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673B1 -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673B1
KR101150673B1 KR1020090134055A KR20090134055A KR101150673B1 KR 101150673 B1 KR101150673 B1 KR 101150673B1 KR 1020090134055 A KR1020090134055 A KR 1020090134055A KR 20090134055 A KR20090134055 A KR 20090134055A KR 101150673 B1 KR101150673 B1 KR 10115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bracket
locking
jaw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047A (ko
Inventor
김사준
Original Assignee
김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준 filed Critical 김사준
Priority to KR102009013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6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함은 물론, 안경테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개인에게 맞는 패션과 개성을 표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시에는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바로 분리될 수 있어 안경 착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 안경테, 안경다리

Description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LEG COUPLING DEVICE USED IN GLASSES}
본 발명은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함은 물론, 안경테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개인에게 맞는 패션과 개성을 표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시에는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바로 분리될 수 있어 안경 착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 안경테,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에는 상기 안경다리를 접기 위한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각 개인의 개성이 뚜렷해짐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레저 시에는 선글라스등 특이한 형상의 레저용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패션 안경의 경우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색상을 특이하게 변경하고 렌즈의 색상을 변경하여 새롭고 특이한 분위기를 나타내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안경으로서, 하나의 패션밖에 나타낼 수 없 으므로 개성이 강한 사용자는 패션안경을 여러 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제적 사정으로 인하여 이와 같이 패션 안경을 여러 개 구비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그만큼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려고 하는 행동을 자제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경은 안경다리가 부러질 경우 안경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은 안경을 착용하고 있을 때 얼굴에 어떠한 물체의 충격이 가해진다면, 안경다리는 안경에 그대로 부착된 채로 있어 사용자에게 부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함은 물론, 안경테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개인에게 맞는 패션과 개성을 표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시에는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바로 분리될 수 있어 안경 착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경테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래킷을 형성하되, 상기 브래킷 일 측은 걸림구가 수용되는 공간부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끝 단부에는 상기 걸림구에 형성된 걸림턱 부분이 걸리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의 절단면은 상기 공간부의 단면부에 각각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걸림구는 공간부의 라운드 부에 밀착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함은 물론, 안경테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개인에게 맞는 패션과 개성을 표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시에는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바로 분리될 수 있어 안경 착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 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도 3과 같이 안경테(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래킷(11)을 형성하며, 상기 브래킷(11)과 일체로 조립되는 걸림구(15)를 갖는 안경다리(1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안경다리(12)에 형성된 걸림구(15) 부분은 브래킷(11) 내부 공간부(20)에 형성된 라운드 부(17)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이때 회전하는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 부분은 도 5 및 도 6, 도 7의 (a)과 같이 브래킷(11) 내측의 고정턱(19)에 바로 걸리면서 안경다리(12)를 일자 형태로 펼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도 7의 (b)와 같이 브래킷(11)에 형성된 고정턱(19), 작동홈(13)과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이 없는 경우에는 도 7의 (b)와 같이 안경다리(12)의 걸림구(15)를 부분을 상기 브래킷(11)이 감싸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안경다리(12)의 걸림구(15)는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으면서 브래킷(11) 내부에서 안경다리(12)는 쉽게 빠져나오지 않는 구조이다.
여기서,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걸림구(15)는 상기 걸림구(15) 보다 좁게 형성되어진 브래킷(11)의 개구부에 수용되면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브래킷(11)의 일 측에는 작동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작 동홈(13)은 걸림턱(14)이 회전될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때, 걸림구(15) 상,하측에 형성되는 절단면(16) 부분은 브래킷(11) 내부 공간부(20)에 형성된 단면부(18)에 끼워져 밀착되는 구성이다.
즉, 도 3과 같이 브래킷(11) 내부 공간부(20)의 단면부(18)에는 안경다리(12)에 형성된 걸림구(15)의 절단면(16)이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걸림구(15)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턱(14) 부분은 도 1과 같이 작동홈(13)에 끼워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1) 일 측에는 걸림구(15)가 수용되는 공간부(20)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0)의 끝 단부에는 상기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 부분이 걸리는 고정턱(19)이 도 6과 같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15)의 절단면(16)은 도 2와 같이 단면부(18)에 각각으로 끼워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걸림구(15)는 공간부(20)의 라운드 부(17)에 밀착되어 도 4 및 도 5, 도 6과 같이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때, 안경다리(12)가 펼쳐진 경우에는 도 5 및 도 7의 (a)와 같이 걸림턱(14) 부분이 고정턱(19)에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15)는 상기 걸림구(15) 보다 좁게 형성되어진 브래킷(11)의 개구부에 수용되면서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경다리(12)를 접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걸림턱(14) 부분이 고정턱(19)에서 분리되면서 도 1 및 도 4와 같이 회전되면서 접어질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외부의 충격으로 브래킷(11)에 조립된 걸림구(15)가 공간부(20)에서 분리 될 수 있으나, 이때에는 도 3과 같이 걸림구(15) 부분을 다시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도 7의 (b)와 같이 브래킷(11)에 별도의 고정턱(19), 직동홈(13)과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이 없이도 상기 브래킷(11)의 단면부(18) 및 라운드부(17)는 안경다리(12)의 걸림구(15)와 절단면(16)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15)는 브래킷(11) 내부에 걸려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안경다리(12)에 형성된 걸림구(15) 부분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브래킷(11) 내부 공간부(20)에 형성된 라운드 부(17)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이때 회전하는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 부분은 브래킷(11) 내측의 고정턱(19)에 바로 걸리면서 안경다리(12)를 일자 형태로 펼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브래킷(11)의 일 측에는 작동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홈(13)은 걸림턱(14)이 회전될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때, 걸림구(15) 상,하측에 형성되는 절단면(16) 부분은 브래킷(11) 내부 공간부(20)에 형성된 단면부(18)에 끼워져 밀착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브래킷(11) 내부 공간부(20)의 단면부(18)에는 안경다리(12)에 형성된 걸림구(15)의 절단면(16)이 삽입되어 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걸림구(15)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턱(14) 부분은 도 1과 같이 작동홈(13)에 끼워진 후, 고정턱(19)에 걸리면서 안경다리(12)를 펼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15)의 절단면(16)은 도 2와 같이 단면부(18)에 각각으로 끼워져 회전하게 되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걸림구(15)는 공간부(20)의 라운드 부(17)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1)에 고정턱(19), 작동홈(13)과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이 없는 경우에는 도 7의 (b)와 같이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15)가 상기 걸림구(15) 보다 좁게 형성되어진 브래킷(11)의 개구부에 수용되면서 끼워져 고정됨은 물론, 상기 걸림구(15) 부분을 브래킷(11)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안경다리(12)는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브래킷(11) 내부에서 안경다리(12)는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함은 물론, 안경테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개인에게 맞는 패션과 개성을 표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시에는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바로 분리될 수 있어 안경 착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경테 11. 브래킷
12. 안경다리 13. 작동홈
14. 걸림턱 15. 걸림구
16. 절단면 17. 라운드 부
18. 단면부 19. 고정턱
20. 공간부

