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746B1 -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및 당해 감미제를 포함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및 당해 감미제를 포함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746B1
KR100601746B1 KR1020017003420A KR20017003420A KR100601746B1 KR 100601746 B1 KR100601746 B1 KR 100601746B1 KR 1020017003420 A KR1020017003420 A KR 1020017003420A KR 20017003420 A KR20017003420 A KR 20017003420A KR 100601746 B1 KR100601746 B1 KR 10060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yl
compound
hydrogen atoms
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156A (ko
Inventor
아미노유스케
유자와가즈코
다케모토다다시
나카무라료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0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acidic
    • C07K5/06113Asp- or Asn-amino acid
    • C07K5/06121Asp- or Asn-amino acid the second amino acid being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07K5/0613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1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 A23L27/32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containing dipeptides or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Seasoning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감미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등의 신규한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도체는 저칼로리이며 또한 종래품과 비교하여 감미도가 우수하며 이를 함유하는 감미제나 식품 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감미제, 아스파르탐 유도체, 환원적 알킬화, 저칼로리

Description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및 당해 감미제를 포함하는 식품{N-Alkylaspartyl dipeptide ester derivatives, sweeteners comprising the same and a sweetened food comprising the sweeteners}
본 발명은 신규한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미제 및 감미가 부여된 식품 등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식생활의 고도화에 따라 특히 당분의 섭취과다에 의한 비만 및 이에 따르는 각종 질병이 문제로 되고 있으며, 설탕을 대체하는 저칼로리 감미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감미제로서 안전성과 감미질 면에서 우수한 아스파르탐이 있지만 안정성에 약간 문제가 남아 있다.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WO 94/11391호에는 아스파르탐을 구성하는 아스파라긴산의 질소원자에 알킬기를 도입한 유도체의 감미 배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도 약간의 개선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은 알킬기로서 3,3-디메틸부틸기를 도입한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이며 감미도는 슈크로스의 10000배로 보고되어 있다(2, 5, 10%의 슈크로스 용액과 비교). 3,3-디메틸부틸기 이외에 20종류의 치환기를 도입한 아스파르탐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의 감미도는 모두 2500배 이하로 보고되어 있다. 알킬기로서 3-(치환 페닐)프로필기를 도입한 유도체도 기재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비교적 감미도가 높은 유도체로서 N-[N-(3-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가 감미도 1500배,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L-α -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가 감미도 2500배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도체의 감미도는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10000배에는 미치지 않는다. 또한, 3-페닐프로필기의 3위치에 다시 메틸기를 도입한 구조인 치환기, 즉 3-페닐부틸기를 알킬기로서 가지는 N-[N-[(RS)-3-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감미도는 1200배로 보고되어 있으며 3위치에 메틸기가 도입됨으로써 N-[N-(3-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와 비교하여 약간 감미도가 저하되어 있다. 또한,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프로필기의 1위치에 메틸기를 도입한 구조인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RS)-1-메틸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감미도는 500배로 보고되어 있으며 1위치에 메틸기가 도입됨으로써 감미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다. 또한, 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부분을 다른 아미노산에스테르로 치환한 예로서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티로신 1-메틸 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유도체의 감미도는 4000배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 감미도가 우수한 저칼로리의 감미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전성이 우수하며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감미도를 갖는 신규한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저칼로리 감미제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닐기에 각종 치환기를 갖는 동시에 주쇄에 1 내지 4개의 알킬 치환기를 갖는 3-페닐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또는 (2-페닐에틸)알킬케톤 유도체 등을 사용하여 환원적 알킬화 반응에 의해, 아스파르탐 및 아스파르탐 유도체(아스파르탐의 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부분을 다른 아미노산 에스테르로 치환한 화합물)를 구성하는 아스파라긴산의 질소원자에 각종 3-(치환 페닐)프로필기[예: 3,3-디알킬-3-(치환 페닐)프로필기 또는 (RS)-3-알킬-3-(치환 페닐)프로필기 등]를 도입한 각종 화합물을 합성하여 이들의 감미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감미 배율 면에서 상기한 국제공개특허공보 제WO 94/l1391호에 기재되어 있는 감미도 1200배로 보고되어 있는 N-[N-[(RS)-3-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감미도 4000배로 보고되어 있는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티로신 l-메틸 에스테르 등은 말할 것도 없이 감미도 10000배로 보고되어 있는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 있고, 특히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감미제로서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함유하는 감미제 및 식품 등의 제품이다.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1
위의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및 탄소수 2 또는 3의 하이드록시알킬옥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R1과 R2 또는 R2와 R3은 함께 각각 메틸렌디옥시기이며, 단 R1과 R2 또는 R2와 R3이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인 경우, R4, R5, 및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하지 않는 R1 또는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을 위해 지정되거나 예시하는 치환기 중의 하나이며,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R6, R7,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의 치환기는 함께 각각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단 R6, R7,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가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경우, 선택된 2개 이외의 치환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을 위해 지정되거나 예시하는 치환기 중의 하나이다.
화학식 1에서 파선(波線)으로 나타낸 결합은 단일결합이며 결합의 방향에 제한은 없다.
R6과 R7, 또는 R8과 R9가 상이한 치환기인 경우 또는 R10 이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인 경우, R6과 R7이 결합되는 탄소원자, R8과 R9가 결합되는 탄소원자 및 R10이 결합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에는 제한이 없다[예: 각각 독립적으로 (R), (S), (RS) 등].
R11은 수소원자, 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사이클로헥실메틸기, 페닐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에틸기 및 사이클로헥실에틸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R12는 수소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R1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다.
