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618B1 -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618B1
KR100614618B1 KR1020040070446A KR20040070446A KR100614618B1 KR 100614618 B1 KR100614618 B1 KR 100614618B1 KR 1020040070446 A KR1020040070446 A KR 1020040070446A KR 20040070446 A KR20040070446 A KR 20040070446A KR 100614618 B1 KR100614618 B1 KR 10061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xed
baby food
block
raw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626A (ko
Inventor
유승용
최주남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6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혼합이유식의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이유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블록형상이 되도록 제조한 혼합이유식에 관한 것이다. 즉, 쌀을 기본으로 하여 이에 부가하는 원료로써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의 퓨레, 해산물류, 육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유식의 원료가 되는 원료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5종을 선택하여 전처리 하고, 이를 혼합·분쇄 및 동결건조하여 블록화로 형상화한 후, 포장하는 과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미음 또는 죽의 물성을 갖도록 된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유·영아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현재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에 대한 공급 및 개발이 저조하여 외국 수입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 국내 이유식 시장에, 쌀을 주원료로 하여 우리나라 식단에 맞는 제품으로써 물만 부으면 즉시 반고형상이 되는 혼합이유식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혼합이유식에 대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유식, 쌀, 동결건조, 복원, 미음, 죽, 반고형상

Description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A composite baby food in block shape using freeze drying processin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볼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제조 공정도
도 2는 동결조건에 따른 냉동건조밥의 표면구조
본 발명은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혼합이유식의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혼합이유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들 원료를 전처리한 후,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가수 복원력이 있는 블록형상이 되도록 제조한 혼합이유식에 관한 것이다.
WHO/UNICEF의 보고서에 의하면 모유는 생후 3개월까지는 영양이 우수하나, 그 후부터는 유아성장에 필요한 영양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생후 3~4개월부터 또는 출생 시 체중의 2배가 될 때 또는 체중이 6kg이 되는 때부터 이유식의 급여가 필요하다고 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식은 영양보충식의 역할 뿐 아니라, 일반 식품재료의 종류나 분량도 다양하게 경험해 가면서 젖을 뗄 수 있도록 유동식에서 반고형식(죽 또는 미 음과 같은 물성), 고형식으로 점차적인 식습관의 개선을 통해 일반적인 평상식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전에는 이러한 이유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유·영아 들에게 먹이곤 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현대인들의 편리성 추구로 인하여 점차 가정에서 만들기 보다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이유식은 유아용 과즙음료와 수입 병장 반고형 이유식을 제외하면 분말형태가 대부분으로 간단히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과잉 영양을 야기할 수 있으며, 젖병에 타 마시는 유동식의 형태로 되어 있어 식습관을 개선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치아 및 구강 발달을 지연시킴으로서 유아 및 영아의 성장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말형 이유식은 적게는 20여가지, 많게는 40여 가지의 식품재료들이 혼합된 형태로 유아들이 개별 식품재료들의 고유 맛을 경험하지 못하고, 생후 9~12개월이 되어도 젖병에 타 먹이는 유동식 형태의 이유식만을 접하게 되어 식습관 개선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감미도와 용해도, 용적중량을 높이기 위해 포도당과 말토덱스트린 등과 같은 저분자량 당류의 배합률이 높아 체내 흡수율은 높은 반면 체내의 자체적인 소화능력은 훈련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수입이유식은 분말형보다는 반고형상의 다양한 이유식이 개발되어 있어 개개의 식품이 가지는 맛에 대하여 이유기 동안 익숙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에 결국은 어른 음식으로 자연스럽게 이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수입분말형 이유식의 경우도 국내와는 달리 젖병에 타 먹는 형태가 아니라 식품재료별로 건 조한 것을 개별포장함에 의해 식품고유의 맛을 경험할 수 있고 온수에 개서 숟가락으로 떠먹이는 제품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수입 이유식의 경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식문화와 큰 차이를 보여,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또한 유아기에 접해보는 이유식의 경험이 청소년기, 나아가 성인기의 식습관을 결정한다는 점 등을 미루어 보아, 각 나라의 먹거리 형태에 적합한 이유식의 제조가 필수적인 과제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국내 실정에 맞는 이유식은 쌀을 주원료로 한 미음 또는 죽형태의 것에 우리의 입맛에 맞는 육류, 과일 및 채소를 첨가한 이유식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이유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분말형, 유동형 이유식과 수입병장 반고형 이유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더불어 국내 실정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이유식을 개발하고자 한 것으로써, 동결건조 기술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여 이에 온수만 가하면 수십초내에 미음 또는 죽형태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이유식인 것이다.
