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082B1 -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082B1
KR100605082B1 KR1020040040963A KR20040040963A KR100605082B1 KR 100605082 B1 KR100605082 B1 KR 100605082B1 KR 1020040040963 A KR1020040040963 A KR 1020040040963A KR 20040040963 A KR20040040963 A KR 20040040963A KR 100605082 B1 KR100605082 B1 KR 10060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ain body
liquid
piston ro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575A (ko
Inventor
노구치요시오
Original Assignee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06Ink reservoirs with movable pistons for withdrawing ink from an ink-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자체를 쓰고 버리지 않고 액체를 보충 또는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으로 구성되어,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조출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10)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13)와, 이 본체(13)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체(14), 상기 본체(13)에 대해 착탈될 수 있게 장전된 카트리지(16), 탱크부(32) 내의 액체(L)를 외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체(24), 상기 카트리지(16)의 피스톤(34)을 앞쪽으로 압압하도록 피스톤(34)에 작용하면서 카트리지(16)의 카트리지케이스(30) 내 및 본체(13)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로드(17) 및, 상기 조작체(14)에 부가된 조작력을 피스톤로드(17)의 전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Cartridge-type liquid propelling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나타낸 전체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의 카트리지를 장전할 대의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의 피스톤로드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조작체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조작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a는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카트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척의 종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는 피스톤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피스톤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의 카트리지를 장전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2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제2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2실시예에서의 척의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의 카트리지를 장전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 -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12 - - 선구
13, 43 - - 본체 14 - - 조작체
16 - - 카트리지 17 - - 피스톤로드
17a - - 수나사 24 - - 액체공급체
30 - - 카트리지케이스 34 - - 피스톤
36, 38 - - 척 36d, 38d - - 암나사
42 - - 선구(조작체)
본 발명은 예컨대 화장용 잉크나 필기용 잉크, 수정액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갖고서, 이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조출할 수 있도록 된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액체를 수용하고서 조출할 수 있도록 된 용기의 예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14844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는 내부에 도포액 저장부가 형성된 축체(軸體)와, 저장부 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피스톤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봉(棒)과, 내통부재와 외통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회전원통체로 이루어지고서, 이 회전원통체의 외통부재에 돌조와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탄발할 수 있도록 된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환상돌조가 축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환상홈에 끼워져 회전원통체를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됨과 더불어, 외통부재의 걸림편을 축체 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래칫기어날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물려 래칫기구를 구성하고, 회전원통체의 내통부재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봉이 나사결합되어져 이 나사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양측에 형성된 2개의 평면부를 축체의 저장부 후단의 격벽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게 됨으로써, 회전원통체의 회전나사봉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전진하여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압압해서 도포액을 공급하도록 된 구 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원통체를 축체에 대해 회전시키면, 나사봉이 축체의 저장부 후단의 격벽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회전원통체의 내통부재와 나사봉 사이에 상대회전이 생겨 회전원통체의 나사구멍과 나사봉의 나사결합에 의해 나사봉이 전진해서,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압압하여 도포액을 축체의 선단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에서는, 도포액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액체용기 자체를 다시 사용할 수가 없어 버릴 수밖에 없어 자원의 낭비가 되고 있다. 