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136B1 - 헤어커터의 진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헤어커터의 진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136B1
KR100586136B1 KR1020040067899A KR20040067899A KR100586136B1 KR 100586136 B1 KR100586136 B1 KR 100586136B1 KR 1020040067899 A KR1020040067899 A KR 1020040067899A KR 20040067899 A KR20040067899 A KR 20040067899A KR 100586136 B1 KR100586136 B1 KR 10058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main body
cutting height
height adjus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900A (ko
Inventor
나카쿠라마코토
오가와히토시
야부우치세이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with provision for shearing hair of preselected or vari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깍기 높이 조정용 콤(comb)의 진동을 방지하여 달각달각 소리의 발생을 없애어, 조작성을 양호하게 한다.
본체(1)의 일 단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빗형상의 고정 날(2) 및 가동 날(3)을 조합한 날 블럭(4)을 돌출하여 마련한다. 빗형상을 한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날 블럭(4)에 날 블럭(4)의 돌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감(끼워맞춤)한다. 이동방향에 대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을 수직으로 본체(1)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21)를 마련한다.

Description

헤어커터의 진동 방지구조{HAIR TRIMMER WITH RATTLE DAMPENING STRUCTUR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을 도시하고,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좌측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comb)을 분리한 상태의 헤어커터를 도시하고,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좌측면도, 도 2c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어커터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헤어커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회전 다이얼을 도시하고, 도 5a는 측면도, 도 5b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다이얼, 다이얼 가압판, 동작 스위치의 내장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에 탄성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본체에 탄성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8b는 단면도,
도 9a, 도 9b는 본 발명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분리한 상태의 헤어커터에 있어서의 회전 다이얼의 조작과 연결부재의 이동을 도시하고, 도 9a는 정면도, 도 9b는 좌측면도,
도 10a, 도 10b는 각각 회전 다이얼을 회전 조작했을 때의 끼워맞춤 기어와 랙부와의 끼워맞춤 위치의 변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이동하여 깍기 높이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계지부와 피계지부와의 계지 부분의 단면도,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이동하여 깍기 높이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13a, 도 13b는 본 발명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이동하여 깍기 높이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에 있어서 탄성부재가 수취부에 탄접(彈接)하는 부분을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14a, 도 14b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도시하고, 도 14a는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4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도시하고,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도 15a의 Y-Y선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의 X-X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회전 다이얼에 눈금이나 숫자 등의 조정단계 표시부를 마련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고정 날
3 : 가동 날 4 : 날 블록
5 : 깍기 높이 조정용 콤 6 : 연결부재
21 : 탄성부재 22a : 수납홈부
23 : 피 가이드 레일부 28 : 가이드 레일부
본 발명은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빗형상의 고정 날 및 가동 날에 의해 모발이나 수염의 컷트를 실행하는 헤어커터의 날 블럭에 빗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씌워서 깍기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있어서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헤어커터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의 구조로서 특허문헌 1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도시된 종래예는 본체의 일 단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빗형상의 고정 날 및 가동 날을 조합한 날 블럭을 돌출하여 마련하고, 빗형상을 한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본체의 날 블럭을 마련한 부분에 날 블럭의 돌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감하고, 이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의 후단부에 마련한 탄성 후크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피감된 통형상을 한 조정 소자의 선단부의 둘레방향에 마련한 환상의 홈에 계지하여 접속하고, 본체의 외면에 돌출한 돌기를 통형상의 조정 소자의 내주에 마련한 나선홈에 끼워넣고, 조정 소자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나선홈을 따라 조정 소자를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빗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날 블럭의 돌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빗부분으로부터 도입된 모발이나 수염을 빗형상의 고정 날에 도입하여 가동 날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깍기 높이로 모발이나 수염을 절단하도록 하고 있고, 이 경우, 조정 소자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깍기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예에 있어서는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이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피감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이 본체에 대하여 이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덜컹거려 달각달각 소리가 발생함과 동시에 조작성도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나선홈과 돌기부와의 