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564B1 - 레디얼 타이어 보강 비드 - Google Patents

레디얼 타이어 보강 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564B1
KR100626564B1 KR1020007010355A KR20007010355A KR100626564B1 KR 100626564 B1 KR100626564 B1 KR 100626564B1 KR 1020007010355 A KR1020007010355 A KR 1020007010355A KR 20007010355 A KR20007010355 A KR 20007010355A KR 100626564 B1 KR100626564 B1 KR 10062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adial
bead
armatur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4607A (ko
Inventor
꼬르시빼뜨리끄
Original Assignee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filed Critical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Publication of KR2001003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60C15/060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comprising several parts, e.g. made of different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2015/061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cushion rubber other than the chafer or clinch rubber
    • B60C2015/0621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cushion rubber other than the chafer or clinch rubber adjacent to the carcass turnup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28Chafer or sealing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37Bead characterized by the radial extent of apex, flipper or chafer into tire side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46Bead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r physical properties of elastomer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55Characterized by the carcass, carcass material, or physical arrangement of the carcass materials
    • Y10T152/10864Sidewall stiffening or reinforcing means other than main carcass plies or foldups thereof about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거운 짐을 싣도록 설계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타이어는 턴업부(10)를 형성하도록 각 비드(B) 내에서 비드 와이어(2)에 고정되어 있고, 비탄성 보강 요소들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된 레디얼 카커스 보강재(1)를 포함하며, 상기 턴업부의 단부는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방사 방향 거리 HRNC 만큼 이격되어 있고, 각 비드(B)는 둘 이상의 추가적인 보강 아마추어(6, 7)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 1 아마추어는 방사 방향 보강 요소들로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원주 방향과 0°≤ α ≤45°인 각도(α)를 형성하는 요소들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보강 아마추어(6)는 방사 방향 요소들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커스 보강재(1) 외측에서 상기 비드 와이어(2) 둘레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상기 비드 와이어(2) 둘레에 감겨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드 와이어, 카커스 보강재, 제 1 아마추어, 제 2 아마추어, 방사 방향 거리

Description

레디얼 타이어 보강 비드{Radial tyre reinforced bead}
본 발명은 레디얼 카커스 보강재를 구비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 로드 트렉터, 버스, 트레일러 등의 차량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대형(heavy duty)"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는 비드의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새로운 비드 보강재 구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이어는 각각의 비드가 턴업부(turn-up)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비드 와이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금속 케이블 플라이로 형성된 카커스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카커스 보강재상에 방사 방향으로 크라운 보강재가 배치되고, 상기 크라운 보강재는 원주 방향에 대하여 10°내지 45°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플라이와 다음에 위치한 플라이가 교차하도록 구성된 2 이상의 금속 케이블 플라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커스 보강재의 턴업부는 일반적으로 원주 방향에 대해 미세한 각도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금속 케이블 플라이로 보강되어 있다.
오직 하나의 비드 보강 플라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는 카커스 보강재의 턴업부의 방사 방향 상단부 아래 또는 위에 방사 방향 상단부가 위치된 상태로 상기 카커스 보강재 턴업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라이의 방사 방향 하단부는, 일반적으로 15°± 2°로 경사진 림 시트상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비드를 구비한 타이어인 경우,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카커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의 자오면의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도록 위치되거나, 0°또는 5°± 1°로 경사진 림 시트상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비드를 구비한 타이어인 경우, 카커스 보강재의 축방향 폭이 가장 넓은 지점과 고정 비드 와이어의 자오면의 단면의 무게 중심 사이에 위치된 지점을 통과하는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위치된다. 두 번째 경우에, 상기 비드 보강 플라이는 축 방향 외측 부분과 축 방향 내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축 방향 내측 부분의 방사 방향 상단부가 일반적으로 축 방향 외측 부분의 방사 방향 상단부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지게 된다.
