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027B1 -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 Google Patents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027B1
KR100647027B1 KR1020017000716A KR20017000716A KR100647027B1 KR 100647027 B1 KR100647027 B1 KR 100647027B1 KR 1020017000716 A KR1020017000716 A KR 1020017000716A KR 20017000716 A KR20017000716 A KR 20017000716A KR 100647027 B1 KR100647027 B1 KR 10064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reinforcement
radial
carcass
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552A (ko
Inventor
아욱세레파스칼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Publication of KR2001005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60C15/060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comprising several parts, e.g. made of different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2015/009Height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defined in terms of a numerical value or ratio in proportion to section h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28Chafer or sealing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37Bead characterized by the radial extent of apex, flipper or chafer into tire side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55Characterized by the carcass, carcass material, or physical arrangement of the carcass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턴(10)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2)에 고정되며 상기 업턴의 단부가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 거리(HRNC)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신장되지 않는 반경방향 카카스 플라이를 포함하며, 편평한 림 시트 또는 5°로 경사진 림 시트 상에 장착되는 비드(B)를 갖는 사용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비드(B)는 두 개 이상의 부가의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며, 하나 이상의 제 1 아마추어(6)는 반경방향 보강 요소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 2 아마추어(7)는 0°≤α≤45°가 되도록 원주방향과 각도(α)를 형성하는 금속 요소로 형성되며, 제 1 보강 아마추어(6)는 두 개의 스트랜드(601,602)를 형성하도록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내부에 고정 비드 와이어(2) 주위로 권취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60)로 형성되며,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01)는 카카스 보강재(1)의 자오선 프로파일에 평행한 반경방향 상부 에지의 반경방향 하단부(A)와 고정 비드 와이어(2)와의 접점(T) 사이에서, "최단 경로"로서 언급되는 직선형 자취(AT)를 따른다.
업턴, 비드, 비드 와이어, 카카스 플라이, 림 시트, 카카스 보강재, 스트랜드, 보강 아마추어

Description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Reinforced Radial Tyre Bead}
본 발명은 래디얼 카카스 보강재(radial carcass reinforcement)를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물차(lorry), 로드 트랙터(road tractor), 버스, 트레일러 등과 같은 차량에 장착되며, 비드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신규한 비드용 보강 구조가 적용된 "중차량(heavy-vehicle)"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형태의 타이어는 하나 이상의 금속 케이블 플라이(ply)로 형성된 카카스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는 각각의 비드(bead)에서 하나 이상의 비드 와이어에 고정되어 업턴(upturn)을 형성한다. 상기 카카스 보강재는 하나의 플라이로부터 다음 플라이로 교차되며 원주방향으로 10°내지 45°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금속 케이블로 구성된 크라운(crown) 보강재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카카스 보강 업턴은 일반적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작은 각도로 방향 설정된 하나 이상의 금속 케이블 플라이에 의해 보강된다.
단일 비드 보강 플라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단일 비드 보강 플라이는 반경방향 상단부가 카카스 보강 업턴의 반경방향 상단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상태로 카카스 보강 업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의 반경방향 하단부는, 15°± 2°로 경사진 림 시트(rim seat) 상에 장착되는 비드를 갖는 타이어의 경우, 카카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의 자오면(meridian section)의 무게 중심을 대략 통과하며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직선 상에 장착되거나, 0°또는 5°± 1°로 경사진 림 시트 상에 장착되는 비드를 갖는 타이어의 경우, 회전축에 평행하며 고정 비드 와이어의 자오면의 무게 중심과 카카스 보강재의 최대 축방향 폭의 지점 사이를 통과하는 직선 상에 장착된다. 상기 후자의 경우에, 상기 비드의 보강 플라이는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strand) 및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를 갖도록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축방향 내부 스트랜드의 축방향 상단부는 축방향 외부 스트랜드의 축방향 상단부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카카스 보강 업턴의 케이블이 반경방향으로 설정되지 않는 것(deradialisation)을 방지하며, 상기 업턴의 단부와, 비드를 피복하며 림에 연결되는 외부 고무층이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지된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다.
