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147A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147A
KR20070007147A KR1020067021732A KR20067021732A KR20070007147A KR 20070007147 A KR20070007147 A KR 20070007147A KR 1020067021732 A KR1020067021732 A KR 1020067021732A KR 20067021732 A KR20067021732 A KR 20067021732A KR 20070007147 A KR20070007147 A KR 20070007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es
axis
connector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툴치
Original Assignee
앨리슨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리슨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앨리슨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0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12, 14), 커넥터(22, 24) 및 안경 다리(18, 20)를 포함하는 안경(10)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22, 24)는 렌즈(12, 14)에 연결되고 그 렌즈(12, 14)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착 구간(65)을 포함한다. 안경 다리(18, 20)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19, 21)과 보조축을 규정하는 보조 부분을 포함하고, 이 보조축은 렌즈(12, 14)를 향해 일반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된다. 보조 부분은 삽입축에서의 안경 다리(18, 20)의 상대 움직임에서 부착 구간(65)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결합되며, 상기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45°이하로 기울어져 있다.
렌즈, 부착 구간, 커넥터, 안경 다리, 주요 부분, 보조축, 길이방향 축, 삽입축, 보조 부분.

Description

안경{EYEGLASSES}
본 발명은 시력 교정의 일반적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테가 없는 안경은 일반적으로 2개의 렌즈, 2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 다리, 및 2개의 안경 다리(bow)를 포함한다. 안경 다리는 각 안경 다리의 일부가 각 렌즈의 전면(front surface)의 작은 부분을 덮도록 렌즈에 부착된다. 또한, 연결 다리는 자주 렌즈의 전면의 작은 부분을 덮는다. 테가 없는 안경의 목적은 가능한 한 렌즈의 주변에 아무것도 없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렌즈의 전면에 돌출된 연결 다리와 안경 다리의 부분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 가능한 안경 다리가 있는 안경 역시 본 기술분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안경 다리는 안경의 프레임(frame)으로부터 돌출된 핀과 맞물리는 안경 다리 내에 제공된 오목한 부분(indentation) 또는 공동(cavity)을 통해 안경의 테에 부착된다. 안경과 안경 다리는 흔히 안경 다리가 핀과 오목한 부분에 의해 형성된 힌지(hinge)에서 일정 지점을 지나 회전할 수 없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안경 다리의 일부는, 안경 다리가 완전히 열린 형상일 때 프레임을 받치게 된다. 테가 없는 안경은 프레임을 갖지 않기 때문에, 분리 가능한 안경 다리는 테가 없는 안경에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분리 가능한 안경 다리를 포함하는 안경과 관련한 다른 문제점은 안경 다리가 안경으로부터 비교적 쉽게 분리되는 경향이다. 안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안경 다리는 착용하였을 때 안경이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렌즈 또는 안경의 다른 부분에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분리 가능한 안경 다리는 실질적으로 렌즈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안경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분리 가능한 안경 다리의 예는 미국특허 5,315,328(1994년 5월 24일 출원, Silouette International Gesellschaft m.b.H. 사)에서 발견된다. 상기 특허에서의 안경테의 길이방향 축 주위로 비틀림이 가해진다면, 안경 다리는 렌즈로부터 쉽게 분리될 것임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이러한 안경을 착용하고 있을 때 얼굴에 물체가 충격을 가한다면, 이러한 구조에 의한 안경 다리는 안경에 그대로 부착된 채로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안경은 이와 같은 외부적 제약 조건에 의해 쉽게 손상 받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안경은 매우 비싸서, 사용자들이 보통 하나만 구매한다. 어떤 경우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장식할 수 있는 안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신규의 테 없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관련 산업분야에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 번째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렌즈, 커넥터(connector) 및 안경 다리(bow)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커넥터는 렌즈에 연결되고, 렌즈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착 구역(attachment section)을 포함한다. 안경 다리는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main segment)과 보조축을 규정하는 보조 부분(auxiliary segment)을 포함하고, 이 보조축(auxiliary axis)은 렌즈를 향해 일반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된다. 보조 부분은 삽입축(insertion axis)에서의 안경 다리의 상대 움직임에서 부착 구역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결합되며, 상기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45°이하로 기울어져 있다.
상세한 실시예에서, 안경 다리는 그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안경 다리를 움직여 커넥터로부터 비교적 쉽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안경 다리는 다른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통해서 또는 비틀림을 통해서 비교적 쉽게 분리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경은 렌즈에 다른 렌즈를 연결하는 코걸이(nosepiece)를 포함한다. 코걸이는 분리 가능한 브리지부(bridge portion)를 포함한다.
분리 가능한 브리지부와 분리 가능한 안경 다리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안경을 요구함 없이 안경의 미적인 면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안경 다리는 안경이 착용되었을 때는 분리하기가 비교적 어렵지만, 커넥터로부터는 비교적 쉽게 부착되고 분리된다. 명백하게, 안경의 두 안경 다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거나 또는 안경 다리의 길이방향 축 주위로 비틀림을 가해도 커넥터로부터 안경 다리가 비교적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른 장점은 커넥터로부터 안경 다리를 분리함을 위해 요구되는 움직임에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은 착용시 안경에 충격이 있는 경우 커넥터로부터 안경 다리가 분리되도록 한다.
안경의 또 다른 장점은 안경이 착용되었을 때 보이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킴에 따른 미적인 면에서의 향상에 있다.
두 번째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렌즈와 그 렌즈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을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연결 수단은 렌즈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착 수단(attachment means)을 포함한다. 안경은 연결 수단에 가역적으로 부착된 안경 다리를 더 포함한다. 안경 다리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 수단과 렌즈로부터 일반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된 보조축을 규정하는 보조 부분 수단을 포함하고, 보조 부분 수단은 삽입축을 따른 안경 다리의 상대 움직임에서 부착 수단(attachment means)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결합한다.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45°이하로 기울어졌다.
