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341B1 -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 Google Patents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341B1
KR100608341B1 KR1019990064720A KR19990064720A KR100608341B1 KR 100608341 B1 KR100608341 B1 KR 100608341B1 KR 1019990064720 A KR1019990064720 A KR 1019990064720A KR 19990064720 A KR19990064720 A KR 19990064720A KR 100608341 B1 KR100608341 B1 KR 10060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internal reference
output
voltage
vr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513A (ko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6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34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말 동작시와 리프레쉬 동작시 공급하는 내부 기준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시켜 리프레쉬 동작시에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DRAM 셀에 더 많은 전하를 충전하여 긴 리프레쉬 주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는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전압 조정신호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의 전압레벨을 조절하여 DRAM 셀 레벨의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과 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의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시켜,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레벨조정부와; 이 기준전압 레벨조정부에서 출력된 노말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이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전압을 발생시켜 DRAM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 각각에 공급하는 내부전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리프레쉬 동작시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 과 비트라인에 노말 동작시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셀에 충전되는 전하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긴 리프레쉬 주기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 Refresh

Description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Power supply circuit for DRAM Cell}
도 1 은 종래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2 는 종래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에서 출력되는 내부전압을 도시한 그래프.
도 3 은 DRAM 셀의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어펄스의 발생 시점을 설명하기위한 타이밍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에서 출력되는 내부전압을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준전압 발생기 20 : 기준전압 레벨조정부
21 :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
22 :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
23 : 내부 기준전압 스위칭부
30 : 내부전압 발생기
NOR1,2 : 제1 및 제2 노아 게이트 R10∼R31 : 저항
NM0∼NM7 : nMOS트랜지스터 PM1,2 : pMOS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중 리프레쉬가 필요한 DRAM의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내부전압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말 동작시와 리프레쉬 동작시 공급하는 내부 기준전압을 각각 다르게 발생시켜 리프레쉬 동작시에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DRAM 셀에 더 많은 전하(Charge)를 충전하여 긴 리프레쉬 주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회로는 회로전체의 로직에 사용되는 전압레벨과 실제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은 동일하지않다. 즉, 회로의 로직에 관계되는 전압레벨보다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이나 비트라인 등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더 낮다.
따라서, 메모리 회로의 로직에 사용되는 기준전압의 레벨을 하향 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워드라인이나 비트라인 등에 인가할 내부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원공급회로가 필요하게된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종래의 DRAM 셀 전원공급회로는 기준전압 발생기(1)로부터 발생된 기준전압(Vref0)을 인가받아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조절하여 DRAM 셀 레벨의 내부 기준전압(VrefN)을 출력하는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와; 이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에서 출력된 내부 기준전압(VrefN)을 입력받아, 이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전압(VWL, VBL, VPL)을 발생시켜 DRAM 셀의 워 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 각각에 공급하는 내부전압 발생기(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준전압 발생기(1)로부터 발생된 기준전압(Vref0)은 반도체 메모리 회로의 기타 로직에서 사용되는 기준전압이며,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된 저항들(R1, R2, R3)과 전압 조정신호(T0∼T3)의 논리레벨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이 저항들(R1, R2, R3)이 연결된 각 노드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는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하향조절한 전압을 DRAM 셀 레벨의 내부 기준전압(VrefN)으로 출력하게된다.
이 내부 기준전압(VrefN)을 입력받은 내부전압 발생기(3)는 인가된 내부 기준전압(VrefN)을 기준으로 이에 비례하는 워드라인 전압(VWL) 및 비트라인 전압(VBL)을 발생시키고 또, 플레이트 전압(VPL)도 출력한다. 이 때 발생되는 각 내부 전압들(VWL, VBL, VPL)은 통상적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은 전압 레벨을 가지며, 이들 내부 전압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RAM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에 각각 인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DRAM 셀 전원공급회로는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Read 또는 Write하는 노말 동작시와 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터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쉬 동작시, 두 경우 모두 동일한 내부 전압(VWL, VBL, VPL)을 메모리 셀에 공급하게된다.
그러므로, 메모리 칩의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리프레쉬 동작시 셀에 충전되는 전하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리프레쉬에의한 데이터의 안정성이 떨어지게된다.
