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952B1 -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952B1
KR100642952B1 KR1020007014224A KR20007014224A KR100642952B1 KR 100642952 B1 KR100642952 B1 KR 100642952B1 KR 1020007014224 A KR1020007014224 A KR 1020007014224A KR 20007014224 A KR20007014224 A KR 20007014224A KR 100642952 B1 KR100642952 B1 KR 10064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l
weight
parts
elastic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4909A (ko
Inventor
미와데쯔야
가네꼬다께오
사이또마사유끼
나까무라준이찌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889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07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5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71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897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81856A/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0Phosphorus bound to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불화 비닐리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0.5 ∼ 15 몰 % 로 적은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폴리올 가황성이 양호하며, 내열성, 내오일성이 우수한 가황물을 부여하는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이 조성물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5 ∼ 65 몰 %)/프로필렌 (20 ∼ 50 몰 %)/불화 비닐리덴 (0.5 ∼ 15 몰 %) 계 공중합체,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또는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수산화물, 필요에 따라 아민 화합물을 함유한다.

Description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CROSSLINKABLE ELASTIC COPOLY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올 가황성이 양호하고, 내열성, 내오일성이 양호한 가황물을 얻을 수 있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불화비닐리덴 (이하, VdF 라고함) 이 공중합된 탄성 공중합체가,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가황제로서 사용하면 양호한 금형 이형성을 나타내며, 또 우수한 내열성, 내오일성 및 압축영구변형을 갖는 가황물을 부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탄성 공중합체의 가황물은 오일씰 등의 자동차 부품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엔진오일의 고성능화에 수반하여, 다량으로 아민계 첨가제가 배합된 엔진오일에 대한 내구성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특히,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35 몰 % 이상으로 많은 공중합체, 예를 들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이하, HFP 라고함)-VdF 계 탄성 공중합체, HFP-VdF-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이하, TFE 라고함) 계 탄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가황물은,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부위에 아민계 첨가제가 반응하는 것에 의한 열화의 정도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적은 (예를 들면 15 몰 % 이 하) 공중합체로서, TFE-프로필렌 (이하, P 라고함)-VdF 계 탄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가황물은 내엔진오일성이 우수하다. 유기 4 급 암모늄 황산수소염을 가황촉진제로 사용함으로써,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4 몰 % 로서 적은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에서도 양호한 가황물을 얻을 수 있음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157858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8 몰 % 이하인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는, 10 몰 % 이상으로 많은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가황속도가 저하되어 있다. 실제로, 가황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교적 다량의 유기 4 급 암모늄 황산수소염을 배합하면, 가황물의 내열성 및 내오일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적은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를 함유하여, 폴리올 가황성이 양호하고, 내열성, 내오일성이 우수한 가황물을 부여하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첫째로 다음과 같은 발명이다.
(A) TFE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35 ∼ 65 몰 %, P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20 ∼ 50 몰 %, 및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0.5 ∼ 15 몰 % 의 비율로 함유하는 탄성 공중합체,
(B) 일반식 R1R2R3R4NOH (단, R1 ∼ R4 는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임) 또는 하기식 1 (단, R5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3 ∼ 5 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및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Figure 112000026773379-pct00001
(C)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
(D) 금속산화물 및 금속수산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둘째로 다음과 같은 발명이다.
(A) TFE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35 ∼ 65 몰 %, P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20 ∼ 50 몰 %, 및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0.5 ∼ 15 몰 % 의 비율로 함유하는 탄성 공중합체,
(B) 일반식 R1R2R3R4NOH (단, R1 ∼ R4 는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임) 또는 하기식 1 (단, R5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3 ∼ 5 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및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Figure 112000026773379-pct00002
(C)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D) 금속산화물 및 금속수산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
(E) 식 1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외한 아민 화합물,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A) 성분의 탄성 공중합체의 분자량 지표인 무니 점도 ML1+10(12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통상의 혼련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5 ∼ 1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특히 10 ∼ 1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비율이 0.5 ∼ 15 몰 %, 바람직하게는 0.5 ∼ 10 몰 % 인 (A) 성분은, 내엔진오일성이 극히 양호한 가황물을 부여할 수 있다. TFE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비율이 35 ∼ 65 몰 %, 바람직하게는 45 ∼ 65 몰 % 인 (A) 성분은 양호한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가지고, 프로필렌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비율이 20 ∼ 50 몰 %, 바람직하게는 35 ∼ 50 몰 % 인 (A) 성분은 양호한 내오일성을 갖는 가황물을 부여할 수 있다.
