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023B1 - 드럼식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023B1
KR100630023B1 KR1020050025418A KR20050025418A KR100630023B1 KR 100630023 B1 KR100630023 B1 KR 100630023B1 KR 1020050025418 A KR1020050025418 A KR 1020050025418A KR 20050025418 A KR20050025418 A KR 20050025418A KR 100630023 B1 KR100630023 B1 KR 10063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mber
filter
drum
yar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835A (ko
Inventor
고지 나카이
다카히로 이노우에
요시토모 가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주위면에 다수의 투과구멍을 마련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 드럼과, 본체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수조와,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배기한 공기를 제습부 및 가열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회전 드럼내에 송풍하는 순환 송풍 경로와, 상기 순환 송풍 경로 도중에 마련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회수하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서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로운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는 서로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 건조기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 근방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탈착시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장착시 주요부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탈착시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장착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회전 드럼
2a : 회전축
3 : 수조
8 : 투과 구멍
16 : 순환 송풍 경로
22 :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
26 : 제습부
32 : 제 1 필터부재
33 : 제 2 필터부재
본 발명은 회전축이 수평 또는 경사진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을 실행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물 및 공기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투과 구멍이 주위면에 형성된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의 회전 드럼을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하여 수조내에 배치하고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의 정면측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의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의류 출입구로부터 회전 드럼내에 세탁물을 투입하여 수조내로의 주수 및 배수를 실행하고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세탁, 헹 굼, 탈수의 각 행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조내의 공기를 배기하고 제습부 및 가열부를 통하여 다시 수조내에 복귀시키는 순환 송풍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회전 드럼내에 수용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이 실행되고, 상기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에 부가하여 건조행정도 가능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운전에 앞서서 세제를 세제 투입 케이스에 넣고 필요에 따라서 조작 표시부를 조작함으로써 희망하는 운전 내용을 설정하거나, 운전 스타트, 일시 정지를 실행하여 운전의 진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건조행정을 실시한 경우에 세탁물의 건조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송풍 경로나 송풍팬 등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회수하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가 송풍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퇴적한 린트류를 사용자가 수시로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의 상부면에 마련한 덮개판을 열어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제거함으로써 송풍 효과가 저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건조행정시의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제거하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로서는 온풍 입력측에 마련하고 온풍 입력측이 개구된 자루형상부를 갖는 제 1 필터와 온풍 출력측에 마련한 면형상의 제 2 필터를 갖고 있는 것이 있다. 의류 등으로부터 발생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 등이 큰 것은 제 1 필터의 자루형상부 에 포착되고 먼지 등의 작은 것은 제 2 필터에 포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9369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0019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구조에서는 2중으로 마련한 필터중 한 장을 본체에 장착하는 것을 망각한 상태로 운전하기 쉬워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송풍 경로나 송풍팬 등에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되고 건조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2개의 필터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본체에 장착할 때의 사용 편리성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동안에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되어 건조 성능이 현저히 저하됨을 방지하고, 또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장착 망 각을 방지하고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부착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고 외관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주위면에 다수의 투과구멍을 마련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 드럼과, 본체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수조와,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배기한 공기를 제습부 및 가열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회전 드럼내에 송풍하는 순환 송풍 경로와, 상기 순환 송풍 경로 도중에 마련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회수하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서로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로운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의 적어도 2개의 필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는 서로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배치된 것이다.
이에 의해,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동안에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하여 건조 성능이 현저히 저하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장착 망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부착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고 외관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얻을 수 있다.
제 1 양태는 주위면에 다수의 투과구멍을 마련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 드럼과, 본체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수조와,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배기한 공기를 제습부 및 가열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회전 드럼내에 송풍하는 순환 송풍 경로와, 상기 순환 송풍 경로 도중에 마련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회수하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서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로운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는 서로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배치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이다.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동안에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장착 망각을 방지한다. 또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부착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복수의 필터부재를 동시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고 외관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하다.
제 2 양태는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가 대략 평면형상의 제 1 필터를 갖는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제 1 필터의 망의 눈의 크기와 동등 또는 그 이하의 망의 눈의 크기를 갖는 대략 평면형상의 제 2 필터를 갖는 제 2 필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송풍됨과 더불어 상 기 제 2 필터부재가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가 대략 평면형상이기 때문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가 용이함과 더불어, 제 1 필터를 통과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는 제 2 필터에 포집되기 때문에 순환 송풍 경로내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되어 건조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양태는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 2 필터부재가 제 1 필터부재에 대하여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계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부착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다.