다른 경우에는, 상기 금속 보강 플라이는 다수의 플라이, 예를 들면 상기 업턴의 동일 측부 또는 상기 업턴의 양측부 상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거나, 선택적으로 일부는 상기 업턴을 따라 위치되고 일부는 상기 카카스 보강재를 따라 위치되는 복수의 직물(textile) 플라이로 교체되어 왔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업턴의 양측부 상에 업턴을 따르는 두 개의 보강 플라이를 배치하며, 상기 보강재의 외측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기 카카스 보강재를 따라 제 3 플라이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기술의 진보 및, 트레드(tread)의 마모에 관한 한 핸디캡이 거의 없이 소정의 형태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사실에 기인하여, "중차량"용 타이어의 수명은 특히, 장시간 주행하게 되는 타이어의 비드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요구되도록 이루어지고, 종종 이러한 주행에 있어서는 비드의 온도는 장착 림에 의해 도달되는 온도 때문에 고온이 된다.
편평한 림 시트 또는 5°로 경사진 림 시트 상에 장착되는 비드를 가지며 무거운 하중을 견디도록 요구되는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프랑스 특허 제 2 356 528호에는 카카스 보강재 및 업턴의 내부에 큰 연신율(elongation)을 갖는 반경방향 금속 요소의 보강 아마추어를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상기 아마추어는 두 개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되며,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는 한편으로는 카카스 보강재의 업턴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 한 단부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원주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설정된 요소의 제 2 보강 아마추어의 상단부를 갖는다.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프랑스 특허출원 제 2 776 238호(본 출원의 출원일과 동일자의 미공개 출원 98/03570호)에는, 신장되지 않는(inextensible) 보강 요소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업턴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에 고정되며, 상기 업턴의 단부가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 거리(HRNC)에 위치하며, 상기 각각의 비드(B)는 두 개 이상의 부가의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며, 하나 이상의 제 1 아마추어는 반경방향 금속 보강 요소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 2 아마추어는 0°≤α≤ 45°가 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각도(α)를 형성하는 요소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래디얼 카카스 보강재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자오면에서 볼 때, 상기 반경방향 금속 요소로 형성된 제 1 보강 아마추어는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반경방향 상단부가 상기 거리(HRNC)의 65% 내지 95% 사이의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거리(HLE)만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두 개의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외측 상의 카카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되며, 상기 제 2 아마추어는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주위에서 감겨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작동 림 상에 장착되며 소정의 압력으로 팽창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래디얼 타이어의 카카스 보강재는, 대략 크라운 보강재의 자오선 프로파일(meridian profile)과 비드를 갖는 연결 구역 사이에 규칙적으로 볼록한 자오선 프로파일을 하나의 사이드월(sidewall)에서 갖는다. 특히, 상기 카카스 보강재가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보강 요소를 갖는 비드의 보강 플라이(플라이들)의 영향을 받는 경우, 반경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재는 사이드월의 곡률에 대향하는 방향, 즉 경사진 요소를 갖는 비드용 보강 플라이의 반경방향 상단부의 레벨에서 대략 반경방향에 위치된 팽창 지점으로부터 림 훅크의 곡률에 평행한 방향으로 오목한 자오선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은 카카스 보강 업턴을 따라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카카스 보강재의 반전되지 않은 부분(non-upturned part)의 외측 또는 내측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임의의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자오선 프로파일은, 상기 반전되지 않은 부분의 자오선 프로파일에 대략 평행하다.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연구 및 시험에 따르면, 편평한 림 시트 또는 5°로 경사진 림 시트 상에 장착되는 비드를 갖는 타이어의 수명은, 반경방향 요소를 갖는 비드 보강 아마추어를 상이하게 사용함으로써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림 상의 높이(H)를 가지며, 업턴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에 고정되며 하나 이상의 신장되지 않는 보강 요소의 플라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래디얼 카카스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업턴의 단부는 상기 비드 와이어의 베이스(D)로부터 반경방향 거리(HRNC)에 위치되며, 상기 각각의 비드(B)는 두 개 이상의 부가의 보강재에 의해 보강되며, 하나 이상의 제 1 비드 보강재는 반경방향 금속 보강 요소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 2 비드 보강재는 0°≤α≤45°가 되도록 원주방향과 각도(α)를 형성하는 금속 요소로 형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자오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는 두 개의 스트랜드(strand)를 형성하도록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내부의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신장되지 않는 요소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에 인접한 반경방향 상부 에지의 반경방향 하단부(A)와 