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882A -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 Google Patents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882A
KR20230174882A KR1020220076053A KR20220076053A KR20230174882A KR 20230174882 A KR20230174882 A KR 20230174882A KR 1020220076053 A KR1020220076053 A KR 1020220076053A KR 20220076053 A KR20220076053 A KR 20220076053A KR 20230174882 A KR20230174882 A KR 2023017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lored
colored lens
lens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to KR102022007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882A/ko
Publication of KR2023017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한다.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는 안경 프레임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착색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 상기 착색렌즈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DETACHABLE TINTED LENSES MEMBER ON GLASSES AND EYEWE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시력이 좋지 않아 도수가 있는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 또한,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강한 빛을 차단하기 위해 착색이 된 고글이나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착용하곤 하는데, 안경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시력 때문에 별도로 도수가 있는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맞춤 구매하여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실외에서는 착색이 되어 있는 아이웨어를 착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어두운 실내에서는 이를 벗고 다시 도수가 있는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여 안경과 착색이 된 아이웨어를 2개를 모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착색이 된 렌즈가 적용된 아이웨어의 경우 일조량이 많은 낮이나 외부에는 많은 양의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해 눈부심을 방지하지만, 빛의 양이 적은 밤이나 실내에는 오히려 사물을 인식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많아, 별도로 투명하고 도수가 있는 안경을 소지하고 다니다가 각각의 상황에 맞는 것으로 변경하여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도수가 맞춰진 안경을 착용하면서 빛의 조사량이 많은 상황에서는 착색렌즈가 적용된 조립체를 안경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자의 눈에 조사되는 빛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면서도, 빛의 조사량이 적은 상황에서는 쉽게 착색렌즈가 적용된 조립체를 제거하여 투명하면서 도수가 맞춰진 안경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게 하고, 착색렌즈가 적용된 조립체의 보관 및 소지가 용이하도록 하게 하는 아이웨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1114호(2019년 07월 11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수가 맞춰진 안경 등에 착색이 된 렌즈의 조립체를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수가 있는 안경과 착색이 된 렌즈를 동시에 적용가능 하도록 하는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안경에 적용되는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쉽게 결합과 분리가 되면서도 결합시에는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착색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보관할 때에는 자력이 있는 타물체에 결합하여 쉽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는 안경 프레임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착색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 상기 착색렌즈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 물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성체 물질과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상기 안경 프레임 양단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스크래치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 방지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과 상기 안경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후면의 상단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 및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된 보조 프레임 단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가 부착될 때에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앙의 상단과 접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후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의 착색렌즈가 중심부에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해 중심부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1렌즈결합부, 하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2렌즈결합부 및 상기 제 1렌즈결합부와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부와 접하는 렌즈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렌즈결합부 및 상기 제 2렌즈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부가 계지되고, 상기 렌즈 접합면과 착색렌즈의 중심부의 면이 접하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이 상기 착색렌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렌즈결합부는 하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렌즈결합부는 상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렌즈결합부와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의 절곡된 영역의 후면에 형성된 제 1버퍼 및 상기 렌즈 접합면의 전면에 형성된 제 2버퍼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의 수평단면 상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전방 방향으로 치우쳐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보조 프레임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보조 프레임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는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가 삽입되는 함몰된 공간 및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 사이의 빈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함몰된 공간에서 돌출된 착색렌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 사이의 빈 공간은 상기 착색렌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착색렌즈 프레임 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안경렌즈, 상기 안경렌즈에 결합된 안경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안경,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 상기 착색렌즈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의 후면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착색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전면에 탈부착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후면의 상단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 및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된 보조 프레임 단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가 부착될 때에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앙의 상단과 접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후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는 도수가 맞춰진 안경 등에 착색이 된 렌즈의 조립체를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수가 