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743B1 - 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743B1
KR100632743B1 KR1020017011095A KR20017011095A KR100632743B1 KR 100632743 B1 KR100632743 B1 KR 100632743B1 KR 1020017011095 A KR1020017011095 A KR 1020017011095A KR 20017011095 A KR20017011095 A KR 20017011095A KR 100632743 B1 KR100632743 B1 KR 10063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unit
box
speak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397A (ko
Inventor
사다이에코이치
토요후쿠켄이치로
Original Assignee
온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온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using transducers reproducing the same frequency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2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Abstract

극히 양호한 저음 대역 재생 성능을 가진 본 발명의 소형 스피커 시스템은 폐쇄된 박스 내에 제공된 스피커 유니트와, 스피커 유니트로부터 방사된 음향이 그를 통해 자유 공간내로 안내되어, 자유 공간내로 음향이 직접적으로 방사되는 동일한 폐쇄 박스 내에 스피커 유니트가 제공된 경우 보다 더 큰 범위로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시키게 되는 음향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상기 스피커 유니트가 음향이 자유 공간내로 직접적으로 방사되는 동일한 형상의 폐쇄 박스 내에 제공된 경우에 비해 20% 이상 더 낮다.
음도부, 스피커 유니트, 자유 공간, 폐쇄 박스, f0

Description

스피커 시스템{Speaker system}
본 발명은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형이며, 또한, 상당히 뛰어난 저음역 재생 능력을 갖는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소형 스피커로 저음을 재생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50-39123호 공보에는 스피커 유닛을 대향시켜 음파를 합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의하면, 음파를 합성함으로써, 그때까지의 소형 스피커로는 실현 곤란했던 저음의 음압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단지 2개의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의 위상, 진폭 및 파형을 동일하게 하여 진동시킴으로써 음압을 증대시키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기술에서는 소형 스피커를 사용하여 저음의 재생 대역을 확대할 수 없다.
또한, 소형 스피커에 의한 저음 재생을 보조하기 위해서, 음도관을 사용하여 저역의 양감(量感)을 증대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지만, 윈드 노이즈(wind noise)가 발생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음도관을 이용한 기술에서는 저음의 재생 대역을 충분히 확대한다고 하는 보고는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형 저음 재생용 스피커의 분야에 있어서는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음의 재생 대역을 확대시키는 것이 오래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형이며, 또한, 상당히 뛰어난 저음역 재생 능력을 갖는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구비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이 상기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 시스템은 제 1 상자에 장착된 제 1 스피커 유닛과, 제 2 상자에 장착된 제 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상자와 상기 제 2 상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자 및 상기 제 2 상자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스피커 시스템은 상자에 장착된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벽체와, 상기 상자와 상기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및 상기 상자와 함께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이 상기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벽체는 상기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음향 부하부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음도부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갖고, 상기 음도는 중간부의 폭이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의 폭 및 상기 음도의 출구부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음도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면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음도의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선은 연속적인 곡선으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음도의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선은 적어도 직선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스피커 시스템은 상자에 장착된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벽체와, 상기 상자와 상기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및 상기 상자와 함께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 중 상기 음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스피커 시스템은, 제 1 상자에 장착된 제 1 스피커 유닛과, 제 2 상자에 장착된 제 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상자와 상기 제 2 상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상자 및 상기 제 2 상자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 중 상기 음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는 발포 우레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발포 우레탄의 발포 배율은 2 내지 80배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음도부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압력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압력 조정부는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 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는 펠트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음도부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갖고, 상기 음도의 중간부의 폭은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의 폭보다도 좁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음도의 출구부의 면적은 상기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 면적의 1/20 내지 1/10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벽체는 상기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음향 부하부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압력 흡수성을 갖는 재료가 상기 중간 부재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재료와 상기 중간 부재의 내벽 사이에 공기 부분이 규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스피커 시스템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피커 시스템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음도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도 3의 음도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스피커 시스템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스피커 시스템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음향 부하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음향 부하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음향 부하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스피커 시스템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스피커 시스템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스피커 시스템의 XVII-XV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스피커 시스템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도부의 음파 전파 특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20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음파 전파 특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21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음파 전파 특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22는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음파 전파 특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2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도부의 전달 함수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도부의 전달 함수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2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도부의 전달 함수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도부의 전달 함수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25는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에 대해서, 입력을 변화시켜서 전달 함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6은 윈드 노이즈의 발생에 대해서,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과 비교예의 스피커 시스템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27은 비교예의 스피커 시스템에 대해서 입력을 변화시켜서 전달 함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8은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 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피커 시스템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스피커 시스템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스피커 시스템(100)은 스피커 유닛(11)이 장착된 상자(10)와, 스피커 유닛(21)이 장착된 상자(20)와, 중간 부재(30)를 갖는다. 상자(10 및 20)는 스피커 유닛(11 및 21)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고, 중간 부재(30)를 개재하여 조립되어 있 다.
