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29A - 안경용 경첩 - Google Patents

안경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29A
KR20170059329A KR1020150163582A KR20150163582A KR20170059329A KR 20170059329 A KR20170059329 A KR 20170059329A KR 1020150163582 A KR1020150163582 A KR 1020150163582A KR 20150163582 A KR20150163582 A KR 20150163582A KR 20170059329 A KR20170059329 A KR 2017005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eyeglass
legs
eyeglass frame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원 장
Original Assignee
(주)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립 filed Critical (주)필립
Priority to KR102015016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329A/ko
Publication of KR2017005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안경렌즈를 마련한 안경테의 양측에 안경다리와 결합하는 경첩의 결합관계를 끼움홈에 끼움되어 회전가능한 끼움회전봉으로 연결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경다리의 끝단에는 끼움회전봉을 돌출마련하여 끼움연결대로 연결하고 안경테와 연결된 연결판 끝단에는 상기 끼움회전봉을 삽입가능한 끼움공을 일측에 형성하고 끼움회전봉을 내부에서 끼움가능한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경다리의 끼움연결대가 회전가능케 연결홈을 끼움공과 통하게 형성하여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으로 탈착가능케 하고 끼움홈에 끼움회전봉을 끼워 고정하여 연결홈에 의해 안경다리가 회동가능케 하여 사용자가 안경다리를 안경테에서 삽입하고자 하면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으로 삽입시켜 끼움홈에 끼워 고정시키고 안경다리를 안경테에서 분리하고자 하면 끼움홈에 끼워진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을 통해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되면 끼움공을 통해 분리를 간편하게 분리가능케 하는 이점과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간단하게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을 통해 탈착가능케 하여 착용자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취향 또는 그날 패션에 맞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용 경첩{A hinge for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안경렌즈를 마련한 안경테의 양측에 안경다리와 결합하는 경첩의 결합관계를 끼움홈에 끼움되어 회전가능한 끼움회전봉으로 연결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하나의 안경테에 다수개의 여러 색상의 안경다리를 결합가능케 하는 안경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래스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경첩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의 안경테와 안경다리 및 경첩으로 결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은 안경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경첩를 결합가능케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경계부 양단에 스프링을 내부에 마련한 경첩대를 형성하여 상기 경첩대는 거의 대부분 사출성형시 결합하거나 금속재의 안경에서는 용접등의 방식으로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는 다리판과 상기 다리판의 후단부에는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우레탄재질의 귀걸이를 후방에 마련하여 안경다리의 선단부를 안경테와 경첩으로 결합하여 안경다리를 접철가능케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안경다리와 경첩대를 연결하는 경첩은 통상적으로 경첩에 볼트공을 마련하여 그 내부에 안경다리를 열결하여 볼트로 고정가능케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경첩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분리하고자 하면 볼트를 풀어야 하는 번거러움과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 볼트가 마모되거나 볼트 주위에 손상이 되어 안경의 가치를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용접으로 안경테와 경첩대를 연결하여 볼트를 이용한 결합 방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19962호에는 절단된 안경테 연결부와 안경다리를 결합하거나 분리 시 쉽고 간편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안경테 연결부와 안경다리 사이로 형성되되, 상기 안경테 연결부와 안경다리 사이로 결합되는 경첩으로 삽입홈과 체결공을 형성하여 안경테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상기 한국등록특허 또한, 갈라진 안경테에 일측이 끼움되고, 회동편이 경첩편에 끼워 회동편과 경첩편으로 경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경첩공으로 경첩핀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볼트와 회동핀을 끼워 사용하므로 숙련자 이외에는 쉽게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항상 안경점을 방문하여 숙련자에게 안경다리의 교체를 부탁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불편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6901호 "안경용 경첩"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안경점의 숙련자 이외에도 간편하고 간단하게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착용자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취향 또는 그날 패션에 맞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경다리의 끝단에는 끼움회전봉을 돌출마련하여 끼움연결대로 연결하고 안경테와 연결된 연결판 끝단에는 상기 끼움회전봉을 삽입가능한 끼움공을 일측에 형성하고 끼움회전봉을 내부에서 끼움가능한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경다리의 끼움연결대가 회전가능케 연결홈을 끼움공과 통하게 형성하여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으로 탈착가능케 하고 끼움홈에 끼움회전봉을 끼워 고정하여 연결홈에 의해 안경다리가 회동가능케 하여 안경다리가 끼움공으로 탈착가능케 함과 동시에 안경다리가 연결홈에 의해 회동가능케 