상술한 공지된 방법의 목적은 카커스 보강 턴업 케이블의 방사 방향 배치가 흐트러지는 것(de-radialisation)을 피하고, 상기 비드를 덮으면서 림과의 접촉을 보장하는 외측 고무층과, 상기 턴업부의 단부에 의해 방사 방향 및 원주 방향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에, 금속성 보강 플라이는 턴업부와 동일한 측면상에서 또는 그 어느 한쪽 측면상에서 부분적으로 턴업부 또는 카커스 보강재를 따라 축 방향으로 위치된, 예를 들어 직물로 제조되는 몇 개의 플라이로 대체된다. 다른 변형으로서는 그 어느 한쪽 측면상의 턴업부를 따라 2개의 보강 플라이를 위치설정하고, 외측상에서 축 방향으로 카커스 보강재를 따라 세 번째 플라이를 위치설정하여 구성된 형태가 있다.
타이어 비드의 내구성은 2개 보강 플라이를 카커스 보강재를 따라 배열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강재의 턴업부는 보강되지 않는다.
타이어 트레드가 연관된 롤링면의 형태를 덜 거칠게 제조함으로써, "대형" 타이어의 수명은 비드 내구성, 특히, 비드가 설치되는 림에 의해 도달되게 되는 온도로 인해 높은 비드 온도가 초래되는 장기간의 롤링을 격는 타이어에 대하여 비드 내구성을 개선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 730 190호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은 개선은 축 방향 외측 부분 및 축 방향 내측 부분의 각각의 단가는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비드 와이어의 지점을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방사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카커스 보강재의 롤드업부(rolled-up part)의 외측에 위치한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원주 방향 금속 요소들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 플라이의 비드에 의해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지된 바와 같이, 방사 방향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 형성된 카커스 보강재는 (그 비드 와이어와의 접촉면의 레벨에서)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 요소들로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원주 방향 요소들은 실질적인 원주 방향 배향을 갖는 상기 요소들과 역시 원주 방향인 상기 금속 요소들의 추가적인 플라이 사이에 삽입된 와이어, 케이블, 리본(ribbon) 또는 롤드업 스트립의 형태의 실질적인 금속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카커스 보강재가 받는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게 해주고, 따라서, 롤링 조건과 무관하게 카커스 보강재 턴업부의 단부에서 모든 변형을 최소화 한다.
상기 FR 특허 출원 제 2 730 190호에서는 원주 방향 요소들의 플라이의 축 방향 내측 부분의 단부가 방사 방향 금속성 케이블로 구성된 보강 플라이(9)로 덮혀지는 형식의 비드를 보강하는 바람직한 변형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레디얼 카커스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의 측벽의 하부 부분 및 비드의 보다 효과적인 강성을 얻기 위해, FR 특허 출원 제 1 594 780호는 카커스 보강재 주요 부분의 축 방향 외측 및 상기 보강재 턴업부의 축 방향 내측에 배치된 비드 보강 아마추어가 방사 방향 보강 요소들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대형 차량을 위한 방사 방향 타이어 비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럽 특허 출원 EP 0 202 925호는 또한 2개의 추가적인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사용을 제안하며, 첫번째 것은 금속 요소들로 구성되고, 두번째 아마추어의 요소들은 자오면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마추어의 방사 방향 단부의 방사 방향 위치가 지정된다.
본 발명은 플랫(flat)이라 지칭되는 타입의 림상에 장착되고, 림 시트가 5°기울어지도록 설계된 비드를 갖는 타이어를 위한 기술적 및 산업적으로 최적화된 다른 해법을 제시한다.
중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타이어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각각의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에 고정되고, 단부가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거리 HRNC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턴업부를 형성하는, 비탄성 보강 요소들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레디얼 카커스 보강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드는 2 이상의 추가적인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보강 아마추어는 상기 카커스 보강재 외측에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보강 요소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또한 축 방향 외측 부분의 방사 방향 상단부가 상기 거리 HRNC의 적어도 65%로 되는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방향 거리 HLE에 위치되도록 두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보강 아마추어는 0°≤α ≤ 45°가 되도록 원주 방향과의 각도(α)를 형성하는 요소들로 형성되며, 자오면의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져 있지 않은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원주 방향 금속 보강 요소들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보강 요소들은 상기 비드 와이어의 중앙축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짧은 원주 방향 길이를 갖는 금속 케이블의 부분 또는 부분의 번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 요소들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과 형성하는 각도가 80°내지 100°의 범위일 때 방사 방향인 것으로 간주된다.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아마추어'라는 용어는 아마추어가 축 방향 내측 부분과 축 방향 외측 부분의 두 부분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단부가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의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방사 방향으로 위치된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개념에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구성될 수 있는 보강 아마추어의 일부의 방사 방향 상단부는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아마추어 플라이의 단부를 의미하며, 아마추어 플라이는 최대 20mm의 반경 방항 거리 범위 내에 상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 아마추어의 방사 방향 하단부는 회전축으로부터 최소 거리에 있는 플라이의 하단부이다.
