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313B1 - 휠식 작업기 - Google Patents

휠식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313B1
KR100606313B1 KR1020040015993A KR20040015993A KR100606313B1 KR 100606313 B1 KR100606313 B1 KR 100606313B1 KR 1020040015993 A KR1020040015993 A KR 1020040015993A KR 20040015993 A KR20040015993 A KR 20040015993A KR 100606313 B1 KR100606313 B1 KR 10060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body
driver
region
seat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572A (ko
Inventor
다께무라도시히꼬
스미요시료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5002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륜을 장비하는 차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이 주행체에 선회 베어링을 거쳐서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대와, 이 선회대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과,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한 작업 장치 지지부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대지 작업 장치로 구성되는 휠식 작업기이다. 상기 차체 프레임(21)이 상기 전후륜(2, 3)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선회 베어링(36)을 지지하는 중간 영역과, 이 중간 영역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에 있는 전방부 영역과 후방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 영역에 상기 전륜(2)을 위한 전륜 현가 장치(61F)가 장비되고, 상기 후방부 영역에 상기 후륜(3)을 위한 후륜 현가 장치(61R)가 장비되어 있다.
휠식 작업기, 주행체, 선회축, 선회대, 운전석

Description

휠식 작업기{WHEELED WORK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체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2는 상기 일부 단면 평면도.
도3은 상기 중앙부의 일부 단면 평면도.
도4는 상기 중앙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5는 상기 일부 단면 정면도.
도6은 전체 전방 사시도.
도7은 전체 후방 사시도.
도8은 중앙 단면도.
도9는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10은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
도11은 후륜 현가 장치의 단면 배면도.
도12는 트랜스미션의 단면 평면도.
도13은 주행 전동계의 단면 측면도.
도14는 주행체 중앙부의 평면도.
도15는 작동유 탱크의 정면도.
도16은 스위블 조인트 전체의 단면도.
도17은 스위블 조인트 하부의 단면도.
도18은 상부 구조체 전방부의 사시도.
도19는 조종 장치의 배면도.
도20은 조종 장치의 측면도.
도21은 작업기 전체의 유압 회로도.
도22는 트랜스미션의 유압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휠식 작업기
4 : 주행체
5 : 선회축
6 : 선회대
7 : 운전석
9 : 대지 작업 장치
13 : 엔진
14 : 동력 전달 기구
15 : 선회 모터
21 : 차체 프레임
36 : 선회 베어링
40 : 스윙 부재
42 : 붐
43 : 붐 실린더
44 : 아암
45 : 아암 실린더
46 : 작업구
47 : 작업구 실린더
본 발명은, 전후륜 및 선회 대지 작업 장치를 갖는 휠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전후륜을 갖는 주행체 상에 선회 베어링을 거쳐서 선회대를 설치하고, 이 선회대 상에 운전석 및 조종 장치를 갖는 상부 구조체와, 승강 가능한 작업구를 갖는 대지 작업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엔진은 상부 구조체의 일부로서 선회대에 탑재되고, 운전석은 선회축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7017호 공보로부터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주행체의 상면은 평탄하고 전후륜의 상단부보다도 높게 위치하고, 엔진이 선회대에 있으므로 상부 구조체에는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유압 장치 등을 갖고, 엔진으로 유압 펌프를 구동하여 그 작동유를 주행체에 설치한 주행용 유압 모터에 공급하고, 트랜스미션을 거쳐서 전후륜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전후륜으로 고속로 상 주행이 가능하고, 대지 작업 장치를 선회시키면서 또한 작업구를 승강시키면서 굴삭 등의 대지 작업이 가능하지만, 엔진은 선회대 상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부 구조체는 후방부가 크게 팽창되어 선회축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가 매우 길고, 그 후단부가 후륜의 후단부로부터 더욱 크게 돌출되는 구조가 되어 있어 주행 안정성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의 선회 작업이 매우 곤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엔진뿐만 아니라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유압 장치 등도 선회대 상에 탑재되어 있음으로써, 기계 본체 무게 중심이 비교적 상위에 위치하게 되어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어렵고, 상부 구조체의 질량이 높으므로 선회 작업성도 향상시키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대지 작업 장치는 상하 요동밖에 할 수 없으므로, 선회대를 선회해도 운전석의 전방에서밖에 작업을 할 수 없고, 백 호우로 행하는 벽주변을 굴삭하는 측부 홈파기 등은, 작업 대상에는 들어가지 않고, 작업 적용 범위가 좁아 좁은 장소에서의 굴삭 작업이 매우 곤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휠식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엔진 및 엔진 관련 기기를 주행체의 후방부에 탑재하여 상부 구조체측의 중량을 경량화하는 동시에 상부 구조체의 선회 베어링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설정하고, 또한 대지 작업 장치를 좌우 요동 가능하게 한 후에, 또한 주행 안정성 및/또는 선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휠식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휠식 작업기는,
전후륜과, 엔진 및 동력 전달 기구를 갖는 주행 구동 장치와, 전후부 중 적어도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 및 접지 가능한 도우저 장치와, 연료 탱크와, 작동유 탱크와, 이들을 장비하는 차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이 주행체에 선회 베어링을 거쳐서 전체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과,
이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조종 장치와,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한 작업 장치 지지부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대지 작업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후륜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선회 베어링을 지지하는 중간 영역과, 이 중간 영역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에 있는 전방부 영역과 후방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 영역에 상기 전륜을 위한 전륜 현가 장치가 장비되고, 상기 후방부 영역에 상기 후륜을 위한 후륜 현가 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를 주행체의 최고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선회대를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하여 주행체의 중량을 무겁게 하고 또한 선회 대상측의 중량을 경감하고, 또한 대지 작업 장치를 선회대의 상측에서 지지하고 또한 좌우 요동시킬 수 있는 데다가, 주행 안정성, 대지 작업 안정성, 선회 작업성, 상 하 치수의 콤팩트화, 전후 치수의 콤팩트화, 승강 용이화, 거주 공간의 확보 또는 구성의 간소화 등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를 실현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주행체의 중핵 부재로서의 차체 프레임의 구체 구성에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좌우 측부 프레임과, 이들을 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빔으로서의 전방 프레임과, 이들을 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빔으로서의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양측부 프레임은 중간부에 위치하는 수평인 중도부와,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중도부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후방부와,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중도부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전방부와, 상기 중도부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방 이행부와 상기 중도부의 전단부와 상기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방 이행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좌우 중도부의 간격이 상기 좌우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간격보다 넓게 하는 것이나, 상기 전방부는 상기 후방부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이들은 모두 상부 구조체측의 중량을 경량화하는 동시에 상부 구조체의 선회 베어링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설정하여 주행 안정성 및/또는 선회 작업성을 향상시키므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주행체는 전후륜 사이에 있어서, 좌우 한 측에 연료 탱크를, 좌우 다른 측에 작동유 탱크를 각각 장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주행체의 좌우 및 전후 밸런스가 향상되어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의 수납 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주행체의 중간 영역의 좌우 한 측에 연료 탱크를, 좌우 다른 측에 작동유 탱크가 각각 장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체 프레임을 경량이면서 견고하게 형성하여 주행체에 있어서의 전후륜, 연료 탱크 및 작동유 탱크 등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주행체의 후방부에 엔진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 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행체를 구성하는 기기를 그 형상에 맞추어 적재 적소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선회 베어링이 전후륜 중 적어도 한 쪽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를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휠식 작업기 전체 무게 중심을 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작업 장치 지지부에 스윙축을 거쳐서 대지 작업 장치의 스윙 부재를 피봇하고, 이 스윙 부재에 횡축을 거쳐서 붐을 피봇하고, 이 붐을 승강하는 붐 실린더를 붐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를 선회하였을 때에 주행체에 대한 대지 작업 장치의 간섭을 회피하고, 또한 대지 작업 장치의 붐의 위치를 가급적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스윙 부재의 전방부를 선회대로부터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붐 및 붐 실린더가 주행체의 최고 위치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높이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 상의 거주 공간을 확보하면서 대지 작업 장치의 전체 주위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선회대 상의 운전석 배치 프레임의 후방부를 선회대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그 후방 상방 돌출부에 운전석, 대지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를 배치하여 이 운전석을 선회대의 선회시에 주행체의 상방을 통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 상의 거주 공간을 확보하면서 운전석의 전체 주위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선회대 상에 설치한 운전석 배치 프레임과 작업 장치 지지부에 각각 좌우 한 쌍의 전후 부착부를 형성하여 좌우의 전후 부착부에 대략 C자 형상의 로프스의 전후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프스의 부착을 매우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에 있어서, 휠식 작업기(1)는 크게 구별하여 전후륜(2, 3)을 갖는 4휠식 주행체(4)와, 이 주행체(4) 상에 선회축(선회 축심)(5)을 거쳐서 설치된 선회대(6) 및 그 위의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를 갖는 상부 구조체(11)와, 선회대(6)에 설치된 대지 작업 장치(9)와, 주행체(4)의 전후부에 설치된 전후 도우저 장치(스태빌라이저)(10F, 10R)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4)는 엔진(13) 및 동력 전달 기구(14)를 갖는 주행 구동 장치(12), 차체 프레임(21), 전륜(2)을 현가하고 있는 전륜 현가 장치(61F), 후륜(3)을 현가하고 있는 후륜 현가 장치(61R)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행체(4)는 후방부에 엔진(13)을 배치하고, 전방부에는 유압 장치용 절환 밸브류(54)를 모아 배치하고 있고, 상부 구조체(11)는 운전석(7)의 전방에 조종 장치(8)를 배치하고 있다.