제 4 양태는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가 전방 하방의 송입구로부터 상방으로 송풍되고 후방 하방의 송출구로부터 송풍되는 순환 송풍 경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제 1 필터부재에 상기 송입구의 대응 위치에 제 1 개구부를 마련함과 더불어, 상기 송출구의 대응 위치에 제 1 필터를 마련하고 제 2 필터부재에 상기 송입구의 대응 위치에 제 2 개구부를 마련함과 더불어, 상기 송출구의 대응 위치에 제 2 필터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를 본체의 전면에서 그 상부분에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를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그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아차리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를 빈번히 실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5 양태는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 1 필터부재의 손잡이 부분이 본체 전면에 노출되어 외곽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 2 필터부재의 전방측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갈고리 리브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상기 갈고리 리브가 걸리는 갈고리부를 마련함과 더불어, 개구부의 후단부에 개구부 안쪽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 리브를 마련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개구부의 후단부에 상기 볼록 리브에 계지하는 개구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의 장착 및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함으로써 부착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게 된다.
제 6 양태는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순환 송풍 경로에 제 2 필터부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필터 유무 검지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필터부재에 숨겨져 인식하기 어려운 제 2 필터부재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필터부재에 제 2 필터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망각하지 않을 수 있다.
제 7 양태는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 1 필터부재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만곡하는 만곡형상으로 하고 그 만곡형상 부분의 후단면이 순환 송풍 경로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필터의 표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제 1 필터의 전면을 덮을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만곡형상 부분의 후단면으로부터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본 실 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대하여, 도 1 ∼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본체(1)내에 댐퍼 구조(5) 등에 의해 수조(3)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되고 수조(3)내에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2)이 그 회전축(2a)의 축심방향을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시키고 또한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수조(3)의 정면측에는 회전 드럼(2)의 개구단으로 통하는 의류 출입구(11)가 형성되고 본체(1)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부 프레임체(6)의 전부에 형성된 상향 경사면에 마련된 개구부(6a)를 개폐하는 도어(9)를 여는 것에 의해 의류 출입구(11)를 통하여 회전 드럼(2)내에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다. 도어(9)가 상향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넣고 빼는 작업을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 실시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횡방향에 있는 개구부로부터 세탁물을 넣고 빼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작업성의 단점이 개선되어 있다.
회전 드럼(2)의 주위면에 수조(3)내로 통하는 다수의 투과 구멍(8)이 형성되고 내주면의 복수 위치에 교반돌기(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드럼(2)은 수조(3)의 배면측에 부착된 모터(7)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수조(3)에는 주수관로(도시하지 않음) 및 배수관로(13)가 배관 접속되고 주수밸브(14) 및 배수밸브(15)의 제어에 의해 수조(3)내에의 주수 및 배수가 이루어진다.
전부 프레임(6)의 상부 중앙에는 조작 표시부(20)가 배치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조작 표시부(20)를 조작함으로써 희망하는 운전 내용을 설정하거나 운전 스타트, 일시 정지를 실행하여 운전의 진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는 회전 드럼(2)내에 수용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고 수조(3)내의 공기를 배기하여 제습하고 가열하여 건조한 온풍으로 만들어 다시 수조(3)내에 송풍하는 순환 송풍 경로(16)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9)를 열어 회전 드럼(2)내에 세탁물을 투입하여 운전을 개시시키면 주수밸브(14)가 열리고 세제 투입 케이스(21)내에 물이 주수된다. 이와 동시에 그 안에 투입되어 있던 세제를 흘리면서 주수관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수조(3)내에 소정량의 주수가 이루어지고 모터(7)에 의해 회전 드럼(2)이 회전 구동되어 세탁행정이 개시된다. 세탁행정의 세탁물은 회전 드럼(2)의 회전에 의해 교반돌기(4)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서 낙하하는 교반 동작이 반복되어 이른바 때려 빨기의 작용이 미쳐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소요의 세탁 시간후, 배수밸브(15)가 열리고 더러워진 세탁액은 배수관로(13)로부터 배출되고 회전 드럼(2)을 고속 회전시키는 탈수 동작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액을 탈수한다. 그 후, 수조(3)내에 주수관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주수되어 헹굼 행정이 실시된다. 이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세탁물에는 회전 드럼(2)의 회전에 의해 교반돌기(4)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낙하하는 교반 동작이 반복되어 헹굼 세탁이 실시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되면 회전 드럼(2)을 고속 회전시켜 탈수하는 탈수행정이 실행된다.
