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947B1 - 림리스 안경 및 안경 프레임 - Google Patents

림리스 안경 및 안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947B1
KR100578947B1 KR1020027014179A KR20027014179A KR100578947B1 KR 100578947 B1 KR100578947 B1 KR 100578947B1 KR 1020027014179 A KR1020027014179 A KR 1020027014179A KR 20027014179 A KR20027014179 A KR 20027014179A KR 100578947 B1 KR100578947 B1 KR 10057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attachment member
cutout
ed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064A (ko
Inventor
후지타하카루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02C1/023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with lenses secured to the fixing parts by clamping, luting, soldering, gluing without holes or recesses in the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7/225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for bevelling optical work, e.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6Accessories, e.g. lens moun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시야의 넓이, 내구성, 미관, 경량화 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작도 용이한 림리스 안경을 제공한다.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에 거의 평행한 돌출선 또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 또는 홈선에 끼워지는 홈선 또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하였다.
림리스 안경, 절단부, 부착부재, 내주 벽부, 홈선, 돌출선

Description

림리스 안경 및 안경 프레임 { RIMLESS SPECTACLES AND SPECTACLES PRAME }
본 발명은, 림(rim)을 사용하지 않고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에 절단부(cut-out) 등을 설치하여 이 절단부 등에 부착부재를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rimless) 안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야의 넓이나 경량성의 이점 등으로 가장자리(edge)가 없는 타입의 안경(림리스 안경)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가 없는 타입의 안경으로서는, 렌즈 하부 주위를 나일론계로 매다는 타입과, 렌즈에 나사용 구멍을 관통 형성하여 이 구멍에 관통시키는 나사로 멈추는 투-포인트 또는 쓰리-피스라고 불리는 타입, 덧붙여 렌즈 가장자리면에 관통하지 않는 구멍을 설치하여 이것에 안경 렌즈 지지부재인 핀형 돌기부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핀 필 타입이 있다.
상술한 각 타입의 림리스 안경은, 각각 특색이 있었지만, 여러 가지 두께와 여러 가지 재질의 렌즈에 대하여, 유효 시야의 넓이, 내구성, 미관, 경량화 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설계가 반드시 용이하지 않음과 아울러, 가공비용 등의 관점에서 반드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최근,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 등을 설치하여 이 절단부 등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타입의 림리스 안경이 제안되어 있다. 이 타입의 림리스 안경으로서는, 특허 제 2997438호 공보(일본 특개평 1O-2280OO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실용신안등록 제 26O2605호 공보(일본 실용 공개평 7-3262O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하, 특허 제 2997438호 공보(특개평10-22800O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렌즈에 절단부(=멈춤 오목부 10)를 설치하고, 한편, 이 절단부에 끼워 넣은 부착부재(=엔드 피스 2)에 홈(=꽂아 끼움 홈 20)을 설치하고, 이 홈(=꽂아 끼움 홈 20)을 상기 절단부(=멈춤 오목부 10)에 끼우고, 상기 홈 양옆의 벽부가 렌즈 표리면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하여(상기 공보의 도 2 참조) 부착부재(=엔드 피스 2)를 렌즈에 부착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 2602605호 공보(일본 실용 공개평 7-32620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렌즈에 설치한 절단부 또는 홈형부의 형상이 소위 나팔형이 되도록, 절단부 또는 홈형부를 「개구부보다 큰 폭으로 되는 폭 넓어짐부를 갖는 형상의 홈을 설치한」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특허 제 2997438호 공보(특개평 10-2280OO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착용자가 필요로 하는 렌즈의 도수(power)나 설계에 따라서 렌즈의 두께가 여러 가지로 변하지만, 그 렌즈두께에 맞추어 부착부재(=엔드 피스 2)의 홈(=꽂아 끼움 홈 2O)의 폭도 바꿔야 해서, 번잡한 결점이 있다. 또한, 부착부재(=엔드 피스 2)의 폭이 렌즈의 절단부의 폭보다 반드시 커야 되고, 더구나, 반드시 렌즈 표리면으로부 터 돌출하게 되므로, 그 만큼 시야가 좁게됨과 아울러, 미관상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 2602605호 공보(일본 실용 공개평 7-3262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부착부재를 「나팔형 절단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필연적으로 그 근원부가 나팔의 선단부에 비하여 가늘게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이 근원부(25)는 그 부착부에 결합되는 템플 등을 지탱하기 위해서 충분한 강도를 갖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소정 이상의 굵기가 필요하다. 그렇게 하면, 상기 나팔형 부분은, 상기 굵기보다 더욱 큰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고, 렌즈를 크게 절단하게 되어, 시야를 좁히거나, 미관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나팔형의 절단부를 설치하는 가공도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상기 각 공보에 기재된 것을 포함시켜, 종래의 림리스 안경은, 종래의 통상의 안경과 마찬가지로, 부착부에 미늘부에 설치되고, 이 미늘부에 힌지부를 설치하여 템플(temple)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한 구조이다. 이 때문에, 경량화나 미관의 향상 등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유효시야의 넓이, 내구성, 미관, 경량화 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작도 용이한 림리스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 1 수단은,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 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에 거의 평행한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는 부위에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에 끼워지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상기 부착부의 홈선이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에 끼워지도록 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절단부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이다.
