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434B1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434B1
KR100636434B1 KR1020050127281A KR20050127281A KR100636434B1 KR 100636434 B1 KR100636434 B1 KR 100636434B1 KR 1020050127281 A KR1020050127281 A KR 1020050127281A KR 20050127281 A KR20050127281 A KR 20050127281A KR 100636434 B1 KR100636434 B1 KR 10063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unit
display uni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973A (ko
Inventor
야스노리 오니시
히사노리 가와카미
다케토시 마사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표시를 실현 가능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백 라이트 등의 조명부를 표리의 표시부에 공용한 경우에, 각각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100)는 전면에 표시면을 구비한 제 1 표시부(110)와, 배면에 표시면을 구비한 제 2 표시부(120)와,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쌍방에 광을 조사하는 공통의 조명부(130)를 구비하고, 조명부(130)는 제 1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1 광 출사면(132b)과, 제 2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2 광 출사면(132c)을 구비한 도광 부재(132)를 갖고, 도광 부재의 제 2 광 출사면과 제 2 표시부 사이에, 반투과 반사부(14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반투과 반사부의 구성 (a)∼(e)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반투과 반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반투과 반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6은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럭도,
도 7(a) 및 도 7(b)는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휴대 전화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110 : 제 1 표시부
120 : 제 2 표시부 130 : 조명부
115, 116, 125, 126 : 편광판 131 : 광원
132 : 도광판 141 : 반투과 반사부
142, 145 : 광 확산부 143, 144, 146, 147 : 집광부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전자 기기에 탑재하는 표시 장치로서 바람직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가 이용된다. 특히, 휴대 전화에는, 그 것의 작은 통체 내에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최근, 박형의 표시 부분의 표리(表裏)에 각각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가 탑재된 양면 표기 방식의 휴대 전화가 시판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는, 표시 부분의 통체 내에 한 쌍의 액정 표시 장치가 표리 관계가 되도록 수용되고, 표리 중 어느 것으로도 표시를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액정 패널의 배후에 조명 장치로서의 백 라이트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백 라이트를 갖지 않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도 있지만,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는 표시를 시인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용도는 한정된다. 백 라이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는 두껍게 되는 결점을 갖지만, 최근의 소형 액정 표시 장치의 고선명화나 컬러 표시화에 따른, 대부분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 백 라이트를 구비하여 투과형 표시를 할 수 있고, 또한 반사형 표시도 가능한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도 출현하고 있다.
상기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해마다 소형화·박형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의 박형화나 백 라이트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양면 표기 방식의 휴대 전화로는, 그 통체 내에 한 쌍의 액정 표시 장치를 표리 관계로 수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박형화가 곤란하며, 각각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각각 박형화하여도, 통상의 한 면 표기 방식의 휴대 전화에 비하면, 두텁고, 또한, 무겁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서, 표리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를 공용화하여, 단일 백 라이트에 의해 표리 한 쌍의 액정 패널을 조명한다고 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양면 표기 방식의 휴대 전화로는, 표리의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면적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백 라이트를 공용화한 경우, 큰 메인 패널의 휘도 분포가, 배후에 있는 작은 서브 패널로의 조명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아, 메인 패널의 표시 화상 중에 서브 패널의 그늘이 찍혀, 표시 품질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그 과제는 양면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백 라이트 등의 조명부를 표리의 표시부에 공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전면(前面)에 표시면을 구비한 제 1 표시부와, 배면에 표시면을 구비한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표시부의 쌍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공통 조명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1 광 출사면과, 상기 제 2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2 광 출사면을 구비한 도광 부재를 갖고,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2 광 출사면과 상기 제 2 표시부 사이에, 반투과 반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조명부가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가 함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명부를 두 개 마련하는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장치의 박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의 도광 부재의 제 2 광 출사면과 상기 제 2 표시부 사이에 반투과 반사부가 배치됨으로써, 도광 부재의 제 2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일부가 반투과 반사부를 투과하여, 제 2 표시부를 향해 조사되므로, 제 2 표시부를 조명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도광 부재의 제 2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나머지부를 반투과 반사부에 의해 반사시켜, 제 1 표시부를 향해서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표시부의 조명 상태를 우선시킬 수 있게 되어, 제 1 표시부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광 출사면과 제 1 표시부 사이에도 반투과 반사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표시부에서도, 상기 제 1 표시부와 동등한 광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 및 해당 표시 영역의 외측 영역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은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뿐만 아니라, 그 외측에도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의 조명부에 의해 제 2 표시부에 광이 출사되는 것에 따라, 제 1 표시부의 표시 형태는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이 배후에 존재하는 것에 의한 광학적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에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의 그림자가 찍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광 부재의 제 2 광 출사면과 제 2 표시부 사이에 반투과 반사부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2 표시부에 의한 광학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 표시부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부가 광 확산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그 광 확산 기능에 의해 조명부의 조명광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 얼룩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반투과 반사부에 의한 반사광이 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광 부재 내부의 광 균일성을 높여, 제 1 표시부에 대한 조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표시부의 표시 얼룩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부는 