또, 1차로 액체의 내용을 교환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별개의 액체용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 외에도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442호에 기재된 액체용기도 있으나, 이 또한 상기 실개평6-14844호와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자체를 쓰고 버리지 않고 액체를 보충하거나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으로 구성되고서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조금식 조출(繰出)할 수 있도록 된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를 보충 또는 교환할 때 간단히 작업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체,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될 수 있게 장전되어 카트리지케이스와 이 카트리지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 및 이 탱크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가진 카트리지, 상기 탱크부 내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체, 상기 카트리지의 피스톤을 앞쪽으로 압압하도록 피스톤에 작용하면서 상기 카트리지케이스 내 및 본체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로드, 상기 조작체에 부가된 조작력을 피스톤로드의 전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와 카트리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와 카트리지케이스를 나사결합시키는 나사결합부로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 나사결합부가 피스톤로드를 전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피스톤로드는 본체 내에서 카트리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결합부는 카트리지가 본체 내의 부착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로드와 카트리지케이스를 나사결합시키는 한편, 본체 내의 부착위치에서 벗겨지면 피스톤로드와 카트리지케이스의 나사결합상태를 이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카트리지케이스에 형성된 암나사로 이루어지고서, 이 암나사가 직경방향으로 확경(擴徑) 및 축경(縮徑)될 수가 있게 되어 있어, 암나사가 본체 내의 부착위치에 있을 때 축경되어져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액체공급체는 상기 본체에 대해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체공급체가 선구에 설치되고, 이 선구에 카트리지가 착탈될 수 있게 연결되며, 이 선구가 상기 본체에 착탈될 수 있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변환부가 조작체에 부가된 조작력(操作力)을 전진하는 것으로 변환시켜, 피스톤로드가 카트리지의 피스톤에 작용해서 카트리지케이스 및 본체 내를 이동하여 피스톤을 앞쪽으로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탱크부를 미끄럼이동해서 탱크부 내의 액체를 앞쪽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액체공급체로부터 외부로 액체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 탱크부 내의 액체가 없어진 경우에는, 카트리지를 본체에서 뽑아내고서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환함으로써 다시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피스톤로드는 피스톤에 대해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본체와 피스톤로드 및 조작체를 쓰고서 버리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가 있게 되어,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 카트리지를 본체 내의 부착위치에서 벗어나게 하면 피스톤로드와 카트리지케이스의 나사결합상태가 이완되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피스톤로드에서 해방시켜 간단히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를 자 동적으로 카트리지에서 떨어지는 위치로 되돌릴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의 액체공급체도 교환할 수가 있어서, 같은 액체조출용기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로서, 이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10)는, 대략 액체공급체를 갖춘 선구(先具;12)와, 본체(13), 조작체(14), 카트리지(16), 피스톤로드(17), 이 피스톤로드(17)를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18) 및, 캡(19)을 갖도록 되어 있다.