하는 안경용 경첩을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렌즈(2)를 결합한 안경테(1)와 상기 안경테(1)의 양측으로 안경다리(20)를 결합하는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안경다리(20)의 끝단인 걸편(21)에는 끼움연결대(23)로 끼움회전봉(22)을 돌출 마련하고, 안경테(1)와 연결된 연결판(3) 끝단에는 경첩편(10)을 마련하되 상기 끼움회전봉(22)을 하부로 삽입가능케 외부와 통하는 끼움공(11)을 일측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11)의 일선상으로 끼움회전봉(22)을 내부에서 끼움가능한 끼움홈(13)을 형성하며, 상기 안경다리(20)의 끼움연결대(23)가 회전가능케 연결홈(12)을 끼움공(11)과 통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끼움홈(13)에 끼움시 끼움회전봉(22)보다 직경을 작게하여 압착 끼움 가능케 형성하여 끼움회전봉(22)이 끼움공(11)을 통해 자연스럽게 분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공(11)은 외부와 통하게 형성하되, 상기 끼움공(11)과 외부와 접하는 부위에는 끼움공(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공(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의 끝단에는 끼움회전봉을 돌출마련하여 끼움연결대로 연결하고 안경테와 연결된 연결판 끝단에는 상기 끼움회전봉을 삽입가능한 끼움공을 일측에 형성하고 끼움회전봉을 내부에서 끼움가능한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경다리의 끼움연결대가 회전가능케 연결홈을 끼움공과 통하게 형성하여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으로 탈착가능케 하고 끼움홈에 끼움회전봉을 끼워 고정하여 연결홈에 의해 안경다리가 회동가능케 하여
사용자가 안경다리를 안경테에서 삽입하고자 하면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으로 삽입시켜 끼움홈에 끼워 고정시키고 안경다리를 안경테에서 분리하고자 하면 끼움홈에 끼워진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을 통해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되면 끼움공을 통해 분리를 간편하게 분리가능케 하는 이점과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간단하게 안경다리의 끼움회전봉을 끼움공을 통해 탈착가능케 하여 착용자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취향 또는 그날 패션에 맞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렌즈(2)를 결합한 안경테(1)와 상기 안경테(1)의 양측으로 안경다리(20)를 결합하는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20)의 끝단인 걸편(21)에는 끼움연결대(23)로 끼움회전봉(22)을 돌출 마련하고,
안경테(1)와 연결된 연결판(3) 끝단에는 경첩편(10)을 마련하되 상기 끼움회전봉(22)을 하부로 삽입가능케 외부와 통하는 끼움공(11)을 일측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11)의 일선상으로 끼움회전봉(22)을 내부에서 끼움가능한 끼움홈(13)을 형성하며, 상기 안경다리(20)의 끼움연결대(23)가 회전가능케 연결홈(12)을 끼움공(11)과 통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끼움홈(13)에 끼움시 끼움회전봉(22)보다 직경을 작게하여 압착 끼움 가능케 형성하여 끼움회전봉(22)이 끼움공(11)을 통해 자연스럽게 분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홈(12)은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회동시 끼움회전봉(22)을 연결하는 끼움연결대(23)의 간섭을 피하게 함과 동시에 끼움연결대(23)의 일측면이 연결홈(12)에 밀착되면서 안경다리(20)의 회동을 정지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공(11)은 외부와 통하게 형성하되, 상기 끼움공(11)과 외부와 접하는 부위에는 끼움공(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공(14)을 형성하여 끼움공(11)을 통해 삽입되는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안경렌즈(2)를 결합한 안경테(1)와 상기 안경테(1)의 양측으로 안경다리(2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의 일측을 끼움공(11)에 삽입시키고 상기 끼움연결대(23)가 경첩편(10)에 밀착되면 안경다리(20)를 회전시켜 끼움연결대(23)가 끼움공(11)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 한 후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이 끼움공(11)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끼움홈(13)으로 삽입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끼움홈(13)으로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이 삽입되면서 끼움홈(13)에서 압착되어 쉽게 끼움회전봉(22)이 끼움홈(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끼움홈(13)을 통해 끼움홈(13)으로 삽입된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회동시키면 끼움회전봉(22)과 연결된 끼움연결대(23)는 연결홈(12)에서 회동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연결홈(12)의 밀착되면서 안경다리(20)의 회동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안경다리(20)를 안경테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 후 안경다리(20)를 교체하고자 할 시에는 안경다리(20)의 끼움연결대(23)를 회동시켜 경첩대()의 끼움공(11)과 동일한 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끼움공(11)의 외부로 힘을 가하면 끼움공(11)의 요홈()에 의해 끼움회전봉(22)은 끼움공(11)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끼움공(11)을 따라 꺼내지게 되며 이때 끼움회전봉(22)이 압착 끼움된 끼움홈(13)에서 끼움회전봉(22)이 꺼내 분리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안경테(1)에서 안경다리(20)를 분리시키고 난 후 원하는 색상의 안경다리를 다시 끼움공(11)을 통해 삽입하여 결합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렇게 사용자가 안경다리(20)를 안경테(1)에서 삽입하고자 하면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끼움공(11)으로 삽입시켜 끼움홈(13)에 끼워 고정시키고 안경다리(20)를 안경테(1)에서 분리하고자 하면 끼움홈(13)에 끼워진 끼움회전봉(22)을 끼움공(11)을 통해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되면 끼움공(11)을 통해 분리를 간편하게 분리가능케 하는 것이다.
1 : 안경테 2 : 안경렌즈
3 : 연결판 10 : 경첩편
11 : 끼움공 12 : 연결홈
13 : 끼움홈 14 : 걸공
20 : 안경다리 21 : 걸편
22 : 끼움회전봉 23 : 끼움연결대

