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741B1 -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741B1
KR100640741B1 KR1020050051217A KR20050051217A KR100640741B1 KR 100640741 B1 KR100640741 B1 KR 100640741B1 KR 1020050051217 A KR1020050051217 A KR 1020050051217A KR 20050051217 A KR20050051217 A KR 20050051217A KR 100640741 B1 KR100640741 B1 KR 10064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ive lens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213A (ko
Inventor
데이이치로 오카
쇼 나카고미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1Protecting the head, e.g. against dust or impact with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집광하여 광 기록 매체에 집속광을 조사하는 대물렌즈 및 그것을 구비한 액추에이터(actuator), 및 광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 헤드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돌에 의한 렌즈 보호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대물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보호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물렌즈(9)는, 렌즈부(21)와, 렌즈부(21)의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렌즈 가장자리부(23)를 가지고 있다. 렌즈 가장자리부(23)에는,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영역에 형성되어, 광 기록 매체와의 충돌 시에 렌즈 보호부(27)가 렌즈 가장자리부(23)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OBJECTIVE LENS, ACTUATOR, OPTICAL HEAD,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2 변형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5 변형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9)의 제7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헤드 3 : 하우징
4 : 베이스 플레이트부 5 : 액추에이터
7, 35 : 렌즈 홀더 9 : 대물렌즈
9a : 전방 렌즈 9b : 후방 렌즈
11 : 박리 방지부 13 : 와이어 베이스
15 : 도전성 탄성체 17 : 가이드
19 : 광 기록 매체 21, 21a, 21b : 렌즈부
23, 23a, 23b : 렌즈 가장자리부 25 : 최대 돌출부
26 : 정점 27, 27’: 렌즈 보호부
29 : 접착부 31 : 보호 패드
50 : 광 기록 재생 장치 52 : 스핀들 모터
54 : 컨트롤러 55 : 레이저 구동 회로
56 : 렌즈 구동 회로 57 :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
58 : 트래킹 서보 추종 회로 59 : 레이저 컨트롤 회로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집광하여 광 기록 매체에 집속광을 조사하는 대물렌즈 및 그것을 구비한 액추에이터, 및 광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 헤드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기록 재생 장치는, 광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나 광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 헤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광 기록 재생 장치는, 광 헤드로 광전 변환된 전기 신호의 연산이나 증폭 등을 행하는 신호 연산부와,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하고 광 헤드 및 스핀들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광 기록 재생 장치는, 광 헤드에 레이저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레이저 구동 회로와, 광 헤드에 액추에이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액추에이터 구동 회로를 가지고 있다. 레이저 구동 회로는 광 헤드 상에 탑재되는 경우도 많다.
최근, 광 기록 디바이스의 대용량화가 요구되어, 광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을 크게 하는 수단으로서, 대물렌즈의 개구 수(NA)를 높이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광 스폿의 직경이 대물렌즈의 NA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살려, NA를 높여 광 스폿 직경을 작게 죔으로써, 보다 작은 마크의 기록이나 재생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은 커진다. NA는 렌즈의 초점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고 NA의 대물렌즈를 이용한 경우, 대물렌즈와 광 기록 매체 사이의 거리(WD)(Working Distance)는 짧아진다.
광 기록 매체의 기록 중 또는 재생 중에 광 기록 재생 장치에 불의의 충격이 가해지면, 대물렌즈와 광 기록 매체가 충돌하여 대물렌즈나 광 기록 매체에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의 가동부나 대물렌즈의 주위에는 대물렌즈로부터 광 기록 매체 측으로 돌출하는 렌즈 보호부가 설치되어, 해당 렌즈 보호부가 대물렌즈보다 먼저 광 기록 매체에 접촉함으로써, 대물렌즈와 광 기록 매체의 충돌이 방지된다. WD가 짧아지면, 렌즈 보호부와 광 기록 매체의 접촉의 빈도나 가능성은 높아진다.
