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849B1 -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849B1
KR101207849B1 KR1020100038063A KR20100038063A KR101207849B1 KR 101207849 B1 KR101207849 B1 KR 101207849B1 KR 1020100038063 A KR1020100038063 A KR 1020100038063A KR 20100038063 A KR20100038063 A KR 20100038063A KR 101207849 B1 KR101207849 B1 KR 10120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tereoscopic
image
view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456A (ko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to KR102010003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849B1/ko
Priority to PCT/KR2010/002742 priority patent/WO2011132812A1/ko
Priority to US12/816,540 priority patent/US20110261314A1/en
Priority to JP2010145137A priority patent/JP2011232724A/ja
Publication of KR2011011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가스켓이 결합되어 있고 가스켓에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가스켓이 결합되어 있고 가스켓에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돗수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 하나만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Lens assembly for viewing 3D image having functional heavy lens convenient to mount and demount}
본 발명은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가스켓이 결합되어 있고 가스켓에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돗수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 하나만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입체화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위상차필름이 점착된 편광렌즈를 착용하여야뛰어난 입체감과 선명한 화질의 시청이 가능하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편광렌즈는 패시브형과 액티브형으로 대별되며 이는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용자에게 적합한 구조로서 시력이 나쁜 시청자는 일반안경의 내측에 고정클립으로 이용하여 별도로 제작된 렌즈를 결합하여 착용하여야 한다.
입체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패시브형 렌즈는 PC패널의 외측면에 PVA필름이 접합되며, PVA필름의 외측면에 위상차필름이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중앙에 내장되는 PVA필름의 양측면에 TAC패널이 접합되며 외측의 TAC패널 외측면에 위상차필름이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패시브형 렌즈는 다층구조이므로 제조에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될 뿐만이 아니라 시력이 나쁜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시력이 나쁜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시력이 나쁜 시청자는 돗수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시력이 나쁜 시청자가 돗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렌즈 위에 돗수안경을 착용하는 2개의 안경을 착용하게 되며 이는 2개의 안경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착용이 불편하고 렌즈의 굴절에 의해 입체영상을 시청하는데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력이 다른 사용자들이 불편을 해소 하는 문제점과, 선명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가스켓이 결합되어 있고 가스켓에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돗수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시력이 나쁜 시청자의 시력에 맞도록 가공한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렌즈 위에 돗수안경을 착용하는 2개의 안경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이 편리할 뿐만이 아니라 선명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시브형 렌즈(편광 필름을 이용하는 방식)로 구성된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에 있어서, 패스브형 렌즈면에 가스켓을 구성한 돗수렌즈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패시브형 렌즈(60)는 외측면에 위상차 필름(30)이 접합된 PVA필름(26)과, 상기 PVA필름(26)의 내측면에 부가되는 PC패널(23)과, 상기 PC패널(23)의 내측면에 가스켓(40)을 구성한 돗수렌즈(50)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가스켓이 구비된 돗수렌즈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별도의 돗수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입체화상 시청용 렌즈에 시력이 나쁜 시청자의 시력에 맞도록 가공한 가스켓이 장착된 돗수렌즈를 일체로 결합시켜 착용감이 편리할 뿐만이 아니라 선명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렌즈 위에 돗수안경을 착용하는 2개의 안경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게 우수한 입체화질을 감상할 수 있어 보다 흥미롭게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안경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안경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패시브형 렌즈부(60)는 편광 필름을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1과 도 2는 입체(3D)화상 안경의 렌즈부(60)에 가스켓(40)을 장착한 돗스렌즈를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입체화상을 제공하는 패시브형 렌즈부(60)의 내측(착용자 눈쪽)에 가스켓(40)이 장착된 시력 교정용 돗스렌즈를 결합하여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50)는 외측면이 평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50-1)는 외측면이 볼록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는 CR, PC, 유리 및 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가스켓(40)은 3D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42-1)에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2)가 