선구(12)에는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털붓형태로 된 액체공급체(24)와, 액체를 이 액체공급체(24)로 유출시키는 선단파이프(26), 선구(12) 내에 고정되고서 액체공급체(24) 및 선단파이프(26)를 선구(12)에 고정시키는 파이프홀더(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구(12)의 내주면에는 파이프홀더(28) 보다 뒤쪽에 복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 리브(12a;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세로방향 리브(12a)가 아니라, 선구(12)의 내주면을 다각형성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선구(12)의 후단부는 본체(13)의 선단부에 삽입되어 착탈될 수 있게 나사결합되어져 있다. 이렇게 나사결합으로 장착되고 나면 선구(12)와 본체(13)가 일체로 연결시켜지게 된다. 본체(13)의 내부 중앙부에는 내경방향으로 팽출(彭出)된 환상 의 단차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환상단차부(13a)의 중심구멍을 상기 피스톤로드(17)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3) 내의 환상단차부(13a) 보다 앞쪽 부분은 카트리지(16)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된다. 한편, 상기 환상단차부(13a) 보다 앞쪽 부분은 소경부(小經部;13b)로 되어 있는바, 이 소경부(13b)는 이 소경부(13b)의 앞쪽 보다 내경이 작도록 되어 있다. 본체(13)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환상리브(13d)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3)의 후단부에는 조작체(14)가 본체(1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조작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체(14)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경부(14a)와 소경부(14b)로 형성되고서 소경부(14b)의 외주면에 환상리브(14c)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환상리브(14c)는 상기 환상리브(13d)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 상기 조작체(14)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 리브(14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16)는 본체(13) 내에 착탈될 수 있게 부착되도록 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트리지케이스(30)의 내부에 구획되게 형성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32)와, 이 탱크부(32) 내를 미끄럼이동해서 바닥마개 역할을 하는 피스톤(34)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탱크부(32)에 수용되는 액체(L)로는 예컨대 수정액이나 필기용 잉크, 화장용 잉크 등으로 할 수가 있고, 점도의 대소는 묻지 않는다. 카트리지케이스(30)의 앞끝은 상기 파이프홀더(28)에 연결되고, 카트리지케이스(30)의 앞끝에 형성된 탱크부(32)의 선단부개구(32a)는 상기 파이프홀더(28) 및 선단파이프(26)를 통해 액체공급체(24)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케이 스(3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선구(12)의 세로방향 리브(12a)에 끼워지는 세로방향 홈(3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카트리지(16)가 선구(1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선구(12)의 내주면이 다각형상인 경우에는, 카트리지케이스(30)의 선단부 외주면이 그에 끼워지는 다각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탱크부(32)의 선단부개구(32a)에는,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체(L)의 점도가 작은 경우의 액체(L)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쪽마개(35)가 끼워져 밀봉되도록 되어 있는 바, 사용할 때 카트리지(16)가 파이프홀더(28)에 연결되면 파이프홀더(28)가 앞쪽마개(35)를 탱크부(32) 내로 밀어내 선단부개구(32a)를 개구시키게 된다. 단, 액체(L)의 점도가 큰 경우에는 앞쪽마개(3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그 대신 먼지 같은 것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캡을 설치하여도 좋다. 앞쪽마개(35)는 도시된 것과 같은 구형 이외의 형상을 한 것이라도 좋다.
카트리지케이스(30)의 후단에는 척(36)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척(36)은 세로방향형식의 척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걸림돌기(36a)가 카트리지케이스(30)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구멍(30a)에 걸려지고, 카트리지케이스(30)의 후단에 형성된 상하 1쌍의 절결부(30b)에 척(36)의 후단에 형성되어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는 1쌍의 돌기(36b)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척(36)의 후단에는 돌기(36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절결부(36b)가 형성되고, 척(36)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절결부(36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암나사(3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6c)가 압축됨으로써 척(36)의 암나사(36d)가 축방향으로 수축될 수 가 있게 된다.
또, 상기 피스톤(34)은 카트리지케이스(3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구성되고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후단부에는 뒤쪽으로 개구시켜진 받침오목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17)는 그 선단부가 피스톤(34)의 받침오목부(34a)에 대해 착탈될 수 있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피스톤로드(1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17)의 후단부에는 상기 조작체(14)의 세로방향 리브(14e)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세로방향 리브(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피스톤로드(17)가 조작체(1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조작체(14)의 내주면이 다각형상으로 되고, 피스톤로드(17)의 후단부 외주면이 이에 끼워지는 다각형상을 하도록 되어도 좋다.