(A) 성분은, 공중합체중에 이(易)가황성 부위로서 불포화결합을 함유할 수도 있고, 또는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A) 성분을 단순히 열처리하는 것 및, 염기성 물질 또는 산성물질의 존재하에서 열처리하는 등에 의해,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로부터 탈 HF 하여 그 중합 단위중에 탄소 - 탄소 불포화결합을 도입할 수 있다. 또, 중합하여 얻어지는 (A) 성분의 수성 분산체를 수산화 칼륨 등의 염기성 물질에 의해 열처리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불포화결합을 도입할 수 있다. 불포화결합을 도입함으로써 (A) 성분의 가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입하는 불포화결합의 양은,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1 ∼ 50 몰 %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미만에서는 가황성 향상의 효과가 적고, 또 이 범위를 넘으면 얻어지는 가황물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A) 성분의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에는, 괴상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등의 각종 중합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래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법, 전리성 방사중합법, 레독스계 중합법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가황촉진제로서 작용하는 (B) 성분은,
일반식 R1R2R3R4NOH (단, R1 ∼ R4 는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임) 또는 하기식 1 (단, R5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3 ∼ 5 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및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 는 1 종 이상이다.
Figure 112000026773379-pct00003
(B) 성분은, 유기 4 급 암모늄 황산수소염보다도 극히 활성이 높아, (B) 성분을 사용하면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적은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에서도 양호한 가황물이 부여된다.
(B) 성분으로는 다음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B) 성분으로서의 상기 일반식 R1R2R3R4NOH 또는 식 1 으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수산화 테트라부틸암모늄,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 테트라에틸암모늄, 수산화 트리옥틸메틸암모늄, 수산화 트리도데실메틸암모늄, 수산화 벤질트리메틸암모늄, 수산화8-벤질-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에늄, 수산화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에늄, 수산화-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에늄, 등.
또, (B) 성분으로서의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B) 성분의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은, 일반식 R6R7R8R9P+ 로 나타내는 유기 4 급 포스포늄 이온을 함유한다. 여기서, R6, R7, R8, R9 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으며,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에틸헥실기, 도데실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벤질기, 메틸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부틸페닐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등과 같은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1 ∼ 20 의 직쇄 또는 분지구조 할로겐화 탄화수소기를 예로 들 수 있다.
(B) 성분에서의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로는, 피롤린류, 모르폴린류, 피롤리딘류, 피롤류, 피라졸류, 피라졸린류, 이미다졸류, 이미다졸린류, 벤조트리아졸류, 벤조이미다졸류, 인돌린류, 인돌류, 이소인돌류, 플린류, 카르바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은 탄화수소기, 할로겐화 탄화수소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및 기타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은 이미다졸류, 벤조이미다졸류, 벤조트리아졸류, 또는 카르바졸류이며, 상기와 같은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B) 성분의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바람직한 예이다.
테트라부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테트라옥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메틸트리옥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부틸트리옥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페닐트리부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벤조트 리아졸레이트, 벤질트리시클로헥실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벤질트리옥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옥틸트리페닐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테트라페닐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트리부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트리옥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등의 벤조트리아졸레이트. 테트라부틸포스포늄벤조이미다졸레이트 등의 벤조이미다졸레이트. 테트라부틸포스포늄이미다졸레이트 등의 이미다졸레이트. 테트라부틸포스포늄카르바졸레이트 등의 카르바졸레이트.
(B) 성분의 사용량은, (A) 성분의 탄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당 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 3 중량부 사용된다.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가황밀도 및 가황물성을 얻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넘으면 스코치(scorch) 현상 등을 일으켜 성형가공에 악영향을 미치며, 또 가황물의 내약품성 등이 저하되기 쉽다. 통상적으로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은 수용액 또는 알콜용액으로 시판되고 있고, 상기 형태로 사용된다.
가황제로서 작용하는 (C) 성분의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는,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2 개 이상 갖는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이 가황활성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알콜성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한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은,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2 개 갖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이다. 구체적인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다음의 것을 바람직하게 예로 들 수 있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약칭: 비스페놀A], 2,2-비스(4-히드록시페닐)퍼플루오로프로판 [약칭: 비스페놀AF], 1,3,5-트리히드록시벤젠, 1,7-디히드록시나프탈렌, 2,7-디히드록시나프탈렌, 1,6-디히드록시나프탈렌, 4,4'-디히드록시비페닐, 카데코올, p,p'-디히드록시스틸벤, 2,6-디히드록시안트라센, 하이드로퀴논,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테트라플루오로디클로로프로판,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4,4'-디히드록시디페닐케톤, 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2,2,3,3,4,4-헥사플루오로펜탄-1,5-디올,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또, 가황제로서 작용하는 (C) 성분의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유도체로는,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알카리 금속의 염, 알카리 토류금속의 염, 및 (B) 성분인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과의 염이 바람직하게 함유된다.