고정 비드 와이어에 대한 접점(T)사이에서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는 "최단 경로(shortest-path)"로서 언급되는 직선형 자취(trace)를 따르며, 상기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의 반경방향 상단부는 상기 높이(H)의 0.216 내지 0.432배인 상기 비드 와이어의 베이스(D)로부터의 거리(HLI)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업턴의 축방향 내부에 배치된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는 상기 카카스 보강 업턴의 단부 보다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지 않은 반경방향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비드 와이어의 베이스(D)와 상단부 사이의 거리(HLE)는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업턴의 높이(HRNC)의 0.2 내지 0.8배 사이이며,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기 요소의 제 2 비드 보강재는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되지 않으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업턴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선형 자취(Rectilinear trace)"는 직선과는 약간 상이한 자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비드의 반경방향 보강 요소의 플라이의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의 자취와 관련되는 타이어의 경우에는, 최대 2mm의 직선에 대해 변형을 갖고 만곡되거나(curved), 오목하거나 볼록하면 직선형이라 언급할 수 있다.
삭제
적합하게는, 비드 보강재의 제 1 플라이의 반경방향 보강 요소는 케이블의 형태로 강철로 제조되는 신장되지 않는 금속 요소이다.
비드의 일체 형성부를 형성하는 부분 내에 발생하는 보강 요소의 파괴(rupture)에 대한 카카스 보강재의 저항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상기 부분에 반경방향 요소를 갖는 비드 보강 플라이의 프로파일과 동일한 프로파일, 즉 직선형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카카스 보강 업턴의 자오선 방향 응력의 수용(taking-up)을 개선시키고, 카카스 보강 업턴의 단부에서 시작되는 고무의 균열의 개시(initiation) 및 전파(propagation)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반경방향 요소의 제 1 보강 플라이에 상기 요소의 제 2 플라이를 부가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에, 상기 요소의 제 1 플라이, 카카스 플라이와 업턴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두 개의 스트랜드는 고정 비드 와이어에 매우 인접하게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반경방향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와 상기 비드의 베이스 사이의 거리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훅크(hook)의 높이 보다 작다. 제 2 플라이는 두 개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업턴과 카카스 플라이의 외부의 고정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되며,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단부는 거리(HRNC)의 0.4 내지 1.2배 사이의 거리(HLE2)만큼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며,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의 단부는 림 훅크의 높이 보다 작은 거리(HLI2)만큼 상기 비드 베이스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제 2 보강 플라이는 오목한 카카스 업턴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직선형일 필요 없이 최단 경로 자취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제 1 플라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2 플라이의 보강 요소는 적합하게는 신장되지 않는 금속 요소이며, 더욱 적합하게는 강철 케이블이며, 비드 내에 존재하는 모든 플라이에 강철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최상의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제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 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드의 제 1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2는 전체가 축소된 본 발명에 따른 비드의 제 2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1에 도시한 비드(B)는 5°로 경사진 림 시트를 포함하는 림 상에 장착되는 D20X 타이어의 비드이다. 상기 비드는 비드 와이어(2)에 의해 보강된다. 상기 비드 와이어(2)의 주위에는, 금속 케이블의 단일 플라이로 구성된 카카스 보강재(1)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은 비드 와이어(2)를 피복하는 고무 혼합물(rubber mix)의 층(20) 주위의 업턴(10)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업턴(10)의 반경방향 상단부와 비드{통상, 상기 비드는 회전축에 가장 근접한 비드 와이어(2)의 지점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직선에 의해 표시된다}의 베이스(D)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HRNC)는, 예를 들면 당해의 D20X 타이어에 있어서 림 상의 타이어의 높이(H)의 0.27배이며, 상기 높이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장 먼 타이어의 지점과 장착 림의 공칭 직경(nominal diameter)을 측정하기 위한 직선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며, 그 거리는 268mm이다. 상기 카카스 보강재(1)와 비드 와이어(2)의 상부로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는 업턴(10)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높은 쇼어 A 경도의 고무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 1 비드 충전재(first bead filler)(3)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비드 충전재(3)는 이전의 고무 혼합물 보다 낮은 쇼어 경도의 고무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 2 충전재(4)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충전재(4)의 반경방향 상단부는 대략 타이어의 최대 축방향 폭의 높이로 위치된다.
