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88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884B1
KR100630884B1 KR1019990001446A KR19990001446A KR100630884B1 KR 100630884 B1 KR100630884 B1 KR 100630884B1 KR 1019990001446 A KR1019990001446 A KR 1019990001446A KR 19990001446 A KR19990001446 A KR 19990001446A KR 100630884 B1 KR100630884 B1 KR 10063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sustain discharge
dielectric
sus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984A (ko
Inventor
가와나미요시미
스즈키게이조
야마모토겐이치
호시룬
이시가키마사지
사토료헤이
시바타마사유키
무라세도모히코
가와이미치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1999006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전전류의 분포를 발광효율의 분포와 대응시키는 방향에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 이전의 방전전류를 작게 하여 PDP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PDP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1방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5%이상의 방전전류값을 갖는 기간을 1방전기간으로 했을 때, 1방전기간의 최초부터 40%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적분값은 그 이후의 기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적분값보다 작은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PDP의 발광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어 PDP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지 방전전극, 발광효율, 투명전극 및 불투명전극, 격벽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PLASMA DISPLA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PDP를 표시면측에서 본 상면도,
도 2는 종래의 3전극구조의 AC면 방전형 PDP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2중의 화살표D1의 방향에서 본 PDP의 단면도,
도 4는 도 2중의 화살표D2의 방향에서 본 PDP의 단면도,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PDP에 1개의 화소를 표시하는 1TV필드기간의 구동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PDP의 하나의 셀을 흐르는 방전전류와 그 방전의 발광효율의 시간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PDP의 하나의 셀에 있어서 제1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킨 폭과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 및 휘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 표시면측에서 본 PDP의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PDP를 표시면측에서 본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PDP를 표시면측에서 본 상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방전전류와 발광효율의 시간변화를 도시한 도 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PDP를 표시면측에서 본 상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의 PDP를 표시면측에서 본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 표시면측에서 본 PDP의 상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의 PDP구조를 도시한 도 2중의 화살표D2와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7의 PDP구조를 도시한 도 16과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8의 PDP를 표시면측에서 본 상면도.
<부호의 설명>
3…전자, 4…정이온, 5…정(正)벽전하, 6…부(負)벽전하, 21…전면(前面)유리기판, 22-1, 22-2…X전극, 23-1, 23-2…Y전극, 24-1, 24-2…X버스전극, 25-1, 25-2…Y버스전극, 26…유전체, 27…보호층, 28…배면유리기판, 29…A전극, 30…유전체, 31…격벽, 32…형광체, 33…방전공간, 40…TV필드, 41∼48…서브필드, 49, 49-1, 49-2…예비방전기간, 50, 50-1, 50-2…라이트방전기간, 51…발광표시기간, 52…1개의 A전극에 인가하는 전압파형, 53…X전극에 인가하는 전압파형, 54…Y전극의 i번째에 인가하는 전압파형, 55…Y전극의 i+1번째에 인가하는 전압파형, 56…Y전극의 i행째에 인가되는 주사펄스, 57…Y전극의 i+1행째에 인가되는 주사펄스, 58…X전극에 인가되는 전압파형, 59…Y전극에 인가되는 전압파형, 10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101…구동회로, 102…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3…영상원, 200…방전갭, 201…제1 부분, 202…제2 부분, 300, 301…강유전체, 302, 303, 304, 305…저유전체, 400…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후, PDP라 한다)를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대형이고 또한 두께가 얇은 컬러표시장치로서 AC면 방전형 PDP를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가 기대되고 있다. AC면 방전형 PDP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종류의 PDP의 대부분은 3전극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2장의 기판 즉 전면유리기판 및 배면유리기판이 소정간극을 거쳐서 대향배치되어 있다. 표시면으로서의 전면유리기판의 내면(배면유리기판과 대향하는 면)에는 서로 쌍으로 되어 있는 여러개의 행전극쌍이 형성되어 있다. 행전극은 유전체에 의해 덮여져 있다. 배면유리기판에는 형광체가 도포된 여러개의 열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열전극이 유전체로 덮여지는 경우도 있다. 표시면측에서 보아 하나의 행전극쌍과 하나의 열전극의 교차부가 방전셀로 되어 있다. 양 기판사이에는 방전가스(He, Ne, Xe, Ar 등의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가 봉입되어 있고, 전극사이에 인가하는 전압펄스에 의해 방전을 일으키고 여기된 방전 가스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형광체에 의해서 가시광으로 변환한다. 컬러표시인 경우에는 통상 3종류의 셀을 1조로 해서 1화소를 구성한다. 행전극은 주된 표시발광을 위한 유지방전을 실행하므로 유지 방전전극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PDP를 사용해서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를 실현하고자 하면, 전극에 공급하는 전류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것에 따라서 소비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소비전력의 저감에는 PDP의 방전에 있어서의 발광효율의 향상이 유효하다.
