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627B1 -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관계기구와 라벨규제가이드 및 보호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관계기구와 라벨규제가이드 및 보호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627B1
KR100630627B1 KR1020007013449A KR20007013449A KR100630627B1 KR 100630627 B1 KR100630627 B1 KR 100630627B1 KR 1020007013449 A KR1020007013449 A KR 1020007013449A KR 20007013449 A KR20007013449 A KR 20007013449A KR 100630627 B1 KR100630627 B1 KR 10063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roll
core holding
cor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919A (ko
Inventor
가시와바다다오
사사키다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Publication of KR2001004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92Spools or cassettes f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Web supporting regularly spaced adhesive articles, e.g. labels, rubber articles, labels or st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10T156/1707Discrete spaced laminae on adhered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06Delaminating means responsive to feed or shape at delamination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Unwinding Web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롤형상라벨 내지 그 권심을 확실히 유지함과 동시에 그 장전 작업 및 떼어내기 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콤팩트한 스페이스에 구성할 수 있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 및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롤형상라벨(L)를 유지하기 위한 권심유지부재(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회전운동 방식으로 하는 것. 권심유지부재(13)를 스프링 가압하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 좌우의 측판(3) 사이에 한 쌍의 스프링판(11) 및 한 쌍의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갖고,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는 회전운동축부(20)와, 권심유지부(21)와, 권심유지부(21)와는 반대측이고 측판(3)으로 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22)를 갖고, 스프링판(11)은 권심유지용 손잡이 유지부재(13)의 권심유지부(21)를 그 권심유지 자세방향으로 가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0025276770-pct00001
롤형상라벨, 권심, 라벨첩부기, 커버장치, 권심유지부재,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 스프링판, 회전운동축부, 권심유지부

Description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관계기구와 라벨규제가이드 및 보호커버장치{CORE HOLDING MECHANISM, LABEL ADJUSTING GUIDE AND A PROTECTIVE COVER DEVICE FOR ROLL-SHAPED LABEL OF LABEL STICKING MACHINE}
본 발명은 라벨첩부기(貼付機)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롤형상라벨을 유지하고, 이것을 띠모양으로 풀어내어 첩부하기 위한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 유지장치에 관한 것하고, 더욱더 라벨 인자기(印字器)에 대향 설치된 플래턴(platen)상에 안내되는 라벨 연속체를 이 플래턴 방향으로 꽉 눌러 안내하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및 롤형상라벨의 보호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라벨첩부기는 라벨 첩부 기능에 더하여 라벨 인자 기능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 유지장치로서는 이하와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즉, 제1의 특성으로서, 롤형상라벨 내지 그 권심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것에 있다. 특히, 라벨첩부기의 반송시, 사용시 및 롤형상라벨 교환시 등 각 상황에 따라서, 권심을 확실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라벨첩부기의 공장에서의 출하 부터 반송시에는 포장상태의 라벨첩부기에 샘플로서 롤형상라벨을 장전하 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반송 및 취급시의 진동에 의한 롤형상라벨이 권심 유지장치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라벨첩부기 사용시에도, 라벨 인자 조작 및 라벨 첩부 조작에 있어서 이 라벨첩부기를 내리치도록 조작하지만, 그 경우의 조작력 및 첩부시의 충격은 사용자에 따라 다르고, 각각의 조작력이 다르더라도 이에 따라 롤형상라벨을 안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제2의 특성으로서, 롤형상라벨의 장전작업 및 떼어내기 작업이 용이하여야 한다. 롤형상라벨을 첩부하여 다써버린 상태는 권심만이 권심 유지상태에 남아 있는 상태이지만, 이 권심을 떼어냄과 동시에, 새로운 롤형상라벨을 장전하는 조작이 용이하여야 할 것은 물론, 사용 도중 일지라도, 무엇인가의 좋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롤형상라벨을 떼어내어 그 상태를 조사하든가, 혹은 이것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좋지 않는 상태가 없는 경우일지라도, 롤형상라벨의 디자인이 다른 것으로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상기의 제1의 특성 및 제2의 특성은 서로 상반하는 특성이고, 양자를 양립시킬 수 있는 권심 유지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더욱더 라벨의 선단부의 가이드 규제부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라벨인자 첩부 기(101)는 좌우 한 쌍의 측판(102)과, 라벨 케이스(103)와, 인자기(104)와 이송롤러(105)와, 라벨 누름부재(106)와, 플래턴(107)과 이 플래턴(107)의 상부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과, 전향핀 등에 의한 전향부재(109)와 아래덮개(110)와, 첩부롤러(111)를 갖고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18), 전향부재(109) 및 아래덮개(110)에 의하여 라벨 규제가이드 기구(112)를 구성한다.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은 상기의 각각의 부재를 그 사이에 축 지지 또는 부착하여 유지한다.
라벨 케이스(103)는 라벨 연속체(113)를 롤형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라벨 연속체(113)를 띠모양으로 풀어내어, 이 라벨 연속체(113)를 라벨 누름부재(106) 및 이송롤러(105)의 사이, 더욱더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과 플래턴(107)의 사이에 공급 가능하게 한다.
라벨 연속체(113)는 라벨 박리층을 갖는 띠모양의 대지(114) 및 이 대지(114)상에 임시 부착한 복수매의 라벨편(115)으로 이것을 구성하고 있다.
인자기(104)는 플래턴(107)상에 위치하는 라벨 연속체(113)(라벨편(115))에 소정의 인자를 행하는 것으로, 측판(2)에 대하여 요동 조작하는 핸들(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함으로써 인자 동작을 행한다.
이송롤러(105)는 그 주면에 이송용돌기(116)를 갖고, 라벨누름부재(6)와의 사이에 공급된 라벨 연속체(113)와의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인자기(104)의 하강작동(라벨편(114)상에의 인자 작동)과 공동으로 회전축(117) 둘레로 회전하고, 라벨 연속체(113)를 플래턴(107) 방향으로 송출함과 동 시에 플래턴(107)의 선단의 전향부재(109)에 있어서 라벨편(115)를 박리하고, 더욱더 라벨편(115)을 박리된 대지(114)를 후방으로 송출한다.
플래턴(107)은 그 표면측에 라벨 연속체(113)를 그 이면측에 라벨편(115)를 통과 가능하게 하고, 인자기(104)에 의한 라벨 연속체(113)(라벨편(115))에의 압인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은 예컨대, 철 그 밖의 금속체이고,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의 내면측에 플래턴(10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것을 고정하고 있다. 라벨 가이드편(108)은 플래턴측 평탄 가이드부(118) 및 전향부재측 경사부(119)로 이를 구성하고 있다.
