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931B1 -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931B1
KR100592931B1 KR1020040051383A KR20040051383A KR100592931B1 KR 100592931 B1 KR100592931 B1 KR 100592931B1 KR 1020040051383 A KR1020040051383 A KR 1020040051383A KR 20040051383 A KR20040051383 A KR 20040051383A KR 100592931 B1 KR100592931 B1 KR 10059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lass
roller
conveyor system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373A (ko
Inventor
윤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컴
Priority to KR102004005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9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93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LCD 패널 등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화하고,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며, 글라스 이송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의 좌우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축을 구동하는 롤러축구동수단; 상기 이송유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글라스의 폭에 맞추어 상기 글라스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핀을 구비한 2개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2개의 가이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링크 및 상기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LCD, 이송, 컨베이어, 링크, 회전변위, 가이드핀

Description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for glass transportation}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4a 내지 도 4d 는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일 구성요소인 이송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프레임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8 은 도 5 의 일 구성요소인 간격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롤러축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이송유닛 111,112,211,212: 제1,2프레임
113,114: 롤러 120: 롤러구동수단
121: 구동모터 122: 기어축
122a,b: 베벨기어 123: 전동축
125,126,225,226: 제1,2회전축
130: 간격조절수단 131: 간격조절모터
132: 스크류축 133,134: 간격조절블록
140: 슬라이딩 가이드 213: 롤러축
213a: 롤러 220: 롤러축구동수단
230: 간격조절유닛 231: 구동모터
232: 구동링크 233: 종동링크
234: 슬라이딩 블록 235: 베이스
236: 가이드 프레임 237: 가이드핀
237a: 가이드롤러
본 발명은 LCD 글라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원가를 감소시키고 효율이 향상된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CD 패널의 제작을 위해서는 LCD 글라스가 다수의 가공공정을 거치게 되며, 각 공정간의 이동을 위해 글라스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113,114)가 설치된 제1, 제2 프레임(111,112)으로 나뉘어 글라스의 좌,우측단부를 지지 및 이송하는 이송유닛(110), 상기 이송유닛(11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110)의 롤러(113,114)를 구동하는 롤러구동수단(120), 상기 제1, 제2 프레임(111,112)을 구동하여 상호간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130), 상기 제1, 제2 프레임(111,112)의 간격조절에 이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닛(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제1 및 제2 프레임(111,112), 상기 각 프레임(111,112)의 내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롤러(113,114), 상기 각 프레임(111,112)을 지지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0) 상을 왕복하는 가이드 블록(115,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롤러구동수단(120)은,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프레임(111)의 하측면에 고정부착된 구동모터(121),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프레임(111)의 롤러(113)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125), 상기 제1회전축(12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축(122), 상기 제1기어축(1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제2프레임(112)에 전달하는 전동축(123), 상기 전동축(123)으로부터 동력전달을 받아 상기 제2프레임(112)의 롤러(114)를 구동시키는 제2기어축(도면 미도시) 및 제2회전축(1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21)와 제1회전축(125)의 연동작용은 상기 구동모터(121)에 구비된 베벨기어(121a)와 이와 맞물려 있는 상기 제1회전축(125)에 구비된 베벨기어(125a)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125)에 별도 구비된 베벨기어(125c)와 제1기어축(122)의 일축단부에 구비된 베벨기어(122a)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제1기어축(122)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다시 상기 제1기어축(122)의 타축단부에 구비된 베벨기어(122b)와 전동축(123)에 구비된 베벨기어(123a)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전동축(12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동축(123)과 제2기어축(도면 미도시)의 연동작용과 상기 제2기어축(도면 미도시)과 제2회전축(126)의 연동작용은 상기 제1기어축(122)과 제1회전축(125)의 경우와 동일하나 전동방향은 반대이다.