단, R6, R7, R8, R9 및 R10가 모두 동시에 수소원자인 유도체, R6이 메틸기이며 R1, R2, R3,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동시에 수소원자이며 R11이 벤질기 또는 p-하이드록시벤질기를 각각 나타내는 유도체 및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0이 메틸기이며 R1, R4, R5, R6, R7, R8 및 R9가 동시에 수소원자이며 R11이 벤질기 또는 p-하이드록시벤질기를 각각 나타내는 유도체는 제외된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신규한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포함되며 또한 이의 염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 유도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에서 아스파라긴산은 L-체이지만 기타 아미노산은 L-체 또는 D-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하기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1] 화학식 1의 화합물.
단,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H), 수산기(OH),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OCH3, 0CH2CH3, OCH2CH2CH3 등),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CH3, CH2CH3, CH2CH2CH3 등) 및 탄소수 2 또는 3의 하이드록시알킬옥시기[O(CH2)2OH, OCH2CH(OH)CH3 등]에서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R1과 R2 또는 R2와 R3은 함께 메틸렌디옥시기(OCH2O)이다.
단, R1과 R2 또는 R2와 R3이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인 경우, R4, R5, 및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하지 않는 R1 또는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을 위해 지정되거나 예시하는 치환기 중의 하나이다.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R6, R7, R8, R9 및 R 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의 치환기는 함께 각각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CH2, CH2CH2, CH2 CH2CH2 등)이다.
단, 여기서 R6, R7,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가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경우, 선택된 2개 이외의 치환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을 위해 지정되거나 예시하는 치환기 중의 하나이다.
화학식 1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결합은 단일결합이며 결합의 방향에 제한은 없다.
R6과 R7, 또는 R8과 R9가 상이한 치환기인 경우 또는 R10 이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인 경우, R6과 R7이 결합되는 탄소원자, R8과 R9가 결합되는 탄소원자 및 R10이 결합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에 제한은 없으며 (R), (S), (RS) 등 중의 하나일 수 있다.
R11은 수소원자, 벤질기(CH2C6H5), p-하이드록시벤질기(CH2 C6H5-p-OH), 사이클로헥실메틸기(CH2C6H11), 페닐기(C6H5), 사이클로헥실기(C 6H11), 페닐에틸기(CH2CH2C6H5) 및 사이클로헥실에틸기(CH2CH 2C6H11)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R12는 수소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R1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다.
단, R6, R7, R8, R9 및 R10의 모두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 R6이 메틸기이며 R1, R2, R3, R4, R5, R7, R8 , R9, R10 및 R12가 동시에 수소원자이며 R11이 벤질기 또는 p-하이드록시벤질기인 화합물, 및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0 이 메틸기이며 R1, R4, R5, R6, R7, R8 및 R 9가 동시에 수소원자이며 R11이 벤질기 또는 p-하이드록시벤질기인 화합물은 제외된다.
[2] R6이 메틸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 R7이 메틸기인 상기 [2]에 기재된 화합물.
[4] R8, R9 및 R10이 수소원자인 상기 [3]에 기재된 화합물.
[5] R10이 메틸기인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화합물.
[6] R6과 R7이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7] R1, R2, R3, R4 및 R5 모두가 수소원자인 화합물을 제외한 상기 [2]에 기재된 화합물.
[8] R6이 메틸기이며 R1, R2, R3, R4, R5, R7, R8, R9 및 R10이 모두 수소원자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9] R6이 탄소수 2 또는 3의 알킬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0] R6, R7,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의 치환기가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1] R6, R7, R8 및 R9가 모두 수소원자이며 R10이 메틸기이며 R2가 수소원자, 수산기, 탄소수 2 또는 3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및 탄소수 2 또는 3의 하이드록시알킬옥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 또는 R2와, R1 및 R3 중의 하나와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2] R6, R7, R8 및 R9가 모두 수소원자이며 R10이 메틸기이며 R3이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및 탄소수 2 또는 3의 하이드록시알킬옥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 또는 R2와, R1 및 R3 중의 하나와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3] R1, R4, R5, R6, R7, R8 및 R9 가 모두 수소원자이며 R10이 메틸기이며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1이 수소원자, 사이클로헥실메틸기, 페닐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에틸기(CH2CH2C6H5) 및 사이클로헥실에틸기(CH2 CH2C6H11)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4] R6 및 R7이 수소원자이며 R10이 탄소수 2 또는 3의 알킬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5] R6 및 R7이 수소원자이며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가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6] R6, R7 및 R10이 수소원자이며 R8과 R9 중의 하나 이상이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거나 R8 및 R9가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7]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2, R4, R5, R7 ,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8] R2가 수산기이며 R1, R3, R4, R5, R7 ,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19]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0]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1]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p-하이드록시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2]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 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사이클로헥실메틸기인 상기 [l]에 기재된 화합물.
[23]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4] R3이 수산기이며 R1, R2, R4, R5, R8 ,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5]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6]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7] R2가 메틸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8]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6, R7,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8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29] R1이 수산기이며 R2, R3, R4, R5, R8 ,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0] R1이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1] R1이 수산기이며 R3이 메틸기이며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2] R2와 R3이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3] R2가 메틸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4] R2가 메틸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5]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틸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6]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과 R7이 함께 테트라메틸렌기이며 R11이 벤질기이며 R13이 메틸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7]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 며 R6 및 R7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이며 R13이 에틸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8] R2 및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39]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및 R10이 수소원자이며 R6, R7, R12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40] R6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가 (R), (S) 및 (RS) 중의 하나인 상기 [17] 내지 [22] 및 [27]에 기재된 화합물.
[41] R8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가 (R), (S) 및 (RS) 중의 하나인 상기 [28]에 기재된 화합물.
[42] R10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가 (R), (S) 및 (RS) 중의 하나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본 발명에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추가로 하기의 발명도 포함된다.
[43] 본 발명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미제, 감미가 부여된 식품, 기타 제품. 또한, 이 속에 감미제용의 담체 또는 증량제를 함유할 수 있다.
