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823B1 -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823B1
KR100632823B1 KR1020037015953A KR20037015953A KR100632823B1 KR 100632823 B1 KR100632823 B1 KR 100632823B1 KR 1020037015953 A KR1020037015953 A KR 1020037015953A KR 20037015953 A KR20037015953 A KR 20037015953A KR 100632823 B1 KR100632823 B1 KR 10063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control panel
elevator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695A (ko
Inventor
분야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케이지(12)의 승강로(11) 내에 제어반(13)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경우에,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기능을 갖는 휴대형의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한다. 이 메인터넌스 툴(20)을 특정 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커넥터 박스(14) 내의 커넥터(15)에 접속함으로써, 메인터넌스 툴(20)로부터 제어반(13)을 원격적으로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13)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제어반(13)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행할 수 있다.
케이지, 승강로, 제어반, 메인터넌스, 커넥터 박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ELEVATOR MAINTENANCE SYSTEM}
본 발명은 케이지(cage)의 승강로 내에 제어반(制御盤)이 설치된 머신 룸리스(machine roomless)형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메인터넌스(maintenance)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최상층의 더 위에 머신룸(machine room)을 갖고 있다. 이 머신룸 내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수원(保守員)은 이 머신룸에 들어감으로써, 그곳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반을 직접 조작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반이 승강로 내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원이 제어반을 직접 조작할 수 없다. 그래서, 예를 들어, 최상층의 승강장에 제어반과 동등한 기능을 갖는 보조 제어반을 설치하여 두고, 보수원이 그 보조 제어반을 조작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제어반에 의해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보조 제어반 자체에 다수의 기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보조 제어반이 대형화하게 되어, 승강장에서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반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그 제어반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케이지의 승강로 내에 제어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기능을 갖는 운반 가능한 메인터넌스 장치와, 특정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에 접속된 커넥터(connector)를 수납한 커넥터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를 상기 커넥터 박스 내의 상기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반을 원격적(遠隔的)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장치를 특정 장소에 설치된 커넥터 박스 내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제어반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그 제어반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케이지의 승강로 내에 제어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기능을 갖는 동시에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운반 가능한 메인터넌스 장치와, 특정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에 접속된 무선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를 상기 무선 터미널에 무선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 어반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메인터넌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 메인터넌스 장치를 특정 장소에 설치된 무선 터미널에 무선에 의해 접속하는 것만으로, 제어반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그 제어반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 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부호 11은 승강로, 부호 12는 케이지, 부호 13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고 있다.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반(13)이 승강로(1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반(13)의 설치 장소로서는, 승강로(11) 내의 피트(pit) 이외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최상층의 더 위의 장소가 좋다. 이것은 승강로(11) 내의 피트에 제어반(13)을 설치하면, 예를 들어, 호우(豪雨)로 인하여 피트 부분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제어반(13)이 고장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내(構內)의 특정 장소, 여기서는 최상층의 승강장에 커넥터 박스(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 박스(14)에는, 후술하는 메인터넌스 툴(tool)(20)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5)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 박스(14)에는, 필요 최소한의 스위치 종류로서, 엘리베이터의 동작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스위치(16)나, 제어탁(도시 생략)(制御卓, console)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7) 등이 수납되어 있다. 이 커넥터 박스(14) 내의 커넥터(15)는 케이블(18)을 통하여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원 차단 스위치(16)나 제어탁 접속용 커넥터(17)에 대해서도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툴(20)은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기능을 구비한 운반 가능한 소형의 메인터넌스 전용(專用) 기기이며, 메인터넌스 장치라고도 불린다. 이 메인터넌스 툴(20)에는, 커넥터 박스(14)에 수납된 커넥터(15)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자(21)가 케이블(2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메인터넌스 툴(20)의 상면(20a)에는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각종 조작 버튼(예를 들어, 검사 모드 버튼, 전원 차단 버튼, 트레이스(trace) 버튼 등)이나, 검사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부호 2는 보수원, 부호 3은 홀 도어, 부호 4는 홀 도어를 둘러싸는 3방 프레임, 부호 5는 홀 버튼(케이지 호출 버튼)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넥터 박스(14)는, 보수원(2) 이외의 것이 함부로 접촉하지 않도록 홀 버튼(5) 등이 설치된 조작 패널(6)의 뒤쪽에 숨겨져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박스(14)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커버(14a)가 부착되어 있고, 미사용(未使用) 시에는 커버(14a)를 폐쇄하여 자물쇠를 걸어 두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보수원(2)은 이하와 같은 순서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게 된다.
