189333A (ja) 2020-06-01 2021-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858713B2 (en) 2020-10-30 2024-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flation feature for package, inflation rig assembly, and method of inflating
JP7094471B1 (ja) * 2020-12-15 2022-07-01 株式会社ハースト婦人画報社 緩衝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8079C (da) * 1980-05-22 1985-08-26 Gople Pack Ind Marketing Aps Baerepose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saadan
JPH01164142A (ja) 1987-12-19 1989-06-28 Fujitsu Ltd クロック同期方式
US4877334A (en) * 1988-08-29 1989-10-31 Dennis Cope Inflatable bag
US5469966A (en) * 1991-07-05 1995-11-28 Boyer; Geoffrey Inflatable package with valve
US5263587A (en) * 1992-08-31 1993-11-23 Plastic Development, Inc. Inflatable packaging pouch
US5427830A (en) 1992-10-14 1995-06-27 Air Packaging Technologies, Inc. Continuous, inflatable plastic wrapping material
US5454642A (en) * 1993-07-16 1995-10-03 Novus Packaging Corporation Inflatable flat bag packaging cushion and methods of operating and making the same
JPH07165265A (ja) 1993-10-28 1995-06-27 K Jasai Z 緩衝保護装置
JP2626879B2 (ja) * 1994-04-08 1997-07-02 株式会社柏原製袋 緩衝用包装袋
JPH0834478A (ja) 1994-05-18 1996-02-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アバブル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57638B2 (ja) 1995-10-31 1999-02-17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送品用緩衝性包装袋
JPH11242371A (ja) 1997-10-31 1999-09-07 Canon Inc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48296B1 (en) * 1999-05-20 2005-09-27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Dunnage material and process
JP4008700B2 (ja) * 2000-11-30 2007-11-14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緩衝包装袋
MY121480A (en) * 2000-11-30 2006-01-28 Sun A Kaken Co Ltd Buffer packing bag
JP3822473B2 (ja) * 2001-08-22 2006-09-20 株式会社柏原製袋 空気封入緩衝材
KR100556718B1 (ko) * 2002-02-27 2006-03-10 이시자키 시자이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완충기능을 가진 플라스틱필름 포장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28211B2 (en) 2006-10-31
CN1550422A (zh) 2004-12-01
KR20040100834A (ko) 2004-12-02
US7681379B2 (en) 2010-03-23
JP2004338785A (ja) 2004-12-02
DE60307794D1 (de) 2006-10-05
CN1318274C (zh) 2007-05-30
US7311204B2 (en) 2007-12-25
US20040232031A1 (en) 2004-11-25
EP1479618A1 (en) 2004-11-24
US20060191815A1 (en) 2006-08-31
DE60307794T2 (de) 2007-09-13
US20060191817A1 (en) 2006-08-31
EP1479618B1 (en) 2006-08-23
US20060191816A1 (en) 2006-08-31
US7464520B2 (en) 2008-12-16
JP3639834B2 (ja)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308B1 (ko) 곤포 방법, 곤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EP2340218B1 (en) Packing material
US8960437B2 (en) Gas storing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method
JP2005193954A (ja) 事務機器部材及び事務機器用品用の気体バッグ式包材並びに包装方法
US20080063315A1 (en) Air enclosurewith multilayer different kinds of substrates
JP4004267B2 (ja) 緩衝包装袋および包装構造
JP4334536B2 (ja)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JP5498801B2 (ja) エアパッキング部材、エアパッキング付き梱包箱および、エアパッキングシステム
JP2006248540A (ja) 梱包物の梱包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梱包部材
JP2005170415A (ja)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
JP2006117311A (ja) 空気緩衝材
JP47504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梱包する梱包方法
JP3356962B2 (ja) 緩衝用包装材
KR101361004B1 (ko) 포장외피 일체형 완충용 포장팩
JP4167171B2 (ja) 梱包体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保持構造
JP2003137352A (ja) 緩衝包装袋
JP2592566Y2 (ja) 緩衝用包装材
JP3166166U (ja) 遊技台用梱包搬送具
JP4397430B2 (ja) 梱包部材
JP2023140394A (ja) 梱包材とシート状弁体取出方法とエアー注入方法とエアー充填式緩衝袋体
JP2006290358A (ja) エアー・ダンネージバック
KR20090007962U (ko) 안전 포장기능을 갖는 튜브형 포장부재
JP2009166905A (ja) 気体収納方法
JPH068269U (ja) 緩衝用包装材
JP2015093719A (ja) 空気セル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