세 번째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렌즈와 그 렌즈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안경 다리는 커넥터에 가역적으로 부착되고, 길이방향 축을 규정한다. 커넥터로부터 안경 다리를 분리시키기 위해 요구되고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가해지는 최소 직각 방향 힘은 상기 커넥터로부터 안경 다리를 분리시키기 위해 요구되고 길이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가해지는 최소 수평방향 힘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성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는 예에 의해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에서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의 (a)는 코걸이(nosepiece), 렌즈, 커넥터 및 안경 다리(bow)를 포함하는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안경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안경 다리의 말단(extremity)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에 도 2의 안경 다리가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a)의 코걸이의 전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코걸이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분리가능하고, 도 5의 코걸이에 부착가능한 연결다리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렌즈의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크루를 통하여 렌즈에 도 3의 커넥터가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또 다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안경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안경(10)을 나타낸 것이다. 안경(10)은 림(rim)이 없는 안경이지만, 당업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많은 특징들이 림을 포함하는 안경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림이 있는 안경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와 같이 림이 있는 안경의 예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안경(10)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이고, 코걸이에 의해 연결되며 전면(front surface)(27, 29)과 후면(back surface)(26, 28)을 각각 규정하는 두 개의 렌즈(12, 14)를 포함한다. 두 커넥터(22, 24)는 렌즈(12, 14)에 각각 연결된다. 두 안경 다리(18, 20)는 커넥터(22, 24)에 각각 가역적으로 부착된다.
각 안경 다리(22, 24)가 삽입축에 따른 안경 다리(18, 20)의 상대 움직임에서 각 커넥터(22, 24)와 서로 잠기고 결합하도록 안경 다리의 크기와 형상이 결정되고, 이때 상기 삽입축은 안경 다리(18, 2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45°이하의 각을 이룬다.
대체로, 후면(26, 28)은 안경(10)을 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실질적으로 향하여 있게 된다. 전면(27, 29)은 후면(26, 28)의 반대쪽에 있으면서 안경을 쓸 때, 사용자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다시 말해서, 전면(27, 29)은, 후면(26, 28)을 향하여 그리고 그 후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렌즈(12)로 투과되는 입사광을 받는 렌즈(12, 14)의 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렌즈(12, 14)는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상표명), 또는 다른 적절한 렌즈 재료와 같은 폴리머로 만들어진 처방 렌즈, 장식 투명 렌즈, 또는 어두운 렌즈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렌즈(12, 14)는 어떠한 다른 적절한 렌즈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편의성과 미적인 면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22, 24)의 어떤 부분도 렌즈(12, 14)의 전면(27, 29)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커넥터(22, 24)가 위치되고 형상과 크기가 결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2, 24)는 각각의 렌즈(12, 14)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착 구간(attachment segment)(65)을 포함한다. 도 1의 (a)를 다시 참조하면, 안경 다리(18, 20) 각각은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각각의 주요 부분(main segment)(19, 21)을 포함한다. 또한, 안경 다리(18, 20) 각각은 각 렌즈(12, 14)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된 보조 부분(auxiliary segment)(23, 25)을 규정한다.
각 보조 부분(23, 25)은 삽입축을 따른 안경 다리(18, 20)의 상대 움직임에서 부착 구간(65)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결합하게 된다. 상술한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45°이하로 기울어졌다. 안경 다리(20)를 커넥터(24)에 부착하는 움직임의 방향을 화살표(71)로 나타내었다.
다시 말해서, 안경은 렌즈와 렌즈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연결 수단은 렌즈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안경은 또한 연결 수단에 가역적으로 부착된 안경 다리를 포함한다. 안경 다리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 수단 및 렌즈를 향해 일반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된 보조축을 규정하는 보조 부분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보조 부분 수단은 삽입축에 따른 안경 다리의 상대 움직임에서 부착 수단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결합하게 된다.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해 45°이하로 기울어진다.
또 다시 말해서, 안경은 렌즈와 렌즈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안경 다리는 커넥터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는데, 안경 다리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한다. 안경 다리를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요구되고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가해지는 최소 직각방향 힘은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요구되고 길이방향 축에 수평으로 가해지는 최수 수평방향 힘보다 더 크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안경(10)은 두 개의 렌즈(12, 14)를 포함하지만, 당업자라면 단일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10)에서의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30°이하로 기울어졌다. 더 상세하게, 삽입축은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안경 다리(18, 20)는 안경 다리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움직임을 통하여 각 커넥터(22, 24)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보조 부분은 핀을 포함하고, 커넥터는 핀을 수용하는 홈을 포함한다. 핀은 삽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보 조 부분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커넥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24)는 핀(64)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경 다리, 예를 들면 안경 다리(20)는 핀(64)을 수용하기 위한 보조 부분(25) 내에 제공된 오목부(recess)(57)를 포함한다. 오목부(57)에는 슬롯(48)이 제공되는데, 슬롯(48)은 삽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향한다.
안경 다리(18)는 안경 다리(20)가 안경 다리(18)의 대칭인 것을 제외하고는 안경 다리(20)와 유사하여, 안경 다리(18, 20)는 안경(10)의 서로 다른쪽에 부착가능하다. 두 안경 다리가 동일한 안경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핀(64)은 슬롯(48)의 바깥쪽에 있을 때 변형되지 않은 제1 형상이 된다. 슬롯(48)에 삽입됨에 있어, 핀(64)은 제1 형상으로부터 제2 형상으로 변형된다. 그 후, 오목부(57)에 의해 수용될 때, 핀(64)은 제1 형상이 된다. 따라서, 핀(64)의 변형이 커넥터(24)로부터 안경 다리(20)의 부착 또는 분리하는 안경 다리(20)의 움직임을 이루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안경 다리(20)는 커넥터(24)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핀(64)은 오목부(57)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형상이 되지 않는다. 대신 핀(64)은 오목부(57)에 의해 수용될 때 변형된 채로 남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각각은 두 핀을 포함하고, 안경 다리 각 각은 두 오목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4)는 제2 핀(66)을 포함하고, 안경 다리는 제2 오목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오목부(57)과 유사하게, 제2 오목부는 제2 슬롯 내에 제공되는데, 제2 슬롯은 또한 실질적으로 삽입축을 따라 향해 있다.
