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773A - 일회용 안경 - Google Patents

일회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773A
KR20240023773A KR1020220101874A KR20220101874A KR20240023773A KR 20240023773 A KR20240023773 A KR 20240023773A KR 1020220101874 A KR1020220101874 A KR 1020220101874A KR 20220101874 A KR20220101874 A KR 20220101874A KR 20240023773 A KR20240023773 A KR 2024002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support surface
lens
thickness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주)쓰리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쓰리디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0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773A/ko
Publication of KR2024002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7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Abstract

일회용 안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안경은 렌즈의 정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지지면을 구비한 제1 프레임부재; 상기 제1 지지면을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2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을 향해 돌출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1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가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한 세트의 제조설비로도 더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일회용 안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안경{DISPOSABLE EYEGLASSES}
본 발명은 일회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낮은 제조비용으로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일회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문화 컨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 증가와 함께 대부분의 개발국가에서는 입체 영상 기술이 보편화되었다. 3D 영화, 3D 텔레비전 등을 통해 제공되는 입체 영상은 2차원 화면을 제공하되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약간 다른 영상을 제공하여 시청자가 원근감을 느끼도록 한다. 시청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해 서로 다른 영상을 지각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안경을 착용하는데, 컨텐츠에 적용된 입체 영상 기술의 종류에 따라 능동식 셔터(active shutter) 안경 또는 편광(polarized) 안경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능동식 셔터 안경은 부피와 무게가 큰 헤드셋을 착용하여야 하므로 시청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므로, 비교적 가벼운 편광 3D 안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편광 3D 안경은 착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서로 다른 편광 필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편광 필터는 착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약간 다른 영상을 투과시키고, 착용자는 두 영상의 차이를 바탕으로 원근감 및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편광 3D 안경은 소모품으로 간주되어 매우 적은 비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자는 편광 3D 안경을 1회 또는 수회 이용한 후 폐기한다. 편광 3D 안경에 사용되는 편광 필터 중 1회만 사용된 후 폐기되는 용도의 편광 필터는 일반적으로 약 0.2mm의 두께로 제작되고, 수회 사용된 후 폐기되는 용도의 편광 필터는 일반적으로 약 0.37 내지 0.4mm의 두께로 제작된다.
편광 3D 안경을 제조할 때, 만약 0.4mm 두께의 편광 필터를 기준으로 안경프레임을 제조하면, 설계 두께와 다른 두께의 편광 필터, 예컨대 0.2mm 두께의 편광 필터는 사용할 수 없을 것인데, 더 얇은 두께의 편광 필터가 안경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사용시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만약 0.2mm 두께의 편광 필터를 기준으로 안경프레임을 제조하면, 설계 두께와 다른 두께의 편광 필터, 예컨대 0.4mm 두께의 편광 필터는 사용할 수 없을 것인데, 더 오래 사용되도록 더 큰 두께로 제조된 편광 필터가 안경프레임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0.2mm와 0.4mm 각각의 두께에 대해 따로 제조설비를 준비한다면 제조비용이 2배로 증가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낮은 제조비용으로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일회용 안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안경은 렌즈의 정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지지면을 구비한 제1 프레임부재; 상기 제1 지지면을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2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을 향해 돌출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1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가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경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회용 안경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의 두께가 상기 제1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렌즈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여유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유홀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상기 고정돌기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상기 제1 고정돌기가 제1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가 상기 제1 두께, 상기 제2 두께, 및 상기 제3 두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회용 안경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렌즈의 두께가 상기 제2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여유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1 고정돌기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렌즈를 지지하는 2개의 프레임림; 및 상기 2개의 프레임림을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브리지에는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돌출부 또는 보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회용 안경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다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리부재는 그 단부에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한 세트의 제조설비로도 더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일회용 안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면서도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일회용 안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일회용 안경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을 예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안경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의 제1 프레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의 제2 프레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렌즈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에 다양한 두께의 렌즈가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회용 안경(100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일회용"이라는 표현은 장기간 사용되는 것과 대비되는 의미를 전달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이 실제로 단지 1회만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을 예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안경(1000)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1 프레임부재(100)를 정면 및 후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2 프레임부재(200)를 정면 및 후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렌즈(400)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은 제1 프레임부재(100), 제2 프레임부재(200), 고정돌기(300), 렌즈(400) 및 다리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100)는 렌즈(400)의 전측 또는 후측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400)에 접촉하는 제1 지지면(150)을 구비하여 제1 지지면(150)이 렌즈(400)의 정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부재(200)는 렌즈(400)의 후측 또는 전측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400)를 반대편에서 접촉하는 제2 지지면(250)을 구비하여 제2 지지면(250)이 렌즈(400)의 후면 또는 정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에는 제1 프레임부재(100)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제1 프레임부재(10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부재(100)는 일반 안경의 형상과 유사하게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프레임림(110)을 포함할 수 있고, 좌우측 프레임림(110) 사이에 형성된 브리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림(110)은 일회용 안경(1000)의 착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로 관통하는 렌즈홀(140)을 정의할 수 있고, 각 렌즈홀(140)에는 렌즈(400)가 장착되어 착용자가 렌즈(400)를 통해 전방의 광경을 지각하도록 할 수 있다.