한편, 상기 제1회전축(125)에 의한 롤러(113)의 구동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25) 상에 결합된 다수의 마그네틱(125b)과 상기 롤러(113)의 축(113a)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125)의 마그네틱(125b)과 대응되게 위치한 마그네틱(113b)간의 자기장에 의한 비접촉 연동방식에 의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21)는 상기 제1프레임(111)과 일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축(123)은 바닥에 고정되어 회전운동만 하며, 이와 연동하는 제1기어축(122)은 베벨기어(123a)에 의해 상기 전동축(123)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프레임(111)과 함께 상기 전동축(123)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전동축(123)에는 축방향으로 둘레부에 다수의 홈(H)이 형성되고, 상기 전동축(123) 상의 베벨기어(123a)는 상기 홈(H)에 삽입되는 돌출부(도면 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베벨기어(123a)는 제1기어축(122)으로부터 전동축(123)으로 회전 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전동축(123)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13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설치된 간격조절모터(131), 상기 간격조절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축(132), 상기 스크류축(132)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각 프레임(111,112)에 고정설치된 간격조절블록(133,1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크류축(132)과 나사결합하는 간격조절블록(133,134)은, 상기 스크류축(132) 상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서로 접근 및 이탈한다. 즉, 상기 간격조절블록(133,134)의 상기 스크류축(132)과 결합한 부분에는, 한쪽 블록(133)측은 오른나사로 다른쪽 블록(134)측은 왼나사로 나사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축(132)의 회전에 따라 제1, 제2 프레임(111,112)이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0)는 양측 프레임(111,112)의 가이드 블록(115,116)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될 글라스의 폭에 맞추어 간격조절수단(130)의 구동모터(131)를 구동하여 스크류축(13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제1, 제2 프레임(111,112)을 슬라이딩 가이드(140) 상에서 서로 접근 또는 이탈시켜 상기 프레임(111,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롤러구동수단(120)의 구동모터(121)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축 상의 베벨기어(121a)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1회전축(125)의 베벨기어(125a)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12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축(125) 상의 마그네틱(125b)과 롤러축(113a)의 마그네틱(113b) 간의 비접촉 자기결합에 의해 상기 롤러축(113a)이 연동되어 상기 롤러(113)가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1회전축(125)의 일측부의 베벨기어(125c)와 결합한 제1기어축(122)의 베벨기어(122a)을 통해 상기 제1기어축(122)이 연동 회전하게 되고, 다시 상기 제1기어축(122)의 타측부의 베벨기어(122b)와 결합한 전동축(123)의 베벨기어(123a)에 의해 상기 전동축(123)이 회전구동하게 되며, 상기 전동축(123)을 매개로 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프레임(112) 내의 제2회전축(126)과 롤러(114)가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이 작동되면,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10)의 좌우 양측단을 각각 상기 롤러(113,114) 위에 얹음으로써 상기 글라스(10)가 이송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도 4b 의 경우와 같이 이송되는 글라스(10)가 비뚤어져 들어오는 경우 회전각의 보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글라스(10)가 손상되거나, 오류발생으로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4c 의 경우처럼 이송되는 글라스(10)가 대형인 경우 그 양측단부만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글라스(10)의 중심부에 처짐이 발생하여 위치오차 및 글라스(10)의 자중에 의한 파손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4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112)간의 간격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글라스(10)가 롤러(113,114)에 제대로 지지되지 못하고 추락할 수 있 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곤란할 뿐 아니라, 간격조절수단(130)의 스크류축(132)이 고가이고, 상기 스크류축(132)의 양단에 연결된 프레임(111,112)이 상기 스크류축(1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접근 또는 이탈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류축(13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프레임(111)의 간격조절블록(133)에는 오른나사홈이 타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프레임(112)의 간격조절블록(134)에는 왼나사홈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그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큰 하중을 갖는 제1,제2 프레임(111,112)의 이동을 위해서는 고용량의 간격조절모터(131)를 필요로 하며, 간격조절이 스크류축(132)의 회전에 의하므로 소요시간이 길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되는 글라스의 회전각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글라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프레임의 간격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시스템 구조를 간소화한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의 좌우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축 을 구동하는 롤러축구동수단; 상기 이송유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글라스의 폭에 맞추어 상기 글라스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핀을 구비한 2개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2개의 가이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링크, 