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977B1 -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977B1
KR100582977B1 KR1020030030860A KR20030030860A KR100582977B1 KR 100582977 B1 KR100582977 B1 KR 100582977B1 KR 1020030030860 A KR1020030030860 A KR 1020030030860A KR 20030030860 A KR20030030860 A KR 20030030860A KR 100582977 B1 KR100582977 B1 KR 10058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diode chip
camera
led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880A (ko
Inventor
기따노마사하루
나까무라사다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에서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측의 면에 RGB 3색 LED가 배치되고, 카메라용 플래시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RGB 3색 LED의 지향각이 카메라의 화각(畵角)보다도 넓은 것이 사용되고, 또한 RGB 3색 LED의 조도가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RGB 3색 LED의 발광부 전방에 렌즈가 배치되어 있다. RGB 3색 LED는 착신 램프로도 겸용된다.
휴대 전화기, 발광 다이오드, 카메라, 화각

Description

휴대 전화기{MOBILE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를 구성하는 RGB 3색 LED의 전방에 부착된 지향 특성 조정 렌즈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를 구성하는 RGB 3색 LED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RGB 3색 LED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RGB 3색 LED의 일 접속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RGB 3색 LED의 다른 접속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부
10 : 카메라
11 : LED
12 : 카메라 렌즈
13 : 지향 특성 조정 렌즈
14 : 안테나
21 : 기판
22a : 적색 LED칩
22b : 제1 프레임
22c : 제4 프레임
22d : 제1 Au선(금선)
22e : 제1 단자
22f : 제4 단자
23a : 녹색 LED칩
23b : 제2 프레임
23c : 제5 프레임
23d : 제2 Au선
23e : 제2 단자
23f : 제5 단자
24a : 청색 LED칩
24b : 제3 프레임
24c : 제6 프레임
24d : 제3 Au선
24e : 제3 단자
24f : 제5 단자
25 : 밀봉 수지부
본 발명은 착신 램프와 카메라와 카메라용 플래시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램프 및 카메라용 플래시로서 발광 다이오드(이하, 단순히 「LED」라 함)가 사용되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일례로서는, J-PHONE(제이폰 주식회사의 약어)용 주식회사 도시바제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가 있고, 이 휴대 전화기에는 플래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휴대 전화기 본체에 설치된 헤드폰 접속 부분에 플래시를 외부 부착하는 등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예로서는, cdmaOne(DDI 셀룰러 그룹과 IDO가 제공하는 디지털 휴대 전화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휴대 전화기가 있고, 이 휴대 전화기용 디지털 카메라로서 교세라 주식회사제의 디지털 카메라가 있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 전화기의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휴대 전화기 본체에 카메라나 플래시가 내장된 것은 아니다.
상기 J-PHONE용 주식회사 도시바제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 장착되는 플래시도 cdmaOne에 의해 제공된 휴대 전화기용 디지털 카메라의 플래시도 LED에 의해 실현된 것은 아니다.
또한, LED를 발광 소자로서 이용한 장치의 일례로서 특개평 11-11295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촬영 장치 및 화상 통신 장치가 있다. 이 촬영 장치 및 화상 통신 장치에서는 LED의 전방에 볼록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LED의 지향각을 좁혀서 피사체가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술한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는 플래시를 외부 부착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카메라와 플래시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와는 별도로 플래시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갖고 다녀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1-11295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촬영 장치 및 화상 통신 장치에서의 렌즈의 사용 방법으로는 렌즈에 의해 LED의 지향각을 좁히기 때문에 카메라의 화각 내 모두에 LED로부터의 광을 미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나,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의 LED의 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카메라용 플래시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LED를 더 구비하여, 그 LED를 카메라용 플래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와 카메라용 플래시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와는 별도로 플래시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갖고 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LED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서의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와 카메라용 플래시가 항상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LED로부터 출력된 광을 항상 카메라의 화각 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를 착신 램프로서 겸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 램프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LED가 적색 LED칩과 녹색 LED칩과 청색 LED칩을 갖는 RGB 3색 LED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컬러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 LED칩과 상기 녹색 LED칩과 상기 청색 LED칩이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로서 그 지향각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도 