플래턴측 평탄 가이드부(118)는 플래턴(107)에 상방으로 부터 대향함과 동시에 라벨 연속체(113)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부를 플래턴(107) 방향으로 누르도록 가이드한다.
전향 부재측 경사부(119)는 이 플래턴측 평탄 가이드부(118)의 선단부에 약간 하방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전향부재(109)는 플래턴(107)의 선단부에 이것을 부착하고, 이 전향부재(109) 부분에서 라벨연속체(113)의 대지(114)만을 전향시켜, 라벨편(115)을 그 자체의 강성에 의하여 대지(114)로부터 박리하여 첩부롤러(111)의 하방부에 위치시킨다.
첩부 롤러(111)는 회전운동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이것을 축 지지하고, 피 첩부물(도시하지 않음)에의 라벨편(115)의 첩부를 가능하게 한다.
아래 덮개(110)는 전향부재(109)에 임하는 그 선단부에 가이드용 경사부(121)를 갖는다.
라벨연속체(113)는 라벨 가이드편(108)의 플래턴측 평탄 가이드부(118) 및 전향부재측 경사부(119), 더욱더 가이드용 경사부(121) 및 아래 덮개(110)의 표면 사이를 통과하고, 전향부재(109)의 부분에서 U턴 가능하게 되고, 대지(114)로부터 라벨편(115)을 박리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플래턴(107)은 회전운동축(117)의 둘레로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 개방이 가능하고, 아래 덮개(110)는 회전운동축(120)의 둘레로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개방이 가능하고, 아래 덮개(110) 및 플래턴(107)의 회전운동 개방에 의하여 라벨 인자 첩부기(101)내에 라벨 연속체(113)를 장전 끼워 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라벨규제가이드기구(1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지(114)로부터의 라벨편(115)의 박리를 원활히 행하도록 라벨연속체(113)를 플래턴(107)의 방향으로 규제함과 동시에 전향부재(109)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식 라벨 인자 첩부기(101) 및 라벨규제가이드기구(112)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의 플래턴측 평탄 가이드부(118) 및 전향부재측 경사부(119)는 라벨연속체(113)의 이송 및 박리 때 마다 라벨연속체(113)와의 마찰을 반복하기 때문에, 마모하고, 이것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종래는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 자체를 금속제로 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는 있지만,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의 내벽면에 각각 접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교환시에는 그 교환작업이 곤난하고, 좌우 한 쌍의 측판(102)과 함께 전체를 신품인 부품과 교환하고 있는 것이 실상이고,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과 같은 작은 한 부품 때문에 큰 부품 전체를 교환한다라는 코스트상의 문제가 있다.
더욱이, 미국 특허 제414293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벨 가이드편(108)에 상당하는 부품을 좌우 한쌍의 측판(102)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성도 있지만, 라벨 가이드편의 교환시에 측판(102) 전체를 완전히 분리 분해할 필요가 있고, 재차의 조립작업이 필요하고, 능률적이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여러 문제에 비추어 이루워진 것으로, 롤형상라벨 내지 그의 권심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롤형상라벨의 장전작업 및 떼어내기 작업이 용이한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한 스페이스로 구성할 수 있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더욱더, 라벨 가이드편의 교환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측판 전체를 교환하는 것이 아니고, 라벨 가이드편 만을 교환 가능하게한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라벨 가이드편의 교환작업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측판 전체를 분리 분해할 필요는 없고 교환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호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권심 떼어냄 방향으로 조작하더라도, 부주의로 롤형상라벨을 권심유지장치로부터 떼어 내버리는 일이 없는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의 개시
즉, 본 발명은 롤형상라벨을 유지하기 위한 권심유지부재(권심 유지용 손잡이 부재)를 회전운동 방식으로 할 것, 회전운동 방식으로한 권심유지부재를 스프링 가압하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 좌우 한 쌍의 측판과, 이 측판 사이에 형성한 롤형상라벨의 이송로를 갖음과 동시에 상기 롤형상라벨을 상기 이송로에 띠모양으로 풀어내어 첩부하기 위한 라벨첩부기에 있어서, 상기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사이의 라벨유지 공간을 통하여 서로 대향하여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스프링판과, 이 스프링판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를 갖음과 동시에, 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는 회전운동축부와, 이 회전운동축부보다 상기 라벨유지 공간측이고 상기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권심유지부와, 이 회전운동축부에 대하여 이 권심유지부와는 반대측이고 상기 측판으로 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각각 갖고, 상기 스프링판은 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를 그의 권심유지 자세방향으로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의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 장치이다.
상기 스프링판에 의한 가압력을 보조하는 보조스프링을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는 이것을 좌우로 동일 형상으로 할수가 있다.
상기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는 이것을 좌우로 다른 형상으로 할수가 있다.
상기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에는 권심 규제용 돌기를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스프링판은 상기 선단부로부터 중간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권심유지부와 공동으로하여 상기 권심을 유지가능한 유지용 돌출부를 갖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스프링판과, 이 스프링판에 의하여 탄성 가압되는 좌우 한 쌍의 권심유지용 손잡이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권심유지부에 권심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 권심유지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조작함으로써 권심의 떼어내기가 가능하다.
즉, 롤형상라벨을 장전하는 경우에는 롤형상라벨을 좌우 한 쌍의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 사이에 강제적으로 밀어 넣도록하면, 스프링판의 가압력에 맞서서 롤형상라벨을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 사이에 진입시킬 수가 있고, 롤형상라벨의 권심의 중앙 공간부에 권심유지부가 위치할 때 까지 롤형상라벨을 밀어넣으면 스프링판의 가압력으로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가 원위치(권심유지자세)로 복귀하여, 롤형상라벨을 유지할 수가 있다.
롤형상라벨의 사용이 완료하여, 또는 그 도중 일지라도 이것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손잡이부를 조작하여, 전체를 경사하도록 회전운동시키면, 롤형상라벨의 권심을 뽑아내는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고, 간단히 권심을 제거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경우 라벨첩부기 전체를 꺼꾸로하면, 권심 내지 롤형상라벨은 그 자중에 의하여, 특별한 조작 없이 이것을 권심유지장치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다.