장착 림 상에 장착되며 소정의 압력으로 팽창되는 상기 타이어의 카카스 보강재(1)는, 크라운 보강재(도시 않음)의 자오선 프로파일과 비드(B)에 대한 연결 구역 사이에 규칙적인 볼록한 자오선 프로파일을 하나의 사이드월(sidewall)에서 갖는다. 특히, 카카스 보강 업턴을 따라 배치된 통상의 제 2 비드 보강재(7)의 반경방향 상단부의 높이에 대략 반경방향으로 위치된 반경(RC)의 팽창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카카스 보강재는 상기 제 2 비드 보강재(7)의 영향 하에 있으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는 사이드월의 곡률에 대향하는 방향, 즉 상기 팽창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림 훅크의 곡률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만곡된 오목한 자오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카카스 보강재(1)의 반전되지 않은 부분(non-upturned part)의 축방향 외부에, 또한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축방향 내부에 비드 와이어(2) 주위의 권취부 다음에는,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01)와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02)의 두 개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일 플라이(60)로 구성된 제 1 비드 보강재(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스트랜드(601,602)의 반경방향 상단부는 비드의 베이스에 대해 각각 86mm의 높이(HLI)와 38mm의 높이(HLE)로 각각 위치되며, 상기 거리(HLE)는 거리(HRNC)의 65%이다.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의 플라이(6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에 대해 90°로 방향 설정된 반경방향 금속 코드(cord) 또는 케이블로 형성된다(원주방향에 대해 -85°및 +85°범위 내의 각도를 형성하는 보강 요소는 반경방향인 것으로 고려한다). 상기 카카스 보강재의 업턴 및 보강 플라이(60)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각각의 두 개의 단부는, 제 2 비드 충전재(4)와, 플라이의 일부를 먼저 지지하는 소위 "인필 충전재(infill filler)"로서 언급되는 제 3 충전재(5)에 의해 축방향 외측으로 피복된다. 상기 플라이(60)의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01)의 에지(보강 플라이의 "에지"는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15mm의 길이를 갖는 상기 플라이의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카카스 보강재(1)의 반전되지 않은 부분에 거의 축방향으로 평행하며, 고무 혼합물(8)의 층에 의해 상기 부분을 분리한다. 내부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에지는, 먼저 에지의 자오선 프로파일에 대해 지점(A)에서 접하며, 그 다음 카카스 보강재(1)의 볼록한 자오선 프로파일에 대해 매우 짧은 거리에 걸쳐 평행하며, 피복된 비드 와이어(2)의 외부 윤곽에 대해 지점(T)에서 재차 접하는 직선형 부분에 의해 연장된다. 카카스 보강재(1)와 상기 직선형 부분 사이에는, 고무 혼합물의 충전재 프로파일(9)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비드 보강재(7)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철로 제조된 신장되지 않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플라이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케이블은 플라이에서 서로 평행하며 원주방향으로 22°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비드 보강재(7)는 카카스 보강 업턴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비드의 베이스(D)로부터 50mm의 거리(HRS)로 위치된, 즉 제 1 비드 보강재(6)의 플라이(60)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02)의 단부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 반경방향 상단부 및 상기 비드의 베이스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반경방향 하단부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는 카카스 보강재(1)의 자오선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술한 지점(A)에서와 동일한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직선 상에 배치된 지점(A')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재는 자오선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의 자취는 단면에서 볼 때, 보강 플라이(60)의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의 직선형 부분의 자취에 평행하며, 상기 자취는 지점(T')에서 비드 와이어(2)에 접하는, 타이어의 비드의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비드의 공지된 축소를 허용하며, 이는 이러한 비드의 파괴 강도와 관련하여 모두 적합한 결과를 갖는 보다 낮은 작동 온도를 발생시키며, 타이어의 중량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비드(B)의 구조는 제 2 비드 보강재(7)를 제공함으로써 완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으로 22°의 각도를 형성하며 플라이 내에서 서로 평행한 강철로 제조된 신장되지 않는 금속 케이블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드 보강재(7)는 카카스 보강 업턴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상단부 및 반경방향 하단부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제 3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하며 상술한 형태로부터 직접 유추된다. 