또, (C) 성분으로,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 (C)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되고, 이 사용량은 (A) 성분의 탄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부이다. 너무 적으면 충분한 가교밀도를 얻기 힘들고, 너무 많아도 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수산제(受酸劑) 로서 작용하는 (D) 성분의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수산화물로는, 마그네슘, 칼슘, 납, 아연 등의 2 가 금속산화물 또는 이들 2 가 금속의 수산화물 및 수산화 리튬 등을 들 수 있다. (D) 성분의 사용량은, (A) 성분의 탄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 30 중량부이고, 이들 은 2 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가황속도의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E) 성분의 아민 화합물 (상기 식 1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외함) 로는,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엔,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6-디부틸아미노-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엔,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E) 성분의 사용량은, (A) 성분의 탄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0.01 ∼ 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0.05 ∼ 1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2 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고무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카본블랙, 화인실리카, 클레이, 탈크 등의 보강제, 기타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가공보조제, 내부이형제 등을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성분, (E) 성분 및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B) 성분과 (C)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혼합은, 종래부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혼련용 롤, 니더, 밤바리믹서(banbury mixer),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혼합시의 작업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30 ∼ 130 ℃ 정도의 온도에서 약 1 ∼ 60 분간 혼련함으로써, 첨가배합물을 탄성 공중합체 중에 분산할 수 있다. 이들 첨가배합물을 적당하게 용매중에 용해분산하여, 현탁 용액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또, 혼합을 처음부터 매체중에서 행하는, 소위 웨트 혼합도 가능하다. 이 경우, 롤, 볼밀, 호모디나이저 등의 혼합기를 사용함으로써 용액 형태의 조성물 을 얻을 수 있다. 또, 중합하여 얻어지는 (A) 성분의 수성 분산액에 (B)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B) 성분 등을 분산할 수 있다. 또, 혼합시의 작업조건은, 사용원료 및 배합물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최적 조건을 선정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금형성형 및 사출성형 외에, 압출성형, 트랜스퍼성형, 롤코트, 브러시 도장(塗裝), 함침 등의 연속 성형가공법에 의해, 시트, 파이프, 로드, 튜브, 앵글, 채널, 인포, 도포판 등의 성형물 등으로 성형가공될 수 있다. 또, 기타 각종 성형가공법에 따라 이형품, 특수성형품, 예를 들면 스폰지형태 고무 등으로도 성형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성형가공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후술하는 가황작업에 의해 가황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가황물인 고무 제품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가황하는 조작은, 종래로부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작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금형중에서 가압하면서 가열하는 조작이 채용되거나, 또는 압출하여 캘린더롤 또는 사출성형 등으로 성형한 다음, 가열로 등에서 가열하는 조작을 채용할 수 있다. 가황조건은, 배합 및 성형조건 등에 따라 최적 조건을 선정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황온도는 통상 100 ∼ 4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 ∼ 200 ℃ 정도, 또 가황시간은 30 초 정도 ∼ 수시간의 범위이다. 또, 얻어지는 가황물을 이차 가황할 수도 있다. 이차 가황에 의해 물성이 향상되는 경우도 있다. 이차 가황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품의 형상 및 크기 등에 의해 적절히 선정되며, 150 ∼ 250 ℃, 바람직하게는 180 ∼ 230 ℃, 2 ∼ 25 시간 정도이다.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량이 적은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는, 상기 (B) 성분인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또는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을 가황촉진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또 상기 (E) 성분의 아민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폴리올 가황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또, 얻어지는 가황물은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 함량이 적기 때문에 내열성, 내오일성이 우수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1 ∼ 6 은 실시예를, 예 7 ∼ 10 은 비교예를 나타낸다. 표 1 ,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배합한 재료를 2 개의 롤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의 가황특성에 대해 오실레이팅·디스클레오메타 (도요세이끼 제조) 를 사용하여 170 ℃, 24 분간에서 최소 토크 (ML), 최대 토크 (MH) 및 최대 토크치의 90 % 토크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tc(90) 을 측정했다. 또, 이 조성물을 170 ℃ 에서 20 분간 프레스 가황한 다음, 오븐 안 230 ℃ 에서 24 시간 이차 가황했다.
얻어진 가황물을 JIS-K 6301 에 따라, 상태물성, 내열성 (230 ℃ 에서 70 hr) 및 내오일성 (175 ℃ 에서 70 hr) 을 측정했다. 내오일성의 측정에는, SH 급 엔진오일 (도요타지도우샤 제조, 캣슬모터오일클린 SH) 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3, 표 4 에 나타낸다. 표 중 「*」은 가황시트가 얻어지지 않았음을 나 타낸다.
