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490A - 안경테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490A
KR20180124490A KR1020170059101A KR20170059101A KR20180124490A KR 20180124490 A KR20180124490 A KR 20180124490A KR 1020170059101 A KR1020170059101 A KR 1020170059101A KR 20170059101 A KR20170059101 A KR 20170059101A KR 20180124490 A KR20180124490 A KR 20180124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hinge
coupling
hook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진
Original Assignee
유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진 filed Critical 유덕진
Priority to KR102017005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490A/ko
Priority to PCT/KR2017/005030 priority patent/WO2018207962A1/ko
Publication of KR2018012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테 구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안경 테의 힌지 구동을 하는 연결부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안경의 글라스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안경의 걸이부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한 힌지 구동이 아닌 무나사 결합구조의 탄성힌지부로 결합을 구현하여, 안경의 걸이부의 접힘과 폄 동작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의 풀림현상에 의한 안경의 사용불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테 구조{A frame structure of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의 테 구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안경 테의 힌지 구동을 하는 연결부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라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힌지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안경다리의 후단부에는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우레탄재질의 귀걸이를 후방에 마련하여 안경다리의 선단부를 결합하여 다리가 접철가능케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안경테와 안경다리 및 힌지로 결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은 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를 결합가능케 힌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대는 대부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안경다리와 힌지대를 연결하는 힌지부는 통상적으로 힌지부에 볼트공을 마련하여 그 내부에 안경다리를 연결하여 볼트로 고정가능케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고정은 오랜사용시 볼트의 표면이 마모 및 손상으로 인해 볼트결합이 자주 풀어지게 되어 수시로 볼트의 조임력을 확인하여야 하며 심한 운동등을 장시간 하게 되면 조임력이 풀어지게 되어 운동중에 볼트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불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볼트를 사용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시켜 주는 결합구조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체적인 안경의 조립공정이 추가되고 이로 인한 조립성의 저하 및 향후관리도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234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의 글라스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안경의 걸이부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한 힌지 구동이 아닌 무나사 결합구조의 탄성힌지부로 결합을 구현하여, 안경의 걸이부의 접힘과 폄 동작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의 풀림현상에 의한 안경의 사용 불편의 문제를 일소할 수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따른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에 글라스가 안착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연장부(110) 및 상기 연장부(110)와 연결부(H)에서 상호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H)를 기준으로 힌지 구동하는 걸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H)는, 사기 연장부(110)에 마련되는 관통형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홈 일측의 결합바(124)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200)의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힌지부(200)의 고리부(224)가 상기 결합홈(12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리부(224)를 기준으로 힌지구동하는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힌지부(200)는, 바타입의 걸이부 몸체(210),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내측에 한 쌍의 절개홈(S1, S2)을 두고 마련되는 완충편(222)과, 상기 완충편(222)의 말단에 상기 고리부(224)가 구현되는,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힌지부(200)는, 상기 고리부(224)의 내주면(224a)이 상기 결합바(224)에 끼움결합하는 구조로 결합하며, 상기 몸체(210)의 일단부(222)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224)이 상기 결합바(224)에 결착하는 일방향(B)의 반대방향인 타방향(A)에서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과 접촉하는,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과 접촉하는 상기 몸체(210)의 일단부(222)는,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에 내측으로 단차가 구현되는 단차부(125)에 안착하는,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완충편(222)은 상기 걸이부 몸체(210)를 절개하여 구현되며, 상기 고리부가 형성되는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S3)은, 상기 걸이부 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의,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고리부(224)는, 상기 완충편(222)의 일단이 절곡되는 구조로, 상기 일방향(B) 쪽으로 절곡부가 돌출되며, 상기 결합바(124)와 결합하는 내주면(224)와 대향하는 방향은 개구된 구조인,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110)의 외표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상기 걸이몸체부(210) 및 상기 완충편(222)의 외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구조인,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안경구조는, 상기 연결부(H)를 기준으로 상기 걸이부(200)가 상기 일방향(B)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고리부(224)를 기준으로 힌지구동하며, 상기 완충편(222)이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절개홈(S1, S2)의 상부편(210a) 및 하부편(210b)과 벌어지며 탄성복원력을 형성하는, 안경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의 글라스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안경의 걸이부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한 힌지 구동이 아닌 무나사 결합구조의 탄성힌지부로 결합을 구현하여, 안경의 걸이부의 접힘과 폄 동작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의 풀림현상에 의한 안경의 사용불편의 문제를 일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탄성힌지부의 구성을 안경의 걸이부의 내측을 절개하여 구현하는 완충편과 고리형 결합부로 구현하여 별도의 부품의 