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787B1 - 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787B1
KR100819787B1 KR1020010082480A KR20010082480A KR100819787B1 KR 100819787 B1 KR100819787 B1 KR 100819787B1 KR 1020010082480 A KR1020010082480 A KR 1020010082480A KR 20010082480 A KR20010082480 A KR 20010082480A KR 100819787 B1 KR100819787 B1 KR 100819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guide
conveyor
assembly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495A (ko
Inventor
여인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7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을 잡고 수직상승, 탄의 자세변환, 수평 이동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동시에 하면서 최소한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탄을 파지하는 그리퍼 조립체;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승강시키면서 자세를 변화시키고,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된 탄을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제1의 장치로부터 제2의 장치로 탄을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탄을 잡고 수직상승, 탄의 자세변환 및 수평이송의 복합적인 기능이 동일한 폭 공간에서 단일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탄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 이송장치{Shell transfer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탄 이송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탄 이송장치의 이송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탄 이송장치의 그리퍼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탄 이송장치의 컨베이어 조립체와 승강수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a와 도6b는 도 3의 VI-VI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제된 사시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탄 이송장치 4...그리퍼 조립체
5...이송수단 6...컨베이어 조립체
7...승강수단 43...가이드롤러
51a,52a...수직이송부 51b,52b...수평이송부
53...이송가이드 54...이송홈
73...래크 74...피니언
본 발명은 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을 잡고 수직상승, 탄의 자세변환, 수평 이동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동시에 하면서 최소한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 이송장치는 제1의 장치로부터 제2의 장치로 탄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예를들면, 차량등에 탑재되어 이동하거나 진지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사격용 전투장비에서 포탄 적치대에서 포탄을 포탄 출구로 이송하거나 또는 역으로 포탄 출구를 통하여 이송된 포탄을 포탄 적치대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비를 들 수 있다. 이때, 탄 이송장치는 수평방향의 이송과 수직방향의 이송, 및 자세의 변환을 통하여 탄을 제1의 장치로부터 제2의 장치로 이송한다.
종래의 탄 이송장치는 수평 또는 수직 이동형의 스태커(stacker) 형태로서, 탄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수직의 포탄을 잡고 고정된 회전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는 수평이동, 회전 또는 수평이동의 기능이 복합되어 하나의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탄 이송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차 이송장치(1)와 제2차 이송장치(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차 이송장치는 제1차 왕복이송수단(11), 제1차 그립수단(12), 그리고 지지체(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차 왕복이송수단의 위에 원통형의 지지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 위에는 제1차 그립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왕복이송수단의 이동 경로 종단부에는 상기 제2차 이송장치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2차 이송장치(2)는 상기 제1차 이송기(1)에 의하여 이송된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제2차 그립수단(21), 상기 제2차 그립수단을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차 왕복이송수단(22), 상기 제2차 왕복이송수단을 소정의 각도만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3) 및 상기 회동수단에 의하여 지면과 수평 위치로 된 포탄을 전진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24)를 포함하고 있다.
제1차 이송장치(1)로부터 포탄을 제2차 그립수단(21)으로 전달하면, 포탄을 파지한 제2차 그립수단(21)은 제2차 왕복이송수단(22)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탄을 컨베이어 시스템에 상향 밀착시킨다. 상기 제2차 왕복이송수단이 이동 경로의 종점에 이르면 상기 제2차 왕복이송수단의 이동은 정지되고, 회동수단(23)이 상기 제2차 왕복이송수단과 함께 요크 구조물을 상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켜 제2차 이송장치(2)를 포탄출구와 평행하게 위치시키면, 컨베이어(24) 시스템이 작동하여 포탄을 포탄 출구로 이송시킨다.
종래의 탄 이송장치의 일례를 통해서 본 바와 같이, 복합 기능형의 탄 이송장치의 경우 수직 이송시킨 후에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제1차 이송장치로부터 넘겨받은 탄을 다음 단계로 이송시킬 때, 탄을 잡고 있는 제2차 이송장치 전체를 회전 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별도의 회전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고, 회전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만큼의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처럼 기존의 수평, 수직 이송형 또는 복합기능형 탄 이송장치의 경우 탄의 수직이송, 회전 및 수평이송의 복합이송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와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의 장치로부터 제2의 장치로 탄을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공간의 소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탄을 잡고 수직상승, 탄의 자세변환 및 수평이송의 복합적인 기능이 동일한 폭 공간에서 단일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탄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탄 이송장치는 탄을 파지하는 그리퍼 조립체;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승강시키면서 자세를 변화시키고,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된 탄을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이송부를 가지는 제1,2프레임과, 상기 제1,2프레임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형성되는 이송가이드와, 상기 이송가이드에 이를 따라 형성되는 이송홈과, 상기 제1,2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방브래킷과, 상기 제1,2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리퍼 조립 체를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2프레임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이송가이드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들과, 상기 스프로킷들에 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기 그리퍼 조립체의 외부하우징에 연결된 한쌍의 체인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로킷들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그리퍼 조립체는 상기 탄을 고정하는 그리퍼부와, 상기 그리퍼부를 내부에 감싸고, 상기 체인이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는 컨베이어 본체와, 상기 컨베이어 본체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의 직경이 주변부의 직경보다 작은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기는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수평이송부의 단부에 상기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의 본체와 각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2프레임과 본체에 상호 치합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래크와 피니언과, 상기 제1,2프레임 또는 본체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 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 이송장치(3)는 탄을 파지하는 그리퍼 조립체(4)와,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승강시키면서 자세를 변화시키고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과,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된 탄을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조립체(6)와, 및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탄 이송장치(3)는 외부 이송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탄을 상기 그리퍼 조립체(4)에 의해 파지하고, 상기 이송수단(5)의 수직이송부를 따라 수직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자세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탄을 파지한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수평이송부를 따라 수평 이송시켜 정해진 위치에 오면 컨베이어 조립체(6)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탄을 안착시킨 후,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하강시켜 원래의 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탄이 안착된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하여 수직 상승시킨 후 탄을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에 의하여 다음 이송 장치로 수평이송시킨다.