제 2 수단은,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에 거의 평행한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는 부위에 상기 절단부의 홈선에 끼워지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dll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상기 부착부의 돌출선이 상기 절단부의 홈선에 끼워지도록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절단부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이다.
제 3 수단은,
상기 부착부재의 폭이 절단부의 폭에 거의 같거나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또는 제 2 수단에 따른 림리스 안경이다.
제 4 수단은,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측이 닫혀진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제 3 수단 중 어느 한 수단에 따른 림리스 안경이다.
제 5 수단은,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부재를 직접 부착하는 장착구조를 구비하고, 이 부착부재에 힌지구조를 설치하여 템플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늘부를 갖지 않고, 이 부착부재를 안경렌즈에 부착하는 부위에 직접 힌지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템플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이다.
상술한 제 1∼제 4 수단에 의하면, 부착부재를 절단부에 끼워 넣어 부착하 면, 부착부재에 설치한 홈선 또는 돌출선을, 절단부에 설치한 돌출선 또는 홈선에 끼워 넣어 고정되므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착 후에 풀어질 우려를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고정 접촉면(접착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한 부착을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부착부재의 크기를 절단부의 크기에 거의 같은 정도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부착부재를 렌즈면으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서 렌즈면과 평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관상 매우 유리하고, 또한, 렌즈면을 닦을 때의 조작성도 매우 좋다. 또한, 부착부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효시야를 널리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가 렌즈 가장자리로부터 같은 폭 또는 점차로 작아지는 폭을 갖기 때문에, 가공이 간단하고 자동화도 용이하다. 부착부재에 설치한 홈선 또는 돌출선을 절단부에 설치한 돌출선 또는 홈선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만 있으면 좋기 때문에, 렌즈두께에 좌우되는 일은 적고, 렌즈 코바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두껍게 하는 것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배율을 갖는 안경에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다. 부착 구조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용이하고, 디자인상 위화감이 없다. 고정 구조상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질을 고르지 않는다.
또한, 제 5 수단에 의하면, 미늘부를 설치하지 않고서 부착부재에 직접 힌지를 설치하여 직접 템플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종래에 없는 매우 획기적이고 참신한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안경렌즈(11)의 절단부(110)에 부착부재(31)를 끼워 넣어 고정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절단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절단부의 가공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9는 절단부의 가공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절단부를 가공할 때에 사용하는 절단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절단부의 가공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절단부의 다른 가공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사시도이다.
11, 12…안경렌즈, 2…브리지, 31, 32…부착부재, 41, 42…템플, 110…절단부, 111…돌출선, 311…홈선, 313, 314…힌지 구조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도면들을 참조로 하면서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부호 11, 12는 좌우 안경렌즈로, 이들 안경렌즈(11, 12)는 브리지(2)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이 브리지(2)에는, 코 바대(2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 렌즈(11, 12) 각각의 좌우단의 가장자리에는, 부착부재(31, 32)가 부착되고, 이들 부착부재(31, 32)에는, 각각 좌우의 템플(41,42)이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안경렌즈(11)의 좌단부의 가장자리에는, 절단부(110)가 설치되고, 이 절단부(110)에 부착부재(31)의 선단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절단부(110)는, 안경렌즈(11)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안경렌즈(11)의 표리면에 거의 평행한 돌출선(111)이 형성된 것이다.
