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483A - 아이웨어 - Google Patents

아이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483A
KR20230160483A KR1020220059988A KR20220059988A KR20230160483A KR 20230160483 A KR20230160483 A KR 20230160483A KR 1020220059988 A KR1020220059988 A KR 1020220059988A KR 20220059988 A KR20220059988 A KR 20220059988A KR 20230160483 A KR20230160483 A KR 2023016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eyewear
coupl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165B1 (ko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to KR102022005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16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998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7165B1/ko
Priority to EP23807755.6A priority patent/EP4343411A1/en
Priority to PCT/KR2023/003231 priority patent/WO2023224231A1/ko
Publication of KR2023016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483A/ko
Priority to US18/530,824 priority patent/US202401111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를 제공한다.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는 착용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좌안과 우안의 대응하는 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렌즈, 상기 렌즈의 양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일면에 접착층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되, 상기 렌즈는 양단에서 렌즈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돌출되어 상기 렌즈의 양단에 결합될 때,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타면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돌출 가이드부가 상기 함몰 가이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 양단의 일면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웨어{EYEWEAR}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에 관한 것이다.
아이웨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굴절률을 조절한 일반적인 안경도 있으나, 투과율을 낮추어 눈부심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선글라스, 고글과 같은 제품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글라스 등은 투명한 안경 소재에 착색제 등을 넣거나 빛을 반사하는 소재를 코팅 또는 증착하여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덜 느끼게 하거나,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있다. 한편, 아이웨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투명하거나 투명한 부분에 착색된 렌즈 부분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프레임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여 아이웨어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안경다리 등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개성으로 인해 아이웨어 본연의 기능을 넘어 디자인적 요인이 중요시되어,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아이웨어가 제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프레임의 경우 렌즈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렌즈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하지만, 렌즈와 안경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프레임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경우 디자인적으로 우수하다는 평이 많은 실정이다. 즉, 외측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바라보는 측면에서 프레임이 시인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를 바라보는 측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렌즈만이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매우 우수한 아이웨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프레임의 기본적인 기능이 렌즈를 지지하면서 안경다리와 접합가능하도록 하는 것인데, 프레임을 최소화할 경우 이러한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렌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렌즈와 안경다리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견고함을 갖출 수 있는 아이웨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07414호(1997년 2월 21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 외부에서 프레임이 시인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좌안과 우안이 일체화된 렌즈에서 프레임이 렌즈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프레임을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와 다리 부분을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고, 프레임 부분이 렌즈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부재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프레임을 최소화하면서 렌즈의 정확한 위치에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는 착용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좌안과 우안의 대응하는 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렌즈, 상기 렌즈의 양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일면에 접착층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되, 상기 렌즈는 양단에서 렌즈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돌출되어 상기 렌즈의 양단에 결합될 때,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타면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돌출 가이드부가 상기 함몰 가이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 양단의 일면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일면, 외측과 마주하는 타면, 좌우 방향의 측단부 및 상하 방향의 상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측단부의 일면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의 단면 상에서 상기 렌즈의 중심부와 가까운 위치의 제 1폭이 상기 렌즈의 측단부에서의 제 2폭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렌즈에 결합되는 프레임 접합면, 및 상기 프레임 접합면에서 연장되어 후단부로 굴곡되어 다리부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과 상기 다리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렌즈의 함몰 가이드홈의 형상에 맞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이 형성하는 영역은 상기 프레임 접합면의 영역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표면처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와 상기 접착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상기 표면처리 영역에 도포되는 착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상기 