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314B1 -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314B1
KR100618314B1 KR1020027004764A KR20027004764A KR100618314B1 KR 100618314 B1 KR100618314 B1 KR 100618314B1 KR 1020027004764 A KR1020027004764 A KR 1020027004764A KR 20027004764 A KR20027004764 A KR 20027004764A KR 100618314 B1 KR100618314 B1 KR 10061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needle
contact
sleev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974A (ko
Inventor
오트벨드
프로코프맨프레드
Original Assignee
에이티지 테스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268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183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지 테스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이티지 테스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5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6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 G01R1/07371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using an intermediate card or back card with apertures through which the probes p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 및 회로기판 시험장치는 물론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에 관한것이다. 탐침은 바늘과 슬리브로 구성되고, 바늘은 슬리브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바늘은 슬리브로부터 최소한 10mm, 특히 20mm이상 돌출된다.
제1실시예에서 바늘은 슬리브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서 접촉 선단부까지 원추형으로 테이퍼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탐침에 대하여 회로기판용 어댑터는 고밀도로 접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탐침은 동시에 탄성적으로 작용한다.










Figure 112002509485872-pct00008
탐침, 어댑터, 회로기판 시험장치

Description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Probe for a circuit board tester}
본 발명은 어댑터 및 회로기판 시험장치는 물론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에 관한 것이다.
회로기판 시험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유형의 핀 또는 바늘 형태의 탐침은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회로기판 시험장치는 도6에서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격자 패턴 배열(G)의 예정된 규칙적인 격자 패턴이 패턴 어댑터(R)의 도움으로 시험하고자 하는 회로기판(P)의 시험 지점(T)의 불규칙적인 배열로 이동되어 있다. 패턴 어댑터(R)는 일반적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수개의 안내층(F)을 포함하는데 이 경우 안내 구멍이 탐침(N)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탐침(N)은 기본 패턴의 규칙적인 배열로 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 시험 지점(T)에 규칙적인 격자 패턴의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견고하고 경사지게 어댑터(R)에 배열되어 있다.
시험하고자 하는 회로기판의 회로기판 시험 지점에서 불규칙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그리고 격자 패턴 배열(G)과 전기적으로 신뢰할 만한 접촉을 위하여, 패턴 어댑터(R)는 격자 패턴 배열의 대응하는 패턴에서 탄성 탐침(S)이 설치되어 있는 완전 패턴 카세트(V)와 접촉하고 있다. 완전 패턴 카세트는 완전 배열의 탐침을 갖 고 있는 반면에 통상적으로 패턴 어댑터는 회로기판이 시험하고자 하는 회로기판 시험지점(T)를 포함하는 만큼의 탐침만을 포함한다. 탐침(N)의 형태는 통상 봉상형이며, 특히 EP O 149 776 B2 및 DE G 90 14 236.5 U1에 의하여 발표된 바와 같은 보스 또는 두꺼운 단부를 특징으로 한다.
현대의 회로기판은 다수의 내부 배선 평면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고도로 집적된 IC를 직접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고밀도 단자 배열, 예컨대 볼 격자 배열(BGA) 같은 고밀도 단자 배열을 이용함으로서,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검지될 접촉점의 수에 대한 요건이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동시에 그와 같은 회로기판에 대한 접점 사이의 간격은 약 0.25mm(10밀)까지 감소되었다. 본 적용 분야에서 그와 같은 어댑터에 대하여 예컨대 0.1mm 또는 0.2mm의 직경을 갖는 아주 얇은 탐침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탐침은 아주 불안정하므로 많은 안내층이 탐침을 신뢰성 있게 안내하도록 어댑터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는 언급된 요건으로 인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회로기판의 각각의 형태로 되게 시험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게 되었다.
