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870B1 -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870B1
KR102495870B1 KR1020220128761A KR20220128761A KR102495870B1 KR 102495870 B1 KR102495870 B1 KR 102495870B1 KR 1020220128761 A KR1020220128761 A KR 1020220128761A KR 20220128761 A KR20220128761 A KR 20220128761A KR 102495870 B1 KR102495870 B1 KR 102495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food
block
freeze
temperatur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윤
Original Assignee
이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윤 filed Critical 이서윤
Priority to KR102023001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308A/ko
Priority to KR1020230012932A priority patent/KR2023002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3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L3/36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4A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편의성이 향상되며, 보관성이 우수하고 휴대성이 우수한 블록형동결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YOPHILIZED BABY FOOD BLOCK}
본 발명은 조리 편의성이 향상되며, 보관성이 우수하고 휴대성이 우수한 블록형동결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유식은 영유아기의 아기들이 젖을 떼고 일반 식사에 익숙해지기 위해,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죽 상태로 만들어진 음식을 의미한다.
자녀수가 줄고, 생활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기 단계에서 섭취하는 이유식은, 재료와 제조과정 및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어,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영유아들에 먹이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의 제조되어 있는 이유식을 월령별 단계에 맞도록 구입하여 먹이기도 한다.
처음에는 미음과 같은 형태로 식사에 익숙해지도록 먹이고, 서서히 묽은 야채죽과 같은 것을 먹이다가 12개월쯤 되면 잘게 다진 것이 아닌, 작게 썰은 채소나 고기를 먹이기도 한다.
이유식은 초기·중기·후기·완료기로 나뉘는데 초기·중기는 아이에게 새로운 식사 방식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여, 이유 초기는 이유 시작 후 1~2개월(생후 4~6개월)을 말하는데 단일 식품으로 시작하여 쌀미음, 과일 및 야채 퓨레 등을 먹인다. 이유 중기는 생후 6~9개월로 하루에 2~3회 묽은 죽, 으깬 야채나 생선, 곱게 다진 고기, 완숙한 달걀과 같은 반고형식으로 주고, 이유 후기는 생후 9~12개월로 죽밥, 잘게 썬 야채, 다진 고기 등의 고형식을 준다.
동결 건조란 건조의 한 종류로, 물질을 동결시키고, 수증기의 부분압을 낮춰 얼음을 직접 증기로 만드는 승화에 의해 얻어진다.
낮은 압력에서 얼음 형태인 수분은 열 에너지를 공급해 액체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수증기로 직접 승화한다. 승화된 얼음 결정체들은 공간을 남기기 때문에, 건조된 물질은 무수히 많은 틈을 가져, 수분 흡수가 용이하므로 재수화 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4618호는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한 블록형상의 동결건조된 혼합 이유식을 개시하고 있다.
찬물에도 빠르게 풀어지는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4739호는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류, 채소류, 구근류, 해조류, 해산물, 육류, 달걀, 유가공품, 두류, 두류 가공품, 및 두류 발효식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원료로부터 얻어진, 원형 그대로이거나 슬라이스화 또는 쵸핑된 형태의 동결건조물이 내부에 분산되어 있으며, 전지분유, 찹쌀가루, 꿀 및 덱스트린을 포함하여 익혀진 반죽의 동결건조물과 요구르트의 동결건조물이 블록을 형성한 블록형의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물에 닿아 빠르게 분해가 되어 죽 형태로 풀어지는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형의 동결 건조 이유식 중에서도, 그대로 섭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찬물에도 빠르게 풀어져 휴대성과 간편함이 향상된 동결 건조 이유식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4618호 (2006.08.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4739호 (2009.04.15)
본 발명은 보관이 용이하며, 휴대성이 우수한 동결건조 이유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영양 성분의 파괴나 손실이 없는 동결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수분과 닿아 일정 시간 경과하면 빠르게 죽과 같은 형태로 바뀌어 가열, 해동 등의 과정없이 바로 섭취가 가능하여 조리 편의성이 우수한 동결건조 이유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은, (a)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을 믹서에 넣은 상태로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1 내지 3 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 내지 3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5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이유식을 블록형 몰드에 넣고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블록형 몰드를 동결 건조기에 넣어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은 점도가 10,000 내지 45,000c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은 곡물류와, 육류, 생선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잘게 썬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70 내지 -6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키고, 감압하는 과정을 3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은 수분 함량이 3%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 성분의 파괴나 손실이 없어, 영양 성분이 풍부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 냉수, 아기의 침 등과 같은 다양한 액체에도 잘 녹아 죽 형태로 풀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아기에게 이유식을 먹이는 것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또는 "바람직하게는"은 특정 조건에서 특정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 또한 동일 조건 또는 다른 조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도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한다"는 용어는 본 발명에 유용한 재료, 조성물, 장치, 및 방법들을 나열할 때 사용되며 그 나열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은, (a)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을 믹서에 넣은 상태로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1 내지 3 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 내지 3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5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이유식을 블록형 몰드에 넣고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블록형 몰드를 동결 건조기에 넣어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 상태에서 살균하는 과정으로서, 이유식에 잔류할 수 있는 균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믹서에 넣어 혼합하며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1 내지 3 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 내지 3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5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 수행한다.
