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840B1 - 휠식 작업기 - Google Patents

휠식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840B1
KR100503840B1 KR10-2003-0019035A KR20030019035A KR100503840B1 KR 100503840 B1 KR100503840 B1 KR 100503840B1 KR 20030019035 A KR20030019035 A KR 20030019035A KR 100503840 B1 KR100503840 B1 KR 10050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pivot
swing
wheel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697A (ko
Inventor
다께무라도시히꼬
시노하라에이사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3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60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311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60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311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798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3007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41Articulated frame, i.e. having at least one pivot point between two travelling gear units

Abstract

전륜(2)과 후륜(3)에 의해 대지 지지되는 하부 구조체(4)와,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된 선회 축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장착된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 상에 구비된 운전석(7)과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과,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에 지지된 작업 장치(9)로 이루어지는 휠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부 구조체(4)에 엔진(13)이 부착되어, 상기 선회대(6)는 상기 전륜(2)과 후륜(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6)는 상기 엔진(13)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전석(7)은 상기 선회대의 선회시에 상기 엔진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선회대의 주변부로부터 외측 상방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6)는 상기 엔진(13)에 인접하여 상기 엔진의 상단부보다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휠식 작업기{Wheeled Work Vehicle}
본 발명은, 전륜과 후륜에 의해 대지 지지되는 하부 구조체와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된 선회 축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장착된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 상에 구비된 운전석과 작업 장치 지지 유닛과,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에 지지된 작업 장치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휠식 작업기에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1-970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륜을 갖는 하부 구조체 상에 선회축을 거쳐서 선회대를 설치하고, 이 선회대 상에 운전석 및 조종 장치를 갖는 상부 구조체와, 승강 자유자재인 작업구를 갖는 대지 작업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엔진은 상부 구조체의 일부로서 선회대에 탑재되고, 운전석은 선회축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휠식 작업기는 전후륜으로 고속 노상 주행을 할 수 있고, 대지 작업 장치를 선회시키면서 또한 작업구를 승강시키면서 굴삭 등의 대지 작업을 할 수 있지만, 엔진이 선회대 상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부 구조체는 후방부가 크게 팽창되어, 선회축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가 매우 길고, 그 후단부가 후륜의 후단부로부터 더욱 크게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행 안정성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의 선회 작업이 매우 곤란해지고 있다. 또한, 엔진이 선회대 상에 탑재되어 있음으로써, 기기 부재 중심이 비교적 상위에 위치하게 되며,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기 어렵고, 상부 구조체의 질량이 높으므로, 선회 작업성도 향상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대지 작업 장치는 상하 요동밖에 할 수 없으므로, 선회대를 선회해도 운전석의 전방으로 밖에 작업을 할 수 없으며, 백 호우에서 행하는 벽 부근을 굴삭하는 측부 홈 파기 등은 작업 대상에는 들어가지 않고, 작업 적용 범위가 좁아 좁은 장소에서의 굴삭 작업이 매우 곤란해지고 있다.
엔진이 하부 구조체에 설치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가 미국 특허 2893502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선회대가 전후륜을 포함하여 하부 구조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역시 중심이 높은 위치가 되며, 작업이나 주행을 불안정하게 되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중심이 낮은 안정 작업이 가능한 휠식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휠식 작업기에서는 하부 구조체에 엔진이 부착되고, 또한 선회대는 상기 전륜과 후륜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엔진을 하부 구조체의 후방부에 탑재하여 상부 구조체를 경량화하는 동시에 선회대를 낮은 레벨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작업기의 중심이 낮아져 안정된 작업이나 주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엔진을 하부 구조체에 배치하는 동시에, 선회대의 선회성(예를 들어 360°선회)을 양호하게 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휠식 작업기에서는 하부 구조체에 엔진이 부착되고, 또한 상기 선회대는 상기 엔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선회대에 부착된 운전석은 선회대의 선회시에 상기 엔진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선회대의 주변부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휠식 작업기에서는 하부 구조체에 엔진이 부착되고, 선회대는 상기 엔진에 인접하여 상기 엔진의 상단부보다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특징을 구비한 본 발명의 휠식 작업기에서는, 운전석과 작업 장치를 구비한 선회대를 하부 구조체의 최고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선회대를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하고, 하부 구조체의 중량을 무겁게 하는 한 편 선회하는 상부 구조체의 중량을 경감하여, 주행 안정성, 작업 안정성, 선회 작업성, 상하 치수의 컴팩트화, 전후 치수의 컴팩트화, 승강 용이화, 거주 공간의 확보 또는 구성의 간소화 등을 실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하부 구조체는 전후륜 사이에 있어서 횡단 방향 한 쪽에 연료 탱크가, 다른 쪽에 작동 오일 탱크가 장비되어 있고, 이에 의해 하부 구조체의 좌우 밸런스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의 전방에서 선회대의 하방에 엔진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정유압식 트랜스미션(HST)을 갖고, 이 트랜스미션의 입력축 및 출력축이 각각 좌우에 배치되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구조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라인이 하부 구조체에 있어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대(6)의 후방부가 엔진에 근접하여 그 전방부가 전륜과 오버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구조체 상의 선회대 배치 가능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하부 구조체의 전후 치수를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장치 지지 유닛은 선회대 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와 스윙축과 스윙 실린더에 의해 스윙축 주위에서 요동되는 스윙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 부재는 상기 선회대의 선회 궤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 장치를 선회대의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 편 좌우 요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윙 부재가 선회대의 선회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12에, 본 발명에 의한 휠식 작업기(1)의 하나의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휠식 작업기(1)를 구성하는 많은 부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3과 도5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각 부재는 그 윤곽만을 도시한 투명체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 휠식 작업기(1)는 각각 좌우 한 쌍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전륜(2)과 후륜(3)에 의해 대지 지지되는 하부 구조체(4)와, 이 하부 구조체(4) 상에 선회축(5)을 거쳐서 설치된 선회대(6) 및 그 위의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를 갖는 상부 구조체(11)와, 선회대(6)에 설치된 대지 작업 장치(9)와, 하부 구조체(4)의 전방부에 설치된 안정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4)는 엔진(13) 및 동력 전달 기구(14)를 갖는 주행 구동 장치(12), 차체 프레임(21), 전륜(2)을 현가하고 있는 전륜 장치(61F), 후륜(3)을 현가하고 있는 후륜 장치(61R)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하부 구조체(4)는 엔진(13)을 탑재하고 있는 측을 후방부, 반대의 안정 장치(10)를 장착하고 있는 측을 전방부라 칭하고 있다. 운전석(7)의 전방에 조종 장치(8)를 배치하고 있다.