페인 베르크테크닉 및 메스테크닉(정밀 기계학 및 도량형학) 98, 7/8, 317-318 페이지에서 "SMD 기술변화 시험장치"라는 논문에는 탐침 슬리브 및 상기 탐침 슬리브에서 활주할 수 있는 플런저를 갖는 SMD 회로기판용 접촉 탐침이 발표되어 있다. 플런저의 직경은 1.3mm이다. 상기 논문은 낮은 벽 두께의 탐침 슬리브 및 적은 생크 직경의 플런저를 갖는 탐침을 단점으로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 896 107호는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선단부를 갖는 접촉 탐침을 보여주고 있다. 생크 대역에서 이들 접촉 탐침은 1.3-1.4mm의 최대 두께를 갖는 반면에 접촉 탐침에 형성된 헤드는 2mm의 직경을 갖고 있다.
DE 36 43 305 A1은 슬리브로서 작용하는 세장된 금속 실린더, 및 슬리브에서 활주할 수 있는 접촉 탐침을 형성토록 슬리브에 삽입되는 단일편 금속 튜브-나사-스프링 부품을 갖는 스프링 접촉 탐침을 보여주고 있다.
DE 34 26 295 A1에는 다른 접촉 탐침이 발표되어 있다. 이 접촉 탐침은 슬리브 및 플런저를 갖고 있다. 플런저에는 슬리브의 크림프 슬로트가 계합되는 평탄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윤곽의 설비는 사용되는 플런저가 본 발명에 따른 탐침보다 상당히 두껍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특허 제4 633 176호는 외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시험 탐침이 제공된 회로기판의 시험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시험 탐침은 외향 회전되며 원추형 선단부 및 상기 원추형 선단부와 공동으로 작용하는 구멍에 의하여 시험될 회로기판에서 예정된 접촉 지점과 정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대의 회로기판을 시험하거나 또는 접촉함에 있어서 고밀도 배열로 항상 증가하는 단자의 수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탐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댑터 및 개량된 회로기판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1의 특징을 갖는 어댑터 및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회로기판 시험장치는 물론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탐침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들의 유리한 특징은 각각의 경우 종속항의 주제이다.
회로기판 시험장치용의 본 발명에 따른 탐침은 이것이 바늘 및 슬리브로 구성되어 있고 바늘은 슬리브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슬리브로 부터 최소한 10mm, 특히 20mm 이상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늘은 슬리브로부터 돌출하는 대역에서 접촉 선단부까지 점진적으로 그리고 원추상으로 테이퍼져 있다.
바늘은 슬리브에서 안내되기 때문에, 탐침의 향상된 고유 강성은 동시에 그의 탄성 보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탐침은 접촉면 사이의 공간을 거의 갖지 않는 고밀도 접촉 배열을 스트로보 하기 위하여 어댑터에 통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접촉 선단부까지 점진적으로 테이퍼진 바늘 및 상기 바늘의 상당한 부분이 돌출되는 슬리브의 조합은 그들의 접촉 선단부의 대역에서 수개의 시험 탐침의 밀집한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는 필요한 강성을 가지며 디자인이 간단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상술한 유형의 탄성 탐침이 통공에 설치되는 평행한 최소한 두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탐침은 시험 물체를 접촉토록 탐침의 접촉 선단부를 돌출시키면서 부분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은 물론 시험 물체의 대향 하는 어댑터의 측부의 탐침은 접촉의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격자 패턴 배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통상적으로 시험 물체의 임의의 패턴으로 격자 패턴 배열을 갖는 규칙적인 패턴을 적응시키기 위하여 탄성 탐침과 강성 바늘 어댑터를 갖는 완전한 패턴 카세트로의 분리 배열을 배제한다. 이 경우 슬리브는 내부층의 개수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지 및 안내 기능을 한다. 어댑터에서 각각의 층의 구멍 패턴은 절약된 각각의 층이 상당한 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한편 재고 요건을 상당히 절감시키도록 컴퓨터에 의하여 단독으로 계산되고 고정밀 CNC 기계공구에 의하여 천공된 기계 패턴으로 기계가공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시험장치는 규칙적인 격자 패턴 배열을 포함하는 형상, 시험 배열에 대한 접촉 배열에 적합한 탐침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접촉을 제1 상측부에 포함하며 수개의 탐침을 포함하는 어댑터, 및 제2 상측부로 부터 돌출하는 탐침의 접촉 선단부에 의하여 특징이 있으며 접촉 선단부의 각각은 시험 물체의 특수 회로기판 시험 지점에 할당되어 있고 또 시험장치에 삽입된 시험물체의 회로기판 시험지점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있다. 이 시험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으로 형성되며 폐쇄 시스템으로서 언급된 장점 모두를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탐침의 제1실시예의 개략도.