또한, 광 기록 디바이스에서는, 광 기록 매체와 대물렌즈의 광축과의 각도 어긋남(틸트)에 의해서 코마 수차가 발생하면, 광 스폿 품질이 열화해버린다. 이 때문에, 광 헤드의 조립 시에 틸트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고 NA의 대물렌즈에서는 WD가 짧아지므로, 액추에이터 가동부에서 대물렌즈로부터 떨어진 장소, 예컨대, 렌즈 홀더에 렌즈 보호부를 설치하면, 액추에이터를 약간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광 기록 매체에 렌즈 보호부가 충돌해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 헤드 광학계 자체가 코마 수차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역 방향의 코마 수차로 이것을 상쇄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액추에이터를 기울여야만 하기 때문에, 이 광 헤드 자체의 코마 수차가 큰 경우나, 이에 더하여 렌즈 보호부 등 각 부재의 장착 정밀도, 형상 정밀도가 나쁜 경우에는, 틸트 조정 중에 렌즈 보호부와 광 기록 매체가 접촉하여, 조정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집광하여 광 기록 매체에 집속광을 조사하는 렌즈부와, 이 렌즈부의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렌즈 가장자리부를 가지는 대물렌즈에서는, 렌즈 보호부는 렌즈부에 보다 가까운 장소, 예를 들어, 렌즈부의 렌즈 가장자리부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보호부를 대물렌즈 가장자리부 상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대물렌즈의 광학 기능부의 주위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의 선단부에 완충부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대물렌즈의 본체의 주위 평면에 본체의 돌출 표면보다도 돌출한 보호재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3-217163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2000-242958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완충부나 보호재를 대물렌즈의 렌즈 가장자리부 상에 형성하면, 틸트 조정의 조정 마진을 크게 할 수 있으나, 완충부나 보호재는 평탄한 대물렌즈 가장자리부상에 수지나 고무 등을 도 포하여 형성하므로 접착성이 약하다. 이 때문에, 대물렌즈와 광 기록 매체의 충돌의 충격으로 렌즈 보호부가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에 의한 렌즈 보호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대물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보호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집광하여 기록 매체에 집속광을 조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 매체와의 충돌 시에 상기 렌즈부를 보호하는 렌즈 보호부가 고정되는 렌즈 가장자리부와,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의 상기 렌즈 보호부의 고정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충돌 시에 상기 렌즈 보호부가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박리 방지부의 표면은, 상기 렌즈부의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2개소 이상(복수)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광축 방향으로 보아,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렌즈 보호부는, 상기 기록 매체보다 경도가 낮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렌즈 보호부는, 상기 박리 방지부상에 형성된 접착성을 가지는 수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로서,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는, 유리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대물렌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개략의 구성에 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헤드(1)는, 광 기록 매체(19)의 반경 방향(래디얼 방향)(R)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예컨대, 2개의 가이드(17)로 안내되어 도시하지 않은 조동(粗動)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반경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는, 도시하지 않는 자석과, 이것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포커스용 코일, 트래킹용 코일 등을 조합함으로써 가동한다.
또한, 렌즈 홀더(7)는, 광 헤드(1)의 하우징(3)의 베이스 플레이트부(4)로부터 우뚝 솟은 와이어 베이스(13)로부터 연장된 예컨대, 4개의 도전성 탄성체(15)에 지지되어 있다. 도전성 탄성체(15)는 렌즈 홀더(7)의 코일에 통전하는 배선으로서의 기능과, 렌즈 홀더(7)를 와이어 베이스(1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캔틸레버(cantilever)식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물렌즈(9)는, 렌즈부(21)와, 렌즈부(21)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렌즈 가장자리부(23)를 가지고 있다. 렌즈 가장자리부(23)에는 렌즈부(21)와 광 기록 매체(19)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 2개의 렌즈 보호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보호부(27)는, 렌즈 가장자리부(23) 상에서 렌즈부를 개재하여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렌즈 보호부(27)가 광 기록 매체(19)의 반경 방향(R) 상으로 광축을 끼도록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대물렌즈(9)는 렌즈 홀더(7)에 고정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9)는 광 헤드(1)의 시크 동작 시에, 광 기록 매체(19)의 반경 방향(R) 상에, 즉, 광 기록 매체(19)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서 기록 트랙의 접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대물렌즈(9)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대물렌즈(9)를 