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888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888B1
KR100629888B1 KR1020040012974A KR20040012974A KR100629888B1 KR 100629888 B1 KR100629888 B1 KR 100629888B1 KR 1020040012974 A KR1020040012974 A KR 1020040012974A KR 20040012974 A KR20040012974 A KR 20040012974A KR 100629888 B1 KR100629888 B1 KR 100629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cording medium
projection
scanning direction
photosensitiv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503A (ko
Inventor
후지모토히사요시
다카쿠라토시히코
Original Assignee
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4Separate pill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X)의 프린트 헤드(2)에는, 렌즈(22a)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CD)으로 오프셋되고 또한 렌즈(22a)보다도 감광성 기록 매체(4) 근처로 돌출하여 감광성 기록 매체(4)에 접합한 돌기(2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23a)는 노광시에 있어 감광성 기록 매체(4)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감광성 기록 매체(4)의 굴곡을 교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 프린트 헤드, 감광성 기록매체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Device for Forming a Pictur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사용되고 있는 감광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헤드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헤드의 주요 부분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헤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헤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프린트 헤드
4 : 감광 필름(감광성 기록매체)
15, 16 : 한 쌍의 측벽 17 : 배출구
22a : 로드 렌즈(집광용의 렌즈)
22b : 렌즈 홀더 23 : 보조부재
23a : 돌기 23b : 절결부
24 : 프레임(지지 부재) 24a : 슬릿
24b : 요부 26 : 투명부재
41a : 화상 기록 영역 47 : 환기구부
본 발명은 감광성 기록 매체에 노광을 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는 특개 2001-1118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감광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와,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감광 필름을 노광시키기 위한 개구(開口)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프린트 헤드는 집광용 렌즈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해당 집광용 렌즈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 필름의 화상 기록 영역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사체의 잠상(潛像)이 상기 감광 필름의 상기 화상 기록 영역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상기 감광 필름은 그 두께가 얇고 연질이기 때문에 굴곡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굴곡이 생기면, 상기 감광 필름과 상기 집광용 렌즈와의 사이 간격은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그러면, 상기 집광용 렌즈의 초점이 상기 감광 필름 상에 맞지 않게 되고, 상기 감광 필름에 선명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이런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감광 필름의 화상 기록 영역 전역에 걸쳐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점에도 배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 또는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성 기록 매체를 수용하고또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를 노광시키기 위한 개구를 갖는 케이스와, 집광용의 렌즈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기 위한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프린트 헤드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프린트 헤드에는 상기 렌즈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오프셋 되고 또한 상기 렌즈보다도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 근처로 돌출하여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에 접합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의 양측방에 위치한 한 쌍의 측벽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한편에는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렌즈를 끼우고 상기 배출구와 반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환기구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주주사(主走査)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의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의 화상 기록 영역의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와 상기 돌기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 서로 인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렌즈가 감입(嵌入)된 슬릿 및 이 슬릿에 연결된 요부(凹部)를 갖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와는 별도의 보조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부재의 일부가 상기 요부에 감입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보조부재의 다른 일부가 상기 돌기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렌즈를 감싸고 지지하며 또한 상기 슬릿에 감입된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렌즈의 광출사면을 덮는 투명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투명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렌즈를 감싸고 지지하며 또한 상기 슬릿에 감입된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에 관해서는, 이하에 행한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가리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X)는 케이스(1)와, 프린트 헤드(2) 및 박스(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는 차광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제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복수의 적층된 감광 필름(4)과, 판스프링 부재(5)를 수용하고 있다. 케이스(1)의 상면부(11)에는 한 쌍의 개구(開口, 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하면부(13)에는 최하층의 감광 필름(4)을 노광시키기 위한 개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는 부주사 방향 CD로 사이를 멀리 하여 또한 주주사 방향 AB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5,16)을 가지고 있다. 측벽(15)에는 감광 필름(4)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17)는 케이스(1)의 내부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튼(18)에 의하고 덮혀 있다. 측벽(16)에는 절결(切 缺, 19)이 설치되어 있다.
