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360B1 -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360B1
KR100641360B1 KR1020040090599A KR20040090599A KR100641360B1 KR 100641360 B1 KR100641360 B1 KR 100641360B1 KR 1020040090599 A KR1020040090599 A KR 1020040090599A KR 20040090599 A KR20040090599 A KR 20040090599A KR 100641360 B1 KR100641360 B1 KR 10064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clock signal
generat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117A (ko
Inventor
전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360B1/ko
Priority to US11/265,945 priority patent/US7202721B2/en
Priority to CNB2005101203216A priority patent/CN100530971C/zh
Priority to JP2005324011A priority patent/JP4309392B2/ja
Publication of KR2006004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the loop being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for use outside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6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being connected to a common inp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controlled phase shifter comprising coarse and fine delay or phase-shift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Landscapes

  • Dram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개한다. 이 회로는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로 구성되는 제1지연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로 구성되는 제2지연기, 및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전압의 변동과 외부 잡음 및 내부 회로 동작시 발생하는 위상 변화(잡음)를 위상 혼합에 의해서 상쇄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상 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Delay locked loop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1은 종래의 지연 동기 루프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위상 검출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4는 도2에 나타낸 제1카운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5는 도2에 나타낸 제2카운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6은 도2에 나타낸 지연 셀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7은 도2에 나타낸 위상 혼합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지연 동기 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복수 개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는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연 동기 루프는 제어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같은 장치에 채용되어,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복수개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한다. 그리고, 각 장치는 지연 동기 루프로부터 발생되는 복수개의 클럭신호들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하고, 이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도1은 종래의 지연 동기 루프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분주기들(10, 20), 위상 검출기(12), 제1카운터(14), 제2카운터(16), 및 지연기(1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연기(18)는 지연 셀들(18-1 ~ 18-4)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주기(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DCLK)를 발생한다. 위상 검출기(12)는 초기에 궤환 클럭신호(FCLK)와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이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업 신호(CUP)를 발생하고, 반대로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이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다운 신호(CDN)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1다운 신호(CDN)가 발생된 후,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이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업 신호(FUP)를 발생하고, 반대로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이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다운 신호(FDN)를 발생한다. 즉, 위상 검출기(12)는 초기에 계속적으로 제1업 신호(CUP)를 발생하여 궤환 클럭신호(FCLK)와 분주된 클럭신호(DCLK)사이의 위상 차가 소정 범위내에 들어오면 제1다운 신호(CDN)를 발생하고, 이 후에는 제2업 신호(FUP)와 제2다운 신호(FDN)를 발생한다. 제1카운터(14)는 제1업 신호(CUP)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m비트의 제1제어신호(CON1)를 발생한다. 제2카운터(16)는 제1다운 신호(CD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제2업 신호(FUP)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제2다운 신호(FDN)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n비트의 제2제어신호(CON2)를 발생한다. 지연기(18)는 클럭신호(CLK)를 입력하고, m비트의 제1제어신호(CON1) 및 n비트의 제2제어신호(CON2)에 응답하여 지연 셀들(18-1 ~ 18-4)의 지연 시간이 조절되어 90도의 위상 차를 가진 4개의 클럭신호들(CLK0, CLK90, CLK180, CLK270)을 발생한다. 분주기(20)는 지연기(18)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궤환 클럭신호(FCLK)를 발생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지연 동기 루프로부터 발생되는 클럭신호들(CLK0, CLK90, CLK180, CLK270)의 위상이 전원전압의 변동과 외부 잡음 및 내부 회로 동작시 발생하는 순간적인 위상 변화(잡음)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0도, 90도, 180도, 270도의 위상 차를 가지고 발생되지 않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한 순간적인 위상 변화(잡음)을 상쇄하여 정확하게 90도의 위상 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는 지연 동기 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연 동기 루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의 제1형태는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는 상기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주기, 상기 제1지연기로부터 출력되는 궤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위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및 상기 위상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팅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상 검출기는 초기에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다운 신호를, 상기 제1다운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다운 신호를 상기 위상 검출신호로 각각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카운팅 부는 상기 제1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카운터, 및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1 및 제2제어신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지연 셀들 각각은 전단의 지연 셀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1버퍼, 및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1캐패시터를 복수개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지연 셀들 각각은 전단의 지연 셀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2버퍼, 및 상기 제2버퍼의 출력단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2캐패시터를 복수개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운터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의 각 비트를 발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제1카운팅 셀들을 구비하고, 초기에 상기 제1카운팅 셀들은 "로우"레 벨의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카운팅 셀들 각각은 초기에 "하이"레벨의 데이터를 