도2, 도4, 도5, 도8 내지 도10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1)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래더 형상이고, 좌우 한 쌍의 각파이프제의 측부 프레임(22)의 전후부를 판 형상의 전후 프레임(23F, 23R)으로 연결하고, 중도부를, 선회 베어링(36)을 장착하는 베어링 지지 부재(25)로 연결하고, 그 밖에 전후 방향 복수의 연결 부재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좌우 측부 프레임(22)에는 중도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쳐서 내부에 엔진(13) 및 동력 전달 기구(14)를 배치하여 연결하고, 후방부에 탑재한 라디에이터(62)도 연결하고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기구(14)는 엔진 및/또는 좌우 측부 프레임(22)에 장착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도1과 도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21)이 상기 전후륜(2, 3)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선회 베어링(36)을 지지하는 중간 영역과, 이 중간 영역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에 있는 전방부 영역과 후방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 영역에 상기 전륜(2)을 위한 전륜 현가 장치(61F)가 장비되고, 상기 후방부 영역에 상기 후륜(3)을 위한 후륜 현가 장치(61R)가 장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도9와 도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21)이 좌우 측부 프레임(22)과, 이들을 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빔으로서의 전방 프레임(23F)과, 이들을 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빔으로서의 후방 프레임(23R)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양측부 프레임(22)은 중간부에 위치하는 수평인 중도부(22a)와, 후방에 위 치하는 상기 중도부(22a)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후방부(22r)와,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중도부(22a)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전방부(22f)와, 상기 중도부(22a)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부(22r)를 연결하는 후방 이행부(22ar)와 상기 중도부(22a)의 전단부와 상기 전방부(22f)를 연결하는 전방 이행부(22af)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우 중도부(22a)의 간격이 상기 좌우 전방부(22f) 및 후방부(22r)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전방부(22f)는 상기 후방부(22r)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측면으로부터 보아 좌우 각 측부 프레임(22)은 선회대(6)의 하방이 되는 중도부(22a)가 최하위에 위치하고, 이 중도부(22a)로부터 전후로 들어올려 후방부는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전방부는 후방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전후부의 하방에 전후륜의 현가 장치를 배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차체 프레임(21)의 선회대(6)와 오버랩하는 중도부(22a)의 상면이 전후부의 상면보다 낮고, 전후부의 하면이 중도부(22a)의 하면보다 높으므로, 종래와 같은 차체 프레임 전체가 평탄한 것에 비해 선회대(6)를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전후륜 현가 장치(61F, 61R)에 대한 선회대(6)의 대지 높이 레벨의 차를 적게 하여 무게 중심을 낮게 하고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평면으로부터 보아 좌우 각 측부 프레임(22)은 선회대(6)와 오버랩하고 있는 중도부(22a)가 전후부보다도 좌우 방향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또한 전후부로부터 전후 2개 부위에서 굴곡되어 중도부(22a)를 향해 갈수록 서로 외측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팽출 형상이 되어 있다.
좌우 각 측부 프레임(22)은 중도부(22a)의 좌우 폭을 전후부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하고, 중도부(22a)와 전후부의 이음 부분에는 상하면에 보강판(22b)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래더 형상의 차체 프레임(21)은 중도부(22a)가 전후부로부터 좌우 외측방으로 확대 개방된 형상으로, 좌우 측부가 선회대(6)의 외주보다 직경 내측이고 또한 선회 베어링(36)의 외주보다 직경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차체 프레임(21)의 중도부(22a) 내에 선회 베어링(36)이 인입하여 상하 방향에 오버랩하고 있고, 선회대(6)를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21)은 상방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의 부하에 대해서도 부하 분산을 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로, 중도부(22a)를 전후부보다도 낮게 하여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를 전후륜(2, 3)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륜 현가 장치(61F)는,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원통 구멍을 갖는 원통형의 전방 차축 케이스(차동 장치 케이스)(63F) 내에 전륜 차동 장치(64F)를 수납하고, 이 전방 차축 케이스(63F)의 좌우 방향 중앙을 차체 프레임(21)의 전방 하부에 전후 방향의 센터 핀(65F)을 거쳐서 좌우 단부가 상하 요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63F)의 좌우 단부에 킹 핀을 지지하는 베벨 기어 케이스(66F)를 설치하고, 이 베벨 기어 케이스(66F)에 킹 핀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전륜 전동 케이스(67F)를 설치하고, 이 전륜 전동 케이스(67F)에 지지된 차륜축(68F)에 전륜(2)을 부착하여 조타 수단(69)으로 전륜 전동 케이스(67F) 를 거쳐서 좌우 전륜(2)을 조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3, 도11에 있어서, 후륜 현가 장치(61R)는 전륜 현가 장치(61F)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원통 구멍(95a)을 갖는 원통형의 후방 차축 케이스(63R) 내에 후륜 차동 장치(64R)를 수납하고, 후방 차축 케이스(63R)의 좌우 단부에 킹 핀(66a)을 지지하는 베벨 기어 케이스(66R)를 설치하고, 이 베벨 기어 케이스(66R)에 킹 핀(66a)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후륜 전동 케이스(67R)를 설치하고, 이 후륜 전동 케이스(67R)에 지지된 차륜축(68R)에 후륜(3)을 부착하여 후방 조타 수단(69)으로 후륜 전동 케이스(67R)를 거쳐서 좌우 후륜(3)을 조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후륜 현가 장치(61R)는 전륜 현가 장치(61F)와 마찬가지로, 후방 차축 케이스(63R)의 좌우 방향 중앙을 차체 프레임(21)의 후방 하부의 전후 방향의 센터 핀을 거쳐서 좌우 단부가 상하 요동하도록 지지해도 좋지만,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차축 케이스(63R)는 차체 프레임(2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륜 현가 장치(61R)는 후방 차축 케이스(63R)가 좌우 분할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분할 부재는 플랜지부(93a)를 거쳐서 맞대어 결합되어 있고, 한 쪽 분할 부재에 플랜지부(93a)가 형성된 단부측으로부터 후륜 차동 장치(64R)를 삽입하여 내장하고, 또한 동력 전달 기구(14)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베벨 피니온축(86R)을 돌입 지지하고 있다.
한 쪽 후방 차축 케이스(63R)는 원통 구멍(95a)에 한 쌍의 베어링(95b, 95c)이 지지되고, 양 베어링(95b, 95c)에 의해 차동 장치 케이스(95d)가 지지되고, 이 차동 장치 케이스(95d)의 단부에 베벨 피니온축(86R)과 맞물리는 차동 장치 대형 기어(95e)가 장착되어 있고, 이 차동 장치 대형 기어(95e)는 한 쪽 베어링(95b)에도 지지되어 있다. 차동 장치 케이스(95d)로부터 좌우 각 외측방으로 차동 장치 요오크축(70)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좌우 각 후방 차축 케이스(63R)는 외단부에 브레이크부(63a)를 형성하고, 이 브레이크부(63a)보다 내측에 차동 장치 로크부(63b)를 형성하고, 좌우 각 브레이크부(63a)의 외단부에 베벨 기어 케이스(66R)를 고정하여 이 베벨 기어 케이스(66R)에 후륜(3)을 차륜축(68R)을 거쳐서 지지한 후륜 전동 케이스(67R)를 부착하고 있다.
상기 후륜 차동 장치(64R)로부터 좌우 베벨 기어 케이스(66R) 내까지 차동 장치 요오크축(70)을 관통하여 이 차동 장치 요오크축(70)과 브레이크부(63a) 사이에 유압식 브레이크 기구(A)를 배치하고, 차동 장치 요오크축(70)과 차동 장치 로크부(63b) 사이에 유압식 차동 장치 로크 기구(177)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베벨 기어 케이스(66R)는 브레이크부(63a)의 외단부에 끼워 넣어 납땜 결합되어 있고, 차동 장치 요오크축(70)의 외단부의 베벨 기어(96a)를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하고, 또한 킹 핀(66a)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벨 기어(96a)와 맞물린 베벨 기어(96b)를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하고 있다.
후륜 전동 케이스(67R)는 베벨 기어 케이스(66R)의 하부에 한 쌍의 베어링(96c)을 거쳐서 킹 핀(66a)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부도 베벨 기어 케이스(66R)의 상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후륜 전동 케이스(67R)는 차륜축(68R)을 지지하는 동시에, 킹 핀(66a)의 하부에 설치한 베벨 기어(96d)를 지지하여 차륜축(68R) 상의 베벨 기어(96e)와 맞물려 있다.
