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95B1 - 자가맞춤형 안경 - Google Patents

자가맞춤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95B1
KR102008295B1 KR1020180047572A KR20180047572A KR102008295B1 KR 102008295 B1 KR102008295 B1 KR 102008295B1 KR 1020180047572 A KR1020180047572 A KR 1020180047572A KR 20180047572 A KR20180047572 A KR 20180047572A KR 102008295 B1 KR102008295 B1 KR 10200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lens
glasses
self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18004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95B1/ko
Priority to JP2020555231A priority patent/JP7307748B2/ja
Priority to US17/047,125 priority patent/US11994752B2/en
Priority to PCT/KR2018/006738 priority patent/WO2019198875A1/ko
Priority to CN202010884667.8A priority patent/CN112034631A/zh
Priority to CN202210791646.0A priority patent/CN115128838A/zh
Priority to CN201910111154.0A priority patent/CN11037675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95B1/ko
Priority to PH12020551621A priority patent/PH12020551621A1/en
Priority to JP2022166543A priority patent/JP2022188280A/ja
Priority to JP2023080781A priority patent/JP202310337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맞춤형 안경(2)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석(17) 및 브릿지부(10)의 자석(15)에 각기 자석 인력이 작용하는 두부용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6a)(10a)가 별도로 구비되게 구성함으로써,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의 색상이나 무늬를 착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착용자의 개성과 기호에 맞는 안경으로 자가 맞춤이 가능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자가맞춤형 안경{SELF ASSEMBLY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의 색상이나 무늬, 렌즈크기를 착용자가 직접 자유롭게 선택하여 착용자의 개성과 기호에 맞게 할 수 있고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을 가능케 하는 자가맞춤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안경은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목적으로 착용되고 있다. 시력 보정용이나 시력 보호용으로 주로 착용되고 있으며, 요즈음 자기 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어하는 시대 트랜드에 알맞는 디자인과 본인의 패션이나 주변 환경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용도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안경은 미세한 차이에 따라 착용자의 느낌과 주위 분위기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오늘 패션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안경을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으로 셋팅할 수 있고 또 요즈음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면 수백년 안경 역사상 혁명적인 일이고 많은 사람들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안경은 안경 제작업자가 만들어 놓은 최소 수백 수천개의 디자인 제품을 착용자가 착용했을 뿐이다. 그런데 만일 누구 한사람도 같은 디자인이 아니고 안경의 고정관념을 없앤 획기적인 것이며 안경 착용자에게는 이 세상 하나뿐인 유일한 디자인의 안경이 구현될 수 있다면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956호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로서 안경다리, 브릿지, 안경테,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무늬를 착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고 착용자의 기호와 개성에 맞는 창작 안경디자인으로 할 수 있는 자가 맞춤형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착용자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과 무테나 반테, 온테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자가 맞춤조절이 가능한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크기, 형태를 교환할 수 있으며 안경테의 유무에 상관없고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면서 착용자가 표시하고 싶은 안경테 및 렌즈의 표현을 여러 디자인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며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이 오롯이(unique) 발현되는 조절가능한 자가맞춤형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자석(17)(15)에 자석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17)(15)을 갖는 두부용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6a)(10a)가 별도로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안경렌즈(12)를 자력으로 지지 고정하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 내면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 내면 간에와 브릿지부(10)의 내면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 내면 간에는 편평하게 면접촉되게 구성하거나, 좌우 렌즈연결 두부(6) 내면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 내면 간에와 브릿지부(10)의 내면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 내면 간에는 상호간 정합을 위한 정합요철부(19)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된 자력 부착홈부(16)(14)가 구비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의 가장자리에는 자력부재(18)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자력부재(18)를 갖는 안경렌즈(12)가 자력부착홈부(16)(14)에 끼워져 자력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안경렌즈(12)의 자력부재(18)는 띠형태로 렌즈표면에 코팅 형성된 투명자석막(18a) 및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배열 식입된 자성편(18b)중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의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안경다리(4)와 연결되는 좌우의 반분할 안경테(210)를 가지되 브릿지부에 절단면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반분할 브릿지절단벽면에는 자석(212)이 매립되어서 상호 자력부착되게 구성되며, 안경렌즈(12)는 좌우 반분할 안경테(210)의 각 끼움홈에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이 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가맞춤형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의 색상이나 무늬, 디자인을 착용자가 임의대로 취할 수 있어 안경의 모든 형태도 착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맞는 자가 선택이 가능하며, 안경을 무테나 반테, 온테 느낌의 장식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렌즈연결 두부의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에서 렌즈연결 두부 및 브릿지부의 부분 평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결합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렌즈연결 두부의 종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에서 렌즈연결 두부 및 브릿지부의 부분 평단면 분리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전체 