도4, 도5, 도6, 도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21)은 좌우 한 쌍의 판 형상의 측부 프레임(22)의 전후방부를 판 형상의 전후 프레임(23F, 23R)으로 연결하여 직사각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차체 프레임(21)의 후방부 내에 엔진(13)을 배치하여 좌우측부 프레임(22)과 연결하고, 좌우측부 프레임(22)의 후방부에 라디에이터(62)를 탑재하고 있다.
전륜 장치(61F)는 원통형의 전방 차축 케이스(63F) 내에 전륜 차동 장치(64F)를 수납하고, 이 전방 차축 케이스(63F)의 좌우 방향 중앙을, 차체 프레임(21)의 전방 하부에 전후 방향의 센터 핀(65F)을 거쳐서 좌우 단부가 상하 요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63F)의 좌우 단부에 킹 핀(66F) 주위 요동 가능하게 엔드 전동 케이스(67F)를 설치하고, 이 엔드 전동 케이스(67F)를 지지된 차륜축(68F)에 전륜(2)을 부착하고, 전방 조타 수단(69F)으로 엔드 전동 케이스(67F)를 거쳐서 좌우 전륜(2)을 조타 가능하게 하고 있다.
후륜 장치(61R)는 전륜 장치(61F)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후방 차축 케이스(63R) 내에 후륜 차동 장치(64R)를 수납하고, 이 후방 차축 케이스(64R)의 좌우 방향 중앙을, 차체 프레임(21)의 후방 하부의 전후 방향의 센터 핀(65R)을 거쳐서 좌우 단부가 상하 요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후방 차축 케이스(63R)의 좌우 단부에 킹 핀(66R) 주위 요동 가능하게 엔드 전동 케이스(67R)를 설치하고, 이 엔드 전동 케이스(67R)에 지지된 차륜축(68R)에 후륜(3)을 부착하고, 후방 조타 수단(69R)으로 엔드 전동 케이스(67R)를 거쳐서 좌우 후륜(3)을 조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전후 각 조타 수단(69)은 차축 케이스(63)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71)와, 이 유압 실린더(71)의 피스톤 로드(71a)의 양단부와 좌우 엔드 전동 케이스(67)를 연결하는 타이 로드(72)로 구성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71a)의 좌우 이동으로 좌우 엔드 전동 케이스(67)를 킹 핀(66) 주위에 회전하여 차륜(2, 3)을 조타한다.
상기 하부 구조체(4)는 주행 구동 장치(12)로부터 전륜 차동 장치(64F) 및 후륜 차동 장치(64R)로 동력이 전달되는 2축 4륜 구동형이며, 하나의 핸들(73)의 조타로 전후 조타 수단(69F, 69R)을 거쳐서 전후륜(2, 3)을 상호 역방향(또는 동일 방향이라도 좋음)으로 조타하는 4륜 조타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구조체(4)는 전후륜(2, 3) 중 어느 한 쪽만을 구동륜, 조타륜으로 하고, 다른 쪽을 종동륜, 직진륜으로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전후륜(2, 3) 중 어느 한 쪽만 항시 구동 및 항시 조타하는 구성으로, 적절하게 다른 쪽을 구동하거나 또는 조타하거나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전후륜(2, 3)은 대략 동일 직경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후 어느 한 쪽이 직경이 큰 다른 직경이라도 좋다.
도1, 도2, 도3, 도7, 도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선회대(6)의 하방에서 하부 구조체(4)의 좌우측부[측부 프레임(22)]에는, 전후륜(2, 3) 사이에 있어서 좌우 일측(좌측)에 연료 탱크(16)가 부착되고, 좌우 타측(우측)에 작동 오일 탱크(17)와 그 후방의 배터리(18)가 장비되어 있다. 연료 탱크(16)와 작동 오일 탱크(17)는 좌우 반대로 되어도 좋고, 좌우 분리 배치함으로써 하부 구조체(4)의 좌우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는 동시에, 전후륜(2, 3)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하부 구조체(4)의 전방부[전방 프레임(23)]에는, 안정 장치(10)를 장착하기 위해 좌우 한 쌍의 아암 지지부(74)와 중앙 상부의 실린더 지지부(75)가 전방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정 장치(10)는 블레이드(76)와, 이 블레이드(76)에 부착되어 상기 아암 지지부(74)에 횡축 주위 승강 가능하게 피봇된 좌우 한 쌍의 아암(77)과, 실린더 지지부(75)에 피봇되어 있어 안정 장치(10)를 승강 동작시키는 작동 실린더(78)를 갖고 있고, 블레이드(76)를 지표에 접촉 가능 또는 땅 속에 돌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안정 장치(10)는 하부 구조체(4)에 있어서의 엔진(13)의 배치측과 반대로 되어 있지만, 엔진(13)과 동측으로 배치해도 좋고, 하부 구조체(4)의 후방측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 안정 장치(10)는 백 호우의 도저 장치와 대략 동일 구조 및 대략 동일 기능을 갖지만, 대지 작업 장치(9)에 의한 굴삭 작업을 주된 작업으로 하면, 하부 구조체(4)의 안정 장치(아웃리거)로서의 기능이 주체가 된다.
