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143B1 - 헤드램프 클리너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143B1
KR100639143B1 KR1020050070282A KR20050070282A KR100639143B1 KR 100639143 B1 KR100639143 B1 KR 100639143B1 KR 1020050070282 A KR1020050070282 A KR 1020050070282A KR 20050070282 A KR20050070282 A KR 20050070282A KR 100639143 B1 KR100639143 B1 KR 10063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racket
opening
position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004A (ko
Inventor
히로아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6004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60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signalling devices, e.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8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the spreading means being moved between a rest position and a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60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signalling devices, e.g. reflectors
    • B60S1/60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signalling devices, e.g. reflectors the oper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means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의 선단부를 범퍼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도 확실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가동시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40)과, 이 분사 노즐을 지지한 피스톤(20)과, 범퍼(90)의 개구부(91)를 지나서 분사 위치와 저장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을 지지한 실린더(10)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범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노즐 커버(70)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가 브래킷(50)을 통해 상기 범퍼의 개구부에 부착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범퍼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벽(524, 525)을 지니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732, 741)를 지니고, 상기 피스톤이 저장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부가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된다.

Description

헤드램프 클리너{HEADLAMP CLEANER}
도 1은 도 2와 함께 본 발명의 헤드램프 클리너의 실시형태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며, 본 도면은 저장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는 분사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은 브래킷, 탄성 부재, 노즐 커버 및 범퍼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주요부를 절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브래킷이 범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램프 클리너
10 : 실린더,
20 : 피스톤
40 : 분사 노즐,
50 : 브래킷
521 : 충돌 접촉벽,
523 : 장착 부재
523a : 결합 구멍
524 : 위치 결정 벽
525 : 위치 결정 벽,
60 : 탄성 커버 패킹(탄성 부재)
70 : 노즐 커버,
73 : 리브
732 : 위치 결정 가장자리(위치 결정부),
74 : 리브
741 : 위치 결정 가장자리(위치 결정부),
80 : 헤드램프
81 : 전면 렌즈,
90 : 범퍼
91 : 개구부,
92 : 결합 돌기.
본 발명은 신규의 헤드램프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저장시에 분사 노즐을 덮는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좋지 않은 길을 주행하는 등에 의해 헤드램프의 전면 렌즈가 더러워졌을 때에, 헤드 램프의 전면 렌즈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헤드램프 클리너가 알려 져 있다.
헤드램프 클리너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제안되어 있는데, 범퍼의 이면에 배치되어, 세정액을 분사할 때에는, 분사 노즐을 범퍼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범퍼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세정액을 분사하지 않는 저장시에는, 분사 노즐을 범퍼의 이면에 저장하는 타입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범퍼에 마련한 개구부로부터 분사 노즐을 출납하는 경우에는, 저장시에, 범퍼의 개구부가 그대로의 상태로는, 미관이 나쁘기 때문에, 저장시에는 범퍼에 마련한 개구부를 노즐 커버에 의해서 외측에서 덮도록 하는 것이 예컨대, 특허문헌 1에 의해서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헤드램프 클리너와 같이, 저장시에 노즐 커버에 의해서 범퍼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면, 범퍼의 개구부가 눈에 띄지 않게 가려져, 범퍼 외측의 미관이 확실히 양호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2-37037호 공보
그런데, 노즐 커버는 범퍼의 개구부를 덮는 데 필요하고 또한 충분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헤드램프 클리너에 있어서는, 노즐 커버를 위치 결정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장시에, 노즐 커버와 범퍼의 개구부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사 노즐을 갖는 피스톤을 지지한 실린더의 선단부를 범퍼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사 노즐의 이동 궤적과 범퍼의 개구부 사 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범퍼의 개구부의 위치와 차체의 (실린더가 고정되는) 다른 부분 사이의 위치 관계가 고정밀도로 규정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위치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은 작지 않다.