상기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범위 중, 상기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중첩 부분에서의 광학 특성과, 상기 범위 중 상기 중첩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의 광학 특성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반투과 반사부는 상기 범위 중 상기 중첩 부분에서의 광학 특성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의 광학 특성이 다른 것에 따라, 상기 중첩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으로의 반투과 반사부에 의한 광학 작용을 다른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중첩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 사이의 광학적 상위, 예컨대, 표시 명도의 차 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 2 표시부의 표시 품질을 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반투과 반사부가 상기 범위 모두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범위 중 상기 중첩 부분의 배후에는 제 2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첩 부분 이외의 부분의 배후에는 다른 배경이 있는 것으로 하면, 반투과 반사부의 광학 특성이 상기 범위 모두에 걸쳐 균일하게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제 2 표시부의 반사율과 다른 배경의 반사율 사이에 차가 존재하면,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에, 제 2 표시부의 흑영(黑影) 또는 백영(白影)이 비쳐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 2 표시부와 상기 다른 배경 사이에 반사율의 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첩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반투과 반사부의 광학 특성을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 흑영 또는 백영을 눈에 띄게 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반투과 반사부의 광학 특성이란, 광 반사율, 광 투과율, 광 흡수율, 광 확 산 정도 등,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 형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학적 특성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부는 실질적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두께를 갖는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박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반사성 소재의 박막 두께에 의해 광 투과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패터닝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반사성 소재로는 금속 박막을 들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은 합금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부는 실질적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미세한 개구가 복수 분산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박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반사성 소재의 박막에 미세한 개구를 분산시켜 배치함으로써 광 투과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의 개구율, 예컨대 그 크기나 밀도에 의해 광 투과율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부는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기재와, 해당 기재 중 상기 기재와는 굴절율이 다른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미립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광 확산층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르면, 기재와 미립자의 굴절율의 차나 미립자의 크기나 밀도에 의해 광 투과성 및 광 반사성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광 확산 작용에 의해 표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이 구성에서는 투과율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부는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기재와, 해당 기재 중에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미립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광 확산층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르면, 기재 중에 분산된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미립자에 의해 광이 확산되기 때문에, 미립자의 크기나 밀도에 의해 광 투과성 및 광 반사성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광 확산 작용에 의해 표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이 구성에서는 반사율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1 광 출사면과 상기 제 1 표시부 사이에, 광 확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제 1 광 출사면과 제 1 표시부 사이에 광 확산부가 배치됨으로써, 조명부의 조도 분포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제 1 표시부의 표시 얼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범위 중 상기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중첩 부분에서의 광학 특성과, 상기 범위 중 상기 중첩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의 광학 특성이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1 표시부의 표시 얼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광 확산부는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기재와, 해당 기재 중에, 상기 기재와는 굴절율이 다른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미립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광 확산층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광 확산부는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기재와, 해당 기재 중에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미립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광 확산층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광 확산부는 광 투과성 소재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표면 구조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광 확산층으로 구성 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해당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기기로서는, 특히 휴대형 전자 기기인 것이, 용이하게 통체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최초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100)는 제 1 표시부(110)와 제 2 표시부(120)와 조명부(130)를 갖는다.
제 1 표시부(110)는 액정 패널이며,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는 기판(111, 112)이 밀봉재(113)를 거쳐 접합되고, 그 내부에 액정(114)이 배치된 것이다. 액정(114)은 기판(111, 112)의 내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전극에 의해 소정의 전계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112)의 외면 상, 즉, 전면측 또는 제 1 표시부의 관찰측에는 편광판(115)이 배치되고, 기판(111)의 외면 상, 즉 배면측에도 편광판(116)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표시부(120)도 또한 액정 패널이며,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는 기판(121, 122)이 밀봉재(123)를 거쳐 접합되고, 그 내부에 액정(124)이 배치된 것이다. 액정(124)은 기판(121, 122)의 내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전극에 의해 소정의 전계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122)의 외면상 , 즉 배면측 또는 제 2 표시부의 관찰측에는 편광판(125)이 배치되고, 기판(121)의 외면 상, 즉 전면측에도 편광판(126)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표시부(110)와 제 2 표시부(120) 사이에는 조명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명부(130)는 백 라이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조명부(130)는 냉음극관이나 LED, 즉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는 광원(131)과, 이 광원(131)의 광을 받는 도광판(132)을 갖는다. 