감광 필름(4)은 대략 구형(矩形)의 시트 형상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층(41)과, 2장의 투명 커버(42,43)와, 마스크 시트(44)와, 현상액 퍽(45)과, 트랩재(trap材, 46)와, 환기구부(47)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층(41)은 2장의 투명 커버(42,43) 사이에 끼여 있다. 마스크 시트(44)는 부주사 방향 CD의 중간부가 투명 커버(42) 상에 적층되어 있고, 부주사 방향 CD의 양단부(44a,44b)가 두겹으로 접혀 투명 커버(43)에 접착되어 있다. 또, 마스크 시트(44)의 상기 중간부에는 개구(44c)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층(41) 중 개구(44c)에 면한 부분이 화상 기록 영역(41a)이다. 이 화상 기록 영역(41a)은 그 전역에 대하여 노광을 할 수 있도록 케이스(1)의 개구(14)(도 2 참조)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현상액 퍽(45)은 감광 필름(4)의 부주사 방향 CD의 일단부(4a)에 설치되어 있고, 마스크 시트(44)의 일단부(44a)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트랩재(46)는 감광 필름(4)의 부주사 방향 CD의 타단부(4b)에 설치되어 있고, 마스크 시트(44)의 타단부(44b)에 의하여 둘러싸진 가늘고 긴 봉형상 부재이다. 환기구부(47)는 감광층(41)과 투명 커버(43)와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마스크 시트(44)의 타단부(44b)에 설치되어 있다. 이 환기구부(47)는 예를 들면 마스크 시트(44)의 타단부(44b)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의 중심부를 투명 커버(43)에 접착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판스프링 부재(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층된 감광 필름(4)을 하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것이고, 최상층의 감광 필름(4)과 케이스(1)의 상면부(1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헤드(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1)와, 로드 렌즈 어레이(22)와, 보조부재(23)와, 프레임(24)과, 셔터부(25)를 구비하고 있고, 감광 필름(4)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프레임(24)은 발광부(21)와, 로드 렌즈 어레이(22)와, 보조부재(23)와, 셔터부(25)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로드 렌즈 어레이(22)가 감입된 슬릿(24a)과, 이 슬릿(24a)에 연결된 요부(凹部, 24b)와, 로드 렌즈 어레이(22)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단부(段部, 24c)를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24)은 모터를 포함한 구동 기구(미도시)에 의하여 부주사 방향 CD로 왕복 이송 가능하다.
발광부(21)는 예를 들면 적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및 청색 발광체를 가지고 있고, 칼라 화상의 형성을 하기 위한 노광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광체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나 유기 EL 발광 소자를 들 수 있다.
로드 렌즈 어레이(22)는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로드 렌즈(22a), 및 복수의 로드 렌즈(22a)를 감싸고 지지하는 렌즈 홀더(22b)로 되며, 발광부(2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로드 렌즈(22a)는 케이스(1)의 개구(14)를 이용하여 최하층의 감광 필름(4)과 사이를 멀리하여 대향하고 있다. 렌즈 홀더(22b)의 하단은 단부(24c)에 접합되어 있다.
보조부재(23)는 프레임(24)과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프레임(24)의 요부(24b)에 감입되어 있다. 이 보조부재(23)의 일부분은 프레임(24)의 상면부로부터 감광 필름(4)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23a)로 되어 있다. 보조부재(23)는 로드 렌즈 어레이(22)를 끼우고 케이스(1)의 배출구(17)와는 반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드 렌즈 어레이(22)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 CD로 오프셋 되어 로드 렌즈(22a)에 인접하고 있다. 이 보조부재(23)의 하단은 렌즈 홀더(22b)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 돌기(23a)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 AB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절결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3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기(23a)와 환기구부(47)(도 3 참조)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돌기(23a)의 주주사 방향의 치수는 케이스(1)의 개구(14) 안에 돌기(23a)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개구(14)의 주주사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감광 필름(4)의 화상 기록 영역(41a)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의 치수 이상이다. 돌기(23a)는, 이 돌기(23a)가 감광 필름(4)에 접합한 상태에 있어, 로드 렌즈(22a)의 초점이 감광층(41) 상에 맞는 높이로 되어 있다.
셔터부(25)는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발광부(21)로부터 발사된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셔터부(25)를 통과한 빛은 로드 렌즈(22a)에 의하여 감광 필름(4) 상에 집속되게 된다.