또, 피스톤로드(17)와 카트리지케이스(30)에 설치된 척(36)과는 나사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이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와 척(36)의 암나사(36d)로 이루어지는 나사결합부가 피스톤로드(17)를 전진시키는 변환부(變換部)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17)의 선단부가 피스톤(34)의 받침오목부(34a)에 끼워지면 피스톤(34)에 작용할 수 있게 되어, 피스톤로드(17)의 전진력을 피스톤(34)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예에서는 피스톤로드(17)가 직접 피스톤(34)에 접촉해서 압압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별개의 부재를 매개로 피스톤(34)이 압압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카트리지(16)를 본체(13) 내에다 장전(裝塡)한다. 이 장전은 본체(13)와 선구(12)의 나사결합을 해제시켜 카트리지케이스(30)를 선구(12)의 파이프홀더(28)에다 연결한 후, 본체(13)의 개방된 선단부개구로부터 카트리지(16)를 본체(13) 내에 삽입하고서, 선구(12)를 본체(13)에다 다시 나사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도 2 참조). 이 나사결합을 할 때 카트리지(16)는 선구(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3)의 환상단차부(13a)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도록 한다. 카트리지케이스(30)에 설치된 척(36)은 본체(13)의 소경부(13b)에 삽입되고, 척(36)의 돌기(36b)가 소경부(13b)에 의해 압압되어 절결부(36c)를 압축시켜 척(36)의 후단부 내경이 좁혀지도록 한다. 그리고, 척(36)이 회전하면서 그 암나사(36d)가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10)를 사용하려면, 캡(19)을 벗겨 액체공급체(24)로 바라는 부분에다 액체를 도포할 수가 있다. 또, 액체공급체(24)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적어진 경우에는, 조작체(14)를 본체(13)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트리지(16)가 본체(13)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6)의 척(36)과 나사결합된 피스톤로드(17)가 본체(13) 내를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17)의 선단부가 피스톤(34)의 받침오목부(34a)에 끼워져 피스톤(34)을 앞쪽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탱크부(32) 내의 액체(L)가 파이프홀더(28)를 거쳐 액체공급체(24)로 밀어내어져 이 액체공급체(24)로부터 나와 도포면을 도포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액체가 사용됨에 따라 피스톤로드(17)가 카트리지케이스(30) 내 및 본체(13) 내를 전지해서 피스톤(34)이 탱크부(32) 내를 미끄러져 전진해 가게 된다(도 3 참조). 액체가 사용되어 탱크부(32) 내의 액체가 없어져 카트리지(16)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면, 다시 선구(12)와 본체(13)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키게 되는 바, 이 나사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선구(12)를 회전시키면 카트리지(16)도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척(36)의 암나사(36d)가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에 대해 회전하게 되지만, 척(36)의 돌기(36d)가 소경부(13b)에서 벗어나면 척(36)의 후단부 내경이 원래의 자연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이제는 암나사(36d)가 수나사(17a)에 대해 나사결합되지 않고 나사결합이 이완되어 피스톤로드(17)가 카트리지(16)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해 뒤쪽으로 되돌려져 초기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선구(12)와 본체(13)가 분리된 후 다 쓴 카트리지(16)를 선구(12)에서 뽑아내고 새로운 카트리지(16)를 선구(12)에 연결하고서, 다시 새로운 카트리지(16)를 본체(13)에 장전함으로써 먼저 번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선구(12)와 본체(13) 및 조작체(14)와 같은 카트리지(16) 이외의 액체조출용기(10)의 부품을 쓰고 버리지 않고 액체를 보충 또는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카트리지(16) 뿐만 아니라 선구(12)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액체의 종류를 바꾸려는 경우에는, 선구(12)까지 교환하게 되면 액체공급체(24)를 포함해서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척으로서 세로형 척을 사용하였으나, 본 제2실시예에서는 C자 형상의 척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C자 형상 척(38)의 후단에 형성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상하 1쌍의 돌기(38b)가 카트리지케이스(30)의 후단에 형성된 상하 1쌍의 절결부(30b)에 끼워져 걸려지게 된다. 또, 척(38)의 외주면에는 돌기(38b)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축방향으로 뻗은 1개의 슬릿(38c)이 형성되어 있어서, 척(38)의 횡단면이 C자 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척(38)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슬릿(38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암나사(38d)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38c)이 압축됨으로써 척(38)의 암나사(38d)가 직경방향으로 좁혀질 수 있게 된다. 슬릿(38c)을 포함한 척(38)의 윤곽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으로 되어도 좋다.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와 척(38)의 암나사(38d)로 이루어진 나사결합부가 피스톤로드(17)를 전진시키는 변환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척(38)이 설치된 카트리지(16)의 경우에도, 카트리지(16)를 본체(13)에다 장전할 때(도 9 참조), 척(38)이 본체(13)의 소경부(13b)에 삽입되어 척(38)의 돌기(38b)가 소경부(13b)에 의해 압압되어져 슬릿(38c)을 압축해서 척(38)의 내경이 좁혀져, 척(38)이 회전하게 되면 그 암나사(38d)가 피스톤로드(17)의 수 나사(17a)에 나사결합되게 된다(도 8 참조).