본 실시예는 두 개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비드 와이어(2) 주위에 권취되며 반경방향 금속 보강 요소로 구성된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의 존재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상이하며, 상기 두 개의 스트랜드는,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축방향 외부에 위치되며 반경방향 상단부가 상기 업턴(10)의 높이(HRNC)의 0.78배 또는 비드의 베이스로부터 58mm인 반경방향 거리(HLE2)에 위치된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12)와, 상기 카카스 플라이의 반전되지 않은 부분의 축방향 내부에 위치되며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훅크의 높이(HC) 보다 작은 상기 비드의 베이스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HLI2)에 반경방향 상단부가 위치되는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11)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프로파일은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자오선 프로파일의 자취에 필수적으로 평행할 필요는 없는 자취를 가지며, 상기 스트랜드(612)의 자취는 상기 자취가 림 훅크의 존재에 기인하여 모든 경우에 직선형일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단 경로"로 언급된다. 보강 플라이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경우에, 상기 "최단 경로"의 자취는, 비드 와이어(2)에 외접하는 원에 평행한 원과의 접점(T")과 상단부(E) 사이에서 카카스 업턴(10)의 자취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지점(E)에 의해 하강된 카카스 보강 업턴의 자오선 프로파일에 수직인 직선 상에 위치된 상기 업턴의 지점(E')과 비드 와이어와 상기 업턴의 접점(T''') 사이에서, 상기 접점(T''')은 접점(T")과 동일한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 상에 위치되는 자취로서 규정된다. 상기 자취는 카카스 플라이 업턴의 자취에 평행할 수 있으며, 카카스 보강 업턴(10)에 대해 스트랜드(612)의 축방향 외부로의 선택에 기인하여 업턴의 자취의 오목한 곡률을 표시하는 원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항상 상기 업턴 자취에 대해 최단 경로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최단 경로 자취의 규정에 부합하는 자취와 림 훅크의 높이(HC)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의 스트랜드(612)의 존재는, 업턴의 높이에서 인장 응력의 양호한 수용을 허용하며, 따라서 업턴의 단부에서 응력의 감소를 허용한다. 상기 스트랜드의 존재는 최대 높이가 림 훅크의 높이 보다 큰 제 1 플라이(60)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02)의 존재를 불필요하게 하며, 따라서 높이(HLI)는 높이(HC)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비드는 상술한 두 개의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비드 보강재(7)에 의해 종료된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또는 도 3의 실시예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드의 구조는 플라이 내에서 서로 평행한 강철로 제조된 신장되지 않는 금속 케이블로 이루어진 단일 플라이로 또한 형성되는 제 2 비드 보강재(7)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플라이는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12)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Claims (8)

  1. 림(rim) 상의 높이(H)를 가지며, 업턴(upturn)(10)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2)에 고정되며 하나 이상의 신장되지 않는 보강 요소(inextensible reinforcement element)의 플라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래디얼 카카스(carcass)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업턴의 단부는 상기 비드 와이어의 베이스(D)로부터 반경방향 거리(HRNC)에 위치되며, 상기 각각의 비드(B)는 두 개 이상의 부가의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며, 하나 이상의 제 1 비드 보강재(6)는 반경방향 금속 보강 요소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 2 비드 보강재(7)는 0°≤α≤45°가 되도록 원주방향과 각도(α)를 형성하는 금속 요소로 형성되는 타이어로서,
    자오면(meridian section)에서 볼 때,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는 두개의 스트랜드(601, 602)를 형성하도록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내부에서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고정 비드 와이어(2) 주위에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신장되지 않는 요소의 플라이(60)로 형성되며,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01)는 상기 카카스 보강재(1)에 인접한 반경방향 상부 에지의 반경방향 하단부(A)와 고정 비드 와이어(2)에 대한 접점(T) 사이에서 "최단 경로(shortest-path)"로서 언급되는 직선형 자취(rectilinear trace)(AT)를 따르며, 상기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01)의 반경방향 상단부는 상기 높이(H)의 0.216 내지 0.432배인 상기 비드 와이어의 베이스(D)로부터의 거리(HLI)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축방향 내부에 배치된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 (602)는 상기 카카스 보강 업턴(10)의 단부 보다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지 않은(less far) 반경방향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비드 와이어의 베이스(D)와 