[44] 감미가 요구되는 제품(음식물, 의약품, 구강내 위생품 등)에 본 발명의 유도체를 함유시키는(혼합, 첨가) 감미 부여방법.
[45] 하기 화학식 2의 알데히드와 하기 화학식 3의 아스파르탐 유도체를 환원적 알 킬화의 조건하에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R10이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2
위의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및 R9는 화학식 1의 R1, R2, R3, R4, R5, R6, R7, R8 및 R9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화학식 2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결합은 단일결합이며 결합의 방향에 제한은 없다.
또한, R6과 R7 또는 R8과 R9가 동일한 치환기가 아닌 경우, R6 및 R7 또는 R8 및 R9가 결합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R), (S), (RS) 등 중의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3
위의 화학식 3에서,
R11, R12 및 R13은 화학식 1의 R11, R12 및 R13 과 동일한 의미이며,
R14는 수소원자 또는 당해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하에서 수소원자로 변환할 수 있는 치환기이며,
R15는 수소원자 또는 벤질기 또는 t-부틸기 등의 카복실기의 보호에 사용할 수 있는 치환기이다.
[46] 하기 화학식 4의 알데히드와 화학식 3의 아스파르탐 유도체를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R7, R9 및 R10이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4
위의 화학식 4에서,
R1, R2, R3, R4, R5, R6 및 R8 은 화학식 1의 R1, R2, R3, R4, R5, R6 및 R8과 동일한 의미이다.
[47] 하기 화학식 5의 알데히드와 화학식 3의 아스파르탐 유도체를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5
위의 화학식 5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화학식 1의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과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화학식 5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결합은 단일결합이며 결합의 방향에 제한은 없다.
또한, R6과 R7 또는 R8과 R9가 동일한 치환기가 아닌 경우, R6 및 R7 또는 R8 및 R9가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R), (S), (RS) 등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45] 내지 [47]에 기재된 제조방법은 당해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면 양호하며 추가로 그 이외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화로 반응시키는 공정 후에 탈보호를 위한 공정이나 염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정 등의 각각 목적하는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임의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하에서 수소원자로 변환할 수 있는 치환기로서는 벤질옥시카보닐기 등의 통상적으로 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치환기를 당해 조건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당해 환원적 알킬화의 조건에는 자체 공지되거나 장래에 개발되는 적당한 환원조건, 예를 들면, 금속 수소화물 등을 사용하는 조건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화학식 2,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의 알데히드가 수산기를 갖는 경우, 당해 수산기가 적당한 보호기(예: 벤질기)에 의해 보호되는 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상기 [45] 내지 [47]에 기재된 제조방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유도체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과의 염, 암모니아와의 암모늄염, 라이신, 알기닌 등의 아미노산과의 염,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시트르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및 사카린(saccharin), 아세설팜(acesulfame), 시클람산(cyclamic acid), 글리시리즈산(glycyrrhizic acid) 등의 다른 감미제와의 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는 아스파르탐 또는 아스파르탐 유도체(아스파르탐의 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부분을 다른 아미노산에스테르로 치환한 화합물)를, 페닐기에 각종 치환기로 가지며, 또한 주쇄에 1 내지 4개의 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3-페닐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또는 (2-페닐에틸)알킬케톤 유도체와 환원제(예: 수소/팔라듐탄소 촉매)를 사용하여 환원적으로 알킬화함으로써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또는 통상적인 펩타이드 합성법(참조: 이즈미야 등, 펩타이드고세이노기소토짓켄: 마루젠 1985. 1. 20 발행)에 따라 수득할 수 있는 β위치의 카복실산에 보호기를 가지는 아스파르탐 유도체(예: β-O-벤질-α-L-아스파르틸-L-아미노산메틸 에스테르)를 3-페닐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또는 (2-페닐에틸)알킬케톤 유도체와 환원제[예: NaB(OAc)3H]를 사용하여 환원적으로 알킬화[참조: A. F. Abdel-Magid 등, Tetrahedoron Letters, 31, 5595(1990)]한 후에 보호기를 제거하는 방법 또는 필요에 따라 불포화 결합을 환원제로 포화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법은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3-페닐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또는 (2-페닐에틸)알킬케톤 유도체 대신에 이들의 아세탈 또는 케탈 유도체 등이 환원적 알킬화시에 알데히드 또는 케톤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유도체, 즉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의 형태는 관능시험의 결과, 설탕과 유사한 감미질로 강한 감미를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면,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l-메틸 에스테르의 감미도는 약 70000배(설탕에 대해),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감미도는 약 70000배(설탕에 대해), N-[N-[3-(3-하이드록시-4-메틸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감미도는 약 60000배(설탕에 대해), N-[N-[(RS)-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감미도는 약 50000배(설탕에 대해)이다. 또한,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l-메틸 에스테르의 pH 3.0의 완충제 중에서 72.0℃에서의 반감기는 34.4시간이며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동일 조건에서 반감기 31.4시간)와 거의 동등하다.
또한, 아스파르탐, N-[N-(3,3-디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N-[N-[3-(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pH 3.0의 완충제 중에서 70.0℃에서의 반감기를 측정한 바, 각각 23.5시간, 38.3시간, 44.5시간 및 43.6시간이다.