방사 방향 보강 요소들의 제 1 아마추어는 그의 카커스 보강재가 축 방향으로 가장 넓은 지점을 통과하면서 회전축과 평행한 선과 비드 와이어의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선 사이에 위치된 축 방향 내측 단부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축 방향 외측 부분의 방사 방향 상단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카커스 보강재의 턴업 단부까지의 거리(HRNC)의 65%와 95% 사이로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방향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제 2 아마추어는 2개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각각의 플라이는 서로 평행하며 하나의 플라이가 다음의 플라이와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방사 방향 하부 에지에서 측정될 때 원주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보강 요소들은 와이어 또는 직물 케이블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며, 제 2 아마추어의 상기 구조는 제 1 보강 아마추어가 직물 보강 요소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특히 유리하다. 축 방향 외측 부분의 단부는 축 방향 내측 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까지의 방사 방향 거리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거리 HRNC보다 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방향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직물 또는 금속 중 어느 것으로 제조되던 간에, 제 2 아마추어는 방사 방향 요소들의 아마추어의 축 방향 내측 부분의 상단부보다 회전축에 보다 근접한 방사 방향 상단부를 갖는 상태로, 턴업되지 않은 카커스 보강재의 부분 축 방향 외측 또는 축 방향 내측 중 어느 한 쪽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카커스 보강재의 축 방향 내측에 위치되었을 때, 제 2 아마추어는 상기 카커스 보강재의 턴업되지 않은 부분과, 방사 방향 보강 요소들의 제 1 아마추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비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비드가 보다 얇게 형성되고, 비드 와이어가 꼬여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비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타이어 비드(B)는 5°경사진 림 시트를 구비한 림에 설치되는 10.00-20X 타이어의 비드이다. 상기 비드는 비드 와이어(2)에 의해 보강된다. 상기 비드 와이어(2)의 둘레는 단일 금속 케이블 플라이로 구성된 카커스 보강재(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은 비드 와이어(2)를 덮는 고무 혼합물층(20) 둘레에 턴업부(turn-up; 10)의 방사 방향 상단부가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거리 HRNC 만큼 이격된 상태로 턴업부(10)를 위치시킴으로써 실행되고,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회전축에 가장 가까운 비드 와이어(2)의 지점을 통과하면서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으로 표시된다. 10.00-20 사이즈의 타이어에 있어서, HRNC는 림상의 타이어 높이(H)의 0.25배이고, 여기서, 상기 높이는 타이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장착 림의 공칭 직경의 측정선까지의 방사 방향 거리로서, 270mm이다. 카커스 보강재(1)와 턴업부(10) 사이에, 그리고, 비드 와이어(2)의 방사 방향 위쪽에 일반적으로 높은 쇼어(Shore) 경도를 갖는 고무 혼합물로 제조된 제 1 비드 와이어 패킹(3)이 위치되고, 상기 제 1 패킹(3)은 제 1 패킹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고무 혼합물로 제조된 제 2 패킹(4)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패킹(4)의 방사 방향 상단부는 타이어 최대 축 방향 폭의 레벨에 위치된다.