스피커 유닛(11 및 21)은 소정의 거리(L)만큼 떨어져 대향하고 있다. 거리(L)는 중간 부재의 높이(두께)를 규정하고, 스피커 유닛의 치수 등에 따라서 적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경 10㎝의 스피커 유닛을 서로 대향시키는 경우에는 거리(L)의 바람직한 범위는 2 내지 36㎜이고, L의 최적치는 약 18㎜이다. 거리(L)가 이 범위보다 작으면 스피커 유닛끼리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거리(L)가 이 범위보다 크면 f0의 저하(즉, 저음 재생 대역의 확대)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스피커 유닛(11 및 21)은 서로 동일 사양이어도 좋고, 서로 다른 사양이어도 좋다. 스피커 유닛(11 및 21)의 동작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노럴 음향 신호 입력, 저역 필터 및 앰프를 직렬 접속하고, 앰프에 대하여 2개의 스피커 유닛을 병렬 접속한 구성이 채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신호의 위상 어긋남이 억제되고, 그 결과, 압축 팽창시에 있어서의 위상 간섭에 의한 압력의 부정을 저감할 수 있다.
중간 부재(30)는 상자(10 및 20)와 함께 음도부(40)를 규정한다. 음도부(40)는 스피커 유닛(11 및 21)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70; 즉, 수청자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도출한다. 음도부(40)는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당히 높은 공기의 팽창 및 압축을 유효하게 자유 공간으로 도출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저음 재생 대역의 확대에 기여한다.
다음에, 음도부(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도 3을 참조하여 평면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음도부(40)가 상자(10 및 20)와 중간 부재(30)에 의해 도 3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입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음도부(40)는 음원 공간(41)과 음도(42)를 갖는다. 음원 공간(41)은 스피커 유닛(11 및 21)을 둘러싸도록 규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로 음원 공간(41)이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발생시킨다. 스피커 유닛(11 및 21)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는 음원 공간(41)을 거쳐서 음도(42)로 전파된다. 음도(42)는 이 음파를 자유 공간(70)으로 도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로 음도(42)가 음원 공간(41)에 생기는 높은 팽창 및 압축을 유효하게 자유 공간(70)으로 방사하고, 저음 재생 대역의 확대에 기여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음도(42)의 구체적 형상은 이하와 같다 : (1) 음도의 중간부(43)의 폭은 음원 공간(41)과 음도(42)의 접속부(44)의 폭 및 음도의 출구부(45)의 폭보다도 좁고, 또한, (2) 음도(42)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46)에 대하여 비대칭이다. (1) 및 (2)의 요건이 필요하며 또한 충분한 요건이지만, 대표적으로는 중간부(43; 가장 좁은 부분)의 폭(W1)과 출구부(45)의 폭(W2)의 비율(W2/W1)×100은 12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약 150%이다.
이러한 형상의 음도로 음파를 전파시키는 경우에는 (1)의 요건에 기인하여 음도의 실질적인 길이를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음도(42)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정재파의 기본파 공진의 예리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차의 정재파의 레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2)의 요건에 기인하여 음도(42)의 벽면에 따른 전파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음도 내를 일체가 되어 움직이는 음향 질량으로 간주할 수 있는 부분이 작아진다. 따라서 음도부(40) 내의 음압 변화가 큰 경우에 음도부(40) 내의 음향 질량을 진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로스(1A)가 적다. 그 결과, 음도부(40)의 출구부(45) 부근의 공기를 매질의 진동으로서가 아니라, 매질 그 자체를 공기의 덩어리로서 더욱 큰 체적으로 방사한다. 이것은 일반의 정현파(正弦波) 소인(sweep) 등의 측정으로는 나타나지 않지만, 음악 신호에 포함되는 베이스나 드럼 등의 에너지가 큰 과도음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측정용 신호를 인가한 경우에 관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약 50㎐ 이하의 대역을 증강하는 기능을 갖고, 저음역에서의 양감의 향상에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스피커 유닛(11 또는 21)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한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또, f0 저하율은 크면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실용적인 f0의 최대 저하율은 약 50%이다.
상기 (1) 및 (2)의 요건을 만족하는 음도부(40)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음도(42)를 규정하는 선(즉, 평면시한 음도 벽면)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적인 곡선만으로 구성되어 도 좋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1) 및 (2)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 임의의 적절한 평면 형상을 갖는 음도부(40)가 채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1) 및 (2)의 요건을 만족하는 음도부(40)에 의하면 윈드 노이즈 등이 발생하지 않고, 음질이 저하되는 경우도 없다.
(제 2 실시 형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피커 시스템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스피커 시스템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스피커 유닛을 대향시키는 대신에 스피커 유닛과 음향 부하부를 설치한 벽체를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시스템(200)은 스피커 유닛(11)이 장착된 상자(10)와 음향 부하부(51)가 설치된 벽체(50)와 중간 부재(30)를 갖는다. 상자(10) 및 벽체(50)는 스피커 유닛과 음향 부하부(51)의 최대 돌출부가 소정의 거리(L')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하고, 중간 부재(30)를 개재하여 조립되어 있다.
거리(L')는 스피커 유닛의 치수 등에 따라서 적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경 13㎝의 스피커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리(L')의 바람직한 범위는 2 내지 36㎜이고, L'의 최적치는 18㎜이다. 거리(L')가 이 범위보다 작으면 스피커 유닛과 음향 부하부가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거리(L')가 이 범위보다 크면 f0의 저하(즉, 저음 재생 대역의 확대)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벽(50)은, 스피커 유닛(11)에 대향하는 부분에 음향 부하부(51)를 갖는다.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발생시키고, 저음 재생 대역의 확대에 기여하는 음도부(40)가 실현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음향 부하부(51)가 채용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음향 부하부(51)는 공기 형상 볼록부이다.