또 반대로, 카트리지(16)를 교환할 필요가 있어 선구(12)와 본체(13)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 선구(12)를 회전시키면, 카트리지(16)도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척(38)의 암나사(38d)는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에 대해 회전하지만, 척(38)의 돌기(38b)가 소경부(13b)에서 벗어나면 척(38)의 후단부 내경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이제는 암나사(38d)가 수나사(17a)에 대해 나사결합되지 않고 나사결합이 이완되어져 피스톤로드(17)가 카트리지(16)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스프링(18)의 탄발력으로 뒤쪽으로 되돌려져 초기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도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조작체가 본체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43)의 선단부에 부착된 선구(42)가 조작체를 겸하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앞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선구(42)에는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선단도포체인 액체공급체(24)와, 액체를 이 액체공급체(24)로 흘려보내는 선단파이프(26) 및, 선구(42) 내에 고정되고서 액체공급체(24) 및 선단파이프(26)를 선구(42)에 고정시키는 파이프홀더(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구(42)의 내주면에는 파이프홀더(28) 보다 뒤쪽에 복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 리브(42a)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선구(42)의 후단부는 본체(43)의 선단부에 삽입되어 착탈될 수 있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끼워진 다음에는 선구(42)와 본체(43)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지게 된다. 본체(43) 내부의 중앙부에는 스토퍼(stopper;44)가 고정되어 있는 바, 이 스토퍼(44)의 중심구멍을 피스톤로드(17)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43) 내의 스토퍼(44) 보다 뒤쪽 부분은 카트리지(16)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된다. 스토퍼(44) 보다 바로 앞쪽의 본체(43)의 부분이 소경부(43b)로 되어 있는 바, 이 소경부(43b)는 이 소경부(43b) 앞쪽 부분 보다 내경이 작게 되어 있다. 또, 본체(43)의 스토퍼(44) 보다 뒤쪽 부분에는 그 내주면에 복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 리브(43a)가 형성되고, 이 세로방향 리브(43a) 사이에 피스톤로드(17)의 세로방향 리브(17b)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17)가 본체(4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본체(43) 내의 내주면이 다각형상으로 되고 피스톤로드(17)의 후단부가 이에 끼워지는 다각형상을 하도록 되어도 좋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카트리지(16)를 본체(43) 내에다 장전(裝塡)한다. 이 장전은, 본체(43)와 선구(42)의 나사결합을 해제시켜 카트리지케이스(30)를 선구(42)의 파이프홀더(28)에다 연결한 후, 본체(43)의 개방된 선단부개구로부터 카트리지(16)를 본체(43) 내에 삽입하고서, 선구(42)를 본체(43)에다 다시 나사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13 참조). 이 나사결합을 할 때 카트리지(16)는 상기 본체(43) 내에 고정된 스토퍼(44)에 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카트리지케이스(30)에 설치된 척 (36)은 본체(43)의 소경부(43b)에 삽입되고, 척(36)의 돌기(36b)가 소경부(43b)에 의해 압압되어 절결부(36c)를 압축시켜 척(36)의 후단부 내경이 좁혀지도록 한다. 그리고, 선구(42) 및 척(36)을 회전시키면서 그 암나사(36d)가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10)를 사용하려면, 캡(19)을 벗겨 액체공급체(24)로 바라는 부분에다 액체를 도포하게 된다. 또, 액체공급체(24)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적어진 경우에는, 선구(42)를 본체(43)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로드(17)가 본체(4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카트리지(16)가 회전하고, 피스톤로드(17)는 본체(43)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17)가 카트리지(16)의 척(36)과 나사결합되면서 본체(43) 내를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피스톤로드(17)의 선단부가 피스톤(34)의 받침오목부(34a)에 끼워져 피스톤(34)을 앞쪽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탱크부(32) 내의 액체(L)가 파이프홀더(28)를 거쳐 액체공급체(24)로 밀어내어져 이 액체공급체(24)로부터 도포면으로 도포시켜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액체가 사용됨에 따라 피스톤로드(17)가 카트리지케이스(30) 내 및 본체(13) 내를 전진해서 피스톤(34)이 탱크부(32) 내를 미끄러져 전진해 가게 된다. 