제1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1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제2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2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상기 제1노드로 출력하는 래치, 및 상기 제1업 신호 및 뒷단의 카운팅 셀의 상기 제2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를 "로우"레벨로 만드는 리셋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카운터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각 비트를 발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제2카운팅 셀들을 구비하고, 초기에 상기 제2카운팅 셀들은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상위 비트는 "하이"레벨로 하고 나머지 비트는 "로우"레벨로 하여 발생하고,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증가하고, 상기 제2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카운팅 셀들 각각은 초기에 "하이"레벨의 데이터를 제1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1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제2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2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상기 제1노드로 출력하는 래치, 상기 제1업 신호 및 뒷단의 카운팅 셀의 상기 제2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를 "로우"레벨로 만드는 제1리셋 회로, 상기 제2다운 신호 및 전단의 카운팅 셀의 상기 제1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를 "로우"레벨로 만드는 제2리셋 회로, 및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리셋 회로들로 "로우"레벨을 공급하는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의 제2형태는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전압 발생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주기, 상기 제1지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위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및 상기 위상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지연 셀들 각각은 제1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버퍼의 전원전압으로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지연 셀들 각각은 제2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2버퍼의 전원전압으로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지연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형태의 지연 동기 루프의 상기 위상 혼합기는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발생기, 제3입력신호와 제4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2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발생기, 상기 제1전류를 미러하여 제3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미러, 상기 제2전류를 미러하여 제4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미러, 및 상기 제4전류를 미러하여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제3전류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3 및 제4입력신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1형태는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지연 동기 루프, 및 상기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조합하여 복수개의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2형태는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지연 동기 루프, 및 상기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조합하여 복수개의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전압 발생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1의 블록도에 지연기(22) 및 위상 혼합기(24)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연기(22)는 지연 셀들(22-1 ~ 22-4)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블록들중 도1에 나타낸 블록들과 동일한 번호를 가진 블록들의 기능은 도1의 설명을 참고로 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고, 여기에서는 추가되는 블록들의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지연기(22)는 반전 클럭신호(CLKB)를 입력하고, m비트의 제1제어신호(CON1) 및 n비트의 제2제어신호(CON2)에 응답하여 지연 셀들(22-1 ~ 22-4)의 지연 시간이 조절되어 90도의 위상 차를 가진 4개의 반전 클럭신호들(CLKB0, CLKB90, CLKB180, CLKB270)을 발생한다. 위상 혼합기(24)는 클럭신호들(CLK0, CLKB90, CLK180, CLK270) 및 반전 클럭신호들(CLKB0, CLKB90, CLKB180, CLKB270)을 입력하여 관련있는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혼합하여 보정된 클럭신호들(CCLK0, CCLK90, CCLK180, CCLK270)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위상 혼합기(24)의 동작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연 셀들(18-1 ~ 18-4) 및 지연 셀들(22-1 ~ 22-4)은 동일한 전원전압에 연 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전압에 변동이 발생하면 클럭신호들(CLK90, CLK180, CLK270, CLKB90, CLKB180, CLKB270) 모두에 동일한 위상 변화(잡음)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순간적으로 전원전압에 변동이 발생하여 클럭신호들(CLK90, CLK180, CLK270, CLKB90, CLKB180, CLKB270) 모두에 동일한 α만큼의 위상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하면, 클럭신호들(CLK180, CLKB180)사이에는 180도의 위상 차가 있으므로 각각을 0, π라고 하면, 클럭신호(CLK90)는 클럭신호(CLK180)로부터 -π/2-α의 위상 차를 가지고, 클럭신호(CLK270)는 클럭신호(CLK180)로부터 π/2+α의 위상 차를 가진다. 그리고, 클럭신호(CLKB90)는 클럭신호(CLKB180)로부터 π/2-α의 위상 차를 가지고, 클럭신호(CLKB270)는 클럭신호(CLKB180)로부터 -π/2+α의 위상 차를 가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위상 혼합기(24)가 클럭신호들(CLK270, CLKB90)의 위상을 혼합함으로써 위상 변화(α)가 상쇄되어 클럭신호(CLK180)와 π/2(90도)의 위상 차를 가지는 보정된 클럭신호(CCLK90)를 발생하고, 클럭신호들(CLK90, CLKB270)의 위상을 혼합함으로써 위상 변화(α)가 상쇄되어 클럭신호(CLK180)와 -π/2(270도)의 위상 차를 가지는 보정된 클럭신호(CCLK270)를 발생한다. 만일 기준이 되는 클럭신호들을 달리하게 되면 위상 혼합되는 클럭신호들도 달라지게 됨은 당연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위상 혼합기는 위상은 동일하고 위상 변화가 서로 다른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위상 변화를 상쇄시킴으로써 보정된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위상 검출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펄스 발생기(30), 제1위상 검출기(32), 및 제2위상 검출기(34)로 구성되어 있다. 펄스 발생기(30)는 NAND게이트(NA1), 지연기(DL1), 인버터(I1), 및 NOR게이트(NOR1)로 구성되고, 제1위상 검출기(32)는 래치들(LA1, LA3) 및 NAND게이트들(NA6, NA7)로 구성되고, 제2위상 검출기(34)는 래치들(LA2, LA4), NAND게이트들(NA10, NA11), 및 인버터(I2)로 구성되어 있다. 래치들(LA1, LA2, LA3, LA4) 각각은 2개씩의 NAND게이트들((NA2, NA3), (NA8, NA9), (NA4, NA5), (NA12, NA13))로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위상 검출기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스 발생기(30)는 궤환 클럭신호(FCLK)와 지연 클럭신호(DCLK)가 모두 "하이"레벨이 되는 것을 검출하여 "하이"레벨로 천이하고, 소정 시간 지연 후에 "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신호(b)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1)는 궤환 클럭신호(FCLK)와 지연 클럭신호(DCLK)가 모두 "하이"레벨이면 "로우"레벨의 신호(a)를 발생한다. 지연기(DL1), 인버터(I1), 및 NOR게이트(NOR1)로 구성된 회로는 신호(a)와 신호(a)를 반전하고 지연한 신호가 모두 "로우"레벨이면 "하이"레벨로 천이하고, 소정 시간 지연 후에 "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신호(b)를 발생한다.
제2위상 검출기(34)는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이 지연 클럭신호(D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업 신호(CUP)를 발생하고, 반대로 지연 클럭신호(DCLK)의 위상이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다운 신호(CDN)를 발생한다. 제1다운 신호(CDN)가 발생되면 제1위상 검출기(32)의 동작이 디스에이블되고, 제2위상 검출기(34)의 동작이 인에이블된다.