더욱더 본 발명은 라벨 가이드편을 좌우 별체가 아니고, 이것을 일체형으로서 교환 가능으로 하는 것, 라벨 가이드편이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홈을 좌우 한 쌍의 측판의 내벽면에 형성하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 라벨 박리층을 갖는 대지 및 이 대지상에 임시 부착한 복수매의 라벨편을 갖는 라벨 연속체의 상기 대지 만을 전향시킴으로써 이 대지로부터 상기 라벨편을 박리 가능하게 하는 전향부재와, 이 전향부재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플래턴과, 이 플래턴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플래턴에 대향함과 동시에 상기 라벨 연속체를 상기 전향부재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라벨 가이드편을 갖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로서, 상기 라벨 가이드편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에 각각 형성한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날개부와, 이들 걸어맞춤 날개부의 상류측을 연결하는 스토퍼부와 이들 걸어맞춤 날개부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전향 가이드부를 일체적으로 갖음과 동시에 이들 걸어맞춤 날개부, 스토퍼부 및 전향 가이드부에 의하여 둘러쌓인 공극영역에 상기 플래턴의 표면이 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이다.
상기 라벨 가이드편은 이것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측판에는 이 측판의 내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 홈의 상방부에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라벨 가이드편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걸어맞춤 날개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이를 성형할 수가 있다.
상기 라벨 가이드편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이것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을 좌우 별체가 아니고, 이것을 일체형으로서 교환 가능한 삽입 타이프로 하고, 라벨 가이드편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홈을 좌우 한 쌍의 측판의 내벽면에 형성하였으므로, 좌우 한 쌍의 측판의 서로의 사이를 약간 이격시키는 것만으로 라벨 가이드편을 그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하고, 라벨 가이드편을 걸어맞춤 홈에 걸어맞춤시켜 소정위치에 세트하고, 이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측판을 재차 맞붙여서,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라벨 가이드편의 교환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판 전체를 신규로 교환할 필요도 없고,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측판 전체를 서로 분리 분해할 필요도 없고, 그 사이를 극히 약간 사이를 떼도록 볼트 등을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라벨 가이드편을 소정의 위치에 세트 고정할 수가 있고, 라벨 가이드편의 교환 작업을 극히 간단히 동시에 코스트 낮게 행할 수가 있다.
라벨 가이드편을 종래와 같이 금속제로 할 필요가 없고, 합성수지 그 밖의 값싼 재료에 의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더욱더, 본 발명에 의한 롤형상라벨의 보호 커버장치에 있어서는 권심 떼어내기 방향으로 조작하려 하더라도 부주의로 롤형상라벨을 권심유지장치로부터 떼어내 버리는 일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의 형태에 의한 롤형상라벨(L)의 권심유지장치(2)를 장비한 라벨첩부기(1)의 개략 단면 측면도,
도 2는 동일한 권심유지장치(2) 부분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일한 종단면도,
도 4는 동일한 롤형상라벨(L)을 권심유지장치(2)에 장전 및 롤형상라벨(L) 또는 그의 권심(C1)을 떼어내는 경우의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5는 동일한 장전 종료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권심유지장치(40)의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권심유지장치(50)의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를 장비한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30)의 분해 주요부 사시도,
도 9는 동일한, 라벨 가이드편(132)(걸어맞춤 날개부(134))에 걸어맞춤 홈(133)에 걸어맞춤하기 전의 상태의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 부분의 종단면도,
도 10은 동일한, 라벨 가이드편(132)(걸어맞춤 날개부(134))가 걸어맞춤 홈(133)에 걸어맞춤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동일한 라벨 가이드편(132), 플래턴(107) 및 아래 덮개(110)의 상대 관계를 도시하는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 부분의 종단면도,
도 12는 동일한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을 따른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 부분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13은 종래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112)를 장비한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01)의 개략 종단면도.
부호의 설명
1 라벨첩부기(도 1)
2 라벨첩부기(1)에 에서의 롤형상라벨(L)의 권심유지장치(제1 실시형태 도 2, 도 3)
3 측판 4 조작레버
5 바닥 덮개 6 라벨이송롤러
7 인자기 8 잉크롤러
9 첩부롤러 10 보호커버
11 스프링판 12 보조스프링
13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 14 스프링판(11)의 고정축부
15 스프링판(11)의 요크형상 축지지 아암부
16 스프링판(11)의 탄성 맞닿음 아암부
17 횡단고정축
18 라벨유지공간
19 요크형상 축지지 아암부(15)의 축받이부
20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회전운동 축부
21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유지부
22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손잡이부
23 탄성 맞닿음 아암부(16)의 선단 맞닿음부
24 권심유지부(21)의 이면 맞닿음부
25 권심유지부(21)의 권심유지면
26 권심유지부(21)의 권심규제용 돌기
27 보호커버(10)의 커버본체
28 커버본체(27)의 활형상부분
29 커버본체(27)의 한 쌍의 반원형부분
30 커버본체(27)의 개폐축부
31 반원형 부분(29)의 후크부
32 반원형 부분(29)의 커버 손잡이부
33 반원형 부분(29)의 3각형상의 로크용 돌기편
34 측판(3)의 축지지 구멍부
35 측판(3)의 후크 걸어맞춤부
36 보호커버(10)의 개구부
37 라벨첩부기(1)내의 이송로
40 라벨첩부기(1)에 에서의 롤형상라벨(L)의 권심유지장치(제2 실시형태 도 6)
41 탄성 맞닿음 아암부(16)의 유지용 돌출부
50 라벨첩부기(1)에 에서의 롤형상라벨(L)의 권심유지장치(제3 실시형태 도 7)
51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제1의 권심유지부
52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제2의 권심유지부
53 제1의 권심유지부(51)의 제1의 권심유지면
54 제2의 권심유지부(52)의 제2의 권심유지면
C1 롤형상라벨(L)의 권심
C2 롤형상라벨(L)의 다른 권심
L 롤형상라벨
101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도 13)
102 좌우 한 쌍의 측판
103 라벨 케이스
104 인자기
105 이송롤러
106 라벨 누름부재
107 플래턴
108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
109 전향부재(전향핀)
110 아래 덮개
111 첩부 롤러
112 라벨 인자 첩부기(101)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113 라벨 연속체
114 라벨 연속체(113)의 대지
115 라벨 연속체(113)의 라벨편
116 이송용 돌기
117 이송롤러(105) 및 플래턴(107)의 회전운동축
118 라벨 가이드편(108)의 플래턴측 평탄 가이드부
119 라벨 가이드편(108)의 전향부재측 경사부
120 아래 덮개(110) 및 첩부 롤러(111)의 회전운동축
121 아래 덮개(110)의 가이드용 경사부
130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도 8)
131 라벨 인자 첩부기(130)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실시형태, 도 8)
132 좌우 대칭의 라벨 가이드편
133 측판(102)의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홈
134 라벨 가이드편(132)의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날개부
135 라벨 가이드편(132)의 스토퍼부
136 라벨 가이드편(132)의 전향 가이드부
137 전향 가이드부(136)의 전향 부재측 경사부
138 라벨 가이드편(132)의 공극영역
139 측판(102)의 단면 3각형상의 돌출부
140 걸어맞춤홈(133)의 후단부
141 제1볼트
142 제2볼트
143 제3볼트
144 제4볼트
145 제5볼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를 장비한 라벨첩부기(1)를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라벨첩부기(1)의 개략 단면 측면도로서, 특히 그 권심유지장치(2)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라벨첩부기(1)은 이 권심유지장치(2)와, 좌우 한 쌍의 측판(3)과, 조작레버(4)와, 바닥 덮개(5)와, 라벨이송롤러(6)와, 인자기(7)와, 잉 크롤러(8)와, 첩부롤러(9)와, 권심유지장치(2) 부분의 보호커버(10)를 갖는다. 더욱이 인자기(7) 및 잉크롤러(8)는 기종 또는 필요에 따라 이것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 2는 권심유지장치(2) 부분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일한 종단면도로서, 권심유지장치(2)는 각각 좌우 한 쌍의 스프링판(11)과 보조 스프링(12)과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갖는다.