있는 안경과 착색이 된 렌즈를 동시에 적용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경에 적용되는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쉽게 결합과 분리가 되면서도 결합시에는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색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보관할 때에는 자력이 있는 타물체에 결합하여 쉽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아이웨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의 아이웨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의 아이웨어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의 아이웨어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색렌즈 조립체를 제거한 상태의 안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색렌즈 조립체를 제거한 상태의 안경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안경에 결합되는 부분인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모습을 상단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물체에 부착하여 보관하는 모습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물체에 부착하여 보관하는 모습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심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보조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의 보조 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보조 프레임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보조 프레임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를 상단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에서 보조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일단 부분의 렌즈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에서 일단의 렌즈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의 렌즈 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아이웨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의 아이웨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의 아이웨어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상태의 아이웨어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안경에 착색렌즈 조립체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착색렌즈 조립체는 안경의 안경렌즈(1100)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안경 프레임(110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안경의 안경렌즈(11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시력에 맞게 도수를 조정한 렌즈로서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착색렌즈 조립체는 착색이 된 착색렌즈(2100)를 적용하여 강한 빛을 차단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착색렌즈(2100)를 위해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는 물질에 착색물질이 함유되어 있거나,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착색렌즈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이웨어의 경우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착색렌즈 조립체(2100)의 제 2결합부재가 안경 프레임 양단에 위치한 제 1결합부재에 자력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주변의 환경에 맞게 착색렌즈 조립체(2100)를 안경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주변 빛의 조도가 강한 실외나 낮의 경우 착색렌즈 조립체(2100)를 안경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줄이고 자외선 등을 차단하면서도, 도수가 있는 안경을 그대로 착용할 수 있어, 별도로 착색렌즈에 도수를 맞추지 않더라도 아이웨어에 전달된 빛에서 사용자의 안구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변 빛의 조도가 약한 실내나 밤의 경우에는 착색렌즈 조립체(2100)를 분리하여 자신의 안경만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착색렌즈 조립체(2100)를 안경에 탈부착하기 위해 상기 안경은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1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착색렌즈 조립체(2100)의 제 2결합부재와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의 자력에 의해 착색렌즈 조립체(2100)와 안경 프레임(1200)의 결합은 부착, 결합 등의 용어로 정의될 수 있으며, 직접 접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부착, 결합 등의 용어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121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 양단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1210)와 상기 제 2결합부재(2310)는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1210)는 안경 프레임(1200) 양단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자성체 물질이나 자성체와 결합가능한 물질로 형성된 구성이 상기 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후에 다시 설명하겠으나, 제 1결합부재(1210)가 제 2결합부재(2310)과 직접 접하지 않는 안경 프레임(1200)의 후면에 형성됨으로써,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 자력에 의해 결합할 때에 이들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착색렌즈 조립체(2000)는 안경에 결합되면 안경의 안경렌즈(1100)와 착색렌즈(2100)가 서로 직접 접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경렌즈(1100)는 안경프레임(1200)의 두께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거나, 착색렌즈(2100)가 착색렌즈 프레임(2300)의 두께에 비해 내측에 취하거나, 안경과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수평단면 상의 곡률이 서로 비슷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듯, 안경의 안경렌즈(1100)와 착색렌즈(2100)가 서로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결합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안경렌즈(1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색렌즈 조립체를 제거한 상태의 안경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에서 착색렌즈 조립체를 제거한 상태의 안경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안경에 결합되는 부분인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가 안경에 결합된 모습을 상단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는 안경 프레임(1200)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착색렌즈 조립체(2000)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2100), 상기 착색렌즈(2100)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2300), 및 상기 안경프레임(1200)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1210)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231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1210) 및 상기 제 2결합부재(2310)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결합부재(121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 양단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1210)와 상기 제 2결합부재(2310)는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될 때에 강한 결합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 1결합부재(1210) 및/또는 제 2결합부재(2310)의 자성체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가 파손될 경우 자력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거나, 결합이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가 직접 접하여 결합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자력에 의해서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 1결합부재(1210) 및/또는 제 