상단부 사이의 거리(HLE)는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높이(HRNC)의 0.2 내지 0.8배 사이이며,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기 요소의 제 2 비드 보강재(7)는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2) 주위에 권취되지 않으며,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자오선 프로파일은, 지점(A)과 동일한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직선 상에 위치된 지점(A')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비드 와이어(2)와의 접점(T')까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보강 플라이(60)의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01)의 직선형 자취(AT)에 평행한 자취(A'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1 플라이(60)의 반경방향 보강 요소는 강철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는 두 개의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반경방향 보강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비드 와이어(2) 주위에 권취되는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를 포함하며,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12)는 상기 카카스 보강재(1)의 업턴(10)의 축방향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의 반경방향 상단부는 상기 거리(HRNC)의 0.4 내지 1.2배 사이인 상기 비드의 베이스(D)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HLE2)에 위치되며, 축방향 내측 스트랜드(611)의 단부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훅크의 높이(HC) 보다 작은 상기 비드의 베이스(D)로부터의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기 요소의 제 2 비드 보강재(7)는,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의 축방향 외측 스트랜드(612)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 보강재(6)의 제 2 플라이(61)의 반경방향 보강 요소는 강철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8. 삭제
KR1020017000716A 1998-07-23 1999-07-12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KR100647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9451 1998-07-23
FR9809451A FR2781425B1 (fr) 1998-07-23 1998-07-23 Bourrelet renforce de pneumatique rad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552A KR20010053552A (ko) 2001-06-25
KR100647027B1 true KR100647027B1 (ko) 2006-11-17

Family

ID=952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16A KR100647027B1 (ko) 1998-07-23 1999-07-12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91883B2 (ko)
EP (1) EP1098781B1 (ko)
JP (1) JP4378055B2 (ko)
KR (1) KR100647027B1 (ko)
CN (1) CN1151932C (ko)
BR (1) BR9912380A (ko)
DE (1) DE69902793T2 (ko)
ES (1) ES2183590T3 (ko)
FR (1) FR2781425B1 (ko)
RU (1) RU2230673C2 (ko)
WO (1) WO2000005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7744A1 (fr) * 1998-12-24 2000-06-30 Michelin Soc Tech Bourrelet de pneumatique radial
US20050006017A1 (en) * 2000-10-10 2005-01-13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ire having a carcass portion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US20040007305A1 (en) * 2001-04-16 2004-01-15 Kiyoshi Ueyoko Pneumatic tire
JP3923832B2 (ja) * 2002-03-28 2007-06-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1648720B1 (en) * 2003-07-25 2008-09-17 Pirelli Tyre S.p.A. Pneumatic tyre having a reinforced bead structure
JP2005199762A (ja) * 2004-01-13 2005-07-28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500117B2 (ja) * 2004-07-05 2010-07-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DE102005030819A1 (de) * 2005-07-01 2007-01-1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JP4741955B2 (ja) * 2006-02-13 2011-08-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6011158A1 (de) * 2006-03-10 2007-09-1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WO2009080077A1 (en) * 2007-12-21 2009-07-02 Pirelli Tyre S.P.A. Tire having a reinforced bead structure
JP5358333B2 (ja) * 2009-07-24 2013-12-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FR2948604B1 (fr) * 2009-07-30 2012-11-09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vehicule poids lourd ayant des bourrelets renforces.