합성한 몇가지의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하기 화학식 6이다]에 관해서 구조와 관능시험의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유도체가 감미도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것으로 이해된다.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6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의 구조와 감미배수
Figure 112001005789611-pct00007
또한, 본 발명의 유도체(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의 형태인 것도 포함한다)를 감미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다른 감미제나 감미 성분과 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유도체를 감미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담체 및/또는 증량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종래부터 공지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감미제용의 담체, 증량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감미제 또는 감미제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또한 감미 부여가 필요한 식품 등의 제품, 예를 들면, 과자, 츄잉검, 위생 제품, 화장품, 약품 및 사람 이외의 동물용 제품 등의 각종 제품의 감미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체를 함유하며 감미가 부여된 제품의 형태로서 또한 감미의 부여가 필요한 당해 제품에 대한 감미 부여방법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사용방법 등에 관해서는 종래 방법의 기타 공지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적절한 실시 형태
하기에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NMR 스펙트럼은 바리안 게미니(Varian Gemini)-300(300MHz)으로 측정하며 MS 스펙트럼은 써모 퀘스트(Thermo Quest) TSQ 700으로 측정한다.
실시예 1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0)의 합성
N-t-부톡시카보닐-β-0-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703mg(1.45밀리몰)에 4N-HCl/디옥산 용액 10ml를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잔사에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ml를 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557mg(1.45밀리몰)을 점성인 오일상물로서 수득한다.
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557mg(1.45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15ml에 용해시키고, 이러한 용액을 0℃로 유지한다. 여기에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432mg(1.45밀리몰), 아세트산 0.083ml(1.45밀리몰) 및 NaB(OAc)3H 462mg(2.18밀리몰)을 가하여 0℃에서 1시간 동안, 다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ml를 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잔사를 분취(分取)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TLC)로 정제하며 N-[N-[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β-O-벤질-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832mg(1.25밀리몰)을 점성인 오일상물로서 수득한다.
N-[N-[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β-O-벤질-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832mg(1.25밀리몰)을 메탄올 25ml와 물 2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10% 팔라듐탄소(50% 함수) 350mg을 가한다. 이를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3시간 동안 환원시킨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부착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잔사를 PTLC에서 정제하여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400mg(0.82밀리몰)을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4(s, 6H), 1.54-1.68(m, 2H), 2.04-2.22(m, 3H), 2.24-2.34(dd, 1H), 2.84-2.94(dd, 1H), 3.00-3.08(dd, 1H), 3.31-3.36(m, 1H), 3.59(s, 3H), 3.71(s, 3H), 4.46-4.55(m, 1H), 6.60-6.65(dd, 1H), 6.73(s, 1H), 6.80(d, 1H), 7.10-7.28(m, 5H), 8.45(d, 1H), 8.75(brs, 1H).
ESI-MS 487.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70000배
실시예 2
N-[N-[3-(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7)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72.2%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7(s, 6H), 1.62-1.72(m, 2H), 2.04-2.20(m, 3H), 2.24-2.34(dd, 1H), 2.84-2.94(dd, 1H), 2.95-3.07(dd, 1H), 3.30-3.35(m, 1H), 3.51(s, 3H), 3.70(s, 3H), 4.46-4.54(m, 1H), 6.83(d, 2H), 7.14-7.28(m, 7H), 8.43(d, 1H).
ESI-MS 471.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25000배
실시예 3
N-[N-[3-(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8)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4-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4.5%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5(s, 6H), 1.58-1.72(m, 2H), 2.04-2.20(m, 3H), 2.24-2.34(dd, 1H), 2.85-2.94(dd, 1H), 3.00-3.08(dd, 1H), 3.30-3.36(m, 1H), 3.59(s, 3H), 4.46-4.55(m, 1H), 6.67(d, 2H), 7.07(d, 2H), 7.10-7.27(m, 5H), 8.44(d, 1H), 9.15(brs, 1H).
ESI-MS 457.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25000배
실시예 4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9)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2.2%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7(s, 6H), 1.63-1.72(m, 2H), 2.08-2.22(m, 3H), 2.25-2.33(dd, 1H), 2.86-2.94(dd, 1H), 3.00-3.08(dd, 1H), 3.33-3.38(m, 1H), 3.59(s, 3H), 3.75(s, 3H), 3.47-3.55(m, 1H), 6.67(s, 2H), 6.81(s, 1H), 7.14-7.27(m, 5H), 8.46(d, 1H), 8.70(brs, 1H).
ESI-MS 487.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40000배
실시예 5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α-메틸)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22)의 합성
N-t-부톡시카보닐-β-0-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대신에 N-t-부톡시카보닐-β-0-벤질-α-L-아스파르틸-L-(α-메틸)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α-메틸)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77.2%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8 (s, 6H), 1.22(s, 3H), 1.66-1.76(m, 2H), 2.18-2.38(m, 4H), 3.00(d, 1H), 3.19(d, 1H), 3.36-3.42(m, 1H), 3.49(s, 3H), 3.72(s, 3H), 6.67(dd, 1H), 6.74(d, 1H), 6.80(d, 1H), 7.02-7.06(m, 2H), 7.20-7.30(m, 3H), 8.29(brs, 1H), 8.75(brs, 1H).
ESI-MS 501.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40000배
실시예 6
N-[N-[3-(2-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3)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2-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 (2-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4.5%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26(s, 6H), 1.84-2.30(m, 6H), 2.88(dd, 1H), 3.02(dd, 1H), 3.32-3.38(m, 1H), 3.59(s, 3H), 4.45-4.54(m, 1H), 6.68-6.78(m, 3H), 6.96-7.06(m, 2H), 7.12-7.30(m, 5H), 8.50(d, 1H), 9.30(brs, 1H).
ESI-MS 457.4(MH+)
감미도(설탕에 대해) 8000배
실시예 7
N-[N-[3-(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4)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44.1%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22(s, 6H), 1.82-2.20(m, 5H), 2.26(dd, 1H), 2.88(dd, 1H), 3.01(dd, 1H), 3.34-3.40(m, 1H), 3.59(s, 3H), 3.64(s, 3H), 4.46-4.53(m, 1H), 6.28(dd, 1H), 6.36(d, 1H), 6.92(d, 1H), 7.14-7.26(m, 5H), 8.52(d, 1H), 9.40(brs, 1H).
