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582B1 -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전자카메라 및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전자카메라 및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582B1
KR100610582B1 KR1020040081599A KR20040081599A KR100610582B1 KR 100610582 B1 KR100610582 B1 KR 100610582B1 KR 1020040081599 A KR1020040081599 A KR 1020040081599A KR 20040081599 A KR20040081599 A KR 20040081599A KR 100610582 B1 KR100610582 B1 KR 10061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rocessing information
recorded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744A (ko
Inventor
모리치카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에 의해 기록된 화상에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그것에 사용하는 전자카메라 및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카메라(4)에 있어서, 자기가 촬영에 의해 기록한 화상(G)을 재생모드에서 모니터(48)에 표시하고 있을 때, 사용자로부터 정면촬영보정(사다리꼴변형보정)이 지시되면 표시화상(G)에 있어서, 보정시에 기준이 되는 사각형의 윤곽선(f1, f2)을 인식하는 것이고, 인식한 윤곽선(f1, f2)에 겹치는 사각테두리(F)를 사용자의 전환조작에 따라서 차례로 이동시켜 소망의 윤곽선을 선택시키며, 확정조작에 따라서 선택된 윤곽선(f1)의 4정점(A∼D)의 좌표정보를 표시화상(G)의 화상파일의 헤더부분에 기입하고, 그 후 화상처리장치(2)에 있어서, 화상(G)에 대하여 정면촬영보정을 실시할 때에는 화상파일로부터 좌표정보를 읽어내며, 그에 따라 나타내어지는 4정점을 갖는 사각형을 기준으로 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카메라, 화상, 윤곽선, 화상처리장치, 프로젝터, PC

Description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전자카메라 및 화상처리장치{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상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동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로 프로젝터와 PC(2)의 전기적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디지털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촬상투영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의 재생모드에서의 정면촬영보정데이터의 등록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보정후보의 선택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보정정보가 등록된 후의 화상필름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PC에 있어서의 정면촬영보정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로젝터 3: 서화카메라
4: 디지털카메라 14: 화상입력부
15: 표시부 16:키입력부
17: 적외신호수신부 23: 기억장치
25: 비디오어댑터 31:카메라대
32: 지주 33: 스탠드
48: 모니터 53: 메모리·카드
100: RGB케이블 200: USB케이블
300: 좌표정보
본 발명은 촬영에 의해 기록된 화상에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그것에 사용하는 전자카메라 및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에 의해서 원고 등을 촬영하는 경우 원고 등에 대하여 정면으로 대한 위치에서 촬영을 실시하지 않으면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내에서는 원고 등에 소위 사다리꼴변형이 생긴다. 이것에 관하여 하기 특허문헌1에는 CCD 등의 촬상소자를 구비한 전자카메라에 있어서, 촬영한 원고 등의 화상에 존재하는 사다리꼴변형의 보정(정면촬영보정)을 전자카메라에 화상처리회로를 설치하고 전자카메라 자체로 실시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촬영화상에 대한 정면촬영보정을 일반적인 전자카메라에 실시 시키는 경우, 그 화상처리능력에는 한계가 있고, 정면촬영보정에 요하는 화상처리에는 다대한 시간을 요한다. 그 때문에 전자카메라에서 촬영한 화상에 대한 정면촬영보정은 별도 준비한 컴퓨터 등의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1] 특개2002-354331호 공보(「0015」,「0016」단락 참조)
그러나 상기한 촬영화상에 대한 정면촬영보정을 전자카메라가 아니고, 별도 준비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실시할 때에는 촬영화상 내에 정면촬영보정의 기준이 되는 영역, 즉 보정의 방향이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보정기준(통상은 사각형의 영역)이 필요하고, 또 그 보정기준은 촬영화상(피사체)의 내용에 따라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정면촬영보정을 실시한 후의 촬영화상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정면촬영보정에 필요한 작업의 전부를 컴퓨터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 실시할 수 없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보정 후의 촬영화상을 다수 준비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현저했었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와, 이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에 의거하여 그 화상에 대한 소정의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를 취득원의 화상에 대응지워서 기록하는 가공정보기록부를 구비한 전자카메라와, 이 전자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기록된 화상에 대하여 그 화상에 대 응지워서 상기 전자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가공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상처리시스템이다.