상기의 탈수행정이 종료되고 건조행정으로 이행한다. 건조행정에 있어서는 회전 드럼(2)을 소정 회전수로 회전 구동하고 교반돌기(4)에 의해 세탁물을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 낙하시키는 교반 동작이 반복됨과 더불어, 이하의 순서에 의해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을 실행함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즉, 순환 송풍 경로(16)내에 배치된 송풍팬(23)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순환 송풍 경로(1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세탁물을 수용한 회전 드럼(2)내의 공기는 투과 구멍(8)을 통하여 수조(3)내에 들어가고 수조(3)의 배기구(24)로부터 제습관로(25)에 배기된다. 제습관로(25)에는 급수밸브(14)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분무 등에 의해 냉각된 열교환판(26)이 배치되고 수조(3)내에서 배기된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는 열교환판(26)상을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어 수분이 결로하여 제습된다.
제습된 공기는 제 1 접속 호스(29)를 통과한 후,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22)를 통과하여 건조 운전중에 발생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제거된다. 이후, 송풍 경로(27)를 통과하여 송풍팬(23)에 들어가고 또한 제 2 접속 호스(30)를 통과하여 건조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된 온풍으로 된다. 상기 온풍은 온풍 공급구(28)로부터 수조(3)에 보내어지고 회전 드럼(2)내로 순환 공급된다. 이 공기의 순환이 소요 시간 반복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서서히 빼앗겨 건조가 진행된다.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2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부 프 레임체(6)의 상부 코너부에 마련하고 있다.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22)에 대하여, 이하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22)는 필터수납부재(31), 제 1 필터부재(32) 및 제 2 필터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수납부재(31)에는 그 하면에 제 1 접속 호스(29)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입구(34)와 공기가 송풍 경로(27)에 송출되는 송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필터부재(32)에는 송입구(34)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부터 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 1 개구부(36)를 마련하고 송출구(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평면형상의 제 1 필터(37)를 마련하고 있다. 제 2 필터부재(33)에는 송입구(34)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부터 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 2 개구부(38)를 마련하고 송출구(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평면형상의 제 2 필터(39)를 마련하고 있다. 제 2 필터부재(33)는 제 1 필터부재(32)의 하면측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2 필터부재(33)의 전방측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갈고리 리브(40)를 마련하고 제 1 필터부재(32)에는 갈고리 리브(40)가 삽입되어 걸리는 개구 구멍형상의 갈고리부(41)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의 제 1 개구부(36)의 후단부(36a)에 제 1 개구부(36)의 내방향으로 볼록한 볼록 리브(42)를 마련하고 제 2 필터부재(33)의 제 2 개구부(38)의 후단부(38a)에는 상기 볼록 리브(42)에 계지하는 개구(43a)를 갖는 개구 계지부(43)를 마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장착하는 경우 에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필터부재(33)의 전방에 마련하고 상방으로 돌출함과 더불어 전방으로 돌출한 갈고리 리브(40)를 제 1 필터부재(32)의 전방에 마련한 개구 구멍형상의 갈고리부(41)에 삽입하고, 갈고리 리브(40)의 이면을 갈고리부(41)의 전방 상면에 걸도록 하여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중첩되도록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 2 필터부재(33)의 개구 계지부(43)의 상단이 제 1 필터부재(32)의 볼록 리브(42)의 하면과 부딪히지만 개구 계지부(43)가 제 2 개구부(38)의 안쪽방향으로 휨으로써 볼록 리브(42)가 개구 계지부(43)의 개구(43a)에 삽입되어 계지된 상태로 된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는 개구 계지부(43)를 제 2 개구부(38)의 내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볼록 리브(42)를 개구 계지부(43)의 개구(43a)에 걸림을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장착하는 경우와 반대의 방법으로 탈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필터부재(32)에 제 2 필터부재(33)가 장착된 상태로 이것을 본체(1)의 전부 프레임체(6)의 상부분의 코너부에 마련한 필터수납부재(31)에 수평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하고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 전방측에는 장착 및 분리용 손잡이(44)를 마련하고 있고 이 손잡이부(44)는 전부 프레임체(6)와 동일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필터(39)의 망의 눈의 크기는 제 1 필터(37)의 망의 눈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의 크기로 함으로써 제 1 필터(37)에서 놓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 나 먼지 등을 제 2 필터(39)에 의해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만곡하는 만곡형상 부분(45)을 갖고 있고 제 1 필터부재(32)가 필터수납부재(31)에 수납되어 있을 때 만곡형상 부분(45)의 후단면(45a)이 필터수납부재(31)의 후내면(31a)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필터부재(33)의 후단면(33a)도 필터수납부재(31)의 후내면(31a)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필터부재(33)에 자석(46)이 부착되어 있고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와 더불어 필터수납부재(31)에 수납함으로써, 자석(46)을 필터수납부재(41)의 외부에 마련된 자력 판정 수단(제 2 필터유무 판정 수단)(47) 근방에 위치할 수 있다. 