2결합부재(23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1210)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스크래치 방지부(1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 방지부(125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과 상기 안경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의 전면에서는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가 자력에 의해 결합할 때에 제 2결합부재(2310)가 안경 프레임(1200)에 접하면서 강한 충격을 줄 수 있어 이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안경 프레임(1200)이 손상될 수 있는데, 표면에 메탈층이 형성된 스크래치 방지부(1250)를 형성함으로써, 제 2결합부재(2310)과 접하는 부위의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의 결합은 직접 접하지 않게 제 1결합부재(1210)를 안경 프레임(1200)의 후면에 배치하여 자력으로만 결합되도록 하여 제 1결합부재(1210) 및/또는 제 2결합부재(231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안경 프레임(1200)의 제 2결합부재(2310)와 직접 접하는 위치에는 표면에 메탈층이 형성된 스크래치 방지부(1250)를 형성하여 안경 프레임(120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탈층에 의해 안경 프레임(1200)에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색렌즈(2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부 사물을 시인하도록 할 수 있고, 착색물질을 포함하여 착색렌즈(2100)로 입사되는 높은 조도의 빛 중 일부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구로 전달되는 빛의 입사량을 적절히 줄여주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착색렌즈(2100)에 착색을 가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기술과 구성들이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착색렌즈(2100)의 양단에 위치하여 착색렌즈(2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플라스틱 수지재 등 일정 강성과 탄성이 확보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글, 선글라스, 안경 등의 아이웨어에서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착색렌즈(2100)의 테두리를 둘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7과 같이 착색렌즈(2100) 상에서 양단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착색렌즈(2100)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프레임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으로 착색렌즈 프레임(2300)의 무게를 줄여 안경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안경이나 아이웨어의 경우 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후 움직이는 동적인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 동적인 상태에서 안경과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데, 착색렌즈 프레임(2300)이 배치되는 면적, 결합되는 부분, 착색렌즈 프레임(2300) 자체의 면적과 중량을 최소화하여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동적인 상황에서 안경과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결합부재(2310)는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1210)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결합부재(1210)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여 착색렌즈 조립체(2000)와 안경이 결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적절한 힘을 가할 경우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결합부재(2310)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착색렌즈(2100)의 양단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결합부재(1210) 및 상기 제 2결합부재(2310)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 물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성체 물질과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결합부재(2310)가 자성체 물질로 형성되면서, 제 1결합부재(1210)는 자성체 물질 혹은 자성체 물질과 결합 가능한 금속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제 1결합부재(1210) 및 제 2결합부재(2310) 둘다 자석과 같은 자성체 물질로 형성되거나, 제 2결합부재(2310)가 자성체 물질로 형성되고, 제 1결합부재(1210)는 자성체 물질과 결합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강력한 자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 1결합부재(1210) 및 제 2결합부재(2310) 모두 자석과 같은 자성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부재(2310)가 자성체 물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사용자가 안경에 착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 상기 자성체 물질과 결합 가능한 다른 사물에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부착하여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경우 착색렌즈(2100)를 포함하여 렌즈 부분이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양단에 존재하는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 형성된 제 2결합부재(2310)의 자성체 물질에 의해 금속재질로 형성된 타 물체에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안경으로부터 분리하여 주머니에 보관한다면 착색렌즈(2100) 부분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주변에 존재하는 혹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금속 재질의 소지품에 접합하여 보관함으로써, 착색렌즈(210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색렌즈(2100)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22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2200)은 상기 안경 프레임(1200)과 마주하는 후면의 상단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 및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된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1210) 및 상기 제 2결합부재(2310)가 부착될 때에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중앙의 상단과 접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후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안경에 결합될 때에 제 1결합부재(1210)과 제 2결합부재(2310)가 자력에 의해 결합이 되면,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는 안경 프레임(1200) 상단의 상단면에 안착되고,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는 안경 프레임(1200)의 상단의 후면에 걸쳐져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에 의해 안경 프레임(1200)의 상단면을 지지하여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에 의해 안경 프레임(1200)의 후면(안경 프레임에서 사용자와 직접 마주하는 면)이 지지되어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즉, 사용자의 안구와 멀어지는 방향) 이탈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안경 등의 아이웨어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정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적인 환경에 처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착색렌즈 조립체가 제 1결합부재(1210)과 제 2결합부재(2310)의 자력에 의해서만 결합되는 경우 동적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나, 중력방향으로 원치 않게 분리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와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에 의해 특정방향로 분리되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안경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는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하단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후면 일부에만 걸쳐지도록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안경 프레임(1200)과 접하는 면이 안경 프레임(1200) 후면의 일부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결합 및 분리가 