평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결합 사시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안경렌즈의 변형 예시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안경렌즈를 자력 고정한 자가맞춤형 안경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도 12와 같은 안경렌즈를 자력 고정한 자가맞춤형 안경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에서 렌즈연결 두부 및 브릿지부의 부분 평단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반테 안경 또는 온테 안경으로 적용한 예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분리 사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경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그 착용자의 느낌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오늘 패션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안경을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으로 셋팅할 수 있도록 하고 요즈음 유행하는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이 나타나도록 구현한다. 즉 안경테나 안경다리, 안경렌즈의 모양이나 형태나 칼라 등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새로운 안경형태로 변형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안경테나 안경다리가 단순하게 색상만 입혀진 것이 아니라 해당 구성품 변경이나 교체로 중간중간 색깔이나 무늬나 채도도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등 지금까지 안경형태로는 없었던 착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역할과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안경이 되게 한다. 그리고 착용자가 임의대로 디자인의 창작을 연출할 수 있어 이 세상 하나뿐인 자가맞춤형 안경이 되므로 안경의 고정관념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아서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안경 구성품의 분리와 조립을 통해 색깔 또는 무늬의 변화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며, 또 필요에 따라 안경렌즈 외곽부가 조립형 테로 덧입혀지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렌즈연결 두부(6)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에서 렌즈연결 두부(6)의 평단면 구성도(a) 및 브릿지부(10)의 부분 평단면 구성도(b)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예시이며,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에 관련된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6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은 분리가 가능한 조립형의 자가맞춤형 무테 안경형태의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2에 제1 실시예로 도시된 본 발명의 자가맞춤형 안경(2)은 안경테 프레임이 없이 자력(磁力)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좌우의 안경다리(4)와, 그 좌우 안경다리(4)에 힌지연결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와, 코받침(8)을 가지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와, 한쌍의 안경렌즈(12)로 구성되며, 각부가 분리와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7)이 매립된 렌즈연결 두부(6)에는 자석(17)이 매립된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가 렌즈연결 두부(6)와 한 쌍을 이루며 별도로 구비되며,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에는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가 브릿지부(10)와 한쌍을 이루며 별도로 구비된다.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와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는 독립형태이므로 자력에 의해서 한쌍을 이루는 렌즈연결 두부(6)의 매립 자석(17)이나 브릿지부(10)의 자석(15)와는 잘 부착고정되지만, 혹시나 모를 분실의 우려가 있을 수 있기에 필요에 따라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이나 비탄성의 이음줄(62)로 대응 렌즈연결 두부(6)와 대응 브릿지부(10)에 매달려 있게 연결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은 각 안경렌즈(12)의 일측 임의의 위치에서 렌즈연결 두부(6)에 매립된 자석(17)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자석(17)간에 작용하는 자석 인력(자력)에 의해서 좌우 안경렌즈(12)의 일측이 지지고정되고, 각 안경렌즈(12)의 타측 임의의 위치에서 브릿지부(10)에 매립된 자석(15)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의 자석(15)의 자석 인력(자력)에 의해서 좌우 안경렌즈(12)의 타측이 지지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안경렌즈(12)의 가장자리에는 어떠한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성편(철심 등)이 필요 없으며, 내스크래치성(scaratch-resistant) 및 내지문성(fingerprint-resistant)을 갖는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12)의 가장자리의 내스크래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른 일 예 구성으로는 안경렌즈(12)와 접촉하는 렌즈연결두부(6) 및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내면에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긁힘방지 피복층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렌즈연결두부(6) 및 브릿지부(10)에는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간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간과의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되도록 접근시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상하개방형 자력부착홈부(16)(14)가 마련되며, 상호간 정합을 쉽게 돕도록 계단형태의 정합요철부(19)도 형성되게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자가맞춤형 안경(2)이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와 브릿지부(10)간에 안경렌즈(12)가 상하개방형의 자력부착홈부(16)(14) 및 정합요철부(19)가 이용되어 안정적으로 삽입되며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착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맞게 안경렌즈(12)의 상하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정합요철부(19)가 없는 형태로 변형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의 결합 사시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의 렌즈연결 두부(6)의 종단면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에서 렌즈연결 두부(6) 및 브릿지부(10)의 부분 평단면 분리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의 전체 평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7)이 매립된 렌즈연결 두부(6)에는 자석(17)이 매립된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가 렌즈연결 두부(6)와 한 쌍을 이루며 별도로 구비되며,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에는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가 브릿지부(10)와 한쌍을 이루며 별도로 구비된다. 그리고 렌즈연결 두부(6)와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내면에는 요철구조[정합요철부(19)가 없음]가 아닌 편평한 형태로서 면접촉하는 구성고 이음줄(62) 연결 구성도 없고 조립시 자력부착홈부(16)(14)의 제공도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안경렌즈(12)는 안경테로부터 자유롭고 자력부착홈부(16)(14)로부터도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안경렌즈(12)의 디자인형태나 모양, 크기를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좌우 서로 달리할 수 있다.