자력 판정 수단(47)은 자석(46)의 자력에 의해 제 2 필터부재(33)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필터수납부재(31)의 하면에 송입구(34)와 송출구(35)를 형성하고 있고 그 상부면에 송풍을 위한 개구를 마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체(1)내의 상방단에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22)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와 제 2 필터부재(33)는 필터수납부재(31)에 대하여 서로 장착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내의 전방단에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22)를 사용자가 가장 사용하기 쉽고 또한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쉬운 위치인 본체(1)의 전면 상부의 코너부에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송입구(34)는 필터수납부재(31)의 하면이 아니어도 무방하고 측면이어도 무방하다. 즉, 상부면이 아니면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의 제 1 필터(37) 및 제 2 필터부재(33)의 제 2 필터(39)는 모두 평면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루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필터(39)의 망의 눈의 크기는 제 1 필터(37)의 망의 눈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의 크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확실히 회수할 수 있고 순환 경로(16)내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갈고리 리브(40)를 갈고리부(41)에 삽입하고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중첩되도록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구 계지부(43)가 제 2 개구부(38)의 내방향으로 휘게 된다. 또한, 볼록 리브(42)가 개구 계지부(43)의 개구(43a)에 삽입되어 계지된 상태로 되고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중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는 개구 계지부(43)를 제 2 개구부(38)의 내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볼록 리브(42)를 개구 계지부(43)의 개구(43a)에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하는 경우와 반대의 방법으로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부착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가 용이하여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44)는 전부 프레임체(6)와 동일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를 장착하는 것을 망각한 경우에도 세탁 운전 개시시 또는 건조 운전 개시시에 그 장착 망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 경로(16)내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필터부재(33)를 제 1 필터부재(32)에 장착하는 것을 망각하여 제 1 필터부재(32)를 필터수납부재(31)에 수납되었다고 하더라도 제 2 필터부재(33)에 자석(43)이 부착되어 있고 필터수납부재(31)의 외측에 마련된 자력 판정 수단(44)에 의해 그 존재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력 판정 수단(47)이 자석(46)이 없다고 판정하고 조작 표시 수단(20)에 의해 이상 통보 등을 실행하여 운전을 정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순환 경로(16)내에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퇴적하여 송풍 능력이 저하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32)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만곡하는 만곡형상 부분(45)을 갖고 있고 제 1 필터부재(32)가 필터수납부재(31)에 수납되어 있을 때, 만곡형상 부분(45)의 후단면(45a)이 필터수납부재(31)의 후내면(31a)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필터(37)의 표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제 1 필터(37)의 전면을 덮을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쉽다. 또한, 만곡형상 부분(45)의 후단면(45a) 및 제 2 필터부재(33)의 후단면(33a)을 필터수납부재(31)의 후내면(31a)에 접촉시킴으로써 그곳으로부터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회전 드럼(2)의 회전 중심에 경사방향으로 회전축(2a)을 마련하고 회전 드럼(2)의 축심방향을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시키고 있지만 회전 드럼(2)의 회전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축(2a)을 마련하고 회전 드럼(2)의 축심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의 장착 망각을 방지하고, 또한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에 부착한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주벽에 다수의 투과구멍을 마련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 드럼과, 본체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수조와,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배기한 공기를 제습부 및 가열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회전 드럼내로 송풍하는 순환 송풍 경로와, 상기 순환 송풍 경로 도중에 마련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실 보무라지 등의 린트류를 회수하는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서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로운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제 2 필터부재는 서로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대략 평면형상의 제 1 필터를 갖는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제 1 필터의 망의 눈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의 망의 눈의 크기를 갖는 대략 평면형상의 제 2 필터를 갖는 제 2 필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제 1 필터로부터 제 2 필터를 향하여 송풍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가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부재는 제 1 필터부재에 대하여 전방측 및 전방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 계지함으로써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보무라지 회수 장치는 전방 하방의 송입구로부터 상방으로 송풍되고 후방 하방의 송출구로부터 하방으로 송풍되는 순환 송풍 경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제 1 필터부재에 상기 송입구의 대응 위치에 제 1 개구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송출구의 대응 위치에 제 1 필터를 마련하고, 제 2 필터부재에 상기 송입구의 대응 위치에 제 2 