ESI-MS 487.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20000배
실시예 8
N-[N-[3-(2-하이드록시-4-메틸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5)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2-벤질옥시-4-메틸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2-하이드록시-4-메틸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45.1%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23(s, 6H), 1.82-2.20(m, 5H), 2.14(s, 3H), 2.25(dd, 1H), 2.88(dd, 1H), 3.01(dd, 1H), 3.33-3.39(m, 1H), 3.58(s, 3H), 4.46-4.54(m, 1H), 6.51(d, 1H), 6.87(s, 1H), 6.90(d, 1H), 7.10-7.23(m, 5H), 8.51(d, 1H), 9.20(brs, 1H).
ESI-MS 471.2(MH+)
감미도(설탕에 대해) 25000배
실시예 9
N-[N-[3-(3,4-메틸렌디옥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6)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3,4-메틸렌디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3,4-메틸렌디옥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9.7%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6(s, 6H), 1.60-1.70(m, 2H), 2.05-2.20(m, 3H), 2.27(dd, 1H), 2.89(dd, 1H), 3.03(dd, 1H), 3.31-3.35(m, 1H), 3.59(s, 3H), 4.46-4.54(m, 1H), 5.94(s, 2H), 6.72(dd, 1H), 6.79(d, 1H), 6.88(d, 1H), 7.15-7.28(m, 5H), 8.44(d, 1H).
ESI-MS 485.4(MH+)
감미도(설탕에 대해) 30000배
실시예 10
N-[N-[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7)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6.0%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6(s, 6H), 1.63-1.72(m, 2H), 2.13(s, 3H), 2.08-2.20(m, 3H), 2.25-2.32(dd, 1H), 2.85-2.95(dd, 1H), 3.00-3.06(dd, 1H), 3.31-3.36(m, 1H), 3.59(s, 3H), 3.73(s, 3H), 4.47-4.55(m, 1H), 6.79-6.82(m, 1H), 7.03-7.06(m, 2H), 7.15-7.27(m, 5H), 8.44-8.47(d, 1H).
ESI-MS 485.5(MH+)
감미도(설탕에 대해) 30000배
실시예 11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8)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3-메틸-4-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3.2%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4(s, 6H), 1.59-1.68(m, 2H), 2.09(s, 3H), 2.09-2.18(m, 3H), 2.25(dd, 1H), 2.90(dd, 1H), 3.02(dd, 1H), 3.30-3.36(m, 1H), 3.59(s, 3H), 4.46-4.54(m, 1H), 6.68(d, 1H), 6.88(dd, 1H), 6.96(s, 1H), 6.14-6.73(m, 5H), 8.46(d, 1H), 9.01(brs, 1H).
ESI-MS 471.4(MH+)
감미도(설탕에 대해) 70000배
실시예 12
N-[N-[2-[1-(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틸]에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20)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2-[1-(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틸]아세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2-[1-(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틸]에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68.4%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48-1.82(m, 10H), 2.00-2.16(m, 3H), 2.24(dd, 1H), 2.90(dd, 1H), 3.01(dd, 1H), 3.30-3.40(m, 1H), 3.59(s, 3H), 3.74(s, 3H), 4.45-4.53(m, 1H), 6.59(dd, 1H), 6.65(d, 1H), 6.75(dd, 1H), 7.14-7.28(m, 5H), 8.44(d, 1H), 8.70(brs, 1H).
ESI-MS 513.4(MH+)
감미도(설탕에 대해) 30000배
실시예 13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에틸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21)의 합성
N-t-부톡시카보닐-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대신에 N-t-부톡시카보닐-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에틸에스테르를 총 수율 56.1%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09-1.13(m, 9H), 1.58-1.67(m, 2H), 2.08-2.37(m, 4H), 2.86-2.93(dd, 1H), 2.99-3.06(dd, 1H), 3.32-3.37(m, 1H), 3.71(s, 3H), 4.00-4.07(m, 2H), 4.44-4.51(m, 1H), 6.62-6.65(d, 1H), 6.74-6.81(m, 2H), 7.15-7.27(m, 5H), 8.46(d, 1H), 8.78(brs, 1H).
ESI-MS 501.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15000배
실시예 14
N-[N-[(RS)-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3)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득한 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419mg(1.09밀리몰)을 THF 10ml에 용해시키고, 이러한 용액을 0℃로 유지한다. 여기에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308mg(1.09밀리몰), 아세트산 0.062ml(1.09밀리몰) 및 NaB(OAc)3H 345mg(1.63밀리몰)을 가하여 0℃에서 1시간 동안, 다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ml를 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30ml로 2회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잔사를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TLC)로 정제하며 N-[N-[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테닐]-β-O-벤질-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534mg(0.82밀리몰)을 점성인 오일상물로서 수득한다.
N-[N-[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테닐]-β-O-벤질-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534mg(0.82밀리몰)을 메탄올 20ml와 물 1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10% 팔라듐탄소(50% 함수) 200mg을 가한다. 이것을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3시간 동안 환원한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부착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잔사를 PTLC로 정제하여 N-[N-[(RS)-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269mg(0.57밀리몰)을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0(2d, 3H), 1.50-1.60(m, 2H), 2.10-2.40(m, 4H), 2.55-2.65(m, 1H), 2.85-2.95(m, 1H), 3.03-3.09(dd, 1H), 3.34-3.40(m, 1H), 3.60(s, 1.5H), 3.61(s, 1.5H), 3.74(s, 1.5H), 3.75(s, 1.5H), 4.50-4.60(m, 1H), 6.55(d, 1H), 6.67(d, 1H), 6.72(s, 1H), 7.15-7.30(m, 5H), 8.50(brd, 1H), 8.70(brs, 1H).