액체가 사용되어 탱크부(32) 내의 액체가 없어져 카트리지(16)를 교환할 필요가 있게 되면, 다시 선구(42)와 본체(43)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킨다. 이 나사결합을 해제할 때 선구(12)를 회전시키면서 잡아당겨 뽑아내면 카트리지(16)도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척(36)의 암나사(36d)가 피스톤로드(17)의 수나사(17a) 에 대해 회전하게 되지만, 척(36)의 돌기(36d)가 소경부(43b)에서 벗어나면 척(36)의 후단부 내경이 원래의 자연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이제는 암나사(36d)가 수나사(17a)에 대해 나사결합되지 않고 나사결합이 이완되어 피스톤로드(17)가 카트리지(16)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해 뒤쪽으로 되돌려져 초기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선구(42)와 본체(43)가 분리된 후 다 쓴 카트리지(16)를 선구(42)에서 뽑아내고 새로운 카트리지(16)를 선구(42)에 연결하고서, 다시 새로운 카트리지(16)를 본체(43)에 장전하게 되면 먼저 번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선구(42)와 본체(43)와 같은 카트리지(16) 이외의 액체조출용기(10)의 부품을 쓰고 버리지 않고서 액체를 보충 또는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카트리지(16) 뿐만 아니라 선구(42)를 교환할 수도 있는 바, 예컨대 액체의 종류를 바꾸려는 경우에는, 선구(42)까지 교환하면 액체공급체(24)를 포함해서 함께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각 실시예에서, 단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복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반대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부재를 단일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자체를 쓰고 버리지 않고 액체를 보충 또는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고, 액체를 보충 또는 교환할 때 간단히 작업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선단부에 선구(24)가 착탈될 수 있게 결합된 본체(13, 43)와,
    상기 본체(13, 4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체(14)와,
    상기 본체(13, 43)에 대해 착탈될 수 있게 장전되어, 카트리지케이스(30)와, 이 카트리지케이스(30) 내에 형성되어 액체(L)를 수용하는 탱크부(32) 및, 이 탱크부(32) 내를 슬라이드 이동해서 상기 탱크부(32) 내에 수용된 액체(L)를 압압하는 피스톤(34)을 가진 카트리지(16)와,
    상기 본체(13, 43)에 대해 분리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카트리지 (16)의 선단부에 착탈될 수 있게 끼워져, 상기 탱크부(32) 내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된 액체공급체(24)와,
    상기 카트리지(16)의 피스톤(34)을 앞쪽으로 압압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34)에 작용해서 상기 카트리지케이스(30) 내 및 상기 본체(13, 43) 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서, 스프링(18)에 의해 카트리지(16)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된 피스톤로드(17) 및,
    상기 피스톤로드(17)와 카트리지케이스(30) 사이에 구성된 나사결합부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체(14)에 부여된 조작력에 의해 상기 조작체(14)와 상기 본체(13, 43) 사이에 상대회전이 일어나면 상기 피스톤(34)을 전진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가, 상기 카트리지(16)가 본체(13, 43) 내의 부착위치에 있을 때는 피스톤로드(17)와 카트리지케이스(30)를 나사결합시키는 한편, 본체(13, 43) 내의 부착위치에서 벗어나면 피스톤로드(17)와 카트리지케이스(30)와의 나사결합상태를 이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가, 상기 피스톤로드(17)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7a)와 카트리지케이스(30)에 결합된 척(36)에 형성된 암나사(36d)로 이루어지고서, 이 암나사(36a)가 직경방향으로 확경 및 축경될 수가 있게 되어 있어, 이 암나사가 본체(13, 43) 내의 부착위치에 있을 때에 축경되어져 상기 수나사(17a)와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체(24)가 상기 선구(12)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선구(12)에 카트리지(16)가 착탈될 수 있게 연결되고, 또 상기 선구(12)가 상기 본체(13, 43)에 착탈될 수 있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KR1020040040963A 2004-01-20 2004-06-04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KR100605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2326A JP4335701B2 (ja) 2004-01-20 2004-01-20 カートリッジ式液体繰り出し容器
