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658B1 -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658B1
KR102478658B1 KR1020200168882A KR20200168882A KR102478658B1 KR 102478658 B1 KR102478658 B1 KR 102478658B1 KR 1020200168882 A KR1020200168882 A KR 1020200168882A KR 20200168882 A KR20200168882 A KR 20200168882A KR 102478658 B1 KR102478658 B1 KR 10247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temples
glasses
lens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270A (ko
Inventor
임성규
김명희
임종호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임성규
김명희
임종호
임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김명희, 임종호, 임종윤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20016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72Hinges without well-defined pivot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의 위치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한 쌍의 렌즈(10), 사이에 자석을 포함한 브릿지(20), 자석을 포함한 연결부(30) 및 안경다리(40)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31)는 상기 제2연결부(33)와 마주하지 않은 일측에 원형의 형상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홈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40)는 상기 제1연결부(31)와 연결되는 끝단이 돌출되되 외형이 상기 홈부(3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부(32)에 억지 끼워지는 끼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가 홈부(32)를 중심으로 18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렌즈, 브릿지, 안경다리 중 어느 하나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바꾸어 연결이 가능함에 따라서 자신의 상황 등 다양한 안경 디자인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안경 디자인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안경다리의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대응이 용이한 한편, 렌즈의 무게가 서로 다를 시, 밸런스를 맞춰 균형유지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Self-customized glasses th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temples}
본 발명은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이 개별적으로 자력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렌즈와 렌즈사이에 구성되는 브릿지와 각각의 렌즈에 결합되는 안경다리의 위치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즉각적으로 대응 및 다양한 다자인의 안경을 표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근시, 원시, 난시, 노안 등 사물이 잘 보이지 않을 때 눈의 비정시력 교정 및 자외선, 적외선, 강한 가시광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써, 필요에 따라 그 상황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게 된다.
한편, 안경을 사용하는 용도가 단순히 시력 및 눈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안경착용 시 착용자의 인상을 좌우 하는 경우가 많아 대인관계, 연인관계, 면접 등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더불어 근래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발맞춰 착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독특한 디자인의 안경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보다 나은 안경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상기 안경의 경우, 안경테, 렌즈, 안경다리, 코받침으로 이루어진 안경과, 렌즈, 안경다리, 코받침으로 이루어진 안경으로 구분되되, 안경테가 없는 안경을 통상 무테안경이라고 하며, 근래에는 안경테가 없어 무게가 경량화된 무테안경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무테안경은 안경렌즈에 안경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안경렌즈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로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봉을 끼움하여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하며 렌즈와 렌즈 사이에 브릿지형의 렌즈 고정구를 연결 설치하여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완성된 안경의 안정성을 가질 수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눈의 시력교정 및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상의 렌즈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안경을 착용하여도 무관하나, 젊은 세대들에게 자신의 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이 상황에 맞춰서 안경의 다양한 형태 및 디자인 변형이 가능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를 이용하거나,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안경, 착용자들의 개성을 중요시 하다보니, 안경에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기술들 중 하나인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을 통해 착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478283호(실) 렌즈가 장착되며, 좌우 양측 각각에 돌출되게 결합부가 설치된 안경프레임; 상기 안경프레임의 결합부들 각각에 결합되며, 각도 조절 수단이 구비된 힌지 몸통들; 및 상기 안경프레임의 좌우 양측에서 힌지 몸통들 각각에 결합된 안경다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몸통들의 각도 조절 수단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내측면들이 상호 마주하도록 결합하여 내부에 상호 연결된 제1홀 및 제2홀을 형성하는 제1판 및 제2판; 상기 제1홀 내에 삽입 배치된 웜 나사; 상기 제2홀 내에 상기 웜 나사와 맞물리도록 삽입 배치되고, 상기 웜 나사의 회전을 통해 상하로 소정 각도 유격하며, 상기 안경프레임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휠; 및