넓은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플래시 시에 LED로부터 출력된 광을 카메라의 화각 내에 확실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의 조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상기 LED의 발광부 전방에 렌즈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화상 취득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착신 시에는 상기 적색 LED칩, 상기 녹색 LED칩 및 상기 청색 LED칩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발광함으로써 상기 RGB 3색 LED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적색 LED칩, 상기 녹색 LED 칩 및 상기 청색 LED칩이 전부 발광함으로써 상기 RGB 3색 LED가 점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선택적 조합에 의한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점등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 LED칩, 상기 녹색 LED칩 및 상기 청색 LED칩의 일단부가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한편, 상기 적색 LED칩, 상기 녹색 LED칩 및 상기 청색 LED칩의 타단부와 접지 전위 사이에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스위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착신 시에는 각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LED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스위치 전부가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LED가 점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점등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시에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과 접지 전위 사이에, 상기 적색 LED칩, 상기 녹색 LED칩, 상기 청색 LED칩 및 3색 동시 제어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되는 한편, 각 칩에 병렬로 각각 색별 제어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으며, 착신 시에는 상기 3색 동시 제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기 색별 제어 스위치 각각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LED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3색 동시 제어 스위치만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LED가 점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점등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시에 상기 RGB 3색 LED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을 착신 시에 상기 RGB 3색 LED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래시 시에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어, 화상 취득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휴대 전화기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로, 표시부(1)와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 1에서는, 폴드 타입이 나타나 있고, 표시부(1)의 배면측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표시부(1)에는 안테나(14)를 비롯하여, 도시하지 않은 액정 표시 화면이나 스피커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는 사용자가 각종 설정, 메일 작성 및 다이얼 등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숫자 키와 기호 키와 기능 키로 이루어지는 조작 키, 및 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표시부(1)와 조작부는 힌지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표시부(1)의 액정 표시 화면과 조작부의 조작 키가 대향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1)의 배면에는 착신 램프 및 카메라용 플래시로서의 LED인 RGB 3색 LED(11)와, 카메라 렌즈(12)가 배치되어 있다. 즉, 휴대 전화기의 동일한 면(이 경우에는 표시부(1)의 배면)에 RGB 3색 LED(11)와 카메라 렌즈(1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RGB 3색 LED(11)로부터 방출된 광의 조사 방향은 항상 카메라 렌즈(12)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카메라 렌즈(12) 바로 아래의 표시부(1) 내부에 카메라(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10)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를 내장한 소형 패키지의 카메라 모듈이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CCD(Charge Coupled Device)를 내장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LED칩은 두께가 0.25㎜, 외형 치수가 0.3×0.3㎜ 정도로 작기 때문에 휴대 전화의 본체에 내장할 수 있다. 또, 「RGB」는 광의 3원색을 나타내고 있고, 「R」은 「적(Red)」, 「G」는 「녹(Green)」, 「B」는 「청(Blue)」의 약칭으로, RGB 3색 LED(11)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각각 출력 가능한 3개의 광원을 구비한 LED이다.
또한, 카메라 렌즈(12)와 RGB 3색 LED(1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RGB 3색 LED(11)로서 그 지향각이 카메라 렌즈(12)의 화각보다도 넓은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카메라 렌즈(12)의 화각이 약 60°인 경우에, RGB 3색 LED(11)의 지향각이 120°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RGB 3색 LED(11)의 조도는 조사 영역의 중앙부에 비하여 주변부가 어두워지게 되기 때문에, 지향각이 넓은 RGB 3색 LED(11)를 사용함으로써 촬영 범위를 확실하게 조사하고 있다.
여기서, 지향각이란, 상대 발광 광도가 LED 광도의 피크치의 방향(광축)으로부터 광도가 소정의 값이 되는 방향과 이루는 각도로, 소정의 값이 피크치에 대하여 50%로 되어 있는 곳의 광축으로부터 이루는 각은 특히 지향 반값각이라고도 불린다. 지향 반값각이 작을수록 지향성이 예리하게 된다. 또한, 화각이란,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의 차이에 따라 변하는, 카메라에 취득되는 범위로,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가 작을수록 화각이 커지고, 카메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동일한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이미지 센서의 사이즈가 큰 쪽이 화각이 커진다.