동결건조는 식품소재에 들어 있는 수분을 급속히 동결시켜 진공상태에서 바로 수분을 승화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써,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온에서 식품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건조된 제품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조직은 다공질의 스폰지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재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즉석식품에 널리 적용되어 지고 있다.
특히, 상기 동결건조 기술을 본 발명과 같은 죽형태의 즉석식품에 적용한 예 들이 있는데 이하 이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20799호 "즉석 새우죽"은 쌀, 새우 및 조미액을 주재료로하여 혼합시킨 후에 동결건조시켜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새우죽인 것으로써, 이는 원료가 되는 쌀밥에 대한 아무런 전처리가 없으며 또한 쌀밥을 제외한 다른 원료는 그 혼합형상이 분말 및 엑기스로써 이는 차 후, 가수 복원하였을 시, 쌀밥의 복원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3분정도의 조리시간을 거쳐야 하고 또한 다른 부원료의 씹힘성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2127호 "곡물을 주원료로한 인스턴트죽 및 그 제조방법"은 주원료로써 멥쌀, 찹쌀, 현미쌀, 현미찹쌀, 보리쌀 등의 곡물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고 이를 온수조에서 충분한 팽윤과 일부표면의 호화처리가 되도록 침지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이에 부원료 등을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된 인스턴트죽인 것으로써 이는 가수하여 끓기시작한 후 3분간 더 끓여야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쌀의 팽윤과 일부표면의 호화처리를 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어서 물을 부어 바로 먹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6-16770호 "즉석식 컵누룽지죽의 제조방법"은 침지한 쌀을 증미한 후, 가마솥형성틀에서 가열성형하여 수분함량을 5~13%로 건조하고이를 500마이크로미터로 분쇄가공한 누룽지 90중량%에 율무, 볶은 참깨 등의 분말을 규정량 혼합하여 밀봉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누룽지죽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이는 단순히, 증미한 쌀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한 것으로써 이는 차후, 가수 복원력이 좋지 못하여 누룽지의 입자를 500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고 있다. 이는 가수하여 죽형태로 먹을 때 씹힘성이 없어 관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써 작용하고, 기타 부재료들 역시 분말형태로 혼입되고 있어 씹힘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결건조 기술은 가수로 인한 복원력의 우수함으로 인하여 각종 식품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긴 하나, 쌀이 원료가 되는 식품에 있어서는 그 주성분이 전분인 관계로 제조공정 중 호화전분의 노화현상이 발생할 경우, 재호화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동결건조된 쌀 전분의 복원시 전분립의 팽윤현상에 의해 물에 접촉된 표면부가 전분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해하는 문제점도 복원력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으로써 작용한다. 이에 쌀을 이용한 식품제조에 있어 동결건조의 기법의 이용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쌀을 기본으로 하는 이유식 제조와 관련하여 "냉동건조를 이용한 쌀 기본 이유식 제조에 있어서 건조조건의 최적화(김광옥, 최호정, 한국식품과학회지, 27-5호, p680~684, 1995)"에서 블록화 형상을 갖는 이유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건조 전 수분함량이 매우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블록의 강도가 높지 못해 산업화에 실패한 예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내 식문화에 적합한 이유식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고형상(죽상)의 형태로 먹을 수 있는 이유식을 제조하되 그 편리성과 보존력을 높이기 위하여 블록의 형상으로 혼합이유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쌀을 기본으로 하여 이에 부가적으로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의 퓨레, 해산물류, 육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혼합이유식에 이용되는 원료중에서 1종 또는 2종~5종을 선택하여 전처리하고, 이를 혼합·분쇄 및 동결건조하여 블록화로 형상화한 후, 포장하는 과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제조된 혼합이유식의 블록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미음 또는 죽의 물성을 갖는 혼합이유식을 유·영아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통상의 분말형 이유식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블록 형성시 일회분량으로 한정하여 제조하고 포장함으로써, 과잉영양공급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가정이 아닌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그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전처리된 원료의 수분함량 및 동결건조의 조건을 한정하여 블록의 경도를 조절하여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원료가 되는 쌀 및 곡물류의 전분호화도를 유지하고 더불어 가수 복원되었을 시 혼합이유식의 텍스쳐가 양호한 동결조건을 적용함으로써, 복원정도가 우수하며 가정에서 만들어 주는 이유식 본연이 가진 고유의 식미를 느낄 수 있는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말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유식 제조에 있어서 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을 갖는 반고형상의 이유식을 제조하되, 이를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으로 제공한다.
