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840B1 - 화상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840B1
KR100592840B1 KR1020047013737A KR20047013737A KR100592840B1 KR 100592840 B1 KR100592840 B1 KR 100592840B1 KR 1020047013737 A KR1020047013737 A KR 1020047013737A KR 20047013737 A KR20047013737 A KR 20047013737A KR 100592840 B1 KR100592840 B1 KR 10059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recording
image
data distribution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294A (ko
Inventor
에비하라도시유끼
다쯔따세이지
이오까겐
고미야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35Alignment of d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B41J2/5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 B41J2/5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line printer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95Matching the image with the size of the copy material, e.g. by calculating the magnification or selecting the adequate copy material siz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78Composite print mode
    • G03G2215/00582Plural adjacent images on on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 Jet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배열한 기록 소자가 중첩 부분을 갖도록 연속 설치된 제1, 제2 기록 헤드(11, 12)와, 화상 데이터를 이러한 기록 헤드(11, 12)로 분배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과, 이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동일 화소의 화상 데이터가 양방의 기록 헤드(11, 12)로 분배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중첩 부분 내에 설정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3)과, 기록 헤드(11, 12)끼리의 위상차에 기인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과의 농도 특성의 상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변수를 기억하는 보정 변수 기억 수단(5)과, 보정 변수를 기초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을 구비한 화상 기록 장치이다.
입력 화상 메모리,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 보정 변수 기억 수단

Description

화상 기록 장치 {IMAGE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기록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소의 집합이 되는 화상을 라인마다 기록하도록 이루어진 화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린터나 팩시밀리 등의 화상 기록 장치의 대부분은 복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함으로써, 구성된 서멀 헤드나 잉크젯 헤드 등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있다.
이러한 기록 헤드는,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 용지를 급송하는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기록 소자를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고, 라인마다 기록을 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라인 방향의 기록 폭이 긴 경우에는 그 기록 폭 이상의 길이로 기록 소자가 배열된 기록 헤드를 이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긴 기록 헤드는 제조시의 양품의 수율이 악화되므로, 비용이 높아져 버릴 과제가 있다.
그래서, 제조 비용이 저렴한 기록 폭이 짧은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헤드의 위치를 변이하면서 왕복 운동을 몇 번인가 행함으로써, 긴 기록 폭의 화상을 기록하는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서는 1 화상을 인쇄 완료하기까지 긴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복수가 짧은 기록 헤드를 라인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라인 방향으로 긴 기록 폭을 확보하여 비용 및 인쇄 속도의 양립을 도모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일의 짧은 기록 헤드를 왕복시키는 기술이나 복수의 짧은 기록 헤드를 연속 설치하는 기술에서는, 긴 기록 폭의 일획상이 짧은 기록 폭의 복수의 부분 화상에 의해 구성되게 되므로, 그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이음매를 눈에 띄지 않게 어떻게 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이음매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기술의 일예로서, 일본 특허 공고 평6-38628호 공보에는 복수의 기록 소자에 의한 기록 영역의 일부가 오버랩되고, 이 오버랩 영역에 있어서의 기록 화상의 연속성이 보유 지지되도록, 오버랩 영역의 1회째의 기록시에는 오버랩 영역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계수를 걸어 무게 중심을 행하고, 오버랩 영역의 2회째의 기록시에는 오버랩 영역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계수를 걸어 무게 중심을 행하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의 다른 일예로서 미국 특허 제6386668호에는, 복수의 기록 헤드를 열거하여 기록 폭을 확장한 경우에 인접하는 기록 헤드의 인쇄 영역이 중합하는 부분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농도 변화를 보정하여, 균일한 농도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헤드에는 복수의 기록 소자가 배열되어 있지만, 일 반적으로 기록 소자 자체가 미세하며 그 배치 간격도 미세하므로, 통상의 부착 정밀도로 복수의 기록 헤드를 연속 설치하면, 인접하는 기록 헤드의 한 쪽 기록 소자의 배열과 다른 쪽 기록 소자의 배열로 어긋남(위상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위상차는, 각 기록 헤드에 의한 부분 화상끼리의 이음매에 있어서의 농도 불균일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해결 수단을 하등 제시하지 않았다.
한편, 기록 헤드의 부착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상승되므로, 짧은 기록 헤드를 복수 이용함으로써 비용 삭감의 효과가 반감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제조시의 부착 정밀도를 얼마나 높게 해도, 그 후 사용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이 발생될 가능성도 있거나 혹은 기록 헤드를 교환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스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인접하는 기록 헤드끼리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의 배열의 위상차에 기인하는 이음매의 농도 불균일을 저감하여, 품질이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소의 집합이 되는 화상을 라인마다 기록하도록 이루어진 화상 기록 장치이며, 복수의 기록 소자를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록 소자의 배열 영역이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중첩 부분을 갖도록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인접 하여 배치된 복수의 기록 헤드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들 복수의 기록 헤드로 각각 분배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과, 이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에 의해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의 양방으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분배되는 영역이며, 연속하는 1 이상의 기록 소자의 배열로 구성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상기 중첩 부분에 설정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과,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끼리에 상기 주기적인 배열의 어긋남인 위상차가 있을 때에 생길 수 있는,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에 의한 기록의 농도 특성과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기록 소자에 의한 기록의 농도 특성과의 상이를 보정하기 위한 상기 위상차에 따른 보정 변수를 기억하는 보정 변수 기억 수단과, 이 보정 변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변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관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이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의 양방으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분배되는 것을 허용하는 오버랩 영역을 상기 중첩 부분 중에 설정하여, 이 오버랩 영역 내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위치가 라인마다 상기 라인 방향에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헤드가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각 설정되는 상기 오버랩 영역을 상기 라인 방향으로, 모두 대략 동 일한 길이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제4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은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분배비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구성하는 기록 소자의 배열의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화상 데이터의 분배를 행하는 것이다.
제5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 헤드가 교환될 때에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과 분리하는 일 없이 교환되도록,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과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되어 기록 헤드 유닛으로 구성된 것이다.