박스(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박스(3)에 연결되어 있는 덮개(3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개구부(32)를 가지고 있고, 이 개구부(32)를 이용하여 해당 박스(3)의 내외로 케이스(1)를 출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덮개(31)는 케이스(1)의 한 쌍의 개구(12)에 감입되는 것에 의하여 케이스(1)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한 쌍의 철부(凸部, 33)를 가지고 있다. 박스(3)의 일단벽(34)은 노광 및 현 상 처리가 행해진 감광 필름(4)을 박스(3)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5)를 가지고 있다.
박스(3)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래튼 롤러(6)와, 푸시 바(7)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래튼 롤러(6)는 감광 필름(4)을 케이스(1)의 내부로부터 인출하여 반송(搬送)하고 배출구(35, 도 1 참조)를 이용하여 박스(3)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한 쌍의 플래튼 롤러(6)는 감광 필름(4)을 반송했을 때에 감광 필름(4)의 현상액 퍽(45)에 압압력(押壓力)을 작용시키며, 이 현상액 퍽(45)으로부터 현상액을 감광층(41)과 투명 커버(43)와의 사이로 압출하고, 화상 기록 영역(41a)의 전역에 전개시키는 역할도 한다.
푸시 바(7)는 케이스(1)의 절결(19)을 이용하여 부주사 방향 CD로 이동할 수 있고, 배출구(17)을 이용하여 감광 필름(4)을 케이스(1)의 외부로 압출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X)는 또한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과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고,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프린트 헤드(2)나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 등의 구동 제어 및 각종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CPU나 각종의 메모리 칩을 탑재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X)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기억된다. 그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프린트 헤드(2)를 부주사 방향 CD로 이동시키고, 감광 필름(4)의 화상 기록 영역(41a)을 노광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의 잠상이 화상 기록 영역(41a)의 감광층(41)에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푸시 바(7) 및 한 쌍의 플래튼 롤러(6)를 구동시킨다. 푸시 바(7)에 의하여 감광 필름(4)은 케이스(1)의 배출구(17)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외부로 압출된다. 그 후, 감광 필름(4)은 한 쌍의 플래튼 롤러(6)의 사이로 이송되고, 해당 플래튼 롤러(6)의 구동에 의하여 배출구(35)를 이용하여 박스(3)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배출 과정에 있어, 감광 필름(4)이 한 쌍의 플래튼 롤러(6)에 의하여 협압(挾壓)되면, 현상액 퍽(45) 안으로부터 현상액이 압출된다. 그 후, 이 현상액은 감광층(41)과 투명 커버(43)와의 사이로 진입하고, 감광 필름(4)의 타단부(4b)를 향하여 퍼진다. 잉여 현상액은 트랩재(46)에 의하여 포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한 잠상의 현상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상이 감광 필름(4)의 화상 기록 영역(41a)에 적절하게 형성되고, 투명 커버(42)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게 된다. 감광층(41)과 투명 커버(43)와의 사이에 공기가 쌓이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감광 필름(4)이 한 쌍의 플래튼 롤러(6)에 의하여 협압되면, 상기 공기는 감광 필름(4)의 환기구부(47)로부터 서서히 빠져 나간다. 이 때문에, 상기 현상액은 상기 공기에 의하여 저해되는 일 없이 감광층(41) 상을 펴져 가고, 상기한 현상 처리는 순조롭게 행해지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X)는 노광시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2)의 이동이 보조부재(23)의 돌기(23a)와 감광 필름(4)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X)는 감광 필름(4)에 굴곡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굴곡을 교정하고 감광 필름(4)과 로드 렌즈(22a)와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돌기(23a)의 주주사 방향의 치수는 감광 필름(4)의 화상 기록 영역(41a)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의 치수 이상(以上)이기 때문에, 화상 기록 영역(41a)의 전역에 걸쳐 감광 필름(4)의 굴곡을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 렌즈(22a)로부터 감광 필름(4)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감광 필름(4)의 화상 기록 영역(41a) 상에 로드 렌즈(22a)의 초점이 맞으며, 선명한 화상을 화상 기록 영역(41a)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화상 기록 영역(41a)에 대한 노광은 돌기(23a)의 부근에 있어 감광 필름(4)의 굴곡이 교정된 직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상 기록 영역(41a)에 로드 렌즈(22a)의 초점을 보다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조부재(23)는 렌즈 홀더(22b)의 상단에 접합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로드 렌즈 어레이(22)를 프레임(24)에 대하여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로드 렌즈 어레이(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조부재(23)와는 다른 전용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화상 형성 장치(X)에 있어서는, 보조부재(23)의 돌기(23a)가 케이스(1)의 개구(14) 안으로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 헤드(2)가 부주사 방향 D로 이동하면, 도 5a의 부호 N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3a)가 케이스(1)의 개구 주변부(14b)에 접합된다. 이와 같은 접합이 있으면, 로드 렌즈(22a)를 부주사 방향 D로 그 이상 이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보조부재(23)의 폭 W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로드 렌즈(22a)를 개구 주변부(14b)에 접근시키고, 화상 기록 영역(41a)의 단부 영역에 대하여 적절하게 노광을 할 수 있다. 감광 필름(4)은 케이스(1)의 측벽(16)에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부주사 방향(D) 근처로 일정량 이상 위치 이탈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이 감광 필름(4)의 부주사 방향(D) 근처로의 위치 이탈에 기인하여 화상 기록 영역(41a)에의 노광이 곤란해지는 일은 없다.