Claims (4)

  1. 삭제
  2. 안경테(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래킷(11)을 형성하되,
    상기 브래킷(11) 일 측은 걸림구(15)가 수용되는 공간부(20)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0)의 끝 단부에는 상기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 부분이 걸리는 고정턱(19)이 형성되고,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걸림구(15)는 절단면(16)이 형성됨과 함께 걸림구(15) 보다 좁게 형성되어진 브래킷(11)의 개구부를 통하여 수용되고,
    상기 절단면(16)은 공간부(20)의 단면부(18)에 끼워짐과 아울러 걸림구(15)는 공간부(20)의 라운드 부(17)에 밀착되면서 회전되며,
    상기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이 수용되기 위하여 브래킷(11)에는 작동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13)은 걸림턱(14)이 회전될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15)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턱(14)은 작동홈(13)에 끼워진 후, 고정턱(19)에 걸리거나 분리되면서 안경다리(12)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1)에 형성된 고정턱(19), 작동홈(13)과 안경다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구(15)에 형성된 걸림턱(14) 없이도 상기 브래킷(11)의 단면부(18) 및 라운드부(17)는 안경다리(12)의 걸림구(15)와 절단면(16)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12)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KR1020090134055A 2009-12-30 2009-12-30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KR10115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055A KR101150673B1 (ko) 2009-12-30 2009-12-30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055A KR101150673B1 (ko) 2009-12-30 2009-12-30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47A KR20100122047A (ko) 2010-11-19
KR101150673B1 true KR101150673B1 (ko) 2012-05-25

Family

ID=4340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055A KR101150673B1 (ko) 2009-12-30 2009-12-30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29B1 (ko) * 2019-02-28 2020-08-26 (주)빅스타아이엔지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KR102478658B1 (ko) * 2020-12-04 2022-12-19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N113367455B (zh) * 2021-06-03 2023-03-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5322U (ko) 1985-08-21 1987-03-02
JPH0241224U (ko) * 1988-09-12 1990-03-22
JPH0868973A (ja) * 1994-08-31 1996-03-12 Hoya Corp 眼鏡フレーム蝶番
JP2006343742A (ja) 2005-05-13 2006-12-21 Takashi Abe メガ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5322U (ko) 1985-08-21 1987-03-02
JPH0241224U (ko) * 1988-09-12 1990-03-22
JPH0868973A (ja) * 1994-08-31 1996-03-12 Hoya Corp 眼鏡フレーム蝶番
JP2006343742A (ja) 2005-05-13 2006-12-21 Takashi Abe メガ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47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0403B2 (ja) ワイヤ組み立て部品を備える関節式眼鏡フレーム
US9201251B2 (en) Eyewear assembly with side shields attachable to inner surfaces of temples
US9400401B2 (en) Modular interchangeable facades for eyewear
US9134544B2 (en) Eyeglasses and frames therefor
KR101150673B1 (ko)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KR2004484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420774B1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KR2014004243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체결구조
KR20130002035U (ko) 안경테 경첩부 결합 구조
KR20180124490A (ko) 안경테 구조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KR20150145478A (ko) 스포츠용 고글
KR200435376Y1 (ko) 안경테의 렌즈 고정장치
KR20100089292A (ko) 교체식 안경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KR200451257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안경프레임
WO2006075858A1 (en) Pair of glasses
KR102334087B1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CN206115054U (zh) 新型的眼镜组体
CN212699309U (zh) 一种多功能医用护目眼镜
KR200266392Y1 (ko) 안경내측에 또 하나의 안경을 부착시키도록 한 안경
KR200404180Y1 (ko) 다용도 고글
KR20120004634A (ko) 렌즈테의 교체탈착이 가능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