하부 구조체(4)에는 그 상면, 전후륜(2, 3), 연료 탱크(16), 작동 오일 탱크(17) 및 배터리(18) 등을 덮는 커버(24)가 차체 프레임(21)에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24)는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비교적 두꺼운 철판으로 형성하여 대지 작업시 하부 구조체(4)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웨이트를 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4)는 도2, 도3, 도6, 도11,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이며, 전방부는 좌우 전륜(2)의 팬더 부분의 사이가 오목부(24B)를 갖는 오목 형상이며, 전륜(2)의 최상부보다도 낮게 되어 있어, 전방 굴삭시의 대지 작업 장치(9)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고, 또한 전후륜(2, 3)의 팬더 부분의 사이도 오목 형상이며, 연료 탱크(16) 및 작동 오일 탱크(17)를 덮는 좌우측부는 선회대(6) 상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부(24A)로 되어 있다.
즉, 커버(24)는 팬더와 웨이트와 스텝을 겸하고 있고, 작업원은 스텝부(24A) 뿐만 아니라, 그 위의 어느 부위에도 올라탈 수 있다.
상기 커버(24)를 갖는 하부 구조체(4)는 선회대(6)의 하방 부분이 편평 형상부(4A)이고, 또한 선회대(6)의 후방 부분이 높은 불룩한 형상부(4B)로 되어 있고, 높은 불룩한 형상부(4B)에는 커버(24)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네트 커버(80)가 착탈 가능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80a는 본네트 커버(80)에 형성한 공기 구멍이다.
하부 구조체(4)의 상기 높은 불룩한 형상부(4B)의 본네트 커버(80) 내에는 엔진(13)이 배치되고, 상기 편평 형상부(4A)에는 동력 전달 기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동력 전달 기구(14)를 내장한 편평 형상부(4A)의 상방에 선회대(6)가 배치되고, 엔진(13)은 선회대(6)의 하방으로부터 돌출한 배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엔진(13)은 크랭크축(13A)의 축심을 좌우 방향으로 배치해도 좋지만, 여기서는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배치이며, 좌우 방향의 중심(13S)은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 중심[선회축(5)의 중심선(5S)을 통과함]으로부터 좌우 한 쪽(좌측)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엔진(13)의 후방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62)는,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 중심에 배치해도 좋지만, 엔진(13)과 동일한 측에 편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구조체(4)의 중심이 약간 좌측에 편위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대지 작업 장치(9)의 배치와는 좌우 반대로 되어 있다.
상기 편평 형상부(4A)의 동력 전달 기구(14)는 기계식 트랜스미션이라도 좋지만, 여기서는 펌프(81)와 모터(82)를 갖는 정유압식의 트랜스미션(26)을 채용하고 있고, 이 트랜스미션(26)의 미션 케이스(83)에 엔진(13)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펌프(81)측의 입력축(27)과 모터(82)측의 출력축(28)을 지지하여, 이들을 각각 대략 전후 방향에 따르게 하고, 또한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 중심으로부터 편위시켜 좌우 분리 배치하고 있다.
상기 입력축(27)은 미션 케이스(83)로부터 전후로 돌출하고 있고, 후방측은 플라이 휠을 거쳐서 크랭크축(13A)과 연결되고, 전방측은 한 쌍의 기어(84)를 거쳐서 작동 오일 공급용의 유압 펌프(85)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28)은 미션 케이스(83)로부터 전후로 돌출하고 있고, 전후 자유 이음축(29F, 29R)을 거쳐서 전륜 차동 장치(64F) 및 후륜 차동 장치(64R)의 각 베벨 피니온축(86F, 86R)과 연결되어 있다. 전후륜(2, 3)으로의 동력 전달에 전후 자유 이음축(29F, 29R)을 사용함으로써, 센터 핀(65F, 65R)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더라도, 전후방 차축 케이스(63F, 63R)의 상하 요동을 허용하고 있다.