또 안경렌즈(12)상에서의 고정 위치 즉 렌즈연결 두부(6)와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간의 자력 고정위치나 브릿지부(10)와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간의 자력 고정위치를 착용자가 안경렌즈(12)내 상하좌우나 상하로 위치조정하면서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일측(도면의 오른쪽편) 안경렌즈(12)가 타측 안경렌즈(12)와는 다르게 렌즈심부 가까운 가장자리를 자력 고정위치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본인의 개성이나 주위환경이나 상황에 맞는 안경렌즈(12)를 자유롭게 선정하되 좌우 렌즈형태나 크기, 색깔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르게도 할 수도 있고, 연결 조립과 해제, 렌즈 부착위치 변동 등을 임의대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의 결합 사시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안경렌즈(2)의 변형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안경렌즈(2)를 자력 고정한 자가맞춤형 안경의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도 12와 같은 안경렌즈(2)를 자력 고정한 자가맞춤형 안경의 측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에서 렌즈연결 두부(6) 및 브릿지부(10)의 부분 평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은, 브릿지부(10)의 좌우측벽에는 안경렌즈(12)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자력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는 상하개방형의 자력 부착홈부(14)를 가지며, 상하개방형의 자력 부착홈부(14)의 내벽에는 자석(15)이 매설고정된다. 그리고, 안경다리(4)와 힌지연결된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내측벽에는 좌우 안경렌즈(12)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자력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는 자력 부착홈부(16)를 가지며, 자력 부착홈부(16)의 내벽에는 자석(17)이 매설고정되는 구성이다.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4의 일 예에서는 자석(15)(17)은 자력 부착홈부(14)(16)의 일측 내벽부에는 매설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자력 부착홈부(14)(16)의 전후 마주보는 양측 내벽부에 매설될 수도 있고 자력 부착홈부(14)(16)의 심측 내벽부까지도 매설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석(15)(17)은 자석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브릿지부(10)나 렌즈연결 두부(6)가 수지재질로 구성될 경우 수지에 자석분말이 혼합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서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7)의 내벽에 매설된 자석(17)은 자력 부착홈부(17)의 일측 내벽부와 심부 내벽부에는 매설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도 15를 함께 참조), 필요에 따라 자력 부착홈부(14)의 전방 내벽부에도 매설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렌즈연결 두부(6)의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6)와 브릿지부(10)의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4)에는 안경테의 지지됨에 없이도 좌우의 각 안경렌즈(12)의 좌우측단부가 자력 부착되는데, 이를 위해 각 안경렌즈(12)의 좌우측단부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력부착을 위한 자력부재(18)가 존재한다.
도 11에서는 좌우의 각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존재하는 자력부재(18)로서 투명자석막(18a)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하로 띠형태로 연장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자력부재(18)로서 상하로 띠형태로 연장되어 코팅 형성된 투명자석막(18a)은 이산화티타늄(TiO2)에 자석으로서의 성질을 갖는 코발트원자를 수 퍼센트(%)[1~10%미만] 첨가한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Co:TiO2)막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Co:TiO2)막은 실온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에서도 자석을 성질을 잃지 않고 가시광에 대해서 거의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Co:TiO2)막으로 된 투명자석막(18a)은 상온에서 강자성체이다.
도 12에서는 좌우의 각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존재하는 자력부재(18)로서 자석이나 철심과 같은 자성편(18b)들이 식입되어 배열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하로 다수개가 연장 형성된다.