또한, 최근 요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고정세화(화소수의 증가)를 고려하여 셀의 치수를 감소시킨 경우, 플라즈마 형성의 에너지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발광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종래기술로서는 유지 방전전극의 크기나 형상을 연구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22772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3-187125호가 있다. 또, 유지 방전전극을 덮는 유전체의 재질을 연구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7-262930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315734호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AC면 방전형 PDP의 발광효율의 향상에는 방전기간중의 발광효율의 분포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발광효율의 최대값의 시각이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 이후로 어긋나 있다는 발광효율의 분포의 특징을 발견해 내 고, 방전전류의 분포를 발광효율의 분포와 대응시키는 방향에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 이전의 방전전류를 작게 하여, PDP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PDP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1방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5%이상의 방전전류값을 갖는 기간을 1방전기간으로 했을 때, 1방전기간의 최초부터 40%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적분값을 그 이후의 기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적분값보다 작게 하고 있다.
[2]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1방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5%이상의 방전전류값을 갖는 기간을 1방전기간으로 했을 때, 1방전기간내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 및 발광효율의 최대값이 최초부터 40%의 시각 이후의 기간에 존재하도록 한 것이다.
[3]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 레이장치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유지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제1 부분의 면적과 제2 부분의 면적의 비를 1. 4보다 작게 하고 또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제2 부분의 측면이 방전셀의 경계와 접하도록 한 것이다.
[4] 상기 [3]에 있어서, 제1 부분의 면적과 제2 부분의 면적의 비를 1보다 작게 한 것이다.
[5] 적어도 한쪽방향에 격벽을 갖는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제1 부분의 면적과 제2 부분의 면적의 비를 1. 4보다 작게 하고 또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제2 부분의 측면이 격벽과 접하도록 한 것이다.
[6] 상기 [5]에 있어서, 제1 부분의 면적과 제2 부분의 면적의 비를 1보다 작게 한 것이다.
[7] 상기 [5] 또는 [6]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인접하는 방전셀사이에 부분적인 격벽을 마련한 것이다.
[8] 상기 [3] 내지 [7]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폭을 50㎛이 상 300㎛이하로 한 것이다.
[9] 상기 [3]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부분에 적어도 1개이상의 돌기를 마련한 것이다.
[10] 상기 [3]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부분에 구멍을 마련한 것이다.
[11] 상기 [3] 내지 [10]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부분과의 경계에서 연장한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측면이 방전셀의 경계 또는 격벽과 접하도록 하고,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전극과 불투명전극의 적층구조로 하고, 이 적층구조를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일부까지 최대한 연장시키며, 유지 방전전극의 적층구조 이외의 부분을 투명전극으로 한 것이다.
[12] 상기 [3] 내지 [11]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부분과의 경계에서 연장한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측면이 방전셀의 경계 또는 상기 격벽과 접하도록 하고, 이 일부분과 제2 부분의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폭의 합계를 유지 방전전극 폭의 1/3∼2/3의 범위로 한 것이다.
[13]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유지 방전전극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제1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1 전기용량과 제2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2 전기용량의 비를 1. 4보다 작게 한 것이다.
[14] 상기 [13]에 있어서, 제1 전기용량과 제2 전기용량의 비를 1보다 작게 한 것이다.
[15] 적어도 한쪽방향에 격벽을 갖는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제1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1 전기용량과 제2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2 전기용량의 비를 1. 4보다 작게 한 것이다.
[16] 상기 [15]에 있어서, 제1 전기용량과 제2 전기용량의 비를 1보다 작게 한 것이다.
[17] 상기 [15] 또는 [16]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인접하는 방전셀사이에 부분적인 격벽을 마련한 것이다.
[18] 상기 [13] 내지 [17]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전기용량을 구성하는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을 제2 전기용량을 구성하는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보다 작게 한 것이다.
[19] 상기 [18]에 있어서, 제2 부분과의 경계에서 연장한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측면이 방전셀의 경계 또는 상기 격벽과 접하도록 하고,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전극과 불투명전극의 적층구조로 하고, 이 적층구조를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일부까지 최대한 연장시키고, 유지 방전전극의 적층구조 이외의 부분을 투명전극으로 하고, 적층구조의 부분과 이 부분에 대향하는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 사이의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을 제1 전기용량을 구성하는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보다 크게 한 것이다.
[20] 상기 [13] 내지 [19]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폭을 50㎛ 이상 300㎛이하로 한 것이다.
[실시예]
우선, 종래의 AC면 방전형 PDP에 있어서 발광효율의 최대값의 시각이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 이후로 어긋나 있다는 발광효율 분포의 특징을 발견해 낸 경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부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3전극구조의 AC면 방전형 PDP가 알려져있다. 전면유리기판(21)의 하면에는 투명한 공통전극(22-1), (22-2)……(이후, X전극이라 한다)와 투명한 독립전극(23-1), (23-2)…… (이후, Y전극이라 한다)가 마련되어 있다. X전극과 Y전극으로 유지 방전전극쌍을 구성하고 있다. 또, X전극과 Y전극에는 각각 불투명한 버스전극(24-1), (24-2)……와 (25-1), (25-2)……가 적층되어 마련된다. 또한, X전극, Y전극, 버스전극은 유전체(26)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고 또한 산화 마그네슘(MgO) 등의 보호층(27)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배면유리기판(28)의 상면에는 X전극(22-1)∼(22-2), Y전극(23-1)∼ (23-2)와 직각으로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여러개의 전극(29)(이후 A전극이라 한다)가 부설되어 있다. 이 A전극(29)는 유전체(30)에 의해 피복되고 이 유전체(30)상에는 여러개의 격벽(31)이 A전극(29)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격벽(31)의 벽면과 유전체(30)의 상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목부영역에는 형광체(32)가 도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쌍과 A전극의 교차부가 1개의 방전셀에 대응하고 있고, 방전셀은 2차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유지 방전전극 폭은 통상 50㎛∼300㎛이다.