도광판(132)은 아크릴계 수지 등의 투명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조명부(130)에서는, 도광판(132)이 표시 장치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된 판 형상체이며, 광원(131)이 도광판(132)의 가장자리 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132)은 광원(131)에 대해 측단면인 광입사면(132a)을 대향시켜, 전면, 즉 도면 중 상면인 제 1 광 출사면(132b)을 제 1 표시부(110)를 향하고, 배면, 즉 도면 중 하면인 제 2 광 출사면(132c)을 제 2 표시부(120)를 향한 자세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132)은 광원(131)으로부터 받은 광을 내부에서 전파시키면서, 그 제 1 광 출사면(132b)으로부터 제 1 표시부(110)를 향해 조명광을 출사시키고, 또한 그 제 2 광 출사면(132c)으로부터 제 2 표시부(120)를 향해 조명광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광판(132) 내에서는 제 1 광 출사면(132b) 및 제 2 광 출사면(132c)에 대해 임계각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광은 전반사되고, 그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광은 제 1 광 출사면(132b) 및 제 2 광 출사면(132c)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특히, 도시를 생략하지만, 도광판(132)의 제 1 광 출사면(132b) 또는 제 2 광 출사면(132c)에, 혹은, 제 1 광 출사면(132b)과 제 2 광 출사면(132c)의 쌍방에, 광원(131)으로부터 도입된 광을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의 광축 방향 및 그 근방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광 편향부로서, 표면 요철 형상이나 산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32)의 제 2 광 출사면(132c)과 제 2 표시부(120) 사이에는, 반투과 반사부(14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반투과 반사부(141)는 조명부의 조명광 중 일부를 전면 측으로 반사시키고, 또한 상기 조명광의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배면측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좋다. 예컨대, 얇은 금속막 또는 분산 배치된 미세한 다수의 개구를 형성한 금속막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투과 반사부(141)는 도광판(132)의 배면에 피착된 상태로 마련되어도 좋고, 혹은, 도광판(132)과는 별개인 시트재나 판형상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반투과 반사부는 조명부(130)의 제 2 광 출사면(132c)과 제 2 표시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그 이외의 한정 사항은 두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반투과 반사부(141)는 기본적으로 도광판(132)의 제 2 광 출사면(132c)의 전체를 피복하고, 또한 평면적으로 균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2에는, 상기 반투과 반사부(14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 내는 예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구성되는 투명 기판(141A)의 표면 상에,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등의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박막인 반사성 박막(141B)을 형성한 것이다. 반사성 소재로는, 백색 수지,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기판(141A) 대신, 상기 도광판(132)을 이용하여, 그 제 2 광 출사면(132c) 상에 반사성 박막(141B)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점은 이하에 도시한 도 2(b) 내지 도 2(e)에 나타내는 각 구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반사성 박막(141B)의 광학 특성으로는,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을 10∼50㎚ 정도의 막두께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가시광 영역에서의 평균 투과율을 30∼70%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박막은 증착법, 스퍼터링법, 레이저 연마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예에서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막두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반투과 반사부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반사성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 외에, 공지의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구성예는, 투명 기판(141A)의 표면 상에,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등의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박막인 반사성 박막(141C)을 형성한 것이다. 반사성 소재로는, 백색 수지,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사성 박막(141C)은 전체로서 가시광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정도,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미소 개구(141Ca)가 다수 형성된 것이다. 미소 개구(141Ca)는 반사성 박막(141C)의 막면 전체에 걸 쳐 분산 배치되어 있다. 미소 개구(141Ca)의 환산 개구 직경, 즉 개구 면적이 동일한 원 형상의 개구에서의 개구 직경은 1∼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3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화소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화소 피치보다도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예에서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상기 미소 개구(141Ca)의 개구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이 개구율은 미소 개구(141Ca)의 환산 개구 직경이나 형성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도 2(c)에 나타내는 구성예는, 투명 기판(141A)의 표면 상에, 기본적으로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광 확산층(141D)을 구비한 것이다. 이 광 확산층(141D)은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투명한 기재(141d1)와, 이 기재(141d1) 중에 분산 배치된 미립자(141d2)를 갖는다. 기재(141d1)와, 미립자(141d2)는 굴절율이 다른 소재로 구성된다. 미립자로는, 예컨대 실리카 입자나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입경으로는, 1∼10㎛, 특히, 4∼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예에서는, 기재 중에 굴절율이 다른 미립자가 분산 배치됨으로써, 광이 산란 또는 확산되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보면, 일부가 반사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과한다고 하는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 구성예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기재와 미립자의 굴절율차, 미립자의 크기나 분포 밀도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도 2(d)에 나타내는 구성예는, 투명 기판(141A)의 표면 상에, 기본적으로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광 확산층(141E)을 구비한 것이다. 이 광 확산층(141E)은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투명한 기재(141e1)와, 이 기재(141e1) 중에 분산 배치된 광 반사성의 미립자(141e2)를 갖는다. 미립자(141e2)는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다. 반사성 소재로는, 예컨대, 백색 수지,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141e1)의 입경으로는, 1∼10㎛, 특히, 2∼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예에서는, 기재 중에 반사성 소재로 구성되는 미립자가 분산 배치됨으로써, 광이 산란 또는 확산되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보면, 일부가 반사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과한다고 하는 광학 특성를 얻을 수 있다. 이 구성예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미립자의 반사율, 미립자의 크기나 밀도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도 2(e)에 나타내는 구성예는 투명 기판(141A)의 표면 상에, 상기 도 2(a)에 나타내는 반사성 소재로 구성된 것과 같은 반사성 박막(141B)을 형성하고, 이 박막(141B) 상에 또한 광 투과성 소재, 바람직하게는 투명재로 구성되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갖는 산란층(141F)을 형성한 것이다. 산란층(141F)의 표면 요철은, 예컨대, 1∼10㎛, 바람직하게는 3∼4㎛ 정도의 주기에서 2∼3㎛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 표면 요철은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한 패터닝 기술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한 감광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상기 표면 요철에 대응하는 주기로 개구를 갖는 마스크 패턴에 의해 노광을 하여, 그 후, 현상함으로써 상기 표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현상 후의 상기 투명 수지의 위에 별도의 투명 수지를 더 도포하거나, 또는, 현상 후의 투명 수지를 가열하여 연화시킨다고 한, 매끄러운 표면 요철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부가적으로 실시하여도 좋다.