상기 베벨 기어 케이스(66R) 및 후륜 전동 케이스(67R)는 좌우 각 후방 차축 케이스(63R)의 외단부에 장착된 종감속 케이스를 구성하고, 그 내부의 2세트의 베벨 기어(96a, 96b, 96d, 96e)는 종감속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부(63a) 내에는 브레이크 기구(A)의 디스크(A1)를 베벨 기어 케이스(66R)의 끼워 넣음부(66b)에 압박하는 피스톤(A2)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A2)을 압박 이동함으로써 디스크(A1)를 베벨 기어 케이스(66R)의 끼워 넣음부(66b)에 압박하여 차동 장치 요오크축(70)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A1)를 베벨 기어 케이스(66R)의 끼워 넣음부(66b)에 직접 압박해도 좋지만, 맞댐판을 설치해도 좋고, 또한 끼워 넣음부(66b)측에 피스톤(A2)을 배치하여 디스크(A1)를 후방 차축 케이스(63R)측으로 압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차동 장치 로크 기구(177)는 차동 장치 케이스(95d)측에 고정한 교합 부재(177a)와, 차동 장치 요오크축(70)에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이동 교합 부재(177b)와, 이 이동 교합 부재(177b)를 교합 부재(177a)측으로 압박 이동하여 교합시키는 유압 수단(177c)과, 이동 교합 부재(177b)를 교합 부재(177a)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는 압박 수단(177d)을 갖고 있고, 이동 교합 부재(177b)를 교합 부재(177a)에 교합시켜 차동 장치 케이스(95d)와 차동 장치 요오크축(70)을 일체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동 장치 로크 기구(177)의 외경은 비교적 소경이므로, 후방 차축 케이스(63R)의 차동 장치 로크부(63b)는 직경 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원통 구멍(95a)보다 작게 되어 있고, 그로 인해 후륜 차동 장치(64R) 및 브레이크 기구(A)의 일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다른 쪽 분할 부재는 후륜 차동 장치(64R) 및 베벨 피니온축(86R)을 지지하지 않지만, 브레이크부(63a)의 브레이크 기구(A) 및 차동 장치 로크부(63b)의 차동 장치 로크 기구(177)는 상기 한 쪽 분할 부재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도3에 있어서, 좌우 각 후방 차축 케이스(63R)는 서로 대향하는 실린더 부착부(63c)를 돌출시키고 있고, 이 양 실린더 부착부(63c)에 조타 수단(69)의 스티어링용 실린더(71)를 부착하고 있다. 좌우 후방 차축 케이스(63R)를 연결하는 것은 실린더(71)의 부착도 겸하고 있다.
조타 수단(69)은 후방 차축 케이스(63R)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파워 스티어링 실린더)(71)와, 이 유압 실린더(71)의 피스톤 로드(71a)의 양단부와 좌우 후륜 전동 케이스(67R)를 연결하는 타이 로드(72)로 구성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71a)의 좌우 이동으로 좌우 후륜 전동 케이스(67R)를 킹 핀(66a) 주위로 회전하여 후륜(3)을 조타한다.
상기 좌측 후륜 전동 케이스(67R)에는 아암(120)이 고정되어 있고, 이 아암(120)에는 제1 연동 로드(121)가 연결되어 있다. 부호 122는 중도부가 좌측부 프레임(22)의 중도부(22a)에 종축을 거쳐서 피봇된 연동체로, 이 연동체(122)의 양단부에 상기 제1 연동 로드(121)와 제2 연동 로드(12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제2 연동 로드(123)의 타단부는 전륜 2용 좌측 전륜 전동 케이스(67F)에 설치한 아암(124)에 연결되어 있고, 좌우 전륜 전동 케이스(67F)의 너클 아암(125)이 타이 로드(126)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타 수단(69)은 유압 실린더(71)를 작동하여 후륜(3)을 조타하면, 연동체(122) 및 제1, 제2 연동 로드(121, 123)를 거쳐서 전륜(2)도 동시에 조타되도록 되어 있고, 전후륜(2, 3)의 조타 방향은 반대로 되어 있다. 또한, 전후륜(2, 3)의 조타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주행체(4)는 주행 구동 장치(12)로부터 전륜 차동 장치(64F) 및 후륜 차동 장치(64R)로 동력이 전달되는 2축 4륜 구동형으로, 1개의 핸들(73)의 조타로 전후 조타 수단(69F, 69R)을 거쳐서 전후륜(2, 3)을 서로 역방향(또는 동일 방향이라도 좋음)으로 조타하는 4륜 조타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주행체(4)는 전후륜(2, 3) 중 어느 한 쪽만을 구동륜, 조타륜으로 하고, 다른 쪽을 종동륜, 직진륜으로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전후륜(2, 3) 중 어느 한 쪽만 항시 구동 및 항시 조타하는 구성으로 하고, 적절하게 다른 쪽을 구동하거나 조타하거나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전후륜(2, 3)은 대략 동일 직경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후 어느 한 쪽이 대경인 다른 직경이라도 좋다.
도1, 도2, 도6, 도7에 있어서, 주행체(4)의 전후부[전후 프레임(23F, 23R)]에는 각각 각 도우저 장치(10F, 10R)를 장착하기 위해, 좌우 한 쌍의 상부 아암 지지부(74U) 및 하부 아암 지지부(74D)와, 중앙 상부의 실린더 지지부(75)가 전방 돌 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각 도우저 장치(10F, 10R)는 블레이드(76)와, 이 블레이드(76)의 배면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아암 지지부(74U)에, 횡축 주위에 승강 가능하게 피봇된 좌우 한 쌍의 상부 아암(77U)과, 블레이드(76)의 배면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 아암 지지부(74D)에, 횡축 주위에 승강 가능하게 피봇된 좌우 한 쌍의 하부 아암(77D)과, 실린더 지지부(75)에 피봇되어 있고 도우저 장치(10)를 승강 동작시키는 작동 실린더(78)를 갖고 있고, 블레이드(76)를 지표에 접촉 가능 또는 땅속으로 돌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도우저 장치(10F, 10R)는 백 호우의 도우저 장치와 대략 동일 기능을 갖지만, 대지 작업 장치(9)에 의한 굴삭 작업을 주된 작업으로 하면, 주행체(4)의 스태빌라이저(아우트리거)로서의 기능이 주체가 되어 있고, 주행체(4)의 전후 편측에 배치해도 좋지만, 전후 양방에 배치하여 작업시에 주행체(4)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 도2, 도5 내지 도8, 도14, 도15에 있어서, 주행체(4)의 좌우 측부[측부 프레임(22)]에는 전후륜(2, 3) 사이에 있어서 좌우 한 측(좌측)에 연료 탱크(16)가 부착되고, 좌우 다른 측(우측)에 작동유 탱크(17)와 그 후방의 배터리(18)가 장비되어 있다. 연료 탱크(16)와 작동유 탱크(17)는 좌우 반대로 되어도 좋고, 좌우 분리 배치함으로써 주행체(4)의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는 동시에, 전후륜(2, 3) 사이의 공간을 유효 이용하고 있다.
연료 탱크(16)와 작동유 탱크(17) 및 배터리(18)는 차체 프레임(21)에 좌우 분류하여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7)는 우측부 프레임(2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우측부 프레임(22)의 하측에 인입하는 연장부(17a)를 갖고 이 연장부(17a) 내에 오일 필터(130)가 배치되고, 또한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배터리(18)를 배치하는 오목부(17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7b)는 작동유 탱크(17)의 후방부측에서 좌우 내측 부분에 형성되고, 여기에 배터리(18)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8)가 작동유 탱크(17)에 의해 외측방 및 전방으로부터 커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유 탱크(17)의 전방 하부에는 대소 구멍(128a, 128b)을 연속한 표주박 형상의 개구부(128)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28)를 폐쇄하는 덮개(129)도 표주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덮개(129)의 소구멍 대응부(129a)에 상기 오일 필터(흡입 필터)(130)와 그것에 연통하는 흡입 파이프(131)가 접속되어 있고, 이 흡입 파이프(131)는 측부 프레임(22)의 하측을 통해 각종 밸브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오일 필터(130)는 덮개(129)에 부착한 상태에서 대구멍(128b)으로부터 삽입하여 소구멍(128a)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129)가 표주박 구멍에 대응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고, 오일 필터(130)의 개구부(128)에의 삽입 용이화에 의해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부호 132는 토출 파이프로, 작동유 탱크(17)의 펌프(133)로부터 배터리(18) 및 측부 프레임(22)의 하측을 통해 엔진(13)측의 유압 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우측부 프레임(22)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계지 핀(134a)이 돌출 설치되어 작 동유 탱크(17)를 이 계지 핀(134a)에 가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계지 핀(134a) 및 그것에 계지되는 작동유 탱크(17)측의 구멍이 달린 계지 부재(134b)에 의해 탱크 가고정 수단(134)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고정 수단(134)에 의해 가고정된 작동유 탱크(17)는 본 장착 수단(136)에 의해 본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이 본 장착 수단(136)은 작동유 탱크(17) 상면에 고정한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형의 피계지구(135c)에 계지되는 전후 방향의 로드(135d)와, 이 로드(135d)의 양단부에 너트(135e)에 의해 체결되는 걸림 부재(135a)를 갖고, 이 걸림 부재(135a)의 하단부를 우측부 프레임(22)에 부착한 구멍이 달린 계지 부재(139a)나 브래킷(139b)에 걸어 너트(135e)를 체결하고, 작동유 탱크(17)를 우측부 프레임(22)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본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장착 수단(136)은 작동유 탱크(17)를 우측부 프레임(22)에 대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우측부 프레임(22)의 하면과 연장부(17a) 사이에는 고무 등의 쿠션재(137)가 배치되어 작동유 탱크(17)의 상면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작동유 탱크(17)를 지지하고 있다.