또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와, 이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에 의거하여 그 화상에 대한 소정의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를 취득원의 화상에 대응지워서 기록하는 가공정보기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이다.
또 본 발명은 전자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기록된 화상에 대하여 그 화상에 대응지워서 상기 전자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가공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처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촬상투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촬상투영시스템은 프로젝터(1)와 노트형의 퍼스널컴퓨터(이하 PC)(2)와 서화카메라(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터(1)와 PC(2)는 RGB케이블(1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PC(2)와 서화카메라(3)는 USB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C(2)가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이다.
프로젝터(1)는 투영렌즈 등의 광학계가 수용된 투영부(1a)가 본체 정면에 설치된 구조이고, PC로부터 보내어진 문서 등의 화상에 따른 투사광을 투영부(1a)로부터 스크린(S)(또는 화이트보드 등)에 투사한다. 또 프로젝터(1)에는 적외선리모 트콘트롤유니트(5)가 부속하고 있고, 그것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떨어진 장소에서의 프로젝터(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화카메라(3)는 카메라대(31)와, 그것에 세워 설치된 지주(32)로 이루어지는 스탠드(33)와, 지주(32)의 상단부에 상하좌우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장착부에 탈착 자유롭게 부착된 디지털카메라(4)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카메라(4)는 AE기능, AF기능 등을 갖는 일반적인 내역을 갖는 동시에, 촬상에 의해 취득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PC카메라로서 기능하는 소정의 촬영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투영시스템에 있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대(31)의 위에 신문이나 잡지의 기사, 프레젠테이션용지, 서면원고 등의 서면자료(A), 또는 각종 입체자료를 재치하고, 그것을 디지털카메라(4)에 의해서 촬영하는 동시에, 촬영한 화상을 PC(2)를 통하여 프로젝터(1)에 보냄으로써 서면자료(A) 등이 스크린(S)에 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상기 촬상투영시스템에 있어서의 주로 프로젝터(1)와 PC(2)의 전기적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로젝터의 구성)
프로젝터(1)는 CPU(11), ROM(12), RAM(13), 화상입력부(14), 표시부(15), 키입력부(16), 적외신호수신부(1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입력부(14)에는 상기 RGB케이블(100)이 접속된 RBG신호의 입력단자(18)가 접속되어 있고, PC(2)로부터 입력한 입력화상신호(RGB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5)에 보낸다. 표시부(15)는 크립톤램프 등의 광원 및 광원의 빛을 입력표시신호에 따른 투영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액정이나 마이크로미러어레이 등의 화상변환소자(본 발명의 화상변환수단), 그 화상변환소자를 화상입력부(14)로부터 보내어진 표시신호에 의거하여 구동하는 구동회로, 상기 투영부(1a)에 설치되어 있는 투영렌즈 등의 광학계를 포함하고, PC(2)로부터 보내어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표시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
CPU(11)는 ROM(1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RAM(13)을 작업용 메모리로서 동작하여 프로젝터(1) 전체를 제어한다. 키입력부(16)는 사용자가 프로젝터(1)의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 준비된 복수의 조작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적외신호수신부(17)는 상기한 적외리모콘(5)으로부터 보내어진 적외선을 수광하고, 그것에 코드화되어 있는 조작신호를 디코드하여 CPU(11)에 보낸다.
(PC의 구성)
한편 PC(2)는 CPU(21)와 RAM(22), 기억장치(23), 입력장치(24), 비디오어댑터(25), VRAM(26), 표시장치(27)를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어댑터(25)는 표시용의 비디오신호(RGB신호)를 생성하고, LCD 및 그 구동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표시장치(27)에 출력하고, VRAM(26)은 비디오어댑터(25)가 생성한 표시용의 화상데이터를 수시 기억한다. 또 비디오어댑터(25)에는 상기 RGB케이블(100)이 접속된 RBG출력단자(28)가 설치되어 있고, 비디오어댑터(25)는 CPU(21)의 명령에 따라서 표시용 화상데이터를 RGB케이블(100)을 통하여 프로젝터(1)에 출력한다.