상기 제1판 및 제2판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웜 나사 및 휠이 삽입 설치된 상기 제1판과 제2판을 상호 결합하도록 설치된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등록번호 10-1061910호(특) 안경테 측의 고정템플과 안경다리를 작동구와 수평핀 및 수직핀으로 연결하여 상하조절과 내측으로 접히는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하되, 안경다리 측에는 작동구가 삽입된 상태로 안경다리가 상하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작동공간을 마련하고, 작동구의 중간에는 탄성홈을 마련하되, 탄성홈은 작동구가 안경다리에 결합되었을 때 작동공간 내부에 위치토록 하며, 상기 탄성홈의 내부에는 탄성구를 삽입하되, 탄성구는 전면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탄성홈의 내부에 탄성구가 삽입되면 요철부가 탄성홈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하며, 탄성구는 요철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뒤로 밀려났다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다리의 작동공간 내부 측면에는 상기 요철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을 원호형으로 다수 형성하여 안경다리가 수평핀을 중심으로 상하로 젖혀질 때 각각 다른 위치의 걸림홈에 요철부가 삽입되도록 하며,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고정템플의 선단에는 작동구가 결합되어 안경 내측 수평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결합홈을 형성하였고 결함홈에 작동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핀 관통결합한 보호안경의 다리 각도 조절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안경다리의 각도가 조절됨에 있어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만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수직방향이외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며, 서로 다른 렌즈를 구비할 경우 적용하지 못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렌즈, 상기 렌즈 사이에 내부에 자석을 포함하는 브릿지, 내부에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가 연결되지 않은 렌즈의 단부에 각각의 연결부, 상기 렌즈와 연결되지 않은 연결부의 일측에 안경다리를 연결 구성하여, 상기 브릿지와 연결부의 자석에 의해 렌즈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상기 연결부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를 볼이 끼워지는 구조로 제공하여, 상기 안경다리가 볼 부분을 중심으로 수직, 수평, 대각선 등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렌즈를 이용할 시에도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편리하게 착용이 가능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한 쌍의 렌즈(10)와, 상기 렌즈(10)와 렌즈(10)를 연결하기 위해 양측에 한 쌍의 자석(20a)을 포함하는 브릿지(20)와, 상기 렌즈(10)의 양측끝단에 각각 구성되되, 분할된 제1,2연결부(31, 33)의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석(31a, 33a)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10)의 양측면에 상기 제1,2연결부(31, 33)가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렌즈(10)에 고정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끝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40)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31)는 상기 제2연결부(33)와 마주하지 않은 일측에 원형의 형상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홈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40)는 상기 제1연결부(31)와 연결되는 끝단이 돌출되되 외형이 상기 홈부(3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부(32)에 억지 끼워지는 끼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가 홈부(32)를 중심으로 18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렌즈(10)의 전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투명막(13)이 형성되고, 상기 안경을 착용 시, 서로 다른 크기의 렌즈(10)를 구성하되, 상기 안경의 전체적인 밸런스 유지를 위해 상기 렌즈(10) 중 더 작은 렌즈(10)의 외측 표면에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성투명막(51)을 갖는 밸런스유지대(50)를 상기 자성투명막(13)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브릿지(20)는, 분할된 형태로 제1,2브릿지(21, 23)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렌즈(10)의 일측에 삽입되는 각각의 렌즈삽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삽입홈(27)을 형성하는 측면에 자석(20a)이 구성되고, 상기 제1,2브릿지(21, 23)의 중앙부에 탄성부재삽입홈(22)이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22)에 인입되고 연결되어 당김성질을 갖는 탄성부재(2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릿지(21)의 자석(20a)을 포함하는 일부분(24)이 외측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렌즈(10)의 일측을 렌즈삽입홈(27)에 삽입 시, 상기 일부분(24)을 일측방향으로 개폐시켜 렌즈삽입홈(27)을 확장시킨 후, 상기 렌즈(10)를 삽입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렌즈(1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에 의하면, 무테안경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렌즈, 브릿지, 안경다리 중 어느 하나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바꾸어 연결이 가능함에 따라서 자신의 상황 등 다양한 안경 디자인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안경 디자인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안경다리의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대응이 용이한 한편, 렌즈의 무게가 서로 다를 시, 밸런스를 맞춰 균형유지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와 b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브릿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브릿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안경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이 