도2는 탐침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3은 바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4는 삽입된 시험물체와 시험장치의 개략적 측면도.
도5는 도4의 부분 확대 상세도.
도6은 공지 시험장치의 예시도.
도1은 스프링(4)이 장착된 슬리브(3) 및 바늘(2)로 구성되는 탐침(1)을 나타낸것으로서, 바늘(2)은 전장(ℓ)이 약 40-70mm이고, 슬리브는 전장(L)이 약 70-100mm이다.
바늘(2)은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슬리브(3)에서 안내부분(5)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바늘(2)은 안내부분(5)에 인접한 외측부분(6)에 의하여 슬리브(3)로 부터 자유로히 돌출한다. 외측부분(6)은 일측 자유단부에 접촉 선단부 (7)를 갖고 있다.
외경(d2)으로서 외측부분(6) 및 안내부분(5)에서 바늘(2)의 외경(d1)은 약 0.15-0.30mm 이며, 0.2-0.25mm가 바람직하다. 외측부분(6)의 외경(d2)은 슬리브 (3)를 통하여 안내함으로서 바늘(2)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슬리브(3)에서 바늘(2)의 낮은 마찰이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슬리브(3)의 내경(D)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 가는 바늘(2)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접촉 선단부(7)에 인접한 외측부 분(6)이 매우 가늘고 최소한 10mm의 길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탐침(1)이 매우 밀집한 중앙공간에서 어댑터에 배치되게 한다. 더욱이, 바늘(2)은 상술한 탐침(1)에서 탄성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시험 물체에 대한 허용 오차가 자동적으로 보정된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탐침에 공지의 강성 바늘(밀집한 배치)과 공지의 탐침(탄성이 있는)의 기능을 결합하여 준다.
도2는 바늘(2)과 슬리브(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탐침(1)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바늘(2)은 기부부분(8)과 인접하는 접촉부분(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부부분(8)은 원형 단면과 일정한 직경(d2)을 갖는 봉상형 부분을 형성하며 접촉부분(9)은 자유단부에서 접촉 선단부(7)를 포함하도록 자유단부에 대하여 원추형으로 테이퍼져 형성되어 있다. 접촉 선단부(7)의 직경은 밀집한 중앙 공간에서 회로기판 시험지점이 접촉될 수 있도록 0.2mm 이하이거나 또는 동일하며, 0.1mm가 바람직하다. 접촉 선단부(7)에 대향하는 기부부분(8)의 단부부분(12)은 기부부분(8)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d2)을 갖고 있어, 단부부분(12)이 또한 슬리브(3)의 외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슬리브(3)에 배치되는 스프링(4)이 바늘(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도1 및 도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3)에서, 바늘(2)의 기부부분(8)의 단부부분(14)은 레이저 절개부(15)에 의하여 스프링(4)처럼 형성되어 있다. 이들 레이저 절개부(1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에서 종방향 중심라인(M)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레이저 절개부(15)의 배열을 교대로 함으로서 예정된 스프링 강성을 갖는 꼬불꼬불한 형태의 구조가 전부 실현되며, 꼬불꼬불한 구조의 길이는 탄성 이동을 증가 시키도록 적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강성은 레이저 절개부(15) 사이에 남아있는 웨브의 물성 및 물질강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스프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절개부(15a)가 종방향 중심라인(M)(도3)에 대하여 90°이하의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가변 피치 및 물질 강도를 갖는 나선형 바늘(2)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방향 중심라인(M)을 중심으로 하여 바늘(2)을 회전하면서 레이저 공급장치에 의하여 기계 가공된다. 