RGB 3색 LED(11) 조도의 불균일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RGB 3색 LED(11)는 LED칩을 몰드하는 수지의 형상을 조정하거나 혹은 RGB 3색 LED(11)와는 별도로 전면에 지향 특성 조정 렌즈(13)를 부착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를 구성하는 RGB 3색 LED(11) 전면에 부착된 지향 특성 조정 렌즈(13)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RGB 3색 LED(11) 전면에 부착된 지향 특성 조정 렌즈(13)는 RGB 3색 LED(11)의 조사 영역의 주변부의 조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 통상의 구면 렌즈와 비교하여 렌즈 중앙부보다 렌즈 주변부의 두께가 두꺼운 형상의 비구면 렌즈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를 구성하는 RGB 3색 LED(11)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RGB 3색 LED(11)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RGB 3색 LED(11)는 기판(21) 표면의 중앙부에 배치된 적색 LED칩(22a)과, 이 적색 LED칩(22a)의 우측 하측에 배치된 녹색 LED칩(23a)과, 적색 LED칩(22a)의 좌측 아래측에 배치된 청색 LED칩(24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은 제1 프레임(22b), 제2 프레임(23b) 및 제3 프레임(24b)을 통하여 각각 기판(21)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색 LED칩(22a)은 제1 프레임(22b)에 다이본딩되어 있고, 녹색 LED칩(23a)은 제2 프레임(23b)에 다이본딩되어 있고, 청색 LED칩(24a)은 제3 프레임(24b)에 다이본딩되어 있다. 또한, 적색 LED칩(22a)은 제4 프레임(22c)에 제1 Au선(금선)(22d)을 통하여 와이어본딩되어 있으며, 녹색 LED칩(23a)은 제5 프레임(23c)에 제2 Au선(23d)을 통하여 와이어본딩되어 있고, 청색 LED칩(24a)은 제6 프레임(24c)에 제3 Au선(24d)을 통하여 와이어본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기판(21),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청색 LED칩(24a), 제1 프레임(22b), 제2 프레임(23b), 제3 프레임(24b), 제4 프레임(22c), 제5 프레임(23c) 및 제6 프레임(24c)은 광 투과성 수지로 형성된 밀봉 수지부(25)에 의해 패키징되어 있다. 이 밀봉 수지부(25) 측면에는 제1 프레임(2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 단자(22e)와, 제2 프레임(2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2 단자(23e)와, 제3 프레임(2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3 단자(24e)와, 제4 프레임(2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4 단자(22f)와, 제5 프레임(2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5 단자(23f)와, 제6 프레임(24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6 단자(24f)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밀봉 수지부(25) 내부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밀봉 수지부(25) 중 영역 A로 나타내는 부분을 절취하여, 기판(21),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청색 LED칩(24a), 제1 프레임(22b), 제2 프레임(23b), 제3 프레임(24b), 제4 프레임(22c), 제5 프레임(23c) 및 제6 프레임(24c)을 도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LED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을 구비한 RGB 3색 LED(11)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이 단색(흑백이나 세피아색 등)의 것 이어도 된다. 이 경우,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LED의 색은 백색이나 세피아색일 필요는 없고, 단순히 반사 부위의 형상이나 색에 따라 반사광의 강도에 차가 생기면 되기 때문에, 광원은 예를 들면 적색이거나 황색이어도 된다. 또한, 이 반사광은 카메라로 검출되고, 카메라는 검출한 반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모니터측에 출력하고, 모니터 상에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흑백 또는 세피아색 등의 화상이 표시된다.
계속해서, RGB 3색 LED용 드라이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RGB 3색 LED(11) 내의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을 병렬 접속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RGB 3색 LED(11)의 일 접속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의 애노드 단자가 도시하지 않은 전원 단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캐소드 단자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적색용 드라이버(30), 녹색용 드라이버(40) 및 청색용 드라이버(50)가 각각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적색용 드라이버(30)는 제1 저항(31)과 제2 저항(32)과 제1 스위치(33)와 제2 스위치(3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저항(31) 및 제2 저항(32)의 일단부가 적색 LED칩(22a)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저항(31)의 타단부가 제1 스위치(33)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저항(32)의 타단부가 제2 스위치(34)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스위치(33) 및 제2 스위치(34)의 타단부가 접지(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녹색용 드라이버(40)는 제3 저항(41)과 제4 저항(42)과 제3 스위치(43)와 제4 스위치(4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3 저항(41) 및 제4 저항(42)의 일단부가 녹색 LED칩(23a)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저항(41)의 타단부가 제3 스위치(43)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4 저항(42)의 타단부가 제4 스위치(44)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스위치(43) 및 제4 스위치(44)의 타단부가 접지(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청색용 드라이버(50)는 제5 저항(51)과 제6 저항(52)과 제5 스위치(53)와 제6 스위치(5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5 저항(51) 및 제6 저항(52)의 일단부가 청색 LED칩(24a)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제5 저항(51)의 타단부가 제5 스위치(53)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6 저항(52)의 타단부가 제6 스위치(54)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5 스위치(53) 및 제6 스위치(54)의 타단부가 접지(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면 중의 화살표 D1∼D6은 순방향 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적색용 드라이버(30), 녹색용 드라이버(40) 및 청색용 드라이버(50)에 있어서, 적색용 드라이버(30), 녹색용 드라이버(40) 및 청색용 드라이버(50) 전체에 전압을 5V 인가하고,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 각각을, 플래시 시에는 40㎃의 순방향 전류를 흘려 점등시키고, 착신 시에는 20㎃의 순방향 전류를 흘려 점등시키도록, RGB 3색 LED(11)을 구동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순방향 전류가 20㎃일 때의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 각각의 순방향 전압은 적색 LED칩(22a)이 1.9V이고,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이 3.85V이기 때문에, 제1 저항(31) 및 제2 저항(32)에는 3.1V의 전압이 걸리며, 제3 저항(41), 제4 저항(42), 제5 저항(51) 및 제6 저항(52)에는 1.15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 저항(31) 및 제2 저항(32)의 저항값을 155Ω(=3.1÷0.02)으로 하고, 제3 저항(41), 제4 저항(42), 제5 저항(51) 및 제6 저항(52)의 저항값을 57.5Ω(=1.15÷0.02)으로 한다.