프린트 헤드(2)가 부주사 방향 C로 이동한 때에는, 케이스(1)의 개구 주변부(14a)에 돌기(23a)를 접합시키는 일 없이 로드 렌즈(22a)를 개구 주변부(14a)로 접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필름(4)이 배출구(17)로 진입한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위치 이탈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로드 렌즈(22a)를 개구 주변부(14a)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X)는 화상 기록 영역(41a)에 있어서 개구 주변부(14a) 근처의 부분에 대해서도, 화상 프린트를 보다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돌기(23a)에는 절결부(23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기(23a)와 환기구부(47)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린트 헤드(2)가 환기구부(47)에 간섭하는 것에 기인하여 그 이동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관하여, 이상과 같이 설명했지만, 이것을 다른 다양한 상태로 개변(改變)하여 얻는 것은 분명하다. 이와 같은 개변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한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모든 변경은 이하에 있어서 청구의 범 위에 포함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린트 헤드(2)에 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23)에 대신하여 로드 렌즈 어레이(22)의 광출사면을 덮는 투명부재(26)를 구비하고, 또한 이 투명부재(26)에 의하여 돌기(23a)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로드 렌즈(22a)의 보호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투명부재(26)를 로드 렌즈 어레이(22)의 렌즈 홀더(22b)에 접합시키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로드 렌즈 어레이(22)의 위치 결정, 고정을 합리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돌기(23a)는 프레임(24)과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2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돌기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부재 및 투명부재는 1개의 부재로부터 구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드 렌즈 어레이(22)는 그 전체가 프레임(24)의 슬릿(24a)에 감입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일부분이 프레임(2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24)을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렌즈는 로드 렌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노광시 프린트 헤드의 이동이 보조부재의 돌기와 감광 필름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행해지므로, 감광 필름에 굴곡이 생기더라도 그 굴곡을 교정하고 감광 필름과 로드 렌즈와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돌기의 주주사 방향의 치수는 감광 필름의 화상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의 치수 이상이기 때문에, 화상 기록 영역의 전역에 걸쳐 감광 필름의 굴곡을 교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드 렌즈로부터 감광 필름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감광 필름의 화상 기록 영역 상에 로드 렌즈의 초점이 맞고, 선명한 화상을 화상 기록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화상 기록 영역에 대한 노광은 돌기의 부근에 있어 감광 필름의 굴곡이 교정된 직후에 이루어짐으로써, 화상 기록 영역에 로드 렌즈의 초점을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감광 필름이 배출구로 진입한 방향에 비교적 크게 위치를 이탈한 경우에 있어서도, 로드 렌즈를 개구 주변부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기록 영역에 있어서 개구 주변부 근처의 부분에 대해서도 화상 프린트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감광성 기록 매체를 수용하고 또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를 노광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집광용의 렌즈를 가지며 또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기 위한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린트 헤드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부주사(副走査)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프린트 헤드에는, 상기 렌즈에 대하여 부주사((副走査) 방향으로 오프셋 되고 또한 상기 렌즈보다도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 근처에 돌출하여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에 접합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부주사(副走査) 방향에 있어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의 양측방에 위치한 한 쌍의 측벽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한편에는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렌즈를 끼우고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구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환기구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주주사(主走査)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의 주주사(主走査)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상기 감광성 기록 매체의 화상 기록 영역의 주주사(主走査)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돌기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 서로 인접하여 있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감입된 슬릿 및 이 슬릿에 연결된 요부(凹部)를 갖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와는 별도의 보조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부재의 일부가 상기 요부에 감입됨으로써 상기 보조부재의 다른 일부가 상기 돌기로서 구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감싸고 지지하며 또한 상기 슬릿에 감입된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출사면을 덮는 투명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투명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감싸고 지지하며 또한 상기 슬릿에 감입된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12974A 2003-02-28 2004-02-26 화상형성장치 KR100629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4387 2003-02-28