이런 경우, 저장된 데이터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면 리프레쉬 주기를 짧게하여 자주 리프레쉬를 해야만하는데, 이렇게되면 잦은 리프레쉬 동작으로인해 칩 내에 소비되는 전류의 양이 많아지게되고, 이는 칩 내에서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게되므로 결국, 칩의 동작특성 전체를 악화시키게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노말 동작시와 리프레쉬 동작시 공급하는 내부 기준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시켜 리프레쉬 동작시에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DRAM 셀에 더 많은 전하(Charge)를 충전하여 긴 리프레쉬 주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전압 조정신호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의 전압레벨을 조절하여 DRAM 셀 레벨의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과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시켜,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레벨조정부와; 이 기준전압 레벨조정부에서 출력된 노말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이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전압을 발생시켜 DRAM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 각각에 공급하는 내부전압 발생기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4 내지 도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는 기준전압 발생기(10)로부터 기준전압(Vref0)을 입력받아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조절하여 DRAM 셀 레벨의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과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시켜,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0)와; 이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0)에서 출력된 노말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을 입력받아, 이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전압(VWLn:VWLr, VBLn:VBLr, VPLn:VPLr)을 발생시켜 DRAM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 각각에 공급하는 내부전압 발생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4에 도시된 기준전압 발생기(10)와 여기서 출력되는 기준전압(Vref0)은 도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기준전압 발생기(1)와 그 출력인 기준전압(Vref0)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부전압 발생기(30) 역시 종래기술의 내부전압 발생기(3)와 동일한 것이며, 워드라인 전압(VWL) 출력라인과 비트라인 전압(VBL) 출력라인 각각을 두 개의 라인으로 도시한 것은 내부 기준전압으로 입력되는 서로 다른 두 전압(Vref_n:Vref_r)대해 각각 다른 전압레벨의 내부전압(VWLn:VWLr, VBLn:VBLr)을 발생시킴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0)는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입력받은 기준전압(Vref0)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전압레벨의 전압(Vref_n)을 출력하는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와;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입력받은 기준전압(Vref0)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전압레벨의 전압(Vref_r)을 출력하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2)와;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에서 출력한 내부 기준전압(Vref_n)과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2)에서 출력한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입력받아, 제어펄스(S1, S2)의 제어에 의해, 노말 동작용 또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내부 기준전압 스위칭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는 직렬 연결된 저항들(R10, R20, R30)과 전압 조정신호(T0∼T3)의 논리레벨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이 저항들(R10, R20, R30)이 연결된 각 노드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들(NM0∼NM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는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하향조절한 전압을 DRAM 셀 레벨의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으로 출력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는 종래기술의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 력부(21)에서 출력되는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은 종래기술의 기준전압 레벨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내부 기준전압(VrefN)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2)는 직렬 연결된 저항들(R11, R21, R31)과 전압 조정신호(T0∼T3)의 논리레벨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이 저항들(R11, R21, R31)이 연결된 각 노드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들(NM4∼NM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2)의 저항(R11)을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의 저항(R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값을 갖는 저항으로 이루어지거나, 저항(R31)을 저항(R30)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저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2)는,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와 마찬가지로,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하향조절한 전압을 DRAM 셀 레벨의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r)으로 출력하게되며, 이 때, 출력되는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r)은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전압이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부 기준전압 스위칭부(23)는 제1 제어펄스 신호(S1)와 제2 노아 게이트(NOR2)의 출력을 입력받아 부정적 논리합 동작하여 출력하는 제1 노아 게이트(NOR1)와; 제2 제어펄스 신호(S2)와 제1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을 입력받아 부정적 논리합 동작하여 출력하는 제2 노아 게이트(NOR2)와; 제1 노아 게이트의 출 력을 입력받아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INV)와; 게이트로 인버터(INV)의 출력을 인가받아 온/오프 동작하여,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1)에서 출력한 전압(Vref_n)을 내부전압 발생기(30)로 인가하는 pMOS트랜지스터(PM1)와; 제1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을 인가받아 온/오프 동작하여,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22)에서 출력한 전압(Vref_r)을 내부전압 발생기(30)로 인가하는 pMOS트랜지스터(PM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펄스(S1, S2) 각각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된다.
즉, 제1 제어펄스(S1)은 리프레쉬 동작의 시작 시점(Refresh Entry)에서 "하이"레벨로 1회 발생되며, 제2 제어펄스(S2)는 리프레쉬 동작의 종료 시점(Refresh Exit)에서 "하이"레벨로 1회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펄스(S1, S2)의 입력에의해 제1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전압은, 제1 제어펄스(S1)가 입력된 이후는 "로우"레벨이 되고 제2 제어펄스(S2)가 입력된 이후는 다시 "하이"레벨이 된다.
즉, 제1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전압은, 리프레쉬 동작 구간에서 "로우"가 되고 노말 동작 구간에서는 "하이"가 되며 이에 따라 pMOS트랜지스터(PM1, PM2)가 각각 교호로 온/오프 동작하게된다.
이에 따라, 내부 기준전압 스위칭부(23)는 DRAM의 노말 동작시에는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을 내부전압 발생기(30)로 인가하며, 리프레쉬 동작시에는 노말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n)보다 더 높은 레벨의 리프레쉬 동작용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내부전압 발생기(30)로 인가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두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을 입력받는 내부전압 발생기(30)는 입력된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의 레벨에 따라 이에 비례하는 전압 레벨의 내부전압(VWLn:VWLr, VBLn:VBLr, VPLn:VPLr)을 발생시켜 DRAM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에 각각 인가하게된다.