제6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를 상기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끼리의 위치 관계를 실측함으로써 구하는 헤드 위치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제7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의 배열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을 발생시키는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과, 상기 위상차를 이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테스트 패턴을 기초로 하여 기록된 화상의 상기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에 의해 기록된 화소끼리의 위치 관계를 실측함으로써 구하는 헤드 위치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제8 발명은 상기 제6 또는 제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위상차를 구하는 타이밍을 지시하기 위한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은 이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의 지시에 따라서 새롭게 위상차가 구해졌을 때에는, 새로운 위상차에 따른 보정 변수를 기억 해 고치는 것이다.
제9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상기 복수의 기록 헤드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가 조정되었을 때이다.
제10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전회의 타이밍이 있을 때에는 상기 전회의 타이밍, 전회의 타이밍이 없을 때에는 제조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부동작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을 때이다.
제11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전회의 타이밍이 있을 때에는 상기 전회의 타이밍, 전회의 타이밍이 없을 때에는 제조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동작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을 때이다.
제12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미리 설정된 시각마다이다.
제13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이다.
제14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상기 기록 헤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 변화되었을 때이다.
제15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이 상기 기록 헤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었을 때이다.
제16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록 헤드에 부착된 변형 검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은 이 변형 검출 센서가 상기 기록 헤드의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변형을 검출하였을 때이다.
제17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가속도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적어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록 헤드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은 이 가속도 센서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하였을 때이다.
제18 발명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발생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록 헤드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은 전회의 타이밍이 있을 때에는 상기 전회의 타이밍, 전회의 타이밍이 없을 때에는 제조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이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되었을 때이다.
제19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관한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때에 발생한 양자화 오차를, 상기 화소의 근방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때에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록 용지에 대한 기록 헤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되는 화상 데이터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제1 기록 헤드와 제2 기록 헤드와의 위치 관계를 기록 헤드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상차(δ)가 0.5 및 1.5가 될 때의 기록 헤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상차(δ)의 값에 따라서 인접하는 기록 헤드에 의해 중첩되는 부분의 농도 특성이 증감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버랩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분배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설정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가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정 변수 F(δ)의 함수 형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에 의해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라인마다 랜덤하게 이동시키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메모리로부터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기록 헤드에 공급하는 화상 데이터를 산출할 때에, 양자화 오차를 고려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기록 헤드와 보정 변수 기억 수단을 유닛화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라인 방향에 따라서 3개의 기록 헤드가 연속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은 화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화상 기록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보유 지지하는 입력 화상 메모리(1)와, 이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1 기록 헤드(11)용과 제2 기록 헤드(12)용으로 각각 분배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과, 이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제1 기록 헤드(11)와 제2 기록 헤드(12)와의 양방으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분배되는 영역이 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인마다 오버랩 영역 내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인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3)과, 제1 기록 헤드(11)에 설치된 기록 소자의 주기적인 배열과 제2 기록 헤드(12)에 설치된 기록 소자의 주기적인 배열과의 위상차(δ)를 실측하는 등에 의해 검출하기 위한 헤드 위치 검지 수단(6)과, 이 헤드 위치 검지 수단(6)에 의해 검지를 실행하는 타이밍에 따라서 그 지시를 행하기 위한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7)과, 상기 위상차(δ)에 대응하는 보정 변수 F(δ)를 기억하는 것이며,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수단(6)에 의해 새롭게 위상차(δ)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새로운 위상차(δ)에 대응하는 보정 변수 F(δ)를 기억해 고치는 보정 변수 기억 수단(5)과, 이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으로부터 판독한 보정 변수 F(δ)를 기초로 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분배된 부분 화상에 관한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데이터 보정을 행하는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과,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수단(6)에 의한 검지를 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기록 헤드(11, 12)의 기록 소자의 배열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을 발생시키는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8)과,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분배된 내의 제1 기록 헤드(11)용의 부분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8)에 의해 발생된 제1 기록 헤드(11)용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분배되어 상기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에 의해 보정된 제2 기록 헤드(12)용의 부분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8)에 의해 발생된 제2 기록 헤드(12)용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부분 화상 메모리(10)와, 상기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에 기억된 부분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록 용지로의 기록을 행하는 제1 기록 헤드(11)와, 상기 제2 부분 화상 메모리(10)에 기억된 부분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록 용지로의 기록을 행하는 제2 기록 헤드(12)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3)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11, 12)의 중첩 영역 중에,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양 기록 헤드(11, 12)에 분배되는 것을 허용하는 오버랩 영역을 설정하여, 이 오버랩 영역 내에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실제 양방으로 분배되는 연속하는 1 이상의 기록 소자의 배열로 구성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위치가 라인마다 상기 라인 방향으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3)에 의해 설정된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있어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를 분배할 때에 분배비를 라인 방향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기록 헤드(11, 12)에 어느 정도 농도 특성의 차가 있는 경우라도, 각 부분 화상이 순조롭게 접속되어 이음매를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변수 F(δ)를 기록 소자에 공급하는 데이터에 곱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분배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수단(6)은, 측정기를 이용하여 기록 소자끼리의 위치 관계(간격)를 실측함으로써 위상차(δ)를 검지하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상기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8)에 의해 발생된 테스트 패턴을 기초로 하여 기록된 화상의 상기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에 의해 기록된 화소끼리의 위치 관계를 실측함으로써 상기 위상차(δ)를 구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후자인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패턴을 실제로 인쇄한 것을, 이미지 스캐너 등으로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산출하는 등이 생각된다.