오목부들(그것들 중 하나는 오목부(57)) 뿐만 아니라 핀(64, 66)은 어떤 적절한 형태가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오목부(5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핀(64)도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핀의 정확한 형상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오목부 및 핀은 대안적 형태를 갖는다.
오목부 내에서 핀의 삽입을 위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8)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채널(200)을 포함하는데, 그 채널(200)은 삽입축을 따르는 안경 다리(20)의 움직임에서 핀(64)을 수용하기 위한 오프닝(56)을 규정한다. 또한, 슬롯(48)은 오프닝(56)에 반대쪽에 있는 실질적으로 반원통형 말단(extremity)(202)을 포함한다.
오목부(57)는 오목부 내부 표면(recess interior surface)(204)을 규정하고, 반원통형 말단(202)은 실질적으로 반원통형 단부면(hemi-cylinderical end surface)(206)을 규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핀(64)은 반원통형 단부면(206)과 오목부 내부 표면(204)에 동시에 맞닿는다. 이는 안경 다리(20)와 커넥터(24) 사이의 접촉 힘을 비교적 큰 표면에서 분산시킨다.
도 2는 안경 다리(20)와 유사한 대안적 안경 다리(20')를 나타낸다. 도 2는 핀(66)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오프닝(58)을 규정하는 제2 슬롯(50)을 포함하는 안경 다리(20')를 도시한다.
그러나, 안경 다리(20')와 안경 다리(20) 사이의 차이는 채널(200)과 반원통형 말단(202) 사이의 슬롯(48) 내에서 안쪽으로 연장된 범프(bump)(48, 49)에 있게 된다. 범프(48, 49)는 핀이 오프닝(56) 반대쪽에 있는 슬롯(48)의 말단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도 2는 두 범프(48, 49)를 포함하는 안경 다리(20')를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돌기의 적절한 수를 포함하는 안경 다리를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안경 다리(20)는 공동(cavity)(54)을 또한 규정한다. 공동(54)은 슬롯(48)과 오목부(57)를 포함하고 부분적으로 커넥터(24)를 수용한다. 핀(64, 66)은 회전축을 규정하는데, 회전축은 삽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공동(54)은 회전축 주위로 안경 다리(20)가 핀(64, 66) 위에서 회전하도록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54)은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공동 받침면(cavity abutment surface)(52)을 규정한다. 공동 받침면(52)은 공동 받침면(52)에 대해 직각인 공동 받침면 수직 벡터를 규정한다. 공동 받침면 수직 벡터는 렌즈(14)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향한다.
또한, 커넥터(24)는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커넥터 받침면(connector abutment surface)(61)을 규정한다. 커넥터 받침면(61)은 커넥터 받침면(61)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받침면 수직 벡터를 규정한다. 커넥터 받침면 수직 벡터는 렌 즈(14)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향한다.
커넥터 받침면(61)과 공동 받침면(52)은, 안경 다리(20)의 길이방향 축과 렌즈의 후면 사이의 각이 소정의 각도까지 증가할 때 회전축 주위로 안경 다리(20)의 회전에 있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면(61, 52)은 안경 다리(20)가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안경 다리(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력한다. 공동 받침면(52)과 커넥터 받침면(61)이 서로 접촉할 때, 안경 다리(20)의 길이방향 축과 렌즈의 후면 사이의 각이 증가하도록, 회전축 주위로의 안경 다리(20)의 회전은 커넥터 받침면(61)과 공동 받침면(52) 사이의 접촉힘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접촉면 (61)과 공동 접촉면(52)은 안경 다리(20)와 렌즈(14)가 렌즈(14)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안경 다리의 회전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효과를 위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받침면(61)이 렌즈(14)와 핀(64) 사이의 커넥터(24)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각 커넥터, 예를 들면 커넥터(24)는 제2 커넥터 받침면(63)을 포함하고, 안경 다리 각각, 예를 들면 안경 다리(20)는 제2 공동 받침면(53)을 포함한다. 두 쌍의 받침면의 존재는 받침면들 사이의 접촉력을 큰 면 위로 분산시켜, 안경(10)에 남는 힘이 가해져 받침면에 손상을 입힐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24)는 대칭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 이다. 대칭면은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이는 양 커넥터(22, 24)에 대하여 한 종류의 커넥터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렌즈(12, 14) 및 그에 대한 커넥터(22, 24)의 부착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안경(10)은 렌즈(14)에 대한 커넥터(24)의 부착을 위한 패스너(fastener)(72)를 포함한다. 패스너(72)는 렌즈(14)의 후면(28)을 향해 커넥터(24)를 눌러준다.