이 구성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성 박막(141B)의 막두께에 따른 반사 및 투과 특성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반사성 박막(141B)에 입사하는 광 및 반사광이 산란층(141F)에 의해 산란을 받은 것으로 되므로, 광 확산 기능도 갖게 되고,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에서의 휘도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132)과 제 1 표시부(110) 사이에는, 광 확산부(142)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 확산부(142)는 도광판(13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적절히 확산시킴으로써, 도광판(132) 및 그것보다도 배면측, 즉 도시 하방의 구조에 기인하는 표시 얼룩, 즉 표시면 내에서의 밝기의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광 확산부(142)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등의 기재 중에 실리카,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된 굴절율이 다른 미립자, 예컨대, 2∼3㎛ 정도의 입경을 갖는 것을 분산시킨 것, 표면에 미세한 요철 표면 형상을 마련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도 2(c) 또는 도 2(d)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구조나, 도 2(e)에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반사성 박막(141B)을 제거시킨 구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광 확산부(142)는 도광판(132)의 전면에 피착된 상태로 마련되어도 좋고, 또는, 도광판(132)과는 별개의 시트재나 판형상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광판(132)과 제 2 표시부(120) 사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반투과 반사부(141)와 제 2 표시부(120) 사이에도, 광 확산부(14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 확산부(145)는 상기 광 확산부(142)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영역에 대해 평면적으로 겹 치는 범위 내에서, 제 2 표시부(120)의 표시 영역에도 평면적으로 겹치는 중첩 부분과,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중첩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광학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광 확산부를 상기 중첩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그 확산 정도, 예컨대, 헤이즈값이 다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에서, 실질적으로 표시에 기여하는 광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집광부, 즉 프리즘 시트(143, 144, 146, 147)를 조명부(130)와 제 1 표시부(110) 사이 및 조명부(130)와 제 2 표시부(120) 사이에 각각 배치하고 있다. 이들 집광부에는,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프리즘면이 마련되고, 이 프리즘면에 의해 광을 표시 장치의 광축 방향, 즉, 도시 상하 방향 및 그 근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리즘면은 집광 시트의 표면에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병렬한 복수의 단면 삼각형 형상의 철조(凸條)에 의해 형성된다. 집광부(143, 144) 및 집광부(146, 147)는 서로 상기 철조의 연장 방향이 거의 직교하는 자세로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액정 패널인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는 모두 TN 형 액정 모드로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편광판(115)은 도면의 지면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 A, 즉 제 1 편광을 투과시켜, 도면의 지면과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 B, 즉 제 2 편광을 반사하고, 편광판(116)은 상기 직선 편광 B, 즉 제 3 편광을 투과시켜, 상기 직선 편광 A, 즉 제 4 편광을 흡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편광판(125)은 상기 직선 편광 A를 투과시켜, 상기 직선 편광 B를 흡수하고, 편광판(126)은 상기 직선 편광 B를 투과시켜, 상기 직선 편광 A를 흡수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일반적으로는 상기 제 1 편광 내지 제 4 편광의 진동면의 방위 관계는 임의적이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편광과 제 4 편광은 같은 편광 상태를 나타내고, 제 2 편광과 제 3 편광은 같은 편광 상태를 나타낸다.
광원(131)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132)에 도입되고, 도광판(132)의 내부를 전파하면서, 조금씩 전면측 및 배면측으로 출사된다. 우선, 제 1 표시부(110) 측에 출사한 조명광은 광 확산부(142)를 통과하여 편광판(116)에 의해 직선 편광 B로 되고, 집광부(143, 144)를 지나 액정(114)에 입사된다. 여기서, 액정(114)이 OFF 상태일 때에는, 액정(114)을 통과하면, 그 선광성(旋光性)에 의해 직선 편광 A로 되어 편광판(115)을 통과하여 투과광 T1로서 전면 측으로 출사된다. 액정(114)이 ON 상태일 때에는, 액정(114)을 통과하여도 직선 편광 B 그대로 이므로, 편광판(115)에 의해 흡수된다.
한편, 제 1 표시부(110)로 입사되는 외광은 편광판(115)을 투과하여 직선 편광 A로 되어, 액정(114)에 입사된다. 여기서, 액정(114)이 OFF 상태일 때에는, 직선 편광 B로 되어, 편광판(116)도 투과하여 도광판(132) 내에 진입하고, 반투과 반사부(141)에 의해 일부가 반사되어 편광판(116)을 지나 다시 액정(114)을 통과하여 직선 편광 A로 되고, 편광판(115)을 투과하여 반사광 RD1로서 출사된다. 또한, 액정(114)이 ON 상태일 때에는, 외광 중 편광판(115)을 투과한 직선 편광 A는 액정 (114)을 통과하여도 직선 편광 A 그대로 이므로, 편광판(116)에 의해 흡수된다.
또, 상기 집광부(143, 144)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광은 이들 집광부에 입사했을 때에 산란되므로, 반사광 RD1을 얻는 것은 실질적으로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광 RD1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집광부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조명부(130)로부터 제 2 표시부(120) 측으로 출사한 조명광의 일부는 반투과 반사부(141)를 투과해서 광 확산부(145)를 통과하고, 편광판(126)을 통과함으로써 직선 편광 B로 되어, 액정(124)을 통과한다. 액정(124)이 OFF 상태일 때에는, 직선 편광 B는 액정(124)을 통과하여 직선 편광 A로 되고, 편광판(125)을 투과하여 투과광 T2로서 배면측으로 출사된다. 액정(124)이 ON 상태일 때에는, 직선 편광 B는 액정(124)을 통과하여도 그대로이며, 편광판(125)에 의해 흡수된다.
한편, 제 2 표시부(120)에 입사하는 외광 중, 직선 편광 A는 편광판(125)을 투과하여 액정(124)에 입사된다. 액정(124)이 OFF 상태일 때에는, 직선 편광 A는 직선 편광 B로 되고, 편광판(126) 및 광 확산부(143)를 통과하여 반투과 반사부(141)에서 일부가 반사되고, 다른 일부가 도광판(132) 내로 도입된다. 반투과 반사부(141)에 의해 반사된 직선 편광 B는 그대로 광 확산부(143) 및 편광판(126)을 통과하여, 액정(124)을 재차 통과하여 직선 편광 A로 되고, 편광판(125)을 투과하여 반사광 RD2로서 출사한다. 액정(124)이 ON 상태일 때에는, 상기 직선 편광 A는 액정(124)을 통과하여도 직선 편광 A 그대로이므로, 편광판(126)에 의해 흡수된다.
