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669B1 -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669B1
KR100606669B1 KR1019990018109A KR19990018109A KR100606669B1 KR 100606669 B1 KR100606669 B1 KR 100606669B1 KR 1019990018109 A KR1019990018109 A KR 1019990018109A KR 19990018109 A KR19990018109 A KR 19990018109A KR 100606669 B1 KR100606669 B1 KR 100606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focus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serv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297A (ko
Inventor
박상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669B1/ko
Priority to JP2000148052A priority patent/JP3577258B2/ja
Priority to US09/573,349 priority patent/US6842414B1/en
Publication of KR2000007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5Methods for initialising servos, start-up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광기록 매체 시스템에서 광 기록매체의 틸트를 검출하고 이를 보상하는 틸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고 각 지점에서의 정포커스시의 전압 레벨 또는 정포커스가 되는 주기를 구하고 그 차이로부터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하여 틸트를 보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밀도 광 디스크에서 별도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틸트를 검출하여 보상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및 재생시 틸트로 인한 데이터의 품질 저하를 막고, 틸트로 인한 디트랙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Figure 111999004947318-pat00001
틸트, 포커스 서치

Description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Method for recording/playing of optical record med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의 (a) 내지 (c)는 포커스 서치 수행시 인가되는 포커스 서치 파형과 틸트에 따라 달라지는 포커스 에러 신호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3은 틸트가 +x 방향으로 발생하였을때의 FZC 위치 이동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광 디스크 102 : 광 픽업
103 :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 104 : 엔코더
105 :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 106 : 데이터 디코더
107 : 서보 제어부 108 : 포커스 서보 구동부
109 : 트랙킹 서보 구동부 110 : 틸트 구동부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기록매체의 틸트(tilt)를 검출하고 이를 보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기록 매체는 반복 기록의 가능여부에 따라 읽기 전용의 롬(ROM)형과, 1회 기록 가능한 웜(WORM)형 및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형 등으로 크게 3종류로 나뉘어진다.
이 중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 매체 예컨대, 광 디스크로는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Rewritable Compact Disc ; CD-RW)와 재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writable Digital Versatile Disc ; DVD-RW, DVD-RAM) 등이 있다.
상기된 재기록 가능 광 기록 매체 예컨대, DVD-RAM과 같은 광 디스크는 산(Land)과 골(Groove)의 구조로 된 신호 트랙을 두어, 정보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디스크에서도 트랙킹 제어를 할 수 있게 하며, 최근에는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산과 골의 트랙에 각각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있다. 즉, 기록/재생하는 광 픽업의 레이저 광 파장을 단파장화하고, 집광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크게하여 기록 재생하는 광빔의 크기를 작게한다.
이러한 재기록 가능형 고밀도 광 디스크에서는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신호 트랙간의 거리 즉, 신호트랙피치를 작게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광 디스크는 제조 공정상 수지의 사출 및 경화 과정에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중심 구멍이 뚫려있어도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트랙은 정해진 규격의 피치로 나선 모양으로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어도 중심 구멍이 편차가 있기 때문에 편심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디스크는 편심을 동반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모터의 중심축과 이들 트랙의 중심이 완전히 일치하기 는 힘들다.
이로 인해, 정확하게 원하는 트랙의 신호만을 읽는 것이 어려우므로 CD, DVD 방식에서는 이 어긋난 양에 대해서 규격을 정하고 이러한 편심이 일어나더라도 광빔이 항상 원하는 트랙을 쫓아갈 수 있도록 트랙킹 서보를 하고 있다.
즉, 상기 트랙킹 서보는 빔 트레이스 상태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만들고 그 신호를 기본으로 하여 대물렌즈 또는 광 픽업 본체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움직여서 빔의 위치를 수정하여 트랙을 정확히 추종하도록 한다.