도2는 기록 용지에 대한 기록 헤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기록 장치가 컬러 화상을 기록하는 것인 경우에는 복수의 색, 예를 들어 K(흑색),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 등의 색을 각 색마다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하게 되지만, 이 도2에 있어서는 이들 내의 2색에 관한 기록 헤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기록 헤드(11, 12)는 예를 들어 K(흑색)를, 기록 헤드(11A, 12A)는 예를 들어 C(시안)를, 각각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기록 헤드(11)에는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로부터, 제2 기록 헤드(12)에는 제2 부분 화상 메모리(10)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동시에, 제3 기록 헤드(11A)에는 제3 부분 화상 메모리(9A)로부터, 제4 기록 헤드(12A)에는 제4 부분 화상 메모리(10A)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기록 매체인 기록 용지(18)는, 예를 들어 부호 19에 나타내는 급송 방향으로 이송되는 긴 롤 페이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 헤드(11, 12, 11A, 12A)는 복수의 기록 소자(13)를 상기 부호 19에 나타낸 급송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즉 라인 방향에 따라서 거의 등간격이 되도록 일렬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 소자(13)는 기록 헤드(11, 12, 11A, 12A)가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인 경우에는 노즐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기록 방식에 따른 여러 가지의 기록 소자가 이용된다.
기록 헤드(11)[또는 기록 헤드(11A)]에 의한 기록 영역(14)과, 기록 헤드(12)[또는 기록 헤드(12A)]에 의한 기록 영역(15)은 중첩 부분(16)을 발생하도록,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3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분배되는 화상 데이터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판독되는 화상 데이터(20)는, 상기 제1 기록 헤드(11)에만 의한 기록에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20a)와, 제2 기록 헤드(12)에만 의한 기록에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20b)와, 제1 기록 헤드(11)와 제2 기록 헤드(12)와의 양방에 의한 기록에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20c)로 분류된다.
따라서, 제1 기록 헤드(11)에는 화상 데이터(20a) 및 화상 데이터(20c)가 공급되고, 제2 기록 헤드(12)에는 화상 데이터(20b) 및 화상 데이터(20c)가 공급된다.
이들 중, 공통되는 화상 데이터(20c)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분배비를 변화시키는 처리나 보정 처리를 행한 후에, 각각의 기록 헤드(11, 1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4는 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제1 기록 헤드와 제2 기록 헤드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기록 헤드(11)와 제2 기록 헤드(12)는 라인 방향에 따라서, 중첩 영역(0H)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중첩 영역(OH) 중에 있어서, 소정 범위의 오버랩 영역(OW)이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3)에 의해 설정되도록 되어 있고, 여기서는 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기록 헤드(11)에 있어서의 8개가 연속되는 기록 소자(13)(L1 내지 L8)와, 우측에 위치하는 제2 기록 헤드(12)에 있어서 이러한 기록 소자(13)(L1 내지 L8)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가 되는 8개의 연속하는 기록 소자(13)(R1 내지 R8)를 포함하도록, 오버랩 영역(OW)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정밀도로 제1 기록 헤드(11)와 제2 기록 헤드(12)를 배치하면, 제1 기록 헤드(11)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13)의 배열과, 제2 기록 헤드(12)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13)의 배열로는, 라인 방향의 어긋남(위상차)이 발생될 경우가 있다.
이 도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동일 기록 헤드 상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13)의 배열 주기를 1로 하였을 때에, 이 주기 1 보다도 약간 큰 값이 되는 위상차(δ)가 발생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δ = 1이 될 때에 제1 기록 헤드(11)의 기록 소자(13)와 제2 기록 헤드(12)의 기록 소자(13)가 라인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도록, 위상차(δ)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기록 소자(13)의 배열 주기가 1이므로, 위상차(δ)는 δ = 1을 포함하는 구간 폭이 1이 되는 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0.5 < δ ≤ 1.5의 구간에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0.3 < δ ≤ 1.3의 구간 등으로 정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각 기록 헤드(11, 12)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 화상을 순조롭게 접속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오버랩 영역(OW)[도시한 예로서는 8개의 기록 소자(13)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오버랩 영역(OW)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 로 중첩 영역(OH)이 발생되도록 기록 헤드(11, 12)를 배치하면, 위상차(δ)의 구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상차(δ)와 제1 기록 헤드(11) 및 제2 기록 헤드(12)의 위치 관계에 대해, 도5를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5는 위상차(δ)가 0.5 및 1.5가 될 때의 기록 헤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상차(δ)가 0.5일 때에는,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δ = 1일 때에 비해, 인접하는 기록 헤드(11, 12)의 각 기록 소자(13)가 라인 방향에 따라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어긋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위상차(δ)가 1.5일 때에는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δ = 1일 때에 비해, 인접하는 기록 헤드(11, 12)의 각 기록 소자(13)가 라인 방향에 따라서 이격하는 방향으로 어긋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다음에, 도6은 위상차(δ)의 값에 따라서, 인접하는 기록 헤드에 의해 중첩되는 부분의 농도 특성이 증감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6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기록 헤드에 의한 기록이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한 쪽 기록 헤드로부터 다른 쪽 기록 헤드를 향함에 따라, 농도 특성을 선형으로 감소시키도록 분배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중첩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δ = 1인 경우에는, 좌측의 농도 특성 곡선(fL)과 우측의 농도 특성 곡선(fR)은 농도 특성의 감소의 기단부와 종단부가 서로 완전하게 일치하고 있고, 이들을 합성한 후의 농도 특성 곡선(fA)은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이 중첩되는 부분 이외와 동일해진다.
이에 대해, δ > 1이 되는 경우에는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농도 특성 곡선(fL)과 우측의 농도 특성 곡선(fR)이 서로 떨어지는 위치 관계가 되어 있고, 이들을 합성한 후 농도 특성 곡선(fA)은 도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되어, 기록이 중첩되는 부분의 농도 특성이 그 이외의 부분의 농도 특성보다도 낮게 되어 버린다. 이는, 상기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δ > 1이 되는 경우에는, 기록 헤드끼리에 있어서 기록 소자가 서로 이격하게 되므로, 단위 면적의 잉크량이 적어져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δ < 1이 되는 경우에는 도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농도 특성 곡선(fL)과 우측의 농도 특성 곡선(fR)이 서로 근접하는 위치 관계가 되어 있고, 이들을 합성한 후 농도 특성 곡선(fA)은 도6의 (F)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되어, 기록이 중첩되는 부분의 농도 특성이 그 이외의 부분의 농도 특성보다도 높아져 버린다. 이는, 상기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δ < 1이 되는 경우에는 기록 헤드끼리에 있어서, 기록 소자가 서로 근접하게 되므로 단위 면적의 잉크량이 많아져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도6의 (D)나 도6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은 δ = 1 이외인 경우에 있어서도,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δ = 1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평탄한 농도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이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에 기억된 보정 변수 F(δ)를 이용하여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7은 오버랩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분배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는, 상기 오버랩 영역(0W)에 따른 화상 데이터로서, 도시와 같은 D1 내지 D8의 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화상 데이터(D1 내지 D8)를 받아,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기록 헤드(11)의 오버랩 영역(OW)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L1 내지 L8)에는 A1 내지 A8의 화상 데이터를 분배하고, 마찬가지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기록 헤드(12)의 오버랩 영역(OW)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R1 내지 R8)에는, B1 내지 B8의 화상 데이터를 분배한다.