상기한 것과 같은 위치 어긋남이 생기면, 범퍼의 개구부 주변의 미관이 손상되거나, 분사 노즐의 이동이 버퍼와 간섭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린더의 선단부를 범퍼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도 확실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 클리너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동시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을 지지한 피스톤과, 범퍼의 개구부를 지나서 분사 위치와 저장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을 지지한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범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노즐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가 브래킷을 통해 상기 범퍼의 개구부에 부착된 헤드램프 클리너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범퍼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벽을 갖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이 저장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부가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램프 클리너에 있어서는, 실린더가 브래킷에 의해서 범퍼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되고, 또, 노즐 커버가 브래킷에 대하여 위치 결정됨으로써, 범퍼에 대하여도 위치 결정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헤드램프 클리너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헤드램프 클리너(1)는 실린더(10)와, 피스톤(20)과, 노즐 홀더(30)와, 분사 노즐(40)과, 브래킷(50)과, 탄성 커버 패킹(60)과, 노즐 커버(70)를 구비한다.
실린더(1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스톤(20)이 실린더(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20)은 저장시에는, 실린더(10)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서 도 1에 도시하는 저장 위치에 유지된다. 도시하지 않는 세정액 공급관을 통해 실린더(10) 내에 세정액이 공급되어, 실린더(10) 내의 세정액의 압력이 증대되면, 그 세정액의 압력이 실린더(10) 내의 스프링의 힘을 이기고 피스톤(20)을 실린더(10)로부터 돌출시키고, 이로써 피스톤(20)은 도 2에 도시하는 분사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20)의 선단부에는 노즐 홀더(30)가 부착되어 있고, 이 노즐 홀더(30)에 분사 노즐(40)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실린더(10) 내에 세정액이 공급되어 세정액 압력에 의해서 피스톤(20)이 분사 위치까지 이동하면, 실린더(10) 내의 세정액의 압력이 더욱 상승하여, 실린더(10) 또는 피스톤(20)에 설치된 체크 밸브가 열려 실린더(10)로부터 피스톤(20), 노즐 홀더(30), 분사 노즐(40)에 이르는 유로가 개통되어, 분사 노즐(40)의 분사구(41)로부터 세정액이 헤드램프(80)의 전면 렌즈(41)로 향해서 분사된다.
헤드램프(80)의 전면 렌즈(81)의 세정이 종료되어, 실린더(10) 안으로의 세정액의 공급이 정지되면, 실린더(10) 내의 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실린더(10) 내 의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상기 압력을 이겨서, 이 스프링력에 의해서 피스톤(20)이 실린더(10) 내로 인입되어, 도 1에 도시하는 저장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피스톤(20)이 저장 위치와 분사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피스톤(20)의 선단에 노즐 홀더(30)를 통해 지지되어 있는 분사 노즐(40)은 범퍼(90)에 형성된 개구부(91)를 지나서 범퍼(90)의 내외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피스톤(20)이 저장 위치에 있을 때는, 범퍼(90)의 전면에 노즐 커버(70)가 접촉하여, 개구부(91)를 덮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 커버(70)는 분사 노즐(40)을 대략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노즐 홀더(3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는 브래킷(50)을 통해 차체, 이 실시형태에서는 범퍼(90)에 고정된다. 브래킷(50)은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51)는 실린더(10)와 연결되는 동시에 범퍼(90)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제2 연결부(52)는 범퍼(90)의 개구부(91)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51)는 원통부(511), 장착 부재(512) 및 호스 지지부(5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부(511)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몇 개의 결합 구멍(511a, 511a, …)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512)는 원통부(5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고 있으며, 이 장착 부재(512)에는 장착 구멍(512a)이 형성되어 있다. 호스 지지부(513)도 원통부(5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거의 원형을 한 지지 절결부(513a)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50)의 제1 연결부(51)의 원통부(511)는 실린더(10)의 전단부에 외측에서 끼워져, 실린더(10)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결합 돌기(11, 11, …) 가 브래킷(50)의 원통부(51)에 형성된 결합 구멍(511a, 511a, …)과 결합함(도 4 참조)으로써, 브래킷(50)과 실린더(10)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브래킷(50)의 장착 부재(512)가 범퍼(90)의 하단부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또는 댐핑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도 1, 도 2 참조).
