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882B1 -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882B1
KR101077882B1 KR1020100007150A KR20100007150A KR101077882B1 KR 101077882 B1 KR101077882 B1 KR 101077882B1 KR 1020100007150 A KR1020100007150 A KR 1020100007150A KR 20100007150 A KR20100007150 A KR 20100007150A KR 101077882 B1 KR101077882 B1 KR 10107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lens mounting
inner fram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641A (ko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욱 filed Critical 진정욱
Priority to KR102010000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8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렌즈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지로 이루어진 외부렌즈를 구김이나 비틀림 없이 프레임부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부에 외부렌즈를 고정하는 내부 프레임에 내부렌즈의 고정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외부렌즈와 내부렌즈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부 노출이 억제시켜 내부 프레임에 의한 외관이 훼손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안경의 렌즈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Lens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sses frame}
본 발명은 안경의 렌즈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지로 이루어진 외부렌즈를 구김이나 비틀림 없이 프레임부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외부렌즈를 고정하는 내부 프레임에 내부렌즈의 고정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외부렌즈와 내부렌즈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부 노출이 억제시켜 내부 프레임의 노출에 따른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구성한 안경의 렌즈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선글라스 안경은, 빛을 차단하여 주고 반사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눈의 피로감을 덜어 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외적인 감각을 추구하기 위하여 패션용으로 널리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양안 시차를 이용한 3D 영상물의 보급으로 영화관이나 가정에서는 3D렌즈가 설치된 3D 안경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글라스나 3D 렌즈는 그 특성상, 도수렌즈와 달리 항시 착용하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 즉, 주위에 강렬한 햇빛이 조사되거나 입체영상의 관람할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도수렌즈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도수렌즈가 장착된 시력 교정용 안경 외에, 선글라스 안경 또는 3D 안경을 별도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시력 교정용 안경에 선글라스 안경 또는 3D 안경을 덧씌워서 착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착용에 따른 불편함과 복수의 안경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한편, 최근에는 시력교정용 안경에, 선글라스 렌즈, 또는 3D 렌즈를 갖는 보조 프레임을 견착시켜, 도수렌즈에 선글라스 렌즈 또는 3D렌즈를 적층되게 배치하여, 시력교정 기능 외에 차광기능 또는 3D 관람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프레임을 시력 교정용 안경에 견착시키면 무게가 무거워 코부위에 중압감이 증가되는 한편, 보조 프레임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전체적인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지로 이루어진 외부렌즈를 구김이나 비틀림 없이 프레임부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외부렌즈를 고정하는 내부 프레임에 내부렌즈의 고정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안경의 렌즈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는,
프레임부의 양편에 다리부가 형성된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중공의 렌즈 설치부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에 고정되는 중공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안착턱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부렌즈를 진입시켜 안착시키면, 상기 외부렌즈의 가장자리는 렌즈 설치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내부 프레임을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안착턱에 전면 가장자리가 안착된 외부렌즈의 가장자리 배면은, 내부 프레임의 전면 가장자리에 가압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벽에는 렌즈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 고정홈을 통해 내부 프레임에 내부렌즈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의 내벽과 이 렌즈 설치부에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의 외벽에는 압입홈과, 이 압압홈에 압입되는 압입돌기가 택일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입되어진 내부 프레임은 압입홈과 압입돌기의 압입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렌즈는 선글라스 필름, 편광필름, 또는 3D필름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에, 필름지로 이루어진 외부렌즈와 내부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진입하여 내부 프레임에 의해 외부렌즈가 고정되도록 한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한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는,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에, 