각 프레임림(110)에서 제1 지지면(150)은 렌즈홀(140) 주위로 형성되어 렌즈(40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가장자리단턱(120)이 프레임림(110)의 외측을 따라 제2 프레임부재(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렌즈(4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 사이의 간격을 이어줄 수 있다. 제1 지지면(150)에는 복수의 위치에 고정돌기(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는 각 프레임림(110)의 제1 지지면(150)에 3개의 고정돌기(3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에는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b)에는 제2 프레임부재(10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재(200)는 제1 프레임부재(1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프레임림(210)을 포함할 수 있고, 좌우측 프레임림(210) 사이에 형성된 브리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림(210)은 일회용 안경(1000)의 착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로 관통하는 렌즈홀(240)을 정의할 수 있고, 각 렌즈홀(240)에는 렌즈(400)가 장착되어 착용자가 렌즈(400)를 통해 전방의 광경을 지각하도록 할 수 있다.
각 프레임림(210)은 프레임림(210)의 하부와 측부를 이루는 하측부재(220)와 프레임림(210)의 상부를 이루는 상측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지지면(250)은 하측부재(220)와 상측부재(230)에서 제1 프레임부재(100)를 향하는 표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가장자리단턱(120)이 제1 프레임부재(100)에만 형성되어 있고 제2 프레임부재(200)에는 생략된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단턱(120)과 유사한 구성요소가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단턱(120)이 제2 프레임부재(20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프레임부재(200)의 좌우측 프레임림(210)에서 착용자의 콧등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콧받침단턱(260)이 형성될 수 있다. 콧받침단턱(260)은 제1 프레임부재(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즉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100)의 가장자리단턱(120) 중 제2 프레임부재(200)의 콧받침단턱(26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여유홈(160)이 형성되어 콧받침단턱(260)의 돌출 길이만큼 가장자리단턱(120)이 후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되면, 콧받침단턱(260)은 여유홈(160)이 형성된 부분의 가장자리단턱(120)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 때 콧받침단턱(260)과 가장자리단턱(120) 각각의 하면은 연속되는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일회용 안경(1000)을 사용자가 착용할 때 예리한 모서리가 사용자의 콧등에 접촉하지 않게 되고, 사용자는 더 나은 착용감을 경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이와 같이 2개의 프레임림(110, 210)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190, 290)를 포함하는 경우, 브리지(190, 290)는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게 되고 많은 응력을 부담할 수 있으며, 이를 보강하는 수단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에서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 중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190, 290)에 보강돌출부(280) 및/또는 보강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2 프레임부재(200)에는 보강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홈(270)이 콧받침단턱(260)의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프레임림(210)과 브리지(290)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보강홈(270)은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제2 지지면(250) 및 기타 부분에 비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제2 프레임부재(200)가 편평한 단면을 갖지 않게 하여 특히 브리지(290) 부분에서 응력을 더 잘 저항할 수 있는 3차원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홈(270)을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정면에 형성함으로써 제1 프레임부재(100)가 제2 프레임부재(200)에 결합될 때 보강홈(27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강홈(270)을 제1 프레임부재(10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2 프레임부재(200)에는 보강돌출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돌출부(280)가 브리지(29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돌출부(280)는 브리지(29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켜 더 높은 강성을 갖게 하는 동시에 제2 프레임부재(200)가 편평한 단면을 갖지 않게 하여 브리지(290) 부분에서 응력을 더 잘 저항할 수 있는 3차원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돌출부(280)를 제2 프레임부재(200)의 후면에 형성함으로써 보강돌출부(280)가 일회용 안경(1000)의 정면에서는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강돌출부(280)를 제1 프레임부재(10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1 프레임부재(100)의 브리지(190)의 정면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프레임부재(100)와 제2 프레임부재(200)는 렌즈(4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렌즈(4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재(100)와 제2 프레임부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돌기(300)가 형성되어 렌즈(400)의 고정을 도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돌기(300)가 제1 프레임부재(100)에만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고정돌기(300)가 제1 프레임부재(100)와 제2 프레임부재(20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앞서 전측 프레임부재와 후측 프레임부재 중 고정돌기(300)가 형성된 것을 제1 프레임부재(100)로 지칭하였으나, 전측 프레임부재와 후측 프레임부재 모두에 고정돌기(3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 내지 4 및 이에 대한 설명에서는 일회용 안경(1000)의 전측에 위치한 프레임부재가 제1 프레임부재(100)로 지칭되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돌기(300)가 