끼워넣음 부분에 있어서도 덜컹거려 달각달각 소리가 발생하여 이 부분에서도 덜컹거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덜컹거림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본체에의 끼워맞춤을 빡빡하게 하거나, 나선홈과 돌기부와의 끼워맞춤을 빡빡하게 하면, 미끄럼운동 저항이 높아져서, 정확히 동작하지 않게 되고, 또한 이들을 관리하면서 양산하기 위해서는 생산 관리가 매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1-214388호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진동을 방지하여 달각달각 소리의 발생을 없애어,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고, 용이하게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헤어커터의 깎기 높이 조정기구는 본체의 일 단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빗형상의 고정 날 및 가동 날을 조합한 날 블럭을 돌출하여 마련하고, 빗형상을 한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날 블럭에 날 블럭의 돌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감하고, 이동방향에 대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수직으로 본체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본체의 날 블럭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본체에 대하여 조금 여유를 갖게 하여 엄밀한 치수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이 이동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덜컹거리는 것이 방지되어, 달각달각 소리의 발생이 없고, 또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엄밀한 치수 관리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대하여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하중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본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를 본체에 마련함으로써,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부재를 본체에 마련함과 동시에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측주벽의 일측면 부분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연결부재에 연결하고,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측주벽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의 연결부재와의 연결 부분과 반대측에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연결부재와의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어,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달각달각 소리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가이드 레일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본체에 피 가이드 레일부를 마련하고, 상기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마련한 가이드 레일부를 본체에 마련한 피 가이드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이드 레일부를 피 가이드 레일부에 가이드시키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이동이 가능하여 설정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탄성부재가 탄성 접촉되는 수취부를 마련하고, 해당 수취부의 일부를 본체에 마련한 수납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시에 수취부가 손에 접촉하여 그립감을 손상하지 않아,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헤어커터(A)는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에 걸쳐서 길게 된 대략 통형상을 한 본체(1)의 길이방향의 일 단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빗형상의 고정 날(2) 및 가동 날(3)을 조합한 날 블럭(4)을 돌출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1)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날 블럭(4)을 돌출하여 마련한 쪽의 일 단부를 위로 함과 동시에 타 단부를 밑으로 한 경우의 4측면 중 일측면에 해당 일측면과 평행(대략 평행도 포함됨)하게 회전 다이얼(7)을 마련하고, 또한 본체(1)의 상기 일측면의 회전 다이얼(7)을 배치한 부분의 외측에 본체(1)의 동작을 온오프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8)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일 단부의 날 블럭(4)을 돌출시킨 최선단부와 회전 다이얼(7) 및 동작 스위치(8)를 마련한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이 후술하는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이동 가능하게 피감하는 콤 피감부(14)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 다이얼(7), 동작 스위치(8)를 마련한 본체(1)의 일측면을 정면으로 정의한 경우, 도 2a,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 날 블럭(4)의 빗형상의 가동 날(3)이 위치하고, 배면측에 빗형상의 고정 날(2)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1)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날 블럭(4)측으로 벗어난 부분측은 좌우의 양 측 면간의 폭 치수가 작아진 폭협부(9)로 되어 있고, 이 폭이 좁아진 폭협소부(9)의 양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인 일측면(정면)에 회전 다이얼(7), 동작 스위치(8)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1)는 하우징(1a, 1b, 1c)을 조합하여 구성하고 있고, 본체(1)의 정면측으로 되는 하우징(1a)에는 회전 다이얼(7), 동작 스위치(8)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10)가 마련되어 있고, 오목부(10)의 중앙부에 환상 오목부(11)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10)의 환상 오목부(11)로부터 날 블럭(4)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가늘고 긴 구멍(10a)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하우징(1a)의 가늘고 긴 구멍(10a)의 배면측에 스위치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고, 스위치 기구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도시하지 않음)에 마련한 계합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가늘고 긴 구멍(10a)에 대향하여 있다. 오목부(10)의 중앙부의 환상 오목부(11)에 둘러싸인 부분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구멍(1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오목부(11)의 본체(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양측부 중 일측부에는 개구(12a)를 거쳐서 클릭 스프링 수납부(12)가 연통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에는 개구(13a)를 거쳐서 연결부재 수납부(13)가 연통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 수납부(13)는 또한 콤 피감부(14)의 정면측의 측면에 마련한 본체(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긴 홈(15)에 연통하고 있다.