그 효과를 위해, 커넥터(24)는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부착 구멍(attachment bore)(62)을 포함한다. 부착 구멍(62)은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하고 패스너(72)를 수용한다. 또한, 렌즈(14)는 패스너(72)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부착 구멍(32)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패스너는 스크루(72)의 형태를 취하고, 그릴아미드(Grilamid)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구멍(attachment hole)(32)은 구멍(32)으로 스크루(72)를 끼우기 위한 나사 구멍(threaded hole)이 된다. 도면에 도시된 구멍(32)은 렌즈(14)를 부분적으로만 관통하여 연장된다. 그러나, 완전히 관통하는 부착 구멍을 포함하는 렌즈를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부착 보어(attachment bore)는 나사형이 아닌 보어이다. 그러나, 나사로된 부착 보어를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커넥터(24)는 돌기(68)를 포함하고, 렌즈(14)는 돌기(68)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notch)(44)를 포함한다. 노치(44)와 돌기(68)는 보어(62)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인 보어 축 주위로 커넥터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위치되고, 형상을 이루며, 크기를 갖는다. 노치(44) 및 돌기(68)는 실질적으로 반원통형이다.
렌즈(14)에 대한 커넥터(24)의 부착만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커넥터(22)도 렌즈(12)에 유사하게 부착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그 효과를 위해, 부착 구멍(34)이 렌즈(12) 내에 제공되고, 부착 구멍(24)은 부착 구멍(32)과 유사하다. 또한, 노치(42)는 렌즈(12)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안경 다리(20, 18)가 커넥터(22, 24)를 연결하는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일 때 받침면(52, 61)과 같은 받침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안경(10)의 최적한 편안함이 제공된다. 이 경우, 안경 다리(18, 20)는 안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렌즈(12, 14)가 적절한 치수가 될 때, 안경(10)이 착용자에게 편안하게 되는 동시에 안경(10)의 외관이 아름답게 된다.
근시와 원시의 서로 다른 정도를 교정하기 위한 렌즈는 커넥터(22, 24)가 제공된 위치의 주변에서 렌즈의 서로 다른 곡률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여러 개의 유사한 형상의 커넥터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커넥터로부터의 커넥터들은 도4에서 도시된 다음의 방법에 있어서 다르다. 라인(203)은 그 라인(203)이 받침면(52, 61)과 같은 받침면들이 서로 접촉할 때 안경 다리(18, 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되도록 규정된다. 다른 라인(201)은 그 라인(201)이 렌즈(12, 14)와 접촉하는 커넥터(22, 24)의 면에 수평이 되도록 규정된다. 각도 σ는 라인(203)과 라인(201) 사이의 각도로서 규정된다. 여러 커넥터는 각도 σ에서 서로 달라서, 렌즈(12, 14)의 곡률에 커넥터를 맞추게 한다. 상세한 실시예에서, 여러 커넥터들은 σ를 11도, 17도 및 24도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어떠한 적절한 σ값을 갖는 어떠한 갯수의 커넥터를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 5의 (a) 및 (b)는 코걸이(nosepiece)(16)를 도시한다. 코걸이(16)는 의도하는 사용자의 코에 안경(10)을 받치도록 위치되고, 형상과 크기를 갖게 된다.
코걸이(16)는 제1 및 제2 렌즈(12, 14) 각각에 코걸이(16)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connection portion)(78, 79)와 코를 지지하기 위한 코 패드(nose pad)(74)를 포함한다. 또한, 코걸이(16)는 연결부(78, 79)와 코 패드(74)에 연결된 브리지부(bridge portion)(7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걸이(76)는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bridge cover)(80)를 포함한다.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브리지부(76)를 덮어준다.
연결부(78, 79)는 커넥터(22, 24)가 렌즈(12, 14)들에 부착되는 방법과 유사하게 그 렌즈(12, 14)들에 부착된다. 그 효과를 위해, 연결부(78, 79)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 부착 보어(82, 84)를 포함한다. 부착 보어(82, 84)의 길이방향 축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연결부(78, 79)는 각 돌기(86, 88)를 포함한다.
렌즈(12, 14)들은 받침 보어(30, 36)와 노치(38,40)를 각각 포함한다. 패스너(도시 생략)는 부착 구멍(82, 84)을 통해 부착 보어(30, 36)로 삽입되어 렌 즈(12, 14)에 코걸이(16)를 부착한다.
바로 위에서 상술한 부착 구멍(82, 84)과 부착 보어(30, 36)는 그 이전에 설명한 부착 구멍 및 부착 보어와 유사하고, 유사한 구조를 통하여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코걸이(16)에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를 부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가 제공된다. 브리지부(76)는 홈(90)을 포함한다. 또한, 브리지부(80)는 홈(90)에 맞물리기 위한 래치(latch)(94)를 포함하는데, 그에 의해 브리지부(76)에 다리 커버(80)를 부착한다. 래치(94)와 홈(90)의 정확한 수 및 형상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점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몇몇 홈(90) 각각은 브리지부(76)를 향해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각 함몰부(depression)(91)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연장부(extensions)(95)는 래치(94)로부터 홈(90)을 향해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연장부(95)는 브리지부(76)에 다리 커버(8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함몰부(91)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각 홈(90)의 두께는 각 래치(9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브리지부(76)에 부착된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는 래치(94)가 홈(90)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면을 만든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브리지부(76), 연결부(78, 79) 및 코 패드(74)는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그러나 다리 커버(80)는 실질적으로 투명하지 않다. 예를 들어, 다리 커버(80)는 채색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브리지부(80)를 제외한 코걸이(16) 및 커넥터(22, 24)는 렌즈(12, 14)의 외관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외관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만일 렌즈(12, 14)가 투명하다면, 커넥터(22, 24)와 분리 가능한 브리지부(80)를 제외한 코걸이(16)는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만일 렌즈(12, 14)가 선글라스에서 사용될 때와 같이 어둡다면, 코걸이(16)와 커넥터(22, 24)도 어둡게 된다.
선택적으로, 안경 다리(18, 20)도 투명하다. 대안적으로, 안경 다리(18, 20)는 채색된다. 반면에,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는 채색되거나 또는 반투명하다.