카커스 보강재(1)의 비 턴업부의 축 방향 내측과 상기 비드 와이어 둘레에 턴업된 이후의 상기 카커스 보강재(1)의 턴업부(10)의 축 방향 외측에는 축 방향 외측 부분(60)과 축 방향 내측 부분(61)의 두 부분을 형성하도록 보강 단일 플라이로 구성된 제 1 보강 아마추어(6)가 배열된다. 상기 두 부분(61, 60)의 방사 방향 상단부는 헤드의 베이스에 대하여 각각 높이 HLI와 높이 HLE로 배열되며, 이는 각각 80mm 및 58mm이며, 여기서, 거리 HLE는 거리 HRNC의 85%이다. 상기 제 1 아마추어의 플라이는 원주 방향에 대하여 90°로 배향된 금속 와이어 케이블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상의 축 방향으로, 상기 보강 아마추어(6)의 축 방향 외측 부분과 카커스 보강재 턴업부의 2개의 각 단부는 필러(filler)로 알려진 제 3 패킹(5)으로 피복되며, 상기 제 3 패킹은 상기 턴업부의 일부 및 상기 제 2 비드 와이어 패킹(4)과 일측면상에서 접촉한다. 상기 보강 아마추어(6)의 축 방향 내측 부분(61)과 상기 카커스 보강재(1)의 비 턴업부 사이에는 제 2 보강 아마추어(7)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는 예를 들어 지방성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직물 케이블인 2개의 플라이(71, 72)로 구성되고, 이들 2개의 플라이들은 각각의 플라이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하나의 플라이(71)로부터 인접한 플라이(72)가 교차되고, 상기 플라이들(71, 72)의 방사 방향 하부 에지에서 가황된 타이어를 대상으로 측정하였을 때 45°각도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는 제조 공차를 고려하였을 때 45°± 1.5°이다. 일반적으로, 단부가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플라이(72)의 방사 방향 상단부인 보강 아마추어(7)의 방사 방향 상단부는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55mm의 방사 방향 거리(HRS)에 위치되며, 이는 보강 아마추어(6)의 축 방향 내측 부분의 방사 방향 상단부의 거리(HLI)보다 33% 이상만큼 작다. 상기 보강 아마추어(7)의 제 2 플라이(71)의 상단부는 6mm만큼 상기 플라이(72)의 단부의 방사 방향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2개의 플라이(71, 72)의 방사 방향 하단부에 관하여, 이들은 동일하게 각각 11mm 및 8mm만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가지며, 이는 비드의 베이스에 대해 매우 근접한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보강 아마추어(6)의 플라이는 예를 들어 지방성 폴리아미드 등의 직물 재료로 제조된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고, 원주 방향에 대해 90°로 배향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아마추어(6)는 축 방향 내측 부분(61)과 축 방향 외측 부분(60)의 두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부분(60)의 방사 방향 상단부는 비드 베이스에 대하여 높이 HLE에 위치되며, 이는 75mm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비드(B)는 보호성 고무 혼합물(8)로 둘러싸여지며, 상기 보호성 고무 혼합물은 축 방향 내측상에서 일반적인 보강 및 내부 고무층(9)에 의해 방사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 방향 외측상에서 보강 아마추어(7)에 의해 방사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비드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의 2개의 직물 플라이 대신 하나의 금속 요소들의 플라이로 구성된 제 2 보강 아마추어(7)를 가진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상기 요소들은 보강 아마추어(7)의 플라이 내에서 서로 평행하며, 원주 방향으로, 즉, 원주 방향과 0°인 α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공차를 고려할 때 이는 -1.5°와 +1.5°사이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요소들은 비탄성 금속 케이블일 수 있다. 그러나, 보강 요소들로서 탄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타이어의 제조에 용이하고, 보강 아마추어의 원주 방향 길이의 0.2 내지 0.4배 사이의 원주 방향 길이를 갖는 케이블 그룹, 번들 또는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것이 경화되지 않은 카커스 보강재 블랭크가 조립되는 드럼상에 보강 아마추어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타이어 블랭크를 보다 용이하게 환상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며, 여기서, 평균 길이는 상기 조립 드럼상에 위치 결정된 이후에 측정된다. 절단 요소들 사이의 원주 방향 간격 또는 절단부는 서로에 대해 엇갈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7)의 플라이의 요소들은 원주 방향에 대해 예를 들어 22°의 작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보강 요소들은 비탄성 케이블이다.
삭제
상기 카커스 보강 고정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지는 방사 방향 요소들의 보강 아마추어와, 카커스 보강재의 방사 방향 요소들의 방사 방향 배치의 흐트러짐을 최소화하는 보강 아마추어를 조합할 경우, 특히, 플라이의 단부에서 상기 비드를 구성하는 고무 혼합물에 영향을 미치는 응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카커스 보강 케이블의 피로 저항을 향상시킨다.