또한, 제1 스위치(33), 제2 스위치(34), 제3 스위치(43), 제4 스위치(44), 제5 스위치(53) 및 제6 스위치(54)는 RGB 3색 LED(11)를 플래시로서 사용할 때에는 전부 온 상태로 전환하고, RGB 3색 LED(11)를 착신 램프로서 사용할 때에는 온/오프 상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여러가지의 패턴 및 색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 실제의 LED의 순방향 전류-순방향 전압 특성에서는 순방향 전류의 증가에 따라 LED칩의 순방향 전압은 조금씩 높아지게 되는 것이 통상으로, 그에 따라 상술한 회로 구성에서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낮아진다. 또한, 이 특성은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청색 LED칩(24a) 각각에서도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제1 저항(31) 및 제2 저항(32) 양쪽에, 순방향 전류가 20㎃일 때의 순방향 전압을 기초로 산출한 저항값을 설정한 경우, 제1 스위치(33)가 온 상태일 때에 제2 스위치(34)도 온 상태로 하면, 적색 LED칩(22a)을 흐르는 전류는 20㎃보다 증대한다. 이 때문에, 순방향 전압이 1.9V보다 높아지고, 제1 저항(31) 및 제2 저항(3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반대로 3.1V로부터 낮아지기 때문에, 순방향 전류 D1은 20㎃보다는 작아진다. 또한, 순방향 전류 D2는 순방향 전류 D1과 같기 때문에, 이들을 합한 전류는 20㎃의 2배인 40㎃ 보다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래는 이러한 순방향 전류의 증가에 따른 순방향 전압의 상승도 고려한 뒤에, 제2 저항(32)의 저항값을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순방향 전류의 범위(20∼60㎃)에서는 각 LED칩의 순방향 전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면, 제1 스위치(33), 제2 스위치(34), 제3 스위치(43), 제4 스위치(44), 제5 스위치(53) 및 제6 스위치(54)를 전부 온 상태로 전환하면, 순방향 전류 D1∼D6은 각각 20㎃가 되기 때문에, 적색 LED칩(22a)에는 순방향 전류 D1과 순방향 전류 D2를 합한 40㎃의 전류가 흘러서 점등하고, 녹색 LED칩(23a)에는 순방향 전류 D3과 순방향 전류 D4를 합한 40㎃의 전류가 흘러서 점등하고, 청색 LED칩(24a)에는 순방향 전류 D5와 순방향 전류 D6을 합한 40㎃의 전류가 흘러 점등한다. 이에 의해, RGB 3색 LED(11) 전체적으로는 백색으로 점등한다.
또한, 제1 스위치(33)와 제3 스위치(43)를 온 상태로 하고 다른 스위치를 전부 오프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적색 LED칩(22a)에는 순방향 전류 D1에 의해 20㎃의 전류가 흘러 점등하고, 녹색 LED칩(23a)에는 순방향 전류 D3에 의해 20㎃의 전류가 흘러 점등하지만, 청색 LED칩(24a)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점등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RGB 3색 LED(11) 전체적으로는 황색으로 발광한다. 혹은, 제1 스위치(33)와 제5 스위치(53)를 온 상태로 하고 다른 스위치를 전부 오프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적색 LED칩(22a)에는 순방향 전류 D1에 의해 20㎃의 전류가 흘러 점등하고, 녹색 LED칩(23a)은 점등하지 않고, 청색 LED칩(24a)에는 순방향 전류 D5에 의해 20㎃의 전류가 흘러 점등한다. 이에 의해, RGB 3색 LED(11) 전체적으로는 자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 각각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바꾸기 위해서는 제1 저항(31), 제2 저항(32), 제3 저항(41), 제4 저항(42), 제5 저항(51) 및 제6 저항(52) 각각의 저항값을 변경하면 된다. 저항값을 변경함으로써,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 점등 시의 색 좌표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제1 저항(31) 및 제2 저항(32)의 저항값은 같고, 제3 저항(41), 제4 저항(42), 제5 저항(51) 및 제6 저항(52)의 저항값도 전부 서로 같은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저항(32)의 저항값을 제1 저항(31)의 저항값보다 작게 변경하고, 제4 저항(42)의 저항값을 제3 저항(41)의 저항값보다 작게 변경하고, 제6 저항(52)의 저항값을 제5 저항(51)의 저항값보다 작게 변경하면, 플래시 시에 흐르는 전류를 착신 시에 흐르는 전류의 2배 이상의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저항(31)의 저항값은 155Ω 그대로 하고, 제2 저항(32)의 저항값을 155Ω의 1/2인 77.5Ω으로 변경하고, 제3 저항(41) 및 제5 저항(51)의 저항값은 57.5Ω 그대로 하고, 제4 저항(42) 및 제6 저항(52)의 저항값을 57.5Ω의 1/2인 28.75Ω으로 변경하면, 순방향 전류 D1, D3 및 D5는 20㎃ 그대로이지만, 순방향 전류 D2, D4 및 D6은 20㎃의 2배인 40㎃로 증가한다. 플래시 시에 흐르는 전류는, 적색 LED칩(22a)에서는 순방향 전류 D1과 순방향 전류 D2를 합한 것으로, 녹색 LED칩(23a)에서는 순방향 전류 D3과 순방향 전류 D4를 합한 것으로, 청색 LED칩(24a)에서는 순방향 전류 D5와 순방향 전류 D6을 합한 것으로, 각각 60㎃이다. 즉, 플래시 시에 흐르는 전류가 착신 시에 흐르는 전류의 3배로 증가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모두 착신 시에는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에 각각 대응하고 있는 한쌍의 스위치의 한쪽만을 선택적으로 온 상태로 하고, 플래시 시에는 한쌍의 스위치의 양쪽을 온 상태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쌍의 스위치의 한쪽만을 착신 시에 선택적으로 온 상태로 함과 함께, 플래시 시에는 한쌍의 스위치의 다른 쪽만을 전부 온 상태로 하는 회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플래시 시에는 착신 시보다 큰 전류가 흐르도록 저항값을 설정해둘 필요가 있다.