지연기(DL2)는 궤환 클럭신호(FCLK)를 지연한다. 래치(LA2)는 지연기(DL2)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고, 지연 클럭신호(DCLK)가 "로우"레벨이면, "로우"레벨의 신호(c) 및 "하이"레벨의 신호(d)를 발생하고, 지연기(DL2)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이고, 지연 클럭신호(DCLK)가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의 신호(c) 및 "로우"레벨의 신호(d)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들(NA10, NA11) 각각은 신호(b)가 "하이"레벨이고 제1다운 신호(CDN)가 "로우"레벨인 경우에 신호들(c, d) 각각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즉, 신호들(c, d)이 "로우"레벨,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의 신호들을 발생하고, "하이"레벨, "로우"레벨이면 "로우"레벨과 "하이"레벨의 신호들을 발생한다. 래치(LA4)는 래치(LA2)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제1다운 신호(CDN) 및 제1업 신호(CUP)를 발생한다.
제1위상 검출기(32)는 제1다운 신호(CD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이 지연 클럭신호(D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업 신호(FUP)를 발생하고, 반대로 지연 클럭신호(DCLK)의 위상이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다운 신호(FDN)를 발생한다.
래치(LA1)는 지연기(DL2)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고, 지연 클럭신호(DCLK)가 "로우"레벨이면, "로우"레벨의 신호(e) 및 "하이"레벨의 신호(f)를 발생하고, 지연기(DL2)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이고, 지연 클럭신호(DCLK)가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의 신호(e) 및 "로우"레벨의 신호(f)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들(NA6, NA7) 각각은 신호(e) 및 제1다운 신호(CDN)가 모두 "하이"레벨인 경우에 신호들(e, f) 각각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즉, 신호들(e, f)이 "로우"레벨,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의 신호들을 발생하고, "하이"레벨, "로우"레벨이 면 "로우"레벨과 "하이"레벨의 신호들을 발생한다. 래치(LA3)는 래치(LA1)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제2다운 신호(FDN) 및 제2업 신호(FUP)를 발생한다.
도4는 도2에 나타낸 제1카운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카운터는 m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n) 및 NMOS트랜지스터(N5)로 구성되고, m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n) 각각은 NAND게이트(NA14) 및 인버터(I3)로 구성된 래치(LA5), 인버터(I4), 및 NMOS트랜지스터들(N1 ~ N4)로 구성되어 있다.
도4에서, 인에이블 신호(EN)는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고, C11 ~ C1m은 m비트의 제1제어신호(CON1)를 나타낸다.
도4에 나타낸 제1카운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로우"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면 카운팅 출력신호들(C11 ~ C1n)이 모두 "로우"레벨을 유지한다. 이 후에,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하이"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가 발생되면, m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n)의 NMOS트랜지스터(N4)가 온된다. 이 상태에서, 첫 번째 "하이"레벨의 제1업 신호(CUP)가 인가되면 카운팅 셀(40-1)의 NMOS트랜지스터(N3)가 온되고, 이에 따라 노드(x)가 "로우"레벨로 된다. 인버터(I4)는 "로우"레벨의 노드(x)의 신호를 반전하여 "하이"레벨의 제1제어신호(C11)를 발생한다. 래치(LA5)는 "로우"레벨의 노드(x)의 신호를 래치한다. 따라서, 노드(y)는 "하이"레벨로 된다. 그러면, 카운팅 셀(40-2)의 NMOS트랜지스터(N4)가 온된다. 이때, 나머지 카운팅 셀들(40-3 ~ 40-n)의 NMOS트랜지스터(N4)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두 번째 "하이"레벨의 업 신호(CUP)가 인가되면 카운팅 셀들 (40-1, 40-2) 각각의 NMOS트랜지스터(N3)가 온되고, 이에 따라 노드(x)가 "로우"레벨로 된다. 인버터(I4)는 "로우"레벨의 노드(x)의 신호를 반전하여 "하이"레벨의 제1제어신호(C11, C12)를 발생한다. 래치(LA5)는 "로우"레벨의 노드(x)의 신호를 래치하고, 따라서, 노드(y)는 "하이"레벨로 된다. 그러면, 카운팅 셀들(40-2, 40-3)의 NMOS트랜지스터(N4)가 온되고, 이때, 나머지 카운팅 셀들의 NMOS트랜지스터(N4)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동작을 수행함에 의해서 제1카운터(14)는 업 신호(CUP)가 "하이"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하이"레벨로 되는 제1제어신호(C11 ~ C1m)의 비트 수를 하나씩 증가한다. 즉, 제1제어신호(C11 ~ C1m)를 "0...000", "0...001", "0...011", ..., "1...111"의 순서로 변화한다.
그리고, 제1제어신호(C11 ~ C1m)가 "0...011"인 상태에서 제1다운 신호(CDN)가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NMOS트랜지스터(N5)가 온되어 n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n)의 NMOS트랜지스터(N1)로 "로우"레벨이 인가되어 NMOS트랜지스터(N1)가 오프된다. 그러면, 카운팅 셀들(40-1 ~ 40-m)은 래치(LA5)에 래치된 신호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제1제어신호(C11 ~ C1m)는 "0...011"로 유지된다.