Claims (15)

  1. 비탄성 보강 요소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고 각각의 타이어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2)에 고정되고, 단부가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방사 방향 거리 HRNC에 위치하는 턴업부(10)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레디얼 카커스 보강재(1)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드(B)는 2 이상의 추가적인 보강 아마추어(6, 7)에 의해 보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보강 아마추어(6)는 상기 카커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방사 방향 비탄성 금속 보강 요소들로 구성된 단일 플라이로 형성되고, 또한 축 방향 외측 부분(60)의 방사 방향 상단부가 상기 거리 HRNC의 적어도 65%로 되는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방향 거리 HLE에 위치되도록 두 부분(60, 61)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지지 않는, 중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타이어에 있어서,
    자오면의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원주 방향 금속 보강 요소들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보강 요소들은 상기 비드 와이어의 중앙축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짧은 원주 방향 길이를 갖는 금속 케이블의 부분 또는 부분의 번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턴업되지 않은 카커스 보강재(1)의 부분의 축 방향 외측에 배열되고, 또한, 방사 방향 보강 요소들로 이루어진 제 1 보강 아마추어(6)의 축 방향 내측 부분(61)의 방사 방향 상단부보다 회전축에 근접한 방사 방향 상단부, 및 상기 비드의 베이스에 근접한 방사 방향 하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턴업되지 않은 카커스 보강재(1)의 부분의 축 방향 내측에서, 방사 방향 요소들의 제 1 보강 아마추어(6)와 상기 카커스 보강재의 턴업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배열되고, 또한, 상기 방사 방향 요소들의 아마추어의 축 방향 내측 부분의 상단부보다 회전축에 근접한 방사 방향 상단부, 및 상기 비드의 베이스에 인접한 방사 방향 하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각각의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2)에 고정되는 비탄성 보강 요소들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고, 단부가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거리 HRNC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턴업부(10)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레디얼 카커스 보강재(1)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드(B)는 2 이상의 추가적인 보강 아마추어(6, 7)에 의해 보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보강 아마추어(6)는 상기 카커스 보강재 외측에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보강 요소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또한 축 방향 외측 부분의 방사 방향 상단부가 상기 거리 HRNC의 적어도 65%로 되는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방향 거리 HLE에 위치되도록 두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보강 아마추어(7)는 0°≤α ≤ 45°가 되도록 원주 방향과의 각도(α)를 형성하는 직물 요소들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카커스 보강재(1)의 비턴업부의 축 방향 내측에 배열되는, 중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타이어에 있어서,
    자오면의 단면에서 볼때,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2) 둘레에 감겨지지 않은 상기 제 2 보강 아마추어는 보강 요소들의 2개의 플라이(71, 72)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플라이는 서로 평행하고, 하나의 플라이(71)가 다음 플라이(72)와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방사 방향 보강 요소들의 아마추어의 축 방향 내측 부분의 상단부보다 회전축에 근접한 방사 방향 상단부, 및 상기 비드의 베이스에 근접한 방사 방향 하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 아마추어(6)는 방사 방향 비탄성 금속 요소들로 형성되는 타이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 아마추어(6)의 플라이는 방사 방향 직물 요소들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이는 상기 비드 와이어(2)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면서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과 상기 카커스 보강재(1)의 가장 넓은 지점을 통과하면서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 사이에 위치된 축 방향 내측 부분(61)의 단부를 가지며,
    축 방향 외측 부분(60)의 단부는,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카커스 보강재 턴업부의 단부까지의 거리 HRNC보다 큰,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방향 거리에 위치되는 타이어.