쉽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색렌즈(2100)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의 착색렌즈(2100)가 중심부(2110)에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해 중심부(2110)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에 보조 프레임(2200)을 결합하여 중심부(2110)에서 안정적으로 보조 프레임(22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보조 프레임(2200)의 크기와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색렌즈를 일체화하고 중심부(2110)의 폭을 작게 하여 실제로 차광이 필요한 부분(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의 크기와 중량을 최소화하고 착색렌즈 프레임(2300)을 최소화하면서도 보조 프레임(2200)을 최소화하여 결국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안경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물체에 부착하여 보관하는 모습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물체에 부착하여 보관하는 모습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의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모자챙(1) 부분에 얇은 금속재질을 삽입한 경우, 본 발명의 아이웨어 사용자는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안경으로부터 분리한 후 모자챙(1)의 상단에 올려놓고 제 2결합부재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착색렌즈(2100)의 손상없이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모자챙(1)의 하단부분에 부착하여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야외활동이나 스포츠를 즐기는 경우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안경에 착용하여 사용하거나 이렇게 모자챙(1)에 보관하여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양한 환경에 맞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12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소지품이나 원하는 위치 등에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 물질을 배치함으로써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쉽게 보관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자석 등의 자성체와 결합이 가능한) 물질이 존재하는 제품 등을 활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소지품에 간단하게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 물질을 부착하여 사용하여 착색렌즈 조립체(2000)의 보관위치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주변에 존재하는 금속재질의 장치 등에 착색렌즈 조립체를 자력결합하게 하여 임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심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보조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의 보조 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도 15의 보조 프레임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조 프레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 프레임(2200)은 상기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1렌즈결합부(2240), 하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2결합부(2240) 및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와 접하는 렌즈접합면(2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 및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가 계지되고, 상기 렌즈접합면(2260)과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의 면이 접하면서 상기 보조 프레임(2200)이 상기 착색렌즈(2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착색렌즈(2100)에 보조 프레임(2200)의 결합은 제 1렌즈결합부(2240)과 제 2렌즈결합부(2250) 사이에서 계지되어 결합되고, 착색렌즈(2100)의 일면은 보조 프레임(2200)의 렌즈접합면(2260)과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 1렌즈결합부(2240), 렌즈접합면(2260) 및 제 2렌즈결합부(2250) 사이에는 일면이 트인 상태로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보다 안정적인 착색렌즈(210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는 하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는 상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2200)은 안경 프레임, 착색렌즈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재질, 즉, 강성을 확보하고 있으면서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절곡된 영역이 있더라도 일정 힘을 가하여 내측의 공간에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고, 결합후에는 안정적으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15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 사이에 형성된 보조 프레임 캐비티(2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와 마찬가지로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도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이격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와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에 의해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안경 프레임(1200)에 안정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하면서, 보조 프레임 캐비티(2230)를 형성하여 보조 프레임(2200)의 중량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을 최소화하여 착색렌즈 조립체(2000)가 안경으로부터 중력 등의 힘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도 17과 달리 본 발명의 보조 프레임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의 절곡된 영역의 후면에 형성된 제 1버퍼(2270) 및 상기 렌즈접합면(2260)의 전면에 형성된 제 2버퍼(22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버퍼(2270) 및/또는 제 2버퍼(2280)는 예를 들어, 스티로폼, 고무, 충격 흡수 필름 등의 충격을 흡수하는 공지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색렌즈(2100)와 직접 접하는 부분의 충격을 흡수하여 착색렌즈(2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를 상단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착색렌즈(2100)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안경의 안경렌즈가 좌안에서 우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에 대응하여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 등의 아이웨어는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춰 사용이 편리하도록 수평단면 상으로 전방으로(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 볼록한 형상일 수 있는데, 착색렌즈(2100) 또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방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이다. 