또 CPU(21)에는 도시하지 않는 USB인터페이스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그 곳에 설치되어 있는 USB접속단자(29)에 상기 USB케이블(200)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서화카메라(3)에 의해 촬영된 촬영화상의 데이터는 USB케이블(200)을 통하여 PC(2)에 입력한다.
입력장치(24)는 PC(2)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키나 본체에 접속된 마우스 등이고, 기억장치(23)는 기억용량이 비교적 큰 하드디스크 등이다. 상기 기억장치(23)에는 프레젠테이션용의 문서의 작성·편집을 실시하기 위한 소정의 프레젠테이션·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촬영화상에 대한 각종 화상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화상처리프로그램 및 비디오어댑터(25)에 표시장치(27)에 상기 문서나 화상 등을 나타나게 하기 위한 표시용의 화상데이터나 프로젝터(1)에 출력하는 화상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화상표시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PC(2)에 있어서는 CPU(21)가 상기 화상처리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동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상처리부(210)로서 기능한다.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도 3은 주로 서화카메라(3)를 구성하는 디지털카메라(4)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4)는 상기 서면자료(A) 등을 촬상하는 촬상소자인 CCD(41)(촬상부)와 DSP/CPU(42)를 갖고 있다. CCD(41)는 도시하지 않는 포커스렌즈 및 줌렌즈 등의 광학계를 통하여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하고, 피사체의 광학상에 따른 아날로그의 촬상신호를 출력한다.
DSP/CPU(42)는 JPEG방식에 의한 화상데이터의 압축·신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4)의 각 부를 제어하는 원칩마이크로컴퓨터이다. DSP/CPU(42)에는 CCD(41)를 구동하는 TG(Timing Generator)(43)가 접속되고, TG(43)에는 CCD(41)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가 입력하는 유니트회로(44)가 접속되어 있다. 유니트회로(44)는 상관이중샘플링에 의해 CCD(41)의 출력신호 등의 노즐을 제거하는 CDS회로, 노이즈가 제거된 촬상신호를 증폭하는 게인조정용앰프(AGC), 증폭 후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AD)로 구성되어 있고, CCD(41)의 출력신호는 유니트회로(44)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DSP/CPU(42)에 보내어진다.
또 DSP/CPU(42)에는 렌즈구동부(45), USB인터페이스(46), 키입력부(47), 액정모니터(48)(화상표시부)가 접속되는 동시에, 어드레스·데이터버스(49)를 통하여 DRAM(50), 내장플래시메모리(51), 카드·인터페이스(52)가 접속되어 있다. 또 USB인터페이스(46)에는 외부기기 접속커넥터(55)가 접속되어 있고, 카드·인터페이스(52)에는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카드슬롯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 메모리·카드(53)가 접속되어 있다.
렌즈구동부(45)는 상기 포커스렌즈 및 줌렌즈의 각각을 광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스텝핑모터 및 그들을 DSP/CPU(42)로부터 보내어진 제어신호에 따라서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로 구성된다. 키입력부(47)는 동작모드의 전환키나, 줌키, 메뉴키, 셔터키 등의 각종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DSP/CPU(42)에 출력한다.
액정모니터(48)는 컬러LCD와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촬영대기모드에서는 CCD(41)에 의해서 촬상된 피사체화상을 스루화상(through-image)으로서 표시하며, 또 재생모드에는 메모리·카드(53)으로부터 읽어내어져서 DSP/CPU(42)에 의해서 신장된 기록화상을 표시한다. 또 조작보조용으로서 기능선택시의 처리메뉴표시나 설정용의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의 표시를 실시한다.