따라서, 많은 여러 가지 색을 갖는, 여러 개의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 및 여러 개의 안경 다리(18, 20)를 제공함에 의해, 안경(10)의 미적 외관은 안경(10)의 완전한 교체 없이도 사용자에 의해 쉽게 바뀔 수 있다. 안경(10)의 외관은 다른 형상의 안경 다리를 갖는 것이 의해 더 바뀔 수 있다.
실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렌즈(12, 14), 코걸이(16), 커넥터(22, 24) 및 안경 다리(18, 20)는 분리된 부분들로 제공된다. 그리고, 커넥터(22, 24)와 코걸이(16)는 스크루를 통해 렌즈(12, 14)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 및 안경 다리(18, 20)는 사용자에 의해 교체 또는 보관을 위해 쉽게 분리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이 의도하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됨에 있어 안경 다리(18, 20)가 개방 형상을 가질 때, 보통의 사용을 통해 가해지는 힘은 일반 적으로 안경 다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비틀림 힘과 안경 다리(18, 20)를 서로 멀어지게 눌러주는 방향의 힘이기 때문에 안경 다리(18, 20)가 안경(10)으로부터 저절로 분리될 수 있기는 매우 어렵다. 상기 힘 방향에서 렌즈(12, 14)에 대한 안경 다리(18, 20)의 움직임은 안경(10)의 서로 다른 요소의 형상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나, 만일 안경(10)에 충격이 있다면, 안경 다리(18, 20) 각각은 커넥터(22, 24)에서 쉽게 빠져나와, 그에 의해 안경(10)에 영구적 손상을 방지함을 돕는다. 안경 다리(18, 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 이외에도, 받침면(52, 53, 61, 63)과 같은 받침면들은 안경(10)에 충격을 가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어, 그에 의해 핀(64, 66)이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받침면(52, 53, 61, 63)의 또 다른 가능한 기능은 안경 다리(20)가 렌즈(14)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에 의해 렌즈의 오염을 방지한다.
안경(10)의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렌즈(12, 14)는 단일 렌즈로 교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코걸이(16)는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렌즈와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안경 다리(18, 20)는 커넥터(22, 24)에 풀림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어 그에 의해 사용자가 안경 다리(18, 20)를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지만, 통합된 안경 다리와 커넥터 유닛을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통합 형상에서, 안경 다리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교체 가능하지 않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22, 24), 코걸이(16) 및 렌즈(12, 14)의 연결은 이러한 서로 다른 요소들을 부착하는 방법의 한가지 예일 뿐이다. 당업자라 면 이러한 요소를 부착하는 많은 대안적 방법이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 방법의 예는 특히 나일론(상표명) 스트링 마운트(string mount), 플라스틱 리벳 및 금속 너트와 볼트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코걸이(16)에 대한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의 부착과 함께 안경 다리(18, 20)에 대한 커넥터(22, 24)의 부착 형상은 예로서 주어진 것일 뿐이고, 이러한 부착에 대한 많은 다른 가능한 실행 방법이 가능하다.
또 다른 대안에서, 스크루(72)가 렌즈의 전면으로부터 삽입된다.
도 9의 (a)는 대안적 안경(10')을 도시한다. 안경(10')은 안경(10')이 림(rim)이 있는 안경인 것을 제외하고는 안경(10)과 유사하다. 따라서, 안경(10')은 두 림 렌즈 지지부(rim lens holding portion)(302)와 이 림 렌즈 지지부(302)와 서로 연결되는 림 브리지부(rim bridge portion)(304)를 규정하는 림(300)을 포함한다. 림 렌즈 지지부(302)는 예를 들면 렌즈(12, 14)(도시 생략)와 같은 각각의 렌즈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림 브리지부(304)는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림 브리지부(304)는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9의 (b)에서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4')는 렌즈 지지부(302)로부터 연장된다. 두 안경 다리(도 9의 (a)에서는 그중 하나만이 도시됨, 안경 다리(22))는 커넥터에 가역적으로 부착된다. 커넥터(24')는 그 커넥터(24')가 렌즈(12, 14)에 부착되는 대신 림(300)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커넥 터(22, 24)와 유사하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이상에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발명의 사상과 성질에서 벗어남 없이 변형될 수 있다.