도 3은 도 2의 탄 이송장치의 이송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수단(5)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직이송부(51a, 52a)와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이송부(52a, 52b)를 가지는 제1,2프레임(51, 52)과, 상기 제1,2프레임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형성되는 이송가이드(53)와, 상기 이송가이드에 이를 따라 형성되는 이송홈(54)과, 상기 제1,2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방브래킷(55), 및 상기 제1,2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부(5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56)는 상기 제1,2프레임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이송가이드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61)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들(562)과, 상기 스프로킷들에 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기 그리퍼 조립체의 외부하우징에 연결된 한쌍의 체인(563), 및 상기 제1,2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로킷들을 구동시키는 모터부(564)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탄 이송장치의 그리퍼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 조립체(4)는 상기 탄을 고정하는 그리퍼부(41)와, 상기 그리퍼부를 내부에 감싸고, 상기 체인이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42)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롤러(43)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2의 탄 이송장치의 컨베이어 조립체와 승강수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6)는 컨베이어 본체(61)와, 상기 컨베이어 본체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의 직 경이 주변부의 직경보다 작은 다수개의 롤러(62)와, 상기 롤러에 감기는 벨트(63), 및 상기 컨베이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64)를 포함한다. 이때, 중앙부의 직경이 주변부의 직경보다 작은 다수개의 상기 롤러(62)와, 상기 롤러에 감기는 벨트(63)를 사용하여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쪽으로 경사지게 만들어 안착된 탄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벨트 구동부(64)는 상기 벨트(63)를 구동시키기 위한 체인(641)과 스프로킷(642)과 상기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부(643), 및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과 스프로킷에 전달하기 위한 풀리(644)와 타임벨트(645)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상기 타임벨트를 통하여 상기 스프로킷에 전달되고, 일단에 위치한 롤러들로부터 타단의 롤러들로 체인을 통하여 전동된다. 이렇게 전달된 동력을 통하여 상기 롤러들을 감싸고 있는 벨트를 구동시켜 안착된 탄을 수평 이송시킨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7)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수평이송부의 단부에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6)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71)과, 상기 컨베이어의 본체와 각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수단(72a, 72b)과, 상기 제1,2프레임과 본체에 상호 치합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래크(73)와 피니언(74), 및 상기 제1,2프레임 또는 본체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모터부(75)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가이드 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 측에 설치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72a)와 컨베이어 조립체 측에 설치된 리니어 모션 블럭(72b)의 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컨베이어 조립의 본체(6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승강수단(7)의 상기 모터부(75)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피니언(74)을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의 본체(61)에 설치된 상기 승강수단의 리니어 모션 블럭(72b)이 상기 승강수단의 상기 가이드프레임(71)에 설치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72a)의 안내를 받아, 상기 래크(73)를 따라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수직 상승시킨다.
도 6a와 도 6b는 도 3의 VI-VI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제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기 제1,2프레임(51, 52)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이송가이드(53)가 형성되고, 탄을 파지한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이송시킬때, 상기 가이드롤러를 가이드하는 상기 이송홈(54)이 상기 이송가이드에 형성되고, 상기 제1,2프레임(51,52)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이송가이드를 따라 가이드레일(56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리퍼 조립체의 외부하우징의 양쪽에 연결된 상기 체인(563)이 상기 이송가이드(53)와 가이드레일(561)에 의해 안내되어 탄을 파지한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롤러 직경이 롤러를 연결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폭보다 큰 컨베이어용 체인을 사용하고, 상기 체인이 상기 이송가이드(53)와 가이드롤러(561)의 안내를 받아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상기 수평이송부로 연결되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서 탄을 파지한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이송시켜, 탄을 수직이송시켜면서 동시에 탄의 자세를 변화시키고 자세가 변환된 탄을 수평이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탄 이송장치의 탄 이송은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외부 이송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탄을 상기 그리퍼 조립체에 의하여 파지하고, 탄을 파지한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상기 이송홈의 가이드를 받아 상기 수직이송부를 따라 수직 이송시켜면서 동시에 자세를 변화시키고, 자세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수평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그리퍼 조립체의 외부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이송홈의 안내를 받고, 상기 그리퍼 조립체의 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체인이 상기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체인이 상기 이송가이드와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이송수단의 수직이송부와 수평이송부를 따라 탄을 파지한 그리퍼 조립체의 위치를 이송시켜며 동시에 자세를 변화시킨다.