DRAM(50)은 CCD(41)에 의해 촬상되어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인 동시에, DSP/CPU(42)의 워킹메모리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촬영대기모드에 있어서 셔터키가 눌려진 촬영시에는 DRAM(50)에 일시 기억된 화상데이터가 DSP/CPU(42)에 의해 압축되고, 최종적으로는 소정의 포맷(본 실시형태에서는 JPEG에 준거한 포맷)의 화상파일로서 메모리·카드(53)에 기록된다. 또한 메모리·카드(53)가 본 발명의 화상기록부(530)인 동시에 가공정보기록부(531)이다.
내장플래시메모리(51)에는 DSP/CPU(42)에 디지털카메라(4)의 각 부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디지털카메라(4)의 제어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DSP/CPU(42)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취득부(420), 제어부(421)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지털카메라(4)가 장착된 상기 스탠드(33)에는 상기한 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카메라측 커넥터(34)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대(31)에 외부측 커넥터(35)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부측 커넥터(35)에 상기한 USB케이블(200)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4)는 상기 외부기기 접속커넥터(55)가 스탠드(33)의 카메라측 커넥터(34)에 접속됨으로써 USB케이블(200)을 통하여 PC(2)의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한 소정의 촬영모드에서는 CCD(41)에 의해 촬상되어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차례 차례 PC(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투영시스템의 동작설명)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투영시스템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디지털카메라(4)에 PC카메라로서 기능하는 소정의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화카메라(3)에 있어서 디지털카메라(4)는 상기한 소정의 촬영모드가 설정됨으로써 임의의 서면자료(A) 등을 촬영하고, 촬영한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PC(2)에 출력한다(스텝SA1). 또 PC(2)에서는 상기 화상처리프로그램에 의해서 입력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변형보정처리, 회전처리, 스크랩처리 등의 각종 화상처리에 의해 촬영화상의 보정을 실시한 때, 처리 후의 화상데이터를 표시프로그램에 의해서 프로젝터(1)에 출력한다(스텝SA2∼SA5). 그리고 프로젝터(1)는 PC(2)로부터 입력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스크린(S)에 투사한다(스텝SA6). 또한 PC(2)에 의한 상기의 화상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화상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실시한다.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설명)
한편, 도 5는 상기 디지털카메라(4)에 재생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의 정면촬영보정데이터의 등록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메모리·카드(53)에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카메라(4)를 상기 스탠드(33)에서 떼어내어서 사용하고, 예를 들면 문서나 그 외의 자료 등이 투영되는 동시에, 그 곳에 코멘트 등이 마커로 손으로 쓰여진 상태화이트보드를 경사방향에서 촬영한 때의 촬영화상(G)(도 6 참조)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재생모드에 있어서 디지털카메라(4)는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키조작에 따르고,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화상의 데이터를 메모리·카드(53)로부터 읽어내고, 그것을 DRAM(50)에 전개하여 액정모니터(48)에 표시한다(스텝SB1). 그 때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준비되어 있는 메뉴화면에서 「정면촬영보정」이 선택되면 상기의 등록처리로 이행하고(스텝SB2에서 YES), 우선 표시 중의 촬영화상(G)에 대하여 직선인식을 실시하는 동시에, 인식한 직선의 연속성을 확인하고, 사각형으로 닫힌 형상의 윤곽선을 주사한다(스텝SB3). 여기에서 윤곽선이 존재하지 않으면(스텝SB4에서 NO) 그대로 등록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또한 그 때에는「보정대상이 없습니다.」 등의 메세지를 액정모니터(48)에 표시해도 좋다.