도8은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설정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가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8의 (A)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이 오버랩 영역(OW)의 좌단부에 설정된 경우, 즉 기록 소자(L1 내지 L4) 및 기록 소자(R1 내지 R4)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A1 = D1 × 0.8, A2 = D2 × 0.6, A3 = D3 × 0.4, A4 = D4 × 0.2, A5 = A6 = A7 = A8 = 0이 되는 것처럼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분배비에 의한 분배를 행하여,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는 이 데이터를 받아 기억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에 대해, B1 = (D1 - A1), B2 = (D2 - A2), B3 = (D3 - A3), B4 = (D4 - A4), B5 = D5, B6 = D6, B7 = D7, B8 = D8이 되도록 분배를 행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은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으로부터 입력된 이러한 데이터 내,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에 관한 화상 데이터(B1 내지 B4)를 보정 변수 F(δ)를 이용하여, B1 = (D1 - A1) × F(δ), B2 = (D2 - A2) × F(δ), B3 = (D3 - A3) × F(δ), B4 = (D4 - A4) × F(δ)와 같이 보정한다.
이렇게 하여 보정된 데이터가 제2 부분 화상 메모리(10)에 기억된다.
또, 여기서 설명한 오버랩 영역(0W)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 또는 제2 부분 화상 메모리(10)의 어느 한 쪽에만 기억되게 된다.
다음에, 도8의 (B)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이 오버랩 영역(OW)의 우단부에 설정된 경우, 즉 기록 소자(L5 내지 L8) 및 기록 소자(R5 내지 R8)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A1 = D1, A2 = D2, A3 = D3, A4 = D4, A5 = D5 × 0.8, A6 = D6 × 0.6, A7 = D7 × 0.4, A8 = D8 × 0.2가 되도록 분배를 행하여 제1 부분 화상 메모리(9)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에 대해, B1 = 0, B2 = 0, B3 = 0, B4 = 0, B5 = (D5 - A5), B6 = (D6 - A6), B7 = (D7 - A7), B8 = (D8 - A8)이 되도록 분배를 행하여 데이터를 산력한다.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은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으로부터 입력된 이러 한 데이터 내,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에 관한 화상 데이터(B5 내지 B8)를 보정 변수 F(δ)를 이용하여, B5 = (D5 - A5) × F(δ), B6 = (D6 - A6) × F(δ), B7 = (D7 - A7) × F(δ), B8 = (D8 - A8) × F(δ)와 같이 보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은 위상차(δ)에 기인하여,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에 있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농도 특성의 불균일성을 보정 변수 F(δ)를 이용함으로써, 균일하게 되도록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은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분배된 화상 데이터의 한 쪽에만 보정 변수 F(δ)에 의한 보정을 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방의 화상 데이터에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9는 보정 변수 F(δ)의 함수 형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에 있어서의 농도 특성은 보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δ < 1일 때에는 1 보다도 커지고, δ > 1일 때에는 1 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농도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변수 F(δ)는 δ = 1일 때에 1이며, δ < 1일 때에 1 보다도 작고, δ > 1일 때에 1 보다도 커지는 함수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이 연속되어 농도 특성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여 모델화한 농도 특성 분포에 있어서는, 평탄 부분(겹치지 않는 부분)의 농도 특성을 1로 규격화하면, 도6의 (D)에 도시하는 농도 특성이 낮은 부분도, 도6의 (F)에 도시하는 농도 특성이 높은 부분도, 모두 W1/Wδ로 표현되는 농도 특성이 된다. 여기서, W1은 도4에 있어서 δ = 1로 하였을 때의 L0으로부터 R8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Wδ는 실제의 δ에서의 L0 내지 R8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델에 있어서는, 보정 변수 F(δ)의 구체적인 함수 형상은,
F(δ) = Wδ/W1
이 된다.
실제로는, 화상이 도트로 하여 나타내고 농도 특성도 계단형으로 설정해야만 하므로, 보정 변수 F(δ)는 최적의 함수 형상을 실험 등에 의해 구하게 된다. 이러한 실제적인 보정 변수 F(δ)의 δ에 대한 의존 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 도9이다.
다음에, 도10은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이동 수단(3)에 의해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을 라인마다 랜덤하게 이동시키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버랩 영역(0W) 내에 있어서 설정되도록 되어 있지만, 모든 라인에서 동일한 위치로 취하면, 농도 특성이 균일해지도록 보정하였다고 해도, 각 기록 헤드(11, 12)에 의한 부분 화상끼리의 이음매가 보여질 가능성이 생각된다.