도 2중의 화살표D1의 방향에서 본 방전셀 1개분의 단면도를 도 3에 도시한다. 방전공간(33)에는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한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방전공간(33)은 격벽(31)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어 있지만, 격벽(31)과 전면유리기판(21)의 방전공간측면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여 공간적으로 연속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중의 화살표D2의 방향에서 본 방전셀 1개분의 단면도를 도 4에 도시한다. 셀의 경계는 대략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이다. 예를 들면, A전극(29), Y전극(23-1)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X전극(22-1)에 부의 전압을 인가하고, 이 상태에서 Y전극(23-1)과 X전극(22-1) 사이에 적당한 역의 전압을 인가하면, 유전체(26)(및 보호층(27))을 거쳐서 Y전극(23-1)과 X전극(22-1) 사이의 방전공간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3)은 전자, (4)는 정이온, (5)는 정(正)벽전하, (6)은 부(負)벽전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PDP(1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102)에 조립되며 그 때의 블럭도를 도 5에 도시한다. 구동회로(101)은 영상원(103)에서 표시화면의 신호를 수취하고 이것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전압으로 변환해서 PDP(100)의 각 전극으로 공급한다. 도 6a는 도 2에 도시한 PDP에 1개의 화소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1TV필드기간의 구동전압의 타이밍도이다. 도면중의 (Ⅰ)에 나타낸 바와 같이 1TV필드기간(40)은 여러개의 다른 발광회수를 갖는 서브필드(41)∼(48)로 분할되어 있다. 각 서브필드마다의 발광과 비발광의 선택에 의해 계조를 표현한다. 각 서브필드는 (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방전기간(49), 발광하는 방전셀을 규정하는 라이트방전기간(50) 및 발광표시기간(51)로 이루어진다.
도 6b는 도 6a의 라이트방전기간(50)에 있어서 A전극, X전극 및 Y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파형(52)는 라이트방전기간(50)에 있어서의 1개의 A전극에 인가하는 전압파형이고, 파형(53)은 X전극에 인가하는 전압파형이며, (54), (55)는 Y전극의 i번째와 (i+1)번째에 인가하는 전압파형으로서, 각각의 전압은 V0, V1, V2(V)이다. 도 6b에서 Y전극의 i행째에 주사펄스(56)이 인가되었을 때, 전압V0의 A전극(29)와의 교점에 위치하는 셀에서는 Y전극과 A전극 사이에 라이트 방전이 발생하고, 접지전위의 A전극(29)와의 교점에 위치하는 셀에서는 라이트 방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라이트 방전이 발생한 방전셀에서는 방전으로 인해 생긴 전하가 Y전극을 덮는 유전체 및 보호층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 전하가 유지방전의 온/오프를 결정한다.
도 6c에 도 6a의 발광표시기간(51) 동안에 유지 방전전극인 X전극과 Y전극 사이에 일제히 인가되는 전압펄스를 도시한다. X전극에는 전압파형(58)이 인가되고 Y전극에는 전압파형(59)가 인가된다. 전압V3(V)의 펄스가 교대로 인가되는 것에 의해 X전극과 Y전극 사이의 상대전압은 반전을 반복한다. 이 때, 라이트방전을 발생시킨 방전셀의 X전극과 Y전극 사이에 유지 방전이 일어나 발광한다.
다음에, 이 PDP의 하나의 방전셀에 있어서의 유지 방전전극쌍 사이의 1회의 유지 방전중에 발생하는 방전전류의 시간변화 및 그 방전중의 발광효율의 시간변화를 구한 결과를 각각 도 7의 (a)의 그래프(I), 도 7의 (b)의 그래프(I)로 나타낸다. 2개의 그래프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광효율의 최대값의 시각이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이후로 어긋나 있고, 방전의 전반 시간에 있어서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본 발명자는 이 분포의 차이에 착안하여 방전전류의 분포를 발광효율의 분포와 대응시키는 방향에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이전의 방전전류를 도 7의 (a)의 그래프(Ⅱ)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게 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켰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PDP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중의 화살표D3의 방향에서 본 PDP의 상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전극의 폭방향을 화살표D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유지 방전전극 즉 투명한 X전극(22-1) 및 투명한 Y전극(23-1)에 있어서 방전갭(유지 방전전극쌍의 내측의 간극) 측의 2/3 폭부분의 일부를 깎아내어 돌기형상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이 PDP는 대각25인치의 XGA패널로서 유지 방전전극 폭W는 각각 110㎛이고, 격벽(31) 사이에 위치한 방전공간의 길이L은 90㎛이다. 또, X전극(22-1)과 Y전극(23-1)의 방전갭은 60㎛이다. 여기서, 유지 방전전극의 깎아냄 깊이W1은 55㎛이고, 그 돌기부분의 굵기L1은 20㎛이다.