추가를 없애 매우 간소한 디자인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탄성구동을 통해 접힘과 폄 동작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의 외측면에 단차를 두어 안경의 외관 디자인이 매끄럽게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안경걸이부의 외측으로 확장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탄성을 구현하여 안경연결부가 파손되는 문제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구조의 사시도면과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구조의 요부 확대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구조의 힌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구조(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사시도면과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구조의 요부 확대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측에 글라스가 안착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연장부(110) 및 상기 연장부(110)와 연결부(H)에서 상호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H)를 기준으로 힌지 구동하는 걸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H)는, 사기 연장부(110)에 마련되는 관통형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홈 일측의 결합바(124)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200)의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힌지부(200)의 고리부(224)가 상기 결합홈(12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리부(224)를 기준으로 힌지구동하는 안경테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구조에서 본 발명의 안경테 구조의 핵심요지는, 기존의 안경을 수용하는 본체부(100)와 걸이부(200)의 연결부(H)의 구성에서 나사나 볼트, 스프링 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안경을 접고 펴는 힌지구동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걸이부 자체의 구성을 이용하여 상호 구성간의 체결을 구현하여, 구조의 간소화는 물론 탄성 힌지 구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안경의 글라스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부(G)를 구비하는 구조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며, 일반적인 구조를 포괄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장부(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말단에서 걸이부(200)과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자인에 따라 일부 변형되어 도 2와 같이 2중 구조로 독립적인 부재를 덧데어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연결부는 이러한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본체부에서 걸이부와 연결하기 위한 연장형 구조 연장부(110)을 구비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장부(110)의 말단과 결합하는 연결부(H)를 일단에 구현하는 구성으로, 통상 걸이몸체부(210)로서의 바타입의 구조물과 말단에 인체의 귀에 걸어지는 부분인 걸이테일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걸이부(200)는, 바타입의 걸이부 몸체(210)와 더불어,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내측에 한 쌍의 절개홈(S1, S2)을 두고 마련되는 완충편(222)과, 상기 완충편(222)의 말단에 상기 고리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힌지부(22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탄성힌지부(2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이하, 도면에서, A 방향은 걸이부 몸체(2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며, B 방향은 걸이부 몸체(2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성힌지부(220)는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말단부에 구현되는 구성으로,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내측에 한 쌍의 절개홈(S1, S2)을 두고 마련되는 완충편(22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완충편(222)의 말단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고리모양으로 절곡되는 고리부(224)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리부(224)의 내주면(224a)이 상기 결합바(224)에 끼움결합하는 구조로 결합하며, 상기 몸체(210)의 일단부(222)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224)이 상기 결합바(224)에 결착하는 일방향(B)의 반대방향인 타방향(A)에서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상기 연장부(110)의 말단과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리부(224)는, 상기 완충편(222)의 일단이 절곡되는 구조로, 상기 일방향(B) 쪽으로 절곡부가 돌출되며, 상기 결합바(124)와 결합하는 내주면(224)와 대향하는 방향은 개구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힌지부(220)은 상기 연결부(110)에 마련되는 결합부(125)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25)는, 상기 연장부(110)에 마련되는 관통형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홈 일측의 결합바(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25)는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에 내측으로 단차가 구현되며, 상기 단차에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가 끼움결합하게 된다.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의 구성에서, 상기 고리부(224) 부분은 B 방향에서 결합홈(122)과 결합바(124)에 끼움결합하며,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는 그 반대방향인 A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125)의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와 고리부(224)가 상호 반대 방향에서 접근하여 각각 연결부(110)의 양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추후 걸이부 몸체(200)가 접히고 펴는 동작을 구현함에 있어서, 탄성힌지부(220)을 통해 탄성복원력을 구현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힌지부(220)를 구현하는 구성 중, 상기 완충편(222)은 상기 걸이부 몸체(210)를 절개하여 구현되며, 상기 고리부(224)가 형성되는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S3)은, 상기 걸이부 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탄성힌지부(220)를 스프링이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걸이부 몸체(210)의 내부를 절개하여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부속이 필요가 없으며, 끼움결합방식으로 연장부(110)과 결착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걸이부 몸체(210)이 내측으로 접히는 동작을 구현하는 것을 확대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3에서의 탄성힌지부(220)를 구성하는 완충편과 고리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절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 구조는, 탄성힌지부(220)를 구성하는 완충편(222)과 고리부(224)의 구동에 의해 접힘과 폄 동장식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1에서의 연결부(H)를 기준으로 상기 걸이부(200)가 상기 일방향(B)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고리부(224)를 기준으로 힌지구동하며, 상기 완충편(222)이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절개홈(S1, S2)의 상부편(210a) 및 하부편(210b)과 