그래서, 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랩 영역(OW) 내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의 위치를 라인마다 랜덤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부분 화상끼리의 이음매를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랜덤하게 이동시키지 않아도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이와 같이 랜덤한 이동으로 함으로써, 특히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1은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기록 헤드(11, 12)에 공급하는 화상 데이터를 산출할 때에, 양자화 오차를 고려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록 헤드(11, 12)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 소자(13)에 공급하는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이며, 그 도트 위치의 계조를 나타내고 있다. 기록 소자(13)가,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에 있어서의 노즐인 경우에는 1 도트에 대해 토출하는 잉크의 적 수(드롭수)로 조정하도록 되어 있어, 이 드롭수가 계조에 상당한다. 이 도11에서는, 1 도트마다 0 드롭으로부터 7 드롭까지의 8 계조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기록 소자(1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분배의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도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에 대해서는 부분 화상끼리가 원활히 접속되도록, 제1 기록 헤드(11)의 농도 특성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행하는 동시에, 제2 기록 헤드(12)의 농도 특성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행하도록 하고, 또한 보정 변수에 의한 보정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정수치(양자화된 값)라도, 계수를 적산한 후에는 정수치는 없어지는 경우가 있고, 이를 양자화할 때에 양자화 오차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양자화 오차를 단순하게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록 소자(13)에 대해 잘 배분함으로써, 상기 양자화 오차에 기인하는 이음매의 불연속성을 저감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오버랩 영역(OW)이 상기 도4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기록 소자(1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중 좌단부에 4개의 기록 소자(13)가 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입력한 오버랩 영역(OW)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D1 = 7, D2 = 5, D3 = 6, D4 = 4, D5 = 3, D6 = 1, D7 = 2, D8 = 3이 되고, 보정 변수 F(δ) = 1.2가 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 때, 제1 기록 헤드(11)의 오버랩 영역(OW)에 관한 기록 소자(L1 내지 L8)의 화상 데이터(A1 내지 A8)와, 제2 기록 헤드(12)의 오버랩 영역(OW)에 관한 기록 소자(R1 내지 R8)의 화상 데이터(B1 내지 B8)는,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 및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에 의해, 각각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우선, A1은 D1의 0.8배를 산출하여 소수점 이하를 잘라 버림으로써(즉, 양자화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1 = [D1 × 0.8] = [7 × 0.8] = [5.6] = 5
여기에, 기호 [ ]는 괄호 내의 수치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B1은 D1로부터 A1을 감산하여 그 결과에 보정 변수 F(δ)를 승산한 것을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B1 = [(D1 - A1) × F(δ)] = [(7 - 5) × 1.2] = [2.4] = 2
이 B1을 양자화할 때에 잘라 버린 값(양자화 오차)은 0.4이다.
A2는 D2의 0.6배를 산출하여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A2 =[D2 × 0.6] = [5 × 0.6] = [3] = 3
B2는 D2로부터 A2를 감산하여 그 결과에 보정 변수 F(δ)를 승산하고, 또한 B1에 있어서 잘라 버린 값을 가산하여 그를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B2 = [(D2 - A2) × F(δ) + 0.4]
= [(5 - 3) × 1.2 + 0.4] = [2.8] = 2
이 B2를 양자화할 때에 잘라 버린 값(양자화 오차)은 0.8이다.
A3은 D3의 0.4배를 산출하여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A3 = [D3 × 0.4] = [6 × 0.4] = [2.4] = 2
B3은 D3으로부터 A3을 감산하여 그 결과에 보정 변수 F(δ)를 승산하고, 또한 B2에 있어서 잘라 버린 값을 가산하여 그를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B3 = [(D3 - A3) × F(δ) + 0.8]
= [(6 - 2) × 1.2 + 0.8] = [5.6] = 5
이 B3을 양자화할 때에 잘라 버린 값(양자화 오차)은 0.6이다.
A4는 D4의 0.2배를 산출하여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A4 = [D4 × 0.2] = [4 × 0.2] = [0.8] = 0
B4는 D4로부터 A4를 감산하여 그 결과에 보정 변수 F(δ)를 승산하고, 또한 B3에 있어서 잘라 버린 값을 가산하여 그를 양자화함으로써 구한다.
B4 = [(D4 - A4) × F(δ) + 0.6]
= [(4 - 0) × 1.2 + 0.6] = [5.4] = 5
이 B4를 양자화할 때에 잘라 버린 값(양자화 오차)은 0.4이다.
그 후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 밖이 되므로, 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단부에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SH)을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제2 기 록 헤드(12)에 화상 데이터를 전부 분배하게 된다. 즉,
A5 = 0, B5 = D5 = 3
A6 = 0, B6 = D6 = 1
A7 = 0, B7 = D7 = 2
A8 = 0, B8 = D8 = 3
이 된다.
다음에, 도12는 복수의 기록 헤드와 보정 변수 기억 수단을 유닛화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기록 헤드 유닛(25)은 기판 상에 상기 제1 기록 헤드(11)와, 상기 제2 기록 헤드(12)와, 이들 제1, 제2 기록 헤드(11, 12)에 각각 첨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기록 헤드(11, 12)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24)과,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을 실장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의 단부에는 상기 제1 기록 헤드(11) 및 상기 제1 기록 헤드(11)에 첨가 설치된 검출 수단(24)과 신호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단자(26a)와, 상기 제2 기록 헤드(12) 및 상기 제2 기록 헤드(12)에 첨가 설치된 검출 수단(24)과 신호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단자(26b)와,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5)과 신호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단자(26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검출 수단(24)은 구체적으로는 변형 검출 센서,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전원 투입을 검출하는 전원 투입 검출 센서, 부착 위치가 조정된 것을 검출하는 부착 위치 검출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위치 검출 센서는, 복수의 기록 헤드(11, 12) 내의 적어도 1개의 고정 위치가 조정되었을 때에, 그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상기 전원 투입 검출 센서는 기록 헤드(11, 12)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전원 투입 검출 센서에 의해 전원이 투입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7)이 지시되어 위상차(δ)를 헤드 위치 검지 수단(6)에 의해 새롭게 구해 고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원 투입 검출 센서에 의해 제조시를 포함시켜 전회 위상차(δ)를 검출하고 나서의 누적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위상차(δ)를 구해 고치도록 해도 좋거나, 혹은 제조시를 포함시켜 전회 위상차(δ)를 검출하고 나서의 누적 부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위상차(δ)를 구해 고치도록 해도 상관없다.
상기 온도 센서는 기록 헤드(11, 12)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열팽창(소정의 고온인 경우) 또는 열수축(소정의 저온인 경우)에 의해 위상차(δ)가 변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위상차(δ)를 구해 고치게 되어 있다. 혹은, 온도 변화가 급격한지 여부, 즉 기록 헤드(11, 12)의 온도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온도 이상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변화한 경우에 위상차(δ)를 구해 고치도록 해도 상관없다.