도4의 제1카운터는 n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m)의 NMOS트랜지스터들(N1, N2)을 제거하더라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NMOS트랜지스터들(N1, N2)을 제거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도5는 도2에 나타낸 제2카운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2카운터는 n개의 카운팅 셀들(50-1 ~ 50-n)로 구성되고, n개의 카운팅 셀들(50-1 ~ 50- (n/2) 각각은 NAND게이트(NA15)와 인버터(I3)로 구성된 래치(LA6), 인버터(I4), 및 트랜지스터들(N1 ~ N5)로 구성되고, n개의 카운팅 셀들(50-1 ~ 50-(n/2)) 각각은 NAND게이트(NA14)와 인버터(I5)로 구성된 래치(LA5), 인버터(I4), 및 NMOS트랜지스터들(N1 ~ N5)로 구성되어 있다.
도5에서, n개의 카운팅 셀들(50-(n/2+1) ~ 50-n)의 래치(LA5)는 도4의 m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m)의 구성에 NMOS트랜지스터(N5)를 추가하여 구성하고, n개의 카운팅 셀들(50-1 ~ 50-n/2)의 래치(LA6)는 도4의 m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m)의 래치(LA5)를 구성하는 NAND게이트(NA14)와 인버터(I5)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NMOS트랜지스터(N5)가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4의 m개의 카운팅 셀들(40-1 ~ 40-m)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5에 나타낸 제2카운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로우"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면 카운팅 출력신호들(C21 ~ C2(n/2))은 모두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카운팅 출력신호들(C2(n/2+1) ~ C2n)은 모두 "로우"레벨을 유지한다. 이 후에,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하이"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가 발생되면, n개의 카운팅 셀들(50-1 ~ 50-n)의 NMOS트랜지스터(N4)가 온되고, "하이"레벨의 제1다운 신호(CDN)가 발생되면 NMOS트랜지스터(N5)가 온되어 n개의 카운팅 셀들(50-1 ~ 50-n)의 카운팅 동작이 인에이블된다. 이 상태에서, 첫 번째 "하이"레벨의 업 신호(FUP)가 인가되면 카운팅 셀(50-(n/2+1))의 NMOS트랜지스터(N3)가 온되고, 이에 따라 노드(x)가 "로우"레벨로 된다. 인버터(I4)는 "로우"레벨의 노드(x)의 신호를 반전하여 "하이"레벨의 제2제어신호(C2(n/2+1))를 발생한 다. 래치(LA5)는 "로우"레벨의 노드(x)의 신호를 래치한다. 따라서, 노드(y)는 "하이"레벨로 된다. 그러면, 카운팅 셀(50-(n/2+2))의 NMOS트랜지스터(N4)가 온된다. 이때, 나머지 카운팅 셀들(50-(n/2+3) ~ 50-n)의 NMOS트랜지스터(N4)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두 번째 "하이"레벨의 제2업 신호(FUP)가 인가되면 카운팅 셀들(50-1 ~ 50-(n/2+3))은 "하이"레벨의 제2제어신호(C21 ~ C2(n/2+3))를 발생하고, 카운팅 셀들(50-(n/2+4) ~ 50-n)은 "로우"레벨의 제2제어신호(C2(n/2+4) ~ C2n)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첫 번째 "하이"레벨의 제2다운 신호(FDN)가 인가되면 카운팅 셀들(50-1 ~ 50-(n/2+2))은 "하이"레벨의 제2제어신호(C21 ~ C2(n/2+2))를 발생하고, 카운팅 셀들((50-(n/2+3) ~ 50-n)은 "로우"레벨의 제2제어신호(C2(n/2+3) ~ C2n)를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동작을 수행함에 의해서 제2카운터(14)는 제2업 신호(FUP)가 "하이"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하이"레벨로 되는 제2제어신호(C21 ~ C2n)의 비트 수를 하나씩 증가한다. 즉, 제2업 신호(FUP)가 계속적으로 발생되면 제2제어신호(C21 ~ C2n)를 "0...0001...1", "0...11...1", "0...111...1"의 순서로 변화한다. 그리고, 제2다운 신호(FDN)가 "하이"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하이"레벨로 되는 제2제어신호(C21 ~ C2n)의 비트 수를 하나씩 감소한다. 즉, 제2다운 신호(FDN)가 계속적으로 발생되면 제2제어신호(C21 ~ C2n)를 "0...0111...1", "0...0011...1", "0...0001...1"의 순서로 변환한다.
도6은 도2에 나타낸 지연 셀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버퍼(BUF), 제1지연 회로(60), 및 제2지연 회로(62)로 구성되고, 제1지연 회로(60)는 NMOS트랜지스터들(N71 ~ N7m)과 캐패시터들(C71 ~ C7m)로 구성되고, 제2지연 회로(62)는 NMOS트랜지스터들(N81 ~ N8n)과 캐패시터들(C81 ~ C8n)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지연 셀은 클럭신호(CLK0)를 입력하여 클럭신호(CLK90)를 발생하는 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나머지 지연 셀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6에 나타낸 지연 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퍼(BUF)는 클럭신호(CLK0)를 버퍼한다. NMOS트랜지스터들(N71 ~ N7m) 각각은 m비트의 제1제어신호(C11 ~ C1m)에 응답하여 각각 온되어 캐패시터들(C71 ~ C7m) 각각을 버퍼(BUF)의 출력단에 연결한다. NMOS트랜지스터들(N81 ~ N8n) 각각은 n비트의 제2제어신호(C21 ~ C2n)에 응답하여 각각 온되어 캐패시터들(C81 ~ C8n) 각각을 버퍼(BUF)의 출력단에 연결한다. 만일 m비트의 제1제어신호(C11 ~ C1m)이 모두 "하이"레벨이면 NMOS트랜지스터들(N71 ~ N7m, N81 ~ N8n)이 모두 온되어 캐패시터들(C71 ~ C7m, C81 ~ C8n)이 버퍼(BUF)의 출력단에 모두 연결되고, 이에 따라 버퍼(BUF)의 출력단의 캐패시턴스가 최대가 된다. 반면에, m비트의 제1제어신호(C11 ~ C1m)와 n비트의 제2제어신호(C21 ~ C2n)이 모두 "로우"레벨이면 버퍼(BUF)의 출력단의 캐패시턴스가 최소가 된다. 즉, m비트의 제1제어신호(C11 ~ C1m)와 n비트의 제2제어신호(C21 ~ C2n)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가 증가할수록 버퍼(BUF)의 출력단의 캐피시턴스가 커지게 되어 버퍼(BUF)의 출력신호의 지연시간이 커지게 된 다.