이 PDP의 하나의 방전셀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쌍 사이의 1회의 유지 방전중에 발생하는 방전전류의 시간변화의 데이타를 도 7의 (a)에, 그 방전중의 (순간적)발광효율의 시간변화의 데이타를 도 7의 (b)에 도시한다. 도 7의 (a)의 그래프(I)은 유지 방전전극에 형상변경이 없는 종래기술의 경우를 나타내고, 그래프(Ⅱ)는 본 실시예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의 (a)와 도 7의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전의 전반 시간에 있어서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보다 정확하게는 방전전류가 그 최대값의 5%이상으로 되는 기간을 방전기간Td로 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방전기간의 최초부터 약 40%인 곳에서 방전전류가 최대값으로 되고, 발광효율은 이것보다 지연해서 약 60%인 곳에서 최대값으로 된다. 본 발명자는 이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전체발광을 전체전력으로 나눈 값)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방전전류의 최대값이 발생하는 시각을 발광효율의 최대값이 발생하는 시각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 즉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은 방전기간의 전반의 방전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고려하였다. 여기서, 유지 방전은 방전갭측에서 개시되고 유지 방전전극을 덮는 유전체에 방전전류로 인한 벽전하를 축적하면서 점차 그 방전강도의 중심위치를 유지 방전전극쌍의 외측으로 이동해서 진행 하고, 벽전하에 의해서 방전공간에 있어서의 전계가 없어져 종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는 방전의 시각과 방전장소 사이에 어느 정도의 대응이 있고, 방전기간의 전반의 방전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방전갭측의 유지 방전전극의 전극면적을 감소시켜 전극용량을 감소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고려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일정한 굵기의 돌기형상에 의해 전극을 깎아낸 부분의 상대적 폭W1/W에 대해 방전의 발광효율 및 휘도(전체발광을 1방전시간으로 나눈 값)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각각 도 8의 그래프(Ⅰ) 및 그래프(Ⅱ)로 나타낸다. 상대폭W1/W이 약 1/3∼2/3인 영역에서 발광효율은 최대로 된다.(이 영역에서의 변화는 작지만 정확하게는 상대폭 W1/W이 약 1/2인 곳에서 발광효율이 최대값을 취한다. ) 휘도는 상대폭W1/W가 약 2/3인 곳까지는 그다지 변화하고 있지 않지만, 상대폭W1/W이 2/3를 초과하면 급격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유지 방전전극 중, 방전갭측의 폭2/3의 영역은 방전갭측에 가까울수록 발광효율이 낮고, 유지 방전전극중 방전갭과는 반대측의 폭1/3의 영역은 매우 발광효율이 높고 또한 그 값이 거의 일정하다는 것을 추정하였다. 따라서, 전자를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으로 하고 후자를 유지 방전전극의 제2 부분으로 하면, 제1 부분의 전극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1 부분중에서 전극면적을 감소시키는 부분의 상대폭W1/W를 1/3에서 1/2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총합저하를 최소한으로 해서 발광효율의 향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통상 이 경우에는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에는 전극면적을 감소시키고 있지 않은 부분이 투명전극부분으로 되어 있고 개구율이 높다.
본 실시예(Ⅱ)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효율이 낮은 전반의 영역에 있어서 종래기술(Ⅰ)에 대해 방전전류(즉 방전전하)가 약 1/3로 감소하고, 방전전류의 최대값의 시각이 이후(나중)로 이동해서 발광효율의 최대값의 시각에 근접하였다. 또,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효율의 최대값도 향상하였다. 이것에 의해 방전장소마다의 발광효율분포의 변화는 방전기간중의 발광효율의 시간분포의 변화보다 큰 것이 추정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이 약 50% 향상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은 그 면적이 작을수록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는 하지만, 방전의 개시전압을 결정하는 부분이므로 그 면적을 0으로 할 수는 없다. 또, 검토결과로부터 현저한 발광효율의 향상을 얻기 위해서는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의 면적은 제2 부분의 면적의 1. 4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구성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단위폭당 전기용량을 비교하면 제1 부분의 단위폭당 전기용량(C1)은 제2 부분의 그것(C2)보다 작아진다. 검토결과에서는 C1/C2는 1/2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L1/L을 1/2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의 돌기부분의 단위폭당 전극면적은 종래에 비해 약 1/4로 감소하고 있는데 대해 도 7의 (a)의 방전전류의 감소는 약 1/3로 적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유지 방전전극에서 발생한 전계는 두께25㎛의 유전체 층을 거쳐서 방전가스가 있는 공간으로 누출된다. 이것에 의해, 방전시에 방전 가스내에 발생하는 전자나 이온이 감지하는 실효적인 전극면적이 실제의 전극면적보다 약간 넓어진다. 이 현상은 특히 전극돌기가 붙어있는 부분에서 현저하고, 12㎛정도 주변으로 확대된다. 즉, 실제의 전기용량이 전극면적에 비례한 값보다 커지기 때문에, 방전전류의 감소가 적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이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의 전기용량을 제2 부분의 그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 둔다. 따라서, 돌기부분이 붙어있는 부분만을 도 9와 같이 약간 깎으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 전극돌기가 붙어있는 부분의 굵기L1은 제조프로세스의 치수정밀도가 허용되는 범위에서 작은 쪽이 좋지만, 도중에 단선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방전전극쌍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펄스의 값을 임의의 낮은 값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방전하는 전극영역을 제1 부분(여기서는 돌기영역)에만 한정하여 총합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 라이트 방전에 의해서 발광시키는 유지 방전펄스의 수를 조절하여 표시계조를 변화시키지만, 유지 방전펄스의 전압값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표시계조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PDP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과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상면도이다. 도 10에서는 유지 방전전극 즉 투명한 X전극(22-1) 및 투명한 Y전극(23-1)에 있어서, 제1 부분을 깎아 내어 돌기형상으로 한 점 및 그 돌기형상부분을 하나의 셀에 여러개(도 10에서는 2개) 설치한 점이 특 징이다.