또 윤곽부가 존재한 때에는(스텝SB4에서 YES)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중의 촬영화상(G)에 겹쳐서 보정후보가 되는 윤곽선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확인표시인 사각테두리(F)를 표시한다(스텝SB5). 또 동시에「보정」버튼(B1)과 「캔슬」버튼(B2)도 표시한다. 또한 도시한 예는 촬영화상(G)이 주로 배경(Ga)과 화이트보드(Gb)와 투영화상(Gc)의 각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스텝SB3에 의해서 화이트보드(Gb)의 외주의 윤곽선(f1)과, 투영화상(Gc)의 외주의 윤곽선(f2)이 주사되는 동시에, 화이트보드(Gb)측의 윤곽선(f1)이 보정후보로 되어 있고, 윤곽선(f1)에 사각테두리(F)가 겹쳐서 도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사각테두리(F)를 두꺼운 파선으로 나타냈는데, 실제로는 적색 등의 선에 의해서 사각테 두리(F)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디지털카메라(4)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대기의 상태가 되고, 그 사이에 사용자에 의해서 「캔슬」버튼(B2)이 선택된 때에는(스텝SB6에서 YES) 윤곽선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등록처리를 종료한다. 또 어느 쪽의 버튼(B1, B2)도 선택되지 않고, 줌키에 의한 보정후보의 전환조작이 있었을 때에는(스텝SB6이 NO, SB7이 NO, 스텝SB8에서 YES) 보정후보를 변경한 후(스텝SB9) 스텝 5로 돌아가서 변경 후의 보정후보에 겹쳐서 사각테두리(F)를 표시한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투영화상(Gc)의 외주의 윤곽선(f2)에 겹쳐지는 사각테두리(F)를 표시한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사된 윤곽선이 복수 존재하고, 또한 그들이 서로 나란히 늘어서 있는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줌키가 조작될 때마다 소정의 차례로 사각테두리(F)를 각각의 윤곽선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버튼(B2)의 선택조작(확정조작)이 있으면(스텝SB7에서 YES) 그 시점에서 사각테두리(F)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는 윤곽선에 있어서의 4정점(A, B, C, D)의 좌표정보(XY방향의 화소위치데이터)를 취득하고(스텝SB10), 취득한 좌표정보를 투영화상(G)의 화상데이터의 헤더부분에 기록하여(스텝SB11) 등록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상기 좌표정보(300)가 기록된 상태에 있어서의 촬영화상(G)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좌표정보(300)는 JPEG파일에 있어서 화상정보(압축화상데이터)이외의 메타정보가 격납되는 헤더영역 “m”에 확보되어 있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사용자 영역“n”에 격납된다.
(PC의 동작설명)
또 도 8은 디지털카메라(4)가 상기 스탠드(33)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카메라(4)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을 프로젝터(1)에 투영시키는 소정의 투영제어모드가 PC(2)에 설정되었을 때, PC(2)가 실시하는 정면투영보정에 관한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상기 투영제어모드는 디지털카메라(4)에 화상전송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지털카메라(4)로부터 메모리·카드(53)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의 썸네일(thumbnail)화상 등을 취득하고, 촬영화상의 일람을 표시장치(27)에 표시함으로써 투영해야 하는 촬영화상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투영제어모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투영해야 하는 촬영화상이 선택되면 PC(2)는 선택된 촬영화상의 화상파일을 디지털카메라(4)로부터 취득하여(스텝SC1), 그 파일헤더에 있어서의 상기한 좌표정보(300)의 유무를 확인한다(스텝SC2). 여기에서 좌표정보(300)가 격납되어 있지 않으면(스텝SC3에서 NO), 도 4에 있어서 설명한 디지털카메라(4)에 PC카메라로서 기능하는 소정의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의 통상의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처리 후의 화상데이터를 프로젝터(1)에 출력한다(스텝SC4).
한편 디지털카메라(4)에서 취득한 화상파일이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촬영화상(G)의 화상파일이고, 좌표정보(300)가 격납되어 있으면(스텝SC3에서 YES), 그것을 취득한 후(스텝SC5) 좌표정보(300)에 의거하여 화상의 변형을 보정한다(스텝SC6). 즉 좌표정보(300)로서 윤곽선(f1)의 네모서리(A∼D)의 데이터가 헤더에 격납되어 있었을 때에는 윤곽선(f1)을 영역을 보정기준으로 하고, 그것의 영역을 장 방형으로 하는 보정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보정한 화상으로부터 변형(보정) 후의 윤곽선(f1)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영역을 스크랩하고(스텝SC7), 스크랩한 화상을 표시장치(27)에 표시하는 동시에, 프로젝터(1)에 출력한다(스텝SC8).