즉, 쌀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의 퓨레, 해산물류, 육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유식의 원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원료를 1종 또는 2~5종 선택하여 선별·세척하는 공정과,
상기 쌀은 침지시킨 후 취사하여 밥을 짓고, 상기 과정에서 선택된 원료는 블랜칭 또는 자숙하는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 된 쌀밥 및 원료를 혼합·분쇄하여 분쇄물을 만드는 원료의 혼합·분쇄 공정과,
상기 분쇄물을 물과 혼합한 후, 성형틀에 주입하는 공정과,
이를 동결건조하여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혼합이유식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원료의 선택 및 선별·세척 공정
본 발명은 혼합이유식인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이유식의 목적에 맞도록 원료를 선택하되, 쌀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곡물류, 야채류, 해산물류, 과일류의 퓨레, 육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혼합이유식의 원료가 되는 원료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본 발명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한다.
즉, 쌀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곡물류, 야채류, 해산물류, 과일류의 퓨레, 육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유식의 원료가 되는 원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5종의 원료를 혼합하여 유·영아의 월령별 단계에 맞는 다양한 혼합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유식은 영양보충식의 역할 뿐 아니라, 일반 식품재료의 종류나 분량도 다양하게 경험해 가면서 젖을 뗄 수 있도록 유동식에서 반고형식(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 고형식으로 점차적인 식습관의 개선을 통해 일반적인 평상식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을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 역시 쌀에 부가하는 원료 종류의 수를 점차적으로 늘임에 따라 유·영아의 월령별 단계에 맞는 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선택되어진 쌀과 원료들은 선별·세척하고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다음 공정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준비하여 둔다.
2) 쌀밥의 취사 공정
쌀은 쌀이 충분히 담길 정도의 물에 4시간 이상, 6시간 미만으로 침지한다.
상기 침지된 쌀을 5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차후, 가수 복원되었을 시 쌀밥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효소가 처리된 쌀은 통상의 취사기를 통하여 50분간 취사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하는 효소는 당화효소로써 쌀중량의 0.3~1.0중량%를 사용한다.
본 공정의 당화효소 처리로 쌀 입자 표면은 다공질화가 되는데, 이로써 완성된 건조품은 재수화시 수화가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는 오히려 재수화를 방해하는 역할을 하므로 부적절한 것이 된다. (비교예 3)
3) 원료의 전처리 공정
상기 1)의 과정에서 선택된 원료들을 이유식에 이용하기 적합한 가공형태로 전처리하도록 한다.
즉, 쌀을 제외한 곡물류와, 엽채류를 제외한 야채는 취반기에서 완숙처리하고, 엽채류는 각 원료의 특성에 맞도록 95℃에서 2~5분간 블랜칭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혼합이유식의 원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육류, 해산물 및 견과류 등은 취반기에서 완숙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각 원료에 대한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4) 원료의 혼합·분쇄 공정
상기 전처리 된 원료들을 혼합하고 이를 통상의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후, 미음 또는 죽의 물성을 갖는 혼합이유식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도록 입도조절을 위하여 여과하도록 한다. 이때 원료의 혼합은 영,유아의 발달단계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이유식은 쌀에, 일반적으로 이유식의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중 선택된 1종 또는 2~5종을 부가하여 유·영아의 월령별 단계에 맞도록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이유식은 월령별 단계에 맞도록 각 원료들의 입도를 조절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이유식 단계중 저단계, 즉 4~6개월 된 유아가 먹는 유아식의 경우는 16메쉬(mesh)의 여과망을 통과하는 정도의 입도를 갖는 것이 좋으며, 고단계, 즉 7~9개월, 또는 10~12개월된 유아가 먹는 유아식의 경우는 8mesh의 여과망을 통과하는 정도의 입도가 좋은 것이다.