브래킷(50)의 제2 연결부(52)는 제1 연결부(51)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의 형상이 대략 각진 통형을 하고 있다. 제2 연결부(52)는 대략 각진 통형을 이루는 충돌 접촉벽(521)을 지니고, 이 충돌 접촉벽(521) 중 좌우에 위치한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는 다른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522, 522, …)이 형성되며, 이 슬릿(522, 522, …) 사이의 부분(523, 523)이 장착 부재로 되고, 이 장착 부재(523, 523) 중 다른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구멍(523a, 5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돌 접촉벽(521) 중 상기 장착 부재(523, 523)로 된 부분의 외면은 다른 부분의 외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 접촉벽(521) 중 장착 부재(523, 523)로 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전단(前端)은 장착 부재(523, 523)의 외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며, 그 전단면(521a)이 충돌 접촉면으로 된다.
상기 충돌 접촉벽(521)의 상측의 코너부의 내측에 약간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 벽(524, 524)이 형성되고, 이 위치 결정 벽(524, 524)의 상단부는 중앙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벽(524, 524)의 양단부는 충돌 접촉벽(521)의 내면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위치 결정 벽(524, 524)의 전단은 충돌 접 촉벽(521)의 전단, 즉 충돌 접촉면(52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충돌 접촉벽(521)의 하측 부분의 내측에 약간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또 하나의 위치 결정 벽(525)이 형성되고, 이 위치 결정 벽(525)의 양단은 충돌 접촉벽(521)의 측부에 위치한 부분의 내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위치 결정 벽(525)의 전단은 충돌 접촉벽(521)의 전단, 즉 충돌 접촉면(52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있다.
탄성 커버 패킹(60)은 합성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대략 각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브래킷(50)의 상기 제2 연결부(52)의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외측에서 덮는 크기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탄성 커버 패킹(60)의 전단부에는 상측과 하측의 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차양형 부분(61)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 커버 패킹(60)이 브래킷(50)의 제2 연결부(52)에 외부에서 끼워졌을 때에, 상기 차양형 부분(61)이 충돌 접촉벽(521)의 전단면, 즉 충돌 접촉면(521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 커버(70)는 커버부(71)와, 장착 다리부(72, 72)와, 복수의 리브(73, 73, …, 74, 74, 75, 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서는, 노즐 커버(70)의 방향을 브래킷(50) 및 탄성 커버 패킹(60)의 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거의 90° 각도 열린 방향으로 하여, 노즐 커버(70)의 후면이 보이도록 하고 있다.
노즐 커버(70)의 커버부(71)는 판형 부재를 대략 범퍼(80)의 전면 형상을 대략 따르는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커버부(71)의 후면의 좌우에 이격된 위치로부터 거의 원주형을 한 장착 다리부(72, 72)가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 다리부(72, 72)의 후단면에는 나사 구멍(721, 721)이 개구 되어 있다. 리브(73, 73, …)는 커버부(71)의 후면과 장착 다리부(72, 72)의 상하 측면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후방에서 보아 장착 다리부(72, 7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73, 73, …)의 상하측 가장자리는 경사 가장자리(731, 731, …)와 위치 결정 가장자리(732, 732, …)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 결정 가장자리(732, 732, …)는 전단부, 즉 커버부(71)측의 부분이며, 장착 다리부(72, 72)의 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 가장자리(732, 732)는 상기 위치 결정 가장자리(732, 732, …)의 후측에 연속되는 부분이며,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장착 다리부(72, 72)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리브(74, 74)는 커버부(71)와 장착 다리부(72, 72)의 외측 측면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후방에서 보아, 장착 다리부(72, 72)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브(74, 74)의 장착 다리부(72, 72)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반대측의 측부 가장자리는 커버부(71)측의 위치 결정 가장자리(741, 741)와 경사 가장자리(742, 742)로 이루어진다. 위치 결정 가장자리(741, 741)는 장착 다리부(72, 72)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경사 가장자리(742, 742)는 위치 결정 가장자리(741, 741)의 후방측에 연속하여,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장착 다리부(72, 72)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리브(75, 75)는 커버부(71)와 장착 다리부(72, 72)의 내측 측면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후방에서 보아, 장착 다리부(72, 72)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73, 73, …, 74, 74, 75, 75)는 장착 다리부(72, 72)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며, 또 리브(73, 73, …, 74, 7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71)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노즐 커버(70)는 노즐 홀더(30)를 후방으로부터 삽입 관통한 나사(76, 76)가 장착 다리부(72, 72)의 후단면에 개구된 나사 구멍(721, 721)에 나사식 부착되고(도 4 참조), 이로써 노즐 홀더(30)의 전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노즐 홀더(30)에 지지된 분사 노즐(40)은 장착 다리부(72와 7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범퍼(90)에 형성된 개구부(91)는 상기 브래킷(50)의 위치 결정 벽(524, 524, 525), 장착 부재(523, 523)의 외부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측 가장자리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는 결합 돌기(92, 92)가 안쪽으로 돌출되고 있다(도 3 참조).