도2 내지 도6에 있어서, 하부 구조체(4) 상에는 선회대(6)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축(5) 및 선회 베어링(36)과, 선회 베어링(36)의 내주에 설치한 링 기어(88)와, 이 링 기어(88)와 맞물림하고 있는 구동 피니온(89)과, 이 구동 피니온(89)을 구동하여 선회대(6)를 선회시키는 유압식 선회 모터(1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베어링(36)의 중심(5S)에 배치된 선회축(5)은 스이벨조인트로 구성되고, 유압 펌프(85)와 대지 작업 장치(9)를 접속하는 작동 유로, 조종 장치(8)와 주행 구동 장치(12)를 접속하는 배선 등을 선회대(6)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도 접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선회 모터(15), 자유 이음축(29), 유압 펌프(85) 등은 주행 구동 장치(12)의 동력 전달 기구(14)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차체 프레임(21)의 상하 폭 내에 대략 수납되고, 선회축(5)의 주위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도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6)와 선회축(5)의 선회대(6) 후방 상부에 배치된 운전석(7)과, 이 운전석(7) 전방의 선회대(6) 전방부에 배치된 조종 장치(8) 등에 의해 상부 구조체(1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축(5)의 중심(5S)은, 전후륜(2, 3)의 축 중심(P)보다 약간 전방측으로 배치하고, 이 선회축(5)을 경계로 하여 선회대(6)의 후방측에 운전석(7)을, 전방측에 조종 장치(8) 및 대지 작업 장치(9)를 각각 배치하고 있고, 상부 구조체(11)는 전단부가 조종 장치(8)이고, 후방부가 운전석(7)이며 그 후방에는 큰 탑재물이 없으므로, 전후 방향의 치수가 매우 짧게 되어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1)는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가 하부 구조체(4) 후방부의 엔진(13) 상단부보다 하위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 내부의 적어도 선회 베어링(36)이 전후륜(2, 3) 사이에서 또한 전후륜(2, 3)의 적어도 한 쪽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대(6)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형상이고, 후방부가 엔진(13)에 근접되어, 전방부가 좌우 전륜(2)과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하여 배치되어 있다. 선회대(6)는 차체 프레임(21)으로부터 좌우 외측방으로 돌출하고 있어, 연료 탱크(16) 및 작동 오일 탱크(17)와 좌우 방향에서 오버랩하고 있다.
즉, 선회대(6)는 좌우 방향 대략 중앙의 엔진(13)과 좌우로 분리된 한 쌍의 전륜(2)과의 3점 내에서 가급적으로 대면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는 선회대(6)를 필요 면적으로 한 후에 하부 구조체(4)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컴팩트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구조체(4)에 엔진(13), 연료 탱크(16), 작동 오일 탱크(17) 등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그 만큼 하부 구조체(4)가 대중량이 되며, 상부 구조체(11)측의 중량이 경감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도, 좌우 방향으로도 컴팩트해진다.
이에 의해, 전후륜(2, 3)을 갖는 하부 구조체(4)의 중량에 대해, 선회대(6) 및 그 위의 운전석(7), 조종 장치(8) 및 대지 작업 장치(9)의 총 중량, 적어도 선회대(6) 및 그 위의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의 총 중량을 가볍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회축(5)의 주위에 배치한 동력 전달 기구(14) 및 엔진(13), 연료 탱크(16) 및 작동 오일 탱크(17)의 삼각 배치 등에 의해, 선회축(5) 주위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해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작업기(1)는 하부 구조체(4)의 중심을 낮게 하여 주행 안정성, 작업 안정성 등을 도모하기 위해 엔진(13)을 하부 구조체(4)에 배치하고, 하부 구조체(4)에 엔진(13)을 탑재하고 있어도 선회대(6)를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엔진(13)을 하부 구조체(4)의 후방부에 배치하고, 또한 동력 전달 기구(14)를 엔진(13)보다 전방측에 배치하여 선회대(6) 하방의 하부 구조체(4)의 상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선회축(5)의 중심(5S)으로부터 상부 구조체(11)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1)는, 선회축(5)의 중심(5S)으로부터 후륜(3)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2) 이내, 적어도 선회축(5)의 중심(5S)으로부터 하부 구조체(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3) 이내에 대략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구조체(11)를 선회해도 후방의 장해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선회대(6) 상에는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은 선회대(6)로부터 세워 설치된 좌우의 전후 지지 기둥(52F, 52R)을 갖는 로프스(R0PS : 롤 오버 방지 시스템)(53)와, 이 로프스(53)의 좌우 후방 지지 기둥(52R)의 하부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지지 부재(54)와, 로프스(53)의 상부에 설치한 천정 덮개(90)를 갖고, 상기 로프스(53) 및/또는 지지 부재(54)에 운전석(7)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로프스(53)는 파이프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후방 지지 기둥(52R)의 하부는 S자형 또는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선회축(5) 후방의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의 후방부를 선회대(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후에 후방으로 또한 엔진(13)의 상방으로 돌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석(7)은 엔진(13)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선회대(6)의 선회시에 엔진(13)의 상방을 통과 가능, 즉 하부 구조체(4)의 최고 위치인 높은 불룩한 형상부(4B)의 상방을 통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엔진(13)을 하부 구조체(4)의 후방부에 탑재하고, 운전석(7)을 선회대(6)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돌출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선회대(6) 상에서는 운전석(7)이 후방부에 위치하고, 또한 조종 장치(8)가 전방부에 위치하여 상부 구조체(11)의 중량은 매우 가벼워지고 전후 치수는 필요 최소한의 치수가 된다.
그리고, 운전석(7) 전방의 선회대(6) 상부를 거주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 할 수 있고, 선회대(6)의 점유 면적을 작게 또한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작업기(1)를 전후 및 좌우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로프스(53) 또는 지지 부재(54)에는, 운전석(7) 좌우측방에 대지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55)를 지지하고 있다. 좌우 조작 장치(55)는 후술하는 대지 작업 장치(9)의 스윙 실린더(41), 붐 실린더(43), 아암 실린더(45) 및 작업 도구 실린더(47) 등을 레버(55L, 55R)로 조작하는 것이며, 조작할 때에 조작 자세(도1, 도2에 도시함)로부터 작업원이 운전석(7)으로 승강을 위해 후방측으로 틸팅되는 후퇴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의 후방부에 제어 밸브(56) 및 카운터 웨이트(57)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54)는 로프스(53) 자체에 고정해 두어도 좋다.