상기 변형 검출 센서는 상기 기록 헤드(11, 12)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소정치 이상의 변형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변형에 의해 위상차(δ)가 변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위상차(δ)를 구해 고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기록 헤드(11, 12)에 발생하고 있는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트랙 등에 의해 화상 기록 장치를 운반할 때의 진동을 검출하는 데 이용된다.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된 강한 진동을 받은 경우(예를 들어, 화상 기록 장치를 운반하고 있는 도중에, 트랙의 짐받이로부터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떨어뜨린 케이스 등)에는, 위상차(δ)가 변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위상차(δ)를 구해 고치게 되어 있다. 혹은, 검출된 가속도는 작아도, 장시간에 걸쳐 진동이 계속 가해지는 경우(예를 들어, 장시간을 걸쳐 화상 기록 장치를 트랙 등에 의해 운반하는 케이스 등), 즉 제조시를 포함시켜 전회 위상차(δ)를 검출하고 나서의 누적 가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위상차(δ)를 구해 고치도록 해도 된다.
또, 매일 오전 9시, 매주 월요일, 혹은 매월 1일 등과 같은 소정의 시각마다,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7)이 지시되어 위상차(δ)를 헤드 위치 검지 수단(6)에 의해 새롭게 구해 고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위상차(δ)가 새롭게 요청되었을 때에는, 새로운 위상차(δ)에 따른 보정 변수 F(δ)가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에 기억하여 고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화상 기록 장치의 특성에 변화가 있던 경우라도, 그것을 검출하여 보정 변수를 적응적으로 갱신함으로써, 항상 양호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 헤드 유닛(25)은, 화상 기록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단자(26a, 26b, 26c)를 거쳐서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나, 검출 수단(24)에 의한 검출 결과의 전송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 헤드의 유닛화는, 라인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기록 헤드군을 단위로 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 인쇄를 행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각 색마다를 단위로 하여 유닛화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라인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기록 헤드끼리의 위상차(δ)에 대응하는 고유의 데이터인 보정 변수 F(δ)가 기록 헤드(11, 12)와 동일 기판 상에 실장된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에 미리 기억되어 있으므로, 기록 헤드를 교환할 때에는 기록 헤드 유닛(25)을 단위로 하여 교환함으로써, 동시에 보정 변수도 적합한 것으로 변경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기록 헤드 유닛(25)을 교환한 시점에서는 새롭게 위상차(δ)를 구해 고칠 필요가 없다.
계속해서, 도13은 라인 방향에 따라서 3개의 기록 헤드가 연속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에서는, 라인 방향에 따라서 2개의 기록 헤드를 연속 설치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물론 3개 이상의 기록 헤드를 연속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라인 방향으로 기록 소자(13)를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제1 기록 헤드(31), 제2 기록 헤드(32), 제3 기록 헤드(3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급송 방향의 위치를 서로 번갈아 조금만 변이된 상태에서,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제1 기록 헤드(31)와 제2 기록 헤드(32)는 중첩 영역(OH1), 제2 기록 헤드(32)와 제3 기록 헤드(33)는 중첩 영역(OH2)을 각각 갖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특히 높은 정밀도로 부착되지 않는 한 중첩 영역(OH1)의 길이와 중첩 영역(OH)의 길이는 다른 값이 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중첩 영역(OH1) 내로 설정하는 오버랩 영역(OW1)과, 중첩 영역(OH2) 내로 설정하는 오버랩 영역(OW2)이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3개 이상의 기록 헤드가 연속 설치되어 있고, 중첩 영역이 2개 이상 있는 경우라도,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13)의 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분배를 행할 때나,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에 의해 보정을 행할 때에 동일한 처리 회로나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략화하여 연산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은 입력 화상 메모리(1)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제1 기록 헤드(31)용과, 제2 기록 헤드(32)용과, 제3 기록 헤드(33)용의 3개로 배분하게 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은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부분 화상 데이터에 대해 보정을 행하게 된다. 이 때에, 제1 기록 헤드(31)와 제2 기록 헤드(32) 사이에 생기는 위상차를 δ1로 하고, 제2 기록 헤드(32)와 제3 기록 헤드(33) 사이에 생기는 위상차를 δ2라 하면, 일반적으로 δ1 ≠ δ2가 되므로 보정 변수 기억 수단(5)은, 각각의 위상차(δ1, δ2)에 따른 보정 변수 F(δ1), F(δ2)를 기억하게 된다.
또, 상술에서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2)의 출력을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에 입력하여 보정한다는 2 단계 처리의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들을 1개의 회로로 구성하여 동시에 처리하도록 해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다색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Y(옐로우) 등의 부분 화상의 이음매가 눈에 띄기 어려운 색 처리를 행하는 회로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4)을 생략하는 등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화상의 품질을 너무 떨어뜨리는 일 없이, 화상 기록 장치의 비용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1개의 기록 헤드에 대해,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의 수가 8개,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의 수가 4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좀더 많이 해도 좋거나, 혹은 더 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영역의 사이즈는, 기록 소자에 의해 1 도트로서 표현할 수 있는 계조수나, 기록 소자의 배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사이즈를 설정하면 좋다.
그리고, 상술에서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위치를 오버랩 영역 내에 있어서 라인마다 랜덤하게 변화시키고 있지만, 원래 이음매가 눈에 띄기 어려운 특성의 기록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위치를 고정하게 해도 좋고, 규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해도 상관없다.
