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570B1 - 복합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570B1
KR100637570B1 KR1020017013195A KR20017013195A KR100637570B1 KR 100637570 B1 KR100637570 B1 KR 100637570B1 KR 1020017013195 A KR1020017013195 A KR 1020017013195A KR 20017013195 A KR20017013195 A KR 20017013195A KR 100637570 B1 KR100637570 B1 KR 10063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de
film
composite membran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685A (ko
Inventor
스테엔박커스에드윈헨리쿠스아드리아안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디에스엠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디에스엠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디에스엠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0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8Polymers of vinyl aromat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중합체의 소공내에 용액으로부터의 제2 중합체를 전착시킴으로써 제2 중합체를 소공내에 함유하는 제1 중합체의 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진 복합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중합체의 막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전극과 함께 제2 중합체 용액내에 존재하는 제1 전극의 표면과 접촉하며, 제1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제2 중합체가 상기 막을 통과하여, 제1 전극쪽으로 이동하도록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막의 제조방법{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MPOSITE MEMBRANE}
본 발명은 제1 중합체의 다공성 필름을 포함하는 복합 막(composite membrane)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극 중에 제2 중합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특히 연료 전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복합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WO 98/20063에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125 ℃ 이상의 끓는점을 갖는 성분의 25 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용매 중에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용액을 수평의 다공성 막에 도포하는 단계(이온-전도성 중합체의 부피가 공극 부피의 60% 이상이 되도록 용액의 정량이 선택됨) 및 계속해서 80 ℃ 이상의 온도에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에 의해서 복합 막이 제조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의 단점은 상기 막에서 용매를 증발시키는데 매우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이 해소되거나 또는 거의 없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용액으로부터의 제2 중합체를 제1 중합체의 공극 중에 침적(depositing)시키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며, 상기 제1 중합체의 필름은 제1 전극(1개 이상의 상대 전극과 함께 제2 중합체 용액 중에 존재함)의 표면과 접촉하며, 제2 중합체가 제1 전극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1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부여하고, 상기 방법에서 제2 중합체는 필름을 통과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서, 제2 중합체가 다공성 막의 공극 중에 침적되어 공극이 완전히 채워지고 복합 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30 ㎛ 내지 50 ㎛의 두께 및 높은 통기성 또는, 낮은 걸리(Gurley)값을 갖는 필름으로부터 복합 막을 제조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잇점은 형성된 복합 막이 기밀성(gastight)이라는 점이다. 이는 연료 전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잇점은 공지된 방법보다 쉽게 연속 동작 모드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적당한 전극으로는 탄소, 귀금속 또는 이의 조성물, 가령 Pd, Pt 및 히스탈로이(histalloy) 또는 도핑된(doped) 세라믹 물질이 있다. 상대 전극은 제2 중합체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이는 용액 중의 제2 중합체의 농도가 실제로 일정하도록 한다.
제1 중합체의 적당한 다공성 필름은 다공성 폴리알켄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폴리알켄 필름은 1개 이상의 방향으로 연신(stretch)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고-강도 필름이 얻어진다.