부착부재(31)는, 이 부착부재(31)를 안경렌즈(11)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절단부(110)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절단부(110)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절단부(110)의 돌출선(111)에 끼워지는 홈선(311)이 형성된 것이다. 즉, 이 부착부재(31)를 안경렌즈(11)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절단부(110)에 삽입하여, 부착부재(31)의 홈선(311)이 절단부(110)의 돌출선(111)에 끼워지도록 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부착부재(31)를 절단부(110)에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부착부재(31)를 절단 부(110)에 끼워 넣은 후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다.
부착부재(31)는, 안경렌즈(11)에의 부착부위와 반대측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안경렌즈(11)의 표리면과 거의 직각 방향으로 얼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미늘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늘부(312)에는, 템플(41)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하기 위한 힌지구조를 구성하는 힌지부재(31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313)가 템플(41)에 고정된 힌지부재(411)과 결합되어 나사(313a)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에 따라, 템플(41)을 부착부재(31)에 접을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우측 안경렌즈(12)에 부착하는 부착부재(32)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부착된다. 또한, 브리지(2) 좌우의 안경렌즈(11, 12)로의 부착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절단부(110)의 폭 Wk에 대응하는 부착부재(31)의 폭 Wt은, 홈선(311)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 이외는 절단부(110)의 폭 Wk에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부(110)의 돌출선(111)의 측면(111a)은,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도가 약 30°정도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착부재(31)의 절단부(110)에서의 렌즈의 두께 방향의 폭 Tt은, 안경렌즈(11)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안경렌즈(11)의 절단부(110)에 부착부재(31)를 끼워 넣어 고정한 부분의 단면도로, 도 6a는 본 실시예의 경우이다. 이때, 이 단면도의 절단면은, 안경렌즈(11)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선에 수직한 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단부(110)의 돌출선(111)의 측면(111a)을 경사로 하였지만,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한 면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부재(31)의 렌즈의 두께 방향의 폭 Tt을 안경렌즈(11)의 두께와 거의 같게 하지만,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안경렌즈(11)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절단부(110)의 폭 Wk과 부착부재(31)의 폭 Wt을 거의 같게 해두면, 렌즈의 두께가 변하더라도, 공통의 부착부재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고, 렌즈의 두께마다 부착부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의 공통화가 가능해져, 매우 실용성이 풍부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단부(110)의 돌출선(111)의 상면은 평탄하여도 되지만,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1 또는 2이상의 홈(111b)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때에, 홈(111b)에 접착제를 떨어뜨려 강고한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1선의 돌출선(111)을 설치하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은 복수선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절단부(110)의 돌출선(111) 및 부착부재(31)의 홈(311)의 단면형상은, 단순한 V자형이나 반원형의 반원통형,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도 7은 절단부(119)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절단부(110)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안경렌즈(11)의 표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측을, 도면에서는 안구측을 닫혀진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렌즈 코바가 두꺼울 때(마이너스도수가 강한 렌즈일 경우)에, 절단부 형성시의 가공하여 제거한 부분을 적게 할 수 있고, 가공상, 외관상, 또는 강도상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출선(111)은, 도 7b에 도시한 것처럼, 한쪽의 측면(111a)이 안경렌 즈(11)의 표면과 일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한 것처럼, 절단부(110)에 돌출선 111 대신에 홈선 112를 설치하고, 부착부재(31)에 홈선 311 대신에, 돌출선 312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7d에 도시한 것처럼, 안경렌즈(11)의 표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측을, 도면에서는 안구측을 닫혀진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안경렌즈(11, 12)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구성된다. 합성수지제의 렌즈일 경우는, 디에티렌글리콜아릴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안경렌즈의 지지구조로 바람직한 것은, 폴리우레탄계 렌즈로, 내충격성, 인장 강도 등이 뛰어나다.
부착부재(31, 32) 및 브리지(2)의 재질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아세테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술폰 등의 수지나,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 철계합금, 양은, 모넬, 하이니켈, 스테인레스 등의 니켈합금 또는 브론즈나 베릴륨 동 등의 동합금의 금속재료, 기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절단부(110)의 가공방법예의 설명도이다. 도 8에서, 부호 51은 안경렌즈(11, 12)를 고정하는 컴파운드 다이로, 52는 이것을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각도 유지대이다. 가공에서는, 렌즈(11, 12)를 볼록면을 아래로 하여 컴파운드 다이(51)에 삽입하여, 컴파운드 다이(51)를 각도 유지대(52) 위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렌즈 볼록면의 평균적인 커브에 맞추어서 12도의 각도 유지대를 사용하였다. 이 상태에서 절단기(6)를 회전시키면서 수평으로 렌즈를 깊이 베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절단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컴파운드 다이나 각도 유지대를 사용하지 않고서 렌즈를 가공하는 블록을 그대로 척킹(chucking)하여 가공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 방법은, 안경렌즈(11, 12)의 가공을 위해 렌즈를 지지 고정한 블록(7)을 그대로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즉, 블록을 그대로 NC 가공장치 등에 척킹하여 12도의 방향으로부터 절단기를 넣는다. 이에 의하면, 절단 가공을 자동화하는 것도 대단히 용이하다.