조종 장치(8)는 고속 노상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조타 수단(69)을 조작하는 핸들(73)을 갖고, 핸들(73)의 스티어링 제어기(73A)는 선회대(6)에 세워 설치한 지지 부재(38)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38)에는 브레이크 페달(l91)이 피봇되고, 오른발 놓는 근방에 정유압식 트랜스미션(26)을 변속 조작하는 변속 페달(94)이 배치되고, 그 근변에 다른 조종 장치(8)를 구성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선회대(6) 상의 전방부에는 대지 작업 장치(9)를 선회대(6)의 상측에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종 장치(8)는 선회대(6) 전방부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좌측에 편위하고 있어도 좋음)에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하여,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은 우측에 편위되어 있으며 대지 작업 장치(9)의 작업 상태를 보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회대(6) 상의 대지 작업 장치(9)가 우측에 편위되어 있으므로, 작업기(1)의 좌우 밸런스를 조금이라도 수정하기 위해, 상기 엔진(13)을 좌측에 편위시키고 있다.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은 선회대(6)와, 이 선회대(6) 상에 세워 설치한 지지 부재(38)로 스윙축(39)을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38)는 좌우 방향으로 긴 원호형 판재를 사용하여 선회대(6)의 전방부를 덮도록 하고 있고, 이 지지 부재(38)의 스윙축(39)에 대향하는 부분을 선회대(6)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하여 스윙 부재(40) 배치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 부재(38)로부터 스테이(38A)를 돌출시켜 스윙축(39)의 상부를 지지하고, 이들에 의해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을 형성하고 있다.
스윙축(39)에 스윙 실린더(41)로 요동되는 스윙 부재(40)를 피봇 지지하고, 이 스윙 부재(40)에 횡축(48A, 48B)을 거쳐서 붐(42) 및 이 붐(42)을 승강하는 붐 실린더(43)를 피봇 지지하고 있다.
상기 스윙 부재(40)의 상부는, 붐(42)을 피봇 지지하고 있는 부분은 선회대(6) 외주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데 반해, 붐 실린더(43)를 피봇 지지하고 있는 전방 상부는, 선회대(6) 외주에서 직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은 선회대(6)의 외주의 대략 범위 내에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높이를 붐(42) 및 붐 실린더(43)가 하부 구조체(4)의 최고 위치[본네트 커버(80)의 상단부]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높이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 스윙 실린더(41)는 선회대(6)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서, 스윙 부재(40)를 요동할 때에 선회축(5)의 상방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윙 실린더(41)를 선회축(5) 상방 통과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긴 스윙 실린더(41)를 채용할 수 있고, 스윙 부재(40)의 요동 각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스윙 실린더(41)는 운전석(7)에 착석한 운전자의 발 놓는 장소에 위치하므로, 스윙 실린더(41)의 요동을 허용하면서 그 상방을 덮도록 발 하부 커버(93)가 설치되어 있다.
붐(42) 및 붐 실린더(43)를 피봇한 상기 스윙 부재(40)는 전방 상부가 선회대(6)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또한 전방을 향한 자세시에 전륜(2)의 전방 차축(68F)보다 후방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붐(42)의 하측 붐 실린더(43)의 베이스부는 엔진(13)[본네트 커버(80)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고, 붐(42)을 후방으로 선회해도, 붐 실린더(43)가 수평 자세보다도 상방의 자세이면 본네트 커버(80)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선회대(6) 상의 대지 작업 장치(9)는 선회해도 하부 구조체(4)측과 충돌하지 않는 구성이며, 선회대(6)를 후방향 자세로 한 상태에서의 대지 작업을 할 수 있고, 하부 구조체(4)의 전방 주위에서의 굴삭 작업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대지 작업 장치(9)는 붐(42)의 선단부에 아암 실린더(45)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한 아암(44)을 갖고, 이 아암(44)의 선단부에 작업구 실린더(47)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한 작업구(버킷 등)(46)를 갖고 있다.
상기 아암(44)은 선단부가 좌우 방향 두 갈래 형상이며, 폭이 넓은 작업구(46)를 안정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업구(46)는 배면에 좌우 한 쌍의 아암 연결부(46A)와 중앙에 하나의 실린더 연결부(46B)를 갖고, 좌우 아암 연결부(46A)에 아암(44)의 두 갈래 선단부가 핀 연결되고, 실린더 연결부(46B)에 링크를 거쳐서 작업구 실린더(47)가 핀 연결되어, 퍼올리기 동작 및 덤프 동작을 할 수 있다.
도11은 아암(44)과 작업구(46)의 연결 구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작업구(46)는 배면에는 아암 연결부(46A)의 좌우 외측에 보조 연결부(46C)가 형성되고, 이 좌우 보조 연결부(46C)와 아암(44) 사이에 보강 부재(95)가 연결되어 있고, 보다 광폭의 작업구(46)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12는 아암(44)과 작업구(46)의 연결 구조인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아암(44)의 두 갈래 선단부의 좌우 아암(44L, 44R)을, 아암(44)의 기초 부재(44A)에 대해 핀(96)을 거쳐서 피봇하고 확장 수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좌우 아암(44L, 44R)은 선단부가 볼 조인트를 거쳐서 작업구(46)의 아암 연결부(46A)에 연결되고, 베이스부가 핀(96)을 거쳐서 아암(44)의 베이스 부재(44A)에 피봇되는 동시에 확장 수축 설정부(97L, 97R)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상기 좌우 아암(44L, 44R)의 확장 수축 설정부(97L, 97R)는 서로 중합하고 있으며, 그 중합부 및 아암(44)의 베이스 부재(44A)에 동심으로 배치 가능한 핀 구멍(98)을 갖는다.