또는, 음향 부하부(5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1)의 진동판(12)에 대하여 균등한 틈을 형성하는 단면 사다리꼴형 볼록부일 수 있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링형 볼록부(예를 들면, 13㎝ 유닛에 대해서는 높이 10㎜, 링 폭 15㎜)일 수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형 볼록부와 공기 형상 오목부의 조합일 수 있다. 도 7 및 도 9와 같은 단지 돌출했을 뿐인 음향 부하부와 비교하여, 도 10 및 도 11과 같은 요철을 갖는 음향 부하부 쪽이 f0 저감 효과(즉, 저음 재생 대역 확대 효과)가 더욱 현저하다.
(제 3 실시 형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스피커 시스템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스피커 시스템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또, 제 1 또는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스피커 시스템(300)은 스피커 유닛(11)이 장착된 상자(10)와 스피커 유닛(21)이 장착된 상자(20)와 중간 부재(30)를 갖는다. 상자(10 및 20)는 스피커 유닛(11 및 21)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고, 중간 부재(30)를 개재하여 조립되어 있다.
중간 부재(30) 중 음도부(40)를 규정하는 부분(이하, 규정 부분(31)이라고 함)의 적어도 일부는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압력 흡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규정 부분(31)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흡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는 음도부(40)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 흡수 재료가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i) 중간 부재(30)의 인클로저를 구성하는 부분(강체 부분)과 같은 재료로 일체적으로 규정 부분(31)을 구성하고, 상기 강체 규정 부분의 표면의 소정의 위치에 압력 흡수 재료를 부착하여도 좋고, 또는 (ii) 압력 흡수 재료 자체로 규정 부분을 구성하여도 좋다(즉, 중간 부재 내부 전부 또는 소정의 일부에, 소정의 형상의 규정 부분(31)을 규정하도록 하여 압력 흡수 재료를 충전하여도 좋다. 도 14는 압력 흡수 재료를 중간 부재 내부 전부에 충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도 15는 중간 부재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압력 흡수 재료를 배치하는 경우(즉, 인클로저 내벽과 규정 부분 사이에 공기 부분(60)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압력 흡수 재료의 배치 위치 및 두께 등은 목적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력 흡수 재료의 두께는 중간 부재 내부 전부를 충전할 만큼의 두꺼운 것이어도 좋고, 강체로 구성된 규정 부분에 부착하는 얇은 것이어도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압력 흡수 재료의 두께는 1 내지 100㎜이다. 압력 흡수 재료는 음도(42)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배치되어도 좋고, 음원 공간(41)으로부터 음도(42)에 이르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도 좋다. 압력 흡수 재료의 배치 위치 및 두께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얻어지는 스피커 시스템의 저음 재생 능력, 출력 특성, 노이즈, 윈드 노이즈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즉, 인클로저 내벽과 규정 부분 사이에 공기 부분(60)을 형성하는 구성)에 의하면, 인간의 귀에 가장 민감한 대역(2 내지 5㎑)의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력 흡수 재료는, 소 입력시(공기의 유속이 느릴 때, 즉, 음도부의 압력 변화가 작을 때)에는 강체와 같이 기능하고, 대 입력시(공기의 유속이 빠를 때, 즉, 음도부의 압력 변화가 클 때)에는 연질 재료와 같이 기능하는 재료를 말한다. 대표적인 압력 흡수 재료로서는 이른바 완충 재료를 들 수 있다. 압력 흡수 재료는 흡음성일 필요는 없지만, 흡음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흡음력이 음질 향상의 효과를 가져오는 대표적인 경우로서는 상기 재료가 갖는 흡음율의 주파수 특성이 불필요한 잡음(예를 들면, 윈드 노이즈)의 대역에 있어서 높은 경우이다. 이러한 압력 흡수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발포 우레탄, 발포 고무, 발포 폴리 에틸렌을 들 수 있다. 발포 우레탄이 바람직하다. 발포 우레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발포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배이다. 압력 흡수 재료를 규정 부분(31)에 사용함으로써, 대 입력시에 스피커 전면부가 과압력이 되는 것을 완화하기 때문에 대 입력시에도 특성을 혼란시키지 않고 응답이 빠른 저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역에 있어서 높은 흡음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윈드 노이즈의 발생(특히, 대 입력시에 있어서의 윈드 노이즈의 발생)을 특히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조정부(32)가 음도부(40)를 규정하는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압력 조정부(32)는 음도부(40)의 벽면 모든 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압력 조정부(32)는 목적에 따라서 벽면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조정부(32)는 음도(42)의 벽면 모든 면에 배치되어도 좋고, 음도(42)의 한 쪽의 벽면에만 배치되어도 좋으며, 음원 공간(41)으로부터 음도(42)에 이르는 벽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조정부(32)는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로 구성된다. 여기서,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는, 상기 압력 흡수 재료와 같은 기능을 갖고, 또한, 압력 흡수 재료와 비교하여 평활한 표면 성상을 갖는 재료를 말한다. 평활한 표면 성상을 가짐으로써,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대 입력시 또는 소 입력시에 관계없이 공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얻어지는 스피커의 음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의 대표예로는 펠트, 연질 필름을 들 수 있다.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는 흡음성일 필요는 없지만, 흡음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대표적으로는 압력 조정부(32)는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를 규정 부분(31)에 부착함으로써 배치된다. 이러한 압력 조정부(3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의 효과에 더하여, 저역에 있어서의 에너지 로스가 현저하게 억제된다. 압력 흡수 재료(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가 저역에 있어서 갖는 약간의 흡음력을 음향 재료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거의 제로로 할 수 있으므로, 저역에 있어서의 에너지 로스(1A)가 더욱 억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서 압력 흡수 재료와 음향 재료를 적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도(42)의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이 음원 공간(41)과 음도(42)의 접속부(44)의 폭보다도 좁으면 충분하다. 