상기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축(213)과 상기 롤러축(213)의 좌우단부를 지지하는 제1,제2 프레임(211,212)으로 이루어진 이송유닛(210), 상기 이송유닛(210)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축(213)을 구동하는 롤러축구동수단(220), 상기 이송유닛(210)의 제1,제2 프레임(211,212) 내측에 설치되어 글라스의 폭에 맞추어 글라스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236)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236)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링크(232,233) 및 상기 링크(232,23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31)를 구비한 간격조절유닛(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유닛(21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나란히 제1,제2 프레임(211,212)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212) 사이에는 다수의 롤러축(213)이 나란히 배치되어 축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21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롤러축(213) 상에는 다수의 롤러(213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13a)는 하나의 롤러축(213) 상에서 좌우 대칭되게 위치한다. 그리고, 이웃하는 롤러축(213)간에는 서로 다른 개수의 롤러(213a)가 부착되어 있고, 롤러 의 개수가 다른 2종의 롤러축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하나의 롤러축은 중심부에 3개의 롤러가 있고, 다른 하나의 롤러축은 중심부에 2개의 롤러가 있으며, 이 두 종류의 롤러축이 서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송되는 글라스가 골고루 지지되어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글라스의 이송시 한쪽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러축구동수단(220)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211)의 하측면에 고정부착된 구동모터(221)와, 상기 구동모터(2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프레임(211) 측에 해당하는 롤러축(213)의 일축단부를 회전구동하는 제1회전축(225)과, 상기 제1회전축(225)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축(222)과, 상기 제1기어축(2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제2프레임(212) 측으로 전달하는 전동축(223)과, 상기 전동축(223)으로부터 동력전달을 받아 상기 제2프레임(212) 측에 해당하는 롤러축(213)의 일축단부를 구동시키는 제2기어축(도면 미도시) 및 제2회전축(2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21)와 제1회전축(225)의 연동작용은 상기 구동모터(221)에 구비된 베벨기어(221a)와 이와 맞물려 있는 상기 제1회전축(225)에 구비된 베벨기어(225a)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기어축(222)은 일축단부에 구비된 베벨기어(222a)와 상기 제1회전축(225)에 구비된 베벨기어(225c)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22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동력은 다시 상기 제1기어축(222)의 타축단부에 구비된 베벨기어(222b)와 전동축(223)에 구비된 베벨기어(223a)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상 기 전동축(223)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전동축(223)을 통한 제2기어축(도면 미도시) 및 제2회전축(226)의 회전구동은 상기 제1기어축(222) 및 제1회전축(225)과 같은 구성과 구동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회전축(225)에 의한 롤러축(213)의 구동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25) 상에 결합된 다수의 마그네틱(225b)과 상기 롤러축(213)의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225)의 마그네틱(225b)과 대응되게 위치한 마그네틱(213b) 간의 자기장에 의한 비접촉 연동방식에 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 및 구동방식에 의해 제2회전축(226) 및 롤러축(213)의 타측단부가 연동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축(213)의 회전구동은 상기 롤러축(213)의 양측단부, 즉 양쪽 프레임(211,212) 내부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유닛(23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모터(231)에 링크로 연결된 2개의 가이드 프레임(236)이 접근 및 이탈하는 방식이다. 즉, 중심부에 위치한 간격조절모터(231), 상기 간격조절모터(231)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링크(232), 상기 구동링크(232)의 양단부에 힌지결합된 종동링크(233), 상기 종동링크(233)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슬라이딩 블록(234), 상기 슬라이딩 블록(234)에 고정결합된 가이드 프레임(2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234)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역할을 하는 베이스(235)가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36)은 긴 막대형상으로서 내부에는 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236)의 홈을 통해 가이드핀(237)을 삽입하여 정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237)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3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롤 러(237a)는 이송되는 글라스의 측단부와 접촉하여 구름으로써 글라스를 마찰없이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36)의 홈(h)에 삽입하는 가이드핀(237)의 개수는 이송되는 글라스의 크기에 맞추어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즉, 대형 글라스의 경우는 큰 회전반경을 가지므로 가이드핀(237)의 간격을 넓게 배열할 수 있고, 소형 글라스의 경우는 그에 맞추어 가이드핀(237)의 간격을 좁게 배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할 글라스의 폭에 맞추기 위해 간격조절유닛(230)의 간격조절모터(231)를 구동하여 구동 및 종동링크(232,233)를 통해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236)을 소정거리 끌어당기거나 밀어낸 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롤러축구동수단(220)의 구동모터(221)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221)의 구동축 상의 베벨기어(221a)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1회전축(225)의 