도 10은 여러 가지 형상의 절단부를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절단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a∼10d의 절단기를 상술한 것처럼 12°기울여 가공하면, 렌즈 코바가 두꺼울 때(마이너스 도수가 강한 렌즈의 경우)에는 렌즈 후면측(안구측)이 크게 제거된다. 그 결과, 렌즈의 강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반사하여 보이기 때문에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도 11a는 렌즈 코바가 두꺼울 때의 절단부의 가공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 후면측(안구측)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로 거리 D만큼 제거된다. 그 때, 외부에서 보면, 그 단면이, 관찰방향에 대한 투영상으로서 보인다. 그 크기 d는,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0.8밀리가 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도 10e에 도시되는 절단기를 사용한다. 이 절단기는, 렌즈를 기울인 각도만큼(본 실시예에서는 12도)을 절단하는 절단기이다. 이 절단기로 가공하면,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 가장자리면과 평행하게 절단 가공을 시행할 수 있어, 강도나 외관을 필요 이상으로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a 또는 도 7d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안경렌즈(11)의 표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측을, 닫혀진 형상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도 10f에 도시되는 절단 기를 사용한다. 그 경우,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안경렌즈(11)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안경렌즈 고정장치(500)에 고정한다. 그리고, 안경렌즈(11)의 가장자리부를 기준면에 프레스함으로써 정확한 위치결정을 할 수 있는 위치결정 기준 플레이트(700)에 의해서 위치 결정한다. 이어서, NC 가공장치(600)에 부착된 절단기(6)에 의해서 가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부재(31)는, 절단부(110)에 설치된 돌출선(111)과 부착부재(31)에 설치된 홈선(311)에 의해서 결합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절단부(110)에 돌출선(111)을 가공 형성할 수 있는 코바 두께만 있으면, 얇은 렌즈라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구나, 두꺼운 렌즈의 경우에는, 절단부(110)를 도 7a 및 도 7d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의 한쪽면측을 닫힌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렌즈가 얇은 경우나 두꺼운 경우나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자인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경으로서의 상품가치를 각별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단부(110)의 돌출선(111)은, 부착부재(31)에 설치된 홈선(311)에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그 접착부분은 안경 프레임을 정면에서 보아 보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경시변화에 의해서 접착제가 변색되기도 하거나, 또한 접착부분에 약간의 기포가 혼입하여도 눈에 띄기 어렵다.
덧붙여, 끼워 맞춤 고정부분이 부착부재의 선단에 일체로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분을 미늘이나 브리지에 위화감 없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핀 필 타입과 같이 눈앞에 뾰족한 핀형의 돌출부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외관 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절단부(110)와 부착부재(31)의 고정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예를 들었지만, 물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피팅(fitting)만으로 고정하여도 된다. 그렇지만, 고정시에 접착제를 첨가함으로써, 절단부와 부착부재의 고정을 보다 강고하게 한다. 또한, 접착제의 사용은, 절단 가공시에 생긴 마이크로 크랙(시각적으로는 보이지 않는다)등에 대하여 보완적인 작용이 있다고 추정되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에폭시계, 아크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혐기성계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폭시계의 접착제는, 렌즈재료에 관계없이 접착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할 때의 점도는 25℃으로 3000푸아즈 정도의 저점도에서, 투명성이 높은 것이 사용된다. 저점도의 것은, 기포의 발생이 적고, 작업성에 있어서 뛰어나다. 이때, 안경렌즈에 아크릴계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이 아크릴계 렌즈는 일반적으로 용제에 대하여 강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에는 에폭시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부착부재에 설치된 홈선을 단순한 홈이 아니라,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황폐케 하거나, 접착제가 괸 곳을 만들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홈을 깊게 함으로써, 접착강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림리스 안경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절단부(110)에 홈선을 설치하고, 부착부재(31)에 돌출선을 설치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는, 부착부재(31)로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부착부재(31)로부터 미늘부(312)를 제거한 형상의 부착부재를 사용하여, 이 부착부재(31)에 직접 힌지구조를 형성하여 템플을 직접 접을 수 있게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미늘부를 갖는 종래의 림리스 안경에 대하여, 심플하고 기능미가 넘친 획기적으로 참신한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된 