이 때, 내부전압 발생기(30)에서 출력되는 워드라인 전압(VWL), 비트라인 전압(VBL) 및 플레이트 전압(VPL)을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는 노말 모드의 동작시에는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한 전압레벨의 내부전압(VWLn, VBLn, VPLn)을 메모리 셀에 인가하며, 리프레쉬 모드의 동작시에는 노말 모드시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레벨의 워드라인 전압(VWLr) 및 비트라인 전압(VBLr)을 인가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는 리프레쉬 동작시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에 노말 동작시 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셀에 충전되는 전하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긴 리프레쉬 주기를 가질 수 있어 반복된 리프레쉬 동작으로인해 칩 내에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준전압(Vref0)을 입력받아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조절하여 리프레쉬동작시 공급하는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r)이 노말동작시 공급되는 제1 내부 기준전압(Vref_n)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갖도록 하면서 노말동작시 공급되는 DRAM 셀 레벨의 제1 내부 기준전압(Vref_n)과 리프레쉬동작시 공급되는 DRAM 셀 레벨의 또다른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각각 발생시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레벨조정부와;
    상기 기준전압 레벨조정부에서 출력된 제1 또는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을 입력받아, 이에 비례하는 각기 다른 내부전압(VWLn:VWLr, VBLn:VBLr, VPLn:VPLr)을 발생시켜 DRAM 셀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및 플레이트 각각에 공급하는 내부전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레벨조정부는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입력받은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하향 조절한 노말동작시 공급하는 제1 내부 기준전압(Vref_n)을 출력하는 제1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와;
    전압 조정신호(T0∼T3)의 제어에 의해, 입력받은 기준전압(Vref0)의 전압레벨을 하향 조절한 리프레쉬동작시 공급하는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출력하는 제2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와;
    상기 제1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에서 출력한 제1 내부 기준전압(Vref_n)과 상기 제2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에서 출력한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입력받아, 제어펄스(S1, S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n:Vref_r)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내부 기준전압 스위칭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는 리프레쉬동작시 공급하는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r)이 노말동작시 공급되는 제1 내부 기준전압(Vref_n)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 레벨의 내부 기준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전압 스위칭부는 리프레쉬 동작의 시작 시점에서 발생되는 제1 제어펄스 신호(S1)와 제2 노아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부정적 논리합 동작하여 출력하는 제1 노아 게이트와;
    리프레쉬 동작의 종료 시점에서 발생되는 제2 제어펄스 신호(S2)와 상기 제1 노아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부정적 논리합 동작하여 출력하는 제2 노아 게이트와;
    상기 제1 노아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 출력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제1 내부 기준전압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내부 기준전압(Vref_n)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1 pMOS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아 게이트 출력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제2 내 부 기준전압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내부 기준전압(Vref_r)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2 pMOS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DRAM 셀의 전원공급회로.
KR1019990064720A 1999-12-29 1999-12-29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KR10060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720A KR100608341B1 (ko) 1999-12-29 1999-12-29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720A KR100608341B1 (ko) 1999-12-29 1999-12-29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513A KR20010064513A (ko) 2001-07-09
KR100608341B1 true KR100608341B1 (ko) 2006-08-09

Family

ID=1963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720A KR100608341B1 (ko) 1999-12-29 1999-12-29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901B1 (ko) * 1998-03-03 2005-07-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메모리의리프레쉬제어회로
KR100943142B1 (ko) * 2003-12-24 2010-02-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입력 버퍼
KR100968147B1 (ko) * 2004-08-19 2010-07-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구동회로
KR101143395B1 (ko) * 2005-09-13 2012-05-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의 주변회로 전원 공급 장치
KR101035408B1 (ko) 2009-07-01 2011-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667A (ja) * 1996-08-07 1998-02-24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9990013146A (ko) * 1997-07-31 1999-02-25 윤종용 리프레시 동작모드시 소비되는 동작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667A (ja) * 1996-08-07 1998-02-24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9990013146A (ko) * 1997-07-31 1999-02-25 윤종용 리프레시 동작모드시 소비되는 동작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513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4699A (en) DRAM with reduced electric power consumption
JP3124781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548468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KR100523100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20060053426A (ko)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수행 방법
KR20000006548A (ko) 증속구동감지증폭기및소스폴로워형의안정화된전원회로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KR20040014151A (ko) 안정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317218B1 (ko) 불안정한전원전압하에서일정한펄스주기로펄스신호를발생시키는링오실레이터
US6704237B2 (en) Circuits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s provided to memory arrays based on requested operations and methods of operating
KR10072897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위 발생 회로
KR100608341B1 (ko) 디램 셀의 전원공급회로
US556383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ced consumption power and refreshing method of the same
KR0173934B1 (ko) 내부전원전압 공급장치
JP3735698B2 (ja) 内部電圧発生回路
KR20130072085A (ko) 반도체 집적회로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KR100624624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767218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fresh signal generator and its driving method
KR100294450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어레이내부전원전압발생회로
KR20020052224A (ko) 테스트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JP4804609B2 (ja) セルアレイ電源の上昇を防止したメモリ回路
US5771198A (en) Sour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GB2296593A (en) Boosting voltage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7226075A (ja) 半導体記憶装置
US11984151B2 (en) Adaptive bit line overdrive control for an in-memory compute operation where simultaneous access is made to plural rows of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JPH07296581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