한편, 빔이 해당 트랙을 벗어나는 경우는 상기된 디스크의 편심뿐만 아니라 디스크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이것은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에 장착할 때의 오차등과 같이 기구적인 문제로 발생할 수 있다. 즉, 포커싱과 트랙킹이 정확히 수직으로 일치하지 않고 틀어진다. 이와 같이 디스크가 기울어진 상태를 틸트라 한다.
이러한 틸트는 트랙피치가 넓어 틸트 마진이 큰 CD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여기서, 틸트 마진이란 디스크가 어느 정도 기울어져도 보정할 수 있는 양이다. 그러나, 광 디스크와 같은 광 응용 기기들이 고밀도화되어 가면서 트랙피치가 좁아진 DVD에서는 지터에 대한 래디얼 틸트 마진이 작으므로 틸트가 조금만 발생하여도 즉, 디스크가 약간만 기울어져도 빔이 옆 트랙으로 넘어가버리는 디트랙이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트랙킹 서보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즉, 틸트에 의해 빔이 옆 트랙으로 넘어가도 빔이 트랙의 중앙에 있으면 트랙킹 서보에서는 트랙을 정확하게 추적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되면, 재생시에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읽을 수 없게되고, 또한 기록시에 해당 트랙에 정확하게 기록할 수 없으므로 이렇게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게 되면 이중 왜곡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틸트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픽업내에 틸트 검출을 위한 전용 틸트 센서 예컨대, 틸트 전용 수광 소자를 따로 두고 디스크의 틸트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방법은 효율은 별로 안 좋으면서 셋트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를 검출하고 이를 조정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은, 광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고 각 지점에서의 정포커스시의 전압 레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한 내주와 외주의 전압 레벨의 차이로부터 틸트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틸트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틸트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전압 레벨은 포커스 서치 수행시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서치 파형의 전압 레벨인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틸트량 검출 단계는 상기 내주와 외주의 각 지점에서 구한 두 전압 레벨의 차 신호의 부호로부터 틸트의 방향을 검출하여 틸트 보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은, 광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고 각 지점에서 정포커스가 되는 주기를 구하는 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한 내주와 외주의 주기의 차이로부터 틸트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틸트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틸트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정포커스 주기는 해당 지점에서의 포커스 서치 업과 다운시에 각각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신호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량 검출 단계는 상기 내주와 외주의 각 지점에서 구한 두 주기의 차 신호의 부호로부터 틸트의 방향을 검출하여 틸트 보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량 검출 단계는 각 해당 지점에서 구한 틸트량으로부터 전체 광 기록매체의 틸트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 서보 단계는 전체 디스크의 틸트량을 저장해두고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해당 기록재생지점에서 틸트량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틸트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은, 광 기록매체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틸트의 크기와 방향으로 틸트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틸트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 검출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면서 내, 외주의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에서 구한 두 포커스 서치 전압의 차 값으로부터 틸트의 크기를 검출하고, 그 차 값의 부호로부터 틸트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 검출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면서 구한 두 정포커스 주기의 차 값으로부터 틸트의 크기를 검출하고, 그 차 값의 부호로부터 틸트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광 기록매체 즉, 광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고, 그때 검출되는 정포커스의 레벨 또는 정포커스가 되는 주기를 이용하여 틸트를 검출하고 보상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틸트 검출을 위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101), 상기 광 디스크(101)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 픽업(102), 상기 광 픽업(102)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 상기 광 디스크(101)에 기록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의 제어 신호에 의해 기록할 데이터를 광 디스크(101)가 요구하는 포맷의 기록 펄스로 부호화하는 엔코더(104), 상기 엔코더(104)의 기록 펄스를 레이저 다이오드(LD)의 기록 파워로 변환하여 광 픽업(102)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LD)를 구동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103), 상기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에서 검출된 고주파(RF)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디코더(106), 상기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각각 신호처리하여 포커스 구동 신호와 트랙킹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를 검출함에 의해 틸트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서보 제어부(107), 상기 서보 제어부(107)에서 출력되는 포커스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광 픽업(102)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포커스 서보 구동부(108), 상기 서보 제어부(107)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광 픽업(102)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트랙킹 서보 구동부(109), 및 상기 서보 제어부(107)에서 출력되는 틸트 구동 신호에 따라 광 픽업(102)을 제어하여 틸트를 보상하는 틸트 구동부(1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틸트 구동부(110)는 틸트 서보 메카니즘으로서, 광 픽업을 움직이거나 또는 디스크 자체를 움직여 틸트를 보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광 디스크(101)는 신호 트랙이 랜드와 그루브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랜드 또는 그루브의 트랙뿐만 아니라 랜드와 그루브의 트랙에 모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이때, 광 픽업(102)은 서보 제어부(107)의 제어에 의해 대물 렌즈에 집광된 광빔이 광 디스크(101)의 신호 트랙위에 놓이게 하고, 또한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하여 들어온 광을 다시 대물렌즈로 집광한 후 포커스 에러 신호와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을 위해 광 검출기로 입사한다. 상기 광 검출기는 다수개의 광 검출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가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로 출력된다.