Claims (54)

  1. 렌즈(12, 14),
    상기 렌즈(12, 14)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부착 구간(65)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12, 14)에 연결되는 커넥터(22, 24), 및
    상기 커넥터(22, 24)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는 안경 다리(18, 20)
    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 다리(18, 20)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19, 21), 및
    상기 렌즈를 향해 대체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보조축을 규정하고, 상기 부착 구간(65)과 길이방향 축에 45°이하로 기울어진 삽입축을 따른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상대 움직임에 상기 부착 구간(65)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맞물리는 보조 부분(23, 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대해 20°이하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분(23, 25)은 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22, 24)는 상기 핀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은 삽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보조 부분(23, 2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2, 24)는 핀(64)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부분(23, 25)은 상기 핀(64)을 수용하는 오목부(57)를 포함하며,
    상기 핀(64)은 삽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커넥터(22, 2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10)은 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57)는 슬롯(48)내에 제공되고, 상기 슬롯(48)은 삽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핀(64)은
    상기 슬롯(48)의 바깥쪽에서 변형되지 않은 제1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롯(48)으로 삽입 시에 제1 형상으로부터 제2 형상으로의 변형되고,
    상기 오목부(57)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핀(64)은 제1 핀(64)이고,
    상기 홈(57)은 제1 홈(57)이며,
    상기 커넥터(22, 24)는 제2 핀(66)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부분(23, 25)은 상기 제2 핀(66)을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8)은 제1 슬롯(48)이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삽입축을 따라 배향된 제2 슬롯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핀(64)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5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8)은,
    삽입축에 따른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움직임에서 상기 핀(64)을 수용하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채널(20), 및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에 있는 실질적으로 반원통형의 말단(2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57)은 오목한 내부면(204)을 규정하고,
    상기 반원통형 말단(202)은 실질적으로 반원통형인 단부면(206)을 규정하며,
    상기 반원통형 단부면(206)은 상기 오목한 내부면(204)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200)과 상기 반원통형 말단(202) 사이의 상기 슬롯(48) 내에서 안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핀(64)이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채널(200)의 말단으로 끼워지게 하는 제1 범프(48)를 상기 슬롯(48)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8)은 상기 채널(200)과 상기 반원통형 말단 사이의 상기 슬롯(48) 내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2 범프(49)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범프(48, 49)는 상기 채널(200)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18, 20)는 공동(54)을 규정하고, 상기 공동(54)은 상기 슬롯(48)과 상기 오목부(57)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22, 2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핀(64)은 상기 삽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규정하고,
    상기 공동(54)은 상기 안경 다리(18, 20)가 회전축 주위로 상기 핀(64) 위에서 회전하도록 모양과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54)은 상기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공동 받침면(52)을 규정하고, 상기 공동 받침면(52)은 그 공동 받침면(52)에 대해 직각인 공동 받침면 수직 벡터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 받침면 수직 벡터는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12, 14)를 향해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향하며,
    상기 커넥터(22, 24)는 상기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커넥터 받침면(61)을 규정하고, 상기 커넥터 받침면(61)은 그 커넥터 받침면(61)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받침면 수직 벡터를 규정하며, 상기 커넥터 받침면 수직 벡터는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12, 14)를 향해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향하되,
    상기 렌즈(12, 14)는 전면(27, 29)과 후면(26, 28)을 규정하고,
    상기 커넥터 받침면(61)과 상기 공동 받침면(52)은 상기 길이방향 축과 상기 후면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까지 증가할 때 상기 회전축 주위로의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회전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받침면(61)과 상기 공동 받침면(52)이 서로 접촉할 때, 길이방향 축과 후면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 주위로의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회전은 상기 커넥터 받침면(61)과 상기 공동 받침면(52) 사이의 접촉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받침면(61)과 상기 공동 받침면(52)은 상기 안경 다리(18, 20)와 상기 렌즈(12, 14)가 상기 후면(26, 28)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회전에서 직접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받침면(61)이 상기 렌즈(12, 14)와 상기 핀(64) 사이의 상기 커넥터(22, 24)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10)은 상기 렌즈(12, 14)에 상기 커넥터(22, 24)를 부착하는 패스너(72)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22, 24)는 그 커넥터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부착 보어(62)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보어(62)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하고, 상기 패스너(72)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12, 14)는 상기 패스너(72)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 렌즈에 제공된 부착 구멍(3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72)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구멍은 상기 스크루를 끼우기 위한 나사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멍(32,34)은 상기 렌즈(12, 14)를 부분적으로만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보어(62)는 나사산이 없는 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8.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2, 24)는 돌기(68)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12, 14)는 상기 돌기(68)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42,44)를 포함하며,
    상기 노치(42,44)와 상기 돌기(68)는 상기 보어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인 보어 축 주위로 상기 커넥터(22, 24)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위치되고, 형상과 크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42,44)와 상기 돌기(68)는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0.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72)는 상기 후면(26, 28)을 향해 상기 커넥터(22, 24)를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2, 24)의 모든 부분은 상기 전면(27, 29)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되고, 형상 및 크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2, 24)는 상기 렌즈(12, 14)에 부착될 때 상기 렌즈(12, 14)의 상기 후면(26, 28)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규정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커넥터(22, 24)는 상기 소정의 각도에서 회전되는 상기 안경 다리(18, 20)에서 상기 안경 다리(18, 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연결축을 규정하며,