규정 부분(31)에 압력 흡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음도(42)의 벽면에 따른 음파의 전파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음도가 비대칭인 평면 형상을 갖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도의 평면 형상은 음파 도출 방향의 축(46)에 대하여 대칭이어도 비대칭이어도 좋다(도 14는 대칭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음도(42)의 가장 좁은 부분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중간부(43)이어도 좋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출구부(45)이어도 좋다. 다시 말하면, 음도(42)는 도 3에 도시되는 중간부(43)를 규정하는 바와 같은 잘록해지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44)로부터 출구부(45)에 걸쳐서 폭이 단조 감소하는 듯한(즉, 중간부(43)가 규정되지 않은 듯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 접속부(44)로부터 출구부(45)에 걸쳐서 폭이 단조 감소하는 듯한 평면 형상을 갖는 음도(42)를 규정할 수 있는 것이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의 하나이다. 이것도 또한 규정 부분(31)에 압력 흡수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규정 부분(31)에 압력 흡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음도의 실질적인 길이를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게 되므로, 음도(42)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정재파의 기본파 공진의 예리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도(42)의 가장 좁은 부분(즉, 중간부(43) 또는 출구부(45))의 폭(W3)과 접속부(44)의 폭(W4)의 비율(W4/W3)×100은 12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약 150%이다.
바람직하게는 음도(42)의 용적은 진동판의 변위 체적에 대하여 약 1 내지 2배이다. 이러한 범위의 용적으로 음도(42)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비선형성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적고, 또한, 콘지 등의 음압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대 입력시에도 특성을 흩트리지 않고 응답이 빠른 저음을 얻을 수 있다.
출구부(45)의 면적은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 면적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10의 범위이다. 면적비가 1/20보다 작은 경우에는 음압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면적비가 1/10보다 큰 경우에는 공기의 이동 속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응답이 빠른 저음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출구부 면적(즉, 스피커 시스템의 개구부 면적)은 종래의 소형 저음 재생용 스피커와 비교하여 각별히 작기 때문에 응답이 빠른 저음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품 설계상도 상당히 유리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f0도 또한, 스피커 유닛(11 또는 21)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에 방사한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제 4 실시 형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스피커 시스템의 XVII-X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8은 도 16의 스피커 시스템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2개의 스피커 유닛을 대향시키는 대신에 스피커 유닛과 음향 부하부를 설치한 벽체를 대향시키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음도(42)가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면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시스템(400)은 스피커 유닛(11)이 장착된 상자(10)와 음향 부하부(51)가 설치된 벽체(50)와 중간 부재(30)를 갖는다. 상자(10) 및 벽체(50)는 스피커 유닛과 음향 부하부(51)의 최대 돌출부가 소정의 거리(L')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하고, 중간 부재(30)를 개재하여 조립되어 있다. 거리(L')에 대해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음향 부하음(51)에 대해서도 제 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대로, 임의의 적절한 음향 부하부(51)가 채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8뿐만 아니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음향 부하부(51)가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f0도 또한 스피커 유닛(11)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한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제 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11)이 장착된 상자(10)와 음향 부하부(51)가 설치된 벽체(50)와 중간 부재(30)를 갖는 스피커 시스템을 스피커 유닛이 대향하도록(즉, 음향 부하부(51)의 배면끼리가 대향하도록) 겹쳐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음향 부하부(51)는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동일 사양의 10㎝ 스피커 유닛을 2개 제작하고, 각각을 2리터 밀폐 상자(124㎜×217㎜×115mm)에 장착하였다. 유닛이 18㎜ 떨어져 서로 대향하도록 하고, 이들의 밀폐 상자를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조립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음도부의 공간의 높이가 18㎜, 출구부의 폭이 60㎜, 중간부(가장 좁은 부분)의 폭이 40㎜, 그리고 음도의 길이가 50㎜가 되는 형상을 갖는 중간 부재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스피커 시스템을 실제로 동작시켜서 f0을 측정하였다.
한편, 밀폐 상자에 장착한 스피커 유닛을 단독으로 동작시켜서 f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62㎐이고, 유닛 단독의 f0은 90㎐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f0이 약 31% 낮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음도부의 공간의 높이를 각각 36㎜ 및 54㎜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여 f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6㎜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72㎐(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약 20% 낮음)이고, 54㎜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78㎐(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약 13% 낮음)이었다. 이로부터, 유닛끼리 접촉시키지 않고, 또한 될 수 있는 한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
13㎝ 스피커 유닛을 제작하여 3리터 밀폐 상자(150㎜×210㎜×150㎜)에 장착하였다. 유닛이 벽체로부터 18㎜ 떨어져 대향하도록 하고, 밀폐 상자와 벽체를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조립하여,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음도부의 공간의 높이가 18㎜, 출구부의 폭이 90㎜, 중간부(가장 좁은 부분)의 폭이 60㎜, 그리고 음도의 길이가 75㎜가 되는 형상을 갖는 중간 부재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스피커 시스템을 실제로 동작시켜서 f0을 측정하였다.