또, 상기 집광부(146, 147)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광은 이들 집광부 에 입사되었을 때에 산란되기 때문에, 반사광 RD2를 실질적으로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광 RD2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집광부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표시부(110)에서는, 투과광 T1 및 반사광 RD1에 의해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제 2 표시부(120)에서는, 상기 투과광 T2 및 반사광 RD2에 의해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 반사광 RD1, 반사광 RD2가 존재함으로써, 야외 등의 밝은 장소에서 시인한 경우나 조명부(130)의 조명광의 광량을 삭감한 경우의 표시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130)가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의 쌍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제 1 표시부(110)와 제 2 표시부(120) 사이에 배치된 도광판(132)이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100) 전체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투과 반사부(141)가 마련되는 것에 따라, 도광판(132) 내의 광을 표리의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의 쌍방으로 나눌 수 있고, 또한 도광판(132)으로부터 표리 양측으로 조사되는 조명광의 균일성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로 입사하는 외광을 반사시켜 표시광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반투과 반사부(141)의 존재에 의해, 조명부(130)로부터 제 1 표시부(110)에 대한 조도 분포가 제 2 표시부(120)의 존재에 의한 광학적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영역이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120)의 표시 영역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 1 표시부(110)의 표시면에 제 2 표시부(120)의 표시 영역의 그림자가 비치기 어렵게 되어,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이 평면적으로 겹쳐 있기는 하지만, 한 쪽 표시 영역이 다른 쪽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것과 같은 관계에 있거나, 양 표시 영역의 일부에 겹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표시 얼룩이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구성은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한 경우에 한하지 않고, 통상, 공통의 조명부에 의해 표리 양측의 표시부를 조명하고자 하면, 조명부의 조도 분포에 얼룩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는 달리, 양 표시 영역이 서로 거의 같은 크기를 갖고 평면적으로 거의 합치하는 형태에서 서로 겹치고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표시부의 휘도 균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 본 발명의 구성은 기술적으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반투과 반사부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것들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투과 반사부(241)는 제 1 표 시부(110)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범위 AR1을 모두 피복하도록, 상기 도광판(132)의 제 2 광 출사면(132c)과 제 2 표시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반투과 반사부(241)는 제 2 표시부(120)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중첩 부분 AR2가 개구부(241A)로 되어 있고, 상기 범위 AR1 내에서의 상기 중첩 부분 AR2 이외의 부분 AR3은 가시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241R)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광판(132)으로부터 제 2 표시부(120)로의 광 조사가 개구부(241A)를 통해 행해지기 때문에, 제 2 표시부(120)의 표시의 밝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표시부(110)에서는, 부분 AR3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광이 반사됨에 따라, 전체로서의 표시에 기여하는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중첩 부분 AR2에서 제 1 표시부(110)에 조사되는 조명광의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광 확산부(142)에 의한 광 확산 작용이나, 도광판(132)의 광 출사 분포 등을 조정하여 조명광의 강도 분포를 완화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상기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투과 반사부(241')는, 상기 중첩 부분 AR2에서는 반사면에 미소 개구(241A')가 다수 분산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첩 부분 AR2 이외의 부분은 개구를 구비하지 않고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241R')로 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2 표시부(120)는 중첩 부분 AR2에 형성된 미소 개구(241A')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조명된다. 단, 이 중첩 부분 AR2에서는, 미소 개구(241A') 이외의 반사면에 의해 광이 제 1 표시부(110)를 향해서 반사되기 때문에, 제 1 표시부(110)의 표시면에서의 중첩 부분 AR2와 그 이외의 부분 AR3 사이의 표시 밝기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도, 제 1 표시부(110)에서의 표시 얼룩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광 확산부(142)에 의한 광 확산 작용이나, 도광판(132)의 광 출사 분포 등을 조정하여, 조명광의 강도 분포를 완화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반투과 반사부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들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투과 반사부(341)는 상기 범위 AR1 내에서, 중첩 부분 AR2는 소정의 반사율, 예컨대, 30∼70%와 투과율, 예컨대 30∼70%를 갖는 반투과 반사성 소재(341A)로 구성되고, 중첩 부분 AR2 이외의 부분 AR3은 중첩 부분 AR2와 거의 동일한 반사율, 예컨대, 30∼70%를 갖지만, 투과율은 중첩 부분 AR2보다 낮은 반사성 소재(341B)로 구성되어 있다. 이 AR3에서의 반사성 소재(341B)의 투과율은 거의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는, 특히,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범위 AR1 내의 중첩 부분 AR2에서는, 조명부(130)에 의한 조명광을 제 1 표시부(110)를 향해서 반사시킬 수 있고, 또한 조명광을 제 2 표시부(120)를 향해서 투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 표시부를 동시에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중첩 부분 AR2 이외의 부분 AR3에서는, 투과율이 낮은 것에 따라 불필요한 광을 배후로 투과시키지 않고, 또한, 그 반사율은 중첩 영역 AR2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얼룩을 없애고자 하면, 부분 AR3에서 조명광의 흡수에 따른 광 손실이 발생하므로, 전체로서의 광 이용 효율은 저하한다. 광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부분 AR3의 반사율을 중첩 부분 AR2보다도 높이는 것에 의해 당해 부분에서의 광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얼룩은 도광판(132)의 구조나 광 확산부(142) 등에 의해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투과 반사부(341')는 전체가 반사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중첩 부분 AR2에는 미소 개구(341A')가 다수 분산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첩 부분 AR2 이외의 부분 AR3에서는, 미소 개구(341A') 대신 흑색 수지 등으로 구성된 미소 흡수재(341B')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이 반투과 반사부(341')는 상기 중첩 부분 AR2에서는, 미소 개구(341A')에 의해 배후에 있는 제 2 표시부(120)에도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그 이외의 부분 AR3에서는, 미소 흡수재(341B')를 형성함으로써 중첩 부분 AR2와의 반사율 차이를 감소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케이스에 수용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케이스에 수용한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들의 도시는 간략화하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제 1 표시부(110), 제 2 표시부(120), 조명부(130) 및 도시하지 않은 그 밖의 상기 구성을 포함하고, 이들이 케이스(150)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150)는, 예컨대, 백색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50)를 백색 소재로 구성하는 것은 도광판(13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반사시켜 다시 도광판(132) 내로 되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조명부(130)의 조명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130) 도광판(132)의 제 2 광 출사면의 표면 상에서의, 제 2 표시부(1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즉 상기 부분 AR3에,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갖는 광학 시트(151)를 배치하고 있다. 