스프링판(11)은 고정축부(14)와 고정축부(14)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부위까지 연장한 요크형상 축지지 아암부(15) 및 탄성 맞닿음 아암부(16)를 갖는다.
고정축부(14)는 횡단고정축(17)에 의하여 이것을 측판(3)에 고정하고, 예컨대 지관(紙管)인 권심이 달린 롤형상라벨(L) (도 1 또는 도 5를 참조)이 좌우의 측판(3) 사이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간격을 갖는 라벨유지공간(18)을 사이를 두고, 측판(3)을 따라 스프링판(11)을 설치하도록 한다.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스프링(12)는 스프링판(11) 특히 탄성 맞닿음 아암부(16)의 가압력을 보조하는 것으로 스프링판(11)과 함께 전체로서 라벨유지공간(18)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는 스프링판(11)의 요크형상 축지지 아암부(15)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받이부(19)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회전운동 축부(20)와, 회전운동축부(20)로부터 라벨유지공간(18)측에 임하는 권심유지부(21)와, 회전운동축부(20)에 대하여 권심유지부(21)와는 반대측이고 측판(3)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판(11)의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지지하는 축받이부(19)에는 원형상의 걸림구멍(19A)이 설치되고, 이 한 쌍의 걸림구멍(19A)내에 상기 손잡이부재(13)의 양단에 위치하는 회전운동축부(20)가 확실히 걸림된다.
더욱이 이 걸림구멍(19A)을 횡 U자상으로하면, 손잡이부재(13)의 조립이 용이하지만, 수송시에, 이 손잡이부재(13)의 탈락의 위험이 동반한다.
탄성 맞닿음 아암부(16)의 선단부에 형성한 선단 맞닿음부(23)가 상기 권심유지부(21)의 이면 맞닿음부(24)(도 3을 참조)에 맞닿음 하고,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측판(3)에 대하여 직각(라벨 유지공간(18)에 횡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같은 권심유지 자세)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면 맞닿음부(24) 및 선단 맞닿음부(23)는 선단 맞닿음부(23)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맞닿음하여 있고, 서로의 미끄럼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선단 맞닿음부(23)는 이면 맞닿음부(24)의 회전운동축부(20)측으로부터 권심유지부(21)의 선단부측을 향하여 맞닿음하여 가압력이 작용 가능하게 되어 있고, 권심유지부(21)(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 떼어내기 자세에의 경사회전운동에 동반하여 탄성 맞닿음 아암부(16) 및 보조스프링(12)를 변경 축압시켜 손잡이부(22)를 떼어낼 때에,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원위치(권심유지자세)로 복귀시킨다.
권심유지부(21)의 표면 선단부가 권심유지면(25)이고, 권심유지면(25)의 회전운동축부(20)측에 권심규제용돌기(26)를 형성하고 있다. 즉, 좌우의 권심 규제용 돌기(26) 사이에 롤형상라벨(L) 및 권심(C1)이 좌우로 흔들림 없이 안정하여 이 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권심 규제용 돌기(26)의 선단부분이 측판(3)에 맞닿음함으로써, 탄성 맞닿음 아암부(16) 및 보조스프링(12)의 가압에 의한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유지 자세를 유지한다.
좌우의 권심 유지부(21)는 그 권심 유지면(25)을 동일 높이로 하고, 권심(C1) 및 롤형상라벨(L)를 라벨유지공간(18)에 있어서 측판(3)에 대하여 평행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손잡이부(22)는 측판(3)의 외부에 돌출하고, 외부로부터 손가락 등에 의하여 이것을 조작하고 권심유지부(21)를 회전운동 경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한 쌍의 스프링판(11)의 요크형상의 헤드부(11A)를 측판(3)의 오목부(11B)에 끼워넣기 방식으로 한다. 즉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그 축받이부(19)에 걸림상태로 상기 헤드부(11A)를 측판(3)의 오목한 곳(11B)에 끼워 맞춘다.
이와 같이 스프링판(11)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하면, 특히 조립시에 상기 스프링판(11)과 측판(3)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스프링(12)의 탄발 작용으로, 한 쌍의 스프링판(11)이 기기의 내방으로 서로 쓰러지는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이 종류의 조립에 있어서는 스크루고정을 필요로 하였지만, 이와 같이 끼워맞춤 방식으로하면 스크루고정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에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더욱더 스프링판(11)의 고정축부(14)에 뚫어 설치한 걸어맞춤 구멍(14A)은 측판(3)에 설치한 횡단 고정축(17)에 걸어맞춤되어 더욱더, 스프링판(11)의 보스 세트 구멍(15A, 15A)은 측판(3)에 돌출설치한 위치결정의 걸림돌기(15B, 15B)에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양부재의 걸어맞춤은 확실하다.