덧붙여, 상술에서는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구할 때에 양자화 오차로서 생기는 소수 부분을, 동일 라인 내 근방의 화소로 건네 줌으로써 상기 양자화 오차에 기인하는 이음매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에 근접하 는 다른 라인에 있어서의 근방의 화소로 건네 주고, 양자화 오차에 기인하는 이음매의 농도 불균일을 감소시키도록 해도 좋고, 동일 라인과 다른 라인과의 양 근방의 화소에 양자화 오차를 분배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 헤드를 조합시킴으로써, 기록 장치의 기록 폭이 기록 용지 등이 되는 기록 매체의 최대 폭에 대응하도록 한 풀 라인식의 기록 헤드에 대해 특별히 유효하게 적용되지만, 단일의 기록 헤드 등에 의해 기록 폭이 작은 주주사를 행하는 동시에 기록 용지를 라인 방향으로 부주사시켜 이들을 조합시킴으로써 기록 매체의 최대 폭에 화상을 기록하는 직렬 스캔형의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밴드의 경계부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기록 장치의 구성으로서 기록 헤드의 토출 회복 수단이나 예비적인 보조 수단 등을 부가하도록 하면, 농도 특성을 보다 한층 안정화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기록 헤드의 캡핑 수단, 클리닝 수단, 가압 또는 흡인 수단, 전기 열 변환체 또는 가열 소자 또는 이러한 조합에 의해 가열을 행하는 예비 가열 수단 및 기록과는 다른 토출을 행하는 예비 토출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탑재되는 기록 헤드의 종류나 개수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단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1 세트만이 설치되었는지만 그 외에, 색이나 농도를 다르게 한 복수의 잉크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기록 장치의 기록 모드로서 흑색 등의 주류색에만 관한 기록 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색이나 농도의 잉크를 혼색하여 이용하는 일체적인 기록 헤드에 의한 풀 컬러의 기록 모드 또는 다른 색이나 농도의 잉크에 각 대응하는 복수의 기록 헤드를 조합시킴으로써 풀 컬러의 기록 모드, 중 적어도 한 쪽을 구비한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매우 유효해진다.
그리고, 잉크는 상온에서 액체로 되어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실온 이하의 온도로 고화하여 실온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에 연화 또는 액화하는 식의 잉크를 채용해도 된다. 이 때에는, 사용시에 잉크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통상은 고체의 상태가 되어 있어 가열에 의해 액화하는 식의 잉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의 증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록 신호에 따라서 토출되는 시점에서는 액형을 나타내지만, 기록 매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고화하기 시작하는 성질의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은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기록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기기에 있어서 화상 출력 단말로서 이용되는 프린터나, 스캐너 등과 조합하여 이용되는 복사 장치 혹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팩시밀리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접하는 기록 헤드끼리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의 배열의 위상차에 기인하는 이음매의 농도 불균일을 저감하여 품질이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 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기록 장치에 따르면, 인접하는 기록 헤드끼리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의 배열의 위상차에 기인하는 이음매의 농도 불균일을 저감하여 품질이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소의 집합이 되는 화상을 라인마다 기록하도록 이루어진 화상 기록 장치이며,
    복수의 기록 소자를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록 소자의 배열 영역이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중첩 부분을 갖도록, 상기 라인 방향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기록 헤드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들 복수의 기록 헤드로 각각 분배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과,
    이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에 의해,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의 양방으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분배되는 영역이며, 연속하는 1 이상의 기록 소자의 배열로 구성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상기 중첩 부분에 설정하는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과,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끼리에 상기 주기적인 배열의 어긋남인 위상차가 있을 때에 생길 수 있는,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에 의한 기록의 농도 특성과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기록 소자에 의한 기록의 농도 특성과의 상이를 보정하기 위한, 상기 위상차에 따른 보정 변수를 기억하는 보정 변수 기억 수단과,
    이 보정 변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변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관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을 구 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기록 헤드의 양방으로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분배되는 것을 허용하는 오버랩 영역을 상기 중첩 부분 중에 설정하고, 이 오버랩 영역 내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의 위치가 라인마다 상기 라인 방향에 다르게 설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헤드가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각 설정되는 상기 오버랩 영역을 상기 라인 방향으로, 모두 동일한 길이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수단은 동일 화소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분배비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을 구성하는 기록 소자의 배열의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화상 데이터의 분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 헤드는 교환할 때에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과 분리하는 일 없이 교환되도록,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과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되어 기록 헤드 유닛으로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를 상기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끼리의 위치 관계를 실측함으로써 구하는 헤드 위치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있어서의 기록 소자의 배열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을 발생시키는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과,
    상기 위상차를 이 테스트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테스트 패턴을 기초로 하여 기록된 화상의 상기 오버랩 영역에 포함되는 기록 소자에 의해 기록된 화소끼리의 위치 관계를 실측함으로써 구하는 헤드 위치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위상차를 구하는 타이밍을 지시하기 위한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변수 기억 수단은 이 헤드 위치 검지 지시 수단의 지시에 따라서 새롭게 위상차가 구해졌을 때에는, 새로운 위상차에 따른 보정 변수를 기억해 고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상기 복수의 기록 헤드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가 조정되었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전회의 타이밍이 있을 때에는 상기 전회의 타이밍, 전회의 타이밍이 없을 때에는 제조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부동작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전회의 타이밍이 있을 때에는 상기 전회의 타이밍, 전회의 타이밍이 없을 때에는 제조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동작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미리 설정된 시각마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상기 기록 헤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 변화되었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상기 기록 헤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록 헤드에 부착된 변형 검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은, 이 변형 검출 센서가 상기 기록 헤드의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변형을 검출하였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가속도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적어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록 헤드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은, 이 가속도 센서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하였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발생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록 헤드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은, 전회의 타이밍이 있을 때에는 상기 전회의 타이밍, 전회의 타이밍이 없을 때에는 제조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이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보정 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 분배 영역에 관한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때에 발생한 양자화 오차를, 상기 화소의 근방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때에 해소하도록 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KR1020047013737A 2002-03-28 2003-03-27 화상 기록 장치 KR100592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1938A JP2003285434A (ja) 2002-03-28 2002-03-28 画像記録装置