광 기록 매체(19)에 대면하는 렌즈면 측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2(a)에서 광축을 지나는 가상선 A-A에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대물렌즈(9)의 렌즈 가장자리부(23)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9)는, 광의 입사출면이 볼록 형상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집광하여 광 기록 매체(19)에 집속광을 조사하는 렌즈부(2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렌즈부(21)의 주위에는, 링 형상의 렌즈 가장자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대물렌즈(9)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렌즈부(21)와 렌즈 가장자리부(2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 가장자리부(23)의 광 기록 매체(19)에 대면하는 측(이하,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이라고 한다)에 설치된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영역에는, 충돌 시에 렌즈 보호부(27)가 렌즈 가장자리부(23)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박리 방지부(11)는, 렌즈부(21)의 광축에 거의 대칭이 되도록,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박리 방지부(11)는 직육면체의 볼록 형상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물렌즈(11)의 성형 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 방지부(11) 상에는, 렌즈부(21)가 광 기록 매체(19)와 충돌하지 않도록 설치된 렌즈 보호부(27)가 고정되어 있다. 렌즈 보호부(27)는, 광 기록 매체(19)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 예컨대 자외선 경화성, 열 경화성, 탈 옥심(oxime) 타입 등의 수지로 예컨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보호부(27)는, 도면 중 단면에서, 렌즈부(21)의 구면의 최대 돌출부(25)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렌즈부(21)는 광 기록 매체(19)에 충돌하지 않게 되므로, 렌즈부(21) 또는 광 기록 매체(1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방지부(11) 상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하면, 박리 방지부(11)는, 렌즈 보호부(27)로 덮이는 동시에, 렌즈 보호부(27) 내로 일부 돌출한다. 이에 의해, 렌즈 보호부(27)와 대물렌즈(9)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 구동 시에 대물렌즈(9)와 광 기록 매체(19)가 접근하여 렌즈 보호부(27)와 광 기록 매체(19)가 충돌하더라도, 그 충격으로 렌즈 보호부(27)가 렌즈 가장자리부(23)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방지부(11)를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써, 렌즈 보호부(27)의 높이 조정 등을 하기 쉬워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보호부(27)는, 박리 방지부(11) 상에 접착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된 접착부(29)와, 접착부(29) 상에 고착된 보호 패드(31)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보호 패드(31)는, 광 기록 매체(19)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 예컨대 고무, 실리콘 고무,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테플론(등록상표)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부(29)는 자외선 경화성, 열 경화성, 탈 옥심 타입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단면에서, 보호 패드(31)가 렌즈부(21)의 최대 돌출부(25)보다 높아지도록 렌즈 보호부(27)를 형성하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물렌즈(9)의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박리 방지부(11)를 가지고, 그 위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함으로써,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과 렌즈 보호부(27)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 보호부(27)는, 광 기록 매체(19)에 충돌하더라도,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렌즈부(21)와 렌즈 보호부(27)를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광 헤드의 조립 시의 틸트 조정의 조정 마진을 크게 할 수 있어, 대물렌즈(9)가 고 NA이고 WD가 짧더라도, 문제없이 틸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해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대물렌즈(9)를 광 기록 매체(19)에 대면하는 렌즈면 측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렌즈 가장자리부(23)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는 대물렌즈(9)는,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이며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박리 방지부(1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박리 방지부(11)를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위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대물렌즈(9)를 렌즈 홀더(7)에 장착할 때에, 대물렌즈(9)의 설치 방향(대물렌즈(9)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방위)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대물렌즈(9)까지의 광학계에서, 대물렌즈(9)를 제외한 해당 광학계의 비점수차를 대물렌즈(9)가 가지는 비점수차로 상쇄하고자 할 때에 이용하는 광 헤드 (1)의 조립 방법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렌즈 보호부(27)의 장착은 대물렌즈(9)를 렌즈 홀더(7)에 접착한 후에 행해진다.