또, 상기 요크형상의 헤드부(11A)의 양측에 걸림 후크(11C)이 설치되고, 이 걸림후크(11C)은 측판(3)의 오목한 곳(11B)의 내측에 형성된 후크 수좌(受座)(11D)에 탄성 걸림된다. 상기 보호커버(10)는 특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권심유지장치(2)에 의하여 측판(3)에 유지한 롤형상라벨(L)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본체(27)를 갖는다. 커버 본체(27)는 라벨유지공간(18)의 상부를 덮은 활형상부분(28)과 이 활형상 부분(28)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반원형부분(29)을 갖는다.
커버 본체(27)는 다시 그 일단에 형성한 개폐축부(30)와 반원형부분(29)의 타단에 형성한 한 쌍의 후크부(31)와 후크부(31)의 기부측에 형성한 커버 손잡이부(32)와 반원형 부분(29)의 내주측에 돌출형성한 한 쌍의 3각 형상의 로크용 돌기편(33)을 갖는다.
개폐축부(30)는 이것을 측판(3)의 축지지 구멍부(34)(도 2도 참조)에 걸어맞춤하여 보호커버(10) 전체를 개폐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한다.
후크부(31)는 측판(3)의 후크 걸어맞춤부(35)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고, 이것을 후크 걸어맞춤부(35)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커버본체(27)의 폐쇄상태를 확보 가능으로 한다. 한 쌍의 커버 손잡이부(32)를 집어서 후크부(31)와 후크 걸어맞춤부(35)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커버본체(27)를 개방 가능하게 한다.
특히,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용 돌기편(33)은 커버본체(27)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도 3중 하측으로부터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이면 맞닿음부(24)에 걸어맞춤으로써,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회전운동축부(20) 둘레의 권심 떼어내기 자세로의 경사회전운동을 저지하고,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유지 자세를 로크한다.
즉, 보호커버(1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권심 떼어내기 자세의 방향으로 조작하려 하더라도, 이 로크용 돌기편(33)에 로크되어 부주의하게 롤형상라벨(L)를 권심유지장치(2)로부터 떼어내 버리는 일은 없다.
상기의 커버 본체(27)에 있어서 활형상 부분(28)의 단부를 노치하여 형성한 개구부(36)로부터 한 쌍의 측판(3) 사이에 형성한 라벨첩부기(1)내의 이송로(37)내에 롤형상라벨(L)를 띠모양으로 풀어내어 이것을 장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라벨첩부기(1) 및 권심유지장치(2)에 있어서, 롤형상라벨(L)를 권심유지장치(2)에 장전 및 롤형상라벨(L) 또는 그 권심(C1)를 떼어내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롤형상라벨(L)을 권심유지장치(2)에 장전 및 롤형상라벨(L) 또는 그 권심(C1)을 떼어내는 경우의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5는 동일한 장전 종료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보호커버(10)를 개방하면 커버본체(27)의 로크용 돌기편(33)과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이면 맞닿음부(24)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손잡이부(22)를 스프링판(11)(탄성 맞닿음 아암부(16)) 및 보조스프링(12)의 가압력에 맞서서, 손가락에 의하여 좌우로부터 끼우고 회전운동축부(20)의 둘레로 회전운동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가 좌우로부터 경사하여 라벨 유지공간(18)내로 롤형상라벨(L)을 진입시킬 수가 있다.
다만, 장전 조작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손잡이부(22)를 조작하는 일없이 갑자기 롤형상라벨(L)를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유지부(21)(권심 유지면 (25))에 밀어붙이고, 라벨유지공간(18) 방향으로 밀어넣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를 라벨유지공간(18)으로 향하는 내방으로 경사시키도록 하는 것만으로 롤형상라벨(L)의 라벨유지공간(18)으로의 진입에 수반하여, 권심 유지용 손잡이부재(13)는 그의 권심유지자세(도 3)로부터 권심 떼어내기 자세(도 4), 더욱더 권심 유지자세(도 5)에도 용이하게 이행하고, 간단히 도 5와 같은 장전이 가능하게 된다.
롤형상라벨(L) 또는 그 권심(C1)을 권심유지장치(2)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같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손잡이부(22)를 조작하면, 라벨유지공간(18)이 개방되고, 롤형상라벨(L) 또는 권심(C1)을 라벨유지공간(18)으로 부터 뽑아낼 수 있다.
더욱이, 도 4의 상태에서, 라벨첩부기(1) 전체를 꺼꾸로 하면, 롤형상라벨(L) 또는 권심(C1)은 그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므로 여기에 직접 접촉하는 일없이 라벨유지공간(18)으로부터 보다 간단히 꺼낼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권심유지장치(40)의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로서, 이 권심유지장치(40)에 있어서는 스프링판(11)에 있어서 탄성 맞닿음 아암부(16)에 그 선단부(선단 맞닿음부(23))로부터 중간측(권심 유지공간(18) 보다 깊숙한 곳)의 위치에 있어서, 라벨유지공간(18)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지용 돌출부(41)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도 3의 권심유지장치(2)와 사실상 동일하다.
이 유지용 돌출부(41)는 이면측의 보조스프링(12)과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이것을 설치하여 있고,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유지부(21)와 공동하여, 각각 내주 하측 및 내주 상측에 있어서 권심(C1)을 유지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권심유지장치(40)에 있어서, 롤형상라벨(L)의 권심(C1)을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손잡이부(22)에서의 도 6중, 상측 뿐만아니라, 탄성 맞닿음 아암부(16)의 유지용 돌출부(41)에서의 하측에 있어서도 확실히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특히 라벨첩부기(1)의 사용에 있어서, 전체를 내리치도록 조작하였을 때에도, 권심유지장치(40)에 있어서 롤형상라벨(L)이 바운드되지 않고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 부분로부터 롤형상라벨(L) 또는 권심(C1)이 벗어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권심유지장치(50)의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로서, 권심유지장치(50)에 있어서는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의 권심유지부(21)에 상당하는 부분을 좌우의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13)에 있어서 각각 제1의 권심유지부(51) 및 제2의 권심유지부(52)로 하고 있다.