PDP의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낮을 때,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유지 방전전극의 돌기부분이 어긋나 그 일부가 격벽(31)상에 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의 단위폭당 전극면적이 약간 증가하여 발광효율향상의 정도가 감소한다. 그런데, 도 10의 실시예와 같이 돌기부분을 셀내에 여러개 설치하면,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위치가 어긋나 하나의 돌기부분이 격벽(31)에 걸리면, 다른 돌기부분이 방전공간상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제1 부분의 전극면적의 변화는 거의 없다. 즉, 발광효율의 향상정도가 상기 위치맞춤에 대해 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맞춤 마진을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3]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PDP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과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상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유지 방전전극 즉 X전극(22-1) 및 Y전극(23-1)에 있어서 방전갭측에 좁은 띠형상의 영역을 남기고 제1 부분을 깎아내어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이 PDP는 대각25인치의 XGA패널로서, 유지 방전전극 폭W는 각각 110㎛이고 격벽(31) 사이에 위치한 방전공간의 폭W는 90㎛이다. 또, 방전갭은 60㎛이다. 여기서, 유지 방전전극의 깎아냄의 깊이W2는 60㎛이고, 방전갭측에 남긴 띠형상의 전극 폭W3은 5㎛이다.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 띠형상부분은 방전에 관여하지 않는 격벽(31)의 상부로서 유지 방전전극의 제2 부분에 접속하고 있고, 그 폭L2는 20㎛이다. 따라서, 제1 부분의 단위 폭당 전극면적은 제2 부분의 그것의 약 1/10로 되어 있다. 단, 실시예1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를 거친 전계의 확대로 인해 실효적인 전극면적은 그다지 감소하고 있지 않다.
이 PDP의 유지 방전전극간의 방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의 시간변화의 측정결과를 도 12의 (a)에 도시한다. 또한, 발광효율의 시간변화를 도 12의 (b)에 도시한다. 도 12의 (a)의 그래프(Ⅰ)은 유지 방전전극에 형상변경이 없는 종래기술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그래프(Ⅱ)는 본 실시예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와 도 12의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전의 전반 시간에 있어서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 시간영역은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에 상당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효율이 낮은 전반 영역에 있어서 본 실시예[Ⅱ]에서는 형상변경이 없는 종래기술의 경우[Ⅰ]에 대해 방전전류가 1/5로 감소하였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이 약 60%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이 하나의 연속된 띠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PDP의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A전극과 유지 방전전극의 상대위치관계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A전극과 Y전극 사이의 라이트방전(어드레스방전)의 불량이 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PDP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과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상면도이다. 여기서는 방전공간상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 로 분리한 유지 방전전극(X전극(22-1)과 Y전극(23-1))의 부분을 접속하는 굵기L2의 전극부분을 1개씩 걸러 셀의 격벽(31)상에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특징적인 것은 상기 접속부분의 설치장소를 유지 방전전극의 쌍 즉 X전극(22-1)과 Y전극(23-1) 사이에 셀 1개분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서로 다르게 한 것이다.