예는, 부착부재(31)를, 거의 절단부(110)와 같은 크기로 형성하고, 부착부재(31) 전체가 절단부(110)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절단부(110)내에 끼워 넣은 부착부재(31)에 힌지구조부 314를 설치하고, 템플(41)의 선단부에 설치한 힌지구조부 414와 힌지 결합하여, 템플을 직접 접을 수 있게 부착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는, 부착부재(31)를, 절단부(110)보다 그 깊이를 약간 길게 형성하고,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부착부재(31)의 후단부가 약간 돌출하도록 하고, 이 돌출된 부위에 힌지구조부 314를 형성하고, 템플(41)의 선단부에 설치한 힌지구조부 414와 힌지 결합하여 나사(314a)에 의해 템플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힌지구조를 구성하는 나사(314a)를 언제나 조정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예는, 부착부재(31)를, 거의 절단부(110)와 같은 크기로 형성하고, 부착부재(31)전체가 절단부(110)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절단부(110)의 눈측의 측면에 힌지구조부 314를 설치하고, 템플(41)의 선단부에 설치한 힌지구조부 414와 힌지 결합하고, 템플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정면에서 미늘이나 힌지구조를 완전히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코바 두께가 두꺼운 경우(도 6c와 같은 경우)라도, 힌지구조부(414)를 얼굴측으로 연장함으로써, 힌지구조부의 나사(314a)가 밖으로 나가도록 하여, 상시 조정 가능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부재를 절단부에 끼워 넣어 부착하면, 부착부재에 설치한 홈선 또는 돌출선을 절단부에 설치한 돌출선 또는 홈선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임과 동시에, 이하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1) 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착 후에 풀어질 우려가 매우 적다.
(2) 고정의 접촉면(접착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한 부착을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부착부재의 크기를 절단부의 크기에 거의 같은 정도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부착부재를 렌즈면으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서 렌즈면과 평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관상 매우 유리하고, 또한, 렌즈면을 닦을 때의 조작성도 매우 좋다.
(3) 부착부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효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4) 절단부가 렌즈 가장자리부로부터 동일 폭 또는 점차로 작아지는 폭을 갖기 때문에, 가공이 간단하고 자동화도 용이하다.
(5) 부착부재에 설치한 홈선 또는 돌출선을 절단부에 설치한 돌출선 또는 홈선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만 있으면 좋기 때문에, 렌즈 두께에 좌우되는 일은 적고, 렌즈 코바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두껍게 하는 것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배율을 갖는 안경에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다.
(6) 부착구조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용이하고, 디자인상 위화감이 없다.
(7) 미늘부를 설치하지 않고서 부착부재에 직접 힌지를 설치하여 직접 템플을 접을 수 있게 부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종래에 없는 매우 획기적이고 참신한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8) 고정 구조상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질을 고르지 않는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에 거의 평행한 돌출선 또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 또는 홈선에 끼워지는 홈선 또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이에 따라, 심플하고 또한 확실하고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여, 유효시야의 넓이, 내구성, 미관, 경량화 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작도 용이한 림리스 안경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측을 향하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에서 중앙측을 향해,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에 끼워지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부착부의 홈선이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에 끼워지도록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절단부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2.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측을 향하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에서 중앙측을 향해, 상기 절단부의 홈선에 끼워지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상기 부착부의 돌출선이 상기 절단부의 홈선에 끼워지도록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절단부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의 폭이 절단부의 폭에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측이 닫혀진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템플이 부착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표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측이 닫혀진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은, 상기 부착부재에 있어서 이 부착부재가 상기 절단부에 끼워 넣어지는 부위에 상기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리스 안경.