표 1, 표 2 의 약호 등은 표 5 에 나타낸다. 또, 사용한 각 탄성 공중합체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한 것으로, 이들 각 단량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유비율 (몰 %), 무니 점도 ML1+10 (121℃) 도 표 5 에 나타낸다. (A) 성분의 각 단량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조성은 19F-NMR 및 1H-NMR 에 의해 구했다. 또, 탄성 공중합체 5 중의 불포화결합은, 적외분석에서의 파수 3120 ㎝-1, 1722 ㎝-1 의 흡수로부터 존재가 인정되었다.
단위:중량부 예 1 예 2 예 3 예 4 예 5 예 6
탄성 공중합체 1 100
탄성 공중합체 2 100
탄성 공중합체 3 100 100
탄성 공중합체 4 100
탄성 공중합체 5 100
MT 카본블랙 25 25 25 25 25 25
쿄와머그 150 3 3 3 3 3 3
카르비트 3 3 3 3 3 3
비스페놀 AF 1.5 1.5 1.5 1.5 1.5 1.5
TBAOH 0.5 0.5 0.9 1.2 1
BTMAOH 1
단위:중량부 예 7 예 8 예 9 예 10
탄성 공중합체 3 100 100
탄성 공중합체 4 100 100
MT 카본블랙 25 25 25 25
쿄와머그 150 3 3 3 3
카르비트 3 3 3 3
비스페놀 AF 1.5 1.5 1.5 1.5
TBAHS 0.7 1.3 1.3
TOMAHS 2
예 1 예 2 예 3 예 4 예 5 예 6
가황특성 (170℃ ×24분) 7 7 8 7 8 7
ML (kg·㎝)
MH (kg·㎝) 45 45 46 39 44 48
tc (90) (분) 6.2 7.2 7.1 7.7 7.2 7.3
상태물성 72 72 73 73 73 73
경도 (JIS-A)
100 % 모듈러스 (kg·f/㎝2) 65 70 73 48 77 80
인장강도 (kg·f/㎝2) 180 175 183 160 175 188
신장 (%) 270 250 223 280 230 215
압축영구변형 (%, 200℃×70hr) 22 23 25 27 27 22
내열성 (230℃×70hr) +2 +1 +2 +1 +1 +1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4 +7 +3 +11 +2 +5
신장변화율 (%) -11 -8 -6 -10 -9 -8
내오일성 (175℃×70hr) -2 -1 -1 0 -1 -1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10 -8 -2 -5 -5 -3
신장변화율 (%) -12 -8 -3 +5 +2 0
부피변화율 (%) +3 +3 +5 +6 +5 +5
예 7 예 8 예 9 예 10
가황특성 (170℃ ×24분) 5 7 7 5
ML (kg·㎝)
MH (kg·㎝) 35 40 12 18
tc (90) (분) 15.8 7.7 22.5 21.5
상태물성 75 77 * 68
경도 (JIS-A)
100 % 모듈러스 (kg·f/㎝2) 48 68 35
인장강도 (kg·f/㎝2) 161 173 121
신장 (%) 230 210 380
압축영구변형 (%, 200℃×70hr) 24 28 55
내열성 (230℃×70hr) +4 +6 +7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18 +10 +40
신장변화율 (%) -15 -28 -42
내오일성 (175℃×70hr) 0 +3 +6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5 +15 +37
신장변화율 (%) -8 -20 -46
부피변화율 (%) +6 +6 +8
탄성 공중합체 1 VdF/TFE/P = 15/50/35, (ML1+10 = 60)
탄성 공중합체 2 VdF/TFE/P = 10/55/35, (ML1+10 = 52)
탄성 공중합체 3 VdF/TFE/P = 4/52/44, (ML1+10 = 44)
탄성 공중합체 4 VdF/TFE/P = 1/54/45, (ML1+10 = 35)
탄성 공중합체 5 탄성 공중합체 4 에 불포화결합을 도입한 공중합체 (ML1+10 = 40)
쿄와머그 150 산화마그네슘 (쿄와가가꾸고우교 제조)
카르비트 수산화칼슘 (긴에가가꾸 제조)
TBAOH 수산화테트라부틸암모늄 (40 % 농도의 메탄올 용액으로 하여 사용), 표중의 부수는 수산화 테트라부틸암모늄 고형분으로서 환산
BTMAOH 수산화벤질트리메틸암모늄 (40 % 농도의 메탄올 용액으로 하여 사용), 표중의 부수는 수산화벤질트리메틸암모늄 고형분으로서 환산
TBAHS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TOMAHS 황산수소트리옥틸메틸암모늄
예 11 ∼ 17 은 실시예를, 예 18 ∼ 21 은 비교예를 나타낸다. 표 6, 표 7 에 나타내는 조성 (중량부) 으로 배합한 재료를 2 개의 롤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에 대해서, 오실레이팅·디스클레오메타 (도요세이끼 제조) 를 사용하여, 가황특성, 즉 170 ℃, 24 분간에서 최소 토크 (ML), 최대 토크 (MH) 및 최대 토크치의 90 % 토크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tc(90) 을 측정했다. 또, 이 조성물을 170 ℃ 에서 20 분간 프레스 가황한 다음, 오븐 안 230 ℃ 에서 24 시간 이차 가황했다. 예 20 에서는 170 ℃ 에서 20 분간 프레스 가황하여도 가황시트를 얻을 수 없었다.