JPJP-P-2004-00012326 2004-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575A KR20050076575A (ko) 2005-07-26
KR100605082B1 true KR100605082B1 (ko) 2006-07-31

Family

ID=3463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963A KR100605082B1 (ko) 2004-01-20 2004-06-04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37975B2 (ko)
EP (1) EP1557288B1 (ko)
JP (1) JP4335701B2 (ko)
KR (1) KR100605082B1 (ko)
CN (1) CN1644468A (ko)
TW (1) TW200524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7852B2 (en) * 2006-03-02 2009-10-27 Washington Pamela D Liquids applicator
JP5373418B2 (ja) * 2009-02-04 2013-12-18 株式会社ヒダン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収納容器
TWI430762B (zh) 2009-09-16 2014-03-21 Colgate Palmolive Co 口腔保健系統、套組及方法
CN102049947A (zh) * 2009-11-02 2011-05-11 王华伍 计量式修正笔
EP2515700B1 (en) 2009-12-23 2017-06-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CN102655786B (zh) 2009-12-23 2014-11-19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系统
US8851779B2 (en) 2009-12-23 2014-10-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kit and method
KR101453633B1 (ko) 2009-12-23 2014-10-22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JP5484143B2 (ja) * 2010-03-23 2014-05-07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塗布具
JP5545635B2 (ja) * 2010-03-23 2014-07-09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WO2011118636A1 (ja) 2010-03-23 2011-09-29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塗布具
MX354781B (es) 2010-12-15 2018-03-21 Colgate Palmolive Co Dispensador del cuidado bucal.
JP5592306B2 (ja) * 2011-05-11 2014-09-17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DE102011116762B4 (de) * 2011-10-21 2017-03-09 Montblanc-Simplo Gmbh Schreibgerät
CN103653684A (zh) * 2013-12-06 2014-03-26 南通宝田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多功能化妆品管
CN105361403B (zh) * 2014-08-26 2018-06-1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可替换式化妆笔
US10427859B2 (en) * 2014-10-24 2019-10-01 Conopco, Inc. Dispenser for a cream, gel or soft solid composition
AU2015381790B2 (en) 2015-02-02 2018-10-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oral care material dispenser
CN105249659A (zh) * 2015-10-15 2016-01-20 锦奈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膏霜瓶
GB2586073B (en) * 2019-08-02 2021-08-25 Dongguan Xingwan Ind Development Co Ltd Eyeliner
FR3104390B1 (fr) 2019-12-16 2021-12-24 Oreal Recharge de produit cosmétique, ensemble de chargement, mécanisme de distribution et nécessaire associés
FR3104391B1 (fr) 2019-12-16 2021-12-24 Oreal Ensemble de chargement destiné à un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smétique, nécessaire et procédé associé
FR3104392B1 (fr) 2019-12-16 2021-12-24 Oreal Recharge de produit cosmétique, destinée à être montée de manière amovible dans une frette d’habillage, ensemble de chargement, nécessaire, dispositif et procédé de montage associé
JP7351741B2 (ja) * 2019-12-23 2023-09-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繰出容器
FR3110898B1 (fr) * 2020-05-27 2024-03-15 Coradin Sas Ensemble compose d’un recipient pour un fluide et d’un emballage distributeur