표면처리 영역은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상기 렌즈의 표면 일부에 스크레치가 발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표면처리 영역은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이 형성된 방향인 렌즈의 중심부로 향하는 제 1방향에 경사지면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스크레치, 상기 제 1스크레치와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스크레치 및 렌즈의 중심부로 향하는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스크레치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접합면은 외측 테두리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넘침 방지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접합면은 상기 넘침 방지라인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측에서 상기 넘침 방지라인이 형성된 위치에 인접하여 함몰되어 형성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함몰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접합면의 상기 함몰라인의 내측 영역은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렌즈와 접하는 면이 상기 렌즈를 향하도록 만곡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은 수직단면이 렌즈의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양단의 수직단면은 상기 함몰 가이드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가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에 결합될 때에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오목한 형상이 상기 함몰 가이드홈의 만곡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 홈은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도 상기 함몰 가이드 홈의 수에 맞게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웨어는 일체화된 렌즈 외부에서 프레임이 시인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와 다리 부분을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고, 프레임 부분이 렌즈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부재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이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렌즈의 정확한 위치에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와 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분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안경 다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안경 다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부분에 접착부재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와 프레임이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A-A'부분을 절단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B-B'부분을 절단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아이웨어(eyewear)라 함은 스포츠 글라스, 선글라스, 보안경, 일반 안경 등 눈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렌즈가 있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렌즈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체화된 일체화된 렌즈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렌즈와 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는 착용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좌안과 우안의 대응하는 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렌즈(100), 상기 렌즈(100)의 양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200), 및 상기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다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렌즈(100)의 일면에 접착층(400)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되, 상기 렌즈(100)는 양단에서 렌즈(10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 가이드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0)은 돌출되어 상기 렌즈(100)의 양단에 결합될 때, 상기 렌즈(100)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100)의 타면에서는 상기 프레임(200)의 돌출 가이드부(230)가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렌즈(100) 양단의 일면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아이웨어의 경우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이 렌즈의 두께 방향에서 외측면과 내측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결합되었다. 즉, 일반적인 아이웨어는 렌즈의 두께방향(상단부와 하단부)를 내측에 계지하도록 하여 렌즈를 고정하고 있는 형태이어서 외부에서 아이웨어를 착용한 사용자를 바라보았을 때, 프레임의 많은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시인되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경우 외부에서 시인되는 프레임 부분을 최소화하고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만이 외부에서 최대한 시인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우수한 디자인적 요인을 갖도록 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100)는 착용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좌안과 우안의 대응하는 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렌즈(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의 렌즈가 중심부에서 결합된 형태를 갖게 되며, 프레임(200)이 일체형 렌즈의 양 측단에서 일면에만 접합되어 결합됨에 의해 프레임(200)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렌즈(100)는 렌즈(100)의 수평면에 대해 제 1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거나,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도 만곡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100)의 양단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렌즈(100)의 양단이라는 의미는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착용하였을 경우 다리(300)가 배치되는 좌측단과 우측단을 의미하고, 상기 렌즈(100)의 일면이라는 의미는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착용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하고 있는 렌즈(100)의 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0)은 렌즈(100)의 양단의 일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사용자를 바라보았을 때 프레임(200)이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이고 우수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100)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일면, 외측과 마주하는 타면, 좌우 방향의 측단부 및 상하 방향의 상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렌즈(100)의 측단부의 일면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00)의 타면에서는 측단부에 일부 노출된 부분만 프레임이 시인되고, 전면에는 프레임에 의해 렌즈(100)를 가리는 부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300)는 