여기서,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방전공간상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리한 유지 방전전극의 부분을 접속하는 굵기L2의 전극부분이 모든 셀마다 격벽(31)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분의 목적은 제1 부분의 전위가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의 전위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점에 있다. 따라서, 이 접속부분을 몇개의 셀의 간격을 두고 격벽(31)상에 설치해도 좋다. 단, 셀간격을 너무 크게 두어 상기 접속부분을 설치하면, 제1 부분의 띠형상전극부분에서의 전압효과가 현저하게 되므로 간격은 수십셀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PDP의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낮을 때, 상기 접속부분이 격벽(31)로부터 부분적으로 어긋나 그 일부가 방전공간상에 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의 단위폭당 전극면적이 약간 증가하여 발광효율향상의 정도가 감소한다. PDP의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위치맞춤이 일정량 어긋난 것을 상정하여 도 11의 경우와 도 13의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에 있어서의 제1 부분의 전극면적의 셀마다의 증가는 전자의 그것의 1/2로 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의 맞춤 마진을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5]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의 PDP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과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상면도이다. 도 14에서는 유지 방전전극 즉 X전극(22-1) 및 Y전극(23-1)에 있어서 방전갭측에 좁은 영역을 남기고 제1 부분을 깎아내어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이 PDP는 대각42인치의 VGA패널로서, 유지 방전전극 폭W는 각각 200㎛이고 격벽(31) 사이에 위치한 방전공간의 폭L은 400㎛이다. 또, 방전갭은 60㎛이다. 여기서, 유지 방전전극의 깎아냄 깊이 W2는 90㎛이고, 방전갭측에 남긴 띠형상의 전극 폭W3은 10㎛이다.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 띠형상부분은 방전에 관여하지 않는 격벽(31)상의 부분으로서, 유지 방전전극의 제2 부분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폭L2는 20㎛이다. 본 실시예에서 또 특징적인 것은 유지 방전전극의 제2 부분에서 방전갭측 띠형상을 향해서 돌기형상의 부분을 마련한 점이다. 이 전극부의 크기는 L3이 10㎛, W4는 20㎛이다. 따라서, 제1 부분의 단위폭당 전극면적은 제2 부분의 그것의 약 1/5로 되어 있다. 단, 실시예1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를 거친 전계의 확산으로 인해 실효적인 전극면적은 그다지 감소하고 있지 않다. 이 PDP의 유지 방전전극사이의 방전에 있어서의 방전전류는 방전의 전반 시간에 있어서 약 1/5로 감소하였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이 약 70% 향상하는 효과가 있었다.
여기서, 유지 방전전극의 제2 부분에서 연장된 부분에 마련한 돌기형상부분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극부분은 유지 방전전극에 마련된 구멍의 폭(= W2-W3)이 넓을 때에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생긴 방전이 제2 부분으로 이행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유지 방전전극에 마련된 구멍의 폭(=W2-W3)이 넓은 경우에는 이 전극부분의 폭W4를 연장하여 완전히 제1 부분의 방전갭측 띠형상전극부분에 접속해도 좋다. 또, 이 접속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31)상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접속하는 전극부분을 생략해도 좋다.
[실시예6]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의 PDP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화살표D2의 방향에서 본 PDP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유지 방전전극의 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지 방전전극을 덮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변화시킨 점이다. 도 16에 있어서, 유지 방전은 X전극(22-1) 및 X버스전극(24-1)(전체로서 유지 방전전극1)의 하부에서 Y전극(23-1) 및 Y버스전극(25-1)(전체로서 유지 방전전극2)의 하부까지 사이의 방전 가스가 채워진 공간(33)에서 주로 생긴다. 여기서, 유리로 형성된 유전체(26)층중에서 X버스전극(24-1)의 하부 및 Y버스전극(25-1)의 하부는 강유전체(300) 및 (301)로 치환하고 있다. 강유전체(300) 및 (301)은 반강자성을 갖는 지르콘산납(PbZrO3)으로서, 그 유전율은 유전체(26)에 사용한 유전율이 비교적 높은 유리의 5배정도이다. 이것에 의해, 유지 방전전극의 제2 부분의 전기용량이 통상의 경우의 약 5배로 되어 있다. 지르콘산납 대신에 유전율이 큰 유리나 유전율이 더욱 큰 티탄산 바륨(BaTiO3)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X전극(22-1) 및 Y전극(23-1)의 제1 부분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의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들 연구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이 약 90% 향상됨과 동시에 휘도가 약 3배로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었다.
여기서, 강유전체(300) 및 (301)은 불투명하지만 버스전극도 불투명하기 때문에, 형광체(32)에서 전면유리기판(21)로의 가시발광의 투과를 방해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 강유전체(300) 및 (301)과 버스전극(24-1) 및 (25-1)의 에칭은 일괄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자기정합(셀프 얼라인먼트)이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또 다른 하나의 특징적인 것은 도 16중에서 점선으로 도시되는 방전셀의 경계에 있어서 유전체(26)을 저유전체(유전율이 낮은 유전체)(302) 및 (303)으로 치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유전체는 용융석영(SiO2)로서 유전체(26)에 비해 유전율이 약 1/3이다. 이것에 의해, 방전셀경계의 방전공간으로 누출되는 전계가 감소하므로, 방전셀간의 누화(cross talk)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부분적으로 높게 변경하였지만, 유전체의 두께를 얇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그 경우에는 유전체의 절연내압의 유지나 A전극과 유지 방전전극(X전극 및 Y 전극)의 방전조건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실시예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7의 PDP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6과 동 일 방향에서 본 PDP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유지 방전전극의 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지 방전전극을 덮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변화시킨 점이다. 도 17에 있어서, 유지 방전은 X전극(22-1) 및 X버스전극(24-1)(전체로서 유지 방전전극1)의 하부에서 Y전극(23-1) 및 Y버스전극(25-1)(전체로서 유지 방전전극2)의 하부까지의 사이의 방전 가스가 채워진 공간(33)에서 주로 발생한다. 여기서, 유리로 형성된 유전체(26)층중에서 X전극(22-1)의 하부 및 Y전극(23-1)의 하부의 방전갭측의 폭1/2의 영역(제1 부분의 일부)은 저유전체(저유전율의 유전체)(304) 및 (305)로 치환되어 있다. 저유전체(304) 및 (305)는 투명한 용융석영(SiO2)로서, 그 유전율은 유전체(26)의 약 1/3이다. 이것에 의해, 유지 방전전극의 제1 부분의 전기용량이 약 1/3으로 되어 그 분만큼의 방전전류가 감소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전체에서의 발광효율이 약 20%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부분적으로 낮게 변경하였지만, 유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실시예6 및 실시예7에서는 구체적구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의 기본적인 내용은 도 2에 있어서의 유전체(26)의 유전율을 장소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이다.