JPJP-P-2002-00091938 2002-03-28
PCT/JP2003/003849 WO2003082578A1 (en) 2002-03-28 2003-03-27 Image recor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294A KR20040099294A (ko) 2004-11-26
KR100592840B1 true KR100592840B1 (ko) 2006-06-28

Family

ID=2867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737A KR100592840B1 (ko) 2002-03-28 2003-03-27 화상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74374A1 (ko)
EP (1) EP1488926A4 (ko)
JP (1) JP2003285434A (ko)
KR (1) KR100592840B1 (ko)
CN (1) CN100391737C (ko)
TW (1) TWI256242B (ko)
WO (1) WO2003082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6272B2 (ja) * 2004-11-10 2011-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08870B2 (ja) * 2005-06-09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JP4632247B2 (ja) * 2005-07-14 2011-02-16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方法
JP5193422B2 (ja) * 2005-12-15 2013-05-08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の記録濃度調整方法
JP5013712B2 (ja) * 2005-12-28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213317B2 (ja) * 2006-08-22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205736B2 (ja) * 2006-10-10 2013-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
JP5004622B2 (ja) * 2007-03-17 2012-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着弾位置ずれ補正方法
JP5125666B2 (ja) * 2008-03-25 2013-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10105289A (ja) * 2008-10-30 2010-05-13 Seiko Epson Corp 流体噴射装置及び流体噴射方法
JP5365393B2 (ja) 2008-11-28 2013-12-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31855A (ja) * 2008-12-04 2010-06-17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149329A (ja) * 2008-12-24 2010-07-08 Seiko Epson Corp 流体噴射装置の製造方法、及び、流体噴射装置の補正値設定方法
JP5675072B2 (ja) 2009-08-20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62991A (ja) * 2009-09-18 2011-03-31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US8322811B2 (en) * 2009-12-17 2012-12-04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Multi-pass calibration in fixed printhead array printers
JP5511362B2 (ja) * 2009-12-22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生成装置及びデータ生成方法
JP5661366B2 (ja) * 2010-07-30 2015-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296825B2 (ja) * 2011-03-29 2013-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位置誤差の測定装置及び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61085B2 (ja) * 2011-03-29 2013-1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不良記録素子の検出装置及び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765254B (zh) * 2012-08-10 2014-11-05 李支斌 多喷头打印喷点的相位差电子较准系统
US9880795B2 (en) * 2012-12-04 2018-01-30 Canon Finetech Nisca, Inc. Record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that shift range of recording elements
DE102013003689A1 (de) * 2013-03-04 2014-09-0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aus Abschnitten zusammengesetzten Druckbildes auf einem Bedruckstoff mit zwei Tintenstrahl-Druckköpfen
JP6377003B2 (ja) 2015-03-26 2018-08-22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908324B1 (en) * 2017-02-27 2018-03-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with overlapping printheads
JP2024017125A (ja) * 2022-07-27 2024-02-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3728B2 (ja) * 1988-05-12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装置
US4977410A (en) * 1989-09-14 1990-12-11 Seiko Instruments Inc. Thermal line printer with staggered head segments and overlap compensation
JPH05183738A (ja) * 1992-01-07 1993-07-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725243B2 (ja) 1992-07-23 1998-03-11 長野木田工業株式会社 きのこの栽培方法とそれに用いるキャップ
CA2113960C (en) * 1993-01-29 2001-07-31 Kazuyoshi Takahashi Image supply apparatus, image out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herefor, and image forming system having these apparatuses
US5818492A (en) * 1994-05-12 1998-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graphic printing
US6247784B1 (en) * 1995-09-08 2001-06-19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cartridge replacement control
JPH09138472A (ja) * 1995-11-13 1997-05-27 Konica Corp 画像記録装置
JPH10272804A (ja) * 1997-03-28 1998-10-13 Minolta Co Ltd 光書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07948A (ja) * 1997-11-14 1999-08-03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JP4298836B2 (ja) * 1998-06-30 2009-07-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02429B2 (ja) * 1998-08-27 2000-10-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00190484A (ja) * 1998-12-24 2000-07-11 Toshiba Tec Corp ライン記録ヘッド
JP3384376B2 (ja) * 1999-02-10 2003-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ヘッドユニットのヘッド識別情報を用いた印刷時の記録位置ズレの調整
JP4019654B2 (ja) * 2000-05-29 2007-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55771B2 (en) * 2000-06-27 2003-12-02 Fuji Photo Film Co., Ltd. Head position detecting method, recording head,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8926A4 (en) 2009-09-16
TWI256242B (en) 2006-06-01
JP2003285434A (ja) 2003-10-07
TW200306740A (en) 2003-11-16
US20050174374A1 (en) 2005-08-11
CN1642740A (zh) 2005-07-20
EP1488926A1 (en) 2004-12-22
CN100391737C (zh) 2008-06-04
KR20040099294A (ko) 2004-11-26
WO2003082578A1 (en) 200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840B1 (ko) 화상 기록 장치
JP4590841B2 (ja) 画像形成装置
US8215743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recording program
JP4306214B2 (ja) プラテンギャップに応じた双方向印刷時の位置ズレ補正
US20020063873A1 (en) Dot recording method and dot recording apparatus
JP2001121687A (ja) 印刷ヘッドユニットのヘッド識別情報を用いた印刷時の記録位置ズレの調整
EP1452313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03291325A (ja) 画像記録装置
EP0876920B1 (en) Dot printing with partial double scanning of raster lines
US20110298853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01003930A1 (fr) Dispositif d&#39;impression, procede d&#39;impression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JP3651359B2 (ja) ノズルのずれと副走査送りのずれとに基づいて記録モードを選択して行う印刷
US20120243005A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3557915B2 (ja) 双方向印刷を行う印刷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印刷位置調整方法
JP3921965B2 (ja) インターレース記録モードを有するプリンタにおける紙送り誤差の補正
JP3921966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紙送り誤差の補正
JP4231122B2 (ja) 高密度インクジェットドットマトリクス印刷方法
JP624043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19659B2 (ja) 画像記録位置調整方法
JP3876654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紙送り誤差の補正
JP3829587B2 (ja) 同一色相のインクを吐出するノズルを同種のインクを吐出するノズルとして使用するドラフト印刷
JP2004216615A (ja) 印刷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6231161B1 (en) Dot recording for preventing adjacency of recording positions
JP3740918B2 (ja) 縦配列ヘッドを用いたカラー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491162B2 (ja) ドット記録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