상기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00)는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 각각에 연결되어 접히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프레임(200)이 렌즈(100)에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쪽에 연결되어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일측에서는 렌즈(100)가 결합되고, 타측에서는 다리부(300)가 결합되어 아이웨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렌즈(100)의 일면에 접착층(400)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접착층(400)은 열경화수지, 자외선경화수지, 접착성분이 함유된 필름, 등 다양한 접착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렌즈(100)의 일면의 양측단의 일부에만 결합되어, 렌즈(100)에 고정됨으로써, 렌즈(100)의 타면에서는 프레임(200)이 시인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렌즈(100)에 프레임(2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렌즈(100)는 양단에서 렌즈(10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 가이드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0)은 돌출되어 상기 렌즈(100)의 양단에 결합될 때, 상기 렌즈(100)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100)의 타면에서는 상기 프레임(200)의 돌출 가이드부(230)가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렌즈(100) 양단의 일면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렌즈(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프레임(200)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렌즈(100)의 양단의 일면에만 접착층(400)을 개재한 상태로 프레임(200)을 결합할 경우 프레임(200)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연속생산공정에 적용할 때에 프레임(200)이 렌즈(100)의 일면에만 결합되면서 렌즈(100)의 측단의 일부 위치에만 접합되는 경우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렌즈(100)의 양단에서 렌즈(10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 가이드홈(130)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프레임(200)의 돌출 가이드부(230)를 형성하여, 프레임(200)의 돌출 가이드부(230)가 함몰 가이드홈(130)에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프레임(200)이 렌즈(100)에 결합되는 부분을 렌즈(100)의 측단의 일면의 일부에만 접착층(400)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함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프레임(200)을 최소화하는 반면,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데, 함몰 가이드홈(130)을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렌즈(100)의 측단에 형성하고, 프레임(200)에는 함몰 가이드홈(130)에 결합되도록 돌출 가이드부(230)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200)이 최소화된 면적과 부분으로 렌즈(100)에 결합되도록 하면서 보다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품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은 상기 렌즈(100)의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의 단면 상에서 상기 렌즈의 중심부와 가까운 위치의 제 1폭(P1)이 상기 렌즈(100)의 측단부에서의 제 2폭(P2)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렌즈(100)의 측단부인 가장 바깥쪽에서 접하는 프레임(200)의 제 2폭(P2)을 길게하고 상대적으로, 렌즈(100)의 중심부인 안쪽에서 접하는 프레임(200)의 제 1폭(P1)을 작게 하여 렌즈(100)에 프레임(2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의 안구와 가까운 렌즈(100)의 중심 방향에서는 프레임(200)이 시인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과 다른 구성관의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렌즈에 결합되는 프레임 접합면(220), 및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에서 연장되어 후단부로 굴곡되어 다리부(300)가 결합되는 다리 결합부(225)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0)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230)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과 상기 다리 결합부(225) 사이에서 상기 렌즈(100)의 함몰 가이드 홈(130)의 형상에 맞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프레임(200) 상에서 다리부(300)는 다리 결합부(225)에 결합되고, 프레임 접합면(220)은 상기 다리 결합부(225)와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이와 접합되는 렌즈(100)의 면 형상에 맞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에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렌즈(100)의 함몰 가이드 홈(130)의 형상에 맞게 프레임 접합면(220)에서 상단으로(렌즈의 함몰 가이드 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가이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 가이드부(230)가 함몰 가이드홈(130)에 삽입되어 정확한 프레임(200)이 배치될 위치를 설정하고, 프레임 접합면(220)에 의해 렌즈(100)와 접착층(400)에 의해 접합 및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00)은 프레임 접합면(220)의 평면 형상에 맞게 형성되도록 돌출 가이드부(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430)이 형성된 접착필름(테이프)이거나, 접착물질 도포되고 경화된 후에 프레임 접합면(2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400)이 형성하는 영역은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의 영역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설명과 같이, 프레임 접합면(2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거나 평면 형상에 포함되도록 하는 접착필름(테이프)로 접착층(400)이 구성되거나, 접착물질이 도포된 후 최종 경화된 후에는 프레임 접합면(220)의 평면 내에만 접착층(400)이 형성되도록 접착층(4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렌즈(100)에 프레임(200)이 접합되어 결합된 후에도 접착물질이 프레임 접합면(220) 외부로 용출되어 끈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에서 상기 렌즈(100)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표면처리 영역(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표면처리 영역(800)은 레이저 커팅이나 에칭(etching) 등에 의해 렌즈(100)의 표면 일부에 스크레치가 발생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치라는 의미는 일정 라인으로 홈이 교차하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렌즈(100)의 매끄러운 표면 일부에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 접합면(220)과 마주하는 렌즈(100)의 표면에 표면처리 영역(800)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200)이 렌즈(100)에 결합된 이후 표면거칠기에 의해 접착층(400)의 결합면적을 늘리고 결합력을 증가시켜, 프레임(200)의 위치가 원하지 않게 변경되거나 렌즈(100)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아이웨어에서 프레임은 렌즈의 일면과 타면 그리고 측면을 모두 감싸는 구조를 채택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한 반면,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프레임(200)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렌즈(100)와 