얻어진 가황물을 JIS-K 6301 에 따라, 상태물성, 압축영구변형 (200 ℃, 70 시간), 내열성 (230 ℃, 70 시간) 및 내오일성 (시료를 오일중에 175 ℃, 70 시간 침지) 을 측정했다. 내오일성의 측정에는 SH 급 엔진오일 (도요타지도우샤 제조, 캣슬모터오일클린 SH) 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8, 표 9 에 나타낸다.
표 6, 표 7 의 약호 등은 표 10 에 나타낸다. 또, 사용한 각 탄성 공중합체는 유화 중합에 의해 얻은 것으로, 이들 각 단량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유비율 (몰 %), 무니 점도 ML1+10 (121℃) 를 표 10 에 나타낸다. (A) 성분의 각 단량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조성은 19F-NMR 및 1H-NMR 에 의해 구했다. 또, 탄성 공중합체 (d) 를 290 ℃ 에서 1 시간 열처리하여 얻어진 탄성 공중합체 (e) 중의 불포화결합은, 적외분석에서의 파수 3120 ㎝-1, 1722 ㎝-1 의 흡수로부터 존재가 인정되었다.
단위:중량부 예 11 예 12 예 13 예 14 예 15 예 16
탄성 공중합체 (a) 100
탄성 공중합체 (b) 100
탄성 공중합체 (c) 100 100
탄성 공중합체 (d) 100
탄성 공중합체 (e) 100
MT 카본블랙 25 25 25 25 25 25
쿄와머그 150 3 3 3 3 3 3
카르비트 3 3 3 3 3 3
비스페놀 AF 1.5 1.5 1.5 1.5 1.5 1.5
TBAOH 0.5 0.5 0.9 1.2 1
BTMAOH 1
DBU 0.1 0.1 0.1 0.1 0.1 0.1
단위:중량부 예 17 예 18 예 19 예 20 예 21
탄성 공중합체 (c) 100 100 100
탄성 공중합체 (d) 100 100
MT 카본블랙 25 25 25 25 25
쿄와머그 150 3 3 3 3 3
카르비트 3 3 3 3 3
비스페놀 AF 1.5 1.5 1.5 1.5 1.5
TBAOH 0.9
TBAHS 0.7 1.3 1.3
황산수소트리옥틸메틸암모늄 0.3
DBU 0.3
예 11 예 12 예 13 예 14 예 15 예 16
가황특성 (170℃ ×24분) 7 7 8 8 9 8
ML (kg·㎝)
MH (kg·㎝) 46 47 48 42 46 48
tc (90) (분) 5.0 6.1 5.9 6.4 6.1 6.0
상태물성 73 73 74 74 74 73
경도 (JIS-A)
100 % 모듈러스 (kg·f/㎝2) 70 76 80 59 85 82
인장강도 (kg·f/㎝2) 185 180 185 175 175 180
신장 (%) 250 230 210 265 220 210
압축영구변형 (%, 200℃×70hr) 24 25 26 25 25 24
내열성 (230℃×70hr) +3 +2 +2 +2 +1 +1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2 +7 +5 +10 +8 +7
신장변화율 (%) -14 -10 -8 -12 -7 -5
내오일성 (175℃×70hr) -3 -2 -3 -2 -3 -2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10 -11 -8 -5 -4 -9
신장변화율 (%) -15 -10 +2 -10 +5 +1
부피변화율 (%) +3 +3 +6 +5 +6 +5
예 17 예 18 예 19 예 20 예 21
가황특성 (170℃ ×24분) 9 5 7 7 5
ML (kg·㎝)
MH (kg·㎝) 50 35 40 12 18
tc (90) (분) 5.1 15.8 7.7 22.5 21.5
상태물성 76 75 77 68
경도 (JIS-A)
100 % 모듈러스 (kg·f/㎝2) 90 48 68 35
인장강도 (kg·f/㎝2) 195 161 173 121
신장 (%) 195 230 210 380
압축영구변형 (%, 200℃×70hr) 23 24 28 55
내열성 (230℃×70hr) +2 +4 +6 +7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2 +18 +10 +40
신장변화율 (%) -14 -15 -28 -42
내오일성 (175℃×70hr) -4 0 +3 +6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10 +5 +15 +37
신장변화율 (%) -3 -8 -20 -46
부피변화율 (%) +6 +6 +6 +8
탄성 공중합체 (a) VdF/TFE/P = 15/50/35, (ML1+10 = 60)
탄성 공중합체 (b) VdF/TFE/P = 10/55/35, (ML1+10 = 52)
탄성 공중합체 (c) VdF/TFE/P = 4/52/44, (ML1+10 = 44)
탄성 공중합체 (d) VdF/TFE/P = 1/54/45, (ML1+10 = 35)
탄성 공중합체 (e) 탄성 공중합체 (d) 를 290 ℃ 에서 1 hr 열처리한 것 (ML1+10 = 30)
쿄와머그 150 산화마그네슘 (쿄와가가꾸고우교 제조)
카르비트 수산화칼슘 (긴에가가꾸 제조)
TBAOH 수산화테트라부틸암모늄 (40 % 농도의 메탄올 용액으로 하여 사용), 표중의 부수는 수산화테트라부틸암모늄 고형분으로서 환산
BTMAOH 수산화벤질트리메틸암모늄 (40 % 농도의 메탄올 용액으로 하여 사용), 표중의 부수는 수산화벤질트리메틸암모늄 고형분으로서 환산
TBAHS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엔
예 22 ∼ 28 은 실시예를, 예 29 ∼ 32 은 비교예이다. 표 11 , 표 12 에 나타내는 조성 (단위: 중량부) 으로 배합한 재료를 2 개의 롤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의 가황특성에 대해 오실레이팅·디스클레오메타(도요세이끼 제조) 를 사용하여 170 ℃, 24 분간에서 최소 토크 (ML), 최대 토크 (MH) 및 최대 토크치의 90 % 토크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tc(90) 을 측정했다. 또, 이 조성물을 170 ℃ 에서 20 분간 프레스 가황한 다음, 오븐 안 230 ℃ 에서 24 시간 열처리하여 이차 가황했다.