한편, 밀폐 상자에 장착한 스피커 유닛을 단독으로 동작시켜서 f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95㎐이고, 유닛 단독의 f0은 126㎐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f0이 약 25% 낮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음향 부하부를 갖는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여, 제 2 실시예와 같은 시험에 제공하였다. 그 결 과, f0은 92㎐이고, 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f0이 약 27% 낮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음향 부하부를 갖는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고, 제 2 실시예와 같은 시험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 f0은 84㎐이고, 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f0이 약 33% 낮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도부(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음도부)의 음파 전파 특성을 종래의 음향관의 음파 전파 특성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작한 유닛 부착 밀폐 상자에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평판을 장착하여 제 1 실시예와 같은 음도부를 형성하였다. 이 음도부에 미세 분말을 깔아, 저주파(60Hz)인 사인파로 유닛을 구동하고, 분말의 이동 모양(즉, 공기의 소밀 모양)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의 사진을 도 19에 나타낸다.
한편, 단면 직사각형상(즉, 직방체형)의 음향관(강체, 폭 40㎜ 및 폭 20㎜)에 대해서 각각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관찰 결과의 사진을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다.
또한, 중간 부분이 폭이 좋은 형상을 갖는 종래의 음향관에 대해서도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관찰 결과의 사진을 도 22에 도시한다.
도 19 내지 도 22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도부에 있어서는 이동한 분말에 의해서 형성되는 줄무늬(절(節))의 수가 종래의 음향관에 있어서 형성되는 줄무늬(절)의 수보다 적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도부에 의하면, 출구부의 분말의 이동이 광범위하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도부에 의하면, 공기를 더욱 큰 덩어리로서 더욱 큰 힘으로 방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저음의 재생 대역이 확대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 6 실시예)
제 1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에 60㎐ 사인파 10파(2V 및 6V)를 입력하고, 방사되는 음압을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달 함수를 측정하였다. 한편,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음도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여 전달 함수를 측정하였다. 입력이 2V인 경우의 결과를 도 23에, 입력이 6V인 경우의 결과를 도 24에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2V 입력의 경우는 양자에 현저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지만, 6V 입력의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의 진동판 전방의 압력 변화가 현저하게 크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에 의하면, 출구부에서 공기의 덩어리를 저주파로 방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초저역 성분이 강조되고, 높은 임장감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7 실시예)
음향 부하부의 최대 돌출부와 스피커 유닛의 거리를 변화시켜서 제 2 실시예 와 같이 하여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여 f0을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스피커 유닛 단독으로 f0을 측정하였다. 측정치 및 유닛 단독으로 f0에 대한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f0 저하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유닛과 부하부의 거리(㎜) f0(㎐) 저하율(%)
유닛 단독 112 -
36 88 21.4
18 71.7 36.0
9 68.0 39.3
3 66.4 40.7
2 62.1 44.6

표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음향 부하부의 최대 돌출부와 스피커 유닛이 접촉하지 않고, 또한, 될 수 있는 한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실시예)
13㎝ 스피커 유닛을 제작하고, 3리터 밀폐 상자(150W×210D×140H)에 장착하였다. 유닛이 벽체로부터 18㎜ 떨어져 대향하도록 하고, 밀폐 상자와 벽체를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조립하여, 도 1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음도부의 공간의 높이가 18㎜, 출구부의 폭이 26㎜, 접속부의 폭이 60㎜, 그리고 음도의 길이가 71㎜가 되는 형상을 갖는 중간 부재를 사용하였다. 중간 부재의 인클로저를 구성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MDF(마이크로 덴시티 파이버 보드, 강체)를 이용하여, 음도부(음원 공간으로부터 음도에 이르는 벽면)를 규정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발포 우레탄을 사용하였다. 발포 우레탄은 중간 부재 내부 전부에 충전하였다. 또한, 음도부를 규정하는 부분에 펠트를 부착하였다.
얻어진 스피커 시스템에 대해서, 1V(0.25W) 부하 및 2V(1W) 부하의 경우에 관해서, 통상의 방법으로 전달 함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5에 도시한다. 또한, 2V 부하시에 발생하는 윈드 노이즈를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후술하는 제 1 비교예의 결과와 더불어 도 26에 도시한다.
덧붙여, 얻어진 스피커 시스템의 f0을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한편, 밀폐 상자에 장착한 스피커 유닛을 단독으로 동작시키고 f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58㎐이고, 유닛 단독의 f0은 101㎐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f0이 약 43% 낮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소형 스피커와 비교하여 저음의 재생 대역이 현저하게 확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비교예)
MDF만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부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 8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스피커 시스템에 대해서, 제 8 실시예와 같이 하여 전달 함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7에 도시한다. 또한, 제 8 실시예와 같이 하여 윈드 노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6에 도시한다.