도 4b와 같이 클릭 스프링 수납부(12)에 클릭 스프링(16)을 수납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연결부재 수납부(13)에 연결부재(6)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한다. 이 경우, 클릭 스프링 수납부(12)에 클릭 스프링(16)을 수납하여 설치함으로써, 개구 (12a)에 클릭 스프링(16)의 돌기부(16a)가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랙부(6a)와 랙부(6a)의 일 단부로부터 랙부(6a)와 평행한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한 가늘고 긴 돌출부(6b)와, 가늘고 긴 돌출부(6b)의 선단부에 가늘고 긴 돌출부(6b)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한 피계지부(被係止部)(6c)로 구성되어 있고, 가늘고 긴 돌출부(6b)는 상기 긴 홈(15)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피계지부(6c)는 긴 홈(15)의 개구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재(6)를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한 상태로 랙부(6a)의 유지를 하기 위해서 랙 덮개(33)를 설치한다.
회전 다이얼(7)은 도 5a,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외주에 손잡이용 돌기 또는 오목부를 마련한 원판형상의 다이얼부(7a)의 배면에 다이얼부(7a)보다 직경이 작은 배면측 돌기부(7b)를 일체로 돌출 설치하여 형성하고, 배면측 돌기부(7b)의 외주의 일부에 끼워맞춤 기어(7c)를 마련함과 동시에 외주의 다른 일부에 클릭 기어(7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7)에는 다이얼부(7a)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측 돌기부(7b)의 배면측에 관통하는 구멍부(7e)가 마련되어 있고, 이 구멍부(7e)는 정면측이 대경(大徑) 구멍부(7f), 배면측이 대경 구멍부(7f)보다 직경이 작은 소경(小徑) 구멍부(7g)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다이얼(7)의 표면에는 둘레방향에 눈금이나 숫자 등의 조정단계 표시부(35)를 마련한다.
상기 회전 다이얼(7)을 오목부(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지만, 이 경우 배면측 돌기부(7b)가 환상 오목부(11)에 끼워넣어지고, 클릭 기어(7d)가 클릭 스프링 (16)의 돌기부(16a)에 끼워맞춤함과 동시에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기어(7c)가 연결부재(6)의 랙부(6a)에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이 회전 다이얼(7)을 본체(1)에 내장한 상태로 다이얼 가압판(17)을 설치하여 회전 다이얼(7)이 본체(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이얼 가압판(17)은 배면측을 향하여 선단에 피계지부(17a)를 돌출 설치하고, 또한 한 쌍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용 피계지부(17b)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다이얼 가압판(17)의 표면부의 외주의 일부에 구멍(17c)을 구비한 돌기편(17d)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얼 가압판(17)을 다이얼부(7a)의 대경 구멍부(7f)에 끼워넣음과 동시에 피계지부(17a)를 본체(1)에 마련한 계지 구멍(18)에 계지함으로써, 다이얼 가압판(17)에 의해 회전 다이얼(7)을 회전은 할 수 있지만 본체(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이 상태로 돌기편(17d)이 다이얼부(7a)의 표면에 중첩된다.