외부렌즈가 구김이나 비틀림 없이 전개된 상태로 진입되고, 이 전개된 외부렌즈가 순차적으로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 필름지를 이루어진 외부렌즈가 구김되거나 비틀림이 발생되어 사물이 왜곡되게 보이는 현상이 억제되고, 또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루므로 착용과정 중에 외부렌즈가 요동하여 어지럼이 발생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의 전면은 외부렌즈 및 안착턱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 비노출되므로, 내부 프레임의 전면 노출에 의해 외관이 훼손되는 점이 예방될 수 있고, 또 상기 내부 프레임에는 내부렌즈의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설치구조가 채택된 안경테는, 도수렌즈의 비 착용자의 경우에는 내부 프레임의 탈착을 통해 외부렌즈의 간편한 교체가 가능하고, 또 도수렌즈의 착용자의 경우 평상시에는 내부 프레임에 내부렌즈를 설치하여 시력 교정용으로 활용하다가, 외부렌즈의 착용이 요구될 경우, 즉 시력교정 외 차광이나 자외선 차단이나 3D영상의 관람이 요구될 경우, 내부렌즈의 전방에 외부렌즈를 적층되게 설치하여, 시력 교정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편광 안경, 또는 3D 안경으로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렌즈의 설치구조를 채택한 안경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렌즈의 설치구조를 채택한 안경테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는 외부렌즈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b는 내부렌즈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c는 외부렌즈 내부렌즈를 동시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설치구조를 통한 안경테의 조립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렌즈의 설치구조를 채택한 안경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렌즈의 설치구조를 채택한 안경테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는 외부렌즈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b는 내부렌즈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c는 외부렌즈 내부렌즈를 동시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설치구조를 통한 안경테의 조립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렌즈의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의 양편에 다리부(20)가 설치된 형태의 안경테에 적용되어, 프레임부(10)에 외부렌즈(40), 또는 내부렌즈(50), 또는 이들 양자(40, 5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0은, 프레임부(10)와 다리부(20)를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이고, "F"는 프레임부의 전방을 "B"는 프레임부의 후방을 각각 나타낸 것임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의 설치구조에 의해 안경테(1)의 프레임부(10)에 설치되는 외부렌즈(40)는, 빛을 굴절시켜 초점을 변경하는 도수렌즈와 달리, 눈부심을 억제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선글라스 필름, 편광필름, 또는 양안시차를 형성하여 입체영상을 관람하도록 하는 3D 필름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렌즈(40)는 범용의 것으로 통상 평면 또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한 필름지로 이루어진 외부렌즈(40)는, 사출 가공을 통해 제작된 렌즈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볍고 두께가 얇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안경 전체의 경량화와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필름지로 이루어진 외부렌즈(40)는, 사출렌즈와 달리 박막인 관계로 외부 간섭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구겨지거나 비틀림 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렌즈(40)가 안정되게 전개된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 렌즈 설치구조를 제안하고, 상기 렌즈 설치구조에 의해 외부렌즈(40)의 구김이나 비틀림에 의해 사물이 왜곡되게 보이거나, 외부렌즈(40)가 착용과정에 요동하여 시야가 흩트러져 어지럼을 유발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를 갖는 상기 프레임부(10)은, 중공의 렌즈 설치부(12)가 형성된 외부 프레임(11)과; 상기 외부 프레임(12)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12)의 배면으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중공의 내부 프레임(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프레임(11)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12)의 전면 가장자리에 안착턱(12a)을 내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11)에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렌즈 설치부(12)가 좌우 양편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이 렌즈 설치부(12)에 삽입되는 내부 프레임(15)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렌즈 설치부(12)에 개별적으로 삽입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내부 프레임(15)이 외부 프레임(11)에 형성된 한 쌍의 렌즈 설치부(12)가 일괄하여 삽입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렌즈 조립구조를 통한 외부렌즈(40), 또는 내부렌즈(50), 및 이들 양자(40, 50)의 설치는, 최초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프레임(11)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12)에 후방(B)에서 전방(F) 방향으로 외부렌즈(40)를 진입시켜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렌즈(40)는 렌즈 설치부(12)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턱(12a)에 가장자리 전면(40a)이 안착되며, 상기 외부렌즈(40)의 외경은 렌즈 설치부(12)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관계로, 렌즈 설치부(12) 내경과의 간섭이 예방되어서 안정되게 전개된 상태를 이룬다.