    상기 접촉면과 상기 연결축 사이의 각도는 소정의 불연속적인 각도들의 셋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3. 제32 항에 있어서,
    소정의 불연속적 각도들의 상기 셋트는 사용자가 상기 안경(10)을 착용시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12, 14)의 곡률에 상기 커넥터(22, 24)를 맞추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4. 제32 항에 있어서,
    소정의 불연속적 각도들의 상기 셋트는 약 11°, 17° 및 24°의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5.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2, 24)는 대칭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상기 대칭면은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12, 14)는 제1 렌즈(12, 14)이고,
    상기 안경(10)은 제2 렌즈(12, 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12, 14)는 코걸이(16)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코걸이(16)는 사용자의 코 위에서 상기 안경(10)을 지지하도록 위치되고, 형상 및 크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코걸이(16)는,
    코를 받치는 코 패드(74),
    상기 코걸이(16)를 상기 제1 및 제2 렌즈(12, 14) 각각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부(78, 79),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78, 79)와 상기 코 패드(74)에 연결된 브리지부(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8.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코걸이(16)는 상기 브리지부(7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분리 가능한 다리 커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9.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보어(62)는 제1 부착 보어(62)이고,
    상기 패스너(72)는 제1 패스너(72)이며,
    상기 제1 렌즈(12, 14)는 제2 부착 보어(82, 8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경(10)은 상기 제1 렌즈(12, 14)에 상기 제1 연결부(78)를 부착하기 위한 제2 패스너(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78)는 그것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부착 보어(82, 8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착 보어(82, 84)는 상기 제2 패스너(72)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렌즈(12, 14)는 상기 제2 패스너(72)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된 제2 부착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68)는 제1 돌기(68)이고,
    상기 노치(42,44)는 제1 노치(42,44)이며,
    상기 제1 렌즈(12, 14)는 제2 노치(38,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2 돌기(8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노치(38,40) 및 제2 돌기(88)는 상기 제2 보어(82, 84)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인 제2 보어축 주위로의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위치되고,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1.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76)는 홈(90)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 커버(80)는 상기 브리지부(76)에 상기 다리 커버(80)를 부착하기 위해 상기 홈(90)에 맞물리도록 하는 래치(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2.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홈(90)은 상기 브리지부(76)로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함몰 부(91)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94)는 상기 브리지부(76)에 상기 다리 커버(80)를 해제 가능하게 잠그도록 상기 함몰부(91)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상기 래치(94)로부터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3.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76)는 여러 개의 홈(90)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 커버(80)는 여러 개의 래치(94)를 포함하되, 상기 래치(94) 각각은 상기 브리지부(76)에 상기 다리 커버(80)가 부착되도록 상기 여러 개의 홈(90)들 각각과 맞물리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4. 제44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홈(90)들 각각은 상기 브리지부(76)로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각 함몰부(91)를 포함하고,
    상기 여러 개의 래치(94)들 각각은 상기 브리지부(76)에 상기 다리 커버(80)가 해제 가능하게 잠그도록 상기 여러 개의 함몰부 각각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해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각 연장부(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5.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76), 상기 연결부(78, 79) 및 상기 코 패드(74)는 실질적으로 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6. 제4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커버(80)는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7.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16)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12, 14)는 인체의 눈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8. 제47 항에 있어서,
    외관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9. 제47 항에 있어서,
    외관은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0.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홈 각각의 깊이는 상기 여러 개의 래치(94) 각각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1. 렌즈(12, 14),
    상기 렌즈(12, 14)로부터 실질적으로 밖으로 연장된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12, 14)에 연결된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및
    상기 연결 수단에 가역적으로 부착되고, i.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19, 21) 수단들과, ⅱ. 삽입축(상기 길이방향 축에 45°이하로 기울어짐)을 따른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상대 움직임에서 상기 부착 수단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면서 맞물리고, 상기 렌즈(12, 14)를 향해 일반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보조축을 규정하는 보조 부분(23, 25) 수단들을 포함하는 안경 다리(18, 20)를 포함하는 안경(10).
  52. 제5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3. 렌즈(12, 14),
    상기 렌즈(12, 14)에 연결된 커넥터(22, 24), 및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면서, 상기 커넥터(22, 24)에 가역적으로 부착된 안경 다리(18, 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22, 24)로부터 상기 안경 다리(18, 20)를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가해지는 최소한의 수직방향 힘은 상기 커넥터(22, 24)로부터 상기 안경 다리(18, 20)를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고 상기 길이방 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가해지는 최소한의 수평방향 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4. 제1 및 제2 림 렌즈 지지부(302)와 상기 림 렌즈 지지부(302)와 서로 연결되는 림 브리지부(304)를 포함하는 림(300),
    상기 제1 및 제2 림 렌즈 지지부(302)에 의해 각각 수용되는 제1 및 제2 렌즈(12, 14),
    상기 제1 및 제2 림 렌즈 지지부(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24'), 및
    상기 커넥터(24')에 가역적으로 부착되고, ⅰ.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는 주요 부분(19, 21)과 ⅱ. 상기 렌즈(12, 14)를 향해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된 보조축을 규정하는 보조 부분(23, 25)을 포함하는 안경 다리(18, 2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부분(23, 25)은 삽입축을 따른 상기 안경 다리(18, 20)의 상대 움직임에 상기 부착 구간(65)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잠기고 맞물리며, 삽입축은 길이방향 축에 45°이하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067021732A 2004-03-19 2005-03-18 안경 KR20070007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436504P 2004-03-19 2004-03-19
US60/554,365 2004-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147A true KR20070007147A (ko) 2007-01-12