이때,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의 수평단면 상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2200)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전방 방향으로 치우쳐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색렌즈 조립체를 안경에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다른 물체에 결합시켜 보관할 때에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 위치하는 제 2결합부재(2310)와 타물체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조 프레임(2200)이 착색렌즈 프레임(23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이를 넘을 경우 양단에 위치하는 제 2결합부재과 타물체와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보조 프레임(2200)이 착색렌즈 프레임(23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전방 방향으로 치우쳐지도록 하여 결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에서 보조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착색렌즈(2100)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의 착색렌즈(2100)가 중심부(2110)에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해 중심부(2110)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중심부(2110)의 폭을 작게 함으로써, 이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2200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전체적으로 착색렌즈 조립체의 중량을 줄여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색렌즈 조립체의 일단 부분의 렌즈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에서 일단의 렌즈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본 발명의 착색렌즈 조립체의 렌즈 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 내지 23을 참조하면, 상기 착색렌즈(2100)는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빈 공간(2130)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가 삽입되는 함몰된 공간 및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 사이의 빈 공간(2130) 내에 삽입되도록 함몰된 공간에서 돌출된 착색렌즈 결합부(2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 사이의 빈 공간(2130)은 상기 착색렌즈(2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들 사이에는 다른 구성이(즉, 착색렌즈 결합부(2350)) 결합될 수 있도록, 빈 공간(2130)이 형성되고, 결합된 후에는 잘 분리되지 않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영역을 구성하도록(즉, 가장 외측의 폭이 좁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 사이에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 형성된 착색렌즈 결합부(2350)가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착색렌즈(2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상기 착색렌즈(2100)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 결합되면,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착색렌즈 프레임 캐비티(2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캐비티(2320)는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1200)과 마주하는 면 상에만 형성되어, 외측에서는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착색렌즈 프레임(23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착색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도면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아이웨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안경렌즈(1100), 상기 안경렌즈(1100)에 결합된 안경 프레임(1200) 및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1210)를 포함하는 안경,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2100), 상기 착색렌즈(2100)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2300), 및 상기 안경프레임(1200)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의 후면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1210)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2310)를 포함하는 착색렌즈 조립체(2000)를 포함하되,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200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전면에 탈부착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1210) 및 상기 제 2결합부재(2310)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색렌즈(2100)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2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2200)은 상기 안경 프레임(1200)과 마주하는 후면의 상단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 및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된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1210) 및 상기 제 2결합부재(2310)가 부착될 때에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중앙의 상단과 접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222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후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외에도 본 발명이 아이웨어는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와 이에 결합되는 안경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구성들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 중 어느 하나가 자성체 물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자성체 물질과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구성, 제 1결합부재(1210)와 제 2결합부재(2310)가 직접 접하지 않는 구성, 안경 프레임(1200)의 양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1210)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스크래치 방지부(1250)를 더 포함하고, 스크래치 방지부(125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과 상기 안경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구성, 착색렌즈(2100)가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의 착색렌즈가 중심부에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해 중심부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2200)은 상기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1렌즈결합부(2240), 하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2결합부(2240) 및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와 접하는 렌즈접합면(2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 및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가 계지되고 상기 렌즈접합면(2260)과 착색렌즈(2100)의 중심부(2110)의 면이 접하면서 상기 보조 프레임(2200)이 상기 착색렌즈(2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는 하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는 상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렌즈결합부(2240)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2250)의 절곡된 영역의 후면에 형성된 제 1버퍼(2270) 및 상기 렌즈접합면(2260)의 전면에 형성된 제 2버퍼(22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상기 착색렌즈(2100)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의 수평단면 상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전방 방향으로 치우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는 상기 안경 프레임(1200)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보조 프레임 걸림부(2210) 사이에 형성된 보조 프레임 캐비티(2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렌즈(2100)는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빈 공간(2130)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가 삽입되는 함몰된 공간 및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 사이의 빈 공간(2130) 내에 삽입되도록 함몰된 공간에서 돌출된 착색렌즈 결합부(2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 사이의 빈 공간(2130)은 상기 착색렌즈(2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착색렌즈 프레임(2300)은 상기 착색렌즈(2100)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2300)에 결합되면,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21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착색렌즈 프레임 캐비티(2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이미 착색렌즈 조립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모자챙
10: 안경다리
20: 노즈패드
1100: 안경렌즈
1200: 안경 프레임
1210: 제 1결합부재
1250: 스크래치 방지부
2000: 착색렌즈 조립체
2100: 착색렌즈
2110: 착색렌즈의 중심부
2120: 착색렌즈의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