예를 들어, 광학계의 비점수차가 대물렌즈(9)의 비점수차로 상쇄되도록, 대물렌즈(9)를 렌즈 홀더(7)에 고정한 후에,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기록 매체(19)의 반경 방향(R) 상으로 광축을 끼우도록, 수지로 형성된 2개의 렌즈 보호부(27)를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 상의 렌즈 보호부(27)에 더하여, 반경 방향으로 직교하고, 광 기록 매체(19)의 기록 트랙의 접선 방향(탄젠셜(tangential) 방향) 상으로 광축을 끼우도록, 수지로 형성된 2개의 렌즈 보호부(27’)를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틸트 조정 후의 액추에이터(5)가 탄젠셜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쉬운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 방지부(11)의 전면에 수지로 형성된 고리 형상의 렌즈 보호부(27)를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물렌즈(9)를 렌즈 홀더(7)에 접착하기 전에 렌즈 보호부(27)를 대물렌즈(9)에 설치하더라도, 대물렌즈(9)의 렌즈 홀더(7)로의 설치 방향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물렌즈(9) 단체(單體)의 상태로 렌즈 보호부(27)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9)의 제조 공정에서 렌즈 보호부(27)를 장착하는 작업을 한꺼번에 할 수 있어, 광 헤드(1)의 양산성은 높아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박리 방지부(11)상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하면, 박리 방지부(11)는, 렌즈 보호부(27)로 덮이는 동시에, 렌즈 보호부(27) 내로 일부 돌출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대물렌즈(9)의 광축에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대물렌즈(9)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6(b)는, 대물렌즈(9)의 렌즈 가장자리부(23)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대물렌즈(9)는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영역의 높이가 최대 돌출부(25)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직육면체의 오목 형상의 홈 형상으로 형성된 박리 방지부(11)가, 렌즈부(21)의 광축에 거의 대칭이 되도록,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2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대물렌즈(9)에서는, 제조 시의 밀도 분포의 편향을 방지하는 등의 이유로, 렌즈 가장자리부(23)를 크게 잡음으로써,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영역의 높이가 렌즈부(21)의 최대 돌출부(25)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박리 방지부(11)가 돌기 형상이라면, 박리 방지부(11)만으로 렌즈부(21)의 최대 돌출부(25)보다도 높아진다. 또한 박리 방지부(11)에 렌즈 보호부(27)를 설치하면, 결과적으로 WD를 크게 손실하게 되어, 광 기록 매체(19)에의 충돌 자체가 빈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는, 박리 방지부(11)의 형상은 홈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돌기 형상의 박리 방지부(11)이더라도 물론 된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렌즈 보호부 (27)를 고정하면, 렌즈 보호부(27)는 박리 방지부(11) 위를 덮는 동시에, 박리 방지부(11)안에 일부 매립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렌즈 보호부(27)와 대물렌즈(9)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박리 방지부(11)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오목 형상의 홈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삼각형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본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박리 방지부(11)는,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이며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렌즈 보호부(27) 또는 고리 형상의 렌즈 보호부(27)를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대물렌즈(9)의 광축에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대물렌즈(9)의 광 기록 매체(19)에 대향하는 렌즈부(21) 표면은 오목 형상의 구면으로 되어 있고,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은 이미 오목부의 정점(26)보다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2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본 변형예에서도, WD가 크게 손실되지 않고, 광 기록 매체(19)에의 충돌 자체가 빈발하지 않도록, 박리 방지부(11)의 형상은 홈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돌기 형상의 박리 방지부(11)이더라도 물론 된다.
또한, 박리 방지부(11)는, 렌즈부(21)의 광축에 거의 대칭이 되도록,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2개 형성되어 있으면 되지만,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이며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물론 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하면, 렌즈 보호부(27)는 박리 방지부(11) 위를 덮는 동시에, 박리 방지부(11) 내에 일부 매립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렌즈 보호부(27)와 대물렌즈(9)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4 변형예에 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대물렌즈(9)의 광축에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대물렌즈(9)는, 개구 수를 크게 하기 위해서, 전방 렌즈(9a)와 후방 렌즈(9b)를 가지고 있다. 전방 렌즈(9a)는 렌즈부(21a)와, 렌즈부(21a)의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렌즈 가장자리부(23a)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 렌즈(9b)는 렌즈부(21b)와, 렌즈부(21b)의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렌즈 가장자리부(23b)를 가지고 있다.