Family

ID=3499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732A KR20070007147A (ko) 2004-03-19 2005-03-18 안경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29115B2 (ko)
EP (1) EP1730578B1 (ko)
JP (1) JP2007529766A (ko)
KR (1) KR20070007147A (ko)
AU (1) AU2005224694A1 (ko)
BR (1) BRPI0508912A (ko)
CA (1) CA2559830A1 (ko)
MX (1) MXPA06010689A (ko)
RU (1) RU2006136925A (ko)
WO (1) WO2005091053A1 (ko)
ZA (1) ZA2006081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89A1 (ko) * 2009-12-02 2011-06-09 Jin Jung-Wook 안경테용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844B2 (en) * 1997-09-11 2005-02-15 Kroll Family Trust Tan-thru sunglasses
US7413302B2 (en) * 1997-09-11 2008-08-19 Kroll Family Trust Tan thru glasses
US7175271B2 (en) * 1997-09-11 2007-02-13 Kroll Mark W Tan-thru glasses
US20090021690A1 (en) * 2007-05-24 2009-01-22 Lerner Ira S Rimless eyewear assembly
JP5071907B2 (ja) 2008-08-27 2012-11-1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US7921468B2 (en) * 2009-01-15 2011-04-12 Daniel Joseph Conrad Sutton Eye and ear protector
KR20110060832A (ko) 2009-11-30 2011-06-08 이하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결합링
JP5623733B2 (ja) * 2009-11-30 2014-11-12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結合リング
US8894200B2 (en) 2010-06-30 2014-11-25 Addo Industries, Llc Innovative and aesthetic alternative to traditional spectacle correction
NZ589698A (en) 2010-12-03 2013-07-26 Francis William Austin Eyeglass Hinge Assembly which allows removal of the arms
WO2014039521A1 (en) * 2012-09-04 2014-03-13 Armand Kidouchim Eye wear hinge and process for assembly
US9638934B2 (en) 2012-09-04 2017-05-02 Armand Kidouchim Eyewear hinge and process for assembly
KR101445970B1 (ko) 2013-04-01 2014-09-29 양동훈 안경테와 다리의 결합구조체
USD745922S1 (en) * 2014-11-18 2015-12-22 Qifan Shen Rimless glasses
US10261338B2 (en) 2015-01-15 2019-04-16 Addo Industries, Llc Eyewear comprising suspension system for nose and ears
KR101855365B1 (ko) 2017-01-19 2018-05-08 (주)성산정공 안경테와 장석과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WO2020027824A1 (en) * 2018-08-01 2020-02-06 Francesco Ferretti Eyeglass frames with detachable temple pieces
US11852897B2 (en) 2018-10-10 2023-12-26 Michael Toulch Eyeglasses and assembly including a component mounted to a lens
CN115373153A (zh) * 2021-05-19 2022-11-2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469A (en) 1980-02-25 1981-12-08 Solomon Charles I Eyeglass frame having removable lenses
US4832478A (en) * 1987-11-05 1989-05-23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Spectacle hinge assembly
GB2237939B (en) * 1989-09-22 1994-03-23 Multiprobe Limited Testing apparatus
US5007728A (en) 1989-12-26 1991-04-16 Magorien Robert M Detachable two-piece temple
AT397441B (de) 1991-01-17 1994-04-25 Silhouette Int Gmbh Scharniergelenk zwischen bügel und bügelbacken eines brillengestells
US5321442A (en) 1992-02-25 1994-06-14 Albanese Gerry M Eyeglasses with detachable lenses, sidebars, and adjustable earpieces
US5418581A (en) * 1993-06-07 1995-05-23 Bausch & Lomb Incorporated Hinge system for eyewear
IT1266093B1 (it) * 1993-12-03 1996-12-20 Killer Loop Spa Struttura di cerniera per occhiali
DE4421309C1 (de) * 1994-06-17 1995-06-29 Rodenstock Optik G Brillenscharnier
IT1275030B (it) * 1994-06-27 1997-07-29 Killer Loop Spa Dispositivo di interconnessione e fulcraggio di due componenti di occhiali o elementi protettivi per lo sport
JPH0854583A (ja) 1994-08-11 1996-02-27 Hasegawa Bikoo:Kk ノーズパッドとパッドボックスとの結合構造
US5642177A (en) 1994-12-09 1997-06-24 Sunreeve Company Limited Detachable sunglasses with magnets
IT1279315B1 (it) * 1995-06-14 1997-12-09 Killer Loop Spa Dispositivo di interconnessione, particolarmente per occhiali
US5790230A (en) 1996-02-16 1998-08-04 Sved; Robert Combination eyeglass assembly of sport or safety glasses with detachable prescription lenses
JP2000510257A (ja) * 1996-05-16 2000-08-08 ボデガ ダルテ イン フイレンツエ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眼鏡用ワイヤーフレーム
JP3145349B2 (ja) * 1997-12-26 2001-03-12 株式会社小林 眼鏡部品の連結構造
AUPP554798A0 (en) 1998-08-28 1998-09-17 Wong, Edmund Spectacles and assembly for releasable interfitting of an auxiliary glasses frame
US6601953B1 (en) 2000-06-06 2003-08-05 Viva Ip Corp. Shelter frame kit for glasses
US6474810B1 (en) 2000-10-31 2002-11-05 Dave Ng Bridge for attaching auxiliary lenses
US6341864B1 (en) 2000-10-31 2002-01-29 Dave Ng Clip-on auxiliary lenses utilizing an elastic jaw in the shape of half arch
DE10151464A1 (de) * 2001-10-18 2003-05-08 Eye Systems Gmbh Chur Anordnung mit einer Backe, einem Bügelkopfstück und einem Gelenk für eine Brille
JP2003215506A (ja) * 2002-01-21 2003-07-30 Koji Nagayoshi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
US6786594B1 (en) * 2003-03-14 2004-09-07 Fore-Z (H.K.) Limited Hinge for eyew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89A1 (ko) * 2009-12-02 2011-06-09 Jin Jung-Wook 안경테용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0578B1 (en) 2013-10-16
EP1730578A4 (en) 2008-03-05
JP2007529766A (ja) 2007-10-25
WO2005091053A1 (en) 2005-09-29
ZA200608198B (en) 2008-06-25
US20050206837A1 (en) 2005-09-22
AU2005224694A1 (en) 2005-09-29
BRPI0508912A (pt) 2007-08-14
US7029115B2 (en) 2006-04-18
EP1730578A1 (en) 2006-12-13
RU2006136925A (ru) 2008-04-27
MXPA06010689A (es) 2007-03-08
CA2559830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7147A (ko) 안경
JP4310649B2 (ja) 複合用途対応型眼鏡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7645039B2 (en) Eyewear having interchangeable lenses/temples
CA2287760C (en) Sport eyeglasses having removable lenses
US20060139567A1 (en) Eyeglasses with detachable bows
US9740021B1 (en) Glasses with lens fastened by pivotal members
US10345616B2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US6776481B2 (en) Clip on visor
US20180259790A1 (en) Rigid eyewear having a detachable playless nose bridge
US2006024489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ornamental coupling structure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102375436B1 (ko) 렌즈 교체형 안경
KR102478658B1 (ko)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N218213653U (zh) 一种便于拆卸的眼镜架及眼镜
KR20170059329A (ko) 안경용 경첩
KR1025536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0475570Y1 (ko) 스포츠안경과 보조안경의 탈착구조체
KR101517993B1 (ko) 안경 템플
JP5390350B2 (ja) 眼鏡のテンプルおよび眼鏡
US20060126010A1 (en) Lens support frame and one-piece lens assembly
KR200330955Y1 (ko) 무테안경용 너트어셈블리
JPH0829743A (ja) 補助眼鏡付きサングラスおよびサングラス用補助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