JPJP-P-2003-00054387 200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503A KR20040077503A (ko) 2004-09-04
KR100629888B1 true KR100629888B1 (ko) 2006-09-29

Family

ID=3344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974A KR100629888B1 (ko) 2003-02-28 2004-02-26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33272A1 (ko)
KR (1) KR100629888B1 (ko)
CN (1) CN1003345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7068B2 (ja) * 2007-02-20 2013-0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282A (en) * 1982-04-15 1992-03-24 Canon Kabushiki Kaisha Variable magnific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4963894A (en) * 1987-10-23 1990-10-16 Itek Graphix Corp.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LED-array image printer
JPH02163775A (ja) * 1988-12-16 1990-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JP3737562B2 (ja) * 1996-05-31 2006-01-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224133B2 (ja) * 1996-07-12 2001-10-29 コピア株式会社 走査型画像形成装置
JP3453492B2 (ja) * 1997-05-13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リンタヘッド
US6786971B2 (en) * 1997-06-19 2004-09-07 Dean Robert Gary Ande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JPH1158848A (ja) * 1997-08-26 1999-03-02 Brother Ind Ltd 手動走査兼用画像形成装置
JPH11129541A (ja) * 1997-08-28 1999-05-18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US6963359B1 (en) * 1997-10-23 2005-11-08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still camera, instant printer and instant film
KR100578513B1 (ko) * 1998-04-15 2006-05-12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인스턴트 프린터, 이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 및 프린터일체형 전자 스틸 카메라
JP2000062259A (ja) * 1998-08-19 2000-02-29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147697A (en) * 1998-10-09 2000-11-14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4202576B2 (ja) * 2000-03-23 2008-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走査露光装置
US6407767B1 (en) * 2000-08-09 2002-06-18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exposing sensitometric and bar code data onto photosensitive media
JP2002144626A (ja) * 2000-11-15 2002-05-22 Ricoh Co Ltd 光プリント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7123A (zh) 2004-09-08
US20040233272A1 (en) 2004-11-25
KR20040077503A (ko) 2004-09-04
CN100334504C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3907B2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5544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218684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付カメラ
KR100629888B1 (ko) 화상형성장치
US5740483A (en) Data recording device for camera
JP200427660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29459A (ja) 光学箱の防塵構造
JP5061178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707482B2 (en) Exposure head and producing method for a light guiding member thereof
JP2001264874A (ja) 光プリンタモジュール
JP7355611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89108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179796B2 (ja) 光デバイスユニット
JP5238732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9158A (ja) レンズユニット、ledヘッド、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読取装置
JP2003103835A (ja) 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30219242A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photofinishing method
JP201618187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40107B2 (ja) カメラ
JP2004163749A (ja) 感光記録装置
JP3453743B2 (ja) カメラの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2019029852A (ja) 照明装置、センサユニット、読取装置、紙葉類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5107631A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付きカメラ
JP2003057736A (ja) デ−タ写し込み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H11316412A (ja) インスタントカメラ及びインスタント写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