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105A -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 Google Patents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105A
KR20130110105A KR1020130033222A KR20130033222A KR20130110105A KR 20130110105 A KR20130110105 A KR 20130110105A KR 1020130033222 A KR1020130033222 A KR 1020130033222A KR 20130033222 A KR20130033222 A KR 20130033222A KR 20130110105 A KR20130110105 A KR 2013011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image
eyeglass frame
coupled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도
Original Assignee
김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도 filed Critical 김성도
Publication of KR2013011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6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involving reflecting prisms and mirror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4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giving the observer of a single two-dimensional [2D] image a perception of dep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2D 영상(L)을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1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7)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2);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3); 및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8)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4)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3D GLASSES CAPABLE OF MAKING 2D IMAGES OR OBJECTS INTO 3D IMAGES}
본 발명은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 같은 복잡한 변환과정 없이도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어 입체감 있는 시청이 가능한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디스플레이 2D 영상을 입체영상인 3D 영상으로 보고자 할 때는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절차를 거친 후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side by side format)의 좌우 영상이나 순차적인 좌우의 영상을 좌안과 우안으로 보게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좌우(L/R)의 영상(images)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으로 촬영하거나 좌우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좌(L)의 영상(images) 즉 좌상(left image)은 좌안으로, 우(R)의 영상(images) 즉 우상(right image)은 우안으로 보아야 하며, 그래야만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종래기술의 경우, 기존의 2D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기 위해서는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복잡하고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좌상(left image)은 좌안(left eye)으로 우상(right image)은 우안(right eye)으로만 봐야지만 입체영상을 보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편광이나 액정 등을 통해야 되는 경우에는 입사광의 감쇄나 제작 및 편집상 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 일반 사물을 맨눈으로 볼 때보다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입체안경은 기존에 없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입체안경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058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복잡한 변환과정 없이도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어 입체감 있는 시청이 가능한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2D 영상(L)을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1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7)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2);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3); 및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8)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4)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100)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과 상기 좌측 제2 반사경(2), 그리고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과 상기 우측 제2 반사경(4)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2D 영상(L)을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2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12);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3 반사경(13);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19)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4 반사경(14);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15);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16);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3 반사경(17); 및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20)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4 반사경(18)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200)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과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과 상기 좌측 제4 반사경(14),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과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 그리고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과 상기 우측 제4 반사경(18)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과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 그리고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과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은 연결부(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사물 이미지(L,R)를 맨눈으로 볼 때 보다 입체감을 더해주면서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3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L)를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7')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2');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R)를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3'); 및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8')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4')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300)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사물 이미지(L,R)를 맨눈으로 볼 때 보다 입체감을 더해주면서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4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L)를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12');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3 반사경(13');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19')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4 반사경(14');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R)를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15');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16');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3 반사경(17'); 및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20')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4 반사경(18')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400)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반사경은 프리즘, 바람직하게는 직각 프리즘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반사경 앞에는 렌즈나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나 필터가 양 반사경을 연결하는 형식으로 장착되어, 전체 장치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렌즈는 시력이 나쁜 사람에게 교정시력을 제공해줄 수 있다. 필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필터의 특성에 따라 일반 카메라에서 얻는 다양한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복잡한 변환과정 없이도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시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도 1은 2D 영상(L)을 입체영상(3D)으로 볼 수 있도록 반사경(1,2,3,4)이 부착되어 있는 입체안경(100)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좌측에 결합되어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과,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우측에 결합되며, 좌측 제1 반사경(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7)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2)과,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우측에 결합되어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3)과,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좌측에 결합되며, 우측 제1 반사경(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8)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4)을 포함한다.
이때, 좌측 제1 반사경(1)과 좌측 제2 반사경(2), 그리고 우측 제1 반사경(3)과 우측 제2 반사경(4)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안경 테두리(5)와 우측 안경 테두리(6)는 안경코걸이(21)에 의해 연결되며, 좌측 안경 테두리(5)와 우측 안경 테두리(6)에는 안경다리(9)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100)의 작용을 살펴본다.