전방 렌즈(9a)는, 광 기록 매체(19)에 대향하도록, 원통 형상의 렌즈 홀더(35)의 단면부(端面部)에 렌즈 가장자리부(23a)를 접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렌즈(9b)는 전방 렌즈(9a)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렌즈 홀더(35) 내부에 렌즈 가장자리부(23b)를 접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렌즈(9a)의 렌즈 가장자리부(23a) 표면과 광 기록 매체(19) 측의 렌즈부(21a) 표면은, 거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WD가 크게 손실되지 않고, 광 기록 매체(19)로의 충돌 자체가 빈발하지 않도록, 박리 방지부(11)의 형상은 홈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돌기 형상의 박리 방지부(11)이더라도 물론 된다. 또한, 대물렌즈(9)가 2개의 렌즈(9a, 9b)를 가지고 있더라도, 광 기록 매체(19)에 대향하는 전방 렌즈(9a)의 렌즈 가장자리부(23a) 표면에 박리 방지부(11)를 형성하여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5 변형예에 관해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대물렌즈(9)의 광축에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대물렌즈(9)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10(b)는, 대물렌즈(9)의 렌즈 가장자리부(23)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대물렌즈(9)는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영역의 높이가 최대 돌출부(2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직육면체의 오목 형상의 홈 형상으로 형성된 박리 방지부(11)가, 렌즈부(21)의 광축에 거의 대칭이 되도록,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2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렌즈 보호부(27)의 고정 영역의 높이가 최대 돌출부(25)의 높이보다 낮더라도, 렌즈 보호부(27)를 최대 돌출부(25)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렌즈부(21)는 기록 매체(19)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렌즈부(21) 또는 광 기록 매체(1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렌즈 보호부(27)를 고정하면, 렌즈 보호부(27)는 박리 방지부(11) 위를 덮는 동시에, 박리 방지부(11) 내에 일부 매립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렌즈 보호부(27)와 대물렌즈(9)와의 접착성을 향 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박리 방지부(11)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오목 형상의 홈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삼각형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본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박리 방지부(11)는,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이며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6 변형예에 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대물렌즈(9)를 광 기록 매체(19)에 대면하는 렌즈면 측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b)는, 도 12(a)에서 광축을 지나는 가상선 A-A에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대물렌즈(9)는, 렌즈부(21)의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된 박리 방지부(1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박리 방지부(11)는 새틴 피니시드(satin finished)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 형상은 예컨대, 톱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새틴 피니시드면의 거칠기는 예컨대, 25-S 정도(JISB0659 준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축 방향으로 본 박리 방지부(11)의 형상은 예컨대, 부채 형상으로 만곡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리 방지부(11)를 덮도록 렌즈 보호부(27)를 형성함으로써, 렌즈 보호부(27)의 일부는 새틴 피니시드면의 오목부에 매립되어 형성되므로, 렌즈 보호부(27)와 대물렌즈(9)와의 접착성은 향상하여,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런데, 대물렌즈(9)를 유리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 재료와 비교하 여, 홈 형상이나 돌기 형상의 박리 방지부(11)를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새틴 피니시드면 형상으로 형성된 박리 방지부(11)는 유리 재료의 대물렌즈(9)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박리 방지부(11)가 새틴 피니시드면 형상이 됨으로써, 렌즈 보호부(27)를 형성하는 수지와 박리 방지부(11)의 접촉면의 계면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렌즈 보호부(27)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7 변형예에 관해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대물렌즈(9)를 광 기록 매체(19)에 대면하는 렌즈면 측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는 대물렌즈(9)는, 새틴 피니시드면을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한 박리 방지부(1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렌즈 보호부(27) 또는 고리 형상의 렌즈 보호부(27)를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광 헤드(1)를 탑재한 광 기록 재생 장치(5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광 기록 재생 장치(5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기록 매체(19)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52)와, 광 기록 매체(19)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동시에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 헤드(1)와, 스핀들 모터(52) 및 광 헤드(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4)와, 광 헤드(1)에 레이저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레이저 구동 회로(55)와, 광 헤드(1)에 렌즈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렌 즈 구동 회로(56)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54)에는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57), 트래킹 서보 추종 회로(58) 및 레이저 컨트롤 회로(59)가 포함되어 있다.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57)가 작동하면, 회전하고 있는 기록 매체(19)의 정보 기록면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상태가 되고, 트래킹 서보 추종 회로(58)가 작동하면, 광 기록 매체(19)의 편심하고 있는 신호 트랙에 대하여, 레이저빔의 스폿이 자동 추종 상태가 된다.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57) 및 트래킹 서보 추종 회로(58)에는, 포커스 게인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오토 게인 컨트롤 기능 및 트래킹 게인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오토 게인 컨트롤 기능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 컨트롤 회로(59)는, 레이저 구동 회로(55)에 의해 공급되는 레이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고, 광 기록 매체(19)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조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레이저 구동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이들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57), 트래킹 서보 추종 회로(58) 및 레이저 컨트롤 회로(59)에 관해서는, 컨트롤러(54)내에 장착된 회로일 필요는 없고, 컨트롤러(54)와 별개의 부품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은 물리적인 회로일 필요는 없고, 컨트롤러(54)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나타낸 박리 방지부(11)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유리 재료로 형성된 대물렌즈(9) 중 어느 것에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 1부터 변형예 5에서 나타낸 박리 방지부(11) 의 표면을 새틴 피니시드면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렌즈 보호부(27)를 형성하는 수지와 박리 방지부(11)의 접촉면의 계면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렌즈 