즉, 우선, 보수원(2)이 최상층의 승강장(1)에 가서, 홀 도어(3) 주변의 벽에 끼워 넣어져 있는 조작 패널(6)을 떼어내어, 그곳에 매설(埋設)되어 있는 커넥터 박스(14)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이 커넥터 박스(14)의 커버(14a)를 개방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박스(14) 속에서 커넥터(15)를 인출한다. 그리고, 메인터넌스 툴(20)에 설치된 단말(21)을 상기 커넥터(15)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메인터넌스 툴(20)과 제어반(13)이 케이블(18)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터넌스 툴(2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반(13)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 툴(20) 상에 표시되는 검사 결과 등을 확인하면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
또한, 커넥터 박스(14) 내에는, 메인터넌스 툴 접속용 커넥터(15) 이외에, 전원 차단 스위치(16) 및 제어탁 접속용 커넥터(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전원 차단 스위치(16)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커넥터(17)에 메인터넌스 툴(20)과는 별도의 제어탁(도시 생략)을 접속하여 제어반(13)의 파라미터 값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상층의 승강장(1)에서 메인터넌스 툴(20)을 커넥터 박스(14) 내의 커넥터(15)에 접속함으로써, 제어반(13)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반(13)이 승강로(11) 내에 있어, 보수원(2)이 근처에 가서 직접 조작할 수 없는 경우일지라도, 이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터넌스 툴(20)은 보수원(2)이 휴대하여, 메인터넌스 시에 커넥터 박스(14) 내의 커넥터(15)에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승강장(1)에 메인터넌 스 툴 전용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 둘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최상층의 승강장(1)에 커넥터 박스(14)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했지만, 최상층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층의 승강장에 커넥터 박스(14)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툴(20)에, 예를 들어,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미리 메인터넌스 작업이 허가된 보수원(2)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 기능을 마련하여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보수원(2) 이외의 사람이 함부로 메인터넌스 툴(20)을 꺼내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케이지(12)의 승강로(11) 내에 제어반(13)이 설치된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도 1)와 동일하게, 최상층의 승강장에 커넥터 박스(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커넥터 박스(14) 내의 커넥터(15)에 메인터넌스 툴(20)을 접속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툴(20)이 퍼스널 컴퓨터(3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인터넌스 툴(20)에는, 퍼스널 컴퓨터 접속용 커넥터(23)가 케이블(2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30)에는, 이 퍼스널 컴퓨터 접속용 커넥터(2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자(31)가 케이블(3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퍼스널 컴퓨터(30)에는,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33) 및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3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보수원(2)이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우선, 최상층의 승강장(1)에서 홀 버튼(5)의 조작 패널(6)을 떼어내고, 그 속에 있는 커넥터 박스(14)의 커버(14a)를 개방하여,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15)를 인출한다. 그리고, 이 커넥터(15)에 메인터넌스 툴(20)의 단자(21)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어반(13)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메인터넌스 툴(2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반(13)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표시기에 표시되는 검사 결과 등을 확인하면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
여기서, 메인터넌스 툴(20)과 제어반(13)이 접속된 상태에서, 또한, 메인터넌스 툴(20)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접속용 커넥터(23)를 퍼스널 컴퓨터(30)의 단자(31)에 끼워 넣음으로써 메인터넌스 툴(20)에 퍼스널 컴퓨터(30)를 접속하면, 퍼스널 컴퓨터(30)의 기능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은 것을 행할 수 있다.