1개 이상의 방향으로 연신되는 폴리알켄 막은 EP-A-504,954에 개시되어 있다. EP-A-504,954에는 휘발성 용매 중의 폴리알켄 용액으로부터 폴리알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필름은 액체 냉각제를 함유하는 냉각조를 통해 통과되며, 용매는 폴리알켄이 용매 내에 용해되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제거되고, 이때 필름이 1개 이상의 방향으로 연신된다. 폴리알켄이 폴리에틸렌이면,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g/mole 내지 5,000,000 g/mole로 다양하다. 상기 필름은 500,000 g/mole 이하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내지 5.0 ㎛의 평균 공극 크기를 갖는 막이 상기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의 존재 하에 쉽게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다른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 특히 적당하다. 예를 들어, 500,000 g/mole 이하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혼합물은 또한 1,000,000 g/mole 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함유할 수도 있다. 후자의 폴리에틸렌의 존재로 인해, 고-강도 필름이 얻어지며, 상기 막은 걸리값이 1 s/50㎤(ASTM Standard D726-58로 측정됨) 이하로 수득될 수 있도록 연신될 수 있다. 0.01 s/50㎤ 이하의 걸리값을 갖는 필름은 연료 전지에서 사용하기에 부적당한 강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다공성 필름은 2개의 전극 중 첫번째와 접촉한다. 이는 전극면을 따라 필름을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2 중합체로서 하전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고분자전해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설폰산에 기초하는 양성자-전도성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매는 물과, 시클로헥산올, 펜탄올, 1-프로판올, 1,2-에텐 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알콜, 또는 이들 용매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는 물과 프로판올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이는 막이 연료 전지 내에 혼입된다면, 1 A/㎠ 이상의 전류 밀도가 0.4 V의 전해조 전압에서 달성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보통, 다공성 필름 내에 제2 중합체를 침적시키는데 필요한 전해조 전압은 5 V 내지 100 V이다. 전극 사이의 거리는 0.5 ㎝ 내지 5 ㎝이다.
물이 용매 중에 존재하는 경우, 제2 중합체의 전기영동에 더해 전극에서 기체 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기체 발생이 다공성 필름 내 제2 중합체의 침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발생되는 기체는 제거되어야 한다. 발생된 기체를 적당하게 제거하는 방법은 문헌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단시간 내에, 전극들 사이의 전위차의 극성을 반전시키거나, 또는 방형파 전압을 적용함으로써 가스가 적당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복합 막을 연료 전지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술될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Ⅰ
퍼플루오로설폰산에 기초한 양성자-전도성 중합체(Nafion(상표명)) 5% 용액(용액 중 용매는 95/5(wt/wt) 프로판올/물 혼합물로 이루어짐) 중에, 80 부피%의 공극율, 1.5 ㎛의 평균 공극 크기 및 30 ㎛의 두께를 가지는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20 ㎜/분의 속도로 제1 전극을 따라 통과되며, 여기에서 필름과 제1 전극(양극)사이의 접촉 면적은 150 ㎠이다. 상대 전극(음극)은 제1 전극으로부터 0.5 ㎝ 거리에 두고, 인가 전압(applied voltage)은 50 V이다. 전극을 따라 통과한 필름의 일부 중에 공극은 Nafion으로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7)

  1. 제1 중합체의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복합 막(composite membrane)의 제조 방법으로서,
    용액으로부터의 제2 중합체를 제1 중합체의 공극 내로 침적(depositing)시킴에 의해서 공극 중에 제2 중합체를 포함하며,
    제1 중합체의 필름은 제1 전극(1개 이상의 상대 전극과 함께 제2 중합체 용액 중에 존재함)의 표면과 접촉하며, 제2 중합체가 제1 전극으로 이동하도록 제1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의 전위차가 부여되며, 상기 방법으로 제2 중합체가 상기 필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대 전극은 제2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설폰산계 양성자-전도성 중합체이며, 용매는 물, 1개 이상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과 프로판올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가 전위차(applied potential difference)는 5 V 내지 100 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들 사이의 거리는 0.5 ㎝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 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KR1020017013195A 1999-04-21 2000-04-20 복합막의 제조방법 KR100637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1855A NL1011855C2 (nl) 1999-04-21 1999-04-21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composietmembraan.
NL1011855 1999-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685A KR20020005685A (ko) 2002-01-17
KR100637570B1 true KR100637570B1 (ko) 2006-10-20

Family

ID=1976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195A KR100637570B1 (ko) 1999-04-21 2000-04-20 복합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175457B1 (ko)
JP (1) JP4807918B2 (ko)
KR (1) KR100637570B1 (ko)
AT (1) ATE243724T1 (ko)
AU (1) AU4152800A (ko)
CA (1) CA2368832C (ko)
DE (1) DE60003548T2 (ko)
DK (1) DK1175457T3 (ko)
ES (1) ES2202110T3 (ko)
NL (1) NL1011855C2 (ko)
WO (1) WO2000078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4402C1 (nl) * 2000-02-17 2001-08-20 Nedstack Holding B V Methode voor het vervaardigen van versterkte membranen voor polymeer Elektrolyt Brandstofcellen.