도 13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안경렌즈(12)의 투명자석막(18a)이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6)의 내측벽에 매립된 자석(17)에 자력 고정된 자가맞춤형 안경(2)의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14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안경렌즈(12)의 자성편(18b)이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6)의 내측벽에 매립된 자석(17)에 자력 고정된 자가맞춤형 안경(2)의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은 안경테 프레임이 없이도 자기력으로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와 브릿지부(10)간에 안경렌즈(12)가 삽입후 부착고정됨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다.
도 15의 (a)에서는 안경렌즈(12)가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에 형성된 자력부착홈부(16)에 삽입된 후 자력 고정된 평단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15의 (b)에서는 안경렌즈(12)가 브릿지부(10)에 형성된 자력부착홈부(14)에 삽입된 후 자력 고정된 평단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5와 함께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자력 부착홈부(16)와 안경렌즈(12)에 형성된 자력부재(18)를 이용한 자력 부착할 수 있다.
도면들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가맞춤형 안경(2)이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와 브릿지부(10)간에 안경렌즈(12)가 삽입된후 자력으로 부착고정시키게 되면, 착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맞게 안경렌즈(12)의 상하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안경렌즈(12)는 안경테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안경렌즈의 디자인형태나 모양을 각기 달리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본인의 개성이나 주위환경이나 상황에 맞는 안경렌즈(12)를 자유롭게 선정하되 좌우 렌즈형태나 크기, 색깔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다르게도 할 수도 있고 연결 조립과 해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도 1과 같은 자가맞춤형 안경(2)의 안경렌즈(12)의 상부나 하부중 하나 이상에 장식용 조립테 프레임(204)(206)을 끼워서 반테형태나 온테형태로 표현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테 프레임을 아주 표시나지 않게 만드는 요즈음의 트랜드에 호응하여 안경테를 없앨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반테나 온테형태의 안경테를 장식으로 조립해 넣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서는 안경다리(4)와 렌즈(12)와 브릿지부(10)간의 조립식 방식으로 적용하였지만,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은 자가맞춤형 안경(2)과 같이, 안경다리(4)와 연결되는 좌우의 반분할 안경테(210)를 가지되 브릿지부에 절단면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반분할 브릿지절단벽면에는 자석(212)이 매립되어서 상호 자력부착되게 구성되며, 안경렌즈(12)는 좌우 반분할 안경테(210)의 각 끼움홈에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이 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 예시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반분할 안경테(210)를 가지되 브릿지부에 절단면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좌우 반분할 브릿지절단벽면 각각에는 자석(212)이 매립되게 구성한다. 안경렌즈(12)의 외주부에는 자성부재(18)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반분할 안경테(210)의 안경렌즈(12)의 끼움홈에는 별도의 자석(17)을 매립하여서 자력에 의한 부착고정이 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반분할 안경테(210)와 자석(214)에 의해서 자력부착되는 하부 조립테프레임(20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가맞춤 안경은 일반 안경이 차지하는 공간보다 훨씬 적은 안경 보관케이스로도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이점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자가맞춤형 안경 (4)-- 안경다리
(6)-- 렌즈연결 두부 (8)-- 코받침
(10)-- 브릿지부 (12)-- 안경렌즈
(14)(16)-- 자력 부착홈부 (15)(17)-- 자석
(18)-- 자력부재 (18a)-- 투명자석막
(18b)-- 자성편 (19)-- 정합요철부
(62)-- 이음줄 (204)(206)-- 조립테 프레임
(210)-- 분할 안경테

Claims (5)

  1.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각기 자석(17)이 매립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되어진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며 좌우측부에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가, 서로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경렌즈(12)의 크기나 디자인형태 및 모양에 무관하게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상하좌우 위치조정 가능케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석(17)에 자력 작용하는 다른 자석(17)을 갖는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와, 브릿지부(10) 좌우측부의 각 자석(15)에 자력 작용하는 다른 자석(15)을 갖는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를 별도로 구비하여서,
    좌우의 안경렌즈(12)가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석(17)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자석(17) 사이에서와 브릿지부(10)의 자석(15)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의 자석(15) 사이에서 상하좌우 위치조정되어서 자력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안경렌즈(12)를 자력으로 지지 고정하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 내면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 내면 간에와 브릿지부(10)의 내면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 내면 간에는 편평하게 면접촉되게 구성하거나, 좌우 렌즈연결 두부(6) 내면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 내면 간에와 브릿지부(10)의 내면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 내면 간에는 상호간 정합을 위한 정합요철부(19)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안경.