동작 스위치(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에 삼각형상을 하고 있고, 표면에 손잡이용 돌기 또는 오목부를 마련하고, 배면측에 한 쌍의 계지각(係止脚)(30)과 조작용 돌기부(3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작 스위치(8)에는 긴 구멍형상의 창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의 동작 스위치(8)는 오목부(10)의 상기 회전 다이얼(7)의 외측에 도 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계지각(30)을 한 쌍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용 피계지부(17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하고, 또한 조작용 돌기부(31)를 오목부(10)에 마련한 가늘고 긴 구멍(10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음과 동시에 조작용 돌기부(31)를 가늘고 긴 구멍(10a)의 배면측의 스위치 기구의 조작부의 계합 구멍에 계합한다. 이에 의해, 동작 스위치(8)는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즉, 날 블럭(4)에 근접하는 방향,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동작 스위치(8)를 날 블럭(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어떠한 경우에도 긴 구멍형상의 창부(32)에 돌기편(17d)의 구멍(17c)이 대향하고 있고, 동작 스위치(8)의 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도 12a, 도 12b와 같이 회전 다이얼(7)의 표면의 둘레방향에 마련한 눈금이나 숫자 등의 조정단계 표시부(35)가 상기 구멍(l7c)을 거쳐서 긴 구멍형상의 창부(32)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1)의 일측면에 해당 측면과 평행하게 연결부재(6)와 연동한 회전 다이얼(7)을 배치함과 동시에 해당 본체(1)의 일측면의 회전 다이얼(7)을 배치한 부분의 외측에 동작 스위치(8)를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본체(1)의 동일 위치에 동작 스위치(8)와 회전 다이얼(7)을 중첩하여 배치하면,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동작 스위치(8), 회전 다이얼(7)을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서 본체(1)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본체(1)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회전 다이얼(7)의 외주부의 일부가 동작 스위치(8)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다이얼(7)의 일부가 동작 스위치(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동작 스위치(8)를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감에 따라 횡폭이 좁아지는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본 V자형상의 동작 스위치(8)의 횡폭이 좁은 쪽이 날 블럭(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시켜지고, 이 정면에서 본 V자형상의 동작 스위치(8)의 횡폭이 좁은 부분의 양측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7)의 일부가 동작 스위치(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동작 스위치(8)를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스위치 기구를 전환하여 본체(1)내에 내장한 모터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같은 구동 수단(19)을 온, 오프하여 날 블럭(4)의 가동 날(3)을 왕복 구동하거나, 또는 구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동작 스위치(8)를 날 블럭(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온으로 되고, 날 블럭(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오프로 된다).
또한, 회전 다이얼(7)을 도 9a, 도 9b의 화살표와 같이 회전 조작하면, 도 10a, 도 10b와 같이 끼워맞춤 기어(7c)와 연결부재(6)의 랙부(6a)가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6)가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부재(6)의 가늘고 긴 돌출부(6b)가 긴 홈(15)내를 슬라이드하여 가늘고 긴 돌출부(6b)의 선단부의 피계지부(6c)가 긴 홈(15)을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의 배면측으로 되는 하우징(1b)의 콤 피감부(14)에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홈(22)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22)의 홈바닥 부분에 내외에 관통하는 창부(20)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b)의 내부에는 도 7, 도 8a 및 8b와 같이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21)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탄성부 재(21)의 탄성 가압용 돌기부(21a)가 창부(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c)은 하우징(1b)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하우징(1b)에 설치되고, 하우징(1b)의 가이드 홈(22)의 일부(날 블럭(4)으로부터 분리된 쪽의 부분)을 피복하며, 가이드홈(22)의 일부와 하우징(1c)으로 수납홈부(22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체(1)의 콤 피감부(14)의 좌우 양측에는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른 피 가이드 레일부(23)가 마련되어 있다.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은 도 14a 및 14b,도 15a 내지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단부가 개구된 통형상을 하고 있고, 일 단부에 날 블럭(4)을 구비한 본체(1)의 콤 피감부(14)에 이동 가능하게 피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단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본체(1)의 콤 피감부(14)에 피감된 상태로,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측주벽중 동작 스위치(8)와 동일한 면으로 되는 측면부를 정면측의 측면부(5a)로 하면, 해당 정면측의 측면부(5a)와 대향하는 측면부가 배면측의 측면부(5b)로 되며, 정면측의 측면부(5a)와 배면측의 측면부(5b)의 양 단부간을 연속하는 측면부가 좌우의 측면부(5c)로 되고, 또한 개구부와 대향하는 면부가 선단면부(5d)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정면측의 측면부(5a)로부터 선단면부(5d)를 지나서 배면측의 측면부(5b)에 이르도록 복수열의 슬릿(25)이 마련되어 이 부분을 빗형상부(26)로 하고 있다.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의 정면측의 측면부(5a)의 내면에는 계지부(27)가 설치되어 있고,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본체(1)의 콤 피감부 (14)에 피감된 상태로 도 11a,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27)가 연결부재(6)의 피계지부(6c)에 계지된다. 또한, 좌우의 측면부(5c)의 내면부에는 가이드 레일부(28)가 마련되어 있고,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본체(1)의 콤 피감부(14)에 피감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부(28)가 콤 피감부(14)에 마련한 피 가이드 레일부(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넣어진다.