이 작동유 탱크(17)는, 도8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면과 상면이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역L자형의 커버(138)로 덮여 있고, 이 커버(138F)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작동유 탱크(17)의 전후 양측에서 우측부 프레임(22)에 고정된 브래킷(139b)에 다이 시트 등을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커버(138)의 상부 수평부는 스텝부(138A)가 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플라스틱 또는 판금으로 형성되어 좌측부 프레임(2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부 프레임(22)의 외측면에는 전후 한 쌍의 브래킷(190)이 좌우 외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 전후 브래킷(190)에 대해 그 전후 사이에 연료 탱크(1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16)는, 작동유 탱크(17)와 마찬가지로 측부 프레임(22)의 하측으로 들어오는 연장부를 갖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탱크 가고정 수단 및 탱크 본장착 수단을 거쳐서 부착해도 좋다.
또한, 작동유 탱크(17)와 마찬가지로, 연료 탱크(16)의 상면 및 외측면도 커버(191)에 의해 덮여 있고, 이 커버(191)는 브래킷(190)에 다이 시트(190a)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191)의 상부 수평부는 스텝부(191A)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38, 191)는 탱크(17, 16)의 상면만을 덮는 평판이라도 좋고, 탱크(17, 16)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도1 내지 도4, 도6, 도7, 도12, 도13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4)는 선회대(6)의 하방 부분이 편평 형상부(4A)이고 또한 선회대(6)의 후방 부분이 부피 형상부(4B)로 되어 있고, 부피 형상부(4B)에는 본네트 커버(80)가 착탈 가능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행체(4)의 상기 부피 형상부(4B)의 본네트 커버(80) 내에는 엔진(13)이 배치되고, 상기 편평 형상부(4A)에는 동력 전달 기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동력 전달 기구(14)를 내장한 편평 형상부(4A)의 상방에 선회대(6)가 배치되고, 엔진(13)은 선회대(6)의 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배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엔진(13)은 크랭크축(13A)의 축심을 좌우 방향에 배치해도 좋지만, 여기서는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배치이고, 좌우 방향의 중심(13S)(도3 참조)은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 중심[선회축(5)의 중심선(5S)을 통과함]과 동심 또는 좌우 한 쪽(좌측)으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엔진(13)의 후방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62)는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 중심에 배치해도 좋지만, 엔진(13)과 동일한 측에 편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편평 형상부(4A)의 동력 전달 기구(14)는 기계식 트랜스미션이라도 좋지만, 여기서는 펌프(81) 및 모터(82)를 갖는 정유압식 트랜스미션(HST)(26)과 감속 장치(87)를 조합하고 있고, 도3, 도4, 도12,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유압식 트랜스미션(26)의 미션 케이스(83)에 엔진(13)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펌프(81)측의 입력축(27)과 모터(82)측의 출력축(28)을 지지하고, 이들을 각각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전후 방향에 따르게 하고 있다. 트랜스미션(26)의 미션 케이스(83)와 감속 장치(87)의 전후 케이스(87A, 87B)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입력축(27)과 출력축(28)은 측면으로부터 보아 약간 전방 하향에 경사 배치되어 있다.
감속 장치(87)는 전후 케이스(87A, 87B) 내에 2세트의 감속 기어군(107, 108)을 수납하고 있고, 전후 케이스(87A, 87B)는 상하 폭이 짧고 좌우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방 케이스(87A)에는 차지 펌프(109)와 이 차지 펌프(109)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클러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력축(27)은 미션 케이스(83)로부터 전후로 돌출되어 있고, 후방측은 플라이 휠을 거쳐서 크랭크축(13A)과 연결되고, 전방측은 감속 장치(87)의 후방 케이스(87B)에 지지되어 감속 기어군(107)의 기어(107A)가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차지 펌프(109)를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감속 기어군(107)의 기어(107A)는 기어(107B)와 맞물려 있고, 이 기어(107B)는 유압 클러치(110)의 클러치 입력축(111)에 장착되어 있다. 유압 클러치(110)의 클러치 입력축(111)과 클러치 출력축(112) 사이에 클러치 수단(113)이 마련되어 있고, 차지 펌프(109)로부터 압유로 단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러치 출력축(112)은 자유 이음축을 거쳐서 부하가 큰 작동유 공급용 유압 펌프(85)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지 펌프(109)는 트로코이드 펌프 등으로 형성되어 엔진(13)이 구동하고 있을 때는 구동되고, 클러치 수단(113)에 소요압의 압유를 공급하여 접촉 상태로 유지하고, 엔진(13)이 정지하면 차지 펌프(109)도 정지하여 클러치 수단(113)을 오프(OFF)로 한다. 따라서, 엔진(13)을 시동할 때, 클러치 출력축(112)에 유압 펌프(85)의 부하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어 기동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상기 모터(82)의 출력축(28)에는 감속 기어군(108)의 기어(108A)가 설치되고, 이 기어(108A)는 추진축(114)에 설치한 기어(108B)와 맞물려 있다. 상기 추진축(114)은, 감속 장치(87)는 전후 케이스(87A, 87B)로부터 전후로 돌출되어 있고, 전후 자유 이음축(29F, 29R)을 거쳐서 전륜 차동 장치(64F) 및 후륜 차동 장치(64R)의 각 베벨 피니온축(86F, 86R)과 연결되어 있다.
전후륜(2, 3)에의 동력 전달에 전후 자유 이음축(29F, 29R)을 사용함으로써 베벨 피니온축(86F, 86R)이 센터 핀(65)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어도, 추진축(114)이 전방 하향 경사져 있어도 전후륜 차동 장치(64)에의 동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방 차축 케이스(63F)의 상하 요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1 내지 도7에 있어서, 주행체(4) 상에는 선회대(6)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 베어링(36)과, 선회 베어링(36)의 내주에 설치한 링 기어(88)와, 이 링 기어(88)와 맞물려 있는 구동 피니온(89)과, 이 구동 피니온(89)을 구동하여 선회대(6)를 선회시키는 유압식 선회 모터(1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베어링(36)의 중심(5S)에 배치된 선회축(5)은 스위블 조인트로 구성되어 유압 펌프(85)와 대지 작업 장치(9)를 접속하는 작동 유로, 조작 장치와 절환 밸브를 접속하는 파일럿 유로, 조종 장치(8)와 주행 구동 장치(12)를 접속하는 배선 등을 선회대(6)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도 접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선회 모터(15), 자유 이음축(29), 유압 펌프(85) 등은 주행 구동 장치(12)의 동력 전달 기구(14)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차체 프레임(21)의 상면보다 낮고 또한 엔진(13)의 하단보다도 높은 범위에 대략 억제되고, 선회축(5)의 주위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도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6)와, 선회축(5)의 선회대(6)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운전석(7)과, 이 운전석(7)의 전방의 선회대(6) 전방부에 배치된 조종 장치(8)와, 운전석(7) 주위에 배치된 대지 작업 장치(9)용 조작 장치(55) 등에 의해 상부 구조체(1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축(5)의 중심(5S)은 전후륜(2, 3)의 축 사이 중심(P)보다 약간 전방측에 배치하고, 이 선회축(5)을 경계로 하여 선회대(6)의 후방측에 운전석(7)을, 전방에 조종 장치(8) 및 대지 작업 장치(9)를 각각 배치하고 있고, 상부 구조체(11)는 전단부가 조종 장치(8)이고, 후방부가 운전석(7)이고, 운전석(7)의 후방측에는 조작 장치(55)의 유압 제어 밸브(5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1)는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가 주행체(4) 후방부의 엔진(13) 상단부보다 하위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 내 중 적어도 선회 베어링(36)이 전후륜(2, 3) 사이이고 또한 전후륜(2, 3) 중 적어도 한 쪽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대(6)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전방부가 평탄하고 후방부 및 좌우 측부가 대략 원형상이고, 후방부가 엔진(13)에 근접되어 전방향 자세이고 전방부가 좌우 전륜(2)의 후단부와 대략 동일 위치에 있고, 회전하면 그 외주는 좌우 전륜(2)의 후단부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한다. 선회대(6)는 차체 프레임(21)으로부터 좌우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료 탱크(16) 및 작동유 탱크(17)와 좌우 방향에서 오버랩하고 있다.