2D 영상(L)이 입체안경(100)의 좌측 제1 반사경(1)을 통하여 좌측 제2 반사경(2)을 거쳐 좌측 안경 테두리(5)를 통과하여 좌측 눈(7)에 입사된다. 마찬가지로, 2D 영상(L)은 우측 제1 반사경(3)을 통하여 우측 제2 반사경(4)을 거쳐 우측 안경 테두리(6)를 통과하여 우측 눈(8)에 입사된다.
좌측 눈(7)으로 입사하는 2D 영상(L)은 좌측 제1 반사경(1)과 좌측 제2 반사경(2)을 통하여 입사하는 입사각을 지니게 되고, 우측 눈(8)으로 입사하는 2D 영상(L)은 우측 제1 반사경(3)과 우측 제2 반사경(4)을 통하여 입사하는 입사각을 지니게 되므로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2D 영상(L)의 데이터 값은 서로 다르다.
이처럼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된다. 즉, 좌측 눈(7)은 2D 영상(L)을 좌측 제1 반사경(1)과 좌측 제2 반사경(2)을 통하여 보게 되고 우측 눈(8)은 2D 영상(L)을 우측 제1 반사경(3)과 우측 제2 반사경(4)을 통하여 보게 되기 때문에 좌/우측 눈(7,8)으로 들어오는 2D 영상(L)의 입사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시차를 지닌 좌우의 영상이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입사각으로 반사경(1,2,3,4)을 거치면서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안경(100)을 통하여 생성된 시차를 지닌 이 두 영상이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된 후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200)은,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좌측에 결합되어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1)과,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우측에 결합되며, 좌측 제1 반사경(1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12)과, 좌측 제2 반사경(12)과 연결되며, 좌측 제2 반사경(12)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3 반사경(13)과, 좌측 제1 반사경(11)과 연결되며, 좌측 제3 반사경(1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19)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4 반사경(14)과,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우측에 결합되어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15)과,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좌측에 결합되며, 우측 제1 반사경(15)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16)과, 우측 제2 반사경(16)과 연결되며, 우측 제2 반사경(16)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3 반사경(17)과, 우측 제1 반사경(15)과 연결되며, 우측 제3 반사경(17)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20)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4 반사경(18)을 포함한다.
이때, 좌측 제1 반사경(11)과 좌측 제2 반사경(12), 좌측 제3 반사경(13)과 좌측 제4 반사경(14), 우측 제1 반사경(15)과 우측 제2 반사경(16), 그리고 우측 제3 반사경(17)과 우측 제4 반사경(18)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제2 반사경(12)과 좌측 제3 반사경(13), 그리고 우측 제2 반사경(16)과 우측 제3 반사경(17)은 연결부(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200)은 반사경이 제1 실시예보다 추가됨에 따라 입체감의 효과가 증대된다.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200)의 작용을 살펴본다.
2D 영상(L)은 좌측 제1 반사경(11), 좌측 제2 반사경(12), 좌측 제3 반사경(13), 좌측 제4 반사경(14)을 통하여 좌측 눈(19)에 입사된다. 또한 2D 영상(L)은 우측 제1 반사경(15), 우측 제2 반사경(16), 우측 제3 반사경(17), 우측 제4 반사경(18)을 통하여 우측 눈(20)에 입사된다.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은 사람의 코에 거는 입체안경(200)의 안경코걸이(22), 좌측 안경 테두리(55) 및 우측 안경 테두리(6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 안경 테두리(55)와 우측 안경 테두리(66)는 안경코걸이(22)에 의해 연결되며, 좌측 안경 테두리(55)와 우측 안경 테두리(66)에는 안경다리(99)가 연결된다.