또한,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의 배면측의 측면부(5b)에는 평판형상을 한 수취부(29)가 마련되어 있고, 이 평판형상을 한 수취부(29)는 배면측의 측면부(5b)의 내면으로부터 개구단을 지나서 선단면부(5d)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본체(1)의 콤 피감부(14)에 피감한 상태로 상기 수취부(29)에 본체(1)의 창문(2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탄성부재(21)의 탄성 가압용 돌기부(21a)가 탄성 접촉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21)의 탄성 가압용 돌기부(21a)에 의한 수취부(29)에의 탄성 가압방향은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의 개념중에는 대략 수직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함)으로 되어 있고, 도 13a, 도 13b의 화살표와 같이 콤 피감부(14)에 대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이 슬라이드한 어떠한 상태에서도 탄성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이 본체(1)에 대하여 이동하기 쉽도록 본체(1)에 대하여 조금 여유를 갖게 한 치수로 하여도,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은 슬라이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부재(21)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이 콤 피감부(14)에 대하여 덜컹거리지 않아, 덜걱덜걱 소리의 발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탄성부재(21)에 의해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을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부분이,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과 본체(1)와의 연결 부분(즉,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계지부(27)가 본체(1)측에 마련한 연결부재(6)의 피계지부(6c)에 계지되어 있는 연결부분)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력이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과 본체(1)와의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고 있고, 해당 연결부분에 있어서 조금 여유를 갖게 하는 부재 치수로 하고 있어도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어,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덜걱덜걱 소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동방향에 대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을 수직으로 본체(1)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21)를 마련함에 있어서, 본체(1)측에 탄성부재(21)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4측면부중 일측면부에 탄성부재(21)를 마련하여 해당 탄성부재(21)를 본체(1)의 일측면부에 가압함으로써, 가이드 레일부(28)나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탄성부재(21)를 마련한 쪽과 반대측의 측면부를 깎이 높이 조정용 콤(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본체(1)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5)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헤어커터(A)는 이하와 같이 하여 사용한다.
즉, 본체(1)를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 다이얼(7)을 회전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을 날 블럭(4)의 돌출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베어냄 높이를 조정하고, 동 작 스위치(8)를 조작하여 가동 날(3)을 온하고,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의 빗형상부(26)간의 슬릿으로부터 도입한 모발이나 수염을 고정 날(2)과 가동 날(3)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깍기 높이로 모발이나 수염을 절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의 동일 위치에 동작 스위치(8)와 회전 다이얼(7)을 중첩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파지부인 본체(1)를 손으로 쥐고 모발이나 수염을 절단하는 조작을 함에 있어서, 본체(1)를 손으로 쥔 상태로 손을 바꾸지 않고서 동작 스위치(8)의 조작과 회전 다이얼(7)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본체(1)를 손으로 쥔 상태로 손을 바꾸지 않고서 동작 스위치(8)의 조작과 회전 다이얼(7)의 조작이 실행되어 조작성이 매우 양호해진다.