얻어진 가황물을 JIS-K 6301 에 따라, 상태물성, 내열성 (230 ℃ 에서 70 hr), 내오일성 (175 ℃ 에서 70 hr) 을 측정했다. 내오일성의 측정에는 SH 급 엔진오일 (도요타지도우샤 제조, 캣슬모터오일클린 SH) 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13, 표 14 에 나타낸다. 표 중 「*」은 가황시트가 얻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표 11, 표 12 의 약호 등은 표 15 에 나타낸다. 또, 사용한 각 탄성 공중합체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한 것으로, 이들 각 단량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함유비율 (몰 %), 무니 점도 ML1+10 (121℃) 도 표 15 에 나타낸다. (A) 성분의 각 단량체에 기초한 중합 단위의 조성은 19F-NMR 및 1H-NMR 에 의해 구했다. 또, 탄성 공중합체 (j) 중의 불포화결합은, 적외분석에서의 파수 3120 ㎝-1, 1722 ㎝-1 의 흡수로부터 존재가 인정되었다.
예 22 예 23 예 24 예 25 예 26 예 27 예 28
탄성 공중합체 (f) 100
탄성 공중합체 (g) 100
탄성 공중합체 (h) 100 100 100
탄성 공중합체 (i) 100
탄성 공중합체 (j) 100
MT 카본블랙 25 25 25 25 25 25 25
쿄와머그 150 3 3 3 3 3 3 3
카르비트 6 6 6 6 6 6 6
비스페놀 AF 1.5 1.5 1.5 1.5 1.5 1.5 1.5
TBPBT 0.4 0.3 0.6 1.2 1
TBPBI 0.6
TBPI 0.6
예 29 예 30 예 31 예 32
탄성 공중합체 (i) 100 100
탄성 공중합체 (j) 100 100
MT 카본카본블랙 25 25 25 25
쿄와머그 150 3 3 3 3
카르비트 3 3 3 3
비스페놀 AF 1.5 1.5 1.5 1.5
TBAHS 0.7 1.3 1.3
TOMAHS 2
예 22 예 23 예 24 예 25 예 26 예 27 예 28
가황특성 (170℃ ×24분) 7 7 8 7 7 8 8
ML (kg·㎝)
MH (kg·㎝) 45 45 47 43 43 45 45
tc (90) (분) 6.3 6.8 7.1 7.4 6.2 7.2 6.3
상태물성 71 72 71 69 73 72 71
경도 (JIS-A)
100 % 모듈러스 (kg·f/㎝2) 52 65 61 47 77 65 53
인장강도 (kg·f/㎝2) 184 182 196 175 170 185 185
신장 (%) 257 223 239 250 245 220 210
압축영구변형 (%, 200℃×70hr) 24 24 25 29 27 26 25
내열성 (230℃×70hr) +2 +1 +2 +2 +1 +2 +2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 변화율 (%) -5 -6 -5 -7 -5 -8 -9
신장변화율 (%) -12 -8 -9 -12 -10 -13 -14
내오일성 (175℃×70hr) -3 -4 -3 -2 -2 -2 -3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 변화율 (%) -11 -9 -14 -8 -9 -10 -15
신장변화율 (%) -14 -11 -12 -15 -18 -17 -10
부피변화율 (%) +3 +4 +6 +6 +6 +6 +6
예 29 예 30 예 31 예 32
가황특성 (170℃ ×24분) 5 7 7 5
ML (kg·㎝)
MH (kg·㎝) 35 40 12 18
tc (90) (분) 15.8 7.7 22.5 21.5
상태물성 75 77 * 68
경도 (JIS-A)
100 % 모듈러스 (kg·f/㎝2) 48 68 35
인장강도 (kg·f/㎝2) 161 173 121
신장 (%) 230 210 380
압축영구변형 (%, 200℃×70hr) 24 28 55
내열성 (230℃×70hr) +4 +6 +7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18 +10 +40
신장변화율 (%) -15 -28 -42
내오일성 (175℃×70hr) 0 +3 +6
경도변화 (도)
인장강도변화율 (%) +5 +15 +37
신장변화율 (%) -8 -20 -46
부피변화율 (%) +6 +6 +8
탄성 공중합체 (f) VdF/TFE/P = 15/50/35, ML1+10 = 60
탄성 공중합체 (g) VdF/TFE/P = 10/55/35, ML1+10 = 52
탄성 공중합체 (h) VdF/TFE/P = 4/52/44, ML1+10 = 44
탄성 공중합체 (i) VdF/TFE/P = 1/54/45, ML1+10 = 35
탄성 공중합체 (j) 탄성 공중합체 (i) 에 불포화결합을 도입한 공중합체, ML1+10 = 40
쿄와머그 150 산화 마그네슘 (쿄와가가꾸고우교 제조)
카르비트 수산화칼슘 (긴에가가꾸 제조)
TBPBT 테트라부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50% 수용액으로 사용), 표중의 부수는 테트라부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고형분으로서 환산
TBPBI 테트라부틸포스포늄벤조이미다졸레이트 (50% 수용액으로 사용), 표중의 부수는 테트라부틸포스포늄벤조이미다졸레이트 고형분으로서 환산
TBPI 테트라부틸포스포늄이미다졸레이트 (50% 메탄올용액으로 사용), 표중의 부수는 테트라부틸포스포늄이미다졸레이트 고형분으로서 환산
TOMAHS 황산수소트리옥틸메틸암모늄
TBAHS 황산수소 테트라부틸암모늄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 함량이 적은, TFE-P-VdF 계 탄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양호한 폴리올 가황성을 나타내고, 내열성, 내오일성이 우수한 가 황물을 부여한다. 또, 가황물은 각종 우수한 가황물성을 나타내며,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엔진 주위의 O-링, 가스킷, 씰재, 다이어그램, 튜브, 호스 등, 식품 플랜트 및 화학 플랜트 등의 동일한 형태의 부품 등의 광범위한 용도에 극히 유용하다.

Claims (5)

  1. (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35 ∼ 65 몰 %, 프로필렌(P)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20 ∼ 50 몰 %, 및 불화비닐리덴(VdF)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0.5 ∼ 15 몰 % 의 비율로 함유하는 탄성 공중합체,