형성하여 장착과 탈착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은 중앙에 내장되는 PVA필름(26)과; 상기 PVA필름(26)의 양측면에 접합되는 TAC패널(28, 28')과; 상기 외측의 TAC패널(28) 외측면에 접합되는 위상차필름(30)과; 상기 내측의 TAC패널(28')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스켓(40); 및 상기 가스켓(40)에 장착되어 있는 돗수렌즈(50, 50-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수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50)는 외측면이 평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50-1)는 외측면이 볼록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는 CR, PC, 유리 및 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가스켓(40)은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42-1)에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는 별도의 돗수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단일체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에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가공한 돗수렌즈(50, 50-1)를 일체로 장착하여 별도의 돗수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착용자의 돗수에 알맞는 편안한 착용을 하면서 양질의 화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의 패시브형 렌즈부(60)는 외측면에 위상차필름(30)이 접착된 PVA필름(26)의 내측면에 PC패널(23)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PC패널(23)의 내측면에 가스켓(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켓(40)에 돗수렌즈(50, 50-1)가 결합되어 있다. 중앙에 내장된 PVA필름(Polyvinyl Alcohol)(26)은 필름을 일측으로 연신시킨 후 요오드 분자 및 이색성 염료(Dichroic Dye)를 PVA 사이에 일방향으로 배양시킴으로서 한쪽방향이 빛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쪽 방향의 빛은 흡수함으로서 편광자의 기능을 행할수 있도록 염색과 연신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패시브형 렌즈부(60)에 가스켓이 구성된 돗수렌즈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의 패시브형 렌즈부(60)는 PVA필름(26)의 외측면에 TAC필름(28, 28')이 접합되며, 외측면에 위치하는 TAC필름(28)의 외측면에는 위상차필름(30)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위상차필름(30)은 좌/우 영상과 편광이 구분되어 렌즈를 통해 시청자의 눈에 각각 전달되므로서 양안에 시차를 발생시키므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입체화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위상차필름이 점착된 편광렌즈를 착용하여야 보다 뛰어난 입체감과 선명한 화질의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서 중앙에 내장된 PVA필름(Polyvinyl Alcohol)(26)의 양측에 일체로 접합되는 TAC필름(Triacetyl cellulose)(28, 28')은 광학적으로 동일한 방향이고 투명성과 강도가 우수하며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도 치수의 안정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다른 실시예의 패시브형 렌즈부(60)에 가스켓이 구성된 돗수렌즈(50,50-1)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TAC필름(28')의 내측에 가스켓(40)이 장착되어 있으며, 가스켓(40)에 돗수렌즈(50, 50-1)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돗수렌즈(50, 50-1)는 사용자의 시력을 사전에 측정하여 가공한 것이며 이는 CR 및 P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그 효과는 동일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는 가스켓(40)에 돗수렌즈(50, 50-1)가 결합되어 있으며, 가스켓(40)에 결합할 수 있는 돗수렌즈(50, 50-1)는 외측면이 평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인 것 및 외측면이 볼록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인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에 있어서 돗수렌즈는 CR, PC, 유리 및 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는 가스켓(40)에 결합돌기(42)가 형성되어 있어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42-1)에 장착과 탈착이 편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는 중앙에 PVA필름(26)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PVA필름(26)을 보호하기 위해서 양면에 TAC필름(28, 28')이 접합되며, 외측면에 위치하는 TAC필름(28)의 외측면에는 위상차필름(30)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위상차필름(30)은 좌/우 영상과 편광이 구분되어 렌즈를 통해 시청자의 눈에 각각 전달되므로서 양안에 시차를 발생시키므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입체화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위상차필름이 점착된 편광렌즈를 착용하여야 보다 뛰어난 입체감과 선명한 화질의 시청이 가능하다.
돗수렌즈(50, 50-1)는 CR, PC, 유리 및 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가공한 것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외측면에 위상차필름(30)이 접합된 PVA필름(26)과, 상기 PVA필름(26)의 내측면에 접합되는 PC패널(23)에 결합돌기가 구성된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과 결합되는 돗수렌즈는 외측면이 평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돗수렌즈는 외측면이 볼록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특징이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패시브형 렌즈부는 중앙에 내장되는 PVA필름(26)과; 상기 PVA필름(26)의 양측면에 접합되는 TAC패널(28, 28')과; 상기 외측의 TAC패널(28) 외측면에 접합되는 위상차필름(30)과; 상기 내측의 TAC패널(28') 내측면에 결합되며 외부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가스켓(40); 및 상기 가스켓(40)의 에 장착되는 돗수렌즈(50, 50-1)로 이루어진다.
상기 돗스렌즈는 외측면이 평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돗수렌즈는 외측면이 볼록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으로 구성하였다.