상기 아암(44)은 좌우 아암(44L, 44R)의 확장 수축 치수를 설정하고, 그 상태로 중합하고 있는 확장 수축 설정부(97L, 97R)의 핀 구멍(98)에 설정 핀(99)을 삽입하고, 그 설정 핀(99)을 아암(44)의 베이스 부재(44A)의 핀 구멍(98)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좌우 아암(44L, 44R)이 확장 수축한 치수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좌우 아암(44L, 44R)을 확장 수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이 다른 작업구(46)를 치환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각 폭의 작업구(46)를 안정적으로 장착해 둘 수 있다.
전술한 휠식 작업기(1)는, 기본적으로는 전후륜(2, 3)과 엔진(13)과 주행 구동 장치(12)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체(4)와, 하부 구조체(4)의 최고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전체 주위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대(6)와, 이 선회대(6) 상에 부착된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와 대지 작업 장치(9)로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체(11)로 구성되어 있고, 그 때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특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특징의 일부만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본 발명의 휠식 작업기(1)가 실현된다.
(a) 선회대(6)에 탑재한 상부 구조체(11) 및 대지 작업 장치(9)를 엔진(13) 상방 통과 가능하게 한다.
(b) 하부 구조체(4)는 선회대(6)의 하방 부분이 편평 형상부(4A)에서 또한 선회대(6)의 후방 부분이 높은 불룩한 형상부(4B)인 구조로 한다.
(c) 하부 구조체(4)의 후방부에 엔진(13)을 배치하고, 선회대(6)를 엔진(13)상단부보다 하위에 배치한다.
(d)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 내의 적어도 선회 베어링(36)을 전후륜(2, 3) 사이에서 또한 그 적어도 한 쪽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다.
(e)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을 선회대(6)의 외주의 대략 범위 내에 배치한다.
(f) 운전석(7)을 선회대(6)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g)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대지 작업 장치(9)의 베이스부를 전후륜(2, 3) 및 엔진(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h) 하부 구조체(4)의 좌우 일측에 연료 탱크(16)를 좌우 타측에 작동 오일 탱크(17)를 각각 장비한다,
(j) 하부 구조체(4)를 차체 프레임(21) 구조로 하여 전후륜(2, 3)을 현가한다.
(k) 하부 구조체(4)의 상면 및 전후륜(2, 3)을 덮는 웨이트 겸용이고 또한 스텝 겸용의 커버(24)를 설치한다.
(m) 하부 구조체(4)의 높은 불룩한 형상부(4B)에 엔진(13)을 배치하고, 편평 형상부(4A)에 동력 전달 기구(14)를 배치한다.
(n) 동력 전달 기구(14)에 정유압식 트랜스미션(26)을 사용하고, 이 트랜스미션(26)의 입력축(27) 및 출력축(28)을 대략 전후 방향에 따르게 하고 좌우 방향으로 분리 배치한다.
(p) 선회 베어링(36) 및 선회대(6) 내의 적어도 선회 베어링(36)을 전후륜(2, 3) 사이에서 또한 전후륜(2, 3)의 적어도 한 쪽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다.
(q) 선회대(6)를 후방부가 엔진(13)에 근접하여, 전방부를 전륜(2)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시킨다.
(r) 선회대(6)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한다.
(s)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은 선회대(6)와 이 선회대(6) 상에 세워 설치한 지지 부재(38)로 스윙축(39)을 지지하고, 이 스윙축(39)에 스윙 실린더(41)로 요동되는 스윙 부재(40)를 피봇하고, 이 스윙 부재(40)에 횡축(48)을 거쳐서 붐(42) 및 이 붐(42)을 승강하는 붐 실린더(43)를 피봇한다.
(t)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의 높이를 붐(42) 및 붐 실린더(43)가 하부 구조체(4)의 최고 위치의 상방을 통과 가능한 높이로 설정한다.
(u) 스윙 부재(40)의 전방 상부를 선회대(6)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w) 선회대(6) 상에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을 설치하여, 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의 후방부를 선회대(6)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그 후방 돌출부에 운전석(7)을 배치하여, 이 운전석(7)을 선회대(6)의 선회시에 하부 구조체(4)의 상방을 통과 가능하게 한다.
(x) 운전석 배치 프레임(51)은 선회대(6)로부터 세워 설치된 좌우 지지 기둥(52)을 갖는 로프스(53)와, 이 로프스(53)의 좌우 지지 기둥(52)의 하부와 선회대(6) 사이에 설치된 지지 부재(54)를 갖고, 상기 로프스(53) 및/또는 지지 부재(54)에 운전석(7)을 장착시킨다.
(y) 대지 작업 장치(9)는 붐(42)의 선단부에 아암(44)을 갖고, 이 아암(44)의 선단부에 작업구(46)를 갖고 있고, 상기 아암(44)은 선단부가 좌우 방향 두 갈래 형상이며, 또한 폭이 다른 작업구(46)로 치환 가능하게 한다.
(z) 아암(44)의 두 갈래 선단부는 좌우 아암(44L, 44R)을 확장 수축 가능하게 한다.