ESI-MS 473.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30000배
실시예 15
N-[N-[(RS)-3-(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의 합성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대신에 3-(4-메톡시페닐)-2-부텐알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RS)-3-(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37.3%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09(d, 1.5H), 1.11(d, 1.5H), 1.54(m, 2H), 2.17-2.23(m, 3H), 2.28-2.38(m, 1H), 2.64(m, 1H), 2.85-2.95(m, 1H), 3.02-3.10(dd, 1H), 3.60(s, 1.5H), 3.61(s, 1.5H), 3.70(s, 3H), 4.54(m, 1H), 6.83(d, 2H), 7.07(d, 2H), 7.18-7.28(m, 5H).
ESI-MS 457.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16000배
실시예 16
N-[N-[(RS)-3-(3-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2)의 합성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대신에 3-(3-벤질옥시페닐)-2-부텐알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RS)-3-(3-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31.1%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09(m, 3H), 1.55(m, 2H), 2.10-2.24(m, 3H), 2.26-2.34(dd, 1H), 2.58(m, 1H), 2.85-2.98(m, 1H), 3.01-3.10(dd, 1H), 3.60(s, 1.5H), 3.61(s, 1.5H), 4.53(m, 1H), 6.55-6.62(m, 3H), 7.05(t, 1H), 7.16-7.30(m, 5H), 8.47(m, 1H), 8.75(brs, 1H).
ESI-MS 443.2(MH+)
감미도(설탕에 대해) 12000배
실시예 17
N-[N-[(RS)-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4)의 합성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대신에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2-부텐알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RS)-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38.8%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08(m, 3H), 1.53(m, 2H), 2.13-2.21(m, 3H), 2.28(dd, 1H), 2.56(m, 1H), 2.86-3.00(m, 1H), 3.02-3.12(dd, 1H), 3.29-3.40(m, 1H), 3.60(s, 1.5H), 3.61(s, 1.5H), 3.71(s, 3H), 4.53(m, 1H), 6.53(d, 1H), 6.60(d, 1H), 6.79(d, 1H), 7.15-7.26(m, 5H), 8.46(m, 1H), 8.75(brs, 1H).
ESI-MS 473.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50000배
실시예 18
N-[N-[3-((RS)-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3-사이클로헥실-L-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6)의 합성
N-t-부톡시카보닐-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대신에 N-t-부톡시카보닐-β-O-벤질-α-L-아스파르틸-3-사이클로헥실-L-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대신에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2-부텐알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RS)-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3-사이클로헥실-L-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41.7%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0.75-1.34(m, 5H), 1.11(d, 3H), 1.50-1.70(m, 10H), 2.18-2.28(m, 2H), 2.35-2.45(m, 2H), 2.58-2.65(m, 1H), 3.27-3.36(m, 1H), 3.60(m, 3H), 3.71(s, 3H), 4.35(m, 1H), 6.53-6.60(m, 1H), 6.61(d, 1H), 6.79(d, 1H), 8.44(m, 1H), 8.80(brs, 1H).
ESI-MS 479.4(MH+)
감미도(설탕에 대해) 40000배
실시예 19
N-[N-[(RS)-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티로신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5)의 합성
N-t-부톡시카보닐-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대신에 N-t-부톡시카보닐-β-O-벤질-α-L-아스파르틸-L-티로신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RS)-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티로신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37.5%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0(d, 3H), 1.55(m, 2H), 2.16-2.41(m, 4H), 2.58(m, 1H), 2.70-2.82(m, 1H), 2.85-2.95(dd, 1H), 3.58(s, 3H), 3.78(s, 3H), 4.43(m, 1H), 6.53-6.75(m, 5H), 6.96(d, 2H), 8.49(brd, 1H), 8.75(brs, 1H), 9.80(brs, 1H).
ESI-MS 489.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25000배
실시예 20
N-[N-[(RS)-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1)의 합성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대신에 3-(3-메틸-4-벤질옥시페닐)-2-부텐알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RS)-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19.7%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06-1.09(m, 3H), 1.49-1.54(m, 2H), 2.08(s, 3H), 2.11-2.20(m, 3H), 2.17-2.33(m, 1H), 2.85-2.95(m, 2H), 3.05-3.09(m, 1H), 3.33-3.37(m, 1H), 3.61(s, 3H), 4.50-4.55(m, 1H), 6.65(m, 1H), 6.76(m, 1H), 6.84(s, 1H), 7.16-7.28(m, 5H), 8.47-8.50(m, 1H), 9.02(brs, 1H).
ESI-MS 457.2(MH+)
감미도(설탕에 대해) 50000배
실시예 21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RS)-2-메틸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2)의 합성
3-(3-메톡시-4-벤질옥시페닐)-2-부텐알 대신에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2-메틸-2-프로펜알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RS)-2-메틸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45.6%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0.68-0.85(m, 3H), 1.65-1.82(m, 1H), 2.08-2.37(m, 2H), 2.27-2.30(d, 4H), 2.94-3.10(m, 2H), 3.43-3.45(m, 1H), 3.62(s, 3H), 3.72(s, 3H), 4.48-4.59(m, 1H), 6.49-6.59(m, 2H), 6.77-6.80(m, 1H), 7.20-7.29(m, 5H), 8.57-8.58(m, 1H), 8.92(brs, 1H).
ESI-MS 473.4(MH+)
감미도(설탕에 대해) 5000배
실시예 22
N-[N-[3-(3-하이드록시-4-메틸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19)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틸)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274mg(0.97밀리몰), 아스파르탐 353mg(1.2밀리몰) 및 10% 팔라듐탄소(50% 함수) 100mg을 메탄올 7ml에 가하여 이것을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잔사를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TLC)로 정제하여 N-[N-[3-(3-하이드록시-4-메틸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299mg(0.64밀리몰, 65.5%)을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4(s, 6H), 1.58-1.70(m, 2H), 2.05(s, 3H), 2.07-2.42(m, 4H), 2.89(dd, 1H), 3.03(dd, 1H), 3.30-3.40(m, 1H), 3.59(s, 3H), 4.46-4.54(m, 1H), 6.60(d, 1H), 6.73(s, 1H), 6.94(d, 1H), 7.15-7.30(m, 5H), 8.46(brs, 1H), 9.08(brs, 1H).