도 2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본 발명은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가 구성된 3D 안경테에 결합ㄷ홈(42-1)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42-1)면에 결합돌기(42)가 구성된 가스켓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탈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3: PC패널 26: PVA필름
28, 28': TAC패널 30: 위상차 필름
40: 가스켓 42: 결합돌기
42-1: 결합홈 50, 50-1: 돗수렌즈

Claims (12)

  1. 패시브형 렌즈부(편광 필름을 이용하는 방식)를 통하여 입체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돗수렌즈를 구성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입체화상을 제공하도록 중앙에 내장되는 PVA필름(26)과; 상기 PVA필름(26)의 양측면에 접합되는 TAC패널(28, 28')과; 상기 TAC패널(28)의 외측면에 접합되는 위상차필름(30)과; 상기 TAC패널(28')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스켓(40); 및 상기 가스켓이 장착된 시력 교정용 돗스렌즈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형 렌즈부는
    외측면에 위상차필름(30)이 접합된 PVA필름(26)과; 상기 PVA필름(26)의 내측면에 접합되는 PC패널(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돗수렌즈는 외측면이 볼록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돗수렌즈는 외측면이 평면이고, 내측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돗수렌즈는 CR, PC, 유리 및 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42-1)에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돗수렌즈에 가스켓을 결합하여 3D입체 렌즈 내측면에 결합하는 방법 중 점착, 접착, 끼움결합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KR1020100038063A 2010-04-23 2010-04-23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KR10120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63A KR101207849B1 (ko) 2010-04-23 2010-04-23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PCT/KR2010/002742 WO2011132812A1 (ko) 2010-04-23 2010-04-30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US12/816,540 US20110261314A1 (en) 2010-04-23 2010-06-16 Lens assembly for viewing three-dimensional (3d) images provided with readily detachable functional prescription lens
JP2010145137A JP2011232724A (ja) 2010-04-23 2010-06-25 着脱が便利な機能性度付きレンズを備えた立体(3d)画像視聴用レンズ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63A KR101207849B1 (ko) 2010-04-23 2010-04-23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56A KR20110118456A (ko) 2011-10-31
KR101207849B1 true KR101207849B1 (ko) 2013-01-14

Family

ID=4481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063A KR101207849B1 (ko) 2010-04-23 2010-04-23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61314A1 (ko)
JP (1) JP2011232724A (ko)
KR (1) KR101207849B1 (ko)
WO (1) WO2011132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7723B (en) * 2011-12-07 2016-07-13 Kilworth Business & Properties Ltd 3D Prescription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680593A1 (en) * 2012-06-26 2014-01-01 Thomson Licensing Method of adapting 3D content to an observer wearing prescription glasses
KR102071804B1 (ko) * 2018-10-02 2020-03-02 박진규 시력교정용 렌즈 탈부착 고글
KR20210111616A (ko) * 2020-03-03 2021-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81U (ja) * 1997-11-11 1998-05-22 株式会社トライ−アングル 眼鏡フレーム選択用簡易着脱式レンズ部品
KR100951225B1 (ko) * 2008-04-29 2010-04-05 김재현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및 안경테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840A (en) * 1968-09-16 1971-01-05 Lorna R Braget Eyeglass frame construction for removable lenses
US4340282A (en) * 1979-10-13 1982-07-20 Mamoru Murakami Lens securing device
JPS59196036A (ja) * 1983-04-19 1984-11-07 Meiji Milk Prod Co Ltd 油中水型低脂肪スプレツドの製造法
KR100445897B1 (ko) * 2002-01-30 2004-08-25 소프트픽셀(주) 입체 영상용 안경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안경
US20110090454A1 (en) * 2009-05-15 2011-04-21 Johnson David A Curved corrective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81U (ja) * 1997-11-11 1998-05-22 株式会社トライ−アングル 眼鏡フレーム選択用簡易着脱式レンズ部品
KR100951225B1 (ko) * 2008-04-29 2010-04-05 김재현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및 안경테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56A (ko) 2011-10-31
JP2011232724A (ja) 2011-11-17
US20110261314A1 (en) 2011-10-27
WO2011132812A1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500B1 (ko) 돗수렌즈가 결합된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
US20110199680A1 (en) Eyewear with three-dimensional viewing capability
EP2592464A1 (en) Active shutter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cognition unit
KR101207849B1 (ko)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KR101007884B1 (ko) 입체(쓰리디) 화상 시청용 시력 교정 렌즈조립체
US20140327870A1 (en) Lens structure and dual-purpose eyeglasses with sunglasses and 3d glasses functions
CN101694549A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KR20100054120A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CN201757815U (zh) 一种具有远/近视度数的液晶3d眼镜
WO2011132810A1 (ko)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
US20120081654A1 (en) Glasses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US20130176526A1 (en) Semi-rim three dimensional glasses
KR101153205B1 (ko)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
US20130120836A1 (en) Diopter lens
TW201407224A (zh) 具矯正視力的遮陽與立體兩用鏡片及眼鏡
KR20130110105A (ko)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CN202159188U (zh) 可调偏光式3d和2d兼容的3d眼镜
JP2012058531A (ja) 映像鑑賞用眼鏡、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CN201974539U (zh) 3d快门镜片
CN201522597U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KR200456641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결합 장치 및 입체 영상용 편광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