도6에 나타낸 지연 셀은 n의 값을 m의 값보다 크게 설정하고, 캐패시터들(C71 ~ C7m) 각각의 캐패시턴스를 캐패시터들(C81 ~ C8n) 각각의 캐패시턴스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초기에 m비트의 제1제어신호(C11 ~ C1m)에 응답하여 버퍼(BUF)의 출력신호의 지연시간이 넓게 조절되고, 이 후 n비트의 제2제어신호(C21 ~ C2n)에 응답하여 버퍼(BUF)의 출력신호의 지연시간이 미세하게 조절된다.
도7은 도2에 나타낸 위상 혼합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PMOS트랜지스터들(P1 ~ P4) 및 NMOS트랜지스터들(N9 ~ N14)로 구성되고, PMOS트랜지스터들(P1, P2)은 제1전류 미러(M1)를 구성하고, PMOS트랜지스터들(P3, P4)은 제2전류 미러(M2)를 구성하고, NMOS트랜지스터들(N9, N10)은 제3전류 미러(M3)를 구성한다.
도7에서, 인에이블 신호(EN)는 도4의 인에이블 신호(EN)와 마찬가지로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도7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신호들(IN1, IN2)이 모두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고, 입력신호들(IN1B, IN2B)이 모두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면, 전류(i3)가 증가하고, 전류(i2)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PMOS트랜지스터들(P1, P2)이 오프되기 시작하고, PMOS트랜지스터들(P3, P4)은 온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전류(i1)가 감소하기 시작하고, 전류(i4)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전류(i1)이 감소하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들(N9, N10)이 오프되기 시작하여 결국에는 완전히 오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신호(OUT)는 "하이"레벨로 천이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신호들(IN1, IN2) 및 입력신호들(IN1B, IN2B)에 의해서 전류들(i2, i3)이 제어되고, 전류들(i2, i3)에 의해서 전류들(i1, i4)이 제어되어, 전류(i4)가 전류(i1)보다 크면 "하이"레벨의 출력신호(OUT)를 발생하고, 전류(i4)가 전류(i1)보다 작으면 "로우"레벨의 출력신호(OUT)를 발생한다.
만일 입력신호들(IN1, IN2)이 클럭신호들(CLK270, CLKB90)이고, 입력신호들(IN1B, IN2B)이 클럭신호들(CLK90, CLKB270)이면, 보정된 클럭신호(CCLK90)가 출력신호(OUT)로 발생되고, 만일 입력신호들(IN1, IN2)이 클럭신호들(CLK90, CLKB270)이고, 입력신호들(IN1B, IN2B)이 클럭신호들(CLK270, CLKB90)이면, 보정된 클럭신호(CCLK270)가 출력신호(OUT)로 발생된다. 또한, 만일 입력신호들(IN1, IN2)이 클럭신호(CLK180)이고, 입력신호들(IN1B, IN2B)이 클럭신호(CLKB180)이면, 보정된 클럭신호(CCLK0)가 출력신호(OUT)로 발생되고, 입력신호들(IN1, IN2)이 클럭신호(CLKB180)이고, 입력신호들(IN1B, IN2B)이 클럭신호(CLK180)이면, 보정된 클럭신호(CCLK180)가 출력신호(OUT)로 발생된다.
도7에 나타낸 위상 혼합기는 입력신호들(IN1, IN2)로 인가되는 클럭신호들사이에 위상이 혼합되어 위상 변화가 상쇄되고, 입력신호들(IN1B, IN2B)로 인가되는 클럭신호들사이에 위상이 혼합되어 위상 변화가 상쇄되어, 전류들(i3, i2)을 각각 발생한다. 그리고, 위상 혼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류들(i3, i2)을 미러하여 전류들(i4, i1)을 발생함에 의해서 출력신호(OUT)를 발생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서, 분주기들(60, 68), 위상 검출기(62), 전하 펌프(64), 지연기들(66, 70), 및 위상 혼합기(72)로 구성되어 있다. 지연기(66)는 지연 셀들(66-1 ~ 66-4)로 구성되고, 지연기(70)는 지연 셀들(70-1 ~ 70-4)로 구성된다.