그래서, 탄성 커버 패킹(60)을 상기한 것과 같이 외부에서 끼운 브래킷(50)의 장착 부재(523, 523), 위치 결정 벽(524, 524, 525)을 후방으로부터 범퍼(90)의 개구부(91)에 삽입 관통한다. 이 때, 장착 부재(523, 523)는 약간 내측으로 휜 상태로 해 놓인다. 장착 부재(512, 512), 위치 결정 벽(524, 524, 525)을 범퍼(90)의 개구부(91)에 삽입 관통시킨 곳에서, 장착 부재(523, 523)를 휘게 하였던 힘을 개방하면, 장착 부재(523, 523)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 이 장착 부재(523, 523)의 결합 구멍(523a, 523a)에 범퍼(90)의 개구부(91)에 형성된 결합 돌기(92, 92)가 결합하고, 이로써 브래킷(50)의 전단부가 범퍼(90)의 개구부(91)에 지지된다. 그리고, 장착 부재(523, 523), 위치 결정 벽(524, 524, 525)이 범퍼(90)의 개구부(91)의 개구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한다(도 4, 도 5 참조). 또한, 충돌 접촉벽(521)의 전단, 즉 충돌 접촉면(521a)은 탄성 커버 패킹(60)의 차양형 부분(61, 61)을 통해 범퍼(90)의 개구부(91)의 개구 가장자리 근방의 이면에 맞대어진 상태로 되고(도 4 참조), 이로써 브래킷(50)이 범퍼(90)의 개구부(9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실린더(10)의 위치가 안정되고, 나아가서는, 실린더(10)에 지지된 피스톤(20), 피스톤(20)에 지지된 분사 노즐(40)의 위치도 안정된다.
노즐 커버(70)는 브래킷(50)이 범퍼(90)에 장착된 후에 노즐 홀더(30)에 고정된다. 그리고, 범퍼(90)의 개구부(91)가 노즐 커버(70)의 커버부(71)에 의해서 앞쪽으로부터 덮인다. 그리고, 피스톤(20)이 도 1에 도시하는 저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커버(70)는 브래킷(50)의 위치 결정 벽(524, 524, 525), 장착 부재(523, 523)에 의해서 그 위치가 안정된다.
즉, 노즐 커버(70)에 설치된 리브(73, 73, …)의 위치 결정 가장자리(732, 732, …)가 위쪽에서는 브래킷(50)의 상측의 위치 결정 벽(524, 524)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또한 아래쪽에서는 브래킷(50)의 하측의 위치 결정 벽(525)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이로써 브래킷(50)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노즐 커버(70)에 설치된 리브(74, 74)의 위치 결정 가장자리(732, 732)가 브래킷(50)의 장착 부재(523, 523)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이로써 노즐 커버(70)는 브래킷(50)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브래킷(50)은 범퍼(90)의 개구부(91)에 대하여 직접 지지됨으로써, 브래킷(50)과 범퍼(90)의 개구부(91)의 위치 관계는 정확하게 규정된다. 그와 같은 브래킷(50)에 대하여, 노즐 커버(70)가, 상기한 것과 같은 식으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노즐 커버(70)의 범퍼(90)의 개구부(91)에 대한 위치도 정확하게 규정된다. 따라서, 노즐 커버(70)와 범퍼(90)의 개구부(91)와의 위치가 틀어져, 미관이 손상되거나, 노즐 커버(70)의 개폐 동작이 손상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한편, 피스톤(20)이 분사 위치에서 저장 위치로 이동할 때에, 노즐 커버(70)와 브래킷(50)과의 위치 관계에 틀어짐이 있었던 경우라도, 각 리브(73, 73, …, 74, 74)의 경사 가장자리(731, 731, …, 742, 742)가 브래킷(50)의 장착 부재(523, 523), 위치 결정 벽(524, 524, 525)의 전단의 내측 가장자리를 미끄럼 이동해 나감으로써, 노즐 커버(70)는 정규의 위치로 인입되어 간다.