  3.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각기 자석(17)이 매립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되어진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며 좌우측부에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가, 서로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경렌즈(12)의 크기나 디자인형태 및 모양에 무관하게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상하 위치조정 가능케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자석(17)을 갖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자석(15)을 갖는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해당 자석(17)(15)이 매립되어진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6)(14)를 구비하고,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상하 위치조정 가능케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안경렌즈(12)내 렌즈 상하방연장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다수로 배열된 자력부재(18)가 형성되며, 자력부재(18)는 띠형태로 렌즈표면에 코팅 형성된 투명자석막(18a)이나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배열 식입된 다수 자성편(18b)들중의 하나로 구성하여서,
    다수로 배열된 자력부재(18)를 갖는 좌우의 안경렌즈(12)가 좌우 렌즈연결두부(6)에서와 브릿지부(10)에서의 상하방 개방형의 자력부착홈부(16)(14)에 끼워져 상하 위치조정되며 자력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안경.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좌우의 안경렌즈(12)의 상부나 하부중 하나 이상에 장식용 조립테 프레임(204)(206)을 끼워서 반테형태나 온테형태로 표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안경.
  5. 삭제
KR1020180047572A 2018-04-13 2018-04-24 자가맞춤형 안경 KR10200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72A KR102008295B1 (ko) 2018-04-24 2018-04-24 자가맞춤형 안경
US17/047,125 US11994752B2 (en) 2018-04-13 2018-06-15 Self-customized glasses
PCT/KR2018/006738 WO2019198875A1 (ko) 2018-04-13 2018-06-15 자가맞춤형 안경
JP2020555231A JP7307748B2 (ja) 2018-04-13 2018-06-15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CN202010884667.8A CN112034631A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CN202210791646.0A CN115128838A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CN201910111154.0A CN110376757B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PH12020551621A PH12020551621A1 (en) 2018-04-13 2020-10-01 Self-customized glasses
JP2022166543A JP2022188280A (ja) 2018-04-13 2022-10-17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JP2023080781A JP2023103377A (ja) 2018-04-13 2023-05-16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72A KR102008295B1 (ko) 2018-04-24 2018-04-24 자가맞춤형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95B1 true KR102008295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572A KR102008295B1 (ko) 2018-04-13 2018-04-24 자가맞춤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270A (ko) * 2020-12-04 2022-06-13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197A (ja) * 1994-04-16 1995-10-31 I Pro-Taa Kobayashi:Kk メガネ
JP3019999U (ja) * 1995-06-29 1996-01-12 株式会社エリカオプチカル 組立て式メガネフレーム
KR200453956Y1 (ko)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KR20170038446A (ko) * 2015-09-30 2017-04-07 박승현 조립식 안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197A (ja) * 1994-04-16 1995-10-31 I Pro-Taa Kobayashi:Kk メガネ
JP3019999U (ja) * 1995-06-29 1996-01-12 株式会社エリカオプチカル 組立て式メガネフレーム
KR200453956Y1 (ko)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KR20170038446A (ko) * 2015-09-30 2017-04-07 박승현 조립식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270A (ko) * 2020-12-04 2022-06-13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KR102478658B1 (ko) * 2020-12-04 2022-12-19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213B2 (en) Interchangeable frames for eyeglasses
KR102064561B1 (ko) 문양층을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안경
US5321442A (en) Eyeglasses with detachable lenses, sidebars, and adjustable earpieces
US20060187404A1 (en)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attachments
KR20070112961A (ko) 장식체 조합형 안경어셈블리
US20170184872A1 (en) Interchangeable Eyeglass Lens Rim Using Magnetic Retaining Forces
US20140313471A1 (en) Magnetic Applique Eyewear
KR102008295B1 (ko) 자가맞춤형 안경
US20130160491A1 (en) Sunglass with Changeable Charms
KR101344689B1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WO2014123252A1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20190143263A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20200116614A (ko) 합성수지소재와 금속소재 겸용 조립식 안경테
KR100913398B1 (ko) 장식 안경다리
KR200350239Y1 (ko) 렌즈 교체형 안경
KR101176313B1 (ko) 디자인 교체형 안경다리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KR200451257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안경프레임
JP3161132U (ja) 前掛け式メガネ
KR20230135985A (ko) 보조안경테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KR102510264B1 (ko) 슬라이딩 결합 방식의 조립식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0424017Y1 (ko) 안경부착용 썬글라스 렌즈
CN209590430U (zh) 具有可替换镜框的眼镜结构
JP3212870U (ja) 老眼鏡および老眼鏡セ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