  8.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용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측을 향하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측을 향해,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에 끼워지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부착부의 홈선이 상기 절단부의 돌출선에 끼워지도록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절단부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9. 림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설치하여 이 절단부에 부착부재를 끼워 넣어 부착하도록 한 림리스 안경용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하여 일정한 폭 또는 점차로 좁아지는 폭을 갖고, 그 내주 벽부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측을 향하는 홈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는, 이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때, 상기 절단부의 내주 벽부에 맞닿은 부위에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측을 향해, 상기 절단부의 홈선에 끼워지는 돌출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부에 삽입하여, 상기 부착부의 돌출선이 상기 절단부의 홈선에 끼워지도록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절단부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KR1020027014179A 2000-04-25 2001-04-20 림리스 안경 및 안경 프레임 KR100578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24025 2000-04-25
JP2000124025 2000-04-25
JP2001115338A JP3737957B2 (ja) 2000-04-25 2001-04-13 リムレス眼鏡
JPJP-P-2001-00115338 2001-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064A KR20020093064A (ko) 2002-12-12
KR100578947B1 true KR100578947B1 (ko) 2006-05-12

Family

ID=2659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179A KR100578947B1 (ko) 2000-04-25 2001-04-20 림리스 안경 및 안경 프레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40350B2 (ko)
EP (1) EP1278095B1 (ko)
JP (1) JP3737957B2 (ko)
KR (1) KR100578947B1 (ko)
CN (1) CN1272653C (ko)
AT (1) ATE420384T1 (ko)
AU (1) AU781738B2 (ko)
DE (1) DE60137320D1 (ko)
HK (1) HK1050568A1 (ko)
MY (1) MY119103A (ko)
TW (2) TWI247925B (ko)
WO (1) WO20010819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59Y1 (ko) 2012-10-04 2013-06-19 김시영 안경
WO2023224231A1 (ko) * 2022-05-17 2023-11-23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아이웨어
KR102667165B1 (ko) * 2022-05-17 2024-05-2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아이웨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594B1 (en) * 2003-03-14 2004-09-07 Fore-Z (H.K.) Limited Hinge for eyewear
US6641265B1 (en) * 2003-03-25 2003-11-04 Su-Fen Hou Eyeglasses with coupling members for interconnecting temples and lenses thereof
WO2005043223A1 (fr) * 2003-11-04 2005-05-12 Hongbiao Chen Monture de lunettes flexible
DE102004018080A1 (de) * 2004-04-08 2005-10-27 Rodenstock Gmbh Brillenfassung mit schraubenloser, flächenbündiger Glasbefestigung
US7553015B2 (en) * 2004-09-30 2009-06-30 Safilo Societa 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ectacles, particularly of the type without-lens-carrying rims
WO2006046558A1 (ja) 2004-10-25 2006-05-04 Hoya Corporation 眼鏡レンズ測定加工装置、その測定加工方法、眼鏡レンズ製造方法及び眼鏡製造方法
KR200385176Y1 (ko) * 2005-01-14 2005-05-25 임언수 무테안경
FR2890458A1 (fr) * 2005-09-07 2007-03-09 Guy Millot Interface de montage d'un verre de lunette sur une monture collee dans une decoupe du verre et lunette comportant ladite interface.
WO2007104414A1 (en) * 2006-03-10 2007-09-20 Allison S.P.A. Connector for attaching a bow to a lens
US8398235B2 (en) 2006-12-08 2013-03-19 Hoya Corporation Plastic lens for spectacle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ating liquid applicator for use in the process
CN101373276B (zh) * 2007-08-22 2011-10-19 萧榆 一种无框眼镜
KR101280098B1 (ko) * 2008-04-22 2013-06-28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US7967431B2 (en) * 2008-09-23 2011-06-28 Siu Yu Spectacles
US8465149B2 (en) * 2008-09-23 2013-06-18 Yu SIU Spectacles
US7789506B1 (en) * 2009-01-08 2010-09-07 Jong Kim Frame locking device for eyeglasses
JP2011002808A (ja) * 2009-05-21 2011-01-06 Kawamoto Kogaku Kogyo Kk 縁なし眼鏡におけるレンズの固定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縁なし眼鏡
JP2014052477A (ja) * 2012-09-06 2014-03-20 Onaga Megane: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DE102013101458B4 (de) * 2013-02-14 2016-11-10 Inomite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rekten Befestigung zumindest eines Bügels, einer Backe und/oder Brücke eines Brillengestells an zumindest einem Brillenglas einer Randlosbrille