상기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는 상기 광 픽업(102) 내의 광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위한 고주파(RF) 신호,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랙킹 에러 신호(TE) 등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고주파(RF) 신호는 재생을 위해 데이터 디코더(106)로 출력되고, FE, TE와 같은 서보 에러 신호는 서보 제어부(107)로 출력되며, 데이터 기록을 위한 제어 신호는 엔코더(104)로 출력된다.
상기 엔코더(104)는 제어 신호에 따라 기록할 데이터를 광 디스크(101)가 요구하는 포맷의 기록 펄스로 부호화한 후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103)로 출력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103)는 상기 기록 펄스에 해당하는 기록 파워로 광 픽업(102)의 레이저 다이오드(LD)를 구동시켜 광 디스크(101)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광 디스크(101)에 기록된 데이터 재생시 상기 데이터 디코더(105)는 상기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에서 검출된 고주파(RF) 신호로부터 원래 형태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서보 제어부(107)는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신호 처리하여 포커싱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포커스 서보 구동부(108)로 출력하고,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신호 처리하여 트랙킹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트랙킹 서보 구동부(109)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서보 구동부(108)는 광 픽업(102)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02)을 상하로 움직여 광 디스크(101)가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해가도록 한다. 즉, 집광하는 대물렌즈를 상하 즉 포커스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포커스 제어신호에 따라 대물렌즈와 광 디스크(101)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트랙킹 서보 구동부(109)는 광 픽업(102) 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에 의해 광 픽업(102)의 대물렌즈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움직여서 빔의 위치를 수정하고, 소정의 트랙을 추종한다.
한편, 상기 서보 제어부(107)는 디스크의 틸트를 검출하기 위해 디스크가 새로이 삽입되면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한다.
여기서, 포커스 서치란 광 픽업내의 대물렌즈를 상하 즉, 포커스축 방향으로 움직여보면서 포커스가 제일 잘 맞는 위치를 찾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 포커스 액츄에이터에 인가하는 전압의 파형을 포커스 서치 파형이라 한다.
즉, 광 픽업(102)은 서보 제어부(107)의 제어에 의해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셋트하고 임의의 시간을 설정한 후 포커스 액츄에이터 코일의 전류를 증대시키면 대물렌즈가 상승하여 포커스 서치 업이 수행된다.
이때, 대물 렌즈의 초점심도 내에 디스크의 반사층이 가깝게 오면 노이즈(Noise)가 있는 포커스 에러(FE)가 나오기 시작한다.
그 후 대물렌즈의 계속적인 상승 동작으로 인해 레이저 광이 반사층을 벗어나서 그 반사층의 상부에 위치한 보호층에 포커싱되면(즉,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서보 제어부(107)의 제어에 의해 포커스 코일의 구동 전류가 낮아지면서 대물렌즈도 점차 다운되어 최종적으로 반사층에 포커싱이 되면 광 검출기의 광 검출 소자는 정확한 포커싱에 해당하는 광량을 수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 검출 소자에 수광하는 광량을 기초로 임의의 포커스 에러 신호가 고주파(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5)에 의해 검출된다.