5) 충진공정
상기 과정을 거쳐 제조된 혼합 원료에 원료중량과 동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이를 40~90g씩 블록형상의 성형틀에 충진하도록 한다.
6) 동결건조 공정
상기 액상의 혼합이유식이 충진된 성형틀을 동결건조 시스템에 투입하여 2~6중량% 의 수분함량을 갖는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한다.
2~6%의 수분함량은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며, 또한 주변수분에 안정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동결건조는 완만동결과 급속동결의 두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토록 한다. 완만동결은 -5∼-25℃의 온도에서 15~20시간동안 처리하고, 급속동결은 -40 ~ -50℃의 온도에서 3~7시간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조건의 완만동결과정을 거침으로 밥알의 빙결점 크기를 최대화 한 후, 이를 다시 상기 조건의 급속냉동과정을 거침으로써 최대화 된 빙결점의 성형을 단단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건조 후, 밥알이 갖는 다공질 형태의 텍스쳐를 유지시켜 복원력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3~20g의 블록형상을 갖는 혼합이유식이 제조된다.
7) 포장공정
상기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3~20g의 블록을 1개씩 낱개포장한 후, 이를 2~3개씩 묶음 포장하는 것으로 하여 포장단계를 마치도록 한다.
이상의 모든 공정에 사용되는 원료는 이유식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원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유기농원료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혼합이유식이 가져야 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쌀밥에 다른 원료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지 않고, 쌀밥만으로 블록형상의 이유식을 제조한다 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를 벗어나는 것은 아닐 것임으로 무방하다 할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은 20~80ml의 온수를 가함으로써 미음 또는 죽의 물성을 갖는 혼합이유식의 형태로 유·영아들에게 먹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분말상 이유식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개선하여 이유식 원료의 고유맛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가수복원 시, 미음 또는 죽의 물성을 갖는 반고형식의 혼합이유식으로써 제공할 수 있음으로 유·영아들에게는 저작작용을 유도하여 치아와 턱의 발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말상 이유식이 물에 분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은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영양가의 손실없이 블록형상 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여 온수만 가하면 원료의 질감이 복원되어 수십초내에 먹을 수 있는 혼합이유식인 것이다.
또한 수입 병장 반고형 이유식이 아니라 국내 식문화에 맞도록 쌀을 기본 원료로 하되, 가수 복원력이 저조한 쌀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가공과정중에 적용함으로써 가수복원력이 뛰어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열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하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실시예 1)
고구마와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혼합이유식의 원료로써 쌀과 고구마를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1) 원료의 선택 및 선별·세척 공정
선택되어진 쌀과 고구마를 선별·세척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5분간 건조 하였다.
2) 쌀밥의 취사 공정
쌀은 쌀이 충분히 담길 정도의 물에 5시간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된 쌀을 5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당화효소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차후, 가수 복원 시 쌀밥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이때 당화효소는 전체 쌀중량의 0.5중량%로 하였으며, 효소가 처리된 쌀은 통상의 취사기를 통하여 50분간 취사하였다.
3) 원료의 전처리 공정
고구마는 취반기에서 100℃이상 조건에서 완숙하였다.
4) 원료의 혼합·분쇄 공정
상기 전처리 된 쌀밥 30중량%와 고구마 70중량%를 혼합하고 이를 통상의 분쇄기에서 분쇄한 후, 미음의 물성을 갖는 이유식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도록 16mesh의 여과망을 통과시켰다.
5) 충진 공정
상기 과정을 거쳐 제조된 혼합 원료에 동일 중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40g씩 블록형상을 갖는 성형틀에 충진하였다.