KR1020007010355A 1998-03-20 1999-03-08 레디얼 타이어 보강 비드 KR100626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3570 1998-03-20
FR9803570A FR2776238B1 (fr) 1998-03-20 1998-03-20 Bourrelet renforce de pneumatique rad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607A KR20010034607A (ko) 2001-04-25
KR100626564B1 true KR100626564B1 (ko) 2006-09-22

Family

ID=952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355A KR100626564B1 (ko) 1998-03-20 1999-03-08 레디얼 타이어 보강 비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622765B1 (ko)
EP (1) EP1064159B1 (ko)
JP (1) JP4491134B2 (ko)
KR (1) KR100626564B1 (ko)
CN (2) CN1204011C (ko)
BR (1) BR9908941A (ko)
DE (1) DE69905021T2 (ko)
ES (1) ES2190200T3 (ko)
FR (1) FR2776238B1 (ko)
RU (1) RU2225297C2 (ko)
WO (1) WO1999048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425B1 (fr) 1998-07-23 2000-09-01 Michelin Rech Tech Bourrelet renforce de pneumatique radial
FR2840562B1 (fr) * 2002-06-10 2004-07-23 Michelin Soc Tech Armature de bourrelet de pneumatique comprenant des renforts discontinus
JP4041479B2 (ja) * 2004-08-06 2008-01-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タイヤ
KR20060060317A (ko) * 2004-11-30 2006-06-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중하중용 타이어 비드구조
US20060124221A1 (en) * 2004-12-13 2006-06-15 Richards Gary W Method and apparatus for torque wind-up reduction in a free-rolling dual tire assembly
JP4598504B2 (ja) * 2004-12-15 2010-1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DE102006011158A1 (de) * 2006-03-10 2007-09-1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FR2901177B1 (fr) * 2006-05-22 2008-07-25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vec zone basse comportant un element de renfort bielastique
FR2901178B1 (fr) * 2006-05-22 2010-10-08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vec ancrage comportant un element de renfort bielastique
EP2315676A4 (en) * 2008-08-04 2012-07-25 Titan Internat Inc OFF-ROAD RADIATION CARCASS TIRE (OTR) WITH NYLON AND STEEL BELTS
JP5124421B2 (ja) * 2008-11-11 2013-01-2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2948605B1 (fr) * 2009-07-30 2011-08-12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vehicule poids lourd ayant un bourrelet renforce.
FR2953764B1 (fr) * 2009-12-15 2015-01-23 Michelin Soc Tech Bourrelet de pneumatique pour vehicule lourd de type genie civil
US8517072B2 (en) 2010-02-04 2013-08-27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having gum strip and chafer
US8413700B2 (en) 2010-02-04 2013-04-09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having staggered turn-ups
EA201300013A1 (ru) 2010-07-28 2013-07-30 Саргас Ас Реактивная двиг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улавливанием углерода
FR2971733B1 (fr) * 2011-02-17 2013-02-22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yant des bourrelets perfectionnes.
FR2976220B1 (fr) * 2011-06-07 2013-06-28 Michelin Soc Tech Bourrelet de pneumatique pour vehicule lourd de type genie civil
FR2999475B1 (fr) * 2012-12-14 2016-12-30 Michelin & Cie Bourrelet de pneumatique pour vehicule lourd
CN103754070B (zh) * 2014-01-07 2016-03-23 中策橡胶集团有限公司 一种胎圈外加强的全钢子午线轮胎及其制备方法
CN103738120B (zh) * 2014-01-07 2016-06-01 中策橡胶集团有限公司 一种双层钢丝加强胎圈的全钢子午线轮胎及其制备方法
JP6572088B2 (ja) * 2015-10-07 2019-09-04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20190375249A1 (en) * 2016-12-15 2019-12-12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CN107685602B (zh) * 2017-09-14 2024-02-09 中策橡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胎圈耐久性能的全钢子午线轮胎
CN107627790B (zh) * 2017-10-16 2023-08-18 中策橡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交叉内置式钢丝增强胎圈的全钢子午线轮胎
JP7020899B2 (ja) * 2017-12-15 2022-02-16 Toyo Tire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R3088247B3 (fr) * 2018-11-08 2021-01-01 Michelin & Cie Pneumatique dont la zone du bourrelet est allege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34995A (fr) * 1958-09-05 1960-07-01 Dunlop Sa Perfectionnements aux bandages pneumatiques