전측 프레임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300)가 후측 프레임부재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후측 프레임부재를 제1 프레임부재(100)로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프레임부재(100)와 제2 프레임부재(200)에는 서로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80) 및 결합돌기(39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100)와 제2 프레임부재(200)가 서로 결합될 때, 결합돌기(390)가 결합홈(380)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되면 제2 지지면(250)은 제1 지지면(150)을 대향하게 되고, 렌즈(400)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400)의 일측 표면은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렌즈(400)의 두께에 따라 렌즈(400)의 타측 표면은 제1 프레임부재(100)의 제1 지지면(150)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거나 제1 지지면(150)에 형성된 고정돌기(300)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프레임부재(200)가 결합힌지(330)를 구비하고 제1 프레임부재(100)가 힌지커버(170)를 구비한다. 결합힌지(330)에는 후술되는 다리부재(500)의 연결부(5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결합힌지(330)는 상측과 하측의 수평받침부(340), 정면부(350) 및 회전축(36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받침부(340)는 프레임림(210)의 측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회전축(360)의 양단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형성할 수 있고, 정면부(350)는 회전축(360)의 전방에서 상하측의 수평받침부(34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350)는 프레임림(210)의 하측부재(220) 및 상측부재(2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받침부(340)와 회전축(360)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재(100)에는 힌지커버(170)가 형성될 수 있고, 힌지커버(170)의 내측에는 결합돌기(37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될 때, 결합힌지(330)의 정면부(350)는 결합돌기(370)의 앞으로 압입되어 정면부(350)가 결합돌기(370)에 걸릴 수 있으며, 이로써 다리부재(50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부재(100)의 힌지커버(170)는 제2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힌지(330)의 정면 및 측면을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00)는 제1 프레임부재(100)의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제2 지지면(250)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에서 고정돌기(300)가 돌출하는 길이는 일회용 안경(1000)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두께의 렌즈(400)의 두께 차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조자가 제1 두께로 제작되는 렌즈(400b, 400c)와 제2 두께로 제작되는 렌즈(400a)를 일회용 안경(1000)에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제2 지지면(250)까지의 거리는 제1 두께에 대응하고 고정돌기(300)의 단부로부터 제2 지지면(250)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에 대응하도록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 및 고정돌기(300)의 치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300)가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제1 두께와 제2 두께의 차이에 해당할 것이다.
제1 두께로 제작되는 렌즈(400b, 400c)가 이용되는 경우, 렌즈(400b, 400c)의 정면 및 후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결합되면, 제1 지지면(150)과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가 렌즈(400b, 400c)의 두께인 제1 두께에 대응하므로, 렌즈(400b, 400c)는 제1 지지면(150)과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렌즈(400b, 400c)에는 고정돌기(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여유홀(440, 45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00)는 렌즈(400)에 형성된 여유홀(440, 450)에 삽입되어 고정돌기(300)의 단부가 렌즈(400b, 400c)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렌즈(400b, 400c)는 고정돌기(300)가 아닌 제1 지지면(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두께로 제작되는 렌즈(400a)가 이용되는 경우, 렌즈(400a)의 정면 및 후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결합되면, 고정돌기(30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가 렌즈(400a)의 두께인 제2 두께에 대응하므로, 렌즈(400a)는 고정돌기(30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렌즈(400a)에 여유홀(440, 450)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렌즈(400a)는 고정돌기(300)를 통해 제1 지지면(150)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조자는 0.2mm의 두께로 제작되어 1회 사용 후 폐기되는 용도의 편광렌즈와 0.4mm의 두께로 제작되어 다수회 사용 후 폐기되는 용도의 편광렌즈를 일회용 안경(1000)에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제2 지지면(250)까지의 거리는 약 0.4mm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고정돌기(300)는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약 0.2mm 돌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는 0.2mm 및 0.4mm 두께의 렌즈(400)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0.2mm 두께의 렌즈(400)는 고정돌기(30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 사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0.4mm 두께의 렌즈(400)는 고정돌기(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여유홀(440, 450)을 형성하여 제1 지지면(150)과 제2 지지면(250) 사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렌즈(400)가 제1 두께 및 제2 두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더라도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조자는 별도의 금형 등을 준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두께의 렌즈를 일회용 안경(1000)에 적용할 수 있다.