즉, 퍼스널 컴퓨터(30)의 입력 장치(34)를 조작하여, 제어반(13)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예를 들어, 케이지(12)의 운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등)를 트레이스 데이터로서 메인터넌스 툴(20)을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30)에 임의 선택적 으로 수용하고, 그 표시 장치(33)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0)의 입력 장치(34)로부터 입력된 어떠한 제어용 파라미터 값을 메인터넌스 툴(20)을 통하여 제어반(13)에 전송함으로써, 그 파라미터 값을 제어반(13)에 설정한다. 이후, 제어반(13)에서는, 이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의거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기능의 제어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툴(20)에 퍼스널 컴퓨터(3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30)의 기능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제어반(13)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행하고 있던 트레이스 데이터의 표시나 파라미터 설정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최상층의 승강장에 커넥터 박스(14)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했지만, 최상층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층의 승강장에 커넥터 박스(14)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케이지(12)의 승강로(11) 내에 제어반(13)이 설치된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내의 특정 장소, 여기서는 최상층의 승강장(1a)에 커넥터 박스(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 박스(14)에는, 메 인터넌스 툴(20)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5) 등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메인터넌스 툴(20) 내의 커넥터(15)는 제어반(13)에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박스(14)의 설치 장소로서는, 최상층 승강장(1a)에서의 홀 버튼(5)의 조작 패널(6) 뒤쪽이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서는, 최상층의 승강장(1a)뿐만 아니라, 다른 층의 승강장(1b∼1d)에도 상기 커넥터 박스(14)와 동일한 커넥터 박스(41)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각 층의 홀 버튼(43)이 마련된 조작 패널(44)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하층 승강장(1d)의 더 하측(下側)에 있는 승강로(11) 내의 피트(11a)에 대해서도, 동일한 커넥터 박스(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지(12) 상에도 동일한 커넥터 박스(4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 박스(41, 45, 47)에 수납된 메인터넌스 툴 접속용 커넥터(42, 46, 48)는 각각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최상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1b, 1c)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경우에, 그 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홀 버튼(43)의 조작 패널(44)을 떼어내고, 그 속에 있는 커넥터 박스(41)로부터 메인터넌스 툴 접속용 커넥터(42)를 인출하여 메인터넌스 툴(20)에 접속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
이 때,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0)를 메인터넌스 툴(20)에 접속하면, 제어반(13)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30)의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퍼스널 컴퓨터(30)로부터 입력한 각종 파라미터 값을 제어반(13)에 설정할 수 있다.
승강로(11) 내의 피트(11a) 또는 케이지(12) 상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즉, 피트(11a)이면, 커넥터 박스(45)로부터 메인터넌스 툴 접속용 커넥터(46)를 인출하고, 케이지(12) 상이면 커넥터 박스(47)로부터 메인터넌스 툴 접속용 커넥터(48)을 인출하여, 그곳에 메인터넌스 툴(20)을 접속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
이 때, 메인터넌스 툴(20)에 퍼스널 컴퓨터(30)를 접속하면,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 데이터의 표시나 파라미터 설정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최상층의 승강장(1a)뿐만 아니라, 다른 층의 승강장(1b, 1c), 또한, 승강로(11) 내의 피트(11a)나 케이지(12) 상일지라도,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하여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제어반(13)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툴(20)에 퍼스널 컴퓨터(30)를 접속함으로써, 제어반(13)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30)의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퍼스널 컴퓨터(30)로부터 입력된 각종 파라미터 값을 제어반(13)에 설정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케이지(12)의 승강로(11) 내에 제어반(13)이 설치된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에 대하여 각 층의 승강장(1a∼1d) 등으로부터 무선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메인터넌스 툴(20)에는 무선기(25)가 탑재되어 있다. 한편, 각 층의 승강장(1a∼1d)에는, 이 무선기(25)와의 사이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터미널(5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1) 내의 피트(11a)와 케이지(12) 상에도 동일한 무선 터미널(52, 5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 터미널(51∼53)은, 예를 들어, 케이블(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선기(25)의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가 이용된다. 블루투스는 단거리의 무선 통신 규격에 의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예를 들어, 2.45㎓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대의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약 10m의 무선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전원 차단 스위치(16)를 포함하는 필요 최소한의 스위치 종류를 승강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5의 최상층의 승강장(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 버튼(5)의 조작 패널(6) 뒤에 스위치 박스(54)를 설치하여, 이 스위치 박스(54) 내에 제어반(13)에 접속되는 스위치 종류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메인터넌스 툴(20)에 무선기(25)가 설치되어 있기 때 문에, 각 층의 승강장(1a∼1d) 중 어느 하나의 승강장에 메인터넌스 툴(20)을 들여옴으로써, 그곳에 설치된 무선 터미널(51)을 통하여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반(13)과 접속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터넌스 툴(20)의 상면(20a)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 때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한 신호가 무선기(25)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무선 전파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이 무선 전파는 무선 터미널(51)에서 수신되고, 그곳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반(13)에 공급된다. 제어반(13)으로부터 메인터넌스 툴(20)에 대하여 신호를 보내는 경우도 동일하게 무선 통신에 의해 실행된다.