ESI-MS 471.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60000배
실시예 23
N-[N-[3-(3,4-디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표 1 화합물 번호 23)의 합성
3-(3-벤질옥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대신에 3-(3,4-디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N-[N-[3-(3,4-디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총 수율 76.5%로 고체로서 수득한다.
1H NMR(DMSO-d6) δ: 1.14(s, 6H), 1.76-1.93(m, 2H), 2.40-2.50(m, 2H), 2.73-2.80(m, 2H), 2.91(dd, 1H), 3.06(dd, 1H), 3.59(s, 3H), 3.95-4.05(m, 1H), 4.45-4.55(m, 1H), 6.52(d, 1H), 6.64-6.70(m, 2H), 7.15-7.30(m, 5H), 8.73(brs, 1H), 8.80(brs, 1H), 9.09(brs, 1H).
ESI-MS 473.3(MH+)
감미도(설탕에 대해) 50000배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신규한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는 저칼로리이며 종래의 감미제와 비교하여 특히 감미도가 우수한 성질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감미제로서 우수한 성질을 갖는 신규한 화학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규 유도체를 감미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외에 감미를 요구하는 음료, 식품 등의 제품에 감미를 부여할 수 있다.

Claims (30)

  1. 다음 화학식 1의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이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06016433300-pct00008
    위의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및 탄소수 2 또는 3의 하이드록시알킬옥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R1과 R2 또는 R2와 R3은 함께 각각 메틸렌디옥시기이며, 단 R1과 R2 또는 R2와 R3이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인 경우, R4, R5, 및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하지 않는 R1 또는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한 치환기 중의 하나이며,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R6, R7,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의 치환기는 함께 각각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단 R6, R7, R8, R9 및 R10에서 선택된 임의의 2개가 함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인 경우, 선택된 2개 이외의 치환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한 치환기 중의 하나이며,
    R11은 수소원자, 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사이클로헥실메틸기, 페닐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에틸기 및 사이클로헥실에틸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R12는 수소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R1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며,
    단 R6, R7, R8, R9 및 R10 모두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유도체, R6이 메틸기이며 R1, R2, R3,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동시에 수소원자이며 R11이 벤질기 또는 p-하이드록시벤질기를 각각 나타내는 유도체 및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0이 메틸기이며 R1, R4, R5, R6, R7, R8 및 R9가 동시에 수소원자이며 R11이 벤질기 또는 p-하이드록시벤질기를 각각 나타내는 유도체는 제외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2,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1, R3,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 이 벤질기인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 이 벤질기인 유도체.
  6.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 이 p-하이드록시벤질기인 유도체.
  7.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 이 사이클로헥실메틸기인 유도체.
  8. 제1항에 있어서,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9. 제1항에 있어서, R3이 수산기이며 R1,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0.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 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1.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 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2.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틸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7,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 이 벤질기인 유도체.
  1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6, R7,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8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 이 벤질기인 유도체.
  14.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산기이며 R2, R3,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5.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 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6.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산기이며 R3이 메틸기이며 R2,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7. 제1항에 있어서, R2와 R3이 함께 메틸렌디옥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 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8.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틸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 11이 벤질기인 유도체.
  19.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틸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20.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틸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21. 제1항에 있어서, R2가 메톡시기이며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과 R7이 함께 테트라메틸렌기이며 R11 이 벤질기이며 R13이 메틸기인 유도체.
  22.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및 R7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이며 R13이 에틸기인 유도체.
  2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산기이며 R3이 메톡시기이며 R1, R4, R5, R8, R9 및 R10이 수소원자이며 R6, R7, R12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24. 제1항에 있어서, R2 및 R3이 수산기이며 R1, R4, R5, R8, R9, R10 및 R12가 수소원자이며 R6, R7 및 R13이 메틸기이며 R11이 벤질기인 유도체.
  25.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과 R7의 치환기가 상이한 경우, R6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가 (R), (S) 및 (RS) 중의 하나인 유도체.
  26.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R8과 R9의 치환기가 상이한 경우, R8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가 (R), (S) 및 (RS) 중의 하나인 유도체.
  27. 제1항에 있어서, R10이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인 경우, R10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입체 배치가 (R), (S) 및 (RS) 중의 하나인 유도체.
  28. 제1항에 따르는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감미제용의 담체 또는 증량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제.
  29. 제28항에 따르는 감미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가 부여된 식품.
  30. 제29항에 있어서, 과자 또는 츄잉검인 감미가 부여된 식품.