여기에서 이상 설명한 PC(2) 및 디지털카메라(4)에 있어서는 그들을 이용함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4)에 있어서는 프로젝터(1)에 의해 스크린에 투영하기 위한 화상의 촬영에 사용하는 경우, 그것을 스탠드(33)에 장착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한 화상에 대하여 실제의 투영시에 변형을 보정하는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촬영을 실시한 직후나 사정이 좋을 때에, 또한 PC(2)가 주변에 없는 때에도 상기 설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투영하는 화상을 다수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편리하다. 또 실제로 변형을 보정하여 사용하는 영역을 미리 결정하여둘 수 있기 때문에 사정이 좋다.
또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소망하는 영역의 변형보정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도 5에서 설명한 정면촬영보정데이터의 등록처리에 있어서, 변형보정이 가능하지 않는 영역은 선택후보가 되지 않으며 그 영역의 설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촬영직후에 상기 확인을 실시하게 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촬영을 다시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화상을 틀림없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로에서는 PC(2)와 디지털카메라(4)에 의해서 본 발명의 화상처리시스템이 실현된 것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프로젝터(1)와 그것에 접속된 디지털카메라(4)만으로 이루어진 촬상투영시스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상기한 PC(2)에 있어서의 정면투영보정에 관한 처리를 프로젝터(1)에 맞추어서 그것을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카메라로서 스탠드(33)에 장착됨으로써 서화카메라(3)로서 사용되고, 촬영화상을 PC(2)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디지털카메라(4)를 설명했는데, 자기가 촬영한 화상을 예를 들면 메모리·카드(53)를 통하여 PC(2) 등에 공급 가능한 구성이면 PC(2)와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디지털카메라(휴대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정보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화상에 부가(등록)하는 가공정보가 변형보정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정보(300)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촬영화상에 부가(등록)하는 가공정보는 상기한 소정영역의 변형보정과 스크랩의 쌍방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어도 그들의 한쪽에만 사용되는 정보라도 좋고, 또한 그 이외의 다른 가공시에 사용되는 정보이어도 좋다.
또한 좌표정보(300) 등의 가공정보는 반드시 촬영화상의 데이터와 일체불가분의 데이터일 필요는 없고, PC(2) 등에 있어서 촬영화상과의 대응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이면 메모리·카드(53) 등에 촬영화상과는 별도로 기록시키게 해도 상관 없다. 단 좌표정보(300) 등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취득원의 화상데이터(JPEG파일)에 부가하여 일체불가분으로 한 쪽이 PC(2) 등에 있어서 취급하기 쉽기 때문에 사정이 좋다.

Claims (12)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와,
    이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에 의거하여 그 화상에 대한 소정의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를 취득원의 화상에 대응지워서 기록하는 가공정보기록부를 구비한 전자카메라와,
    이 전자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기록된 화상에 대하여 그 화상에 대응지워서 상기 전자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가공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2. 전자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기록된 화상에 의거하여 그 화상에 대한 소정의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정보를 취득하는 취득공정과,
    취득한 가공정보를 취득원의 화상에 대응지워서 기록하는 기록공정과,
    상기 화상에 대하여 그 화상에 대응지워서 기록해 둔 상기 가공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가공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
    이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에 의거하여 그 화상에 대한 소정의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를 취득원의 화상에 대응지워서 기록하는 가공정보기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공정보기록부는 상기 화상기록부인 동시에, 상기 가공정보는 취득원의 화상에 부가된 상태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가공정보는 상기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가공정보는 상기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7. 제 3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
    이 화상표시부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확인표시를 해당 가공정보의 취득원의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8. 제 4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
    이 화상표시부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확인표시를 해당 가공정보의 취득원의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9. 제 5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
    이 화상표시부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확인표시를 해당 가공정보의 취득원의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와,
    이 화상표시부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확인표시를 해당 가공정보의 취득원의 화상과 함께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 그 복수의 가공정보의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확인표시를 사용자에 의한 전환조작에 따라서 전환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에 의한 확정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확인표시에 대응하는 가공정보를 상기 가공정보기록부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1.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화상기록부에 기록하는 전자카메라가 갖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화상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에 의거하여 그 화상에 대한 소정의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이 취득스텝에 의해 취득된 가공정보를 취득원의 화상에 대응지워서 가공정보기록부에 기록시키는 기록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2. 전자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기록된 화상에 대하여 그 화상에 대응지워서 상기 전자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가공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20040081599A 2003-10-14 2004-10-13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전자카메라 및화상처리장치 KR100610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3622A JP3743828B2 (ja) 2003-10-14 2003-10-14 電子カメラ