WO2012018106A1 (ja) 2010-08-06 2012-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682210B2 (ja) * 2010-10-05 2015-03-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4066600B (zh) * 2012-01-24 2016-09-14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JP5700016B2 (ja) * 2012-10-03 2015-04-1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2746067B1 (en) * 2012-12-18 2017-04-05 Hankook Tire Co., Ltd. Bead reinforcing structure for TBR tire
CN103738122B (zh) * 2014-01-07 2016-03-23 中策橡胶集团有限公司 一种二层u型钢丝加强胎圈的全钢子午线轮胎及其制备方法
JP6554957B2 (ja) * 2015-07-14 2019-08-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66965B (it) * 1976-07-02 1985-03-12 Pirelli Perfezionamento ai talloni di pneumatici a carcassa radiale
DE2839450A1 (de) * 1978-09-11 1980-03-27 Continental Gummi Werke Ag Fahrzeugluftreifen
FR2776238B1 (fr) 1998-03-20 2000-05-05 Michelin & Cie Bourrelet renforce de pneumatique rad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8941A1 (en) 2001-09-06
FR2781425B1 (fr) 2000-09-01
DE69902793T2 (de) 2003-10-09
JP2002521253A (ja) 2002-07-16
DE69902793D1 (de) 2002-10-10
KR20010053552A (ko) 2001-06-25
EP1098781A1 (fr) 2001-05-16
JP4378055B2 (ja) 2009-12-02
WO2000005085A1 (fr) 2000-02-03
BR9912380A (pt) 2001-04-17
ES2183590T3 (es) 2003-03-16
CN1319052A (zh) 2001-10-24
US6591883B2 (en) 2003-07-15
CN1151932C (zh) 2004-06-02
FR2781425A1 (fr) 2000-01-28
RU2230673C2 (ru) 2004-06-20
EP1098781B1 (fr) 200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027B1 (ko)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KR100697970B1 (ko) 타이어 비드를 보강한 래디얼 타이어
KR100679875B1 (ko) 레디얼 타이어 비드
US6834699B2 (en) Reinforcing tire bead for a radial tire
US9102202B2 (en) Tire for heavy vehicles
JPH11502166A (ja) 0.6以下の偏平比h/sをもつタイヤ
US20060169381A1 (en) Tire for heavy vehicles
US6523591B1 (en) Tire bead without bead cord
KR100697969B1 (ko) 원주 방향 보강재 요소를 구비한 타이어 비드
US6460589B1 (en) Tire with lengths or assemblies of lengths of circumferential bead reinforcement elements
JP4383662B2 (ja) 三角形クラウン補強体を備えたタイヤ
EP3501857B1 (en) Pneumatic tire with a robust bead area structure
KR100639523B1 (ko) 원주 방향 보강 요소를 구비한 타이어 비이드
JP4069279B2 (ja) ビードワイヤの無いタイヤ外皮
KR20010043436A (ko) 타이어용 크라운 보강부
US6585020B2 (en) Crown reinforcement for a radial tire
US6598643B2 (en) Wireless bead for a tire
JPH1134617A (ja) 建設車両用空気入りタイヤ
JPH10329514A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Cluzel et al. Tire having an H/S form ratio of< 0.6
JP2000289410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