즉, 선회대(6)는 좌우 방향 대략 중앙의 엔진(13)과 좌우로 떨어진 한 쌍의 전륜(2)과의 3점 내에서 가급적 대면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는 선회대(6)를 필요 면적으로 한 후에 주행체(4)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콤팩트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체(4)에 엔진(13), 연료 탱크(16), 작동유 탱크(17), 절환 밸브류(54) 등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그 만큼 주행체(4)가 대중량이 되어 상부 구조체(11)측의 중량이 경감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도, 좌우 방향으로도 콤팩트해진다.
이에 의해, 전후륜(2, 3)을 갖는 주행체(4)의 중량에 대해 선회대(6) 및 그 상의 운전석(7), 조종 장치(8) 및 대지 작업 장치(9)의 총 중량, 적어도 선회대(6) 및 그 상의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의 총 중량을 가볍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회축(5)의 주위에 배치한 동력 전달 기구(14) 및 엔진(13), 연료 탱크(16) 및 작동유 탱크(17)의 삼각 배치 등에 의해, 선회축(5) 주위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고, 또한 주행체(4)의 후방부에 엔진(13), 전방부에 절환 밸브류(54), 좌우 각 측에 작동유 탱크(17), 연료 탱크(16)를 배치함으로써 전체 방위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어 있다.
작업기(1)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Q)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는 선회축(5)의 중심(5S)의 약간 전방측에서 유압 펌프(85)의 후단부 부근,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선회대(6) 및 선회 베어링(36)의 상면 근방,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중심(5S)보다 약간 우측이고 또한 선회 모터(15)와 오버랩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작업기(1)는 주행체(4)의 무게 중심(Q)을 낮게 하여 주행 안정성, 작업 안정성 등을 도모하기 위해 엔진(13)을 주행체(4)에 배치하고, 주행체(4)에 엔진(13)을 탑재하고 있어도 선회대(6)를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엔진(13)을 주행체(4)의 후방부에 배치하고, 또한 동력 전달 기구(14)를 엔진(13)보다 전방측에 배치하여 선회대(6) 하방의 주행체(4)의 상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선회축(5)의 중심(5S)으로부터 상부 구조체(11)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1)는 선회축(5)의 중심(5S)으로부터 후륜(3)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2) 이내, 적어도 선회축(5)의 중심(5S)으로부터 주행체(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3) 이내에 대략 수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부 구조체(11)를 선회해도 후방의 장해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8, 도12, 도14, 도16, 도17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조인트(선회축)(5)는 주행체(4)의 차체 프레임(21)에 브래킷(140)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고 유압 펌프(85)에 접속되어 있는 상자 부재(141)와, 이 상자 부재(14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고정판(142)을 거쳐서 선회대(6)에 선회 고정된 중축(143)을 갖고, 이 중축(143)의 상부에 작동기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가 설치되고, 상자 부재(141)와 중축(143)의 하부에 통전 수단(145)이 마련되어 있다.
상자 부재(141)의 표면적은 크기 때문에, 각종 배관은 주위 방향 및 축방향에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부로부터 파일럿용 접속구(141j), 정유압식 트랜스미션(26)용 접속구(141e), 유압 신호용 접속구(141n), 브레이크용 접속구(141h),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71) 좌측용 접속구(141c),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71) 우측용 접속구(141d), 도우저 작동 실린더(78) 상승용 접속구(141f), 도우저 작동 실린더(78) 하강용 접속구(141b), 선회 모터(15) 우측 선회용 접속구(141i), 선회 모터(15) 좌측 선회용 접속구(141g), 보조 유압 모터용 접속구(141k), 메인용 접속구(141m) 및 드레인(141t) 등이 형성되어 있다.
중축(143) 내에는 상기 상자 부재(141)의 각각에 이용되는 접속구를 직경 방향 유로와 축방향 유로를 거쳐서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에 접속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에는 그들 유로와 연통하는 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축(143)과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에 있어서는 각각에 이용되는 접속구를 형성하여 배관을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와 같이 하면 상자 부재(141)와 같은 각각에 이용되는 접속구 형성 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 표면에 배관을 문어발형으로 직접적으로 용착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는 선회 베어링(3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켜 선회대(6) 내까지 돌입하고 있고, 특히 선회대(6)에는 좌우 수직 상승 리브(35)도 있고, 문어발 배관(146)을 유로 접속 고리 부재(144)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은 곤란하므로, 각 배관(146)을 도중으로부터 ㄱ자형으로 굴곡하여 전후를 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 문어발 배관(146)은 수직 상승 리브(35)의 상면 이하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대(6)에는 문어발 배관(146)과 상부 구조체(11)를 접속하는 호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축(143)의 축심에는 관통 구멍(147)이 형성되어 하네스(148)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중축(143)의 하면에는 커플링(149)이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자 부재(141)의 하부에는 조인트 커버(15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조인트 커버(151)의 상측에 케이스 부재(152)를 부착하여 조인트 커버(151) 사이의 내에 통전 수단(14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커버(151) 또는 케이스 부재(152)의 고정측에는 브러시 등의 고정 통전 부재(153)가 고정되어 있고, 가동 통전 부재(154)와 미끄럼 접촉하여 통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통전 부재(154)는 중축(143)과 동심에서 케이스 부재(1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5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155)의 케이스 부재(152)로부터 돌출된 상부에 커플링(149)이 장착되고, 이 커플링(149)이 결합 오목부(150)에 삽입되어 중축(143)과 결합함으로써 회전축(155)은 중축(14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하네스(148)는 일단부가 선회대(6) 상의 전기 제어 기기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회전축(155) 내에 삽입 관통되어 가동 통전 부재(154)에 접속되어 있고, 고정 통전 부재(153)를 거쳐서 주행체(4)측의 엔진(13) 및 각종 전자 제어 밸브를 통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전 수단(145)은 주로 제어 신호용 전기를 통전하는 것이지만, 모터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선회대(6)에는 전방부에 작업 장치 지지부(37)가 세워 설치되고, 후방부에 후방 벽부(34)가 세워 설치되고, 중도부에 세워 설치된 좌우 수직 상승 리브(35)는 작업 장치 지지부(37)와 후방 벽부(34)를 접속하고 있고, 이들에 의해 선회대(6)를 견고한 입체 구조물로 형성하고 있다.
도1, 도4 내지 도7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6)의 후방 벽부(34)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가 설치되어 엔진(13)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는 후방 벽부(34)의 상면에 고정한 부착판(51A)에 좌우 한 쌍의 파이프제의 가로 부재(51B)를 고정하고, 좌우 가로 부재(51B)로부터 후방으로 파이프제의 세로 부재(51C)를 돌출시키고, 좌우 세로 부재(51C)를 복수개의 연결 부재(51D)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의 전방부에 운전석(7)을 장착하고, 후방부에는 조작 장치(55)의 유압 제어 밸브(56), 보조 유압 모터(158)가 달린 발진기(159) 및 배터리(1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6)의 작업 장치 지지부(37)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지지체(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58)는 역ㄷ자 부재(58A)로부터 수평으로 파이프제의 가로 부재(58B)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역ㄷ자 부재(58A)가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볼트 고정되고, 가로 부재(58B)가 좌우 한 쌍의 로프스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의 좌우 가로 부재(51B)도 로프스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전후에 위치하는 가로 부재(51B) 및 가로 부재(58B)에 좌우 각 로프스(53)의 전후 지주(52F, 52R)가 연결 지지되어 있다.
로프스(53)(ROPS; roll-over protection system)는 후방 지주(52R)로부터 상부(52U)까지가 1개의 파이프재를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상부(52U)와 파이프제의 전방 지주(52F)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이 좌우 로프스(53)를 복수개의 연결 레버(60)로 연결하고, 또한 상부(52U)에 천정 덮개(90)를 부착하여 차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전후 지주(52F, 52R)의 하단부에는 연결 부재(59F, 59R)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각 연결 부재(59F, 59Rf)는 파이프 또는 중실 봉형의 연결부와, 이 연결부를 지주(52)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하기 위한 엘보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를 가로 부재(51B, 58B)에 삽입하여 양자를 관통하는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로프스(53)를 선회대(6)에 대해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는 가로 부재(51B, 58B)에 끼워 맞추어 연결하도록 구성하거나, 양자를 판재 또는 앵글재 등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상기 좌우 후방 지주(52R)는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선회대(6)의 후방 벽부(34)로부터 운전석(7)의 후방 상방으로 수직 상승하여 중도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와 함께 엔진(13)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 및 운전석(7)은 엔진(13)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선회대(6)의 선회시에 엔진(13)의 상방을 통과 가능, 즉 주행체(4)의 최 고 위치인 부피 형상부(4B)의 상방을 통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엔진(13)을 주행체(4)의 후방부에 탑재하고, 운전석(7)을 선회대(6)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돌출시킨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선회대(6) 상에서는 운전석(7)이 후방부에 위치하고 또한 조종 장치(8)가 전방부에 위치하고, 상부 구조체(11)의 중량은 매우 가벼워져 전후 치수는 필요 최소한의 치수가 된다.