개구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송출구의 대응 위치에 제 2 필터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손잡이 부분은 본체 전면에 노출되어 외곽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 2 필터부재의 전방측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갈고리 리브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상기 갈고리 리브가 걸리는 갈고리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제 1 개구부의 후단부에 제 1 개구부 안쪽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 리브를 마련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제 2 개구부의 후단부에 상기 볼록 리브에 계지하는 개구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송풍 경로에 제 2 필터부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필터 유무 판정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만곡하는 만곡형상으로 하고 그 만곡형상 부분의 후단면이 필터 수납부재의 후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20050025418A 2004-11-11 2005-03-28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630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27423 2004-11-11
JP2004327423A JP4494169B2 (ja) 2004-11-11 2004-11-11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35A KR20060044835A (ko) 2006-05-16
KR100630023B1 true KR100630023B1 (ko) 2006-09-27

Family

ID=3610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418A KR100630023B1 (ko) 2004-11-11 2005-03-28 드럼식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20986B1 (ko)
JP (1) JP4494169B2 (ko)
KR (1) KR100630023B1 (ko)
CN (2) CN2841738Y (ko)
CA (1) CA2503044C (ko)
TW (1) TWI2846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8251A2 (ko) * 2008-06-03 2009-12-10 (주)엘지전자 의류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3940A (ja) * 2003-07-30 2007-11-22 ベーエスハー ボッシュ ウント ジーメンス ハウスゲレーテ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少なくとも1つの部分プログラム段階「乾燥」を有する装置を運転する方法
US8028438B2 (en) * 2004-07-02 2011-10-04 Aqualizer, Llc Moisture condensation control system
JP4494169B2 (ja) * 2004-11-11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102005013052A1 (de) * 2005-03-18 2006-09-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enmaschine
JP4671917B2 (ja) * 2006-06-16 2011-04-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4205745B2 (ja) * 2006-09-27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246762B2 (ja) * 2006-09-27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253179B1 (ko) * 2006-12-1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7886458B2 (en) * 2006-12-22 2011-02-15 G.A. Braun Inc. Lint coll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fabric dryers
KR20090024464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린트 필터 감지장치
JP4737245B2 (ja) * 2008-08-04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EP2159317B1 (en) * 2008-08-29 2012-01-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laundry drier
JP4532581B2 (ja) * 2008-11-12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081091B1 (ko) * 2008-12-22 2011-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필터링 유닛
KR20100080415A (ko)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00129117A (ko)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5106443B2 (ja) * 2009-02-23 2012-12-26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9828715B2 (en) 2009-05-28 2017-11-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g having a drying function
KR101644885B1 (ko) 2009-05-28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4893784B2 (ja) * 2009-06-22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5292222B2 (ja) * 2009-08-24 2013-09-18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EP2309053B1 (de) 2009-10-09 2016-11-02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maschine, insbesondere Wäschetrockner
JP5418203B2 (ja) * 2009-12-22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5418202B2 (ja) * 2009-12-22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5232134B2 (ja) * 2009-12-28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5457969B2 (ja) * 2010-07-28 2014-04-02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EP2426247A1 (en) 2010-09-02 2012-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KR20120066549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JP5649483B2 (ja) * 2011-03-03 2015-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去装置及び乾燥装置
KR101059910B1 (ko) 2011-05-06 2011-08-29 황하준 세탁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
CN102797140A (zh) * 2011-05-27 2012-11-2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烘干设备及其控制方法