레이저 공정 이외에 바늘(2) 및 스프링(4)을 제조하는 다른 유사한 방법(예컨대 에칭)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4)을 따로따로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바늘(2)과 스프링(4)을 일체로 제작하면 다음과 같이 몇 개의 이점이 있다. 첫째로, 바늘(2)은 제조시 하나의 단계로 제조되거나 어닐링 되고 스프링(4)은 그 직후에 재세공의 필요성이나 가동을 중지하여 세공을 변경시킴이 없이 제조함으로서 추가적인 재료, 시간 및 다른 공구를 절약하면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바늘(2)과 스프링(4)의 내부 배치를 달성하도록 레이저 기계 가공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외에 바늘(2)과 스프링(4)의 일체 형상은 바늘(2)과 스프링(4) 사이의 이상적인 전기 접촉, 및 바늘(2)과 스프링(4) 사이의 접촉 경계 대역의 발생에 도움이 되며, 이들의 접촉저항은 본 실시예에서 회피된다.
바늘(2)은 그 자체에 의하여 또는 슬리브(3)에 스프링(4)과의 일체적 연결에 의하여 안전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1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스프링(4)이 슬리브(3)에서 납땜, 용접 또는 크림핑에 의하여 접촉 선단부(7)로 부터 멀리 떨어져 면하는 슬리브(3)의 단부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4)은 부적절하게 이동되거나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슬리브(3)의 단부부분에 오목부(16)를 통하여 적절히 고정되어 있다. 이 배치에서 스프링 부분이 일측 단부에 유지되도록 고정구가 슬리브(3)의 단부로 부터 약간 멀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단부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접촉 본체(20)가 정해진 스프링 속도를 갖는 특히 배럴형 외측면이 형성된 단부 부분(18)이다. 이 접촉본체(20)는 상기 배럴형 외측면으로 인하여 하술하는 바와같이 심지어 탐침(1)이 여전히 경사진 경우에도 격자 패턴 배열(도3)의 접촉부와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언제나 확실하게 한다.
시험하고자 하는 회로기판(22)을 시험하기 위하여, 탐침(1)은 어댑터(24)
(도3)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시험장치 또는 기부 패턴 배열(26)의 규칙적인 기부패턴은 어댑터(24)에서 부분적으로 경사져 있는 탐침(1)에 의하여 회로기판 시험지점(28)의 불규칙한 배열로 이동된다. 특히 그와 같은 어댑터(24)는 기부 패턴 배열(26)의 대부분을 커버하는 대응하는 수의 탐침(1)이 밀집 접촉공간에서 회로기판 시험지점(28)의 대부분에 향하게 함으로서 밀집 중앙공간에 위치한 많은 회로기판 시험지점(28)을 시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들 탐침(1)은 빛의 비임처럼 밀집한 피치로 회로기판 시험지점(28)에 집중된다.
탐침(1)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두개의 층(30) 및 회로기판(22)에 인접 위치된 층(31)에 의하여 어댑터(24)에 유지되며, 이 경우 탐침(1)이 연장되는 안내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멍(32)은 천공, 레이저 작용 또는 에칭 에 의하여 기계 가공되어 있다. 안내구멍(32)의 종방향 중심라인은 대응하는 층(30,31)(도5)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부터 일탈될 수도 있다.