그리고, 운전석(7) 전방의 선회대(6) 상을 거주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선회대(6)의 점유 면적을 작고 또한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작업기(1)를 전후 및 좌우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에는 운전석(7)의 좌우 측방에 대지 작업용 조작 장치(55)의 좌우 레버 조작 수단(55L, 55R)을 지지하고 있다. 좌우 레버 조작 수단(55L, 55R)은 후술하는 대지 작업 장치(9)의 붐 실린더(43), 아암 실린더(45) 및 작업구 실린더(47) 및 선회 모터(15) 등을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석(7)의 좌우 측방에는 대지 작업 장치(9)의 스윙 실린더(41)용 조작 레버(181), 작업구(46)의 틸트 실린더(184)용 조작 레버(182), 도우저 작동 실린더(78)용 조작 레버(18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13)의 조속기를 조작하기 위한 핸드 액셀레이터 레버(187)나 주행 로크 밸브(175)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 로크 레버(188) 등도 배치되어 있고, 주행 로크 레버(188)는 운전석(7)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의 후방부이며 유압 제어 밸브(56)의 좌우 측방 에는 상기 조작 레버(181, 182, 183)에 의해 조작되는 스윙용, 틸트용, 도우저 장치용 리모콘 밸브가 배치되고, 링크, 로드, 케이블 등을 거쳐서 각 조작 레버(181, 182, 183)에 접속되어 있다.
조종 장치(8)는 고속로 상 주행이 가능하도록 핸들(73)을 갖고 핸들(73)의 스티어링 제어기(73A) 및 그 밖의 기기는 선회대(6)의 작업 장치 지지부(37)의 후방측에 세워 설치한 지지체(38)에 장착되어 있고, 1세트의 어셈블리로서 조립하여 선회대(6) 상에 장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체(38)는, 도18 내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제어기(73A) 외에 정유압식 트랜스미션(26)을 변속 조작하는 변속 페달(94)이 오른발을 두는 위치 근방에 배치되도록 피봇되고, 그 근방에 브레이크 페달(91)이 피봇되고, 브레이크 기구(A)를 조작하기 위한 마스터 실린더(101), 오일 탱크(102)가 장착되고, 변속 페달(94)용 댐퍼(103) 및 HST용 리모콘 밸브(104) 등도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핸들(73)의 핸들 포스트(73B)에는 전후진 절환 밸브(174)를 조작하는 셔틀 레버(105)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선회대(6) 상의 전방부에는 대지 작업 장치(9)를 선회대(6)의 상측에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 장치 지지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종 장치(8)의 핸들(73)은 선회대(6)의 전방부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좌측에 편위하고 있어도 좋음)에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 작업 장치 지지부(37)는 우측에 약간 편위되어 있어, 대지 작업 장치(9)의 작업 상태를 보기 쉽게 하고 있다.
도1 내지 도4, 도18에 있어서, 작업 장치 지지부(37)는 좌우 수직 상승 리브(35)의 전단부를 연결하고 또한 조종 장치(8)의 전방측을 덮도록 선회대(6)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종축형의 스윙축(39)을 지지하고 있다. 이 스윙축(39)에 스윙 실린더(41)에서 요동되는 스윙 부재(40)를 피봇하고, 이 스윙 부재(40)에 횡축(48A, 48B)을 거쳐서 붐(42) 및 이 붐(42)을 승강하는 붐 실린더(43)를 피봇하고 있다.
상기 스윙 부재(40)는 작업 장치 지지부(37)의 상부에 피봇되고, 작업 장치 지지부(37)의 하부에는 종축의 회전축(163)이 피봇되고, 이 회전축(163)에 상부 아암(164)과 하부 아암(165)이 고정되고, 상부 아암(164)은 링크(166)를 거쳐서 스윙 부재(40)와 연결되고, 하부 아암(165)은 스윙 실린더(41)에 연결되어 있고, 하위의 스윙 실린더(41)의 작동력을 상위의 스윙 부재(40)로 전달하기 위한 수지 상승 연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윙 부재(40)의 하부의 붐(42)을 피봇하고 있는 부분은 선회대(6) 외주(선회시의 외주 회전 궤적)로부터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스윙 부재(40)의 상부의 붐 실린더(43)의 기초부를 피봇하고 있는 부분은 스윙축(39)의 대략 상방에서 선회대(6) 외주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작업 장치 지지부(37)는 선회대(6)의 외주의 대략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고, 스윙 부재(40)의 높이를 붐(42) 및 붐 실린더(43)가 주행체(4)측의 최고 위치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높이로 설정하고 있고, 붐(42)을 후방으로 선회하여도 붐(42)이 수평 자세보다도 상방의 자세이면 본네트 커버(80)의 전방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선회대(6) 상의 대지 작업 장치(9)는 선회하여도 주행체(4)측과 충돌하지 않는 구성으로, 선회대(6)를 후방향 자세로 한 상태에서의 대지 작업을 할 수 있고, 주행체(4)의 전체 주위에서의 굴삭 작업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대지 작업 장치(9)는 붐(42)의 선단부에 아암 실린더(45)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한 아암(44)을 갖고 이 아암(44)의 선단부에 작업구 실린더(47)에 의해 좌우 축심 주위에 상하 요동 가능한 작업구(버킷 등)(46)를 갖고 있다.
작업구(46)는 그 좌우 중앙부가 전후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틸트 실린더(184)에 의해 좌우 양측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1, 도22는 휠식 작업기(1)의 유압 회로를 도시하고 있고, 스위블 조인트(5)를 경계로 하여 주행체(4)측과 상부 구조체(11)측으로 나뉘어져 있다.
엔진(13)의 동력은 트랜스미션(26)의 펌프(81)를 구동하는 동시에 차지 펌프(109)도 구동하고, 또한 감속 기어군(107) 및 유압 클러치(110)를 거쳐서 유압 펌프(85)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트랜스미션(26)에 있어서는 셔틀 밸브(170)와 고저속 절환 밸브(171)가 설치되고, 고저속 절환 밸브(171)는 전자 조작 밸브(169)에 의해 조작 가능하고, 모터(82)의 경사판 제어 작동기(172)를 작동하여 고속 상태와 저속 상태를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펌프(81)에는 전후진 및 속도를 절환하는 스피드 작동기(173)가 접속되고, 이 스피드 작동기(173)는 스피드 작동 밸브(176)로 제어되고, 이 스피드 작동 밸브(176)는 전후진 절환 밸브(174)로 전후 절환 조작되는 동시에, 변속 페달(94) 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콘 밸브(104)로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지 펌프(109)로부터의 작동유는 주행 로크 밸브(175)를 통해 리모콘 밸브(104)에 이르고, 이 리모콘 밸브(104)로부터 전후진 절환 밸브(174)의 전후 한 쪽으로 공급되고, 변속 페달(94)의 답입량에 따라서 스피드 작동 밸브(176)가 작동하여 스피드 작동기(173)를 제어한다.
부호 177은 차동 장치 로크 기구로, 차지 펌프(109)로부터의 작동유를 차동 장치 로크 절환 밸브(178)로 온/오프(ON/OFF) 조작하여 차동 장치 로크 작동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절환한다.
유압 펌프(85)로부터의 작동유는 다수의 밸브 본체를 중합한 유압 제어 밸브(56)에 공급되고, 이 유압 제어 밸브(56)의 각 밸브 본체(56a 내지 56g)로부터 각각의 작동기로 이송된다.
조작 장치(55)의 좌측 레버 조작 수단(55L)에는 아암용과 선회용 리모콘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아암용 밸브 본체(56e)를 거쳐서 아암 실린더(45)를 긁기 및 덤프 동작시켜 선회용 밸브 본체(56f)를 거쳐서 선회 모터(15)를 좌우 회전 동작시킨다.
우측 레버 조작 수단(55R)에는 작업구용과 붐용 리모콘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구용 밸브 본체(56c)를 거쳐서 작업구 실린더(47)를 틸트 및 덤프 동작시키고, 붐용 밸브 본체(56d)를 거쳐서 붐 실린더(43)를 상승 및 하강 동작시킨다.
상기 좌우 레버 조작 수단(55L, 55R)의 근방[조종 장치(8)의 근방이라도 좋음]에는 3개의 조작 레버(181, 182, 183)가 배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181)는 스윙 용 리모콘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스윙용 밸브 본체(56b)를 거쳐서 스윙 실린더(41)를 좌우 요동 동작시키고, 조작 레버(182)는 작업구(46)의 틸트용 리모콘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틸트용 밸브 본체(56a)를 거쳐서 틸트 실린더(184)를 동작시키고, 조작 레버(183)는 도우저용 리모콘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도우저용 밸브 본체(56g)를 거쳐서 도우저 작동 실린더(78)를 상하 동작시킨다.