제1의 권심유지부(51) 및 제2의 권심유지부(52)에서는 각각의 제1의 권심유 지면(53) 및 제2의 권심유지면(54)의 높이를 바꾸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권심유지면(53)의 높이를 제2의 권심유지면(54)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한다.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도 3의 권심유지장치(2)와 사실상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권심유지장치(50)에 있어서는 롤형상라벨(L)의 권심으로서 그 도 7중, 좌우의 형상(내경)이 다른 예켄대, 합성수지제의 다른 권심(C2) 일지라도, 전체를 라벨유지공간(18)에 있어서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것을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욱더, 별도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라벨규제가이드기구를 장비한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30)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8은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30)의 분해 주요부 사시도로서, 라벨 인자 첩부기(130)의 주요부는 도 13의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01)과 사실상 동일하지만, 라벨규제가이드기구(112)에 상당하는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를 개량하고 있다.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라벨 가이드편(108)에 상당하는 단일 또한 좌우 대칭의 라벨 가이드편(132)를 갖고,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의 내벽면에 각각 형성한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홈(133)에 이 라벨 가이드편(132)을 걸어맞춤 가능하게 한다.
걸어맞춤 홈(133)은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 내지 플래턴(107)을 따라, 플래턴(107)의 약간 상방측의 측판(102)의 내벽면에 이것을 형성하고 있다. 라벨 가이드편(132)은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날개부(134)와 스토퍼부(135)와 전향 가이드부(136)를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있다.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날개부(134)가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홈(133)에 각각 걸어맞춤 한다.
도 9는 라벨 가이드편(132)(걸어맞춤 날개부(134))이 걸어맞춤 홈(133)에 걸어맞춤하기 전의 상태의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 부분의 종단면도, 도 10은 동일한 라벨 가이드편(132)(걸어맞춤 날개부(134))가 걸어맞춤홈(133)에 걸어맞춤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라벨 가이드편(132)의 폭이 들어갈 만큼의 사이를 측판(102) 사이에 형성하면, 측판(102) 전체를 분리 분해하지 않더라도 라벨 가이드편(132)를 측판(102)의 사이에 삽입하여 걸어맞춤 날개부(134)와 걸어맞춤 홈(133)와의 걸어맞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부(135)는 걸어맞춤 날개부(134)의 상류측을 연결함과 동시에, 걸어맞춤 날개부(134)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이것을 성형하여 있다.
전향 가이드부(136)는 걸어맞춤 날개부(134)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전향부재(109)에 임하는 그 하면은 상기 라벨 가이드편(108)의 전향부재측 경사부(119)와 동일한 전향부재측 경사부(137)(도 5)로 하고 있다.
도 11은 라벨 가이드편(132), 플래턴(107) 및 아래 덮개(110)의 상대 관계를 도시하는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 부분의 종단면도이고, 걸어맞춤 날개부(134), 스토퍼부(135) 및 전향 가이 드부(136)에 의하여 둘러쌓인 라벨 가이드편(132)의 공극영역(138)에 플래턴(107)의 표면 즉 인자기(104)의 인자면이 임하도록 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홈(133)은 특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벨 가이드편(132)의 걸어맞춤 날개부(134)가 각각 걸어맞춤 가능한 깊이를 가짐과 동시에, 걸어맞춤 홈(133)의 상방부에는 측판(102)의 내방으로 돌출하도록 단면 3각형상의 돌출부(139)를 형성하고 있다.
도 12는 라벨 연속체(113)의 이송방향을 따른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 부분의 종단면도로서, 걸어맞춤 홈(133)은 그의 후단부(140)가 직각으로 상행하여 있고, 그의 후단부(140)에 라벨 가이드편(132)의 스토퍼부(135)의 좌우 양단부가 걸어맞춤하고, 라벨 가이드편(132) 전체를 플래턴(107), 전향부재(109) 및 아래 덮개(110)에 대하여 소정의 상대위치에 위치결정 가능하게 한다.
더욱, 도 8을 참조하여,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은 5개의 볼트 즉, 회전운동축(120) 부분에 상당하는 제1의 볼트(141), 회전운동축(120)의 상방의 제2의 볼트(142), 회전운동축(117) 부분에 상당하는 제3의 볼트(143), 라벨 케이스(103)의 근방의 제4볼트(114) 및 측판(102)의 후방단부에 위치하는 제5의 볼트(145)에 의하여 서로 체결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식의 라벨 인자 첩부기(130) 및 라벨규제가이드기구(131)에 있어서, 라벨 가이드편(132)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제1의 볼트(141), 제2의 볼트(142), 제3의 볼트(143), 제4의 볼트(144) 및 제5의 볼트(145)를 각각 느슨하게하여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을 서로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형성한다.
다만, 측판(102)은 물론, 내부의 각각의 기구 내지 부품의 각각은 이것을 분리하거나, 분해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래 덮개(110)를 회전운동축(120)의 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더욱이 플래턴(107)을 회전운동축(117)의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걸어맞춤 날개부(134)를 걸어맞춤 홈(133)으로부터 떼어내어 라벨 가이드편(132)을 꺼낸다.
새로운 부품으로서의 라벨 가이드편(132)을 세트할 때에는 상기의 상태에서, 측판(102) 사이의 간극에 라벨 가이드편(132)을 넣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날개부(134)를 걸어맞춤 홈(133)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위치시켜 어느것인가 한쪽의 걸어맞춤 홈(133)에 대응하는 한쪽의 걸어맞춤 날개부(134)를 걸어맞춤시킨다.
이 걸어맞춤의 경우, 측판(102)의 내방에 돌출부(139)가 돌출하고 있으므로, 라벨 가이드편(132)을 걸어맞춤 홈(133)에 걸어맞춤하는 경우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걸어맞춤 홈(133)의 후단부(140)에 스토퍼부(135)가 맞닿음하므로, 라벨 가이드편(132)의 위치결정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다.
뒤이어, 다른편의 측판(102)을 가까이하여, 다른 편의 걸어맞춤 홈(133)에 걸어맞춤 날개부(134)를 걸어맞춤시켜, 제1의 볼트(141), 제2의 볼트(142), 제3의 볼트(143), 제4의 볼트(144) 및 제5의 볼트(145)를 각각 체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리하여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립상태로 할수가 있지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판(102)을 전체로서 해체할 필요 없이, 다른 부품과의 걸어맞춤 상태를 거의 유지한 채로 라벨 가이드편(132)을 착탈이 가능하게 할수 있고, 교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게다가, 라벨 가이드편(132)은 합성수지제이므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고, 때때로 교환할 필요가 있더라도 교환작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간단하다. 더욱이 라벨 가이드편(132)은 좌우 일체 또한 대칭형상이고, 부품으로서의 강도를 유지가능함과 동시에 라벨 연속체(113)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 번의 교환으로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판 및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에 의하여 롤형상라벨 또는 권심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장전조작 및 떼어내기 조작을 원터치로 간단히 할수 있음과 동시에, 확실히 유지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더욱더 제2 발명에 의하면, 라벨 가이드편을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홈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라벨 가이드편의 교환작업을 간단하게 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다.