이후, 작업자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렌즈(40)를 안착턱(12a)에 안착시킨 렌즈 설치부(12)의 후방(B)에서 전방(F) 방향으로 내부 프레임(15)을 진입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안착턱(12a)에 전개된 상태로 안착된 외부렌즈(40)의 가장자리 배면(40b)은, 렌즈 설치부(12)에 순차적으로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15)의 가장자리 전면(15a)에 의해 가압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 설치부(12)에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15)은, 렌즈 설치부(12)와 내부 프레임(15) 사이의 마찰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볼트를 통해 렌즈 설치부에 진입된 내부 프레임의 고정상태를 이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내부 프레임(15)은 고정은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프레임(11)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12)의 내벽과 이 렌즈 설치부(12)에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15)의 외벽에 압입홈(13)과 이 압압홈(13)에 압입하여 고정되는 압입돌기(17)가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렌즈 설치부(12)에 후방(B)에서 전방(F)으로 진입되어진 내부 프레임(15)은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입홈(13)과 압입돌기(17)의 압입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압입을 통한 내부 프레임(15)의 고정은, 드라이버 등의 별도의 취구가 요구되지 아니하고, 내부 프레임(15)과 외부 프레임(11)의 형상에 의해 이룩되므로, 생산성과 사용에 따른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렌즈(40)는 전면 가장자리(40a)는 안착턱(12a)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배면 가장자리(40b)는 내부 프레임(15)의 가장자리 전면(15a)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이루므로, 필름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외부렌즈(40)는 안정되게 전개된 상태로 고정상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는 기본적으로 외부렌즈(40)를 외부 프레임(11)의 렌즈 설치부(12)에 안정되게 전개된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내부 프레임(15)의 가압을 통해 외부렌즈(40)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므로, 외부렌즈(40)의 구김이나 비틀림이 예방되고, 또 안정된 고정에 의해 착용과정 중에 외부렌즈가 회전이나 좌우 이송되는 등 요동하는 현상이 안정되게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 설치부(12)에 진입되어 외부렌즈(4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내부 프레임(40)의 전면은, 외부 프레임(11)에 형성된 안착턱(12a)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내부 프레임(15)에 의해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렌즈(40)의 후방(B)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15)에, 내부(도수)렌즈(50)를 고정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시력의 교정을 요하는 내부(도수)렌즈 착용자는 상기 외부렌즈(40)의 후방)B)에 위치된 내부 프레임(15)에 내부(도수)렌즈(50)를 설치하여, 외부렌즈(40)와 내부렌즈(50)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프레임(15)의 내벽에 렌즈 고정홈(16)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 고정홈(16)을 통해 내부 프레임(15)에 내부(도수)렌즈(50)의 가장자리(51)를 압입하여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력교정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착용자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에 외부렌즈(40)만을 설치하여, 선글라스나 편광안경, 또는 3D 안경으로 활용하고, 내부(도수)렌즈(50) 착용자는 평상시 즉, 시력교정만이 요구될 경우에는 도 3b와 같이 내부 프레임(15)에 내부렌즈(50)를 고정하여 시력교정용으로 활용하고, 외부렌즈(40)의 착용이 요구될 경우, 즉 시력교정 외 차광이나 자외선 차단이나 3D영상의 관람이 요구될 경우, 도 3c와 같이 내부렌즈(50)의 전방에 외부렌즈(40)를 적층되게 설치하여, 시력 교정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편광 안경, 또는 3D 안경으로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외부렌즈를 필름지로 구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출렌즈도 활용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1. 안경테
10. 프레임부
11. 외부 프레임 12. 렌즈 설치부
12a. 안착턱 13. 압입홈
15. 내부 프레임 15a. 전면 가장자리
16. 렌즈 고정홈 17. 압입돌기
20. 다리부 30. 힌지 어셈블리
40. 외부렌즈 40a. 전면 가장자리
40b. 배면 가장자리 41. 압입돌기
50. 내부렌즈 51. 가장자리

Claims (4)