[실시예8]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4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과 동일 방향에서 본 PDP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PDP의 구조 및 크기는 도 1과 거의 마찬가지이 지만, 부분적인 격벽(400)을 마련한 점에 특징이 있다. 격벽(400)을 마련한 것에 의해, 격벽(31)을 공유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인접방전셀과의 누화(전자나 이온의 침입에 의한 방전이상)가 감소하므로, 유지 방전전극 폭W를 약간 길게 할 수 있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격벽(400)은 격벽(31)과 동일 프로세서에 의해 일괄 형성되어 있다. W는 140㎛로서 도 1의 경우보다 30㎛길다. 유지 방전전극의 돌기형상은 전극폭W가 길어진 분만큼 비례해서 길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부분의 전기용량은 제2 부분의 그것에 대해 약 1/4로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1에 비해 또 발광효율이 10%향상하고 휘도도 30% 향상하였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400)은 부분적으로 고립된 격벽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고립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격벽(31)에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단, 격벽에는 셀사이에서 가스가 유통하기 위한 간극을 마련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의 양쪽에 대해 전기용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형상 및 재질의 변경을 실행하였지만, 한쪽의 유지 방전전극에만 변경을 가해도 약간 적지만 효율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3전극구조의 AC면 방전형 PDP에 대해서 적용한 예이지만, 본 발명은 유지 방전전극쌍을 갖는 2전극구조의 AC면 방전형 PDP에 대해 적용해도 발광효율향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PDP의 발광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어 PDP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 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상기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2 부분의 면적의 비가 1. 4보다 작고, 또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상기 제2 부분의 측면은 상기 방전셀의 경계와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2 부분의 면적의 비가 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5. 적어도 한쪽방향에 격벽을 갖는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상기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2 부분의 면적의 비가 1. 4보다 작고 또한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상기 제2 부분의 측면은 상기 격벽과 접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2 부분의 면적의 비가 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인접하는 상기 방전셀사이에 부분적인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폭은 50㎛이상 3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의 경계에서 연장한 상기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측면은 상기 방전셀의 경계 또는 상기 격벽과 접해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전극과 불투명전극의 적층구조이고,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일부분의 일부까지 최대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방전전극의 상기 적층구조 이외의 부분은 투명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의 경계에서 연장한 상기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측면은 상기 방전셀의 경계 또는 상기 격벽과 접해 있고, 상기 일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폭의 합계는 상기 유지 방전전극폭의 1/3∼ 2/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3.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상기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 분으로 했을 때,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상기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1 전기용량과 상기 제2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상기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2 전기용량의 비가 1. 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용량과 상기 제2 전기용량의 비가 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5. 적어도 한쪽방향에 격벽을 갖는 여러개의 방전셀내에서 유전체를 거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유지 방전전극의 쌍이 동일 기판상에 마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의 방전갭측에서 상기 유지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상기 유지 방전전극 폭의 2/3의 위치까지를 제1 부분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2 부분으로 했을 때,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상기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1 전기용량과 상기 제2 부분 및 이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방전셀에 있어서의 방전공간과의 사이의 상기 유전체로 구성되는 제2 전기용량의 비가 1. 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용량과 상기 제2 전기용량의 비가 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쌍을 연결하는 방향의 인접하는 상기 방전셀 사이에 부분적인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용량을 구성하는 상기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쪽이 상기 제2 전기용량을 구성하는 상기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의 경계에서 연장한 상기 제1 부분의 일부분의 측면은 상기 방전셀의 경계 또는 상기 격벽과 접해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전극과 불투명전극의 적층구조이고,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일부분의 일부까지 최대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지 방전전극의 상기 적층구조이외의 부분은 투명전극이고, 상기 적층구조의 부분과 이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방전셀에 있 어서의 방전공간 사이의 상기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쪽이 상기 제1 전기용량을 구성하는 상기 유전체의 평균적유전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방전전극폭은 50㎛이상 3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19990001446A 1998-01-21 1999-01-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0630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09283A JPH11212515A (ja) 1998-01-21 1998-01-21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1998-009283 1998-01-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538A Division KR100731167B1 (ko) 1998-01-21 2006-06-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984A KR19990067984A (ko) 1999-08-25
KR100630884B1 true KR100630884B1 (ko) 2006-10-02

Family

ID=117161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446A KR100630884B1 (ko) 1998-01-21 1999-01-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054538A KR100731167B1 (ko) 1998-01-21 2006-06-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538A KR100731167B1 (ko) 1998-01-21 2006-06-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33599B1 (ko)
JP (1) JPH11212515A (ko)
KR (2) KR100630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029B2 (ja) * 1999-05-11 2007-01-10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664542B2 (ja) * 1999-06-04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放電表示装置
JP3587118B2 (ja) 2000-02-24 2004-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507237B (en) 2000-03-13 2002-10-21 Panasonic Co Ltd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gas discharge panel
JP2002008549A (ja) * 2000-06-27 2002-01-11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042661A (ja) 2000-07-24 2002-02-08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303951B (zh) 2000-08-18 2012-02-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气体放电屏
DE10118531A1 (de) * 2001-04-14 2002-10-17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Plasmabildschirm vom Oberflächenentladungstyp