한편,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부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행하는 구체화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의 헤드램프의 전면 렌즈를 세정하기 위한 헤드램프 클리너로서, 범퍼에 부착하는 것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 클리너는, 가동시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이 분사 노즐을 지지한 피스톤과, 범퍼의 개구부를 지나서 분사 위치와 저장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을 지지한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범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노즐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가 브래킷을 통해 상기 범퍼의 개구부에 부착된 헤드램프 클리너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범퍼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벽을 갖고, 상기 노 즐 커버는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이 저장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부가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램프 클리너에 있어서는, 실린더가 브래킷에 의해서 범퍼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저장시에, 노즐 커버는, 범퍼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부가 접촉함으로써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노즐 커버의 위치가 범퍼의 개구부에서 크게 틀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노즐 커버와 범퍼의 개구부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서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브래킷은 충돌 접촉벽을 지니고, 상기 충돌 접촉벽의 단부면이 탄성 부재를 통해 범퍼의 상기 개구부의 이면 개구 가장자리에 맞부딪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과 범퍼 사이의 엇물림이 방지되어, 브래킷이 범퍼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브래킷의 상기 충돌 접촉벽은 상기 위치 결정 벽을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벽을 범퍼의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 피스톤, 나아가서는, 노즐의 위치를 범퍼의 개구부에 대하여 올바른 위치 관계로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범퍼의 개구부는 결합 돌기를 갖고, 상기 브래킷은 결합 구멍을 갖추는 장착 부재를 지니며, 상기 장착 부재의 결합 구멍이 상기 범퍼의 결합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이 범퍼에 고정되기 때 문에, 브래킷을 범퍼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 부재와 위치 결정 벽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면내에서 절단한 단면으로 4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위치 결정 벽과 장착 부재에 각각 따로 접촉하는 리브를 갖기 때문에, 노즐 커버는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거의 수직인 면내에 있어서의 전체 방향에서 위치 결정되어, 저장시에 있어서의 노즐 커버의 엇물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Claims (5)

  1. 가동시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을 지지한 피스톤과, 범퍼의 개구부를 지나서 분사 위치와 저장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을 지지한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범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노즐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가 브래킷을 통해 상기 범퍼의 개구부에 부착된 헤드램프 클리너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범퍼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벽을 갖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이 저장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노즐 커버의 위치 결정부가 상기 브래킷의 위치 결정 벽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충돌 접촉벽을 지니고, 이 충돌 접촉벽의 단부면이 탄성 부재를 통해 범퍼의 상기 개구부의 이면 개구 가장자리에 맞부딪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클리너.
  3. 제2항에 있어서, 브래킷의 상기 충돌 접촉벽은 상기 위치 결정 벽을 외측에 서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클리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개구부는 결합 돌기를 갖고,
    상기 브래킷은 결합 구멍을 갖는 장착 부재를 가지며,
    상기 장착 부재의 결합 구멍이 상기 범퍼의 결합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이 범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클리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와 위치 결정 벽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면내에서 절단한 단면으로 4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위치 결정 벽과 장착 부재에 각각 따로 접촉하는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클리너.