탐침(1)의 바늘(2)은 슬리브로부터 약간 돌출되기 때문에, 시험 물체에 인접한 층(31)의 구멍(22)은 슬리브(3)에 의해서가 아니라 얇은 바늘(2)에 의해서만 관통되는데, 그 이유는 바늘(2)이 층(31)의 대역에 밀집하게 위치되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접촉 선단부(7)에 인접한 탐침(1) 사이의 최소 공간은 서로에 대하여 너무 밀접하게 안내구멍을 천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외에 리지는 구멍 천공을 실현하여 자동적으로 일정한 공간이 되기 때문에 임의로 감소시킬 수 없음은 물론이다. 탐침의 공간 배치로 인하여, 단지 작고 짧은 선단부를 갖는 비교적 두꺼운 탐침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바, 그 이유는 이들 바늘은 대응하는 대형 천공구멍으로 인해 밀집 피치로 배치될 수 없고 또한 접촉 선단부에 인접한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에 의하여 이들 문제는 예정된 길이(ℓ)에 걸쳐 점진적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자유 접촉부분(9)의 긴 길이(ℓ)에 의하여 회피된다.
이들 제한은 본 발명에 따른 탐침(1)의 치수를 한정할 때 더욱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제한은 공지 기술에 따른 탐침을 사용하는 공지의 시험장치에서보다 상당히 적다. 시험장치의 기부 패턴 배열(26)이 탐침(1)의 공간 배치 및 어댑터에서 탐침(1)을 경사시키고 회전시키는데 따른 제한으로 인한 시험 선단부의 최소 공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으면 탐침은 도3(도4)의 확대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4)에서 서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경사진 바늘(2)의 접촉 선단부(7)의 일정한 감소된 강성 또는 유연성은 시험 물체에 인접하여 위치된 안내 구멍(32)을 통하여 거꾸로 만곡시키므로서 접촉 선단부(7)의 각각을 그의 종방향 중심라인(M)으로부터 편향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함께 더욱 근접 위치한 회로기판 시험지점의 접촉 선단부(7)가 공지 기술에서는 불가능한 것과 같은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 지게 한다. 특히 접촉 선단부(7)는 각각의 경우에 접촉될 회로기판 시험 지점 (28)에 대하여 직립하므로 전기적 연결이 기술된 바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어댑터(24)에서 층(30,31)의 형성은 어댑터(24)의 각각의 층(30,31)의 천공 패턴이 컴퓨터에서 개별적으로 계산되고 안내구멍(32)의 개개의 구멍 패턴으로 CNC 제어 정밀 기계공구에 의하여 천공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완전한 시험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의 점에서 현저한 비용 인자를 나타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4)에서, 공지의 탐침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탐침(1)의 증가된 고유 강성 때문에 슬리브(3)를 갖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탐침(1)의 사용으로 인하여 보다 소수의 층(30,31)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4)는 평소와 같이 격자 패턴 배열에 대한 규칙적인 패턴을 시험 물체의 임의의 패턴에 적합시키기 위하여 탄성 탐침을 갖는 완전 패턴 카세트 및 강성 바늘 어댑터를 대신함으로서 시험장치에서 완전한 부품 즉 완전한 패턴 카세트 또는 패턴 어댑터를 절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탐침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회로기판의 시험장치용으로서 산업상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Claims (17)