도 2는 이러한 포커스 서치를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수행한 경우의 포커스 서치 파형과 이때의 포커스 에러 신호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이때, 광 검출 소자에 맺히는 상이 포커스 상태에 따라 바뀌는데 포커스 에 러 신호가 0인 위치 예컨대, 포커스가 제일 잘 맞는 정포커스 위치를 포커스 제로 크로스(Focus Zero Cross ; FZC) 위치라 한다. 즉, 포커스 S-커브가 발생하면 이의 제로 크로싱 예컨대, 포커스 에러 신호를 기준 레벨로 슬라이스하는 위치를 FZC 위치라 한다. 그리고, 포커스 제로 크로스 신호는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는 포커스 서치 업과 포커스 서치 다운시에 각각 검출된다.
그런데, 디스크 및 렌즈 틸트가 존재하게 되면 내주와 외주에서 검출되는 FE 신호의 전압 레벨 즉, FZC 위치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서치 전압이 달라진다. 이를 DC 레벨이라고도 하며 틸트에 따라 이 DC 레벨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면서 상기 DC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두 DC 레벨의 차를 구하면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틸트의 크기 = V내주 - V외주
여기서, V내주는 디스크 내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FZC 위치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서치 파형의 전압을 의미하고, V외주는 디스크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FZC 위치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서치 파형의 전압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수학식 1에서 V내주-V외주한 결과를 α라 하면, α값으로 틸트의 크기를 알 수 있고, α의 부호로 틸트의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α의 부호가 -이면 + 방향으로 α만큼 틸트를 보상하면 되고, α의 부호가 +이면 -방향으로 α만큼 틸트를 보상하면 된다. 즉, 틸트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상하면 된다.
또한, 포커스 서치 수행시에 정포커스가 되는 주기가 틸트에 따라 내주와 외주에서 달라진다. 즉, 포커스 서치 업시 FZC 신호가 검출되는 시간부터 포커스 서치 다운시 FZC 신호가 검출되는 시간까지를 주기라 하며, 이 주기가 틸트의 크기에 따라 내주와 외주에서 달라진다.
그러므로,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면서 상기 주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두 주기의 차를 구하면 마찬가지로,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틸트 크기 = -(T내주 - T외주)
여기서, T내주는 디스크 내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포커스 서치 업과 다운시에 검출되는 FZC 신호의 주기를 의미하고, T외주는 디스크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포커스 서치 업과 다운시에 검출되는 FZC 신호의 주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FZC 위치에서 검출되는 전압 레벨과 주기는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T내주-T외주)한 결과를 β라 하면, β값으로 틸트의 크기를 알 수 있고, β의 부호로 틸트의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β의 부호가 -이면 + 방향으로 β만큼 틸트를 보상하면 되고, β의 부호가 +이면 -방향으로 β만큼 틸트를 보상하면 된다. 즉, 틸트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상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보 제어부(105)는 상기된 방법(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으로 구한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신호 처리함에 의해 틸트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틸트 구동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틸트 구동부(110)는 상기 틸트 구동 신호에 따라 즉, 틸트의 크기만큼 + 또는 - 방향으로 디스크를 이동시키거나 광 픽업을 이동시켜 틸트를 직접 제어한다.
도 2는 그 예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a)는 틸트가 없는 경우를 보이고 있고, 도 2의 (b)는 +x 방향으로 틸트가 발생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즉, 전압 레벨을 보면, 내주에서 구한 FZC 위치의 포커스 서치 전압(V내주)보다 외주에서 구한 FZC 위치의 포커스 서치 전압(V외주)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주기를 보면 내주에서 구한 FZC 신호의 주기(T내주)보다 외주에서 구한 FZC 신호의 주기(T외주)가 더 짧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x 방향으로 틸트가 발생한 경우에 FZC 위치가 이동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틸트의 크기에 따라 FE의 Vpp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의 (c)는 -x 방향으로 틸트가 발생한 경우를 보이고 있으며, 이때는 도 2의 (b)와 반대의 결과를 얻는다.