또한, 휠식 작업기(1)의 상기 기본 구성을, 전후륜(2, 3)을 갖는 하부 구조체(4)의 중량에 대해, 선회대(6), 운전석(7), 조종 장치(8) 및 대지 작업 장치(9) 중 적어도 선회대(6), 운전석(7) 및 조종 장치(8)의 총 중량을 가볍게 설정한다고 하는 구성 등을 부가한 경우에도, 또 상부 구조체(11)의 선회축(5)으로부터 후단부까지의 거리(L1)를 선회축(5)으로부터 후륜(3)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2) 이내에 대략 수납한 구성 등을 부가한 경우에도, 상기 조합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휠식 작업기(1)는 스키드 스티어 로더가 험한 경사지나 좁은 현장에서 그레이딩 작업을 효율좋게 행하는 데 적합하며, 움직임이면서 흙을 긁어모으는 작업도 할 수 있지만, 멈춘 상태에서 유압을 이용하여 흙을 긁어모으는 작업 방식을 주로 하고, 폭이 다른 작업구(46)를 대체 부착하여, 운반 작업과 전선 매설 등의 1.8 m 이하의 홈 굴삭 작업의 양쪽을 1대로 행할 수 있다.
즉, 정지 공사중 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크게 나누면 운반과 그레이딩이 있으며, 휠식 작업기(1)는 지면에 경사나 주름을 내거나, 수평으로 하거나, 흙을 긁어모으거나, 홈이나 구멍을 매립 복원 등, 운반 이외의 흙 이동 작업인 그레이딩 작업을 특히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4 기둥식 로프스(53) 대신에 2 기둥식 로프스 또는 캐빈 장치를 탑재하거나, 조작 장치(55)를 핸들(73)의 근방에 배치하거나, 안정 장치(10)를 하부 구조체(4)의 전후 양방에 장착하거나, 종동륜을 휠식으로 하고, 구동륜을 크롤러 장치로 치환하거나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작업기의 중심이 낮아져서 안정된 작업이나 주행이 가능해지고, 주행 안정성, 작업 안정성, 선회 작업성, 상하 치수의 컴팩트화, 전후 치수의 컴팩트화, 승강 용이화, 거주 공간의 확보 또는 구성의 간소화 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휠식 작업기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체 측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2는 선회대 및 운전석 영역의 측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3은 선회대 및 운전석 영역의 측면도.
도4는 하부 구조체 영역의 측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5는 하부 구조체 영역의 측면도.
도6은 휠식 작업기의 전체 평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7은 하부 구조체의 평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8은 주행 구동 장치의 평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9는 차륜 장치의 단면 배면도로, 각 부재가 윤곽만의 투명체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10은 대지 작업 장치의 선단부의 평면도.
도11은 휠식 작업기의 전체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2는 휠식 작업기의 전체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3은 작업 도구 장착 구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14는 작업 도구 장착 구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륜
3 : 후륜
4 : 하부 구조체
6 : 선회대
7 : 운전석
9 : 작업 장치
13 : 엔진
14 : 전동 전달 기구
16 : 연료 탱크
17 : 작동 오일 탱크
22 : 측부 프레임
24 : 커버
26 : 트랜스미션
27 : 입력축
28 : 출력축
37 : 작업 장치 지지 유닛
38 : 지지 부재
39 : 스윙축
40 : 스윙 부재
41 : 스윙 실린더

Claims (16)

  1. 전륜(2)과 후륜(3)에 의해 대지 지지되는 하부 구조체(4)와,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된 선회 중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장착된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 상에 구비된 운전석(7)과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과,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에 지지된 작업 장치(9)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4)에 엔진(13)이 부착되고,
    상기 선회대(6)는 상기 전륜(2)과 후륜(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대는 상기 엔진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선회대의 선회시에 상기 엔진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선회대의 주변부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은 선회대의 360도 회전시에 상기 엔진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선회대의 주변부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4)가 전방 프레임(23F)과 후방 프레임(23R)과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이 직사각형 프레임에 상기 전륜과 후륜이 현가되는 동시에, 이 직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 상기 엔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한 쪽 외측에 연료 탱크(16)가, 다른 쪽 외측에 작동 오일 탱크(17)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에 구비된 상기 엔진이나 연료 탱크나 작동 오일 탱크를 덮는 커버(24)가 상기 하부 구조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커버는 운전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전방에서 상기 선회대의 하방에 엔진 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1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정유압식 트랜스미션(HST)(26)을 갖고, 이 트랜스미션의 입력축(27) 및 출력축(28)이 각각 좌우에 배치되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가 상기 엔진에 근접하고,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가 전륜의 일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2.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장치 지지 유닛은 상기 선회대 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38)와, 스윙축(39)과, 스윙 실린더(41)에 의해 스윙축 주위에서 요동되는 스윙 부재(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 부재는 상기 선회대의 선회 궤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에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로프스(Roll Over Protection System)(5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프스의 일부가 선회대로부터 오버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프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5. 전륜(2)과 후륜(3)에 의해 대지 지지되는 하부 구조체(4)와,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된 선회 축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장착된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 상에 구비된 운전석(7)과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과,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에 지지된 작업 장치(9)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4)에 엔진(13)이 부착되고,
    상기 선회대(6)는 상기 엔진(13)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전석(7)은 상기 선회대의 선회시에 상기 엔진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선회대의 주변부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16. 전륜(2)과 후륜(3)에 의해 대지 지지되는 하부 구조체(4)와,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된 선회 축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장착된 선회대(6)와,
    상기 선회대 상에 구비된 운전석(7)과 작업 장치 지지 유닛(37)과,
    상기 작업 장치 지지 유닛에 지지된 작업 장치(9)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4)에 엔진(13)이 부착되고,
    상기 선회대(6)는 상기 엔진(13)에 인접하여 상기 엔진의 상단부보다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기.