    (B) (i) 일반식 R1R2R3R4NOH (단, R1 ∼ R4 는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급 암모늄, (ii) 하기식 1 (단, R5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3 ∼ 5 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및 (iii)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Figure 112005075617139-pct00006
    (C)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
    (D) 금속산화물 및 금속수산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을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의 탄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상기 성분 (B)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성분 (C) 0.1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성분 (D) 1 내지 5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2. (A) TFE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35 ∼ 65 몰 %, P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20 ∼ 50 몰 %, 및 VdF 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0.5 ∼ 15 몰 % 의 비율로 함유하는 탄성 공중합체,
    (B) (i) 일반식 R1R2R3R4NOH (단, R1 ∼ R4 는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급 암모늄, (ii) 하기식 1 (단, R5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3 ∼ 5 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수산화 유기 4 급 암모늄 및 (iii)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과 유기 4 급 포스포늄 화합물과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Figure 112005075617139-pct00007
    (C)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D) 금속산화물 및 금속수산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
    (E) 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외한 아민 화합물,
    을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의 탄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상기 성분 (B)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성분 (C)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성분 (D) 1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성분 (E) 0.01 내지 3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E) 성분이 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외한 제 3 급 아민인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E) 성분이,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카-7-엔인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공중합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35 ∼ 65 몰 %, 프로필렌(P)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20 ∼ 50 몰 %, 및 불화비닐리덴(VdF)에 기초한 중합 단위를 10.0 몰 % 미만의 비율로 함유하는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KR1020007014224A 1998-06-16 1999-06-16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KR100642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68896 1998-06-16
JP16889698A JP4340746B2 (ja) 1998-06-16 1998-06-16 架橋性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10185006A JP2000017127A (ja) 1998-06-30 1998-06-30 架橋性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98-185006 1998-06-30
JP11089751A JP2000281856A (ja) 1999-03-30 1999-03-30 架橋性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99-89751 199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909A KR20010034909A (ko) 2001-04-25
KR100642952B1 true KR100642952B1 (ko) 2006-11-10

Family

ID=2730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224A KR100642952B1 (ko) 1998-06-16 1999-06-16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37028B1 (ko)
EP (1) EP1130057B1 (ko)
KR (1) KR100642952B1 (ko)