그리고, 디스크 상의 다수개의 지점에서 상기된 방법으로 틸트를 검출하면 디스크의 기울어진 궤적을 만들 수 있으며 이로부터 디스크의 전체 틸트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된 방법으로 각 위치에서 구한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저장한 후 실제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해당 기록재생 지점에서 상기 저장된 틸트량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틸트를 조절하면 그 위치에서 별도로 틸트를 검출하는 시간이 필요없게 된다. 이는 결국 서보를 빨리 안정화시키며 리얼 타임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틸트 조정 또는 서보를 행할 때 상기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로 광 축과 디스크 면 사이의 틸트 량을 검출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에 의하면,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고 각 지점에서의 정포커스시의 전압 레벨 또는 정포커스가 되는 주기를 구하고 그 차이로부터 틸트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하여 보상함으로써, 고밀도 광 디스크에서 별도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틸트를 검출하여 보상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및 재생시 틸트로 인한 데이터의 품질 저하를 막고, 틸트로 인한 디트랙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광 기록매체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면서 각 지점의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에서 포커스 서치 전압을 검출하고, 두 포커스 서치 전압의 차 값으로부터 틸트의 크기를, 그 차 값의 부호로부터 틸트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틸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틸트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검출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를 검출하고 이로부터 광 기록매체의 전체 위치에 대응하는 틸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서보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 정보를 검출한 후 저장하고, 이후 실제 데이터 기록시에 기 저장된 틸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점에서 틸트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6. 광 기록매체의 내주와 외주의 특정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면서 각 지점에서 정포커스가 되는 주기를 구하고, 두 정포커스 주기의 차 값으로부터 틸트의 크기를, 그 차 값의 부호로부터 틸트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틸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틸트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정포커스 주기는
    해당 지점에서의 포커스 서치 업과 다운시에 각각 포커스 서보 온에 해당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제로 크로스 신호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검출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를 검출하고 이로부터 광 기록매체의 전체 위치에 대응하는 틸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서보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포커스 서치를 수행하여 틸트 정보를 검출한 후 저장하고, 이후 실제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기 저장된 틸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점에서 틸트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와 외주의 각 지점의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는 포커스 서치 업이 수행되는 동안 검출된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와 외주의 각 지점의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는 포커스 서치 다운이 수행되는 동안 검출된 포커스 제로 크로스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19990018109A 1999-05-19 1999-05-19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0606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109A KR100606669B1 (ko) 1999-05-19 1999-05-19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JP2000148052A JP3577258B2 (ja) 1999-05-19 2000-05-19 光記録媒体のチルト補償装置及びその方法
US09/573,349 US6842414B1 (en) 1999-05-19 2000-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ilt of optical dis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109A KR100606669B1 (ko) 1999-05-19 1999-05-19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97A KR20000074297A (ko) 2000-12-15
KR100606669B1 true KR100606669B1 (ko) 2006-07-31

Family

ID=1958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109A KR100606669B1 (ko) 1999-05-19 1999-05-19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42414B1 (ko)
JP (1) JP3577258B2 (ko)
KR (1) KR100606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2388B (en) * 2001-05-11 2003-03-01 Via Tech Inc Compact disc player with vibration inhibition
KR100521921B1 (ko) * 2001-09-20 2005-10-13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의 면진동 판별방법 및 장치
US7054241B2 (en) * 2001-12-19 2006-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JP3815340B2 (ja) 2002-02-04 2006-08-3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チルト補償方法
JP3558219B2 (ja) * 2002-02-25 2004-08-25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チルト制御装置
US7164638B2 (en) * 2002-03-04 2007-0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ing it and aberration correction method
US7164639B2 (en) * 2002-08-30 2007-01-16 Sanyo Electric Co., Ltd. Tilt control for optical disc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20040025256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 픽업과 광 디스크 사이의 틸트 판별 방법