보호부(27)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박리 방지부(11)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제1 및 제7 변형예를 제외하고, 대물렌즈(9)의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형성된 박리 방지부(11)는, 렌즈부(21)의 광축에 대하여 거의 대칭이 되도록 2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박리 방지부(11)는 렌즈 가장자리부(23) 표면에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 시에 렌즈 보호부가 렌즈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집광하여 기록 매체에 집속광을 조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 매체와의 충돌 시에 상기 렌즈부를 보호하는 렌즈 보호부가 고정되는 렌즈 가장자리부와,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의 상기 렌즈 보호부의 고정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충돌 시에 상기 렌즈 보호부가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지부의 표면은, 상기 렌즈부의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2개소 이상(복수) 형성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광축 방향으로 보아,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보호부는, 상기 기록 매체보다 경도가 낮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보호부는, 상기 박리 방지부 상에 형성된 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렌즈 가장자리부는, 유리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11.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물렌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12. 제11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
  13. 제12항에 기재된 광 헤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20050051217A 2004-06-15 2005-06-15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0640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6585A JP2006004466A (ja) 2004-06-15 2004-06-15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光ヘッド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JP-P-2004-00176585 2004-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213A KR20060049213A (ko) 2006-05-18
KR100640741B1 true KR100640741B1 (ko) 2006-10-31

Family

ID=3546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217A KR100640741B1 (ko) 2004-06-15 2005-06-15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76207A1 (ko)
JP (1) JP2006004466A (ko)
KR (1) KR100640741B1 (ko)
CN (1) CN1721902A (ko)
TW (1) TWI277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3602A1 (en) * 2005-08-03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Unit
JP2008130160A (ja) * 2006-11-21 2008-06-05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素子
JP2008130178A (ja) * 2006-11-22 2008-06-05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ユニット並びに光学素子製造方法
JP4778951B2 (ja) * 2007-01-15 2011-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の傾き調整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の傾き調整方法
US7522357B2 (en) * 2007-01-15 2009-04-21 Sharp Kabushiki Kaisha Tilt adjustment device for objective lenses and method of adjusting tilt of objective lenses
JP4989302B2 (ja) * 2007-05-10 2012-08-01 Hoya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光学系組付方法
JP2009104740A (ja) * 2007-10-25 2009-05-14 Funai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JP4807398B2 (ja) * 2008-10-14 2011-11-02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US8427928B2 (en) * 2009-01-26 2013-04-23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head and optical information device
JP2010257537A (ja) * 2009-04-27 2010-11-11 Panasonic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5998962B2 (ja) * 2013-01-31 2016-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光装置
CN103558459B (zh) * 2013-11-11 2015-11-18 电子科技大学 一种外场天线方向图的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6847A (ja) 1997-03-04 1998-09-14 Nikon Corp モールド非球面レンズを有するレンズ鏡筒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369A (en) * 1996-11-15 1999-04-13 Fuji Photo Optical Co., Ltd. Lens device with anti-fogging
JP4136160B2 (ja) * 1999-02-19 2008-08-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対物レン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6847A (ja) 1997-03-04 1998-09-14 Nikon Corp モールド非球面レンズを有するレンズ鏡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1902A (zh) 2006-01-18
TW200606915A (en) 2006-02-16
KR20060049213A (ko) 2006-05-18
JP2006004466A (ja) 2006-01-05
TWI277969B (en) 2007-04-01
US20050276207A1 (en)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41B1 (ko) 대물렌즈, 액추에이터,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US7873970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EP1161701B9 (en) Objective lens
WO2003007044A1 (fr) Lentille de focalisation et dispositif de phonocapteur optique faisant appel a ladite lentille
EP2001016B1 (en) Lens driving device, optical pickup device and adjusting method
JP4577198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6338783A (ja)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ホルダ、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テクタ表層材の摩擦帯電電位の測定方法、その対物レンズホルダ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766204B1 (ko) 대물렌즈의 보호부재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
EP1906396B1 (en) Tilt adjusting mechanism for objective lens
JPH1022158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8161503B2 (en) Objective lens actuator and an optical pickup
US8473972B2 (en) Optical pickup and drive apparatus
JP2006302338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80037385A1 (en) Objective-lens driving apparatus and optical pickup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using same
EP2221814B1 (en) Objective lens actuator
JP414931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801609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5317060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01668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6331515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276897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148128A (ja) 光学式情報処理装置
KR20050052129A (ko) 광픽업 엑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