또, 제1 저항(31), 제2 저항(32), 제3 저항(41), 제4 저항(42), 제5 저항(51) 및 제6 저항(52) 대신에 정전류 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RGB 3색 LED(11) 내의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을 직렬 접속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RGB 3색 LED(11)의 다른 접속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3색 동시 제어 스위치(61)와, 색별 제어 스위치로서의 적색 제어 스위치(62), 녹색 제어 스위치(63) 및 청색 제어 스위치(64)와, 정전류 회로(65)로 구성된 드라이버가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과 접지 전위 사이에,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청색 LED칩(24a) 및 3색 동시 제어 스위치(61)가 직렬로 접속되는 한편, 적색 LED칩(22a)에 병렬로 적색 제어 스위치(62)가 접속되고, 녹색 LED칩(23a)에 병렬로 녹색 제어 스위치(63)가 접속되고, 청색 LED칩(24a)에 병렬로 청색 제어 스위치(6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착신 시에는 3색 동시 제어 스위치(61)가 온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적색 제어 스위치(62), 녹색 제어 스위치(63) 및 청색 제어 스위치(64)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RGB 3색 LED(11)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발광한다. 플래시 시에는 적색 제어 스위치(62), 녹색 제어 스위치(63) 및 청색 제어 스위치(64)가 전부 오프 상태로, 3색 동시 제어 스위치(61)만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RGB 3색 LED(11)가 발광한다.
이와 같이,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이 직렬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라이버 내에서 전류값이 일정해지기 때문에, 정전류 회로(65)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3색 동시 제어 스위치(61), 적색 제어 스위치(62), 녹색 제어 스위치(63) 및 청색 제어 스위치(64)를 설치함으로써,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 각각을 독립하여 점등시킬 수 있다.
또, 정전류 회로의 전류값을 2 단계 이상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RGB 3색 LED(11)로부터의 출력광의 강도가 착신 시보다도 플래시 시 쪽이 높아지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도 1 참조)로서 이용하고 있는 C-MOS 이미저의 감도나 CCD의 감도에 따라, 플래시 점등 시의 RGB 3색 LED(11)를 흐르는 전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C-MOS 이미저를 이용한 경우에는 RGB 3색 LED(11)의 발광부로부터 50㎝의 위치에서 조도가 20lx(룩스)가 되도록, RGB 3색 LED(11)를 흐르는 전류값을 결정한다.