  1. 외측벽을 갖는 바늘(2) 및 슬리브 내측벽을 갖는 슬리브(3)로 구성되며, 슬리브 내측벽과 접촉하는 외측벽을 갖는 상기 바늘(2)은 상기 슬리브(3)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바늘(2)의 이동을 방해하는 스프링(4)이 상기 슬리브(3)에 설치되며, 상기 바늘(2)은 상기 슬리브(3)로 부터 10mm이상, 특히 20mm이상 돌출되고 0.30mm의 최대 직경(d2)을 가지며 상기 바늘(2)은 상기 슬리브(3)로 부터 돌출되는 대역으로 부터 접촉 선단부(7)까지 점진적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2)은 0.15mm이상의 직경(d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는 관상으로 형성되며 그의 내경(D)에서 상기 바늘(2)의 일정한 외경(d1, d2)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늘(2)은 기부부분(8)의 접촉부분(9)으로부터 상기 접촉 선단부(7)까지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선단부는 0.2mm 이하 또는 이와 동일한 직경(d)을 가지며 상기 접촉 선단부(7)에 대향하는 상기 접촉부분(9)의 단부부분은 상기 접촉 선단부(7)의 직경보다 최소한 0.1mm 큰 직경(d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부분(8)은 최소한 30mm의 길이(ℓ1)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은 상기 슬리브(3)에 위치된 상기 바늘(2)의 안내부분(5)의 상기 접촉 선단부(7)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형성되고 이로부터 레이저 작용에 의하여 레이저 절개부(15)의 형태로 기계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은 꼬불꼬불하거나 나선형 부분으로서 종방향 중심라인에 대하여 직립하거나 또는 상기 종방향 중심라인에 대하여 90°이하의 각도로 레이저 절개부(15)에 의하여 상기 바늘(2)의 상기 안내부분(5)의 부분으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선단부(7)에 대향하는 상기 바늘(2)의 상기 안내부분(5)의 단부에서 상기 스프링(4)은 슬리브(3)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레이저에 의하여 적절히 용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선단부(7)까지 상기 접촉부분(9)은 그의 강성이 정해지거나 또는 위치의 함수인 강성 프로필이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2)은 크림핑, 절첩 및/또는 납땜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3)에 적절히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11. 제1항에 있어서, 디자인된 탐침(1)이 통공(33)에 설치되는 평행한 최소한 두개의 층(30)을 포함하며, 상기 탐침(1)이 시험 물체(22)를 접촉토록 상기 탐침(1)의 접촉 선단부(7)가 돌출되면서 부분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은 물론 상기 시험 물체(22)에 대향하는 상기 어댑터의 측부에서 상기 탐침(1)은 접촉부의 규칙적인 배치를 갖는 격자 패턴 배열(26)과 접촉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선단부(7)는 약0.25mm의 공간 및 약0.1mm의 직경(d)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선단부(7)의 대역에서 상기 어댑터(24)에서 최소한 하나의 탐침(1)은 최소한 하나의 편향기에 의하여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반대로 만곡된 상기 탐침(1)의 종방향 중심라인(M)으로부터 층(31)에 의하여 편향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4. 제13항에 있어서, 규칙적인 격자 패턴 배열(26) 및 어댑터가 디자인되어 있으며 수개의 탐침(1)을 포함하는 어댑터(24)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24)는 상기 격자 패턴 배열(26)에서 접촉 배치에 적합하도록 된 상기 탐침(1)과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는 접촉부(20)를 제1 상측부에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탐침(1)의 상기 접촉 선단부(7)는 제2 상측부로부터 돌출하고 있어, 상기 접촉 선단부(7)의 각각이 시험 물체(22)의 특수 회로기판 시험지점(28)에 할당되어 상기 시험장치에 삽입된 시험 물체(22)의 상기 회로기판 시험지점(28)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4)의 상기 제2 상측부에서 상기 접촉 선단부(7)는 0.3mm이하 또는 이와 동일한 크기의 공간, 바람직 하기로는 0.25mm의 공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선단부(7)의 대역에서 상기 어댑터(24)에서 최소한 하나의 탐침(1)은 최소한 편향기에 의하여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반대로 만곡된 상기 탐침의 종방향 중심라인(M)으로부터 층(31)에 의하여 편향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시험장치.