도 25와 도 27을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제 8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은 제 1 비교예의 스피커 시스템과 비교하여 입력의 차이에 의한 특성의 혼란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6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규정 부분이 압력 흡수 재료로 구성된 제 8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은 제 1 비교예의 스피커 시스템과 비 교하여, 고역에서 발생하는 윈드 노이즈가 각별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제 9 실시예)
동일 사양의 10㎝ 스피커 유닛을 2개 제작하고, 각각을 2리터 밀폐 상자(124W×218D×115H)에 장착하였다. 유닛이 18㎜ 떨어져 서로 대향하도록 하고, 이들의 밀폐 상자를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조립하여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음도부의 공간의 높이가 18㎜, 출구부의 폭이 26㎜, 접속부의 폭이 60㎜, 그리고 음도의 길이가 71㎜가 되는 형상을 갖는 중간 부재를 사용하였다. 음원 공간으로부터 음도에 이르는 벽면을 규정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발포 우레탄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부분에 펠트를 부착하였다.
덧붙여, 얻어진 스피커 시스템의 f0을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한편, 밀폐 상자에 장착한 스피커 유닛을 단독으로 동작시켜서 f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f0은 57㎐이고, 유닛 단독의 f0은 90㎐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유닛 단독과 비교하여 f0이 약 37% 낮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소형 스피커와 비교하여 저음의 재생 대역이 현저하게 확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비교예)
MDF만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부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 9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스피커 시스템에 대해서, 제 8 실시예와 같이 하여 전달 함수를 측정하였다.
제 9 실시예와 제 2 비교예를 비교하면, 제 8 실시예 및 제 1 비교예를 비교한 경우와 같이, 규정 부분이 압력 흡수 재료로 구성된 제 9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은 입력의 차이에 의한 특성의 혼란이 적고, 또한, 고역에서 발생하는 윈드 노이즈가 각별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제 10 실시예)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공기 부분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제 8 실시예와 같이 하여 스피커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 스피커 시스템에 64㎐의 사인파를 입력한 경우에 있어서의 스피커 시스템 전면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8에 도시한다. 또, 참고로서 제 8 실시예의 스피커 시스템에 대해서 같은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아울러 도 28에 도시한다.
도 28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공기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인간의 귀에 가장 민감한 2 내지 5㎑의 노이즈가 더욱 저감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또, 제 8 실시예의 노이즈 레벨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발생시키고, 음원 공간으로부터 방사되는 압력 변화를 효율 좋게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형상을 갖는 음도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소형이며, 또한, 상당히 뛰어난 저음역 재생 능력을 갖는 스피커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도 부분을 규정하는 벽체를 압력 흡수 재료(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저음역 재생 능력을 갖는 스피커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에 의하면, 입력이 달라도 특성의 혼란이 없고, 또한, 윈드 노이즈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소형 저음 스피커로서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다른 많은 변형이 당업자에게 분명하고, 또한,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넓게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갖고,
    상기 음도는 중간부의 폭이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의 폭 및 상기 음도의 출구부의 폭 보다 좁고, 또한, 상기 음도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명 형상을 가지며,
    그에 의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이 상기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낮게 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2. 제 1 상자에 장착된 제 1 스피커 유닛과,
    제 2 상자에 장착된 제 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상자와 상기 제 2 상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자 및 상기 제 2 상자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音導部)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갖고,
    상기 음도는 중간부의 폭이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의 폭 및 상기 음도의 출구부의 폭 보다 좁고, 또한, 상기 음도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명 형상을 가지며,
    그에 의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낮게 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이 동일한, 스피커 시스템.
  4. 상자에 장착된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벽체와,
    상기 상자와 상기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및 상기 상자와 함께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갖고,
    상기 음도는 중간부의 폭이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의 폭 및 상기 음도의 출구부의 폭 보다 좁고, 또한, 상기 음도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명 형상을 갖고,
    그에 의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f0이 상기 스피커 유닛을 동일 형상의 밀폐 상자에 장착하여 직접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는 경우의 f0과 비교하여 20% 이상 낮게 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가 상기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음향 부하부를 갖는, 스피커 시스템.
  6. 제 1 상자에 장착된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제 1 벽체와,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벽체에 설치된 제 1 음향 부하부와,
    상기 제 1 상자와 상기 제 1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벽체 및 상기 제 1 상자와 함께,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1 음도부를 규정하는 제 1 중간 부재와,
    제 2 상자에 장착된 제 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제 2 벽체와,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벽체에 설치된 제 2 음향 부하부와,
    상기 제 2 상자와 상기 제 2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벽체 및 상기 제 2 상자와 함께,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2 음도부를 규정하는 제 2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음도부는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제 1 음원 공간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1 음도를 갖고,
    상기 제 2 음도부는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제 2 음원 공간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2 음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음도는 중간부의 폭이 제 1 음원 공간과 상기 제 1 음도의 접속부의 폭 및 상기 제 1 음도의 출구부의 폭 보다 좁고, 또한, 상기 제 1 음도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 2 음도는 중간부의 폭이 제 2 음원 공간과 상기 제 2 음도의 접속부의 폭 및 상기 제 2 음도의 출구부의 폭 보다 좁고, 또한, 상기 제 2 음도의 음파 도출 방향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면 형상을 갖는, 스피커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도의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선이 연속적인 곡선으로 구성되는, 스피커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도의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선이 적어도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스피커 시스템.