승강로(11) 내의 피치(11a)나 케이지(12) 상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즉, 피치(11a)에서는 무선 터미널(52)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메인터넌스 툴(20)을 들여오고, 케이지(12) 상에서는 무선 터미널(53)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메인터넌스 툴(20)을 들여옴으로써, 메인터넌스 툴(20)의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반(13)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한, 메인터넌스 툴(20)이 무선 터미널(51, 52, 5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제어반(13)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 메인터넌스 툴(20)에 퍼스널 컴퓨터(30)를 접속함으로써, 제어반(13)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를 트레이스 데이터로서 수용하여 퍼스널 컴퓨터(30)의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퍼스널 컴퓨터(30)로부터 각종 파라미터 값을 전송하여 제어반(13)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툴(20)에 무선 기능을 부여하여,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과 무선에 의해 접속하여 원격적으로 조작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무선 터미널의 무선 통신 범위 내이면, 어디에서도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하여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제어반(13)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 메인터넌스 툴(20)은 휴대 가능하기 때문에, 승강장에 이 메인터넌스 툴(2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둘 필요도 없다.
또한, 메인터넌스 툴(20)과 제어반(13)이 무선 접속된 상태에서 메인터넌스 툴(20)에 퍼스널 컴퓨터(30)를 접속하면, 그 퍼스널 컴퓨터(30)와 제어반(13) 사이에서 상술한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 데이터의 취출(取出)이나 제어 파라미터의 전송 등을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차단 스위치 등의 필요 최소한의 스위치를 수납한 스위치 박스(54)를 최상층의 승강장(1a) 등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무선의 통신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에,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의 차단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예에서는, 각 층의 승강장, 승강로(11) 내의 피트(11a), 케이지(12) 상에 각각 무선 터미널을 설치하도록 했지만, 적어도 1개소에 무선 터미널을 설치하여, 그곳에서 메인터넌스 툴(20)을 이용하여 무선에 의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케이지(12)의 승강로(11) 내에 제어반(13)이 설치된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제 5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툴(20) 대신에 휴대 전화(60)를 이용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전화(60)에는, 엘리베이터 메인터넌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 휴대 전화(60)에는,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60a) 및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6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휴대 전화(60)에는, 케이블(60c)을 통하여 단자(60d)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각 층의 승강장(1a∼1d)에 커넥터 박스(6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커넥터 박스(61)로부터 휴대 전화 접속용 커넥터(62)를 인출하여 휴대 전화(60)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 박스(61)는 각 층의 승강장(1a∼1d)에서의 홀 버튼(5, 43)이 마련된 조작 패널(6, 44)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커넥터 박스(14)와 동일하게 개폐 가능한 커버(61a)를 갖는다.