KR1020017003420A 1998-09-18 1999-09-10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및 당해 감미제를 포함하는 식품 KR10060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25298 1998-09-18
JP98-264252 1998-09-18
JP16941999 1999-06-16
JP99-169419 199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156A KR20010075156A (ko) 2001-08-09
KR100601746B1 true KR100601746B1 (ko) 2006-07-20

Family

ID=2649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420A KR100601746B1 (ko) 1998-09-18 1999-09-10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및 당해 감미제를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7238830B2 (ko)
EP (1) EP1114828B1 (ko)
KR (1) KR100601746B1 (ko)
CN (1) CN1206238C (ko)
AR (1) AR023048A1 (ko)
AT (1) ATE388959T1 (ko)
AU (1) AU748136B2 (ko)
BR (1) BR9913779B1 (ko)
CA (1) CA2344314A1 (ko)
CZ (1) CZ2001974A3 (ko)
DE (1) DE69938352T2 (ko)
HU (1) HUP0103979A3 (ko)
IL (1) IL141525A0 (ko)
NO (1) NO20011156L (ko)
NZ (1) NZ510439A (ko)
OA (1) OA11654A (ko)
PL (1) PL346665A1 (ko)
RU (1) RU2207344C2 (ko)
SK (1) SK3682001A3 (ko)
TR (1) TR200100778T2 (ko)
TW (1) TW589324B (ko)
WO (1) WO2000017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83137A1 (en) * 1999-09-07 2001-03-15 Ajinomoto Co., Inc. Method for producing aspartame derivative, method for purifying the same, crystals thereof and uses of the same
JP2001097998A (ja) * 1999-10-01 2001-04-10 Ajinomoto Co Inc 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エステル誘導体及び甘味剤
AU7321800A (en) 1999-10-07 2001-05-10 Ajinomoto Co., Inc. Processes for producing and purifying aspartam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production intermediates
CN1253423C (zh) 1999-10-07 2006-04-26 味之素株式会社 天冬氨酰基缩二氨酸酯衍生物的制备方法、及其新型制备中间体及该中间体的制备方法
CN1566141A (zh) * 1999-10-08 2005-01-19 味之素株式会社 天冬甜素衍生物的制造方法、其结晶体、及其新型制造中间体和该中间体的制造方法
JP2001199930A (ja) * 2000-01-20 2001-07-24 Ajinomoto Co Inc 新規アリ−ルプロピルアルデヒド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その使用等
CA2437655A1 (en) 2001-02-08 2002-08-15 Ajinomoto Co., Inc. Novel n-alkylaspartyl amide derivative and sweetening agent
IN2015CH02019A (ko) * 2015-04-20 2015-06-05 Divis Lab Lt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5403A (en) * 1967-01-20 1969-10-28 Searle & Co Aspartic acid containing dipeptide lower alkyl esters
FR2533210A1 (fr) * 1982-09-17 1984-03-23 Lyon I Universite Claude Edulcorants de synthese
US4766246A (en) 1986-08-19 1988-08-23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odicarboxylic acid esters
FR2697844B1 (fr) 1992-11-12 1995-01-27 Claude Nofre Nouveaux composés dérivés de dipeptides ou d'analogues dipeptidiques utiles comme agents édulcorant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JP3648784B2 (ja) * 1994-07-08 2005-05-18 味の素株式会社 新規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誘導体及び甘味剤
JPH09323966A (ja) * 1996-01-12 1997-12-16 Ajinomoto Co Inc 新規アスパルチルアミド誘導体及び甘味剤
JP3951342B2 (ja) * 1996-07-10 2007-08-01 味の素株式会社 新規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アミド誘導体及び甘味剤
JPH10259194A (ja) 1997-03-18 1998-09-29 Ajinomoto Co Inc 新規ジペプチド誘導体及び甘味剤
CZ299112B6 (cs) * 1998-04-09 2008-04-23 Ajinomoto Co., Inc. Aspartyldipeptidový esterový derivát a sladidlo
JP2001097998A (ja) 1999-10-01 2001-04-10 Ajinomoto Co Inc 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エステル誘導体及び甘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8352D1 (de) 2008-04-24
WO2000017230A1 (fr) 2000-03-30
EP1114828A4 (en) 2004-05-26
DE69938352T2 (de) 2009-03-26
HUP0103979A2 (hu) 2002-02-28
CN1315959A (zh) 2001-10-03
US20010039357A1 (en) 2001-11-08
AR023048A1 (es) 2002-09-04
ATE388959T1 (de) 2008-03-15
NZ510439A (en) 2002-09-27
TR200100778T2 (tr) 2001-07-23
PL346665A1 (en) 2002-02-25
AU748136B2 (en) 2002-05-30
KR20010075156A (ko) 2001-08-09
TW589324B (en) 2004-06-01
HUP0103979A3 (en) 2003-05-28
US7238830B2 (en) 2007-07-03
EP1114828B1 (en) 2008-03-12
BR9913779B1 (pt) 2012-01-24
SK3682001A3 (en) 2001-10-08
CZ2001974A3 (cs) 2001-08-15
CN1206238C (zh) 2005-06-15
CA2344314A1 (en) 2000-03-30
OA11654A (en) 2004-12-08
AU5650199A (en) 2000-04-10
BR9913779A (pt) 2001-07-10
RU2207344C2 (ru) 2003-06-27
NO20011156D0 (no) 2001-03-07
NO20011156L (no) 2001-05-09
IL141525A0 (en) 2002-03-10
EP1114828A1 (en)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297B1 (ko) 감미제로 유용한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3959964B2 (ja) 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エステル誘導体及び甘味剤
RU2192430C2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аспартилового дипептидного эфира и подсластители
KR100601746B1 (ko) N-알킬아스파르틸 디펩타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및 당해 감미제를 포함하는 식품
US5968581A (en) Dipeptide derivatives and sweetening agents
US5795612A (en) Aspartyldipeptideamine derivatives and sweetner
US6649784B2 (en) Aspartyl dipeptide ester derivatives and sweeteners
JP2002234898A (ja) 新規n−アルキル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誘導体及び甘味剤
MXPA01002402A (en) N-alkylaspartyldipeptide ester derivatives and sweeteners
JP2001322996A (ja) 新規n−アルキルアスパルチルジペプチドエステル誘導体及び甘味剤
EP0256475A2 (en) L-Aminodicarboxylic acid esters
MXPA00012122A (es) Derivados y edulcorantes de ester dipeptido de aspartilo novedosos
UA71926C2 (en) N-alkylaspartyldipeptide ester derivative and sweetening agent
MXPA00009449A (es) Edulcorantes y derivados de ester dipeptido aspartilo
CZ20004873A3 (cs) Esterové deriváty aspartyldipeptid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