정전류 회로의 전류값을 전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3색 동시 제어 스위치(61)를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하여, 주기 및 온 시간을 전환하도록 하여 적색 LED칩(22a), 녹색 LED칩(23a) 및 청색 LED칩(24a)에 흘리는 전류의 주기, 통전 시간을 전환해도 된다. 착신 표시일 때는 주기를 10㎐ 정도로 느리게 설정하고, 통전 시간을 1 주기의 1/2 정도로 하면 된다. 한편, 플래시로서 이용할 때는 통전 시간이 셔터 속도와 동일한 정도의 단일 펄스로 하고, 펄스의 피크 광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착신 표시와 플래시 양쪽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더구나 휴대 전화의 본체에 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LED를 착신 램프 및 카메라용 플래시로서 겸용함으로써, 카메라용 플래시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여,
    착신 시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소정의 패턴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서의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과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과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갖는 RGB 3색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과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과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은 하나의 패키지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지향각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조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부 전방에 렌즈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조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부 전방에 렌즈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0. 제4항에 있어서,
    착신 시에는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발광함으로써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이 전부 발광함으로써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의 일단부가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한편,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의 타단부와 접지 전위 사이에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스위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착신 시에는 각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스위치의 전부가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2. 제4항에 있어서,
    전원과 접지 전위 사이에,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 및 3색 동시 제어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되는 한편, 각 칩에 병렬로 각각 색별 제어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으며, 착신 시에는 상기 3색 동시 제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기 색별 제어 스위치 각각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가 소정의 패턴 및 색으로 점등하고, 플래시 시에는 상기 3색 동시 제어 스위치만이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래시 시에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은, 착신 시에 상기 RGB 3색 발광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KR1020030030860A 2002-05-15 2003-05-15 휴대 전화기 KR100582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0398 2002-05-15
JP2002140398A JP3856221B2 (ja) 2002-05-15 2002-05-15 携帯電話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593A Division KR100582976B1 (ko) 2002-05-15 2005-10-25 휴대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880A KR20030088880A (ko) 2003-11-20
KR100582977B1 true KR100582977B1 (ko) 2006-05-24

Family

ID=29416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860A KR100582977B1 (ko) 2002-05-15 2003-05-15 휴대 전화기
KR1020050100593A KR100582976B1 (ko) 2002-05-15 2005-10-25 휴대 전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593A KR100582976B1 (ko) 2002-05-15 2005-10-25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36672B2 (ko)
JP (1) JP3856221B2 (ko)
KR (2) KR100582977B1 (ko)
CN (1) CN1233190C (ko)
DE (1) DE10321930B4 (ko)
TW (1) TWI318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0358B2 (ja) * 2002-03-15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TWI225743B (en) * 2002-03-19 2004-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telephone device having camera and illumination device for camera
JP3744872B2 (ja) * 2002-03-27 2006-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US7734168B2 (en) * 2003-01-21 2010-06-08 Fujifilm Corporation Lighting apparatus, electronic flash apparatus and camera
JP2004271981A (ja) * 2003-03-10 2004-09-30 Kyocera Corp フラッシュユニット、撮影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04317891A (ja) 2003-04-17 2004-11-11 Nec Saitama Ltd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KR20040090577A (ko)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4284701B2 (ja) * 2003-07-28 2009-06-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複合機器、電源供給制御方法、及び、電源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3833646B2 (ja) * 2003-09-25 2006-10-18 ローム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
EP1542436A1 (en) * 2003-12-08 2005-06-15 Dialog Semiconductor GmbH Light show ASIC
US7667766B2 (en) * 2003-12-18 2010-02-2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Adjustable spectrum flash lighting for image acquisition
KR100677303B1 (ko)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05208333A (ja) 2004-01-22 2005-08-04 Sharp Corp フラッシュ装置、フラッシュ装置を備えるカメラ、および半導体レーザ装置とその製造方法
DE102004004839A1 (de) * 2004-01-30 2005-08-18 Siemens Ag Anordnung mit wenigstens einer LED und Anwendung dieser Anordnung
GB2411065A (en) * 2004-02-11 2005-08-17 Vodafone Plc Mobile telephone terminal with camera and using display to illuminate scene.
US20050199784A1 (en) * 2004-03-11 2005-09-15 Rizal Jaffar Light to PWM converter
KR100600750B1 (ko)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JP4449679B2 (ja) 2004-09-29 2010-04-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7522211B2 (en) * 2005-02-10 2009-04-21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tudio light
JP4743844B2 (ja) * 2005-04-14 2011-08-1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光源体
KR100638566B1 (ko) * 2005-05-19 2006-11-23 크루셜텍 (주) 휴대폰용 카메라 보조광원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의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수 렌즈를 사용한 파워발광다이오드 플래시 모듈