도 2처럼 2D 영상(L)이 도 1에서 보다 2배로 더 많은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을 거치는 동안에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에서 반사되는 영상의 데이터 값은 처음 입사되는 2D 영상(L)의 데이터 값보다 더 변화를 지니게 되므로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되는 영상은 처음의 2D 영상(L)에 비하여 더 많은 시차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많은 시차를 지니고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하는 영상은 뇌에서 더 많은 입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200)을 착용하고 2D 영상(L)을 볼 때에 2D 영상(L)을 입체영상(3D)으로 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입체안경(200)을 통하여 일반 사물을 볼 때에도 더 많은 입체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의료 수술이나 군사용 등으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입체안경(200)을 착용하고 일반적인 2D 영상(L)을 볼 때에 3D 영상으로 볼 수 있으므로 산업상 모든 영상 부문에 이용이 가능하고, 영상뿐만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입체안경(200)을 착용하고 사물을 볼 때에도 맨눈으로 볼 때보다 더 입체적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의료 수술을 비롯하여 많은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사물 또는 사물 이미지(L,R)를 더욱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반사경(1',2',3',4')이 부착되어 있는 입체안경(300)을 나타내고 있다. 작용을 살펴본다.
사물 이미지(L)가 입체안경(300)의 좌측 제1 반사경(1')을 통하여 좌측 제2 반사경(2')을 거쳐 좌측 안경 테두리(5')를 통과하여 좌측 눈(7')에 입사되고, 사물 이미지(R)가 우측 제1 반사경(3')을 통하여 우측 제2 반사경(4')을 거쳐 우측 안경 테두리(6')를 통과하여 우측 눈(8')에 입사된다.
좌측 눈(7')으로 입사하는 사물 이미지(L)가 좌측 제1 반사경(1')과 좌측 제2 반사경(2')을 통하여 입사하는 입사각을 지니게 되고, 우측 눈(8')으로 입사하는 사물 이미지(R)는 우측 제1 반사경(3')과 우측 제2 반사경(4')을 통하여 입사하는 입사각을 지니게 되므로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사물 이미지(L,R)의 입사각은 맨눈으로 볼 때보다 커져서 서로 다르게 되고, 이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된 입사각이 커진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더 많은 입체감을 갖게 하는 입체영상(3D)을 형성한다.
즉 좌측 눈(7')은 사물 이미지(L)를 좌측 제1 반사경(1')과 좌측 제2 반사경(2')을 통하여 보게 되고, 우측 눈(8')은 사물 이미지(R)를 우측 제1 반사경(3')과 우측 제2 반사경(4')을 통하여 보게 되므로, 좌/우측 눈(7',8')으로 들어오는 사물 이미지(L,R)의 입사 경로가 다르므로 더 큰 시차를 지닌 좌우의 영상이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서로 커진 입사각으로 반사경을 거치면서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안경(300)을 통하여 맨눈으로 볼 때보다 입사각이 큰 시차를 지닌 좌우의 두 영상이 좌우의 눈으로 입사된 후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감이 큰 입체영상(3D)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의 구조도이다.
도 4는 사물 또는 사물 이미지(L,R)를 더욱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이 부착되어 있는 입체안경(400)을 나타내고 있다. 작용을 살펴본다.
사물 이미지(L)는 좌측 제1 반사경(11'), 좌측 제2 반사경(12'), 좌측 제3 반사경(13'), 좌측 제4반사경(14')을 통하여 좌측 눈(19')에 입사된다. 그리고 사물 이미지(R)가 우측 제1 반사경(15'), 우측 제2 반사경(16'), 우측 제3 반사경(17'), 우측 제4 반사경(18')을 통하여 우측 눈(20')에 입사된다.