  1. 프레임부의 양편에 다리부가 형성된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중공의 렌즈 설치부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에 고정되는 중공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안착턱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부렌즈를 진입시켜 안착시키면, 상기 외부렌즈의 가장자리는 렌즈 설치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내부 프레임을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안착턱에 전면 가장자리가 안착된 외부렌즈의 가장자리 배면은, 내부 프레임의 전면 가장자리에 가압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벽에는 렌즈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 고정홈을 통해 내부 프레임에 내부렌즈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의 내벽과 이 렌즈 설치부에 진입되는 내부 프레임의 외벽에는 압입홈과, 이 압압홈에 압입되는 압입돌기가 택일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렌즈 설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입되어진 내부 프레임은 압입홈과 압입돌기의 압입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렌즈는 선글라스 필름, 편광필름, 또는 3D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KR1020100007150A 2010-01-26 2010-01-26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KR101077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50A KR101077882B1 (ko) 2010-01-26 2010-01-26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50A KR101077882B1 (ko) 2010-01-26 2010-01-26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641A KR20110087641A (ko) 2011-08-03
KR101077882B1 true KR101077882B1 (ko) 2011-10-28

Family

ID=4492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150A KR101077882B1 (ko) 2010-01-26 2010-01-26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06B1 (ko) * 2014-04-14 2014-11-17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더블 렌즈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10Y1 (ko) * 2012-11-26 2014-07-24 장용찬 안경 프론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068A (en) 1994-09-15 1996-06-11 Bausch & Lomb Incorporated Optical plastic and glass lens assembly for use in an eyewear frame
JP2002107678A (ja) 2000-09-26 2002-04-10 Nippon Tenganyaku Kenkyusho:Kk 可変焦点レンズ
US6607270B2 (en) 2001-11-26 2003-08-19 Opti-Clip International Llc Clip-on accessory for eyeglasses
KR200350085Y1 (ko) 2004-01-12 2004-05-13 주식회사 유레카 렌즈 교환식 고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068A (en) 1994-09-15 1996-06-11 Bausch & Lomb Incorporated Optical plastic and glass lens assembly for use in an eyewear frame
JP2002107678A (ja) 2000-09-26 2002-04-10 Nippon Tenganyaku Kenkyusho:Kk 可変焦点レンズ
US6607270B2 (en) 2001-11-26 2003-08-19 Opti-Clip International Llc Clip-on accessory for eyeglasses
KR200350085Y1 (ko) 2004-01-12 2004-05-13 주식회사 유레카 렌즈 교환식 고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06B1 (ko) * 2014-04-14 2014-11-17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더블 렌즈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641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3169A1 (en) 3-D eyewear
WO2016039981A1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KR101064599B1 (ko) 돗수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액티브 타입 입체영상안경
KR101077882B1 (ko)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KR20210022400A (ko) 시력보정렌즈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구현장치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KR102346852B1 (ko) 선글라스 탈착 취부형 안경
KR200455089Y1 (ko) 보조안경
KR20130073912A (ko) 보호안경
CN109313354B (zh) 易于卡接镜片的眼镜
CN109923444B (zh) 适于面部几何形状的3d眼镜
KR20120004635A (ko) 안경테용 안경다리의 힌지 구조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CN108471528A (zh) 一种近视和正常视力者均可舒适佩戴的影院用3d眼镜
US8777404B1 (en) Temporary eyeglass frame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KR102396810B1 (ko) 안경테 구조체
TWM545262U (zh) 眼鏡換片結構
KR20240023773A (ko) 일회용 안경
WO2024076388A1 (en) Projector corrective glasses
KR20110008447A (ko) 클립 고정식 보조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