여기서,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1)의 길이방향의 일부를 양 측면간의 폭 치수가 작아진 폭협부(9)로 하고, 해당 폭이 좁아진 양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에 회전 다이얼(7), 동작 스위치(8)를 마련하기 때문에, 파지부인 본체(1)를 손으로 쥔 경우, 폭협부(9)에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본체(1)를 파지할 수 있고, 이 파지 상태인 채로 폭협부(9)에 위치하는 엄지 손가락 선단부에서 회전 다이얼(7)의 조작, 동작 스위치(8)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의해, 손을 바꾸지 않고서 실행하는 회전 다이얼(7)의 조작, 동작 스위치(8)의 조작을 보다 한층 더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체(1)를 손으로 쥔 상태로 동작 스위치(8)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본체(1)를 손으로 쥐고 손을 바꾸지 않고서 엄지 손가락만을 움직여서 동작 스위치(8)의 표면을 누르면서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온, 오프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고, 또한 본체(1)를 손으로 쥔 상태로 회전 다이얼(7)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본체(1)를 손으로 쥐고 손을 바꾸지 않고서 엄지 손가락만을 움직여서 회전 다이얼(7)의 동작 스위치(8)로부터 일부가 노출된 부분을 조작함으로써, 회전 다이얼(7)을 회전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을 이동하여 깍기 높이의 조정을 실행한다.
상기 회전 다이얼(7)의 조작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회전 다이얼(7)의 일부를 동작 스위치(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회전 다이얼(7)의 동작 스위치(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손가락으로 조작할 때에 동작 스위치(8)에 방해되는 일없이 한층 더 용이하게 회전 다이얼(7)의 조작을 실행하여, 조작성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이 경우, 또한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스위치(8)의 형상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감에 따라 횡폭이 좁아지는 V자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횡폭이 좁은 쪽을 날 블럭(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회전 다이얼(7)의 일부가 V자형상을 한 동작 스위치(8)의 횡폭이 좁아진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게 되고, 본체(1)를 손으로 쥐고 회전 다이얼(7)의 조작을 실행함에 있어서, 동작 스위치(8)에 방해되는 일없이 회전 다이얼(7)의 조작을 보다 한층 더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회전 다이얼(7)을 회전 조작하면 끼워맞춤 기어(7c)와 연결부재(6)의 랙부(6a)와의 끼워맞춤 위치가 변함으로써 연결부재(6)가 이동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이 단계적으로 이동하지만, 이 경우, 클릭 기어(7d)의 클릭 스프링(16)의 돌기부(16a)에의 끼워맞춤 위치가 단계적으로 바뀌어가고, 이에 의해, 깍기 높이 조정용 콤(5)이 단계적으로 이동할 때에, 각 단에 있어서 클릭 기어(7d)와 클 릭 스프링(16)의 돌기부(16a)가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각 단에 있어서의 위치 유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다이얼(7)을 회전 조작하여 위치 조정을 위해 일 단씩 이동할 때에 클릭감이나 클릭음이 얻어져서 조작성 양호하게 깍기 높이 조정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이 경우, 깍기 높이의 각 조정단계에 대응하여 각 깍기 높이의 단계 표시를 실행하기 위한 눈금이나 숫자와의 조정단계 표시부(35)가 도 12a, 도 12b와 같이 창부(32)에 표시되어, 깍기 높이의 조정단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형상을 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본체의 날 블럭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본체에 대하여 조금 여유를 갖게 하여 엄밀한 치수 관리를 실행하지 않더라도,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이 이동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덜컹거림이 방지되어, 덜걱덜걱 소리의 발생이 없고, 또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엄밀한 치수 관리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양산할 때의 생산 관리가 용이해진다.