이때, 좌측 제1 반사경(11')과 좌측 제2 반사경(12'), 좌측 제3 반사경(13')과 좌측 제4 반사경(14'), 우측 제1 반사경(15')과 우측 제2 반사경(16'), 그리고 우측 제3 반사경(17')과 우측 제4 반사경(18')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제2 반사경(12')과 좌측 제3 반사경(13'), 그리고 우측 제2 반사경(16')과 우측 제3 반사경(17')은 연결부(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은 사람의 코에 거는 입체안경(400)의 코걸이(22'), 좌측 안경 테두리(55') 및 우측 안경 테두리(6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사물 이미지(L,R)가 도 3에서 보다 2배로 더 많은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 좌측 반사경(11',12',13',14')과 우측 반사경(15',16',17',18')에서 반사되는 이미지는 처음 입사되는 이미지(L,R)의 입사각보다 더 크게 입사될 수 있으므로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되는 이미지는 맨눈으로 보는 이미지에 비하여 더 많은 시차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시차를 지니고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하는 이미지는 뇌에서 더 많은 입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입체안경(100,200,300,400)의 다리(9,9',99,99')를 거는 형태와 착용자의 코에 입체안경(100,200,300,400)의 코걸이(21,21',22,22')를 거는 형태의 입체안경(100,200,300,400)의 모양은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나타내고 있는 반사경의 숫자는 실시예이므로 반사경의 숫자를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증가하여 입체감을 더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입체안경을 착용하고 일반적인 2D 영상을 볼 때에 3D 영상으로 볼 수 있으므로 산업상 모든 영상 부문에 이용이 가능하고, 영상뿐만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입체안경을 착용하고 사물을 볼 때에도 맨눈으로 볼 때보다 더 입체적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의료 수술을 비롯하여 많은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입체안경
1,2,3,4,11,12,13,14,15,16,17,18 ; 반사경
1',2',3',4',11',12',13',14',15',16',17',18' ; 반사경
7, 19, 7', 19' ; 좌측 눈
8, 20, 8', 20' ; 우측 눈
5, 6, 5', 6',55, 66, 55', 66' ; 안경 테두리
9, 9',99, 99' ; 안경다리
21, 21',22, 22' ; 안경코걸이

Claims (9)

  1. 2D 영상(L)을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1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7)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2);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3); 및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8)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4)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과 상기 좌측 제2 반사경(2), 그리고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과 상기 우측 제2 반사경(4)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3. 2D 영상(L)을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2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12);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3 반사경(13);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19)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4 반사경(14);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2D 영상(L)을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15);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16);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3 반사경(17); 및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20)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4 반사경(18)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2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과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과 상기 좌측 제4 반사경(14),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과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 그리고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과 상기 우측 제4 반사경(18)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과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 그리고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과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은 연결부(C)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6. 사물 이미지(L,R)를 맨눈으로 볼 때 보다 입체감을 더해주면서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3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L)를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7')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2');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R)를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3'); 및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8')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4')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7',8')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300).
  7. 사물 이미지(L,R)를 맨눈으로 볼 때 보다 입체감을 더해주면서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400)으로서,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L)를 반사시키는 좌측 제1 반사경(11');
    상기 좌측 안경 테두리(55')의 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2 반사경(12');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2 반사경(12')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좌측 제3 반사경(13');
    상기 좌측 제1 반사경(11')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3 반사경(13')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좌측 눈(19')으로 입사시키는 좌측 제4 반사경(14');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사물 이미지(R)를 반사시키는 우측 제1 반사경(15');
    상기 우측 안경 테두리(66')의 좌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2 반사경(16');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2 반사경(16')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다시 반사시키는 우측 제3 반사경(17'); 및
    상기 우측 제1 반사경(15')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3 반사경(17')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우측 눈(20')으로 입사시키는 우측 제4 반사경(18')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눈(19',20')으로 입사되는 서로 다른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영상(3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400).