개별적으로 자력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렌즈와 렌즈사이에 구성되는 브릿지와 각각의 렌즈에 결합되는 안경다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즉각적으로 대응 및 다양한 다자인의 안경을 표현할 수 있는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한 쌍의 렌즈(10)와, 상기 렌즈(10)와 렌즈(10)를 연결하기 위한 양측에 한 쌍의 자석(20a)을 포함하는 브릿지(20)와, 상기 렌즈(10)의 양측끝단에 각각 구성되되, 분할된 제1,2연결부(31, 33)의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석(31a, 33a)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10)의 양측면에 상기 제1,2연결부(31, 33)가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렌즈(10)에 고정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끝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40)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31)는 상기 제2연결부(33)와 마주하지 않은 일측에 원형의 형상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홈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40)는 상기 제1연결부(31)와 연결되는 끝단이 돌출되되 외형이 상기 홈부(3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부(32)에 억지 끼워지는 끼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가 홈부(32)를 중심으로 18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렌즈(10)의 양측에 구성되는 연결부(30)와 안경다리(40)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30)의 홈부(32)와 상기 안경다리(41)의 끼움돌기(41)가 볼 구조로 되어 있어,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상기 안경다리(4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렌즈(1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구성으로, 그 형상으로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브릿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와 렌즈(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10)와 렌즈(10)를 연결하기 위해 양측에 한 쌍의 자석(20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릿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형태로 제1,2브릿지(21, 23)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렌즈(10)의 일측에 삽입되는 각각의 렌즈삽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삽입홈(27)을 형성하는 측면에 자석(20a)이 구성되고, 상기 제1,2브릿지(21, 23)의 중앙부에 탄성부재삽입홈(22)이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22)에 인입되고 연결되어 당김성질을 갖는 탄성부재(25)가 구성된다.
즉, 상기 브릿지(20)는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2브릿지(21, 23)를 서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렌즈삽입홈(27)을 확장시킨 후, 상기 렌즈삽입홈(27)에 끼움하려는 렌즈(10)의 일측을 각각 끼운 다음, 상기 제1,2브릿지(21, 2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다시 밀림시키면, 상기 제1,2브릿지(21, 23)의 자석(20a)들에 의해 서로 당기면서 렌즈(10)를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브릿지(21, 23)를 서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당긴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탄성부재(25)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브릿지(21, 23)에 상기 탄성부재(25)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제1,2브릿지(21, 23)의 중앙부분에 탄성부재삽입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삽입홈(22)에 상기 탄성부재(25)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양끝단이 고정됨으로, 상기 제1,2브릿지(21, 23)를 서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2브릿지(21, 23) 중 어느 하나에 이동시키는 힘을 없애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25)의 당김성질로 인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자석(20a)에 의해 렌즈(10)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2브릿지(23)의 탄성부재삽입홈(22)과 렌즈삽입홈(27)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턱(26)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10)가 렌즈삽입홈(27)에 삽입될 시, 탄성부재(25)와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20)는 다른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릿지(21)의 자석(20a)을 포함하는 일부분(24)이 외측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렌즈(10)의 일측을 렌즈삽입홈(27)에 삽입 시, 상기 일부분(24)을 일측방향으로 개폐시켜 렌즈삽입홈(27)을 확장시킨 후, 상기 렌즈(10)를 삽입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렌즈(1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힌지구조를 통해 보다 더 용이하게 렌즈(10)를 삽입시킬 수가 있게 되며, 자칫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렌즈(10)의 훼손 또는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30)는, 도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의 양측끝단에 각각 구성되되, 분할된 제1,2연결부(31, 33)의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석(31a, 33a)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10)의 양측면에 상기 제1,2연결부(31, 33)가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렌즈(10)에 고정되되, 상기 제1연결부(31)는 상기 제2연결부(33)와 마주하지 않은 일측에 원형의 