더욱더 제3 발명에 의하면, 보호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를 권심 떼어내기 자세의 방향으로 조작하더라도, 로크되어 부주의로 롤형상라벨을 권심 유지장치로부터 떼어내 버리는 일은 없다.

Claims (12)

  1. 좌우 한 쌍의 측판과,
    이 측판 사이에 형성한 롤형상라벨의 이송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롤형상라벨을 상기 이송로에 띠모양으로 풀어내어 첩부하기 위한 라벨첩부기에 있어서, 상기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사이의 라벨 유지공간을 통하여 서로 대향하여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스프링판과,
    이 스프링판의 선단부에 상기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는 회전운동축부와, 이 회전운동축부보다 상기 라벨 유지 공간측이고 상기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권심유지부와, 이 회전운동 축부에 대하여 이 권심유지부와는 반대측이고 상기 측판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각각 갖고,
    상기 스프링판은 이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를 그 권심 유지 자세방향으로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에 의한 가압력을 보조하는 보조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는 좌우로 동일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는 좌우로 다른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유지용 손잡이부재의 상기 권심유지부에는 권심 규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은 상기 선단부 보다 중간측의 위치에 상기 권심유지부와 협동하여 상기 권심을 유지가능한 유지용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장치.
  7. 라벨 박리층을 갖는 대지 및 이 대지상에 임시부착한 복수매의 라벨편을 갖는 라벨 연속체의 상기 대지 만을 전향시킴으로써 이 대지로부터 상기 라벨편을 박리가능하게 하는 전향부재와, 이 전향부재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플래턴과, 이 플래턴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플래턴에 대향함과 동시에,
    상기 라벨 연속체를 상기 전향부재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라벨 가이드편을 갖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로서, 상기 라벨 가이드편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에 각각 형성한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홈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좌우 한 쌍의 걸어맞춤 날개부와, 이들 걸어맞춤 날개부의 상류측을 연결하는 스토퍼부와, 이들 걸어맞춤 날개부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전향 가이드부를 일체적으로 가짐과 동시에, 이들 걸어맞춤 날개부, 스토퍼부 및 전향 가이드부에 의하여 둘러쌓인 공극영역에 상기 플래턴의 표면이 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가이드편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이 측판의 내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 홈의 상방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가이드편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걸어맞춤 날개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가이드편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인자 첩부기의 라벨규제가이드기구.
  12. 좌우 한 쌍의 측판과, 이 측판 사이에 형성한 롤형상라벨의 이송로와, 이 롤형상라벨을 유지하는 권심유지장치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롤형상라벨을 이 권심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이송로에 띠모양으로 풀어내어 첩부하기 위한 라벨첩부기에 있어서, 상기 권심유지장치에 유지한 상기 롤형상라벨을 보호하는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보호커버 장치로서,
    상기 롤형상라벨을 보호 가능한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의 일단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측판에 축지지한 개폐축부와,
    이 커버 본체의 타단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측판의 후크 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한 후크부와,
    이 커버 본체의 내주측에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롤형상라벨의 상기 권심유지장치를 그 권심유지 자세로 로크 가능한 로크용 돌기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첩부기의 보호커버장치.
KR1020007013449A 1999-03-30 2000-03-29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관계기구와 라벨규제가이드 및 보호커버장치 KR100630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883499A JP4307620B2 (ja) 1999-03-30 1999-03-30 ラベル貼付機におけるロール状ラベルの巻芯保持装置
JP99-88834 199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919A KR20010043919A (ko) 2001-05-25
KR100630627B1 true KR100630627B1 (ko) 2006-10-02

Family

ID=1395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449A KR100630627B1 (ko) 1999-03-30 2000-03-29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관계기구와 라벨규제가이드 및 보호커버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3) US6447185B1 (ko)
EP (3) EP1308408B1 (ko)
JP (1) JP4307620B2 (ko)
KR (1) KR100630627B1 (ko)
CN (3) CN1247413C (ko)
AR (1) AR023215A1 (ko)
AT (3) ATE280125T1 (ko)
AU (1) AU762730B2 (ko)
CA (3) CA2333504C (ko)
DE (3) DE60015194T2 (ko)
DK (3) DK1295799T3 (ko)
ES (3) ES2231631T3 (ko)
HK (3) HK1054902A1 (ko)
ID (1) ID28093A (ko)
IL (1) IL139838A (ko)
MY (3) MY128056A (ko)
NO (1) NO319337B1 (ko)
NZ (1) NZ508315A (ko)
RU (1) RU2175629C1 (ko)
TW (1) TW464630B (ko)
WO (1) WO2000058194A1 (ko)
ZA (1) ZA2000073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44B1 (ko) * 2002-01-03 2004-12-14 장상빈 테이프 커팅기의 테이프롤 이탈방지장치
US7204287B2 (en) * 2003-01-23 2007-04-17 Xyron, Inc. Transfer devices
US20060213620A1 (en) * 2005-03-22 2006-09-28 Kabushiki Sato Label affixing machine having label roll core holding mechanism
JP4910485B2 (ja) * 2006-05-31 2012-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プリンタ
TWM358139U (en) 2008-11-18 2009-06-01 Caimon Entpr Co Ltd Tape cutting dispenser
EP2473411B1 (en) * 2009-09-04 2015-04-15 KOSME S.r.l. Labelling machine
JP5432050B2 (ja) * 2009-09-17 2014-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プリンタ
JP5549231B2 (ja) * 2010-01-13 2014-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11143983A (ja) * 2010-01-13 2011-07-28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装置
US8376015B2 (en) 2010-08-26 2013-02-19 Checkpoint Systems, Inc. Hand-held labeler with improved label roll lift mechanism
WO2014052552A1 (en) * 2012-09-26 2014-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enser for tape roll with integral tape mandrel
JP6167718B2 (ja) * 2013-07-19 2017-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ガイド装置および印刷装置
WO2019187230A1 (ja) * 2018-03-30 2019-10-03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CN110421582B (zh) * 2019-05-20 2023-03-24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卷芯抓取配对的机械手装置
US20210371149A1 (en) 2020-06-01 2021-12-02 Walmart Apollo, Llc Label dispenser for product-transporting carts at retail facilities
CN115122748B (zh) * 2022-06-24 2023-05-23 汕头市铠嘉模具有限公司 一种凹印印刷版辊的高精度刻版装置及刻版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2131A (en) * 1965-12-29 1970-07-28 Sato Kirko Kk Device for printing numerical figures and other characters on labels and for pasting these labels consecutively onto articles and merchandise
US3957562A (en) * 1973-07-18 1976-05-1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Apparatus for printing and applying pressure sensitive labels
US4053345A (en) * 1974-06-05 1977-10-1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Apparatus for printing and applying pressure sensitive labels
US4116747A (en) 1977-04-25 1978-09-26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labeler
JPS6042096B2 (ja) * 1977-09-02 1985-09-20 株式会社サト−研究所 ハンドラベラ−等におけるラベル装填機構
JPS6042097B2 (ja) * 1977-09-05 1985-09-20 株式会社サト−研究所 ハンドラベラ−等におけるラベル詰り防止機構
US4954208A (en) * 1982-08-16 1990-09-04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labeller
US4668326A (en) 1985-05-13 1987-05-26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labeler
JPH01191753A (ja) * 1988-01-28 1989-08-01 Mitsubishi Metal Corp インジウム含有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JP2929195B2 (ja) * 1988-07-07 1999-08-03 株式会社サトー ラベルカセットに於けるテープ状台紙の保持機構
JPH0350585U (ko) * 1989-09-25 1991-05-16
JP3050585B2 (ja) 1990-10-29 2000-06-12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ピストン用オイルリング
US5486259A (en) * 1994-01-05 1996-01-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Labeler with adjustable roll mounting means
JP3790833B2 (ja) 1996-08-07 2006-06-28 株式会社ニコン 投影露光方法及び装置
US5988249A (en) * 1996-08-22 1999-11-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labeler
US5910227A (en) * 1996-08-22 1999-06-0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labeler
ES2172043T3 (es) * 1997-02-14 2002-09-16 Duck Hee Lee Maquina de etiquetado manual.