전측 프레임부재와 후측 프레임부재 중 전측 프레임부재가 고정돌기(300)를 구비하여 제1 프레임부재(100) 역할을 하는 경우, 작은 두께를 가진 렌즈(400)는 제1 프레임부재(100)인 전측 프레임부재에 형성된 고정돌기(300)에 의해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제2 지지면(250)에 가압되므로, 렌즈(400)는 전측 프레임부재보다는 후측 프레임부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전측 프레임부재와 후측 프레임부재 중 후측 프레임부재가 고정돌기(300)를 구비하여 제1 프레임부재(100) 역할을 하는 경우, 작은 두께를 가진 렌즈(400)는 제1 프레임부재(100)인 후측 프레임부재에 형성된 고정돌기(300)에 의해 제2 프레임부재(200)의 제2 지지면(250)에 가압되므로, 렌즈(400)는 후측 프레임부재보다 전측 프레임부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렌즈(400)와 프레임부재 사이에 간격이 없을 때 제품이 더 정교하고 정밀하게 제작된 것 같은 인상을 주므로 더 나은 외관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안경(1000)의 정면의 외관이 후면의 외관보다 중요한 경우에는 후측 프레임부재에 고정돌기(300)를 형성하여(즉, 후측 프레임부재가 제1 프레임부재(100)의 역할을 하게 하여) 작은 두께의 렌즈(400)가 전측 프레임부재의 프레임림에 밀착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만,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일회용 안경(1000)의 맥락에서는 일회용 안경(1000)이 패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착용하여 입체영상 화면을 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측 관점에 더 큰 비중을 두어 도 1 내지 4에서와 같이 전측 프레임부재에 고정돌기(300)를 형성하는 것이(즉, 전측 프레임부재가 제1 프레임부재(100)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렌즈(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재(100)과 제2 프레임부재(200) 사이에 결합되어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직접적으로, 그리고 제1 지지면(150)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렌즈(400)의 형태가 나타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에 적용가능한 렌즈(400)는 여유홀(440, 450)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400a)가 고정돌기(30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두께를 갖는 경우, 렌즈(400a)에는 여유홀(440, 450)이 생략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400a)가 제2 두께로 형성된 경우, 여유홀(440, 450)이 형성되지 않아야 렌즈(400a)가 고정돌기(30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렌즈(400b, 400c)가 제1 지지면(150)과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두께를 갖는 경우, 렌즈(400a)에는 여유홀(440, 450)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돌기(300)는 여유홀(440, 450) 내에 삽입되어 제1 지지면(150)이 렌즈(400b, 400c)를 지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렌즈(400b)의 여유홀(440)은, 렌즈(400b)의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고정돌기(300)에 대응하는 위치가 렌즈(400b)의 가장자리 외측에 존재하도록 형성된 홈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렌즈(400b)에서는 여유홀(440)이 좁게 형성되어 고정돌기(3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여유홀(440)의 폭이 고정돌기(300)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돌기(300)가 렌즈(400b)의 표면을 지지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한 여유홀(440)의 크기, 형상 및 곡률은 다양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렌즈(400c)의 여유홀(450)은, 고정돌기(3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렌즈(400c)가 천공된 관통홀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렌즈(400c)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될 때, 고정돌기(300)는 여유홀(450)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지지면(150)이 렌즈(400c)의 표면을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렌즈(400b, 400c)에 형성되는 여유홀(440, 450)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고정돌기(300)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렌즈(400c)의 여유홀(450)이 고정돌기(3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돌기(300)가 여유홀(450)에 정확히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돌기(300)가 렌즈(400c)를 직접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정돌기(300)가 렌즈(400c)를 정위치에 더욱 정밀하게 정렬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5의 (b)에 도시된 렌즈(400b)의 여유홀(440)도 고정돌기(300)의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하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돌기(300)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 크기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렌즈(400b)가 장착될 때 복수의 위치에서 고정돌기(300)가 여유홀(440)에 끼워지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돌기(300)가 렌즈(400b)를 정위치에 더욱 정밀하게 정렬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겸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은 다리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재(500)는 템플(510), 연결부(530) 및 템플팁(540)을 포함할 수 있다.