US20140333887A1 (en) * 2013-05-07 2014-11-13 Yu SIU Spectacles
CN203414687U (zh) * 2013-08-07 2014-01-29 钟志安 可拆换组合眼镜
DE102014105062A1 (de) 2014-04-09 2015-10-15 Inomite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rekten Befestigung zumindest eines Bügels, einer Backe und/oder Brücke eines Brillengestells an zumindest einem Brillenglas einer Randlosbrille
US20170160561A1 (en) * 2014-04-30 2017-06-08 Oceanus Investment Inc. Rimless eyeglasses
EP3234687A1 (de) * 2014-12-19 2017-10-25 Inomite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rekten befestigung zumindest eines bügels, einer backe und/oder brücke eines brillengestells an zumindest einem brillenglas einer randlosbrille
US20180275422A1 (en) * 2015-08-28 2018-09-27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s
AT520704A1 (de) * 2017-12-01 2019-06-15 Silhouette Int Schmied Ag Rahmenlose Bril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07B2 (ja) 1989-07-10 1996-02-14 株式会社クボタ 苗移植機
JP3514485B2 (ja) 1993-06-22 2004-03-31 日本エア・リキード株式会社 高純度窒素ガス製造装置
JP2602605Y2 (ja) 1993-11-22 2000-01-24 株式会社村井 眼 鏡
JPH07333563A (ja) 1994-06-08 1995-12-22 Mitsuo Kobayashi 縁無し眼鏡における眼鏡テンプルの連結構造
FR2726096B1 (fr) * 1994-10-21 1997-01-03 Robert Bac Monture de lunettes et son procede d'assemblage sur des verres organiques
US5646706A (en) * 1994-12-21 1997-07-08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holding structure
JPH0933861A (ja) * 1995-07-20 1997-02-07 Aoyama Megane Kk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JPH09325301A (ja) 1996-05-31 1997-12-16 Hideaki Tachiban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US5847800A (en) * 1996-12-13 1998-12-08 Tachibana; Hideaki Lens holding mechanism of spectacles
JP2997438B2 (ja) 1996-12-13 2000-01-11 英明 橘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レンズ止着機構
JPH1110427A (ja) * 1997-06-16 1999-01-19 Miki:Kk 眼鏡レンズ用溝切削機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59Y1 (ko) 2012-10-04 2013-06-19 김시영 안경
WO2023224231A1 (ko) * 2022-05-17 2023-11-23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아이웨어
KR102667165B1 (ko) * 2022-05-17 2024-05-2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아이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50568A1 (en) 2003-06-27
DE60137320D1 (de) 2009-02-26
TW200517698A (en) 2005-06-01
CN1395696A (zh) 2003-02-05
US6540350B2 (en) 2003-04-01
TWI245942B (en) 2005-12-21
EP1278095A4 (en) 2005-01-26
JP2002014303A (ja) 2002-01-18
MY119103A (en) 2005-03-31
EP1278095A1 (en) 2003-01-22
AU781738B2 (en) 2005-06-09
WO2001081983A1 (fr) 2001-11-01
ATE420384T1 (de) 2009-01-15
US20020135732A1 (en) 2002-09-26
AU4881001A (en) 2001-11-07
JP3737957B2 (ja) 2006-01-25
EP1278095B1 (en) 2009-01-07
KR20020093064A (ko) 2002-12-12
CN1272653C (zh) 2006-08-30
TWI247925B (en) 200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947B1 (ko) 림리스 안경 및 안경 프레임
US7600870B2 (en) Attachable magnetic eyeglass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344241B2 (en) Glasses having frame for combined use with a cap
US6592220B1 (en) Eyeglass frame with removably mounted lenses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US8480226B2 (en) Frame construction for eyewear
US7370961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US20020093622A1 (en) Flip-up eyewear
US7175274B1 (en) Combination sunglasses and reading eyeglasses
US20060176444A1 (en) Frameless eyeglass assembly with auxiliary lens attachment
JP4169160B2 (ja) リムレス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485660B2 (en) Eyewear frame including visor
WO1997016761A1 (en) Magnetic eyewear system
WO2000067066A1 (fr) Lunettes
EP3479165B1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JP3625107B2 (ja) リムレス眼鏡
CN212905775U (zh) 一种新型眼镜铰链结构及眼镜
KR200174219Y1 (ko) 안경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CN212965666U (zh) 一种眼镜铰链结构
CN2480872Y (zh) 方便更换镜片的眼镜
CN209946572U (zh) 一种简便装卸式太阳镜
JPH05507565A (ja) コンビネーション眼鏡
JPH10282455A (ja) 縁なし眼鏡の結合構造及びその結合構造からなる眼鏡
EP3599498A1 (en) Spectacle frame and temp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