DE (1) DE69915861T2 (ko)
WO (1) WO1999065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5984A1 (fr) * 1998-06-16 1999-12-23 Asahi Glass Company, Ltd. Composition copolymere elastique pouvant etre reticulee
DE112004000681T5 (de) * 2003-04-21 2007-08-16 Nok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netzten Fluorkautschukprodukts mit geringer Reibung
US7756075B2 (en) * 2005-09-15 2010-07-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data access for mobile stations
WO2007058038A1 (ja) * 2005-11-16 2007-05-24 Nok Corporation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架橋体の製造方法
JP5291608B2 (ja) 2009-12-11 2013-09-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9942A (ja) * 1989-02-10 1990-08-21 Asahi Glass Co Ltd フッ素ゴム加硫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9259A (en) * 1973-08-22 1975-01-07 Du Pont Vulcanizable fluoroelastomer
JPS5952903B2 (ja) * 1981-04-03 1984-12-21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含フツ素エラストマ−組成物
JPS6286044A (ja) * 1985-10-11 1987-04-20 Asahi Glass Co Ltd 加硫可能な組成物
JPH06306238A (ja) 1993-04-23 1994-11-01 Asahi Glass Co Ltd フッ素ゴム組成物およびフッ素ゴム加硫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345929A (ja) * 1993-06-11 1994-12-20 Asahi Glass Co Ltd 加硫可能なフッ素ゴム組成物
JP3411714B2 (ja) 1995-04-27 2003-06-03 旭硝子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
WO1999065984A1 (fr) * 1998-06-16 1999-12-23 Asahi Glass Company, Ltd. Composition copolymere elastique pouvant etre reticul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9942A (ja) * 1989-02-10 1990-08-21 Asahi Glass Co Ltd フッ素ゴム加硫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0057B1 (en) 2004-03-24
US6437028B1 (en) 2002-08-20
DE69915861D1 (de) 2004-04-29
EP1130057A1 (en) 2001-09-05
DE69915861T2 (de) 2005-02-03
US20030065067A1 (en) 2003-04-03
EP1130057A4 (en) 2002-08-21
KR20010034909A (ko) 2001-04-25
WO1999065984A1 (fr) 199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9841B2 (ja) 熱可塑性加硫ゴム用フェノール樹脂硬化剤の好ましい構造
EP0647253B1 (en) Cured fluoroelastomer compositions
US7253236B2 (en) Grafted fluoroelastomers
JPH08157539A (ja) 低温シール性に優れたフッ素ゴム共重合体及びその硬化用組成物
CN102365326A (zh) 含氟弹性体混合物、其制造方法、过氧化物硫化用组合物和成型品
KR101022727B1 (ko) 내투과성이 향상된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조 방법
WO1995015359A1 (en) A vulcanizable fluoroelastomer composition
KR100642952B1 (ko) 가교성 탄성 공중합체 조성물
EP0544265B1 (en) Vulcanizable fluororubb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5483000A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
JP3411714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US4151342A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oelastomer and crosslinked polymer thereof
DE69923065T2 (de) Fluorcopolymer und dessen Zusammensetzung
JPH06306242A (ja) 弗素系ゴム組成物
JP4340746B2 (ja) 架橋性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2000281856A (ja) 架橋性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2000063605A (ja) 共重合体組成物
JP2000017127A (ja) 架橋性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2000017126A (ja) 弾性共重合体組成物
JP2000044754A (ja) 共重合体組成物
JP2000044755A (ja) 共重合体組成物
JPH06306243A (ja) 含フッ素ゴム組成物
WO1995015995A1 (en) Peroxide-crosslinkable, low-hardness, fluorine rubber composition
JPH06329860A (ja) 弗素ゴム組成物
JPH06306244A (ja) 含弗素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