6) 동결건조 공정
상기 액상의 혼합이유식이 충진된 성형틀을 동결건조 시스템에 투입하여 5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즉 -5∼-25℃의 온도에서 18시간동안 완만동결 처리한 후, -45℃의 온도에서 5시간 급속동결 처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블록형상을 갖는 6g의 혼합이유식이 제조되었다.
7) 포장공정
상기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6g의 블록을 1개씩 낱개포장한 후, 이를 2~3개씩 묶음 포장하는 것으로 하여 포장단계를 마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단호박과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고구마를 선택하지 않고 단호박을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단호박은 증숙 솥에서 100℃이상, 20분간 처리하여 완숙하였다.
(실시예 3)
당근과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고구마를 선택하지 않고 당근을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당근 역시 상기 고구마와 같은 조건에서 완숙하였다.
(실시예 4)
사과와 쌀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사과와 쌀을 원료로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즉, 사과퓨레 65중량%와 쌀밥 3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사과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사과퓨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배와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배와 쌀을 원료로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즉, 배 퓨레 70중량%와 쌀밥 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배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배 퓨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바나나와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바나나와 쌀을 원료로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바나나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바나나퓨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청경채, 배,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혼합이유식의 원료로써 청경채, 배, 쌀을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그 혼합비를 쌀밥 35중량%, 배퓨레 40중량%, 청경채 25중량%를 혼합하였다.
쌀밥의 전처리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고, 배퓨레 역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청경채는 95℃에서 5분간 블랜칭처리 하였다.
(실시예 8)
감자, 사과,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감자, 사과, 쌀을 선택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즉 쌀 35중량%, 사과 40중량%, 감자 25중량%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9)
흑미, 배,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흑미, 배, 쌀을 이용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쌀은 실시예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전처리를 하였고, 흑미는 통상의 취반기에서 완숙하고 배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배퓨레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0)
배, 사과, 양파, 흰살생선,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배, 사과, 양파, 흰살생선, 쌀을 이용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들과 달리 본 실시예 10은 미음의 형태가 아닌 죽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유·영아들에게 씸힘성을 제공하도록 하고자 한다.
1) 원료의 선택 및 선별·세척 공정
배, 사과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퓨레를 선택하고 양파, 흰살생선, 쌀은 선별·세척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특희 흰살생선은 내장을 제거하는 등의 일반적인 손질을하여 혼합이유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쌀밥의 취사 공정
쌀은 쌀이 충분히 담길 정도의 물에 5시간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된 쌀을 5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당화효소 처리함으로써 차 후, 가수 복원 시 쌀밥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당화효소는 쌀중량의 1.0%를 처리하였으며, 효소 처리된 쌀은 통상의 취사기를 통하여 50분간 취사하였다.
3) 원료의 전처리 공정
양파는 95℃에서 5분간 블랜칭하고 흰살생선은 100℃이상의 증숙솥에서 완숙하였다.
4) 원료의 혼합·분쇄 공정
상기 전처리 된 쌀밥 40중량%, 배퓨레 20중량%, 사과퓨레 20중량%, 양파 10중량%, 흰살생선 10중량%를 혼합하고 이를 통상의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후, 죽의 물성을 갖는 이유식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도록 8mesh의 여과망을 통과시켰다.
5) 충진 공정
상기 과정을 거쳐 혼합된 원료에 원료중량과 동일한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g씩 블록형상의 성형틀에 충진하였다.
6) 동결건조 공정
상기 액상의 혼합이유식이 충진된 성형틀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동결건조 시스템에 투입하여 6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7g의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 조하였다.
7) 포장공정
상기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7g의 블록을 1개씩 낱개포장한 후, 이를 2~3개씩 묶음 포장하는 것으로 하여 포장단계를 마치도록 하였다.