2130: 착색렌즈 말단의 빈 공간
2150: 착색렌즈 말단의 단턱부
2200: 보조 프레임
2210: 보조 프레임 걸림부
2220: 보조 프레임 단턱부
2230: 보조 프레임 캐비티
2240: 보조 프레임 제 1렌즈결합부
2250: 보조 프레임 제 2렌즈결합부
2260: 보조 프레임 렌즈 접합면
2270: 제 1버퍼
2280: 제 2버퍼
2300: 착색렌즈 프레임
2310: 제 2결합부재
2320: 렌즈 프레임의 캐비티
2350: 렌즈 프레임의 착색렌즈 결합부

Claims (15)

  1. 안경 프레임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착색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
    상기 착색렌즈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 물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성체 물질과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상기 안경 프레임 양단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스크래치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 방지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과 상기 안경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후면의 상단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 및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된 보조 프레임 단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가 부착될 때에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앙의 상단과 접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후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의 착색렌즈가 중심부에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해 중심부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1렌즈결합부, 하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제 2렌즈결합부 및 상기 제 1렌즈결합부와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부와 접하는 렌즈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렌즈결합부 및 상기 제 2렌즈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부가 계지되고, 상기 렌즈 접합면과 착색렌즈의 중심부의 면이 접하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이 상기 착색렌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렌즈결합부는 하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렌즈결합부는 상단을 향하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렌즈결합부와과 상기 제 2렌즈결합부의 절곡된 영역의 후면에 형성된 제 1버퍼 및 상기 렌즈 접합면의 전면에 형성된 제 2버퍼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의 수평단면 상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전방 방향으로 치우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보조 프레임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보조 프레임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는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가 삽입되는 함몰된 공간 및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 사이의 빈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함몰된 공간에서 돌출된 착색렌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 사이의 빈 공간은 상기 착색렌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은 상기 착색렌즈가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고정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착색렌즈 프레임 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렌즈 조립체.
  14. 안경렌즈, 상기 안경렌즈에 결합된 안경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안경;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착색렌즈, 상기 착색렌즈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착색렌즈 프레임, 및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색렌즈 프레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의 후면에 형성된 제 1결합부재에 탈부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착색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착색렌즈 조립체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전면에 탈부착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렌즈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안경 프레임과 마주하는 후면의 상단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 걸림부; 및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된 보조 프레임 단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가 부착될 때에 상기 보조 프레임 걸림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중앙의 상단과 접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 단턱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후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KR1020220076053A 2022-06-22 2022-06-22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KR20230174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053A KR20230174882A (ko) 2022-06-22 2022-06-22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053A KR20230174882A (ko) 2022-06-22 2022-06-22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882A true KR20230174882A (ko) 2023-12-29

Family

ID=8933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053A KR20230174882A (ko) 2022-06-22 2022-06-22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8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14A (ko) 2000-05-04 2001-01-05 한상윤 보험상품 공동구매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14A (ko) 2000-05-04 2001-01-05 한상윤 보험상품 공동구매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37847A (en) Magnetic bi-focal lens holder
US4741611A (en) Eyeglasses adapted for sports and protective use
BRPI0711960B1 (pt) Pastilha de modificação de uma potência de um componente óptico
KR102087621B1 (ko)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US7484842B2 (en) Configurable eyewear
KR20230174882A (ko)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착색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US20050046786A1 (en) Rotatable and removable auxiliary eyewear system
KR101808415B1 (ko)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KR102497582B1 (ko) 프레임 분리에 따라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
CN207037258U (zh) 一种组合式多功能眼镜
KR20130073912A (ko) 보호안경
KR102501022B1 (ko) 대상 안경에 탈부착되는 도수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GB2225646A (en) Framed lenses for use in a protective helmet
KR101805467B1 (ko) 탈착 필름 렌즈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CN212781534U (zh) 栅格眼镜
KR20190143263A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102478658B1 (ko)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US11181755B2 (en) Eyeglasses assembling structure having ancillary frame
KR200188409Y1 (ko) 선글라스캡
KR20230160483A (ko) 아이웨어
KR20110008447A (ko) 클립 고정식 보조안경
JP2001503536A (ja) 眼鏡レンズ固定用アダプタ
KR101870322B1 (ko) 공간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안경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