JPJP-P-2003-00353622 2003-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44A KR20050036744A (ko) 2005-04-20
KR100610582B1 true KR100610582B1 (ko) 2006-08-09

Family

ID=3437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599A KR100610582B1 (ko) 2003-10-14 2004-10-13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전자카메라 및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9974B2 (ko)
EP (1) EP1524841B1 (ko)
JP (1) JP3743828B2 (ko)
KR (1) KR100610582B1 (ko)
CN (1) CN13301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5491B2 (ja) * 2003-05-19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及び距離測定プログラム
US20050068442A1 (en) * 2003-09-26 2005-03-31 Corey Billington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07023715A1 (en) * 2005-08-25 2007-03-01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igital camera,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JP4344888B2 (ja) * 2005-12-09 2009-10-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撮像装置、撮像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18614B2 (en) 2006-01-20 2011-04-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mera for electronic device
CN101366269B (zh) * 2006-01-20 2010-11-03 索尼爱立信移动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照相机
JP5074777B2 (ja) * 2006-05-22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機能付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854539B2 (ja) * 2007-02-21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87066A (zh) * 2007-04-12 2008-10-15 Hoya株式会社 摄像装置
US7632102B2 (en) * 2007-07-23 2009-12-15 Antonio Macli Classroom instructional tool
US20090059094A1 (en) * 2007-09-04 2009-03-05 Samsung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verlaying image in video presentation system having embedded operating system
US7391442B1 (en) * 2007-11-01 2008-06-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camera including a distortion correction system
JP5353154B2 (ja) * 2008-09-25 2013-11-27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5608980B2 (ja) * 2009-01-27 2014-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書画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856263B2 (ja) * 2009-08-07 2012-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出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630936B1 (ja) * 2009-10-28 2011-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1094292A1 (en) 2010-01-28 2011-08-04 Pathway Innovations And Technologies, Inc. Document imaging system having camera-scanner apparatus and personal computer based processing software
BRPI1006035A2 (pt) * 2010-03-31 2016-12-06 Fujifilm Corp "aparelho de coletar imagem estereiscópica ".
EP2391119B1 (en) * 2010-03-31 2015-06-03 FUJIFILM Corporation 3d-image capturing device
JP5135380B2 (ja) * 2010-04-12 2013-02-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処理対象画像生成装置、処理対象画像生成方法、及び操作支援システム
US8400564B2 (en) * 2010-05-03 2013-03-19 Microsoft Corporation Image capture
US8781152B2 (en) * 2010-08-05 2014-07-15 Brian Momeyer Identifying visual media content captured by camera-enabled mobile device
CN102073997B (zh) * 2011-01-12 2012-11-07 东华理工大学 小型文档图像透视复原方法
JP5724544B2 (ja) 2011-03-31 2015-05-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2524B2 (ja) * 2011-11-21 2015-10-28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173109B1 (ko) 2014-09-05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279026B1 (ko) * 2014-11-07 202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여 보정한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72310B1 (ko) 2014-11-18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CN104754224A (zh) * 2015-03-23 2015-07-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173038A (zh) * 2015-08-05 2015-12-23 魏芳 结合小波滤波和中值滤波的船下暗礁识别装置