  17. 삭제
KR1020027004764A 1999-10-26 2000-09-05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KR100618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501A DE19951501A1 (de) 1999-10-26 1999-10-26 Prüfstift für eine Vorrichtung zum Testen von Leiterplatten
DE19951501.8 1999-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974A KR20020057974A (ko) 2002-07-12
KR100618314B1 true KR100618314B1 (ko) 2006-08-31

Family

ID=792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764A KR100618314B1 (ko) 1999-10-26 2000-09-05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20781B2 (ko)
EP (1) EP1224476B1 (ko)
KR (1) KR100618314B1 (ko)
CN (1) CN1180264C (ko)
AT (1) ATE253731T1 (ko)
DE (2) DE19951501A1 (ko)
TW (1) TW530948U (ko)
WO (1) WO2001031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1501A1 (de) 1999-10-26 2001-05-23 Atg Test Systems Gmbh Prüfstift für eine Vorrichtung zum Testen von Leiterplatten
JP4008408B2 (ja) * 2003-11-07 2007-11-14 日本電子材料株式会社 プローブカード
CN100394190C (zh) * 2003-12-03 2008-06-11 联能科技(深圳)有限公司 可变密度印刷电路板测试装置
JP4571517B2 (ja) * 2004-10-19 2010-10-27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組立体
JP5381609B2 (ja) * 2009-10-20 2014-01-08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検査用治具及び接触子
TWI412770B (zh) * 2009-12-22 2013-10-21 Zhen Ding Technology Co Ltd 電路板測試裝置及測試方法
GB201000344D0 (en) * 2010-01-11 2010-02-24 Cambridge Silicon Radio Ltd An improved test probe
JP2011247838A (ja) * 2010-05-31 2011-12-08 Ricoh Co Ltd スイッチプローブ、基板検査装置及び基板検査システム
US20120098562A1 (en) * 2010-10-21 2012-04-26 Brymen Technology Corporation Probe tip coating structure for test probes
WO2014113508A2 (en) 2013-01-15 2014-07-24 Microfabrica Inc. Methods of forming parts using laser machining
KR20170032381A (ko) * 2014-07-14 2017-03-22 테크노프로브 에스.피.에이. 테스트 헤드용 콘택 프로브 및 그 제조 방법
JP6669533B2 (ja) * 2016-02-29 2020-03-1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ピン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CN108459255B (zh) * 2017-02-16 2021-10-22 豪威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细间距封装测试的测试座
CN114447163B (zh) * 2018-02-02 2024-05-03 湖北三安光电有限公司 微发光装置的键合治具、键合设备及其键合方法
CN110879342B (zh) * 2018-08-27 2021-11-23 创意电子股份有限公司 检测装置
US11973301B2 (en) 2018-09-26 2024-04-30 Microfabrica Inc. Probes having improved mechanical and/or electrical properties for making contact between electronic circuit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CN110058148B (zh) * 2019-05-29 2021-06-15 深圳市凯码时代科技有限公司 转接电路板、转接夹具架构以及相应的电路转接方法
DE202019105814U1 (de) * 2019-10-18 2019-12-04 Feinmetall Gmbh Montagesystem für einen Kontaktstift zur Berührungskontaktierung eines Prüflings
US11867721B1 (en) 2019-12-31 2024-01-09 Microfabrica Inc. Probes with multiple springs, methods for making, and methods for using
US11761982B1 (en) 2019-12-31 2023-09-19 Microfabrica Inc. Probes with planar unbiased spring elements for electronic component contact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BE1028241B1 (nl) * 2020-04-27 2021-11-29 Ipte Factory Automation N V Inrichting voor het testen van een printplaat
US11774467B1 (en) 2020-09-01 2023-10-03 Microfabrica Inc. Method of in situ modulation of structural material properties and/or template shap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434C (ko)
DE3108523A1 (de) * 1981-03-06 1982-09-23 Feinmetall Gmbh, 7033 Herrenberg Kontaktvorrichtung
DE3444708C2 (de) 1983-12-08 1994-03-31 Luther & Maelzer Gmbh Adapter für ein Leiterplattenprüfgerät
CH667925A5 (de) * 1984-03-08 1988-11-15 Feinmetall Gmbh Federkontaktstift fuer pruefadapter zum kontaktieren von prueflingen zwecks pruefung auf deren elektrische fehlerfreiheit.