JP4507470B2 (ja) * 2001-07-13 2010-07-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JP4183421B2 (ja) * 2002-01-31 2008-11-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並びに表示装置
US7288892B2 (en) * 2002-03-12 2007-10-30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cell geometry
US7071623B2 (en) * 2002-04-18 2006-07-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sma display
KR20040002308A (ko) * 2002-06-29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E60335236D1 (de) * 2002-07-04 2011-01-20 Panasonic Corp Plasmaanzeigetafel
TW569270B (en) * 2002-08-09 2004-01-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using different electrode pair areas to control color temperature
EP1469501A3 (en) * 2003-03-25 2006-04-19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KR100537615B1 (ko) * 2003-08-14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48B1 (ko) * 2004-02-18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WI293469B (en) * 2004-03-03 2008-02-1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CN1308990C (zh) * 2004-03-16 2007-04-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交流型等离子显示面板
KR100590054B1 (ko) * 2004-05-1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324631C (zh) * 2004-05-25 2007-07-04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提高等离子平面显示器写入速度的电极
JP4401905B2 (ja) * 2004-09-03 2010-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KR100658316B1 (ko) * 2004-09-21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034105A (ja) * 2004-11-16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73437B1 (ko) * 2004-12-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17407A (ko) * 2005-05-10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157668A1 (en) * 2006-12-29 2008-07-03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63970B1 (ko) * 2007-05-31 2008-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670990B2 (ja) * 2007-10-01 2011-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0030A (ja) * 1995-03-14 1996-09-27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35644A (ja) * 1995-07-19 1997-02-07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129138A (ja) * 1995-10-30 1997-05-16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167564A (ja) * 1995-11-08 1997-06-24 Thomson Consumer Electron Inc 陰極線管のアルミニウム処理されたルミネッセントスクリーンの品質を判定する方法
KR19990054703A (ko) * 1997-12-26 1999-07-15 구자홍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유지전극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53A (en) * 1976-07-09 1978-01-25 Fujitsu Ltd Gas discharging panel
FR2648953A1 (fr) * 1989-06-23 1990-12-28 Thomson Tubes Electroniques Panneaux a plasma a zones de decharges delimitees
JP3010658B2 (ja) 1989-12-15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駆動方法
EP0554172B1 (en) *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511667B2 (ja) 1994-03-18 2004-03-29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ガス放電パネル
US5969478A (en) * 1994-04-28 1999-10-19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Gas dischar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5656893A (en) * 1994-04-28 1997-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as discharge display apparatus
JP3352821B2 (ja) 1994-07-08 2002-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224486B2 (ja) * 1995-03-15 2001-10-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8315734A (ja) 1995-05-22 1996-11-29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1997011477A1 (en) * 1995-09-21 1997-03-27 Orion Electric Co. Ltd. Color plasma display panel
TW328579B (en) * 1995-10-30 1998-03-21 Dainippon Printing Co Ltd Plasma display panel
JP3433032B2 (ja) * 1995-12-28 2003-08-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5900694A (en) * 1996-01-12 1999-05-04 Hitachi, Ltd. Gas discharg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99876B1 (ko) * 1996-02-15 2001-10-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고휘도,고효율의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구동방법
JP3524323B2 (ja) * 1996-10-04 2004-05-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JP3492878B2 (ja) * 1997-03-05 2004-0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10255667A (ja) * 1997-03-05 1998-09-25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118214A (en) * 1999-05-12 2000-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 plasma display with apertured electrode patter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0030A (ja) * 1995-03-14 1996-09-27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35644A (ja) * 1995-07-19 1997-02-07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129138A (ja) * 1995-10-30 1997-05-16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167564A (ja) * 1995-11-08 1997-06-24 Thomson Consumer Electron Inc 陰極線管のアルミニウム処理されたルミネッセントスクリーンの品質を判定する方法
KR19990054703A (ko) * 1997-12-26 1999-07-15 구자홍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유지전극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267A (ko) 2006-07-04
JPH11212515A (ja) 1999-08-06
KR100731167B1 (ko) 2007-06-20
KR19990067984A (ko) 1999-08-25
US6333599B1 (en) 2001-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1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0472997B1 (ko)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195070B1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US6097357A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US6342874B1 (en) Plasma display panel of a surface discharge typ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US6861803B1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KR1007845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H1127223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装置
US6628076B2 (en) Plasma display panel
JP440597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618590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518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022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1274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602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42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200400160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846770B2 (ja)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630290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69396B1 (ko)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63057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487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9736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30862B1 (ko) 고해상도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구조
JPH0112073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