상기 고속 청정 공기의 온도가 상기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유식이 변형될 수 잇는 문제가 있고, 상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얼어버려 혼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은,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그 직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단계를 통하여,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내부 미세 기포가 증가되면서, 냉수에서도 빠르게 풀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고속 청정 공기 분사하며 혼합하고, 질소 가스 주입 및 가열하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회 수행함으로써, 냉수나 소량의 물에도 빠르게 풀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은 점도가 10,000 내지 45,000cP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너무 점도가 낮아 동결 건조 블록 상태에서 쉽게 부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점도보다 높은 경우에도 오히려 큰 기포가 이유식 내에 포함된 상태에서 동결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어, 부분적으로 쉽게 바스러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은 곡물류와, 육류, 생선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잘게 썬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이유식을 먹이는 아기의 이유식 시기에 맞게 다양한 재료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점도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곡물류의 경우, 백미, 흑미, 현미, 콩, 찹쌀 등의 다양한 곡물류를 활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미를 사용하여 베이스 질감과 점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70 내지 -6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키고, 감압하는 과정을 3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수분 함량을 낮추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은 수분 함량이 3%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함량보다 수분이 과량으로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봉된 상태에서도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보관 기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준비기의 8배죽 미음 형태(점도 25,000cP정도)로 유기농 한우 육수와 쌀을 갈아서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유식을 이용하여,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였다.
그 다음 블록형 몰드에 넣고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고 이를 -65℃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키고, 감압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는 대신, 3회 반복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는 대신, 12회 반복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는 것 대신, 멸균 처리를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고 이를 -65℃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킨 다음, 감압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는 대신, -65℃의 온도로 20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켰다.
수분 함량 측정
각 동결 건조 이유식을 수분 함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보관성 평가
각 동결 건조 이유식을 개봉한 상태로 상온에 두고 7일 간 방치하였다. 그 후, 후각, 시각의 변화여부를 중심으로 보관성을 평가하였다.
시큼한 냄새가 변형된 향미가 느껴지는 경우 X,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O로 평가하였다.
조리 편의성 평가1
실시예와 비교예의 샘플을 각각 10ml, 30ml의 정제수에 넣고, 완전히 죽과 같은 형태로 풀어질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제수는 25℃의 온도인 것을 사용하였다.
조리 편의성 평가2
상기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2℃의 30ml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완전히 죽과 같은 형태로 풀어질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패널 평가
이유식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30~40대 여성 패널 50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패널은, 후각, 미각 및 시각에 문제가 없으며, 시판 이유식 또는 직접 제조하여 만든 이유식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패널을 선정하였다.