DE10102065C2 (de) * 2001-01-17 2003-04-17 Sartorius Gmbh Diagnostikmembra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agnostikmembran
US10173176B2 (en) * 2015-04-29 2019-01-08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for preparing a resin-treated microporous membrane
CN111261915A (zh) * 2018-11-30 2020-06-09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ePTFE增强型质子交换膜成型方法
CN111249923B (zh) * 2018-11-30 2021-08-03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阳离子交换膜成膜方法及由其制备的阳离子交换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667A (ja) * 1993-03-23 1994-12-13 Asahi Chem Ind Co Ltd 高分子型燃料電池
US5547551A (en) * 1995-03-15 1996-08-20 W. L. Gore & Associates, Inc. Ultra-thin integral composite membrane
JPH09194609A (ja) * 1996-01-25 1997-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イオン交換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NL1006322C2 (nl) * 1996-11-06 1998-05-11 Dsm Nv Electrolytisch membraa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en toepassing.
JPH1171692A (ja) * 1997-07-01 1999-03-16 Fuji Electric Co Ltd イオン交換膜と電極の接合体の製作方法および製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175457T3 (da) 2003-10-20
KR20020005685A (ko) 2002-01-17
JP2003524863A (ja) 2003-08-19
ATE243724T1 (de) 2003-07-15
DE60003548D1 (de) 2003-07-31
NL1011855C2 (nl) 2000-10-24
CA2368832A1 (en) 2000-12-28
ES2202110T3 (es) 2004-04-01
WO2000078850A1 (en) 2000-12-28
AU4152800A (en) 2001-01-09
JP4807918B2 (ja) 2011-11-02
CA2368832C (en) 2010-02-16
EP1175457A1 (en) 2002-01-30
DE60003548T2 (de) 2004-04-29
EP1175457B1 (en)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762A (en) Method for forming polymer films having bubble release surfaces
US5723086A (en) Electrode membrane
EP3085815A1 (en) Diaphragm for alkaline water electrolysi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alkaline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JPH07103251B2 (ja) 複合成形品、その応用と製法
EP0185228A2 (en) Multi-layered diaphragm for electrolysis
US4265959A (en) Process for producing semipermeable membranes
EP3165546B1 (en) Electrolyte material, liquid compositio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solid polymer fuel cell, and fluorinated branched polymer
Vallois et al. Separation of H+/Cu2+ cations by electrodialysis using modified proton conducting membranes
EP0203577A2 (en) Novel fluoropolymer solutions
EP0412917A1 (fr) Diaphragme, association d'un tel diaphragme à un élément cathodique et leur procédé d'obtention
KR100637570B1 (ko) 복합막의 제조방법
RU248714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й катионообменной мембраны
JPH01309986A (ja) 電気伝導性重合異節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EP0726970B1 (en) Membrane-electrode structure for electrochemical cells
FR2466436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n gel et d'un xerogel de silice et xerogel de silice obtenu
JP2006225218A (ja) 電気化学的酸素発生素子
JP2575355B2 (ja) 電気化学電池
Aldebert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PE composites forelectrolyzers and fuel cells
US6692857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mposite membrane
EP0680524B1 (en) Membrane-electrode structure for electrochemical cells
US3992269A (en) Production of pinacols in a membrane cell
US3723273A (en) Electrodialytic production of stannic oxide sol
EP0412916B1 (fr) Diaphragme comprenant des fibres d'amiante, association d'un tel diaphragme à un élément cathodique et procédé d'obtention
JPH05503034A (ja) 超薄フィルム複合体膜
SE453603B (sv) Forfarande for atervinning av elektrokemiska egenskaper for katjonbytarmembran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