이 광학 시트(151)는 제 1 표시부(110) 측에서 보았을 때, 제 2 표시부(120)와 거의 동일한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투과 반사부(141)가 전면적으로 균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어도,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의 표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 의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제 1 표시부(110), 제 2 표시부(120), 조명부(130) 및 도시하지 않은 그 밖의 상기 구성이 케이스(160)에 수용되어 있다. 이 케이스(160)는 제 1 표시부(110) 측에서 보았을 때, 제 2 표시부(120)와 거의 동일한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투과 반사부(141)가 전면적으로 균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어도,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의 표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광학 시트(151) 및 케이스(160)는 반투과 반사부(141)나 도광판(132)의 구성에 관계없이, 제 1 표시부(110) 측에서 조명부(130)를 통해 관찰한 경우에, 제 2 표시부(120)의 표시 영역이 존재하는 부분과, 광학 시트(151) 및 케이스(160)가 배치된 부분의 조도 분포가 균일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예 5)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표시부,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을 제어하는 제어부(1100)와, 상기 제 2 표시부, 즉 액정 표시 패널(120)을 제어하는 제어부(1200)를 갖는다. 제어부(1100, 1200)는 전자 기기 내에 마련된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중앙 제어부(1000)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120)는 패널 상에 실장되거나, 또는, 패널에 대해 배선 부재를 거쳐 접속되는 등으로 한, 반도체 IC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회로(110D, 120D)에 접속되고, 이들 구동 회로(110D, 120D)가 상기 제어부(1100, 12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100, 1200)는 표시 정보 출력원(1110, 1210)과, 표시 처리 회로(1120, 1220)와, 전원 회로(1130, 1230)와, 타이밍 생성기(1140, 1240)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1110, 1210)은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와, 자기 기록 디스크나 광 기록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토리지 유닛과,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를 구비하여, 타이밍 생성기(1140, 1240)에 의해 생성된 각종 클럭 신호에 근거해서,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형태로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1120, 122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정보 처리 회로(1120, 1220)는 직렬-병렬 변환 회로, 증폭·반전 회로, 로테이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그 화상 정보를 클럭 신호 CLK와 함께 구동 회로로 공급한다. 구동 회로(110D, 120D)는 주사선 구동 회로,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검사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회로(1130, 1230)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에 각각 소정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1000)는 제어부(1100, 1200)의 표시 정보 출력원(1110, 1210)에 적절하게 점등/소등 지령이나 표시 정보의 원(元) 데이터 등을 송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출력원(1110, 1210)으로 출력시켜, 제어부(1100, 1200) 및 구동 회로(110D, 120D)를 거쳐 제 1 표시부(110) 및 제 2 표시부 (120)에 적절한 표시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중앙 제어부(1000)는 상기 광원(131)에 대해서도 점등이나 소등 등의 제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휴대 전화기(2000)를 나타낸다. 이 휴대 전화기(2000)는 각종 조작 버튼이 마련되어 마이크를 내장한 본체부(2001)와, 표시 화면이나 안테나를 구비하여 스피커를 내장한 표시부(2002)를 갖고, 본체부(2001)와 표시부(2002)가 서로 접힘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2002) 내에는 상기 표시 장치(100)가 내장되고, 그 내면 상에는 상기 제 1 표시부(110)의 표시 화면이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외면 상에는 상기 제 2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이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01)로부터 표시부(2002)를 여는 것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부(100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 1 표시부(110)가 점등하여, 소정 화상이 표시되고,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2002)를 본체부(2001) 상으로 접는 것에 의해, 제 1 표시부(110)가 소등하고, 그 대신, 제 2 표시부(120)가 점등하여 소정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2002)를 박형화할 수 있고, 또한 그 내부 구조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서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의 각 표시 장치를 탑재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는 상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전기 광학 패널에서는, 유기 전계 발광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전기 광학 패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패시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패널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패널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의 관찰쪽과 반대쪽으로부터 관찰되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2 표시부의 양쪽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1 광출사면과, 상기 제 2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2 광출사면을 구비한 도광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광 출사면쪽으로서, 상기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범위 중에서, 상기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지 않는 부분에, 상기 제 1 표시부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표시부와 마찬가지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광학 시트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의 관찰쪽과는 반대쪽으로부터 관찰되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2 표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표시부의 양쪽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1 광 출사면과, 상기 제 2 표시부에 대향하는 제 2 광 출사면을 구비한 도광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광 출사면쪽에, 상기 제 1 표시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조명부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부분에 개구를 갖고, 상기 제 1 표시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표시부와 마찬가지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2 광 출사면과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사이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반사하는 동시에, 입사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시트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의 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 및 해당 표시 영역의 바깥쪽 영역에 대해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재료는 광 확산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해당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127281A 2002-10-30 2005-12-21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636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6081A JP3719433B2 (ja) 2002-10-30 2002-10-30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2-00316081 2002-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824A Division KR100566173B1 (ko) 2002-10-30 2003-10-29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73A KR20060001973A (ko) 2006-01-06
KR100636434B1 true KR100636434B1 (ko) 2006-10-18

Family