  9. 상자에 장착된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벽체와,
    상기 상자와 상기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및 상기 상자와 함께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가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가지며,
    상기 음도의 폭이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변화하는 부분에서는 단조롭게 감소하고,
    상기 중간 부재 중 상기 음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10. 제 1 상자에 장착된 제 1 스피커 유닛과,
    제 2 상자에 장착된 제 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상자와 상기 제 2 상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자 및 상기 제 2 상자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부를 규정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가 상기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음원 공간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음도를 갖고,
    상기 음도의 폭이 상기 음원 공간과 상기 음도의 접속부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변화하는 부분에서는 단조롭게 감소하고,
    상기 중간 부재 중 상기 음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11. 제 1 상자에 장착된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제 1 벽체와,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벽체에 설치된 제 1 음향 부하부와,
    상기 제 1 상자와 상기 제 1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벽체 및 상기 제 1 상자와 함께,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1 음도부를 규정하는 제 1 중간 부재와,
    제 2 상자에 장착된 제 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 배치된 제 2 벽체와,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벽체에 설치된 제 2 음향 부하부와,
    상기 제 2 상자와 상기 제 2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벽체 및 상기 제 2 상자와 함께,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2 음도부를 규정하는 제 2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음도부는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제 1 음원 공간과, 상기 제 1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1 음도를 갖고,
    상기 제 2 음도부는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규정된 제 2 음원 공간과, 상기 제 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를 자유 공간으로 도출하는 제 2 음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음도의 폭이 상기 제 1 음원 공간과 상기 제 1 음도의 접속부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변화하는 부분에서는 단조롭게 감소하고,
    상기 제 2 음도의 폭이 상기 제 2 음원 공간과 상기 제 2 음도의 접속부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변화하는 부분에서는 단조롭게 감소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중간 부재 중 상기 제 1 및 제 2 음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가 발포 우레탄인, 스피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우레탄의 발포 배율이 2에서 80배인, 스피커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정부가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된 음향 재료가 펠트인, 스피커 시스템.
  17.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도의 출구부의 면적이 상기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 면적의 1/20 내지 1/10의 범위인, 스피커 시스템.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가 상기 스피커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음향 부하부를 갖는, 스피커 시스템.
  19.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흡수성을 갖는 재료가 상기 중간 부재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재료와 상기 중간 부재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 부분이 규정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
KR1020017011095A 1999-03-03 2000-02-29 스피커 시스템 KR100632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55942 1999-03-03
JP5594299 1999-03-03
JPJP-P-1999-00105311 1999-04-13
JP10531199 1999-04-13
JP32236599 1999-11-12
JPJP-P-1999-00322365 1999-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397A KR20020002397A (ko) 2002-01-09
KR100632743B1 true KR100632743B1 (ko) 2006-10-16

Family

ID=2729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95A KR100632743B1 (ko) 1999-03-03 2000-02-29 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798891B1 (ko)
EP (1) EP1161118B1 (ko)
JP (1) JP3656551B2 (ko)
KR (1) KR100632743B1 (ko)
CN (1) CN1179602C (ko)
AT (1) ATE496495T1 (ko)
AU (1) AU767458C (ko)
DE (1) DE60045547D1 (ko)
MY (1) MY125076A (ko)
WO (1) WO2000052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052A (ja) * 2000-08-24 2002-03-15 Onkyo Corp 車載スピーカー装置
US7433483B2 (en) 2001-02-09 2008-10-07 Thx Ltd. Narrow profile speaker configurations and systems
FR2824990B1 (fr) * 2001-05-15 2003-09-26 Jean Pierre Morkerken Emetteur de son et haut-parleur
US20080212807A1 (en) * 2005-06-08 2008-09-04 General Mems Corporation Micromachined Acoustic Transducers
JP4627747B2 (ja) * 2006-08-08 2011-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9094677A (ja) * 2007-10-05 2009-04-30 Fujitsu Ten Ltd スピーカ装置
US20100243293A1 (en) * 2007-10-30 2010-09-30 Fujikura Ltd. Cable wiring structure of sliding-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iring harness
JP5110012B2 (ja) * 2008-03-27 2012-12-26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US8509468B2 (en) * 2008-09-18 2013-08-13 Sonion Nederland Bv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comprising multiple receivers and a common output channel
JP2010226405A (ja) * 2009-03-24 2010-10-07 Alpine Electronics Inc 低音用のスピーカ装置
US20110176701A1 (en) * 2010-01-16 2011-07-21 Collins William E Autoaugmented Speaker Port
JP5002787B2 (ja) 2010-06-02 2012-08-1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音源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エコーキャンセルシステム
US8452041B2 (en) 2011-03-17 2013-05-28 Eugen Nedelcu Opposing dual-vented woofer system
US8469140B1 (en) * 2012-01-09 2013-06-25 Curtis E. Graber Radial waveguide for double cone transducers
JP6121699B2 (ja) * 2012-11-28 2017-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446022B2 (ja) 2013-03-13 2018-12-26 ティ エイチ エックス リミテッド 薄型スピーカ
KR101334167B1 (ko) * 2013-03-29 2013-11-28 김선준 외부확장형 스피커
US10506332B2 (en) 2015-09-15 2019-12-10 Goertek Inc. Loudspeaker module
EP3621312B9 (en) 2018-09-10 2021-06-09 Ellegaarden R&D IVS Audio loudspeaker system
CN109714688A (zh) * 2019-02-19 2019-05-03 苏州上声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886A (ja) * 1995-10-27 1997-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装置
JPH09149487A (ja) * 1995-11-24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音響変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9848A (en) * 1958-05-08 1961-01-31 Claude C Farwell Bass speaker enclosure
US3477540A (en) 1966-01-03 1969-11-11 Patron Alfonso R Speaker system
JPS5039123A (ko) 1973-08-09 1975-04-11
CH558119A (en) * 1974-02-18 1975-01-15 Lanfranchi Maurice Enclosure of loud speakers - contains two sub-enclosures positioned to eliminate resonance frequency by phase cancellation
US4142603A (en) * 1976-11-22 1979-03-06 Johnson Rubein V Adjustable speaker cabinet
FR2450019A1 (fr) * 1979-02-23 1980-09-19 Thomson Brandt Caisson basse frequence, notamment pour systeme acoustique triphonique
IT8423959V0 (it) * 1984-11-30 1984-11-30 Fricker Eric Franzini Angelo Cassa acustica singola ad effetto spaziale per impianti di riproduzione musicale.