도8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주기(6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DCLK)를 발생한다. 위상 검출기(12)는 궤환 클럭신호(FCLK)와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이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업 신호(UP)를 발생하고, 반대로 분주된 클럭신호(DCLK)의 위상과 궤환 클럭신호(FCLK)의 위상보다 앞서면 다운 신호(DN)를 발생한다. 전하 펌프(64)는 업 신호(UP)에 응답하여 펌핑하여 전압(Vc)을 상승하고, 다운 신호(DN)에 응답하여 펌핑하여 전압(Vc)을 하강한다. 지연기(66)는 클럭신호(CLK)를 입력하고 전압(Vc)을 지연 셀들(66-1 ~ 66-4)의 전원전압으로 인가하고, 이에 따라 지연 시간이 조절되어 90도의 위상 차를 가진 4개의 클럭신호들(CLK0, CLK90, CLK180, CLK270)을 발생한다. 지연기(70)는 반전 클럭신호(CLKB)를 입력하고 전압(Vc)을 지연 셀들(70-1 ~ 70-4)의 전원전압으로 인가하고, 이에 따라 지연 시간이 조절되어 90도의 위상 차를 가진 4개의 클럭신호들(CLKB0, CLKB90, CLKB180, CLKB270)을 발생한다. 분주기(68)는 지연기(66)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궤환 클럭신호(FCLK)를 발생한다. 위상 혼합기(72)는 클럭신호들(CLK0, CLKB90, CLK180, CLK270) 및 반전 클럭신호들(CLKB0, CLKB90, CLKB180, CLKB270)을 입력하여 관련있는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2개씩 혼합하여 보정된 클럭신호들(CCLK0, CCLK90, CCLK180, CCLK270)을 발생한다.
즉, 도1의 지연 동기 루프는 소정 비트의 제1 및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지연기들(18, 22)을 구성하는 지연 셀들의 캐패시턴스가 조절되어 지연시간이 변화하지만, 도8의 지연 동기 루프는 전압(Vc)에 응답하여 지연기들(66, 70)을 구성하는 지연 셀들로 인가되는 전원전압이 조절되어 지연시간이 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신호 및 반전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클럭신호들 및 복수개의 반전 클럭신호들을 발생하고, 클럭신호들 및 반전 클럭신호들중 관련있는 클럭신호들을 위상 혼합함으로써 전원전압의 변동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위상 변화를 상쇄한다. 이에 따라, 정확하게 90도의 위상 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보정된 클럭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100), 병직렬 변환회로(102), 데이터 출력버퍼(104), 지연 동기 루프(106),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발생회로(108), 및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버퍼(110)로 구성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버스트 길이가 4로 동작하는 장치로서, 4개의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들(DQS1 ~ DQS4)에 응답하여 4비트씩의 출력 데이터(DQ1 ~ DQ4)를 발생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9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 셀 어레이(100)는 리드 동작시에 16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병직 렬 변환회로(102)는 16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4비트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버퍼(104)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1 ~ DQS4) 각각에 응답하여 4비트의 직렬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DQ1 ~ DQ4)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지연 동기 루프(106)는 클럭신호(CLK)와 반전 클럭신호(CLKB)를 입력하여 보정된 4개의 클럭신호들(CCLK0, CCLK90, CCLK180, CCLK270)을 발생한다.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발생회로(108)는 보정된 4개의 클럭신호들(CCLK0, CCLK90, CCLK180, CCLK270)을 2개씩 조합하여 4개의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1 ~ DQS4)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보정된 클럭신호들(CCLK0, CCLK270)을 논리곱하여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1)를 발생하고, 보정된 클럭신호들(CCLK0, CCLK90)을 논리곱하여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1)를, 보정된 클럭신호들(CCLK90, CCLK180)을 논리곱하여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2)를, 보정된 클럭신호들(CCLK180, CCLK270)을 논리곱하여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3)를 발생한다.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버퍼(110)는 4개의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1 ~ DQS4)를 버퍼하여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DQSO1 ~ DQSO4)를 발생한다.
즉, 도1 또는 도8에 나타낸 지연 동기 루프는 도9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용되어 정확하게 90도 위상 차를 가지는 4개의 보정된 클럭신호들을 발생하고, 4개의 보정된 클럭신호들을 조합하여 안정된 4개의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가 4개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5개이상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지연 동기 루 프에도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는 전원전압의 변동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위상 변화(위상 잡음)를 위상 혼합을 수행함에 의해서 상쇄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상 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클럭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연 동기 루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리드 동작시에 정확한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Claims (36)

  1.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는
    상기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주기;
    상기 제1지연기로부터 출력되는 궤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위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및
    상기 위상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팅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초기에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다운 신호를, 상기 제1다운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다운 신호를 상기 위상 검출신호로 각각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부는
    상기 제1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카운터; 및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1 및 제2제어신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지연 셀들 각각은
    전단의 지연 셀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1버퍼; 및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1캐패시터를 복수개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지연 셀들 각각은
    전단의 지연 셀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2버퍼; 및
    상기 제2버퍼의 출력단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2캐패시터를 복수개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의 각 비트를 발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제1카운팅 셀들을 구비하고,
    초기에 상기 제1카운팅 셀들은 "로우"레벨의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카운팅 셀들 각각은
    초기에 "하이"레벨의 데이터를 제1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1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제2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2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상기 제1노드로 출력하는 래치; 및
    상기 제1업 신호 및 뒷단의 카운팅 셀의 상기 제2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를 "로우"레벨로 만드는 리셋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터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각 비트를 발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제2카운팅 셀들을 구비하고,
    초기에 상기 제2카운팅 셀들은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상위 비트는 "하이"레벨로 하고 나머지 비트는 "로우"레벨로 하여 발생하고,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증가하고, 상기 제2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카운팅 셀들 각각은
    초기에 "하이"레벨의 데이터를 제1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1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제2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2노드의 데이터를 반전하여 상기 제1노드로 출력하는 래치;
    상기 제2업 신호 및 뒷단의 카운팅 셀의 상기 제2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를 "로우"레벨로 만드는 제1리셋 회로;
    상기 제2다운 신호 및 전단의 카운팅 셀의 상기 제1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를 "로우"레벨로 만드는 제2리셋 회로; 및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리셋 회로들로 "로우"레벨을 공급하는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발생기;
    제3입력신호와 제4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2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발생기;
    상기 제1전류를 미러하여 제3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미러;
    상기 제2전류를 미러하여 제4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미러; 및
    상기 제4전류를 미러하여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제3전류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3 및 제4입력신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3.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전압 발생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주기;
    상기 제1지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위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및
    상기 위상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다운 신호를 각각 상기 위상 검출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지연 셀들 각각은
    제1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버퍼의 전원전압으로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지연시간이 조절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지연 셀들 각각은
    제2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2버퍼의 전원전압으로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지연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발생기;
    제3입력신호와 제4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2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발생기;
    상기 제1전류를 미러하여 제3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미러;
    상기 제2전류를 미러하여 제4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미러; 및
    상기 제4전류를 미러하여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제3전류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3 및 제4입력신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동기 루프.