형상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홈부(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연결부(31, 33)는 상기 브릿지(20)와 마주하는 부분에 렌즈(10)가 삽입될 수 있는 렌즈삽입공간(도면부호없음)이 형성되어 삽입 구성되고, 상기 제1,2연결부(31, 33)의 연결은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 탄성부재(35)가 구성되어 탄성부재(35)의 복원력을 통해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구조로, 브릿지(2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31)에 형성된 홈부(32)는 돌출된 돌출뭉치(도면부호없음)가 형성되고, 그 돌출뭉치(도면부호없음)의 중앙부에 홈부(32)가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32)의 형상은 하기될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41)의 외형보다 아주 조금 작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4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연결부(31)는 일측에 상기 제2연결부(33)와 마주하지 않는 일측에 돌출뭉치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뭉치의 중앙부에 끼움돌기(41)보다 아주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는 홈부(32)가 형성되게 되어 상기 끼움돌기(4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경다리(40)는 상기 연결부(30)의 끝단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31)와 연결되는 끝단이 돌출되되 외형이 상기 홈부(3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부(32)에 억지 끼워지는 끼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가 홈부(32)를 중심으로 18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안경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안경다리(40)의 위치가 변하기 마련이고, 렌즈(10)의 위치가 변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춰서 상기 안경다리(40)가 상기 홈부(32)를 중심으로 끼움돌기(41)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되며, 상기 각도의 경우 수직, 수평, 대각선 방향을 모두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31)의 홈부(32)와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가 억지끼움으로 끼움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한편, 상기 끼움돌기(41)가 홈부(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홈부(32)가 끼움돌기(41)보다 아주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강한 고정이 가능함과 아울러, 각도를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위치 이동이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의 전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투명막(13)이 형성되고, 상기 안경을 착용 시, 서로 다른 크기의 렌즈(10)를 구성하되, 상기 안경의 전체적인 밸런스 유지를 위해 상기 렌즈(10) 중 더 작은 렌즈(10)의 외측 표면에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성투명막(51)을 갖는 밸런스유지대(50)를 상기 자성투명막(13)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밸런스유지대(50)는 서로 다른 렌즈(10)에 의해 안경의 전체적인 무게밸런스가 맞지 않을 경우 안경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코자 밸런스유지대(50)를 두 개의 렌즈(10) 중 크기 또는 무게가 적게 나가는 렌즈(10)의 외측에 부착하여서 양측의 무게 밸런스를 균형있게 맞춤으로써, 안경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맞춰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릿지(20)의 렌즈삽입홈(27)과 제1,2연결부(31, 33)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삽입홈에 렌즈(1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되, 렌즈(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삽입을 차단하고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구조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가 삽입되는 공간이 완전히 관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가 있는데, 즉, 이러한 구조는 브릿지(20)와 연결부(30)를 완전히 분할된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브릿지(20) 및 연결부(30)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성하지 않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분리된 하나의 브릿지를 위치시키고 그 위치에 분리된 다른 하나의 브릿지를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연결부 또한 원하는 위치에 분리된 하나의 연결부와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된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여서 렌즈(10)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구조의 경우 사용자의 얼굴 크기 및 각각의 렌즈의 크기에 맞춰서 연결부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킴과 아울러, 안경다리(40)의 각도조절을 통해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 : 렌즈 13 : 자성투명막
20 : 브릿지 20a : 자석
21 : 제1브릿지 23 : 제2브릿지
22 : 탄성부재삽입홈 24 : 일부분
25 : 탄성부재 26 : 걸림턱 27 : 렌즈삽입홈
30 : 연결부 31 : 제1연결부 31a : 자석
32 : 홈부 33 : 제2연결부 33a : 자석
35 : 탄성부재
40 : 안경다리 41 : 끼움돌기
50 : 밸런스유지대 51 : 자성투명막

Claims (4)