(실시예 11)
현미, 배, 새우살, 다시마,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현미, 배, 새우살, 다시마, 쌀을 이용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현미는 통상의 취반기에서 완숙하고, 새우살 및 다시마 역시 자숙하여 완숙하였다. 또한 배는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배 퓨레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4를 통하여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1개에 30ml의 온수를 혼합하여 미음의 물성을 갖는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5를 통하여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1개에 30ml의 온수를 혼합하여 미음의 물성을 갖는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6을 통하여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1개에 35ml의 온수를 혼합하여 미음의 물성을 갖는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7을 통하여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1개에 30ml의 온수를 혼합하여 미음의 물성을 갖는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9를 통하여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1개에 40ml의 온수를 혼합하여 죽의 물성을 갖는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고구마를 혼합하지 않고 쌀밥만을 원료로 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원료가 되는 쌀의 침지시간을 10시간으로 하였다. 그 결과 쌀의 조직이 연화되어 취반공정 후 밥의 상태가 매우 질었고, 동결건조 후에도 조직이 엉김현상에 의하여 가수 복원시 다른 부재료들에 비하여 그 복원력이 현저히 낮아 식미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효소처리를 하지 않고 쌀밥을 취사하였고 그것을 이용하여 블록형식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복원시간이 10~20초임에 반해 비효소처리된 이유식은 40~50초의 복원시간을 갖는 것이 확인 되었다. 또한 실시예 1에 비하여 이유식의 식감이 거칠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처리되는 효소의 양을 쌀중량의 2중량%로 하였다. 그 결과 밥알 표면의 다공질화가 지나치게 일어나 오히려 복원에 장애가 되었다. 즉, 실시예 1의 복원시간이 10~20초임에 반해 본 비교예의 이유식은 전체의 50%가 복원되지 않은채로 남아 있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취사시간을 70분으로 하였다. 그 결과 통상의 밥으로써는 충분한 찰기 및 호화도를 가지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의 혼합이유식 제조공정에서는 복원력의 문제를 가져왔다. 이는 과도한 열처리에 의해 전분에서 용출된 두꺼운 필름상의 물질들이 조직을 덮고 있어 이와 같은 막의 형성이 동결 건조된 쌀밥의 복원 시 물의 침투능력을 오히려 저하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동결건조 시 완만동결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급속동결을 하여 수분함량 2~6%의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의 복원이 전혀 일어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급속동결로 인하여 밥알내에 자리잡고 있는 빙결점의 크기가 작아 그런것으로 판단되었다. (도2)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이유식을 제조하였으나, 완성된 블록의 중량이 30g이 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유·영아가 1회 섭취할 수 있는 양보다 많아 불필요한 것이 되었다.
(실험예 1)
- 쌀 침지시간에 따른 쌀밥의 물 흡수량(%) -
본 실험은 최적의 침지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침 중 흡수량의 변화를 조 사한 것으로써, 아래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6시간의 침지시간은 오히려 흡수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인 바, 수침 최적시간은 6시간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503058236-pat00003
(실험예 2)
-동결조건에 따른 냉동건조밥 표면구조-
본 실험은 동결방법별 제조한 냉동건조밥의 표면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이는 아래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급속동결은 빙결점의 크기가 완만동결에 비해 작아 보다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조직적인 차이가 동결건조밥을 복원할 때 수화속도를 느리게 하는 요인의 하나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 실시예 12의 성분분석치 -
본 실험은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혼합이유식의 열량과 3대 영양소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는 아래 표2와 같으며, 열량 및 3대 영양소의 함량은 혼합이유식 100g에 대한 영양성분이다.
Figure 112006503058236-pat00004
(실험예 4)
- 실시예 13의 성분분석치 -
본 실험은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의 열량과 3대 영양소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는 아래 표3과 같으며,열량 및 3대 영양소의 함량은 혼합이유식 100g에 대한 영양성분이다.
Figure 112006503058236-pat00005
(실험예 5)
- 실시예 14의 성분분석치 -
본 실험은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의 열량과 3대 영양소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는 아래 표4와 같으며, 열량 및 3대 영양소의 함량은 혼합 이유식 100g에 대한 영양성분이다.
Figure 112006503058236-pat00006
(실험예 6)
- 실시예 15의 성분분석치 -
본 실험은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의 열량과 3대 영양소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는 아래 표5와 같으며, 열량 및 3대 영양소의 함량으 혼합 이유식 100g에 대한 영양성분이다.
Figure 112006503058236-pat00007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이유식은 동결건조방법을 이용하여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을 만듦으로 인해 영양분의 손실은 없으면서도 간편성을 부가한 혼합이유식이다.