템플(510)은 다리부재(500)의 주요 부분으로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와 렌즈(400)의 조립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템플(510)의 전단에는 연결부(530)가 형성될 수 있고, 후단에는 템플팁(54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30)는 내측을 향해 개방된 갈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재(100) 또는 제2 프레임부재(200)에 형성된 결합힌지(3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힌지(330)가 제2 프레임부재(200)에 형성되고 다리부재(500)가 결합힌지(330)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530)는 갈고리 모양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힌지(330)의 회전축(360)이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고, 다리부재(500)는 회전축(36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프레임부재(200)에 제1 프레임부재(100)가 결합되면서 제1 프레임부재(100)의 힌지커버(170)가 연결부(530)의 외측을 차폐할 수 있다.
다리부재(5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리부재(500)가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와 렌즈(400)의 조립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펼쳐지면, 도 2에서와 같이 다리부재(500)의 템플(510)의 단부가 힌지커버(17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커버(170)는 다리부재(100)의 연결부(530)를 가리는 동시에 다리부재(5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템플팁(540)은 템플(5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일회용 안경(1000)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귀 뒤에 걸쳐질 수 있다. 템플팁(540)은 어느 정도의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형에 맞게 템플팁(540)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회용 안경(1000)은 특성상 비교적 저가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일반 안경과 같이 조절가능한 콧받침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회용 안경(1000)이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주된 부위는 다리부재(500)이고, 특히 템플팁(540)이다.
일회용 안경(1000)이 착용 상태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은 접촉돌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550)는 각 다리부재(500)의 단부에, 예컨대 템플팁(540)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각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돌기(550)는 여러 가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일회용 안경(1000)을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다리부재(500)의 단부에 땀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다리부재(5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촉돌기(5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땀이 매끈한 표면에 맺히면서 막을 형성할 수 있고, 다리부재(500)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접촉이 큰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해 일회용 안경(1000)이 착용된 위치에서 더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접촉돌기(550)는 땀이 한 위치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 상황에서는 접촉돌기(550)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접촉 면적은 더 큰 마찰력을 제공하여 일회용 안경(1000)이 착용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접촉돌기(550), 템플팁(540) 또는 다리부재(500) 전체에 높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550) 또는 템플팁(540)을 다리부재(500)에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이 구비할 수 있는 고정돌기(310, 32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에 다양한 두께의 렌즈(401, 402, 403)가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고정돌기(300)는 제1 고정돌기(310)와 제2 고정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320)가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제1 고정돌기(310)가 돌출하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일회용 안경(1000)이 더 다양한 두께의 렌즈(400)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의 제조자가 제1 두께(t1)로 제작되는 렌즈(401), 제2 두께(t2)로 제작되는 렌즈(402) 및 제3 두께(t3)로 제작되는 렌즈(403)를 일회용 안경(1000)에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면(150)으로부터 제2 지지면(250)까지의 거리는 제1 두께(t1)에 대응하고, 제1 고정돌기(310)의 단부로부터 제2 지지면(250)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t2)에 대응하고, 제2 고정돌기(320)의 단부로부터 제2 지지면(250)까지의 거리는 제3 두께(t3)에 대응하도록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와 제1 및 제2 고정돌기(310, 320)의 치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두께(t1)의 렌즈(401)는 제1 고정돌기(310)에 대응하는 크기의 여유홀(451)이 형성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렌즈(401)의 정면 및 후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결합되면, 제1 지지면(150)과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가 렌즈(401)의 두께인 제1 두께(t1)에 대응하므로, 렌즈(401)는 제1 지지면(150)과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고정돌기(310, 320)는 렌즈(401)에 형성된 여유홀(451)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고정돌기(310, 320)의 단부가 렌즈(401)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렌즈(401)는 제1 및 제2 고정돌기(310, 320)가 아닌 제1 지지면(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두께(t2)의 렌즈(402)는 제2 고정돌기(320)에 대응하는 크기의 여유홀(452)이 형성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렌즈(402)의 정면 및 후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결합되면, 제1 고정돌기(31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가 렌즈(402)의 두께인 제2 두께(t2)에 대응하므로, 렌즈(402)는 제1 고정돌기(31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고정돌기(320)는 렌즈(402)에 형성된 여유홀(452)에 삽입되어 제2 고정돌기(320)의 단부가 렌즈(402)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렌즈(402)는 제1 고정돌기(310)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두께(t3)의 렌즈(403)에는 여유홀(451, 452)이 생략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렌즈(403)의 정면 및 