KR20040042253A (ko) 2002-11-13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 디스크 판별 장치,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데이터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48610A (ko) * 2002-12-04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의 틸트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49463A (ko) * 2002-12-06 200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의 틸트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US7239582B2 (en) * 2003-01-13 2007-07-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polation of optical disc vertical displacement information
US7277366B2 (en) 2003-02-28 2007-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4280987A (ja) * 2003-03-18 2004-10-07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KR100510534B1 (ko) * 2003-06-14 200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의 틸트 검출 장치 및 방법
TWI222628B (en) * 2003-07-09 2004-10-21 Mediatek Inc Method of vertical deviation disc detection
JP4175228B2 (ja) 2003-09-22 2008-11-0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方法及び記録媒体駆動装置
KR100990148B1 (ko) 2003-11-14 2010-10-29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틸트 서보 제어방법
KR100594246B1 (ko) * 2004-02-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보 타이밍 지터 보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디스크 드라이브
JP3995658B2 (ja) * 2004-02-12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IL173941A0 (en) * 2006-02-26 2007-03-08 Haim Goldberger Monolithic modules for high frequecney applications
KR100774617B1 (ko) * 2006-03-23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장치의 포커스 제어방법
TWI332658B (en) * 2006-06-14 2010-11-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Tilt error detecting apparatus, tilt calibration apparatus, tilt error detecting method and tilt calibration method
JP2008243243A (ja) * 2007-03-26 2008-10-09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10015655A (ja) * 2008-07-04 2010-01-21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チルト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549A (ja) * 1996-09-05 1998-03-3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ティルト制御方法
JPH10177729A (ja) * 1996-12-16 1998-06-30 Nec Corp 光ヘッドチ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341A (ja) * 1983-09-20 1985-04-16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2642672B2 (ja) * 1988-06-29 1997-08-20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DE69419215T2 (de) * 1993-09-22 1999-10-14 Victor Company Of Japan Automatisches Orientierungskorrektursystem für optische Plattengeräte
US5627808A (en) 1996-02-21 1997-05-06 Eastman Kodak Company Cross-track tilt error compensation method for optical disc drives
JP3439300B2 (ja) * 1996-06-11 2003-08-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判別装置
KR100370187B1 (ko) * 1998-08-05 2003-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기록재생장치,이에적합한틸트보정방법,그리고기록제어방법
DE69933830T2 (de) * 1998-09-14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Neigungserkennungsvorrichtung, optisches Plattengerät, und Neigungssteuerverfahren
JP2000132855A (ja) * 1998-10-27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0298857A (ja) * 1999-03-30 2000-10-24 Lg Electronics Inc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549A (ja) * 1996-09-05 1998-03-3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ティルト制御方法
JPH10177729A (ja) * 1996-12-16 1998-06-30 Nec Corp 光ヘッドチ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48362A (ja) 2000-12-15
JP3577258B2 (ja) 2004-10-13
KR20000074297A (ko) 2000-12-15
US6842414B1 (en) 200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669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US8184510B2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62264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KR100662263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0375223B1 (ko) 광픽업 장치 및 광픽업 틸트 제어방법
KR100587267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20000026832A (ko) 틸트 제어 방법
KR100587269B1 (ko) 틸트 제어 방법
KR100519280B1 (ko) 틸트 제어 방법
KR100493274B1 (ko) 틸트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577165B1 (ko)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KR100546571B1 (ko) 틸트 검출 방법
KR100565717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617204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100556473B1 (ko) 틸트 제어 방법
KR100556495B1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577166B1 (ko)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KR100587268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7727B1 (ko) 광 기록재생기의 틸트 제어 방법
KR100718428B1 (ko) 광디스크의 틸트 서보 제어 방법
US20060209621A1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5092992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95248B1 (ko) 상 변화형 광 디스크의 기록 제어 방법
KR100556496B1 (ko) 광 디스크 트랙킹 제어 방법
KR100887900B1 (ko) 광디스크의 틸트조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