블록에 일정량의 온수를 가함으로 수십초내에 원료의 조직감이 복원되어, 미음 또는 죽의 물성을 갖는 혼합이유식을 유·영아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야채, 과일, 해산물과 같이 일반적으로 혼합이유식의 원료로 사용되어지는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이유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결건조기법을 이용하여 이들 원료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완성된 블록에 일정량의 온수를 가하기만 하면 수십초내에 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의 반고형상 혼합이유식을 유·영아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쌀에 효소처리를 함으로써 공정중의 쌀밥의 노화를 막고 재호화를 도와 블록에 온수를 가하여 복원하였을 시,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반고형상의 이유식과 동일한 텍스쳐를 갖도록 된 혼합이유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식품가공에 적용되는 동결건조 기법을 본 발명의 혼합이유식에 적용함으써, 기존의 병장 반고형상의 이유식에서와 같은 살균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영양분, 향 및 색의 변화가 없는 혼합이유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완성된 블록에 일정량의 온수만 가하면 수십초내에 혼합이유식을 먹을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여 외출중은 물론 바쁜 현대인들의 생활에 맞는 혼합이유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영아가 1회에 한하여 먹을 수 있는 개별포장을 하고 통상의 분말 유아식에 혼입되는 저분자 당류의 혼입을 배제함으로 인하여 영양과잉의 우려가 없게 되었다.
이로써 현재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에 대한 공급이 저조하여 외국 수입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내현실에,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원료를 선택하여 제조하고 이에 물만 가하면 즉시 반고형상의 혼합이유식이 되는 본 발명을 제공할 수 있어 국내 혼합이유식에 대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유식의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혼합이유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조하고자 하는 이유식의 목적에 맞도록, 쌀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곡물류, 야채류, 과일류의 퓨레, 해산물류, 육류와 같은 통상적인 이유식 원료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5종을 선별·세척하고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는 원료의 선택 및 선별·세척 공정과;
    상기 선별된 쌀을 침지하고, 이에 50℃, 1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실시한 후, 50분간 취사하는 쌀밥의 취사 공정과;
    원료의 선택 및 선별·세척 공정에서 선택된 원료중 쌀을 제외한 원료를 각 재료의 성질에 맞게 블랜칭 또는 자숙하는 원료의 전처리 공정과;
    상기 취사된 쌀밥에 상기 전처리 된 원료를 혼합하여 통상의 분쇄기로 분쇄한 후, 8메쉬(mesh) 또는 16메쉬(mesh) 중 어느 하나의 여과막을 통과하도록 하는 원료의 혼합·분쇄 공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 혼합된 원료에 동일한 중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40~90g씩 블록형상의 성형틀에 충진하는 충진공정과;
    상기 액상의 혼합이유식이 충진된 성형틀을 동결건조 시스템에 투입하여 2~6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블록으로 형성하는 동결건조 공정과;
    상기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블록을 1개씩 낱개포장한 후, 이를 2~3개씩 묶음 포장하는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효소는 쌀 총중량의 0.3~1.0중량%로 된 당화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완성된 블록의 크기는 3~20g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제조방법
  7.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는 -5∼-25℃의 온도에서 15~20시간동안 처리하는 완만동결과, -40 ~ -50℃의 온도에서 3~7시간동안 처리하는 급속동결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제조방법
  8. 제 1항에 의하여 제조된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KR1020040070446A 2004-09-03 2004-09-03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KR10061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446A KR100614618B1 (ko) 2004-09-03 2004-09-03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446A KR100614618B1 (ko) 2004-09-03 2004-09-03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626A KR20060021626A (ko) 2006-03-08
KR100614618B1 true KR100614618B1 (ko) 2006-08-22

Family

ID=3712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446A KR100614618B1 (ko) 2004-09-03 2004-09-03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6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58B1 (ko) 2012-10-05 2014-07-17 (주)미즈앤코 따뜻한 물을 부어 먹는 이유식 조성물
KR20160088735A (ko) 2015-01-16 2016-07-26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면역증진용 유기농 발효이유식 제조방법