ID=324598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824A KR100566173B1 (ko) 2002-10-30 2003-10-29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050127291A KR100626479B1 (ko) 2002-10-30 2005-12-21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050127281A KR100636434B1 (ko) 2002-10-30 2005-12-21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824A KR100566173B1 (ko) 2002-10-30 2003-10-29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050127291A KR100626479B1 (ko) 2002-10-30 2005-12-21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380953B2 (ko)
JP (1) JP3719433B2 (ko)
KR (3) KR100566173B1 (ko)
CN (1) CN1282017C (ko)
TW (1) TWI255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8338B2 (ja) * 2002-07-16 2011-03-09 ライツ・アドバンス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230585B2 (en) * 2002-10-28 2007-06-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display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0422796C (zh) * 2003-09-10 2008-10-01 株式会社日立显示器 液晶显示装置
JP2005107505A (ja) * 2003-09-10 2005-04-21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5208108A (ja) * 2004-01-20 2005-08-04 Omron Corp 両面画像表示装置及び面光源装置
JP4410041B2 (ja) * 2004-06-22 2010-02-03 ロー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4647261B2 (ja) * 2004-08-17 2011-03-09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60066227A1 (en) * 2004-09-24 2006-03-30 Virnich James L Electronic device with dual display arrangement
TWI369526B (en) * 2004-10-05 2012-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KR100609057B1 (ko) * 2004-11-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CN100454100C (zh) * 2005-06-14 2009-0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显示装置
JP2007025630A (ja) * 2005-06-14 2007-02-01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287685B1 (ko) * 2005-07-30 2013-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CN100405164C (zh) * 2005-08-18 2008-07-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和双面液晶显示装置
US8185084B2 (en) 2007-01-05 2012-05-22 Apple Inc. Wireless headset having adaptive powering
JP2007094038A (ja) * 2005-09-29 2007-04-1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多重画像表示装置
US7821587B2 (en) * 2005-12-01 2010-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7619606B2 (en) * 2005-12-29 2009-11-17 Motorol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radevice optical communication of data
JP2007193128A (ja) * 2006-01-19 2007-08-0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平面表示装置
JP2007206546A (ja) * 2006-02-03 2007-08-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
JP4751269B2 (ja) * 2006-08-09 2011-08-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携帯電子機器
KR100785025B1 (ko) * 2006-10-26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용 양면 조명장치 및 이를 채용한 양면디스플레이 소자
US20080117151A1 (en) * 2006-11-06 2008-05-22 Nokia Corporation Reflectors for display pixels
US9118990B2 (en) 2007-01-06 2015-08-25 Apple Inc.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US8712071B2 (en) * 2007-01-05 2014-04-29 Apple Inc. Headset electronics
EP2421115A3 (en) 2007-01-06 2012-08-29 Apple Inc.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housing and an earbu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lexible circuit board
EP2119197B1 (en) 2007-01-06 2012-07-04 Apple Inc.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housing and an earbu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lexible circuit board
US8305515B2 (en) * 2007-02-16 2012-11-06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ing two different lights
KR100834649B1 (ko) * 2007-05-03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흑백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80291368A1 (en) * 2007-05-22 2008-11-27 Joon-Hyung Park Display Device Comprising Multiple Display Panel Assemblies
KR20090079779A (ko) * 2008-01-17 2009-07-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듀얼 액정표시장치
TWI392924B (zh) * 2008-07-14 2013-04-11 Tpo Displays Corp 背光模組
TWI417581B (zh) * 2008-07-29 2013-12-01 Eternal Chemical Co Ltd 具有勻光特性之偏光回收膜
TWI393950B (zh) * 2009-01-08 2013-04-21 Au Optronics Corp 半穿反型顯示面板
JP5645490B2 (ja) * 2009-06-17 2014-12-24 恵和株式会社 半透過性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159538B1 (ko) * 2009-06-17 2012-06-2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반투과성 반사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10020055A (ko) * 2009-08-21 2011-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5340105B2 (ja) * 2009-10-05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084188B1 (ko) * 2010-01-21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3969B1 (ko) 2011-01-03 2018-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방향 액정표시장치
CN103376589B (zh) * 2012-04-17 2016-06-01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1976068B1 (ko) * 2012-12-06 2019-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901664A (zh) * 2012-12-24 2014-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9361851B1 (en) 2014-03-18 2016-06-07 Google Inc. Electrochromic two way display for two in one laptop/tablet form factors
JP6451979B2 (ja) * 2014-10-11 2019-01-16 Tianma Japan株式会社 表示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装置
CN204462937U (zh) * 2014-12-30 2015-07-08 深圳创锐思科技有限公司 折叠式显示设备
CN104990001B (zh) * 2015-07-27 2017-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双面显示装置
US10582284B2 (en) 2015-09-30 2020-03-03 Apple Inc. In-ear headphone
CN105629541B (zh) * 2015-12-30 2019-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
TWI592846B (zh) 2016-01-12 2017-07-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雙面發光設計之顯示模組
US9928785B2 (en) 2016-02-03 2018-03-27 Google Llc Two way display for two-in-one convertible computer form factors
CN105700236A (zh) * 2016-04-13 2016-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液晶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JP2017227534A (ja) * 2016-06-22 2017-12-28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光照射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CN107728383A (zh) * 2017-11-30 2018-02-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及其显示模组
CN107942422B (zh) * 2018-01-16 2022-02-08 北京睿智航显示科技有限公司 扩散片、背光模组及双面显示装置
CN109870858A (zh) * 2019-04-24 2019-06-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3d打印装置