DE102005030123B4 (de) 2005-06-28 2017-08-31 Austriamicrosystems Ag Stromversorgungsanordnung und deren Verwendung
US7425100B2 (en) * 2005-10-06 2008-09-16 Motorola, Inc. Integrated selectively angled camera for clam style products
DE102005048013B4 (de) * 2005-10-07 2016-02-11 Robert Bosch Gmbh Mobiltelefon mit erweiterter Funktionalität
US20070139316A1 (en) * 2005-12-21 2007-06-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ed module with integrated controller
US8791645B2 (en) * 2006-02-10 2014-07-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ight sources
US7768216B2 (en) 2006-06-28 2010-08-03 Austriamicrosystems Ag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iodes
JP2008119400A (ja) * 2006-11-15 2008-05-29 Kyoraku Sangyo Kk 遊技機
US20100030592A1 (en) * 2006-11-30 2010-02-04 Mobilocity Solutions LLC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to a point of sale or point of use
KR100876821B1 (ko) 2007-02-12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영역 내에서 정확하게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JP5346448B2 (ja) * 2007-06-07 2013-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カメラ付き携帯電話
DE102008020817A1 (de) * 2008-04-25 2009-10-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uchteinheit
TWI386748B (zh) 2008-07-18 2013-02-21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Camera with an array of light emitting diode (LED) flash
US7829831B2 (en) * 2008-09-05 2010-11-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rol of output voltage provided to a flash unit
US9008112B1 (en) * 2009-02-19 2015-04-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etwork switch
DE102009047788A1 (de) * 2009-09-30 2011-03-3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 Kamera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US8937930B2 (en) * 2009-11-19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peripheral hub device and system
GB2475705A (en) 2009-11-26 2011-06-01 Sharp Kk Camera flash
US20110151940A1 (en) * 2009-12-23 2011-06-23 Frohlich Stuart Daniel Alternative ringtones for mobile telephones
US20100134679A1 (en) * 2010-02-03 2010-06-03 Peter Yuanyu Li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camera flash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a display and optical sensor
TW201207742A (en) * 2010-05-31 2012-02-16 Silverbrook Res Pty Ltd Method of identifying page from plurality of page fragment images
US8771085B1 (en) 2010-08-06 2014-07-08 Arthur C. Clyde Modular law enforcement baton
JP2012058495A (ja) * 2010-09-09 2012-03-22 Panasonic Corp ストロボ装置および携帯機器
US20120182939A1 (en)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and service platform system
CA2824694C (en) * 2011-03-24 2016-04-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device
US9071740B1 (en) 2011-10-28 2015-06-30 Google Inc. Modular camera system
US11632520B2 (en) * 2011-11-14 2023-04-18 Aaron Chien LED light has built-in camera-assembly to capture colorful digital-data under dark environment
EP2789209A1 (en) * 2011-12-05 2014-10-15 Qualcomm Incorporated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device and service platform system
US9197686B1 (en) 2012-01-06 2015-11-24 Google Inc. Backfill of video stream
US9537968B1 (en) 2012-01-06 2017-01-03 Google Inc. Communication of socket protocol based data over a storage protocol based interface
CN103676408A (zh) * 2012-09-10 2014-03-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DE102014104234B4 (de) * 2014-03-26 2023-08-17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Klasseneinteilung von Licht emittierenden Halbleiterbauelementen und Bildsensoranwendung mit einem Bildsensor und einem Halbleiterbauelement
US9544485B2 (en) 2015-05-27 2017-01-10 Google Inc. Multi-mode LED illumination system
US9235899B1 (en) 2015-06-12 2016-01-12 Google Inc. Simulating an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construct a lookup table for depth determination
US9454820B1 (en) 2015-06-12 2016-09-27 Google Inc.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for depth determination
US9386230B1 (en) 2015-06-12 2016-07-05 Google Inc. Day and night detection based on one or more of illuminant detection, lux level detection, and tiling
US9613423B2 (en) 2015-06-12 2017-04-04 Google Inc. Using a depth map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loors, walls, and ceilings
US9626849B2 (en) 2015-06-12 2017-04-18 Google Inc. Using scene information from a security camera to reduce false security alerts
US9554063B2 (en) 2015-06-12 2017-01-24 Google Inc.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windows
US9886620B2 (en) 2015-06-12 2018-02-06 Google Llc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camera
US20160005362A1 (en) * 2015-09-08 2016-01-07 Mediatek Inc. Determination Of Optical Condition And Adjustment Of Display
US10097968B2 (en) 2015-12-22 2018-10-09 Elizabeth McHugh Event-based interactive device system
TW201736931A (zh) * 2016-04-01 2017-10-16 楊偉毅 外掛閃光燈以及使用其之拍照系統
WO2018038340A2 (en) 2016-08-24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element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RU2668343C2 (ru) * 2016-08-24 2018-09-28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е элеме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US10180615B2 (en) 2016-10-31 2019-01-15 Google Llc Electrochromic filtering in a camera
CN106686287A (zh) * 2016-11-28 2017-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7205065A (zh) * 2017-07-25 2017-09-26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闪光灯组件及终端设备
US11165969B1 (en) 2020-08-03 2021-11-02 Sky Castle Toy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uxiliary lights to a camera to create fluorescence in selected features of a captured imag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455B2 (ja) * 1987-06-11 1997-03-1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光源装置