RU2480692C1 (ru) * 2011-09-22 2013-04-27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Борис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EP2948582B1 (en) * 2013-01-25 2022-03-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5596210B2 (ja) * 2013-06-07 2014-09-24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DE102013211023A1 (de) 2013-06-13 2014-12-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Flusensiebeinheit und Überwachungseinrichtung mit Leitanordnungen
EP2843103B1 (en) * 2013-08-30 2022-02-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ppliance for drying laundary with auxiliary de-fluff filter
PL2843123T3 (pl) * 2013-08-30 2022-10-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rządzenie do suszenia prania z pomocniczym filtrem kłaczków
CN106048997A (zh) * 2016-07-22 2016-10-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US10087569B2 (en) * 2016-08-10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aintenance free dryer having multiple self-cleaning lint filters
KR20180085201A (ko) * 2017-01-18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상기 건조기의 제어 방법
JP6952489B2 (ja) * 2017-04-20 2021-10-2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フィルタ清掃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類乾燥装置
EP3467187B1 (en) 2017-10-09 2021-12-22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CN107938288A (zh) * 2017-10-31 2018-04-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烘干控制方法
CN107653653A (zh) * 2017-10-31 2018-02-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烘干控制方法
CN110453474A (zh) * 2018-05-08 2019-11-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及其线屑过滤装置
CN111793954B (zh) * 2019-04-09 2023-02-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的线屑过滤装置安装检测方法及衣物处理设备
US11585038B2 (en) 2019-11-21 2023-02-2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filter
CN114059260B (zh) * 2020-07-31 2023-10-13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干一体机
WO2023029168A1 (zh) * 2021-08-30 2023-03-0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过滤片以及衣物处理装置
CN113584830B (zh) * 2021-08-30 2023-10-2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过滤装置以及衣物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697A (ja) 1998-09-24 2000-04-04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3424655B2 (ja) 2000-04-27 2003-07-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6434857B1 (en) * 2000-07-05 2002-08-20 Smartclean Jv Combination closed-circuit washer and drier
JP3862549B2 (ja) * 2001-11-08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乾燥洗濯機
JP2004097388A (ja) * 2002-09-06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TWI294473B (en) * 2002-10-16 2008-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4016874B2 (ja) * 2003-04-14 2007-1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4494169B2 (ja) * 2004-11-11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8251A2 (ko) * 2008-06-03 2009-12-10 (주)엘지전자 의류건조기
WO2009148251A3 (ko) * 2008-06-03 2010-03-18 (주)엘지전자 의류건조기
US8468711B2 (en) 2008-06-03 2013-06-25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41738Y (zh) 2006-11-29
TWI284690B (en) 2007-08-01
CN1773003A (zh) 2006-05-17
CA2503044A1 (en) 2006-05-11
JP4494169B2 (ja) 2010-06-30
CA2503044C (en) 2007-06-05
KR20060044835A (ko) 2006-05-16
US7020986B1 (en) 2006-04-04
JP2006136449A (ja) 2006-06-01
CN1773003B (zh) 2012-01-18
TW200624624A (en) 200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023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68877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2009142351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3896980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807985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295424B2 (ja) 洗濯乾燥機
JP200512462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20574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67170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7681419B2 (en) Dry cleaning solvent filter
JP449414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389867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225871A (ja) 洗濯機
KR100734683B1 (ko) 의류 건조 장치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KR20070084929A (ko) 세탁기
JP4587906B2 (ja) 乾燥洗濯機
JP551575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470895B2 (ja) 洗濯機
JP200902856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6202526A (ja) 洗濯乾燥機
JP2022150128A (ja) 洗濯機
JP2015054158A (ja) 洗濯乾燥機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JPH0999197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