후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가 결합되면, 제2 고정돌기(32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 사이의 거리가 렌즈(403)의 두께인 제3 두께(t3)에 대응하므로, 렌즈(403)는 제2 고정돌기(320)의 단부와 제2 지지면(2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고정돌기(310)는 제2 고정돌기(320)보다 낮게 돌출하기 때문에 렌즈(403)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고정돌기(320)가 더 작은 폭을 가지며 제1 고정돌기(3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제1 고정돌기(310)에 대응하는 크기의 여유홀(451)이 제1 및 제2 고정돌기(310, 320) 모두를 수용할 수 있어 제2 고정돌기(320)를 수용하기 위한 여유홀(452)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2 고정돌기(320)가 반드시 제1 고정돌기(310)보다 작은 폭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2 고정돌기(320)가 반드시 제1 고정돌기(310) 상에 중첩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제2 고정돌기(320)가 제1 고정돌기(31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1 두께(t1)를 가진 렌즈(401)에는 제1 및 제2 고정돌기(310, 320) 각각에 대응하여 별도의 여유홀(451, 4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고정돌기(300)가 제1 고정돌기(310)와 제2 고정돌기(320)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묘사되었으나, 고정돌기(300)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더 많은 유형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돌기(300)를 예를 들어 n개의 서로 다른 돌출 길이를 가진 고정돌기(310, 320, ...)로 세분화하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100, 200)에 n개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렌즈(400)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은 제조비용의 증가 없이 적용가능한 렌즈(400) 두께의 선택범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조자는 별도의 금형 또는 기타 제조설비를 준비하지 않고 동일한 한 세트의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렌즈(400)를 장착한 일회용 안경(10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은 프레임림(110, 210) 사이의 브리지(290) 부분이 구조적으로 보강되어 있어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면서도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경(1000)은 다리부재(500)의 단부에 접촉돌기(550)가 구비되어 일회용 안경(1000)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를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일회용 안경
100: 제1 프레임부재 150: 제1 지지면
200: 제2 프레임부재 250: 제2 지지면
300: 고정돌기 400: 렌즈
500: 다리부재

Claims (8)

  1. 렌즈의 정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지지면을 구비한 제1 프레임부재;
    상기 제1 지지면을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2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을 향해 돌출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1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가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렌즈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의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여유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홀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상기 고정돌기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상기 제1 고정돌기가 제1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보다 크며,
    상기 제1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제2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가 상기 제1 두께, 상기 제2 두께, 및 상기 제3 두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렌즈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의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여유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1 고정돌기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렌즈를 지지하는 2개의 프레임림; 및
    상기 2개의 프레임림을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브리지에는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돌출부 또는 보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재는 그 단부에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경.
KR1020220101874A 2022-08-16 2022-08-16 일회용 안경 KR20240023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74A KR20240023773A (ko) 2022-08-16 2022-08-16 일회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74A KR20240023773A (ko) 2022-08-16 2022-08-16 일회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773A true KR20240023773A (ko) 2024-02-23

Family

ID=9004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874A KR20240023773A (ko) 2022-08-16 2022-08-16 일회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7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WO2018219241A1 (zh) 一种虚拟现实设备的脸托配件
US20070263169A1 (en) 3-D eyewear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KR101106877B1 (ko) 안경 및 안경의 조립 방법
JP2011232723A (ja) 度付きレンズが結合された立体(3d)画像視聴用レンズ組立体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240023773A (ko) 일회용 안경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KR20120100577A (ko) 렌즈교체형 안경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KR101207849B1 (ko)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US20170336649A1 (en) Eyeglasses with changeable frame
KR20210022400A (ko) 시력보정렌즈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구현장치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US20160231598A1 (en) Eyeglass frames with dynamic vent
KR101077882B1 (ko)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US10962800B1 (en) Reconfigurable eyewear system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US20240111175A1 (en) Eyewear
JP6848007B2 (ja) ノーズパッド及びアイウエア
JP5038873B2 (ja) 眼鏡フレームおよび眼鏡フレーム用鎧
KR20240027261A (ko) 가압력조절식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