US5374988A (en) * 1991-06-14 1994-12-20 Ball Corporation System for non-contact identification and inspection of color patterns
US5339159A (en) * 1991-10-02 1994-08-16 Olympus Optical Co., Ltd. Color misregistration detector and color misregistration easing system
US6449006B1 (en) * 1992-06-26 2002-09-10 Apollo Camera, Llc LED illumination system for endoscopic cameras
US5532848A (en) * 1992-11-25 1996-07-02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US5523786A (en) * 1993-12-22 1996-06-04 Eastman Kodak Company Color sequential camera in which chrominance components are captured at a lower temporal rate than luminance components
US5694203A (en) * 1995-01-31 1997-12-02 Kabushikikaisha Wacom Distance camera device having light gate for extracting distance information
EP0930768A4 (en) * 1997-03-03 2004-12-01 Toshiba Kk TELECOMMUNICATIONS TERMINAL
US6031655A (en) * 1997-09-12 2000-02-29 Canon Kabushiki Kaisha Spatial light modulator and picture-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3634589B2 (ja) 1997-09-29 2005-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US7224962B1 (en) * 1997-10-03 2007-05-29 Karen Jeanne Kite Remote operational screener
US7630006B2 (en) * 1997-10-09 2009-12-08 Fotonation Ireland Limited Detecting red eye filter and apparatus using meta-data
GB2372665B (en) * 1998-05-08 2002-11-27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US6205244B1 (en) * 1998-06-23 2001-03-20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imager device color calibration utilizing light-emitting diodes or other spectral light sources
JP2000253303A (ja) * 1999-02-26 2000-09-14 Minolta Co Ltd 電池駆動される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
DE19913019A1 (de) * 1999-03-23 2001-02-15 Adam Wal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Aufzeichnung und Übertragung von Bilddaten
JP2001013559A (ja) * 1999-06-28 2001-01-19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フラッシュ制御装置
DE10007866A1 (de) * 2000-02-21 2001-08-23 Florian Gotter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vorzugsweise Mobiltelefon) mit Lichtquelle zur zusätzlichen Funktion als Leuchte (Taschenlampenfunktion)
JP2001320622A (ja) * 2000-05-11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100818193B1 (ko) * 2000-07-05 2008-04-01 롤리크 아게 네마틱 액정 전기광학 소자 및 장치
US6577378B1 (en) * 2000-08-22 2003-06-10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ight falloff compensation in an optical system
JP2002107805A (ja) * 2000-10-02 2002-04-10 Sharp Corp カメラ付き携帯装置
US7031034B2 (en) * 2000-10-02 2006-04-18 Eastman Kodak Company Articulating camera for digital image acquisition
EP1211869A1 (de) * 2000-11-30 2002-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ideokamera mit integriertem Beleuchtungssystem für mobile Kommunikationsendgeräte
JP3644388B2 (ja) * 2001-01-17 2005-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290793A (ja) * 2001-03-28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付携帯電話器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276308A3 (en) * 2001-07-12 2005-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camera
KR20030054947A (ko) * 2001-12-26 2003-07-02 (주)넥스지텔레콤 사진 촬영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기의 플래쉬 부설 장치
US20040078299A1 (en) * 2002-01-31 2004-04-22 Kathleen Down-Logan Portable color and style analysis, match and management system
US7146179B2 (en) * 2002-03-26 2006-12-05 Parulski Kenneth A Portable imaging device employing geographic information to facilitate image access and viewing
US7080266B2 (en) * 2002-05-13 2006-07-18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Single wire network for sending data in predetermined periods and next register address immediately thereafter and storing data in register identified in last 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8068B (en) 2009-12-01
JP3856221B2 (ja) 2006-12-13
US20070030340A1 (en) 2007-02-08
DE10321930A1 (de) 2003-12-04
CN1461165A (zh) 2003-12-10
US7136672B2 (en) 2006-11-14
CN1233190C (zh) 2005-12-21
JP2003333155A (ja) 2003-11-21
KR20050111548A (ko) 2005-11-25
TW200402226A (en) 2004-02-01
US20030216151A1 (en) 2003-11-20
KR20030088880A (ko) 2003-11-20
DE10321930B4 (de) 2008-10-09
KR100582976B1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977B1 (ko) 휴대 전화기
US71417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emitting and detecting light using light emitting diode
US2004002748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camera apparatus, and portable equipment
JP4254672B2 (ja) 携帯型情報機器
KR102184916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기기
US7378630B2 (en) Light emitting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4743844B2 (ja) 光源体
KR20060077519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장치
JP2005073227A (ja) 撮像装置
US7236697B2 (en) Device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for flash of camera
US7619685B2 (en) Optical recording apparatus for wireless equipment including infrared and color recording devices
EP1109147A1 (en) System for colour illumination of a display
EP1318669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7179046A (ja) カメラ装置及び携帯機器
CN101422022A (zh) 控制便携式电子设备的特征的系统和方法
EP1961197A1 (en) Improvements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flashlight
JP2007037163A (ja) 携帯電話機
JP200809027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3289368A (ja) 移動端末及び照明方法
KR102279809B1 (ko) 카메라 모듈
WO2004054239A1 (ja) 電子機器および当該電子機器を用いた撮影方法
KR100713179B1 (ko) 카메라모듈의 발광장치
KR100510576B1 (ko) 카메라 모듈
KR100510575B1 (ko) 카메라 모듈
JP5186755B2 (ja) 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