KR1020050070282A 2004-08-04 2005-08-01 헤드램프 클리너 KR100639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7696A JP4493437B2 (ja) 2004-08-04 2004-08-04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JPJP-P-2004-00227696 200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004A KR20060049004A (ko) 2006-05-18
KR100639143B1 true KR100639143B1 (ko) 2006-10-30

Family

ID=3573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282A KR100639143B1 (ko) 2004-08-04 2005-08-01 헤드램프 클리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27678A1 (ko)
JP (1) JP4493437B2 (ko)
KR (1) KR100639143B1 (ko)
CN (1) CN100443335C (ko)
DE (1) DE102005035447B4 (ko)
FR (1) FR2873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84Y1 (ko) 2012-05-22 2014-10-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79960Y1 (ko) 2014-11-24 2016-03-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9504B4 (de) * 2005-06-24 2017-11-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 Streuscheibe eines Scheinwerfers eines Kraftfahrzeuges
JP2008094242A (ja) * 2006-10-11 2008-04-24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における取付構造
FR2931441B1 (fr) * 2008-05-26 2010-06-11 Valeo Vision Agencement pour le montage d'un cache sur un porte gicleur
ES2364360B1 (es) * 2008-12-11 2012-09-14 Seat, S.A. Procedimiento de fijacion de un lavafaros en parachoques de vehiculos
JP5170452B2 (ja) * 2009-03-18 2013-03-27 スズキ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用ウォッシャノズルの取付構造
FR2997361B1 (fr) * 2012-10-26 2016-08-19 Plastic Omnium Cie Ensemble de fixation d'un dispositif lave projecteur escamotable
FR3021014B1 (fr) * 2014-05-14 2016-05-27 Coutier Moulage Gen Ind Dispositif telescopique de lavage
JP7121508B2 (ja) * 2018-03-14 2022-08-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クリーナ
JP7488773B2 (ja) * 2019-01-25 2024-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クリーナ
JP2020142776A (ja) * 2019-03-04 2020-09-10 童浩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US11097694B2 (en) 2019-03-15 2021-08-24 A. Raymond Et Cie Telescoping device for cleaning a vehicle surface
JP7330813B2 (ja) * 2019-08-15 2023-08-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クリーナの車両部材への取り付け方法及び車両用クリーナ
CN110920570B (zh) * 2019-12-16 2020-06-26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前大灯清洗装置
WO2024048708A1 (ja) * 2022-08-31 2024-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8570C2 (de) * 1993-08-25 1995-07-20 Daimler Benz Ag Scheinwerferreinig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4416924A1 (de) * 1994-05-13 1995-11-16 Hella Kg Hueck & Co Düsenträger einer Scheibenwaschanlag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ahrzeug-Scheinwerfer
DE19824085B4 (de) * 1998-05-29 2005-09-08 Audi Ag Scheinwerferreinigungsanlage mit einer Hubdüsenanordnung
GB9915839D0 (en) * 1999-07-06 1999-09-08 Textron Automotive U K Valve assembly for vehicle washing system
DE19938992A1 (de) * 1999-08-17 2001-02-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üsenträger mit einer Abdeckkappe
JP3911537B2 (ja) * 2000-04-25 2007-05-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JP3563675B2 (ja) * 2000-07-24 2004-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JP3964157B2 (ja) * 2001-05-28 2007-08-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JP3942885B2 (ja) * 2001-12-25 2007-07-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の取付構造
DE10260839B4 (de) * 2001-12-25 2011-07-28 Koito Manufacturing Co., Ltd. Einrichtung zur Anbringung einer Scheinwerferreinigungsvorr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84Y1 (ko) 2012-05-22 2014-10-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79960Y1 (ko) 2014-11-24 2016-03-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3437B2 (ja) 2010-06-30
JP2006044436A (ja) 2006-02-16
CN1733537A (zh) 2006-02-15
US20060027678A1 (en) 2006-02-09
FR2873973B1 (fr) 2009-08-21
FR2873973A1 (fr) 2006-02-10
DE102005035447A1 (de) 2006-03-16
DE102005035447B4 (de) 2011-07-28
KR20060049004A (ko) 2006-05-18
CN100443335C (zh)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143B1 (ko) 헤드램프 클리너
JP4641180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US7448554B2 (en) Cleaning device for a vehicular lamp
US20090084418A1 (en) Cleaning apparatus for vehicle lamp
JP5758683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及びノズルカバー
JP2008094242A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における取付構造
JP2012040916A (ja) 車両用灯具の洗浄装置
JP6324181B2 (ja) 車輌用洗浄装置
JP2012218657A (ja) 車両用灯具の洗浄装置
KR101053952B1 (ko) 헤드램프 클리너
JP7121508B2 (ja) 車両用クリーナ
JP5210242B2 (ja) 車両用灯具の洗浄装置
JP3863824B2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の取付構造。
JP3563675B2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JP4466324B2 (ja) 車両用灯具のクリーナ装置
JP2003011791A (ja) ランプクリーナシステム
JP3901873B2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
JPH03295741A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JP2010221782A (ja) 車両用灯具
JP2011143831A (ja) 車両用灯具の洗浄装置
JP4731891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JP4731890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JP2012040898A (ja) 車両用灯具の洗浄装置
JP7488773B2 (ja) 車両用クリーナ
JP6096032B2 (ja) 車輌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