WO2024042157A1 (en) 2022-08-25 2024-02-29 Sanofi Novel substituted quinoline and tetrahydronaphthale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7712U (ko) * 1987-03-24 1988-10-26 미쓰비시 엔삐쓰 가부시끼가이샤 액상체의 필기 또는 도포용 기구
KR200197728Y1 (ko) 2000-04-19 2000-09-15 김명언 잉크 보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
KR100444387B1 (ko) 2001-08-16 2004-08-16 안석두 액형 립 펜슬의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2193A (en) * 1947-10-02 1953-03-24 Neergaard And Associates Ball applicator type dispenser with lockable ball and removable cartridge
US3002517A (en) * 1959-12-08 1961-10-03 Eva V Pitton Cosmetic applicator with replaceable cartridge
US3359992A (en) * 1964-11-06 1967-12-26 Avon Prod Inc Cosmetic applicator
US3468612A (en) * 1965-10-23 1969-09-23 Bruno D Aston Cosmetic applicator case and replaceable cartridge therefor
US4599008A (en) * 1985-06-28 1986-07-08 Fin-Tech Limited Partnership Fingernail polish capsule and plunger
EP0208394B1 (en) * 1985-07-11 1993-07-21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type toilet implement
JP3352115B2 (ja) 1992-07-01 2002-12-03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洗髪ボールの回転制御装置
JPH0614844U (ja) 1992-07-17 1994-02-25 輝男 高橋 センサーのついた加湿器
US6213662B1 (en) * 1999-05-13 2001-04-10 Mohdsameer Y Aljanedi Toothbrush with paste dispenser
JP3519668B2 (ja) 2000-04-21 2004-04-19 株式会社壽 液体容器
FR2812277B1 (fr) * 2000-07-27 2003-01-10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US6328040B1 (en) * 2000-08-02 2001-12-11 Julie Anne Stein Nail polish pen having spare ti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7712U (ko) * 1987-03-24 1988-10-26 미쓰비시 엔삐쓰 가부시끼가이샤 액상체의 필기 또는 도포용 기구
KR200197728Y1 (ko) 2000-04-19 2000-09-15 김명언 잉크 보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
KR100444387B1 (ko) 2001-08-16 2004-08-16 안석두 액형 립 펜슬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575A (ko) 2005-07-26
EP1557288A3 (en) 2006-12-06
JP2005206165A (ja) 2005-08-04
US7237975B2 (en) 2007-07-03
JP4335701B2 (ja) 2009-09-30
EP1557288B1 (en) 2013-04-17
EP1557288A2 (en) 2005-07-27
TW200524552A (en) 2005-08-01
CN1644468A (zh) 2005-07-27
US20050158114A1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082B1 (ko)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EP1775235B1 (en) Liquid container
US8177452B2 (en) Nail polish container
US10674802B2 (en) Pen type cosmetics case
JP2008142562A (ja) 塗布具、特に化粧用具
US20060263144A1 (en) Marking instrument
JP2010125715A (ja) 液体供給具
KR100546052B1 (ko) 액체용기
KR102559672B1 (ko)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JP4480343B2 (ja) カートリッジ式塗布具
JP3060112B2 (ja) 液体容器
JP6361011B2 (ja) カートリッジ式内容物押出容器
JP5875320B2 (ja) 塗布具
JP4050304B1 (ja) 塗布用化粧料繰出容器
JPH0621585Y2 (ja) 塗布具
JP2015227181A (ja) 定量塗布具
JP3981194B2 (ja) 棒状物補充カセット及び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2016220720A (ja) 定量供給装置
JP6318344B2 (ja) カートリッジ式内容物押出容器
US11832707B2 (en) Cartridge-type content extrusion container with screw locking member
JP7199068B1 (ja) 化粧用具
JP2021094273A (ja) 塗布具
US20090252547A1 (en) Ink refill tool for a writing instrument
KR910009690B1 (ko) 액체용기
JPH03177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