베벨기어(225a)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225)이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축(225) 상의 마그네틱(225b)과 롤러축(213)의 마그네틱(213b) 간의 비접촉 자기결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225)이 연동하는 롤러축(213)의 일단부가 구동되어 상기 롤러축(213)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축(225)의 일측부의 베벨기어(225c)와 결합한 제1기어축(222)의 베벨기어(222a)를 통해 상기 제1기어축(222)이 연동 회전하게 되고, 다시 상기 제1기어축(222)의 타측부의 베벨기어(222b)와 결합한 전동축(223)의 베벨기어(223a)에 의해 상기 전동축(223)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전동축(223)을 매개로 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프레임(212)에 위치한 제2기어축( 도면 미도시)과 이와 연동하는 제2회전축(226)의 회전으로 상기 롤러축(213)의 타단부가 구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롤러축(213)의 양단부가 동시에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글라스를 상기 회전되는 롤러(213a) 상에서 이송시킨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도 10a 및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10)가 이송되는 동안 상기 글라스(10)의 좌우 양측단은 가이드핀(237)의 가이드 롤러(237a)와 롤링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237a)를 회전시키면서 이송이 진행된다. 따라서, 글라스(10)가 변위되어 이송되거나 일정회전각으로 틀어져서 이송된다 하더라도 상기 가이드 롤러(237a)에 의해 상기 글라스(10)가 롤링되어 반대방향으로 틀어져 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정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글라스(10)의 이송시 롤러축(213)에 결합된 다수의 분포된 롤러(213a)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글라스(1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롤러축구동수단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21), 제1프레임(211)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단차(325a)가 결합된 제1회전축(325), 상기 구동모터(321)와 상기 제1회전축(325)의 단차(325a) 간에 연결된 제1벨트(322), 제2프레임(21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풀리(326a)가 결합된 제2회전축(326), 상기 제1회전축(325)의 단차(325a)와 상기 제2회전축(326)의 풀리(326a) 간에 연결된 제2벨트(32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25,326)과 롤러축(213)의 연 동구조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롤러축구동수단에 의하면, 구동모터(321)의 구동이 상기 제1벨트(322)에 의해 제1회전축(325)으로, 제2벨트(323)에 의해 제2회전축(326)으로 동력이 전달되므로, 종래기술 및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해 제조원가가 더욱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분포된 롤러에 의해 글라스를 지지하므로 글라스의 처짐을 방지하고, 이송되는 글라스의 양측단을 가이드 롤러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글라스의 회전각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어 글라스가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링크구동에 의한 가이드 프레임의 간격조절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모터의 용량이 적어지고,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져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고 설치, 유지 및 보수면에서 용이할 뿐 아니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간격조절이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 상에 결합하는 가이드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이송되는 글라스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의 좌우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축을 구동하는 롤러축구동수단;
    중심부에 위치한 간격조절모터, 상기 간격조절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의 양단부에 힌지결합된 종동링크, 상기 종동링크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송유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글라스의 폭에 맞추어 상기 글라스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핀을 구비한 2개의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구동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 측에 고정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베벨기어 결합을 하고, 상기 롤러축 일단부와의 연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베벨기어 결합을 하는 제1기어축;
    상기 제1기어축과 베벨기어 결합을 하며 상기 제2프레임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축;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축 및
    상기 제2기어축과 베벨기어 결합을 하고, 상기 롤러축 타단부와의 연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회전축과 롤러축의 비접촉 마그네틱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롤러축의 베벨기어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구동수단은,
    구동모터;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단차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축의 일단부와의 연동수단을 구비한 제1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회전축의 단차 간에 연결된 제1벨트;
    제2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풀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축의 타단부와의 연동수단을 구비한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단차와 상기 제2회전축의 풀리 간을 연결하는 제2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롤러축의 비접촉 마그네틱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롤러축의 베벨기어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은,