KR10-2003-0019035A 2002-03-28 2003-03-27 휠식 작업기 KR100503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3115 2002-03-28
JP2002093109A JP3806053B2 (ja) 2002-03-28 2002-03-28 ホイール式作業機
JPJP-P-2002-00093109 2002-03-28
JPJP-P-2002-00093112 2002-03-28
JP2002093112A JP3806056B2 (ja) 2002-03-28 2002-03-28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2093115A JP3737984B2 (ja) 2002-03-28 2002-03-28 ホイール式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97A KR20030078697A (ko) 2003-10-08
KR100503840B1 true KR100503840B1 (ko) 2005-07-26

Family

ID=2845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035A KR100503840B1 (ko) 2002-03-28 2003-03-27 휠식 작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72544B2 (ko)
KR (1) KR100503840B1 (ko)
DE (1) DE10314381B4 (ko)
FR (1) FR2839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52B1 (ko) 2006-06-27 2012-09-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소형 굴삭기의 유량배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6265A1 (ja) * 2003-02-27 2004-09-10 Komatsu Ltd. 後端小旋回油圧ショベル
US7374208B2 (en) * 2003-03-18 2008-05-20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ing machine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4201126B2 (ja) * 2003-04-10 2008-12-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JP4023392B2 (ja) * 2003-05-29 2007-12-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ドーザ装置付き油圧ショベル
JP4080974B2 (ja) * 2003-08-12 2008-04-23 株式会社クボタ ホイール式作業機
EP1668194A2 (en) * 2003-10-03 2006-06-14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Multi-function work machine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EP1930190A4 (en) * 2005-09-29 2010-11-17 Kubota Kk WHEEL TYPE WORK MACHINE
US8070170B2 (en) * 2007-11-12 2011-12-06 Timberpro, Inc.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NL2002125C2 (nl) * 2008-07-14 2010-01-18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DE202008013896U1 (de) * 2008-10-17 2010-03-11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Verfahrbares Arbeitsgerät
US7954878B1 (en) * 2009-08-07 2011-06-07 Golden Hinton Arch-based vehicle element
CN101953510B (zh) * 2010-07-07 2013-09-11 澳华达香料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从烟草碎末中提取抗氧化剂的方法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NL2011596C2 (nl) 2013-10-11 2015-04-14 Hudson Bay Holding B V Elektrische aandrijving van mobiele inrichting.
GB2531762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GB2531763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GB2531764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JP7147622B2 (ja) * 2019-02-21 2022-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3502A (en) 1955-02-18 1959-07-07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Vehicle with motor mounted on swingable arm
DE2011410C3 (de) 1970-03-11 1974-01-03 Leo Gottwald Kg, 4000 Duesseldorf Kranfahrzeug-Fahrgestellrahmen
US3674162A (en) * 1970-12-21 1972-07-04 Hy Dynamic Co Rough terrain vehicle
US4102461A (en) 1974-07-19 1978-07-25 Ingebret Soyland Excavator with low center of gravity
FR2426121A1 (fr) * 1978-05-16 1979-12-14 Pingon Pierre De Engin polyvalent de terrassement et de manutention
FR2507688A1 (fr) * 1981-06-10 1982-12-17 Pingon Pierre De Engin polyvalent de terrassement et de manutention
US5195863A (en) * 1982-09-08 1993-03-23 Pingon Pierre J De Excavator loader
US4501334A (en) 1983-07-07 1985-02-26 Deere & Company Wheeled excavator having a dozer blade and a boom-mounted stabilizer wheel
JPS6088733A (ja) * 1983-10-20 1985-05-18 Komatsu Ltd 油圧式エキスカベ−タ
US4984695A (en) 1989-09-14 1991-01-1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Wheel crane
US5265995A (en) * 1991-03-04 1993-11-30 Beck John W Tractor-loader backhoe
FR2675831A1 (fr) * 1991-04-23 1992-10-30 Sacmi Engin de travaux publics comportant une tourelle.
US5975833A (en) * 1996-01-30 1999-11-0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
US6290009B1 (en) * 1996-08-20 2001-09-1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Swivel working vehicle
AT405427B (de) * 1997-05-23 1999-08-25 Kaiser Ag Bagger
US6443687B1 (en) 1997-05-23 2002-09-03 Kaiser Aktiengesellschaft Excavator-hoist
EP1010820A4 (en) * 1997-07-11 2002-07-31 Komatsu Mfg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2001097017A (ja) 1999-09-28 2001-04-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の車高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52B1 (ko) 2006-06-27 2012-09-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소형 굴삭기의 유량배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14381B4 (de) 2006-09-28
FR2839093B1 (fr) 2005-09-09
US20030226293A1 (en) 2003-12-11
KR20030078697A (ko) 2003-10-08
DE10314381A1 (de) 2003-10-16
US6772544B2 (en) 2004-08-10
FR2839093A1 (fr) 200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840B1 (ko) 휠식 작업기
KR100606313B1 (ko) 휠식 작업기
KR102657223B1 (ko) 작업 기계용 하부 주행체
US9850640B2 (en) Working machine
JP2016089615A (ja) 作業機械
US5822892A (en) Working vehicle
WO2009110274A1 (ja) 作業車の排土装置
JP3737984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4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737985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742024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EP0413735A1 (en) Material handling machine
JP3806058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5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3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7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806056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4170881B2 (ja) 旋回作業機
JP6366534B2 (ja) 作業機
JP2005171608A (ja) 作業機
JP4357274B2 (ja) 旋回作業機
JP4170880B2 (ja) 旋回作業機
JP4282405B2 (ja) 作業機のロプス装置
JP2005171607A (ja) 旋回作業機
JP2005060984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