US4633176A (en) * 1984-06-20 1986-12-30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 Test fixture including deflectable probes
DE3426295A1 (de) * 1984-07-17 1986-01-23 Uwe 7750 Konstanz Kolonko Kontaktstift fuer eine vorrichtung zum pruefen einer elektronischen leiterplatte
DE8515436U1 (de) * 1985-05-24 1985-08-22 MANIA Elektronik Automatisation Entwicklung und Gerätebau GmbH, 6384 Schmitten Kontaktstift aus elektrisch leitendem Werkstoff zu Verwendung in einer elektrischen Prüfvorrichtung für Leiterplatten
US4767407A (en) * 1986-07-14 1988-08-30 Foran Scot J Hypodermic needle, catheter and method
DE3639360A1 (de) * 1986-11-18 1988-05-19 Luther Erich Pruefstift fuer einen adapter zum verbinden von im raster befindlichen pruefkontakten eines leiterplattenpruefgeraetes mit in und/oder ausser raster befindlichen pruefpunkten eines prueflings
DE3643305A1 (de) * 1986-12-18 1988-06-30 Feinmetall Gmbh Kontaktelement fuer pruefadapter
US5004977A (en) * 1988-10-24 1991-04-02 Nhk Spring Co., Ltd. Contact probe
US5084673A (en) * 1989-06-15 1992-01-28 Nhk Spring Co., Ltd. Electric contact probe
DD293434A5 (de) * 1990-04-03 1991-08-29 Adw,Zentrum Fuer Wissenschaftlichen Geraetebau,De Herstellungsverfahren einer adapterplatte
DE9014236U1 (ko) 1990-10-13 1990-12-20 Feinmetall Gmbh, 7033 Herrenberg, De
DE4110359A1 (de) 1991-03-28 1992-10-01 Johann Bischl Feinmechanik Gmb Federnder pruefstift
JP3659662B2 (ja) * 1993-12-24 2005-06-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ローブコンタクト
DE19951501A1 (de) 1999-10-26 2001-05-23 Atg Test Systems Gmbh Prüfstift für eine Vorrichtung zum Testen von Leiterpla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004369D1 (de) 2003-12-11
KR20020057974A (ko) 2002-07-12
CN1384921A (zh) 2002-12-11
EP1224476B1 (de) 2003-11-05
DE19951501A1 (de) 2001-05-23
US20020118030A1 (en) 2002-08-29
US6720781B2 (en) 2004-04-13
WO2001031348A1 (de) 2001-05-03
ATE253731T1 (de) 2003-11-15
CN1180264C (zh) 2004-12-15
EP1224476A1 (de) 2002-07-24
TW530948U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314B1 (ko) 회로기판 시험장치용 탐침
US8344747B2 (en) Probe unit
US6768327B2 (en) Testing head having vertical probes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electronic devices
JP2008032666A (ja) 基板検査用治具および基板検査治具の製造方法
KR19980032242A (ko) 프로브 조립체 및 프로브
KR20090088784A (ko) 프로브 유닛 및 검사장치
IE20190166A1 (en) Probe module having microelectromechanical pro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468615A (en) Probe for a printed-circuit testing device, and a testing device incorporating said probe
CN112219318B (zh) Ic插座
KR0182084B1 (ko) 검사용 프로우브
US6429672B2 (en) Contamination-tolerant electrical test probe
KR102283282B1 (ko) 정렬효율이 향상된 수직형 프로브 카드
TWI687698B (zh) 用於電檢測裝置的接觸頭、檢測裝置
US6437587B1 (en) ICT test fixture for fine pitch testing
JP3978314B2 (ja) プローブ装置及びプローブ固定方法
KR20020044552A (ko) 회로판 검사장치의 패턴 어댑터용 검사바늘
KR20050028067A (ko) 프로브 가이드 조립체
JP4777154B2 (ja) プローブユニット
JP2005292060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検査治具
JP4074677B2 (ja) 検査用ヘッド
JP2000214181A (ja) コンタクトプロ―ブおよび回路基板検査装置
JP2007333541A (ja) プローブユニット
JPH04110667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20230107659A (ko) 전자 소자의 프로브 헤드를 위한 콘택 프로브
JP4008599B2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