Claims (5)

  1. 본체의 일 단부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빗형상의 고정 날 및 가동 날을 조합한 날 블럭을 돌출하여 마련하고, 빗형상을 한 통형상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을 날 블럭에 날 블럭의 돌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감하고, 이동방향에 대하여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수직으로 본체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대하여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하중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본체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부재를 본체에 마련함과 동시에 통형상을 한 깍이 높이 조정용 콤의 측주벽의 일측면 부분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을 연결부재에 연결하고,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측주벽의 깎기 높이 조정용 콤의 연결부재와의 연결 부분과 반대측에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가이드 레일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본체에 피 가이드 레일부를 마련하고, 상기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마련한 가이드 레일부를 본체에 마련한 피 가이드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깍기 높이 조정용 콤에 탄성부재가 탄성 접촉되는 수취부를 마련하고, 해당 수취부의 일부를 본체에 마련한 수납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의 콤 진동 방지구조.
KR1020040067899A 2003-08-29 2004-08-27 헤어커터의 진동 방지구조 KR100586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7759A JP4046052B2 (ja) 2003-08-29 2003-08-29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JPJP-P-2003-00307759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900A KR20050021900A (ko) 2005-03-07
KR100586136B1 true KR100586136B1 (ko) 2006-06-07

Family

ID=3410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99A KR100586136B1 (ko) 2003-08-29 2004-08-27 헤어커터의 진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67127B2 (ko)
EP (1) EP1510304B1 (ko)
JP (1) JP4046052B2 (ko)
KR (1) KR100586136B1 (ko)
CN (2) CN2730581Y (ko)
AT (1) ATE540787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9321A1 (en) * 2003-02-21 2005-11-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erating assembly and device including such an operating assembly
JP4046052B2 (ja) * 2003-08-29 2008-02-13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EP1904277B1 (en) * 2005-06-17 2014-07-16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utting device with hair length indicator means
JP4837977B2 (ja) * 2005-10-28 2011-12-1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ダイヤル構造
JP4501853B2 (ja) * 2005-12-20 2010-07-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ッター
US20070213742A1 (en) * 2006-03-08 2007-09-13 Callahan Mark J Surgical hair trimmer
ITMI20070304A1 (it) * 2007-02-16 2008-08-17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Macchinetta ad azionamento manuale per tagliare i capelli.
US20080216324A1 (en) * 2007-03-08 2008-09-11 Mark Tauer Surgical hair trimmer
US20080289192A1 (en) * 2007-05-22 2008-11-27 Gino Martelli Biased comb attachment
US20080282550A1 (en) * 2008-06-30 2008-11-20 Andis Company Blade assembly
EP2332700A1 (en) * 2009-12-14 2011-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for trimming hair
EP2332701A1 (en) * 2009-12-14 2011-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comprising rotatable member
US8844142B2 (en) * 2011-03-18 2014-09-30 Spectrum Brands, Inc. Adjustable comb assembly for hair cutting appliance
EP3461603A1 (en) * 2017-09-29 2019-04-03 Koninklijke Philips N.V. A hair cutting device
EP3466620A1 (en) 2017-10-04 2019-04-10 Koninklijke Philips N.V. Comb for a hair clipper
TWI693993B (zh) * 2019-05-15 2020-05-21 鉦峰工業股份有限公司 應用於電動毛髮剪之交錯多層式修剪頭
IT201900011250A1 (it) * 2019-07-09 2021-01-09 Gamma Piu S R L Tagliacapelli elettrico
USD981043S1 (en) 2022-12-12 2023-03-14 E. Mishan & Sons, Inc. Shaver
CN116117876B (zh) * 2023-01-16 2023-08-18 浙江安达电器有限公司 一种电动理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189A (en) 1985-08-17 1987-06-02 Braun Aktiengesellschaft Hair cutting apparatus, in particular electric hair cutting apparatus
US4776095A (en) 1985-11-14 1988-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clipper
JPH11309281A (ja) 1999-03-26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カッタ―
EP1510304A1 (en) 2003-08-29 2005-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trimmer with rattle dampen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2969A (en) * 1976-09-28 1978-04-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 hair clipper
JPS60108074A (ja) 1983-11-17 1985-06-13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ツタのアタツチメント
US5050305A (en) * 1985-09-13 1991-09-24 Remington Products, Inc. Hair trimmer with comb attachment
NL8800132A (nl) 1988-01-21 1989-08-16 Philips Nv Haarknipapparaat.