US4733749A (en) * 1986-02-26 1988-03-29 Electro-Voice, Inc. High output loudspeaker for low frequency reproduction
JP2706243B2 (ja) 1987-09-21 1998-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処理装置
JPH0178487U (ko) 1987-11-13 1989-05-26
US5012890A (en) * 1988-03-23 1991-05-07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US5109422A (en) * 1988-09-28 1992-04-28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JP2673002B2 (ja) * 1989-03-31 1997-11-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システム
JP2505047B2 (ja) * 1989-06-20 1996-06-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カシステム
JPH04151997A (ja) 1990-10-15 1992-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ピーカシステム
US5714721A (en) * 1990-12-03 1998-02-03 Bose Corporation Porting
US5255321A (en) * 1990-12-05 1993-10-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Acoustic transducer for automotive noise cancellation
JPH0582190A (ja) 1991-09-24 1993-04-02 Hitachi Cable Ltd フラツトケーブルのための変換接続用端子台
JPH05122785A (ja) * 1991-10-25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スレフポート
JPH0582190U (ja) 1992-04-06 1993-11-05 オンキヨー株式会社 位相反転型スピーカ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H06319095A (ja) * 1993-03-08 1994-11-15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895896A (en) * 1997-05-13 1999-04-20 Alton, Jr.; Noyal J. Fluid coupled subwoofer acoustic enclosure system with port chamber
US6343134B1 (en) * 1998-01-28 2002-01-29 Euguene J. Czerwinski Loudspeaker and horn with an additional transducer
US6275597B1 (en) * 1998-05-27 2001-08-14 U.S. Philips Corporation Loudspeaker system having a bass-reflex port
US6237715B1 (en) * 1998-12-01 2001-05-29 Dennis A. Tracy Subwoofer assembly
JP2002078052A (ja) * 2000-08-24 2002-03-15 Onkyo Corp 車載スピーカー装置
US6801633B2 (en) * 2001-01-25 2004-10-05 Dennis A. Tracy Subwoofer assembly
FR2824990B1 (fr) * 2001-05-15 2003-09-26 Jean Pierre Morkerken Emetteur de son et haut-parleur
US6604602B1 (en) * 2002-09-30 2003-08-12 Chae Yong Kim Separable speaker cover box containing speak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886A (ja) * 1995-10-27 1997-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装置
JPH09149487A (ja) * 1995-11-24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音響変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1118B1 (en) 2011-01-19
US6798891B1 (en) 2004-09-28
AU2695900A (en) 2000-09-21
EP1161118A1 (en) 2001-12-05
MY125076A (en) 2006-07-31
EP1161118A4 (en) 2006-08-02
WO2000052958A1 (fr) 2000-09-08
DE60045547D1 (de) 2011-03-03
AU767458C (en) 2006-03-09
CN1179602C (zh) 2004-12-08
KR20020002397A (ko) 2002-01-09
ATE496495T1 (de) 2011-02-15
CN1342384A (zh) 2002-03-27
AU767458B2 (en) 2003-11-13
US20050039975A1 (en) 2005-02-24
JP3656551B2 (ja) 2005-06-08
US7021419B2 (en)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743B1 (ko) 스피커 시스템
KR102186338B1 (ko) 골전도 스피커의 누음을 억제하는 방법 및 골전도 스피커
RU2377740C2 (ru) Технология встроенной акустической линии передачи с замкнутым контуром
US5173575A (en) Acoustic apparatus
US3816672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KR960003849B1 (ko) 스피커 시스템
US7668323B2 (en) Electrostatic ultrasonic transducer and ultrasonic speaker
US3778562A (en) Electrostatic loudspeaker having acoustic wavefront modifying device
US20030174851A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low frequency performance of electro acoustic transducers
US20080240482A1 (en) Arrangement For Optimiz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4389542A (en) Orthodynamic headphone
JP4059272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JP2009055605A (ja) 制動型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KR19980080973A (ko) 음향 기록 및 재생 소자
GB2268357A (en) Moving coil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WO2020066037A1 (ja) 低音域で熱損失を変えず駆動電力を大きくでき、かつ再生特性を改善するスピーカーシステム
KR100248107B1 (ko) 저음용 트랜스미션형 스피커 인클로우져
US115891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JP3445717B2 (ja) スピーカ装置
KR20060104801A (ko) 스피커
JPH08182088A (ja) スピーカ装置
JP2000165974A (ja) スピーカ装置
KR0165282B1 (ko) 스피커 시스템
Youngmark Loudspeaker baffles and cabinets
JP2002176690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