또한, 승강로(11) 내의 피트(11a)나 케이지(12) 상에도 동일한 커넥터 박스(63, 65)가 설치되어 있다. 피트(11a)에서는 커넥터 박스(63)로부터 휴대 전화 접속용 커넥터(64)를 인출하여 휴대 전화(60)의 단말(60d)과 접속하고, 케이지(12) 상에서는 커넥터 박스(65)로부터 휴대 전화 접속용 커넥터(66)를 인출하여 휴대 전화(60)의 단말(60d)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커넥터 박스(61, 63, 65) 내의 휴대 전화 접속용 커넥터(62, 64, 66)는 각각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어, 최상층의 승강장(1a)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우선, 그 승강장(1a)에 마련된 홀 버튼(5)의 조작 패널(6)을 떼어내고, 그 속에 있는 커넥터 박스(61)의 커버(61a)를 개방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접속용 커넥터(62)를 인출하고, 이 커넥터(62)에 휴대 전화(60)의 단자(60d)를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60)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메인터넌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起動)함으로써, 표시 장치(60a)의 화면을 보면서, 입력 장치(60b)의 각종 버튼을 조작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 또한, 제어반(13)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를 트레이스 데이터로서 취출하여 표시 장치(60a)의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입력 장치(60b)로부터 입력된 각종 파라미터 값을 제어반(13)에 설정하는 것 등을 행한다.
최상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1b∼1d)이나, 승강로(11) 내의 피트(11a), 케이지(12) 상에서도 동일하게, 휴대 전화(60)를 그 장소에 있는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전화(60)와 같은 친숙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제어반(13)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승강장(1a∼1d)에 이 휴대 전화(6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예에서는, 각 층의 승강장, 승강로(11) 내의 피트(11a), 케이지(12) 상에 각각 커넥터 박스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적어도 1개소에 커넥터 박스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휴대 전화(60)를 이용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전화(60)에, 예를 들어,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미리 메인터넌스 작업이 허가된 보수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 기능을 마련하여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보수원 이외의 사람이 함부로 휴대 전화(60)를 꺼내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툴(20) 대신에 휴대 전화(60)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다른 휴대 단말 장치일지라도, 상기 메인터넌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탑재함으로써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케이지(12)의 승강로(11) 내에 제어반(13)이 설치된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제 6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툴(20) 대신에 휴대 전화(60)를 이용하는 동 시에, 이 휴대 전화(60)에 무선기(70)를 설치하여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에 무선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기(70)의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가 이용된다. 또한, 이 휴대 전화(60)에는,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메인터넌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다.
한편, 각 층의 승강장(1a∼1d)에는, 상기 무선기(70)와의 사이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터미널(7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1) 내의 피트(11a)와 케이지(12) 상에도 동일한 무선 터미널(72, 7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 터미널(71∼73)은 각각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무선 터미널(71∼73)의 통신 가능 범위 내이면, 휴대 전화(60)에 설치된 무선기(70)를 이용하여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과 무선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60)의 각종 버튼을 조작하면서, 무선 통신에 의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반(13)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 데이터를 취출하여 휴대 전화(60)의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휴대 전화(60)로부터 입력한 파라미터 값을 제어반(13)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전화(60)와 같은 친숙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승강장에서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승강로(11) 내의 제어반(13)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제어반(13)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터미널의 통신 가능 범위 내이면, 어디에서도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예에서는, 각 층의 승강장, 승강로(11) 내의 피트(11a), 케이지(12) 상에 각각 무선 터미널을 설치하도록 했지만, 적어도 1개소에 무선 터미널을 설치하여, 그곳에서 휴대 전화(60)를 이용하여 무선에 의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툴(20) 대신에 휴대 전화(60)를 이용했지만, 예를 들어, PDA 등의 다른 휴대 단말 장치에 메인터넌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탑재함으로써 동일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형의 메인터넌스 장치를 특정 장소에 설치된 커넥터 박스 내의 커넥터에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무선 터미널에 무선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이 메인터넌스 장치로부터 승강로 내의 제어반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머신 룸리스(machine roomless)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가 승강 동작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제어반(制御盤)과,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인 각 층의 승강장, 상기 승강로 내의 피트(pit), 상기 케이지 위 중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에 접속된 커넥터(connector)를 갖는 커넥터 박스와,