  20.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지연 동기 루프; 및
    상기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조합하여 복수개의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복수 비트의 지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상기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 및 제어신호 발생기는
    상기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주기;
    상기 제1지연기로부터 출력되는 궤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위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및
    상기 위상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팅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초기에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1다운 신호를, 상기 제1다운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제2다운 신호를 상기 위상 검출신호로 각각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부는
    상기 제1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카운터; 및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1 및 제2제어신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지연 셀들 각각은
    전단의 지연 셀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1버퍼; 및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1캐패시터를 복수개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지연 셀들 각각은
    전단의 지연 셀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2버퍼; 및
    상기 제2버퍼의 출력단과 접지전압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2캐패시터를 복수개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상기 복수 비트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의 각 비트를 발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제1카운팅 셀들을 구비하고,
    초기에 상기 제1카운팅 셀들은 "로우"레벨의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1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터는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각 비트를 발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제2카운팅 셀들을 구비하고,
    초기에 상기 제2카운팅 셀들은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상위 비트는 "하이"레벨로 하고 나머지 비트는 "로우"레벨로 하여 발생하고, 상기 제1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하이"레벨의 비트 수를 증가하고, 상기 제2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비트의 제2제어신호의 "하이"레벨 의 비트 수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8. 삭제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발생기;
    제3입력신호와 제4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2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발생기;
    상기 제1전류를 미러하여 제3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미러;
    상기 제2전류를 미러하여 제4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미러; 및
    상기 제4전류를 미러하여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제3전류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3 및 제4입력신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0. 클럭신호와 반전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지연 동기 루프; 및
    상기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조합하여 복수개의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 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 차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위상 검출 및 제어전압 발생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 및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1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1지연기;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 클럭신호를 지연하여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소정 개수의 종속 연결된 제2지연 셀들을 구비하는 제2지연기;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위상 혼합함에 의해서 상기 위상 보정된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동기 루프는
    상기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주기;
    상기 제1지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궤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위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및
    상기 위상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업 신호를, 상기 분주된 궤환 클럭신호의 위상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면 다운 신호를 각각 상기 위상 검출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1지연 셀들 각각은
    제1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버퍼의 전원전압으로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지연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제2지연 셀들 각각은
    제2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2버퍼의 전원전압으로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지연시간이 조절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5. 삭제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발생기;
    제3입력신호와 제4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제2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발생기;
    상기 제1전류를 미러하여 제3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 미러;
    상기 제2전류를 미러하여 제4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 미러; 및
    상기 제4전류를 미러하여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제3전류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클럭신호들과 상기 복수개의 반전 출력 클럭신호들중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상 차를 가지는 출력 클럭신호와 반전 출력 클럭신호를 각각 상기 제3 및 제4입력신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40090599A 2004-11-08 2004-11-08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4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99A KR100641360B1 (ko) 2004-11-08 2004-11-08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1/265,945 US7202721B2 (en) 2004-11-08 2005-11-03 Delay locked loop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CNB2005101203216A CN100530971C (zh) 2004-11-08 2005-11-08 延时锁定环路及具有该延时锁定环路的半导体存储器
JP2005324011A JP4309392B2 (ja) 2004-11-08 2005-11-08 遅延同期ループ及びこれを具備した半導体メモリー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99A KR100641360B1 (ko) 2004-11-08 2004-11-08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117A KR20060041117A (ko) 2006-05-11
KR100641360B1 true KR100641360B1 (ko) 2006-11-01

Family

ID=3631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599A KR100641360B1 (ko) 2004-11-08 2004-11-08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02721B2 (ko)
JP (1) JP4309392B2 (ko)
KR (1) KR100641360B1 (ko)
CN (1) CN10053097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576A1 (ko) * 2011-02-08 2012-08-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지컴바이너, 이를 이용한 주파수 체배기 및 주파수 체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9434B2 (en) * 2003-12-12 2006-03-07 Micron Technology, Inc. Generating multi-phase clock signals using hierarchical delays