JPH1119238A (ja) 1997-06-30 1999-01-26 Kokago Corp Kk 抗菌効果を有するマスク
JP4040149B2 (ja) 1997-09-22 2008-01-30 株式会社サトー ラベル印字貼付器のラベル規制ガイ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6929A (zh) 2003-07-02
CA2333504A1 (en) 2000-10-05
CN1206132C (zh) 2005-06-15
EP1308408A1 (en) 2003-05-07
ES2230436T3 (es) 2005-05-01
ATE280125T1 (de) 2004-11-15
IL139838A (en) 2004-06-20
ES2231631T3 (es) 2005-05-16
ID28093A (id) 2001-05-03
DE60015194T2 (de) 2005-02-17
US6584896B1 (en) 2003-07-01
US20020192002A1 (en) 2002-12-19
DE60015194D1 (de) 2004-11-25
EP1295799B1 (en) 2004-09-29
DE60003780D1 (de) 2003-08-14
DE60014452D1 (de) 2004-11-04
EP1308408B1 (en) 2004-10-20
NO319337B1 (no) 2005-07-18
CA2552985A1 (en) 2000-10-05
US6592277B2 (en) 2003-07-15
CA2333504C (en) 2008-01-22
DE60014452T2 (de) 2005-03-03
RU2175629C1 (ru) 2001-11-10
US6447185B1 (en) 2002-09-10
DK1295799T3 (da) 2004-12-06
DK1308408T3 (da) 2004-12-06
CN1125755C (zh) 2003-10-29
ZA200007394B (en) 2001-06-21
EP1132326B1 (en) 2003-07-09
EP1295799A3 (en) 2003-05-02
EP1295799A2 (en) 2003-03-26
KR20010043919A (ko) 2001-05-25
DK1132326T3 (da) 2003-10-27
JP2000281262A (ja) 2000-10-10
WO2000058194A1 (fr) 2000-10-05
IL139838A0 (en) 2002-02-10
CA2552985C (en) 2009-02-17
HK1060552A1 (en) 2004-08-13
CN1483638A (zh) 2004-03-24
NO20006031L (no) 2001-01-29
NZ508315A (en) 2003-06-30
CN1310686A (zh) 2001-08-29
MY128056A (en) 2007-01-31
ATE277857T1 (de) 2004-10-15
HK1039476A1 (en) 2002-04-26
JP4307620B2 (ja) 2009-08-05
ES2202078T3 (es) 2004-04-01
EP1132326A1 (en) 2001-09-12
TW464630B (en) 2001-11-21
CN1247413C (zh) 2006-03-29
MY139774A (en) 2009-10-30
HK1054902A1 (en) 2003-12-19
DE60003780T2 (de) 2004-02-05
NO20006031D0 (no) 2000-11-28
AR023215A1 (es) 2002-09-04
CA2559615A1 (en) 2000-10-05
MY139441A (en) 2009-10-30
CA2559615C (en) 2009-02-17
EP1132326A4 (en) 2002-06-05
AU3454300A (en) 2000-10-16
ATE244671T1 (de) 2003-07-15
AU762730B2 (en) 200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627B1 (ko) 라벨첩부기에서의 롤형상라벨의 권심유지관계기구와 라벨규제가이드 및 보호커버장치
CA2630729C (en) Hand-held portable labeler and method of labeling
US5868893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EP1944261B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4865798B2 (ja) ラベル貼付け装置
JPH026689B2 (ko)
US20060213620A1 (en) Label affixing machine having label roll core holding mechanism
JPH0245125Y2 (ko)
JP4040149B2 (ja) ラベル印字貼付器のラベル規制ガイド機構
WO2009139090A1 (ja) 携帯式ラベル貼付け機のラベル装填装置およびラベル装填方法
JP4828968B2 (ja) 携帯式ラベル印字貼付機、携帯式ラベル印字貼付機のインキローラー取り外し方法およびインキローラー交換方法
JPH08217040A (ja) ハンドラベラーのラベル装填機構
JP4808989B2 (ja) 携帯式ラベル印字貼付機のインキローラー収納容器、インキローラー交換方法およびインキローラー取付け方法
JP5390176B2 (ja) ラベル貼付け装置におけるラベルガイド機構およびその幅ガイド部材
JP6682165B2 (ja) プリンタ
KR820002147Y1 (ko) 핸드레이블러등에 있어서의 잉크공급장치의 착탈기구
JP3557763B2 (ja) 部品供給装置
JPH02162072A (ja) プリンタの用紙給排装置
MXPA00011725A (en) Core holding mechanism and label adjusting guide for roll-shaped label of label stic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