    상기 커넥터 박스의 상기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자와, 미리 메인터넌스 작업이 허가된 보수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를 통해서 상기 커넥터 박스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인증 기능에 의해 미리 허가된 보수원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제어반을 원격적(遠隔的)으로 조작해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운반가능한 메인터넌스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는 단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반이 갖는 각종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trace)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입력된 각종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제어반에 전송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터넌스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특정 휴대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를 상기 커넥터 박스 내의 상기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반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5. 머신 룸리스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승강 동작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인 각 층의 승강장, 상기 승강로 내의 피트, 상기 케이지 위 중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에 접속된 무선 터미널과,
    상기 무선 터미널 사이에서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기(無線器)를 갖고, 상기 무선기를 통해서 상기 무선 터미널과 무선 통신 범위 내에서 접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반을 원격적으로 조작해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운전가능한 메인터넌스 장치와,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 터미널과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의 통신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박스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장치는 단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반에서의 각종 제어 신호의 트레이스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입력된 각종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제어반에 전송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메인터넌스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특정 휴대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를 상기 무선 터미널에 무선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상기 특정 장소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반을 원격적으로 조작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037015953A 2002-04-12 2003-04-10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KR100632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1098A JP2003306277A (ja) 2002-04-12 2002-04-12 エレベータ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JP-P-2002-00111098 2002-04-12
PCT/JP2003/004574 WO2003086935A1 (fr) 2002-04-12 2003-04-10 Systeme de maintenance pour ascenseu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70A Division KR100701215B1 (ko) 2002-04-12 2003-04-10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695A KR20040004695A (ko) 2004-01-13
KR100632823B1 true KR100632823B1 (ko) 2006-10-13

Family

ID=29243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70A KR100701215B1 (ko) 2002-04-12 2003-04-10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KR1020037015953A KR100632823B1 (ko) 2002-04-12 2003-04-10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70A KR100701215B1 (ko) 2002-04-12 2003-04-10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3306277A (ko)
KR (2) KR100701215B1 (ko)
CN (1) CN1317177C (ko)
TW (1) TW200306940A (ko)
WO (1) WO2003086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1938C (zh) * 2004-09-27 2008-11-12 东芝电梯株式会社 携带式异常诊断设备、升降机异常诊断系统及方法
JP2006143361A (ja) * 2004-11-17 2006-06-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作業支援装置
WO2008072023A1 (en) * 2006-12-13 2008-06-19 Otis Elevator Company Portable emergency and inspection interface for elevators
JP2008239324A (ja) * 2007-03-28 2008-10-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絶縁抵抗測定方法
JP5135867B2 (ja) * 2007-04-25 2013-02-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地震時点検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DE102007049737A1 (de) * 2007-10-16 2009-04-23 Exclusive Lift Gmbh Aufzuganlage für Personen und/oder Lasten mit zumindest einer Aufzugkabine
ES2362934T3 (es) * 2007-12-18 2011-07-15 Thyssenkrupp Elevator Manufacturing Spain S.L. Herramienta de diagnóstico y mantenimiento para ascensores.