US7158443B2 (en) * 2005-06-01 2007-01-02 Micron Technology, Inc. Delay-lock loop and method adapting itself to operate over a wide frequency range
JP5143370B2 (ja) * 2006-03-23 2013-02-1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遅延制御回路
KR100795004B1 (ko) * 2006-06-09 2008-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ll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7675333B2 (en) * 2006-06-09 2010-03-09 Cosmic Circuits Private Limited Multi-phase delay locked loop with equally-spaced phases over a wide frequency range and method thereof
KR100854496B1 (ko) * 2006-07-03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09714B1 (ko) * 2007-01-03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위상 생성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TWI331453B (en) * 2007-01-17 2010-10-01 Nanya Technology Corp Delay locked loop
KR100968447B1 (ko) * 2007-11-13 2010-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JP2009177778A (ja) * 2008-01-25 2009-08-06 Elpida Memory Inc Dll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並びに、dll回路の制御方法
KR100942950B1 (ko) * 2008-09-02 2010-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872507B2 (en) * 2009-01-21 2011-01-18 Micron Technology, Inc. Delay lines, methods for delaying a signal, and delay lock loops
KR20100129017A (ko) * 2009-05-29 2010-12-08 칭화대학교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034617B1 (ko) * 2009-12-29 2011-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US8519756B2 (en) * 2010-10-26 2013-08-27 Marvell World Trade Ltd. PLL dual edge lock detector
JP5807065B2 (ja) * 2011-07-19 2015-11-10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位相比較装置およびdll回路
CN102957422B (zh) * 2011-08-30 2015-06-03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数字延时锁定环电路
JP5910383B2 (ja) * 2012-07-19 2016-04-27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スキュー低減回路
KR102079630B1 (ko) * 2013-03-13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동기회로를 가지는 동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파워 세이빙을 위한 지연동기회로 블록 구동 제어 방법
CN103532544B (zh) * 2013-09-24 2016-06-01 南京中科微电子有限公司 一种带选通功能的低功耗除二分频器
CN105337611A (zh) * 2014-07-04 2016-02-17 硅存储技术公司 数控延迟锁定环基准发生器
CN104615192B (zh) * 2015-01-23 2017-08-11 西安智多晶微电子有限公司 一种强化异步时钟管理的复杂可编程逻辑器件
US10164574B2 (en) * 2015-07-07 2018-12-25 Mediatek Inc. Metho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oscillating signals with different phases and associated circuit and local oscillator
CN105306068B (zh) * 2015-10-30 2018-10-02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时钟调相的并串转换电路
US10110208B2 (en) 2015-11-25 2018-10-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ignal with a differential phase mixer
US10594309B2 (en) * 2018-07-02 2020-03-17 Apple Inc. Phase modul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9189829B (zh) * 2018-08-20 2019-07-26 太平洋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信息安全系统和方法
KR102158376B1 (ko) * 2018-12-26 2020-09-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위상 분배기
CN111404514B (zh) * 2020-05-12 2024-03-22 杰华特微电子股份有限公司 时钟产生电路和多相开关电路
CN117526924B (zh) * 2024-01-08 2024-03-22 杭州宇称电子技术有限公司 用于产生激光驱动脉冲信号的低延时分频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3661B2 (ja) 1999-06-24 2004-10-0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信号制御方法及び回路とこれを用いたデータ伝送装置
KR100557550B1 (ko) * 2001-12-21 2006-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동기 회로
KR100424181B1 (ko) * 2001-12-21 2004-03-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제어된 타이밍을 갖는 출력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 및방법
US6911853B2 (en) * 2002-03-22 2005-06-28 Rambus Inc. Locked loop with dual rail regulation
JP3761858B2 (ja) 2002-10-16 2006-03-29 株式会社半導体理工学研究センター 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
KR100483825B1 (ko) 2002-11-19 2005-04-20 주식회사 버카나와이어리스코리아 어레이 지연-로킹 루프를 이용한 고해상도 다 위상 클럭발생기 회로
KR100578232B1 (ko) * 2003-10-30 2006-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576A1 (ko) * 2011-02-08 2012-08-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지컴바이너, 이를 이용한 주파수 체배기 및 주파수 체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117A (ko) 2006-05-11
CN1801625A (zh) 2006-07-12
US7202721B2 (en) 2007-04-10
JP4309392B2 (ja) 2009-08-05
US20060097762A1 (en) 2006-05-11
JP2006148891A (ja) 2006-06-08
CN100530971C (zh)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360B1 (ko) 지연 동기 루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712884A (en) Data receiving method and circuit of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7057431B2 (en) Digital DLL apparatus for correcting duty cycle and method thereof
US6995591B2 (en) Register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6750692B2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clock signal
KR100811263B1 (ko)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US8698533B2 (en) Phase mixer with adjustable load-to-drive ratio
US10193539B1 (en) High speed data synchronization
GB2373384A (en) A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using a delay-locked-loop
US7234069B1 (en) Precise phase shifting using a DLL controlled, multi-stage delay chain
US20030052719A1 (en) Digital delay line and delay locked loop using the digital delay line
WO2006018943A1 (ja) 位相同期回路
USRE38482E1 (en) Delay stage circuitry for a ring oscillator
KR20210020584A (ko)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KR100505657B1 (ko) 서로 다른 단위 지연 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를 구비하는지연 시간 보상 회로
US6434062B2 (en) Delay locked loop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40325B2 (en) DLL circuit
US7884661B2 (en) Clock generator circuit, method of clock generating, and data output circuit using the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US6894539B2 (en) Delay locked loop having phase comparator
KR100782481B1 (ko) 클럭 신호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하는 클럭 신호 제공 회로
US9467152B2 (en) Output circuit
US8295121B2 (en) Clock buffer and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1127063A (ja) 集積回路装置
KR20040042427A (ko) 디엘엘(dll)의 확률적 락-인 불량 방지 회로
GB2376821A (en) Delayed locked loop clock generator using delay-pulse-delay con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