상기 유압 펌프(85)에는 보조 펌프(185)가 연접되어 있고, 이 보조 펌프(185)의 작동유는 보조 유압 모터(158)로 공급되고, 그 후 스티어링 제어기(73A)를 경유하여 스티어링용 유압 실린더(71)로 공급된다.
상기 트랜스미션(26), 선회 모터(15), 펌프(109, 85, 185), 스티어링용 유압 실린더(71), 도우저 작동 실린더(78), 주행 로크 밸브(175), 절환 밸브류(54) 등은 주행체(4)측에 배치되어 조작 장치(55), 변속 페달(94), 스티어링 제어기(73A), 3개의 조작 레버(181, 182, 183), 보조 유압 모터(158), 유압 제어 밸브(56) 등은 상부 구조체(11)측에 배치되어 스위블 조인트(5)를 거쳐서 상하 작동유의 공급,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스위블 조인트(5)의 통전 수단(145)을 거쳐서 상부 구조체(11)측으로부터 주행체(4)측으로의 트랜스미션(26) 제어용 전자 밸브 및 그 밖의 전자 밸브, 전기 기기에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진 절환 밸브(174), 주행 로크 밸브(175), 차동 장치 로크 절환 밸브(178), 전자 조작 밸브(169) 등은 절환 밸브류(54)로서 주행체(4)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펌프(109, 85, 185) 등과 함께 유압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휠식 작업기(1)는 전술한 각 구성 부분의 전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부분적으로 선택 채용하거나,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 4륜(2, 3)을 갖는 주행체(4)에 주행 구동 장치(12) 및 도우저 장치(10)를 구비하고, 주행체(4)의 최고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선회대(6)를 설치하고, 이 선회대(6) 상에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를 갖는 상부 구조체(11)와 대지 작업 장치(9)를 구비하여 기본 구성을 만들어 이하 (a) 내지 (g)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면 된다.
(a) 선회대(6)에 탑재한 상부 구조체(11) 및 대지 작업 장치(9)를 엔진(13)상방 통과 가능하게 한다.
(b) 주행체(4)는 선회대(6)의 하방 부분이 편평 형상부(4A)이고 또한 선회대(6)의 후방 부분이 부피 형상부(4B)인 구조로 한다.
(c) 주행체(4)의 후방부에 엔진(13)을 배치하고, 선회대(6)를 엔진(13) 상단부보다 하위에 배치한다.
(d)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 중 적어도 선회 베어링(36)을 전후륜(2, 3) 사이이고 또한 그 적어도 한 쪽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다.
(e) 작업 장치 지지부(37)를 선회대(6)의 외주의 대략 범위 내에 배치한다.
(f) 운전석(7)을 선회대(6)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시킨다.
(g)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대지 작업 장치(9)의 기초부를 전후륜(2, 3) 및 엔진(13)에 의해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등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휠식 작업기(1)의 상기 기본 구성을, 전후륜(2, 3)을 갖는 주행체(4) 의 중량에 대해 선회대(6), 운전석(7), 조종 장치(8) 및 대지 작업 장치(9) 중 적어도 선회대(6),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의 총 중량을 가볍게 설정한다는 구성 등을 부가한 경우라도, 또한 상부 구조체(11)의 선회축(5)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L1)를 선회축(5)으로부터 후륜(3)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2) 이내에 대략 수납한 구성 등을 부가한 경우라도 상기 조합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휠식 작업기(1)는 스키드 스티어 로더가 고르지 못한 경사지나 좁은 현장에서 그레이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데 적합하고, 움직이면서 흙을 긁어모으는 작업도 가능하지만, 고정된 상태에서 유압을 이용하여 흙을 긁어모으는 작업도 잘 할 수 있으며, 폭이 다른 작업구(46)를 교환하여 운반 작업과 전선 매설 등의 1.8 m 이하의 홈 굴삭 작업의 양쪽을 1대로 행할 수 있다.
즉, 정지 공사 중 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크게 나누면 운반과 그레이딩이 있고, 휠식 작업기(1)는 지면에 경사나 주름을 만들거나, 수평으로 하거나, 흙을 긁어모으거나, 홈이나 구멍을 매립하여 복귀시키는 등, 운반 이외의 흙 이동 작업인 그레이딩 작업을 특히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형상 및 각각의 전후 및 좌우 및 상하의 위치 관계는 도1 내지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재,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기둥식 로프스(53) 대신에 2기둥식 로프스 또는 캐빈 장치를 탑재하거나, 조작 장치(55)를 핸들(73)의 근방에 배치하거나, 종동륜을 휠식으로 하 여 구동륜을 크롤러 장치로 교환하거나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진 및 엔진 관련 기기를 주행체의 후방부에 탑재하여 상부 구조체측의 중량을 경량화하는 동시에 상부 구조체의 선회 베어링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설정하고, 또한 대지 작업 장치를 좌우 요동 가능하게 한 후에, 또한 주행 안정성 및/또는 선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휠식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전후륜(2, 3)과, 엔진(13) 및 동력 전달 기구(14)를 갖는 주행 구동 장치(12)와, 연료 탱크(16)와, 작동유 탱크(17)와, 상기 전후륜과 주행 구동 장치와 연료 탱크과 작동유 탱크를 장비하는 차체 프레임(21)으로 구성되는 주행체(4)와,
    상기 주행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주행체에 선회 베어링(36)을 거쳐서 전체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조종 장치(8)와,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한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지지된 대지 작업 장치(9)로 구성되는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1)은 좌우의 측부 프레임(22)과, 양측부 프레임을 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전방 크로스 빔(23F)과, 양측부 프레임을 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빔(23R)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은 중간부에 위치하는 수평인 중도부(22a)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도부보다도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전방부(22f)와,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도부보다도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후방부(22r)와, 상기 전방부와 상기 중도부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방 이행부(22af)와, 상기 후방부와 상기 중도부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이행부(22ar)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전방부 영역은 상기 전방 크로스 빔과 상기 좌우 측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부(22f)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부 영역에는 상기 전륜을 위한 전륜 현가 장치(61F)가 장비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후방부 영역이 상기 후방 크로스 빔과 상기 좌우 측부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22r)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 영역에는 상기 후륜을 위한 후륜 현가 장치(61R)가 장비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선회 베어링(36)이 지지되고,
    상기 전방부 영역과 후방부 영역은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의 전방 이행부(22af) 및 후방 이행부(22ar)를 거쳐서 상기 중간 영역보다도 높은 대지 레벨에 있고, 또한
    상기 측부 프레임(22)의 좌우 중도부(22a)의 간격은 좌우 전방부(22f) 및 후방부(22r)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의 상기 전방부(22f)는 상기 후방부(22r)보다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4)의 중간 영역의 좌우 한 측에 연료 탱크(16)와, 좌우 다른 측에 작동유 탱크(17)가 각각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4)의 후방부에 엔진(13)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 동력 전달 기구(1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 지지부(37)에는 스윙축을 거쳐서 대지 작업 장치(9)의 스윙 부재(40)가 피봇되고, 상기 스윙 부재에는 횡축(48A, 48B)을 거쳐서 붐(42)이 피봇되고, 상기 붐을 승강하는 붐 실린더(43)가 붐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부재(40)의 전방부가 선회대(6)로부터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붐(42) 및 붐 실린더(43)가 주행체(4)의 최고 높이 레벨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6) 상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의 후방부가 선회대(6)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후방 상방 돌출부에 운전석(7), 대지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55)를 배치하고, 상기 운전석(7)은 선회대의 선회시에 주행체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6) 상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와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각각 좌우 한 쌍의 부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부에 대략 C자 형상의 로프스의 전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1. 전후륜(2, 3)과, 엔진(13) 및 동력 전달 기구(14)를 갖는 주행 구동 장치(12)와, 연료 탱크(16)와, 작동유 탱크(17)와, 상기 전후륜과 주행 구동 장치와 연료 탱크와 작동유 탱크를 장비하는 차체 프레임(21)으로 구성되는 주행체(4)와,
    상기 주행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주행체에 선회 베어링(36)을 거쳐서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조종 장치(8)와,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한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지지된 대지 작업 장치(9)로 구성되는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1)이 좌우의 측부 프레임(22)과, 양측부 프레임을 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전방 크로스 빔(23F)과, 양측부 프레임을 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빔(23R)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은 중간부에 위치하는 수평인 중도부(22a)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도부보다도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전방부(22f)와,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도부보다도 높은 대지 높이 레벨을 갖는 수평인 후방부(22r)와, 상기 전방부와 상기 중도부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방 이행부(22af)와, 상기 후방부와 상기 중도부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이행부(22ar)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전방부 영역이 상기 전방 크로스 빔과 상기 좌우 측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부(22f)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부 영역에는 상기 전륜을 위한 전륜 현가 장치(61F)가 장비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후방부 영역이 상기 후방 크로스 빔과 상기 좌우 측부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22r)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 영역에는 상기 후륜을 위한 후륜 현가 장치(61R)가 장비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선회 베어링(36)이 지지되고,