실시예의 동결건조 이유식을 30ml의 물에 넣어 죽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2분간 방치한 후, 1분간 추가로 섞는 과정을 거쳐 제공하고, 동결건조 이유식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완성된 이유식을 함께 제공하며, 향미, 맛, 질감, 외관에 대해 0점(나쁨) 내지 10점(좋음)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패널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각 평가의 결과는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하고, 남은 점수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분함량
측정(%)
2.4 2.5 1.8 5.3 5.9
보관성 평가 O O O X X
조리편의성평가1(초) 80 500 150 160 400
조리편의성평가2(초) 100 800 200 190 450
패널평가 향미 9 9 3 8 9
8 3 6 9 7
질감 7 9 5 7 6
외관 8 8 3 7 5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동결건조 이유식이 보관성이 우수하면서도 패널평가에서도 우수한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조리편의성 평가에 있어서, 상온수와 냉수 모두에서 빠르게 풀어지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조리편의성 또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활용하여, 냉수에도 잘 풀어지며, 휴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동결 건조 이유식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a)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을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 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이유식을 블록형 몰드에 넣고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블록형 몰드를 동결 건조기에 넣어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은 수분 함량이 3% 미만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은 점도가 10,000 내지 45,000cP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은 곡물류와, 육류, 생선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잘게 썬 형태로 포함하는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70 내지 -6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키고, 감압하는 과정을 3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5. 삭제
  6. (a)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을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 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이유식을 블록형 몰드에 넣고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블록형 몰드를 동결 건조기에 넣어 -70 내지 -60℃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키고, 감압하는 과정을 5회 반복시켜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은 수분 함량이 3% 미만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7. (a) 페이스트 상의 이유식을 믹서에 넣고 3 내지 5℃ 온도의 고속 청정 공기를 분사하며 3 분간 혼합하고, 상기 이유식 부피 2배 부피의 질소 가스를 주입한 다음,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7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이유식을 블록형 몰드에 넣고 -5 내지 -3℃의 온도에서 30분 휴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블록형 몰드를 동결 건조기에 넣어 -65℃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급속 냉동시키고, 감압하는 과정을 5회 반복시켜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은 수분 함량이 3% 미만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
KR1020220128761A 2022-09-29 2022-10-07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249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936A KR20230024308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20230012932A KR20230023685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611 2022-09-29
KR20220124611 2022-09-29
KR20220125151 2022-09-30
KR1020220125151 2022-09-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932A Division KR20230023685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20230012936A Division KR20230024308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870B1 true KR102495870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1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761A KR102495870B1 (ko) 2022-09-29 2022-10-07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20230012936A KR20230024308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20230012932A KR20230023685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936A KR20230024308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20230012932A KR20230023685A (ko) 2022-09-29 2023-01-31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958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080A (ja) * 1997-11-19 1999-06-08 Akira Horikane 凍結または凍結乾燥物、方法および装置
KR100614618B1 (ko) 2004-09-03 2006-08-2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KR100884739B1 (ko) 2007-03-29 2009-04-15 윤효미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5855A (ja) * 2007-12-20 2011-03-0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インスタント飲料製品
KR20180000994A (ko) *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짱죽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JP2019041603A (ja) * 2017-08-30 2019-03-22 花王株式会社 インスタントスー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080A (ja) * 1997-11-19 1999-06-08 Akira Horikane 凍結または凍結乾燥物、方法および装置
KR100614618B1 (ko) 2004-09-03 2006-08-2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KR100884739B1 (ko) 2007-03-29 2009-04-15 윤효미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5855A (ja) * 2007-12-20 2011-03-0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インスタント飲料製品
KR20180000994A (ko) *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짱죽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JP2019041603A (ja) * 2017-08-30 2019-03-22 花王株式会社 インスタントス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308A (ko) 2023-02-20
KR20230023685A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739B1 (ko)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2180642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7413B1 (ko)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8236A (ko) 동결건조물 스낵과 그 제조방법
KR100700630B1 (ko) 즉석 죽 제조방법
KR102223390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70541A (ko) 닭가슴살 떡말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044707B1 (ko) 발효 숙성된 어묵 제조방법
KR102495870B1 (ko) 블록형 동결 건조 이유식의 제조방법
KR101915708B1 (ko)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KR20170133906A (ko) 냉동 포장 만두의 제조 방법
KR101825479B1 (ko)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4658A (ko) 상온유통이 가능한 즉석 된장찌개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06681B1 (ko) 파프리카 김 스낵의 제조방법
KR20130061463A (ko) 콩고기 육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3790B1 (ko) 토마토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37668A (ko) 죽의 제조방법
KR100381722B1 (ko) 생선면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9442B1 (ko) 락토바실러스가 함유된 조리알의 제조방법
CN104957563A (zh) 一种泡菜沙拉及其制备方法
KR20110090168A (ko) 낙지 떡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2623769B1 (ko) 두부 설기의 제조방법
KR102498205B1 (ko) 죽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0381B1 (ko)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기만두
KR101968685B1 (ko) 어린이용 동결건조 홍삼을 포함하는 과일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