  1. 한 쌍의 렌즈(10)와, 상기 렌즈(10)와 렌즈(10)를 연결하기 위해 양측에 한 쌍의 자석(20a)을 포함하는 브릿지(20)와, 상기 렌즈(10)의 양측끝단에 각각 구성되되, 분할된 제1,2연결부(31, 33)의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석(31a, 33a)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10)의 양측면에 상기 제1,2연결부(31, 33)가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렌즈(10)에 고정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끝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40)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31)는 상기 제2연결부(33)와 마주하지 않은 일측에 원형의 형상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홈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40)는 상기 제1연결부(31)와 연결되는 끝단이 돌출되되 외형이 상기 홈부(3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부(32)에 억지 끼워지는 끼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40)의 끼움돌기(41)가 홈부(32)를 중심으로 18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렌즈(10)의 전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투명막(13)이 형성되고,
    상기 안경을 착용 시, 서로 다른 크기의 렌즈(10)를 구성하되,
    상기 안경의 전체적인 밸런스 유지를 위해 상기 렌즈(10) 중 더 작은 렌즈(10)의 외측 표면에 내부 또는 외측에 자성투명막(51)을 갖는 밸런스유지대(50)를 상기 자성투명막(13)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의 위치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안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20)는,
    분할된 형태로 제1,2브릿지(21, 23)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렌즈(10)의 일측에 삽입되는 각각의 렌즈삽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삽입홈(27)을 형성하는 측면에 자석(20a)이 구성되고,
    상기 제1,2브릿지(21, 23)의 중앙부에 탄성부재삽입홈(22)이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22)에 인입되고 연결되어 당김성질을 갖는 탄성부재(2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의 위치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안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21)의 자석(20a)을 포함하는 일부분(24)이 외측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렌즈(10)의 일측을 렌즈삽입홈(27)에 삽입 시, 상기 일부분(24)을 일측방향으로 개폐시켜 렌즈삽입홈(27)을 확장시킨 후, 상기 렌즈(10)를 삽입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렌즈(1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의 위치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안경.

KR1020200168882A 2020-12-04 2020-12-04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KR10247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82A KR102478658B1 (ko) 2020-12-04 2020-12-04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82A KR102478658B1 (ko) 2020-12-04 2020-12-04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70A KR20220079270A (ko) 2022-06-13
KR102478658B1 true KR102478658B1 (ko) 2022-12-19

Family

ID=8198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82A KR102478658B1 (ko) 2020-12-04 2020-12-04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6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746A (ja) * 2002-04-23 2003-11-06 Isamu Yamazaki 眼 鏡
US20080042317A1 (en) 2004-06-02 2008-02-21 Bacou-Dalloz Eye And Face Protection, Inc. Temple bar assembly for eyeglasses
KR102008296B1 (ko) 2018-05-10 2019-08-14 임성규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KR102008295B1 (ko) * 2018-04-24 2019-10-21 임성규 자가맞춤형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673B1 (ko) * 2009-12-30 2012-05-25 김사준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746A (ja) * 2002-04-23 2003-11-06 Isamu Yamazaki 眼 鏡
US20080042317A1 (en) 2004-06-02 2008-02-21 Bacou-Dalloz Eye And Face Protection, Inc. Temple bar assembly for eyeglasses
KR102008295B1 (ko) * 2018-04-24 2019-10-21 임성규 자가맞춤형 안경
KR102008296B1 (ko) 2018-05-10 2019-08-14 임성규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70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6372B2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KR20070007147A (ko) 안경
US7370961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US20160041404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brow bar
JPH0490508A (ja) 被せサングラス眼鏡
US7484842B2 (en) Configurable eyewear
KR102478658B1 (ko)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KR20190143263A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102346852B1 (ko) 선글라스 탈착 취부형 안경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KR20240037231A (ko) 안경을 위한 측면 쉴드
KR102357980B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JP2012047962A (ja) 保護眼鏡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200493352Y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구조
CN217333009U (zh) 一种可换不同形状镜片的新型眼镜架
KR101488791B1 (ko) 클립안경
US1842377A (en) Ophthalmic mounting
JP5190533B2 (ja) 眼鏡フレーム
KR200292589Y1 (ko) 복층의 렌즈구조를 구비한 안경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CN207380377U (zh) 一种嵌有可伸缩磁性材料的眼镜
JP2021071704A (ja) 隻眼者用眼鏡
CA3207968A1 (en) Mechanical elastic structure glasses without metal spring cores and without metal screws
KR200206836Y1 (ko) 보조 안경을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