또한, 이송된 탄을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에 안착시킨 후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하강시키고, 탄이 안착된 컨베이어 조립체를 승강수단에 의하여 수직 상승시킨 후 탄을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에 의하여 다음 이송장치로 수평 이송시킨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 이송장치는 제1의 장치로 부터 제2의 장치로 탄을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탄을 잡고 수직상승, 탄의 자세변환 및 수평이송의 복합적인 기능이 동일한 폭 공간에서 단일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의 이송거리를 최소화시켰다.
또한, 탄의 전체 이송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분산된 시스템을 일정한 하나의 공간에 배치함으로, 전체 이송장치가 주어진 시간 안에 최대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탄을 파지하는 그리퍼 조립체;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승강시키면서 자세를 변화시키고,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된 탄을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이송부를 가지는 제1,2프레임과,
    상기 제1,2프레임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형성되는 이송가이드와,
    상기 이송가이드에 이를 따라 형성되는 이송홈과,
    상기 제1,2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방브래킷과,
    상기 제1,2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리퍼 조립체를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2프레임의 대응되는 면에 상기 이송가이드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들과, 상기 스프로킷들에 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기 그리퍼 조립체의 외부하우징에 연결된 한쌍의 체인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로킷들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 조립체는
    상기 탄을 고정하는 그리퍼부와,
    상기 그리퍼부를 내부에 감싸고, 상기 체인이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는
    컨베이어 본체와,
    상기 컨베이어 본체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의 직경이 주변부의 직경보다 작은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기는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 이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수평이송부의 단부에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의 본체와 각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2프레임과 본체에 상호 치합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래크와 피니언과,
    상기 제1,2프레임 또는 본체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 이송장치.
KR1020010082480A 2001-12-21 2001-12-21 탄 이송장치 KR10081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80A KR100819787B1 (ko) 2001-12-21 2001-12-21 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80A KR100819787B1 (ko) 2001-12-21 2001-12-21 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495A KR20030052495A (ko) 2003-06-27
KR100819787B1 true KR100819787B1 (ko) 2008-04-07

Family

ID=2957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480A KR100819787B1 (ko) 2001-12-21 2001-12-21 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48B1 (ko) * 2004-12-29 2011-07-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상하 이송기 조립체
KR101247285B1 (ko) * 2007-04-24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탄약 운반 장갑차
KR101592292B1 (ko) 2014-06-12 2016-02-05 국방과학연구소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782A (en) * 1978-11-03 1980-11-11 Shinko Kiko Co., Ltd. Continuous conveyance system
US4648305A (en) * 1983-09-07 1987-03-10 Rheinmetall Gmbh Armored vehicle for supplying ammunition to a self-propelled artillery weapon
JPH05203394A (ja) * 1991-07-05 1993-08-10 General Electric Co <Ge> 弾倉積込み及び取降ろし用弾薬移転装置
KR20020069520A (ko) * 2001-02-26 2002-09-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동 탄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782A (en) * 1978-11-03 1980-11-11 Shinko Kiko Co., Ltd. Continuous conveyance system
US4648305A (en) * 1983-09-07 1987-03-10 Rheinmetall Gmbh Armored vehicle for supplying ammunition to a self-propelled artillery weapon
JPH05203394A (ja) * 1991-07-05 1993-08-10 General Electric Co <Ge> 弾倉積込み及び取降ろし用弾薬移転装置
KR20020069520A (ko) * 2001-02-26 2002-09-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동 탄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495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EP4115995A1 (en) Sorting-conveying apparatus and sorting-conveying system
KR100819787B1 (ko) 탄 이송장치
JP6639613B2 (ja) 靴底の輸送機構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US6854586B1 (en) Unstable article conveying device with diverter having curved path
US11685612B2 (en) Motorized transfer apparatus for conveyors of bulk objects
KR102192922B1 (ko) 바이 패스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JP4882754B2 (ja) 板状体搬送設備
US6374992B1 (en) Unstable article conveying device with diverter
EP2090531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CN217376269U (zh) 一种板材上料设备
JP2011256011A (ja) 搬送装置
CN110844457A (zh) 物品自动收发设备
JP6482376B2 (ja) 搬送装置における物品案内装置
US11878877B2 (en) Material conveying device and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KR100430056B1 (ko) 자동 탄 이송장치
KR960007989Y1 (ko) 포탄 적치 및 배출장치
CN212557968U (zh) 一种运输装置与焊锡机
CN111924438B (zh) 电芯翻转上料机构及电芯焊接系统
CN219383713U (zh) 一种流水线装置
CN209939609U (zh) 电池包输送机构及换电站
KR20240010924A (ko) 다열 벨트 컨베이어
CN210084086U (zh) 一种具有检漏功能的制冷剂气雾罐用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