KR20170029355A (ko) 2015-09-07 2017-03-15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된장소스가 포함된 면역력 강화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495870B1 (ko) 2022-09-29 2023-02-06 이서윤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173B1 (ko) * 2009-12-04 2013-10-30 조병권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785B1 (ko) * 2012-08-27 2014-06-18 (주)산마을 통곡물을 이용한 즉석죽 블록 제조방법
CN104187740A (zh) * 2014-09-15 2014-12-10 天添爱(青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半固体的婴幼儿及儿童辅食营养素补充食品
JP6750927B2 (ja) * 2016-05-26 2020-09-02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Cj Cheiljedang Corporation 加工食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加工食品
KR102554400B1 (ko) * 2020-11-17 2023-07-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단백질 소화율이 증진된 영유아식용 우육분말의 제조방법 및 영유아식용 우육분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57A (ko) * 1991-05-07 1992-12-18 장기하 순두부를 주재로한 즉석국류 및 그 제조방법
KR940018027A (ko) * 1993-01-26 1994-08-16 이기승 즉석 누룽지 밥 및 누룽지 숭늉의 제조방법
KR940020936A (ko) * 1993-03-13 1994-10-17 박정윤 즉석국밥의 제조방법
KR960016770A (ko) * 1994-11-22 1996-06-17 한태식 즉석식 컵누룽지죽의 제조방법
KR960020798A (ko) * 1994-12-09 1996-07-18 성재갑 즉석 새우죽
KR960012264B1 (ko) * 1993-07-12 1996-09-18 오뚜기식품 주식회사 곡물을 주원료로한 인스턴트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57A (ko) * 1991-05-07 1992-12-18 장기하 순두부를 주재로한 즉석국류 및 그 제조방법
KR940018027A (ko) * 1993-01-26 1994-08-16 이기승 즉석 누룽지 밥 및 누룽지 숭늉의 제조방법
KR940020936A (ko) * 1993-03-13 1994-10-17 박정윤 즉석국밥의 제조방법
KR960012264B1 (ko) * 1993-07-12 1996-09-18 오뚜기식품 주식회사 곡물을 주원료로한 인스턴트죽 및 그 제조방법
KR960016770A (ko) * 1994-11-22 1996-06-17 한태식 즉석식 컵누룽지죽의 제조방법
KR960020798A (ko) * 1994-12-09 1996-07-18 성재갑 즉석 새우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58B1 (ko) 2012-10-05 2014-07-17 (주)미즈앤코 따뜻한 물을 부어 먹는 이유식 조성물
KR20160088735A (ko) 2015-01-16 2016-07-26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면역증진용 유기농 발효이유식 제조방법
KR20170029355A (ko) 2015-09-07 2017-03-15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된장소스가 포함된 면역력 강화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495870B1 (ko) 2022-09-29 2023-02-06 이서윤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20230023685A (ko) 2022-09-29 2023-02-17 이서윤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20230024308A (ko) 2022-09-29 2023-02-20 이서윤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626A (ko)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739B1 (ko)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2050666B1 (ko) 흰목이 버섯 알갱이를 함유하는 건강 음료 제조방법
KR100901254B1 (ko) 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
CN104522764A (zh) 即食蒲菜蔬菜汤包的制备方法
KR100614618B1 (ko)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CN108967895A (zh) 一种营养重组米及制备方法
CN101449690A (zh) 快餐糕及其制备方法
KR100329415B1 (ko) 분말상 김치 혼합양념의 제조방법
KR20060081446A (ko) 쌀이유식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590375B1 (ko) 현미 요거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447877A (zh) 一种功能性食用菌调味粉及其制备方法
KR20130013895A (ko) 와송을 함유한 양갱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824545A (zh) 一种方便速食玉米大碴粥的制备方法
CN104026519A (zh) 一种薯仔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126668A (zh) 一种多维黄豆粉
KR101988984B1 (ko) 배건과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KR20130101659A (ko) 기능성 장아찌 및 피클 제조방법
Akinoso et al. Yam: technological interventions
KR20170058570A (ko) 흑마늘 약밥과 그 제조방법
KR102358659B1 (ko) 파스닙을 포함하는 선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28479B1 (ko) 현미호박죽의 조성물
KR20190115288A (ko) 말굽버섯 영양죽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58291B1 (ko) 파스닙을 함유하는 생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