  8. 청구항 1, 3, 6,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이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9. 청구항 1, 3, 6,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앞에 필터 또는 렌즈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KR1020130033222A 2012-03-28 2013-03-28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KR20130110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917 2012-03-28
KR20120031917 2012-03-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93A Division KR20140118965A (ko) 2014-09-04 2014-09-04 사물의 입체감을 더해서 볼 수 있는 입체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105A true KR20130110105A (ko) 2013-10-08

Family

ID=4926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222A KR20130110105A (ko) 2012-03-28 2013-03-28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92269A1 (ko)
KR (1) KR20130110105A (ko)
CN (1) CN104246579A (ko)
AU (1) AU2013240745A1 (ko)
WO (1) WO2013147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4423A (ja) * 2019-09-24 2020-02-13 ソン, ジェイSONG, Jay 調節可能光学立体メガ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393A (zh) * 2017-02-15 2017-08-18 刘简 2d视频转换为3d视频的理论方法和眼镜装置
CN213634009U (zh) * 2020-05-26 2021-07-06 刘简 看2d视频为3d视频的立体眼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259A (en) * 1913-12-05 1915-09-14 Bausch & Lomb Binocular periscope.
US2255197A (en) * 1939-03-23 1941-09-09 Roy E Thomas Periscope
US4295153A (en) * 1980-03-31 1981-10-13 GIBSON Stephen Stereoscopi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568970A (en) * 1984-08-30 1986-02-04 Rockstead Walter R Stereoscopic television system and apparatus
WO1994029761A1 (en) * 1993-06-07 1994-12-22 A.T.M.A. S.R.L. Stereoscopic vision device of virtual realities and corresponding stereoscopic vision method
US5640222A (en) * 1996-03-15 1997-06-17 Paul; Eddi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reoscopic images
KR100379763B1 (ko) * 2001-04-14 2003-04-10 강승연 입체안경 없이 볼 수 있는 입체영상촬영장치
CN1342911A (zh) * 2001-06-29 2002-04-03 徐向春 反光立体眼镜
CN2775704Y (zh) * 2005-04-13 2006-04-26 田宪文 立体成像镜和立体观像镜
WO2008034342A1 (fr) * 2006-09-04 2008-03-27 Lei Zhong Miroir d'observation pour écran stéréo et procédé d'affichage d'une image stéréo
JP4222627B1 (ja) * 2008-06-25 2009-02-12 高秋 伊藤 映像立体的認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4423A (ja) * 2019-09-24 2020-02-13 ソン, ジェイSONG, Jay 調節可能光学立体メガ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2269A1 (en) 2015-04-02
WO2013147530A1 (ko) 2013-10-03
CN104246579A (zh) 2014-12-24
AU2013240745A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3801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204925509U (zh) 穿戴式显示设备
JP201121002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114620A (ko) 일종의 입체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367656B1 (ko)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KR101651995B1 (ko) 안폭 조절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10105A (ko)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CN104297933A (zh) 一种电子设备及眼镜
CN204807824U (zh) 数字偏振空间分割成像装置
CN102129128A (zh) 一种裸眼立体显示系统及显示立体图像的方法
TWI526717B (zh) 裸視立體顯示裝置及排列裸視立體顯示裝置之像素的方法
KR101207849B1 (ko)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JP2004294848A (ja) 三次元表示装置
CN108169902A (zh) 一种屏幕与镜片间位置可调节虚拟现实眼镜
KR20140118965A (ko) 사물의 입체감을 더해서 볼 수 있는 입체안경
JP201121175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B2478358A (en) Viewing device providing an increase in depth perception
CN105242406A (zh) 一种3d眼镜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639572B (zh) 偏振眼镜以及采用该偏振眼镜的立体显示系统
CN2789795Y (zh) 双视道反射立体眼镜
CN203025424U (zh) 3d影像观看装置
CN213634009U (zh) 看2d视频为3d视频的立体眼镜
KR101153205B1 (ko)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
CN101907779A (zh) 一种立体显示器成像的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6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11

Effective date: 2017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