프레임(200)의 결합이 렌즈(100)의 일면에 접착층(400)을 개제한 상태로 접착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100)에 프레임 접합면(220)이 접하는 위치에 표면처리 영역(800)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층(400)에 의한 접합력(결합력)을 증대시켜 프레임(200)이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프레임(200)이 렌즈(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100)와 상기 접착층(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100)의 상기 표면처리 영역(800)에 도포되는 착색층(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착색층(700)은 비제한적으로 잉크와 같은 착색물질이 도포된 것이거나, 착색물질이 스퍼터링에 의해 표면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면처리 영역(800)을 형성하여 렌즈(100)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경우 외측에서 스크레치가 시인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착색층(700)을 형성함으로써, 렌즈(100)와 프레임(200) 간의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외부에서 표면처리 영역(800)이 시인되어 디자인적 요소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분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에서 상기 렌즈(10)의 상기 표면처리 영역(800)은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상기 렌즈(10)의 표면 일부에 스크레치가 발생되어 형성되고, 상기 표면처리 영역(800)은 상기 렌즈(100의 상기 함몰 가이드 홈(130)이 형성된 방향인 렌즈의 중심부로 향하는 제 1방향에 경사지면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스크레치(820), 상기 제 1스크레치(820)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스크레치(830) 및 렌즈의 중심부로 향하는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스크레치(81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스크레치(820)는 함몰 가이드 홈(130)이 렌즈(100)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는 제 1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어 상측으로 향하도록 다수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고, 제 2스크레치(830)는 제 1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어 하측으로 향하도록 다수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면서, 제 3스크레치(810)는 이들과 직교하도록(즉,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00)에 결합된 프레임(200)의 프레임 접합면(2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안경 다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안경 다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에서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에서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은 외측 테두리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넘침 방지라인(2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넘침 방지라인(221)은 프레임 접합면(220)은 외측 테두리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하여 프레임 접합면(220)이 렌즈(100)에 접합되어 결합될 때에 접착층(400)이 넘침 방지라인(221) 외부로 넘쳐 프레임 접합면(220)의 외측으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은 상기 넘침 방지라인(221)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측에서 상기 넘침 방지라인(221)이 형성된 위치에 인접하여 함몰되어 형성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함몰라인(2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400)을 형성하는 접착물질이 프레임 접합면(220) 내에 도포된 후 프레임 접합면(220)과 렌즈(100)의 표면의 결합에 의해 접착물질이 주변으로 퍼지면서 함몰된 함몰라인(222)의 영역 내에 투입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넘침 방지라인(221)을 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부분에 접착부재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와 프레임이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의 넘침 방지라인(221)과 함몰라인(222)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이 렌즈(1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 내지 10과 같은 형태의 프레임(200)에서 프레임 접합면(220)의 중심부(223)에 접착층(401)을 형성하는 접착물질(401)을 도포한 후 이를 렌즈(100)와 프레임 접합면(220)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합지하면, 접착물질(401)이 양측으로 퍼지면서 렌즈(100)의 표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1차적으로 함몰라인(222)의 함몰된 영역 내에 접착물질(401)이 흘러들게 되고, 넘침 방지라인(221)에 의해 외부로 접착물질(401)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A-A'부분을 절단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접합면(220)의 상기 함몰라인(222)의 내측 영역(224)은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렌즈(100)와 접하는 면이 상기 렌즈(100)를 향하도록 만곡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에 접착물질이 렌즈(100)와 프레임 접합면(220)이 합지되어 접합될 때에 주변으로 효과적으로 퍼지도록 하여 접착층(400)이 고르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B-B'부분을 절단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100)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은 수직단면이 렌즈의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상기 프레임(200)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230)의 양단의 수직단면은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200)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230)가 상기 렌즈(100)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에 결합될 때에 상기 돌출 가이드부(230)의 오목한 형상이 상기 함몰 가이드홈(130)의 만곡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렌즈(100)의 함몰 가이드홈은 수직단면 상에서 렌즈의 두께 방향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서로 마주하는 만곡한 형상이 되고, 프레임(200)의 돌출 가이드부(230)는 함몰 가이드홈에 삽입될 때에 양측에 마주하는 렌즈(100)의 만곡한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렌즈(100)의 두께 방향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양측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00)의 함몰 가이드홈에는 프레임(200)의 돌출 가이드부(230)가 측면방향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렌즈의 두께 방향으로는 프레임(200)이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최소화한 아이웨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100)의 상기 함몰 가이드 홈(131, 132)은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240, 250)도 상기 함몰 가이드 홈(131, 132)의 수에 맞게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 가이드 홈(131, 132)과 돌출 가이드부(240, 250)를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프레임(200)이 렌즈(100)에 결합된 후 원치 않게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렌즈