BRPI0822708A2 (pt) * 2008-06-03 2015-07-07 Otis Elevator Co Disposição de controle para um freio de elevador, freio de elevador, e, sistema de freio para um elevador
FR2938521B1 (fr) * 2008-11-20 2012-12-28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elevateur
FI121423B (fi) * 2009-04-23 2010-11-15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CN102428018A (zh) * 2009-05-20 2012-04-25 因温特奥股份公司 操作单元的激活装置
WO2011015895A1 (en) * 2009-08-07 2011-02-10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CN201717488U (zh) * 2010-01-22 2011-01-19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电梯安全回路短接工具
CN102452594A (zh) * 2010-10-27 2012-05-16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电梯用绝缘电阻测量装置
JP2012206836A (ja) * 2011-03-30 2012-10-2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乗場組込リモート運転制御装置
JP2014513026A (ja) * 2011-05-10 2014-05-2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装置の遠隔制御の管理
JP5718202B2 (ja) * 2011-10-05 2015-05-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乗場の操作装置
KR101352610B1 (ko) * 2012-01-27 2014-01-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WO2015004790A1 (ja) * 2013-07-11 2015-01-15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遠隔監視方法
JP5985591B2 (ja) * 2014-12-05 2016-09-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保守作業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87341B2 (en) 2015-07-01 2020-09-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system having inspection control station
JP6351850B2 (ja) * 2015-07-10 2018-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ラメータ設定システム
EP3124418A1 (de) * 2015-07-28 2017-02-01 Inventio AG Aufzugssteuerung mit drahtlosem zugangspunkt
ITUB20154273A1 (it) * 2015-10-09 2017-04-09 Nuova Brunengo S R L Dispositivo per la diagnosi e la ricerca dei guasti negli impianti di sollevamento come ascensori, montacarichi o simili
CN107043050A (zh) * 2016-02-06 2017-08-15 哈尔滨佳度科技发展有限公司 兼容型电梯维修服务工具
JP6720916B2 (ja) * 2017-05-15 2020-07-0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EP3434638B1 (en) * 2017-07-24 2020-06-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EP3438032A1 (en) * 2017-07-31 2019-02-06 Inventio AG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of an elevator system and updating system for updating a software of an elevator system
US11993480B2 (en) 2019-04-30 2024-05-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haft distributed health level with mechanic feed back condition based monitoring
CN115667113A (zh) * 2020-07-03 2023-01-3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电梯控制方法以及电梯控制程序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0994A (ja) * 1985-12-11 1987-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保守装置
JPH0753558B2 (ja) * 1986-09-10 1995-06-0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操作装置
JPH0192186A (ja) * 1987-09-30 1989-04-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運転装置
JPH0524752A (ja) * 1991-07-18 1993-02-0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保守装置
JPH08273085A (ja) * 1995-03-29 1996-10-1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JPH10291747A (ja) * 1997-04-14 1998-11-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保守装置
JP2001026382A (ja) * 1999-07-15 2001-01-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用かご内運転装置
JP2002060152A (ja) * 2000-08-11 2002-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遠隔操作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エレベータの遠隔操作方法
JP7053558B2 (ja) * 2019-12-02 2022-04-12 アンリツ株式会社 通信端末測定システム、通信端末測定装置及び測定関連情報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6935A1 (fr) 2003-10-23
CN1317177C (zh) 2007-05-23
TW200306940A (en) 2003-12-01
KR20060093737A (ko) 2006-08-25
CN1518518A (zh) 2004-08-04
KR20040004695A (ko) 2004-01-13
JP2003306277A (ja) 2003-10-28
KR100701215B1 (ko)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823B1 (ko)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CN107531410B (zh) 自动运转设备系统、紧急停止终端以及操作终端的控制方法
KR101755721B1 (ko) 승강기 설비의 현대화 방법 및 장치
JP2006321607A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装置
CN214527469U (zh) 无接触式的乘梯系统
JP7072294B1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2014198609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及び保守運転システム
JP2011051681A (ja) エレベータ
CN111039110B (zh) 智能语音乘梯系统
CN110526056B (zh) 位置显示系统以及位置显示方法
JP65551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122541A (ja) エレベータ用映像伝送システム
KR102183746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FI90407B (fi) Elektroninen koodiavain
JP4241679B2 (ja) エレベータ内交信制御装置
JP2008087918A (ja) エレベータ連絡装置
JP2665406B2 (ja) エレベータの小電力無線機器装置
JPH10338429A (ja) 工事用昇降機の非接触式各階着床検出装置
JP4550467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システム
KR20080019456A (ko) 비디오 도어폰 및 그 도어폰과 연동 가능한 승강장 컨트롤판넬
CN212503468U (zh) 一种无接触式无线电梯呼梯系统
JP7456046B2 (ja) エレベーター状況通知端末装置
JP2005035737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WO2019224928A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支援装置
KR100840052B1 (ko)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