    다수의 롤러가 상기 롤러축상에 좌우 대칭되게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하나의 롤러축에 소정 개수의 롤러가 일정간격 결합되고, 다른 롤러축에 다른 소정 개수의 롤러가 일정간격 결합되어, 상기 각 롤러축이 서로 교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핀을 삽입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글라스와 구름접촉하도록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040051383A 2004-07-02 2004-07-02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059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383A KR100592931B1 (ko) 2004-07-02 2004-07-02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383A KR100592931B1 (ko) 2004-07-02 2004-07-02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373A KR20060002373A (ko) 2006-01-09
KR100592931B1 true KR100592931B1 (ko) 2006-06-26

Family

ID=3710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383A KR100592931B1 (ko) 2004-07-02 2004-07-02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9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36B1 (ko) * 2008-03-27 2009-10-20 (주)상아프론테크 양 사이드 플레이트들 간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 장치가구비된 카세트
KR101040351B1 (ko) 2009-10-01 2011-06-13 (주)와이티에스 글라스 기판 센터링장치
KR101099534B1 (ko) * 2009-08-14 2011-12-2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30097843A (ko) * 2012-02-27 2013-09-0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7281B1 (ko) * 2007-03-07 2014-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50B1 (ko) * 2008-08-18 2009-05-15 배경원 가이드롤러 위치 자동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 양각면기
KR200472388Y1 (ko) * 2009-12-04 2014-04-25 주식회사 디엠에스 기판 반송장치
KR200469509Y1 (ko) * 2011-11-28 2013-10-17 금성에이스산업(주) 이송 롤러 유닛
KR101489270B1 (ko) * 2012-07-12 2015-02-04 이노이엔지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이송장치
KR101431117B1 (ko) * 2012-12-21 2014-09-24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테이블의 소재 정렬장치
CN104340628A (zh) * 2013-07-23 2015-02-11 西安永电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塑封式ipm输送系统
CN107014825B (zh) * 2017-06-09 2023-09-12 中科慧远视觉技术(洛阳)有限公司 一种用于透明平板外观检测的高精度输送装置
CN109941753A (zh) * 2019-04-03 2019-06-28 深圳市易天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小微尺寸屏幕的自动传输及导向分料装置
KR102558638B1 (ko) * 2021-05-27 2023-07-26 (주)대호테크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CN114229468B (zh) * 2021-12-03 2024-03-15 蚌埠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玻璃基板加工的自动转向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011U (ko) * 1990-03-27 1991-12-12
JPH05277456A (ja) * 1992-03-31 1993-10-26 Hitachi Ltd 液処理装置
JP2000007117A (ja) 1998-06-18 2000-01-11 Harakkusu Kk ローラ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011U (ko) * 1990-03-27 1991-12-12
JPH05277456A (ja) * 1992-03-31 1993-10-26 Hitachi Ltd 液処理装置
JP2000007117A (ja) 1998-06-18 2000-01-11 Harakkusu Kk ローラコンベ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81B1 (ko) * 2007-03-07 2014-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100922236B1 (ko) * 2008-03-27 2009-10-20 (주)상아프론테크 양 사이드 플레이트들 간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 장치가구비된 카세트
KR101099534B1 (ko) * 2009-08-14 2011-12-2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040351B1 (ko) 2009-10-01 2011-06-13 (주)와이티에스 글라스 기판 센터링장치
KR20130097843A (ko) * 2012-02-27 2013-09-0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3300B1 (ko) * 2012-02-27 2018-10-30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373A (ko) 200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931B1 (ko)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JP4864381B2 (ja) 半導体素子テストハンドラの素子搬送装置
US7871231B2 (en) Vertical carrying apparatus
KR101690970B1 (ko) 기판 처리 시스템 및 기판 반송 방법
CN114435847B (zh) 一种摆轮分拣机及分拣传送线
KR101310293B1 (ko) 다단 슬라이드형 기판이송장치
KR20090100944A (ko) 턴테이블
KR20180031406A (ko)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KR100876616B1 (ko)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CN109867107B (zh) 一种输送装置
CN114435862B (zh) 一种传输机构、传输装置及分拣传输线
JP4882754B2 (ja) 板状体搬送設備
CN215591811U (zh) 一种分段式传送装置
CN209241898U (zh) 输送装置,电池单元,电池仓,换电站
JP4002582B2 (ja) 伸縮式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食品搬送システム
EP1116674A1 (en) A carriage for an endless conveyor and a conveyor mechanism for such a carriage
CN113120513A (zh) 返板机构及具有其的运输系统
CN109573558B (zh) 输送结构
CN215401509U (zh) 蒸箱顶升及换向输送机构
JP3620029B2 (ja) 搬送設備、並びに、搬送設備の設置方法
CN111351350A (zh) 传输设备和热处理设备
CN219057451U (zh) 一种转弯输送机以及食品生产线
KR101951869B1 (ko) 전방 가이드바를 장착한 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팰릿 이송 시스템
CN220519320U (zh) 一种倍速链平台
KR100819787B1 (ko) 탄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