130, 131, 132: 함몰 가이드홈
200: 프레임
220: 프레임 접합면
221: 넘침방지 라인
222: 함몰라인
225: 다리 결합부
230, 240, 250: 돌출 가이드부
300: 다리부
400, 401, 402: 접착층
500: 코받침 프레임
550: 코받침
600: 코받침 접착부재
700: 착색층
800: 표면처리 영역
810: 제 3스크레치표면처리부
820: 제 1스크레치
830: 제 2스크레치

Claims (13)

  1. 착용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좌안과 우안의 대응하는 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렌즈;
    상기 렌즈의 양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일면에 접착층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되,
    상기 렌즈는 양단에서 렌즈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돌출되어 상기 렌즈의 양단에 결합될 때,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타면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돌출 가이드부가 상기 함몰 가이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 양단의 일면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일면, 외측과 마주하는 타면, 좌우 방향의 측단부 및 상하 방향의 상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측단부의 일면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의 단면 상에서 상기 렌즈의 중심부와 가까운 위치의 제 1폭이 상기 렌즈의 측단부에서의 제 2폭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렌즈에 결합되는 프레임 접합면, 및 상기 프레임 접합면에서 연장되어 후단부로 굴곡되어 다리부가 결합되는 다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과 상기 다리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렌즈의 함몰 가이드 홈의 형상에 맞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형성하는 영역은 상기 프레임 접합면의 영역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프레임 접합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표면처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접착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상기 표면처리 영역에 도포되는 착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기 표면처리 영역은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상기 렌즈의 표면 일부가 스크레치가 발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표면처리 영역은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 홈이 형성된 방향인 렌즈의 중심부로 향하는 제 1방향에 경사지면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스크레치, 상기 제 1스크레치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스크레치 및 렌즈의 중심부로 향하는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스크레치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합면은 외측 테두리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넘침 방지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합면은 상기 넘침 방지라인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측에서 상기 넘침 방지라인이 형성된 위치에 인접하여 함몰되어 형성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함몰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합면의 상기 함몰라인의 내측 영역은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렌즈와 접하는 면이 상기 렌즈를 향하도록 만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은 수직단면이 렌즈의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양단의 수직단면은 상기 함몰 가이드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가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홈에 결합될 때에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오목한 형상이 상기 함몰 가이드홈의 만곡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기 함몰 가이드 홈은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 가이드부도 상기 함몰 가이드 홈의 수에 맞게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KR1020220059988A 2022-05-17 2022-05-17 아이웨어 KR10266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88A KR102667165B1 (ko) 2022-05-17 아이웨어
EP23807755.6A EP4343411A1 (en) 2022-05-17 2023-03-09 Eyewear
PCT/KR2023/003231 WO2023224231A1 (ko) 2022-05-17 2023-03-09 아이웨어
US18/530,824 US20240111175A1 (en) 2022-05-17 2023-12-06 Eye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88A KR102667165B1 (ko) 2022-05-17 아이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483A true KR20230160483A (ko) 2023-11-24
KR102667165B1 KR102667165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414A (ko) 1995-07-26 1997-02-21 미쓰오 고바야시 림레스프레임식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414A (ko) 1995-07-26 1997-02-21 미쓰오 고바야시 림레스프레임식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1175A1 (en) 2024-04-04
WO2023224231A1 (ko) 2023-11-23
EP4343411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0089A1 (en) Eyeglasses structure
CN101019065B (zh) 眼镜及其制造方法
KR102087621B1 (ko)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US70114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ectacles with lenses
US20240111176A1 (en) 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detachable the temple
KR102667165B1 (ko) 아이웨어
WO2019153084A1 (en) Flexible eyewear assembly
KR20230160483A (ko) 아이웨어
JP2018528472A (ja) 矯正レンズ装置及び方法
KR102497582B1 (ko) 프레임 분리에 따라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
US20030002009A1 (en) Clip-on type sunglasses
US7278738B2 (en) Eyeglass lens with non-uniform coatings
JP2003021813A (ja) 装飾眼鏡部材
KR102585805B1 (ko) 단일 구조체의 교정 렌즈 및 쉴드 및 방법
TWI841439B (zh) 眼鏡結構
KR20230163791A (ko) 안경다리와 코받침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아이웨어
JP7407390B2 (ja) 眼鏡レンズ、眼鏡、及び眼鏡レンズ製造方法
JP3227696U (ja) 眼鏡
KR102391257B1 (ko)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 구조
US20220308367A1 (en) Eyewear having an anti reflective portion
KR20230167888A (ko)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및 아이웨어용 코받침의 제조방법
TWM511626U (zh) 複合式眼鏡結構
KR20230174882A (ko)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KR20240023773A (ko) 일회용 안경
KR20230135985A (ko) 보조안경테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