벌어지며 탄성복원력을 형성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5 (a)에서와 같이, 결합바(124)에 고리부(224)가 끼움 결합하는 구조에서,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으로 접히는 동작을 하게 되면, 완충편이 내측으로 구부러지며 인장하게 되여 탄성복원력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개념도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후, 펴는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테 구조에서는, 도 1과 같이 걸이부 몸체가 완전하게 펴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10)의 외표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상기 걸이몸체부(210) 및 상기 완충편(222)의 외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안경테 디자인의 외관이 외부로 돌출되는 요소 없이 매우 매끄러운 평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안전성까지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구조에서, 걸이부 몸체가 완전하게 펴진 상태에서, 내측이 아닌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가 결합부(125)와 밀착하며 강한 탄성력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탄성힌지부의 구성은 내측으로 접힘과 폄 동작을 구현하는 것 뿐아니라, 외측 방향으로 잡아다니는 힘을 어느 정도 완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부
110: 연장부
120: 결합요소
122: 결합홈
124: 결합바
200: 걸이부
210: 걸이부 몸체
220: 탄성힌지부
222: 완충편
224: 고리부

Claims (5)

  1. 내측에 글라스가 안착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연장부(110); 및
    상기 연장부(110)와 연결부(H)에서 상호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H)를 기준으로 힌지 구동하는 걸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H)는,
    상기 연장부(110)에 마련되는 관통형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홈 일측의 결합바(124)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200)의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힌지부(200)의 고리부(224)가 상기 결합홈(12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리부(224)를 기준으로 힌지구동하는,
    안경테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00)는,
    바타입의 걸이부 몸체(210);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일단부(212)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 몸체(210)의 내측에 한 쌍의 절개홈(S1, S2)을 두고 마련되는 완충편(222)과,
    상기 완충편(222)의 말단에 상기 고리부(224)가 구현되는,
    안경테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부(220)는,
    상기 고리부(224)의 내주면(224a)이 상기 결합바(224)에 끼움결합하는 구조로 결합하며,
    상기 몸체(210)의 일단부(222)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224)이 상기 결합바(224)에 결착하는 일방향(B)의 반대방향인 타방향(A)에서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과 접촉하는,
    안경테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과 접촉하는 상기 몸체(210)의 일단부(222)는, 상기 연장부(110)의 일면에 내측으로 단차가 구현되는 결합부(125)에 안착하는,
    안경테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222)은 상기 걸이부 몸체(210)를 절개하여 구현되며, 상기 고리부가 형성되는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S3)은, 상기 걸이부 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의, 안경테 구조.
KR1020170059101A 2017-05-12 2017-05-12 안경테 구조 KR20180124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01A KR20180124490A (ko) 2017-05-12 2017-05-12 안경테 구조
PCT/KR2017/005030 WO2018207962A1 (ko) 2017-05-12 2017-05-16 안경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01A KR20180124490A (ko) 2017-05-12 2017-05-12 안경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490A true KR20180124490A (ko) 2018-11-21

Family

ID=6410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101A KR20180124490A (ko) 2017-05-12 2017-05-12 안경테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24490A (ko)
WO (1) WO20182079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317A (ko) * 2020-05-12 2021-11-19 박승영 조립형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8292S1 (en) 2019-04-30 2021-05-04 WearMePro LLC Eyeglasses hinge
US10690937B1 (en) * 2019-10-17 2020-06-23 Banjohtos, LLC Modular spectacles with multi-piece hin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47B1 (ko) * 2009-10-19 2012-02-27 유근우 안경 구조체
EP2614402B1 (en) * 2010-09-06 2020-01-15 IC! Berlin Brillenproduktions GmbH Eyeglass frame and temple
KR101417578B1 (ko) * 2013-01-08 2014-07-10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26662B1 (ko) * 2014-07-24 2016-06-01 김영호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JP3199165U (ja) * 2015-05-29 2015-08-06 文澤 黄 ネジなし眼鏡組み合わせ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317A (ko) * 2020-05-12 2021-11-19 박승영 조립형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7962A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180B1 (en) Universal eyeglass attachment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US8317317B2 (en) Folding eyeglasses
KR20180124490A (ko) 안경테 구조
US20070132938A1 (en) Foldable lens assembly
JP2000147438A (ja) 眼鏡用のバネ蝶番
US5640218A (en) Foldable spectacles with temple members having deformable earpieces for fitting into compact case
US5473395A (en) Foldable elastic temple for spectacles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JP3188168U (ja) 眼鏡フレーム
US7077518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EP3486709A1 (en)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CN215769231U (zh) 镜腿自动开启式眼镜
KR200424058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KR20100122047A (ko)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KR200455234Y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GB2433328A (en) Foldable lens assembly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200478747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JP7242095B2 (ja) 前掛け眼鏡および装着部材
JP2004093741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74216Y1 (ko)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0467457Y1 (ko) 안경다리 탄성구조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