US10970576B2 (en) * 2018-08-27 2021-04-06 Daon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image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119A (ja) 1999-05-20 2000-11-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動作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057650A (ja) 1999-08-17 2001-02-27 Nikon Corp 画像処理パラメータの受け渡し方法、画像入力装置、画像入力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画像処理パラメータ受け渡し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074351A (ja) 2000-08-30 2002-03-15 Minolta Co Ltd 歪み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歪み補正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347683B1 (ko) 1995-10-05 2002-12-1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와컴퓨터기기간의인터페이스를구비한촬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721A (en) * 1990-02-07 1995-06-27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diting image by using image conversion
JP2929802B2 (ja) * 1991-09-20 1999-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指紋照合システム
JPH08256295A (ja) * 1994-12-21 1996-10-01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760925A (en) * 1996-05-30 1998-06-02 Xerox Corporation Platenless book scanning system with a general imaging geometry
US6219129B1 (en) * 1997-09-11 2001-04-17 Fuji Photo Film Co., Ltd. Print system
EP0984319B1 (en) 1998-07-08 2004-01-02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Camera with keystone distortion correction
JP2000138856A (ja) * 1998-10-29 2000-05-16 Seiko Epson Corp 画像入力装置、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EP1067362A1 (en) 1999-07-09 2001-01-10 Hewlett-Packard Company Document imaging system
JP4700164B2 (ja) * 2000-04-24 2011-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US6999117B2 (en) * 2000-05-16 2006-02-14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redefined information and processing images thereof
JP2002325200A (ja) * 2001-04-26 2002-11-08 Victor Co Of Japan Ltd 資料提示装置
JP2002354331A (ja) 2001-05-25 2002-12-06 Canon Inc 画像撮影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873732B2 (en) * 2001-07-09 2005-03-2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perspective distortion in a document image and for calculating line sums in images
JP2003283964A (ja) * 2002-03-26 2003-10-03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表示装置
JP3879560B2 (ja) * 2002-03-27 2007-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画像表示装置
NZ518092A (en) 2002-03-28 2004-11-26 Pulse Data Internat Ltd Low vision video magnifier viewing apparatus having digital zoom fea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83B1 (ko) 1995-10-05 2002-12-1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와컴퓨터기기간의인터페이스를구비한촬상시스템
JP2000333119A (ja) 1999-05-20 2000-11-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動作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057650A (ja) 1999-08-17 2001-02-27 Nikon Corp 画像処理パラメータの受け渡し方法、画像入力装置、画像入力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画像処理パラメータ受け渡し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074351A (ja) 2000-08-30 2002-03-15 Minolta Co Ltd 歪み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歪み補正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3828B2 (ja) 2006-02-08
EP1524841A1 (en) 2005-04-20
EP1524841B1 (en) 2015-01-21
US20050078200A1 (en) 2005-04-14
CN1607824A (zh) 2005-04-20
JP2005123708A (ja) 2005-05-12
KR20050036744A (ko) 2005-04-20
US7129974B2 (en) 2006-10-31
CN1330179C (zh)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582B1 (ko) 화상처리시스템 및 화상처리방법과, 전자카메라 및화상처리장치
JP4956988B2 (ja) 撮像装置
KR100656780B1 (ko) 해상도의 변환기능을 구비한 표시화상생성장치, 촬상투영장치, 촬상투영시스템, 이에 관련된 생성방법 및 관련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459209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3535724B2 (ja) 画像撮像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5782813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11040898A (ja) 撮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45961B2 (ja) 撮像装置
JP201107765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33017B2 (ja) 撮像装置
JP4561397B2 (ja) 画像取得方法、及びカメラ装置
JP200703658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96562B2 (ja) 撮像装置、及び画質表示方法
JP4127279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と、電子カメラ
JP440197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78003A (ja) 画像処理装置
JP2009284124A (ja) 書画カメラ及びその撮影方法、書画カメラシステム
JPH1079882A (ja) 画像入力装置
JP560605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05347885A (ja) 撮像装置、撮影範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358981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6014217A (ja) 撮像装置
JP2010118887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2006237713A (ja) 撮像装置、マーク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8795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