    상기 전방부 영역과 후방부 영역은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의 전방 이행부(22af) 및 후방 이행부(22ar)를 거쳐서 상기 중간 영역보다도 높은 대지 레벨에 있고, 또한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의 상기 전방부(22f)는 상기 후방부(22r)보다 높은 대지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4)의 중간 영역의 좌우 한 측에는 상기 연료 탱크(16)가, 좌우 다른 측에는 작동유 탱크(17)가 각각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4)의 후방부에는 상기 엔진(13)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1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 지지부(37)에는 스윙축을 거쳐서 대지 작업 장치(9)의 스윙 부재(40)가 피봇되고, 상기 스윙 부재에는 횡축(48A, 48B)을 거쳐서 붐(42)이 피봇되고, 상기 붐을 승강하는 붐 실린더(43)가 붐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부재(40)의 전방부가 선회대(6)로부터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붐(42) 및 붐 실린더(43)가 주행체(4)의 최고 높이 레벨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6) 상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의 후방부가 상기 선회대(6)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후방 상방 돌출부에 상기 운전석(7), 대지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55)를 배치하고, 이 운전석(7)이 상기 선회대의 선회시에는 상기 주행체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6) 상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 부재(51)와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각각 좌우 한 쌍의 부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부에 대략 C자 형상의 로프스의 전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8. 전후륜(2, 3)과, 엔진(13) 및 동력 전달 기구(14)를 갖는 주행 구동 장치(12)와, 연료 탱크(16)와, 작동유 탱크(17)와, 상기 전후륜과 주행 구동 장치와 연료 탱크와 작동유 탱크를 장비하는 차체 프레임(21)으로 구성되는 주행체(4)와,
    상기 주행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주행체에 선회 베어링(36)을 거쳐서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조종 장치(8)와,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한 작업 장치 지지부(37)에 지지된 대지 작업 장치(9)로 구성되는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1)이 좌우의 측부 프레임(22)과, 양측부 프레임을 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전방 크로스 빔(23F)과, 양측부 프레임을 후방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빔(23R)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은 중간부에 위치하는 수평인 중도부(22a)와, 전방에 위치하는 수평인 전방부(22f)와, 후방에 위치하는 수평인 후방부(22r)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크로스 빔과 상기 각 측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부(22f)로부터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전방부 영역이 구성되고, 상기 전방부 영역에는 상기 전륜을 위한 전륜 현가 장치(61F)가 장비되고,
    상기 후방 크로스 빔과 상기 각 측부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22r)로부터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후방부 영역이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 영역에는 상기 후륜을 위한 후륜 현가 장치(61R)가 장비되고,
    상기 전후륜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차체 프레임(21)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선회 베어링(36)이 지지되고,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의 상기 전방부(22f)는 상기 중도부(22a) 및 후방부(22r)보다도 높은 대지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프레임(22)의 좌우 중도부(22a)의 간격은 좌우 전방부(22f)의 간격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KR1020040015993A 2003-08-12 2004-03-10 휠식 작업기 KR100606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92220A JP4080974B2 (ja) 2003-08-12 2003-08-12 ホイール式作業機
JPJP-P-2003-00292220 200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572A KR20050020572A (ko) 2005-03-04
KR100606313B1 true KR100606313B1 (ko) 2006-07-28

Family

ID=3356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93A KR100606313B1 (ko) 2003-08-12 2004-03-10 휠식 작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90757B2 (ko)
EP (1) EP1507043B1 (ko)
JP (1) JP4080974B2 (ko)
KR (1) KR100606313B1 (ko)
DE (1) DE6020040203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6115A1 (de) * 2003-10-04 2005-05-04 Deere & Co Ladegerät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US20080314854A1 (en) * 2004-03-30 2008-12-25 Shouhei Kamiya Working Machine
JP4303708B2 (ja) * 2005-07-05 2009-07-29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KR100952534B1 (ko) 2005-09-29 2010-04-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휠식 작업기
US7681919B2 (en) * 2007-03-30 2010-03-23 Caterpillar Inc. Diffuser plate for connecting a rigid structure to a flexible structure and machine using same
US8230761B2 (en) * 2008-06-10 2012-07-31 Yanmar Co., Ltd. Engin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NL2002125C2 (nl) * 2008-07-14 2010-01-18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NL1035694C2 (nl) * 2008-07-14 2010-01-18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US8495870B2 (en) * 2009-03-19 2013-07-30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JP5401251B2 (ja) * 2009-10-07 2014-01-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931106B1 (en) * 2009-10-23 2011-04-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All terrain vehicle
EP2735655A4 (en) * 2011-07-19 2015-03-18 Volvo Constr Equip Ab OSCILLATING JOINT FOR CONSTRUCTION EQUIPMENT
WO2014099059A1 (en) 2012-12-20 2014-06-26 Cnh America Llc Cab suspen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with circumferentially extending bump stops
NL2011596C2 (nl) 2013-10-11 2015-04-14 Hudson Bay Holding B V Elektrische aandrijving van mobiele inrichting.
JP6415839B2 (ja) * 2014-03-31 2018-10-3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GB2531763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GB2531764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GB2531762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GB2531765B (en) * 2014-10-29 2017-09-13 Bamford Excavators Ltd An undercarriage for a working machine
WO2016157659A1 (ja) * 2015-03-30 2016-10-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US10362738B2 (en) * 2015-09-10 2019-07-30 Komatsu Ltd. Work vehicle
KR101635517B1 (ko) * 2015-09-17 2016-07-05 주식회사 호룡 자주식 크레인
US11111646B2 (en) * 2017-02-24 2021-09-07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rm of a work vehicle
WO2020164103A1 (en) * 2019-02-15 2020-08-20 Guangxi Liugong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with flywheel arrangement
KR102522198B1 (ko) * 2021-03-18 2023-04-14 주식회사 이지락 굴삭기 부착형 집게 장치
IT202100016283A1 (it) * 2021-06-22 2022-12-22 Manitex Valla S R L Macchina da sollevamento con sistema di stabilizzazione ottimizzat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410C3 (de) * 1970-03-11 1974-01-03 Leo Gottwald Kg, 4000 Duesseldorf Kranfahrzeug-Fahrgestellrahmen
FR2238017B1 (ko) * 1973-07-16 1976-04-30 Poclain Sa
US4771855A (en) * 1987-05-15 1988-09-20 Kubota Ltd. Backhoe vehicle
US4848011A (en) * 1987-07-27 1989-07-18 Zimmerman Harold M Loader bucket
WO1996005996A1 (en) * 1994-08-22 1996-02-29 Ani Mining Services Pty. Ltd. Vehicle for underground mine shafts
JP3666677B2 (ja) * 1995-01-23 2005-06-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旋回フレーム構造
US6443687B1 (en) * 1997-05-23 2002-09-03 Kaiser Aktiengesellschaft Excavator-hoist
WO1999002789A1 (fr) * 1997-07-11 1999-01-21 Komatsu Ltd. Machine a usiner
GB2352224A (en) * 1999-05-29 2001-01-24 Bamford Excavators Ltd Material handling vehicle
JP2001097017A (ja) 1999-09-28 2001-04-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の車高調整装置
US6684537B2 (en) * 2001-05-28 2004-02-03 Kubota Corporation Excavator with a piping structure for absorbing variations in hose length
US6772544B2 (en) * 2002-03-28 2004-08-10 Kubota Corporation Wheeled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7043A3 (en) 2007-03-07
DE602004020301D1 (de) 2009-05-14
KR20050020572A (ko) 2005-03-04
US6990757B2 (en) 2006-01-31
EP1507043B1 (en) 2009-04-01
JP2005061050A (ja) 2005-03-10
EP1507043A2 (en) 2005-02-16
US20050034336A1 (en) 2005-02-17
JP4080974B2 (ja)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313B1 (ko) 휠식 작업기
KR100503840B1 (ko) 휠식 작업기
JP3737984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4170881B2 (ja) 旋回作業機
JP3806054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5171608A (ja) 作業機
JP3737985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4118763B2 (ja) 旋回作業機
JP4282405B2 (ja) 作業機のロプス装置
JP4170880B2 (ja) 旋回作業機
JP4116947B2 (ja) 旋回作業機の操縦装置
JP3742024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5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3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4357274B2 (ja) 旋回作業機
JP4118762B2 (ja) 旋回作業機
JP3806057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8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6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5041350A (ja) 作業車輌の変速操作装置
JP2005060984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5059727A (ja) 作業機の車輪縣架装置
JP2005061051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5171607A (ja) 旋回作業機
JP2005041349A (ja) 作業車輛の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