US2958360A (en) * 1959-06-26 1960-11-01 Us Rubber Co Pneumatic tires and bead construction therefor
FR1594780A (ko) * 1968-11-14 1970-06-08
FR1600345A (ko) * 1968-12-31 1970-07-20
IT1045356B (it) * 1973-06-12 1980-05-10 Pirelli Perfezionamento ai pneumatici radiali provvisti di struttura di irrigidimento circonferenziale dei fianchi
JPS52155702A (en) * 1976-06-22 1977-12-24 Bridgestone Corp Radial tyre having improved reinforcing structure at bead section
DE2839450A1 (de) * 1978-09-11 1980-03-27 Continental Gummi Werke Ag Fahrzeugluftreifen
JPS61268507A (ja) * 1985-05-21 1986-11-28 Sumitomo Rubber Ind Ltd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DE3518940C2 (de) * 1985-05-25 1995-06-01 Continental Ag Fahrzeugluftreifen
JP2530807B2 (ja) * 1985-06-13 1996-09-04 住友ゴム工業 株式会社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のビ−ド部補強構造
US4699194A (en) * 1985-06-26 1987-10-1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radial tires for heavy vehicles
JPS624615A (ja) * 1985-06-29 1987-01-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S6229403A (ja) * 1985-07-31 1987-02-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S62131804A (ja) * 1985-12-05 1987-06-15 Bridgestone Corp ビ−ド部補強層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JPS62137207A (ja) * 1985-12-11 1987-06-2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S632708A (ja) * 1986-06-24 1988-01-07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886566B2 (ja) * 1989-09-01 1999-04-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荒地走行建設車両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6115327A (ja) * 1992-10-01 1994-04-26 Bridgestone Corp 建設車両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7232520A (ja) * 1994-02-24 1995-09-05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R2718390A1 (fr) * 1994-04-11 1995-10-13 Michelin & Cie Pneumatique avec flancs renforcés.
JP3442158B2 (ja) * 1994-09-27 2003-09-02 不二精工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におけるビード部の補強構造
FR2730190B1 (fr) * 1995-02-02 1997-04-18 Michelin & Cie Bourrelets de pneumatique
FR2734764A1 (fr) * 1995-05-30 1996-12-06 Michelin & Cie Pneumatique avec une nappe de renforcement a elements circonferenti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4699B2 (en) 2004-12-28
DE69905021T2 (de) 2003-11-06
CN1298354A (zh) 2001-06-06
KR20010034607A (ko) 2001-04-25
CN1204011C (zh) 2005-06-01
JP4491134B2 (ja) 2010-06-30
CN1159170C (zh) 2004-07-28
FR2776238B1 (fr) 2000-05-05
US6622765B1 (en) 2003-09-23
RU2225297C2 (ru) 2004-03-10
BR9908941A (pt) 2000-11-28
US20020189738A1 (en) 2002-12-19
ES2190200T3 (es) 2003-07-16
WO1999048709A1 (fr) 1999-09-30
EP1064159A1 (fr) 2001-01-03
EP1064159B1 (fr) 2003-01-22
CN1307981A (zh) 2001-08-15
DE69905021D1 (de) 2003-02-27
JP2002507516A (ja) 2002-03-12
FR2776238A1 (fr) 199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564B1 (ko) 레디얼 타이어 보강 비드
KR100697970B1 (ko) 타이어 비드를 보강한 래디얼 타이어
KR100679875B1 (ko) 레디얼 타이어 비드
US6659148B1 (en) Bead reinforcing structure for radial truck tires
CA1074680A (en) Pneumatic tire
JP2002500587A (ja) 複合プライ構造を有するタイヤとその製造方法
KR100647027B1 (ko)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RU2219073C2 (ru) Борт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ы с окружными подкрепля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US6460589B1 (en) Tire with lengths or assemblies of lengths of circumferential bead reinforcement elements
US6408914B1 (en) Pneumatic tire with locked bead construction
US6622764B2 (en) Underlay structure for increased crown stiffening
US6913051B2 (en) Tire with dual anchorage carcass ply
JP4130530B2 (ja) ロックビード構造
JP4557423B2 (ja) 周方向補強要素を備えたタイヤビード
JP4533532B2 (ja) タイヤのクラウン補強体
EP2703191B1 (en) Bead structure for a pneumatic tire
EP3450219B1 (en) Bead structure for a pneumatic tire
MXPA00006853A (en) Tyre bead with circumferential reinforcing elements
MXPA00006855A (en) Tyre bead with circumferential reinforc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