JP3017508B2 (ja) * 1989-12-25 2000-03-13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ッター
DE4003511C1 (ko) * 1990-02-06 1991-06-20 Braun Ag, 6000 Frankfurt, De
US5604985A (en) * 1994-08-25 1997-02-25 Andis Company Hair trimmer with movable comb and latch
DE19521299C1 (de) * 1995-06-12 1996-03-21 Braun Ag Trockenrasierapparat mit schwenkbar gelagertem Langhaarschneider
CN1090075C (zh) * 1996-12-13 2002-09-0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包括剪发装置和装在剪发装置上并具有两个弹簧加载的梳具部分的梳具的剪发系统
US6243955B1 (en) * 1999-04-16 2001-06-12 Anthony Glen Forbers Hair clipper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US6578269B2 (en) * 2000-12-19 2003-06-17 Remington Corporation, L.L.C. Movable comb advancing system for hair trimmers
US6742262B2 (en) * 2001-04-09 2004-06-01 Conair Corporation Detachable and adjustable blade assembly
US6968623B2 (en) * 2002-06-21 2005-11-29 Andis Company Hair trimmer with adjustable comb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189A (en) 1985-08-17 1987-06-02 Braun Aktiengesellschaft Hair cutting apparatus, in particular electric hair cutting apparatus
US4776095A (en) 1985-11-14 1988-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clipper
JPH11309281A (ja) 1999-03-26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カッタ―
EP1510304A1 (en) 2003-08-29 2005-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trimmer with rattle dampening structure
US20050044719A1 (en) 2003-08-29 2005-03-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trimmer with rattle dampening structure
JP2005073933A (ja) 2003-08-29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73933A (ja) 2005-03-24
JP4046052B2 (ja) 2008-02-13
EP1510304A1 (en) 2005-03-02
US20050044719A1 (en) 2005-03-03
EP1510304B1 (en) 2012-01-11
KR20050021900A (ko) 2005-03-07
CN1295061C (zh) 2007-01-17
ATE540787T1 (de) 2012-01-15
US7367127B2 (en) 2008-05-06
CN1590042A (zh) 2005-03-09
CN2730581Y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136B1 (ko) 헤어커터의 진동 방지구조
KR100624291B1 (ko) 헤어 커터의 깎기 높이 조정 기구
RU2737101C2 (ru) Механизм регулировки длины для машинки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KR100352838B1 (ko) 면도기
JP4103873B2 (ja)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JP4747904B2 (ja) シェーバー
US20070227007A1 (en) Electric shaver
JP6122210B2 (ja) 脱毛器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脱毛器
JP2012065999A (ja) カッターナイフ
EP2158066B1 (en) An electric apparatus and a shaving apparatus
JP4672440B2 (ja) 刃物付き電動工具
JPH05317537A (ja) 電気バリカンの刈り高さ調整装置
KR0135457B1 (ko) 헤어 커터
JP3937941B2 (ja) 電気かみそり
JP2826177B2 (ja) ヘアカッター
JP6242445B2 (ja) 電動工具
JPS5927262Y2 (ja) 電気かみそり
JPH0310581Y2 (ko)
JPS6037752B2 (ja) ヘアカツタ−のスライドスイツチ
JPH03109062A (ja) 医療用ステープラー
JPH06296771A (ja) 電気かみそり
JP2004016812A (ja) 電気かみそりの可動ヘッド保持構造
JPS59135089A (ja) 電気かみそり
KR19990015914U (ko) 스풀축 클러치 작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