CN210183364U (zh) * 2019-04-25 2020-03-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2987419B (zh) * 2021-04-13 2023-09-15 成都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30100037A (ko) * 2021-12-28 2023-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834A (en) * 1983-04-08 1985-05-1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trast enhanced liquid crystal display
JPH0373927A (ja) 1989-08-16 1991-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器
JPH07270603A (ja) * 1994-03-29 1995-10-20 Enplas Corp 光制御部材
JP2950219B2 (ja) * 1995-10-13 1999-09-20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当該面光源装置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当該面光源装置に用いるプリズムアレイ
JP2877781B2 (ja) 1997-05-22 1999-03-31 日本デンヨー株式会社 面発光装置
KR100398755B1 (ko) 1998-06-02 2003-09-19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프론트 라이트 일체형 터치패널장치
JP3003931B1 (ja) 1998-11-30 2000-01-3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フロントライト一体型透明タッチパネル
JP2000137217A (ja) 1998-11-02 2000-05-16 Hitachi Ltd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0206523A (ja) * 1999-01-11 2000-07-2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056461A (ja) 1999-06-10 2001-02-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307027B1 (ko) * 1999-06-17 2001-11-01 서평원 액정 표시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KR100444694B1 (ko) 1999-08-04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JP2001051251A (ja) * 1999-08-12 2001-02-2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075093A (ja) 1999-08-31 2001-03-23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822711B1 (en) 1999-09-30 2004-11-23 Casio Computer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polarizing element transmitting one of two polarizing components crossing at right angles and reflecting the other component
US7077536B2 (en) * 2000-01-19 2006-07-18 Apostol Konomi Double-sided edge lighting-type display light box
US6574487B1 (en) * 2000-02-23 2003-06-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ual-side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1290445A (ja) 2000-04-06 2001-10-19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3424658B2 (ja) * 2000-05-31 2003-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2093229A (ja) 2000-09-14 2002-03-2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859956B2 (ja) 2000-10-23 2006-12-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119085B2 (ja) 2000-12-20 2008-07-16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立体視表示装置
JP2002311449A (ja) 2001-02-06 2002-10-23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US6925313B2 (en) 2001-02-07 2005-08-02 Hyundai Curitel Inc.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ouble-sided LCD
TW590231U (en) * 2001-03-19 2004-06-01 Quanta Comp Inc LCD having a display function on both sides thereof
JP3522231B2 (ja) 2001-04-03 2004-04-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2313120A (ja) 2001-04-10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
TW525020B (en) * 2001-07-27 2003-03-2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JP2003098545A (ja) 2001-09-20 2003-04-03 Sharp Corp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WO2003029884A1 (fr) 2001-09-28 2003-04-10 Citizen Watch Co., Ltd. Dispositif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JP3668730B2 (ja) 2001-10-01 2005-07-06 富士通化成株式会社 面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KR100432009B1 (ko) * 2001-12-03 2004-05-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US7034799B2 (en) * 2001-12-1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ing device fo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folder-type mobile phone therewith
JP2003215591A (ja) * 2002-01-25 2003-07-30 Alps Electric Co Ltd 半透過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3255338A (ja) * 2002-02-28 2003-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4048844B2 (ja) * 2002-06-17 2008-0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面光源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4021238A (ja) * 2002-06-20 2004-01-22 Nec Saitama Ltd 表示デバイス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828531B1 (ko) * 2002-07-26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4144990A (ja) * 2002-10-24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両面発光型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2005099471A (ja) 2003-09-25 2005-04-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0953B2 (en) 2008-06-03
KR20040038778A (ko) 2004-05-08
US20040136155A1 (en) 2004-07-15
KR20060001974A (ko) 2006-01-06
JP3719433B2 (ja) 2005-11-24
US7538834B2 (en) 2009-05-26
CN1282017C (zh) 2006-10-25
US20060244880A1 (en) 2006-11-02
US20090201442A1 (en) 2009-08-13
TWI255946B (en) 2006-06-01
TW200408887A (en) 2004-06-01
KR20060001973A (ko) 2006-01-06
KR100626479B1 (ko) 2006-09-20
CN1499260A (zh) 2004-05-26
JP2004151342A (ja) 2004-05-27
US7920229B2 (en) 2011-04-05
KR100566173B1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434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5154695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246187B2 (en) Display device using diffusive light guide plate
JP2004511811A (ja) 非反転画像を有する半透過型ディスプレイ
US20070097504A1 (en) Dual panel display
US8136975B2 (en) Optical film applied to a side-emitting backlight module
JP4353279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
KR20150066846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KR20040075725A (ko) 도광판의 양면으로부터 광을 출사하게 하는 데에 적합한확산 조명장치
JPH117014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25301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353271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
JP2003270634A (ja) 液晶表示装置
JP3953078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389970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
JP4389963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
JP4086087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178913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3899711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217386054U (zh) 一种显示装置
JP474055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4227856A (ja) 面発光装置
KR20040064113A (ko) 양면 조명형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