Claims (3)

  1. 안경렌즈(2)를 결합한 안경테(1)와 상기 안경테(1)의 양측으로 안경다리(20)를 결합하는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안경다리(20)의 끝단인 걸편(21)에는 끼움연결대(23)로 끼움회전봉(22)을 돌출 마련하고,
    안경테(1)와 연결된 연결판(3) 끝단에는 경첩편(10)을 마련하되 상기 끼움회전봉(22)을 하부로 삽입가능케 외부와 통하는 끼움공(11)을 일측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11)의 일선상으로 끼움회전봉(22)을 내부에서 끼움가능한 끼움홈(13)을 형성하며, 상기 안경다리(20)의 끼움연결대(23)가 회전가능케 연결홈(12)을 끼움공(11)과 통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안경다리(20)의 끼움회전봉(22)을 끼움홈(13)에 끼움시 끼움회전봉(22)보다 직경을 작게하여 압착 끼움 가능케 형성하여 끼움회전봉(22)이 끼움공(11)을 통해 자연스럽게 분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경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11)은 외부와 통하게 형성하되, 상기 끼움공(11)과 외부와 접하는 부위에는 끼움공(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공(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경첩.
KR1020150163582A 2015-11-20 2015-11-20 안경용 경첩 KR20170059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82A KR20170059329A (ko) 2015-11-20 2015-11-20 안경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82A KR20170059329A (ko) 2015-11-20 2015-11-20 안경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29A true KR20170059329A (ko) 2017-05-30

Family

ID=5905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82A KR20170059329A (ko) 2015-11-20 2015-11-20 안경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3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712A (ko)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콥틱 스크류리스 안경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712A (ko)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콥틱 스크류리스 안경 프레임
KR20220020327A (ko) * 2020-08-03 2022-02-18 주식회사 콥틱 스크류리스 안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20170357104A1 (en) Glasses with replaceable lenses
US20060256281A1 (en) Spectacles set with decorative frame
US912830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subsidiary frame of eyeglasses
KR20070007147A (ko) 안경
JP2017526983A (ja) 多機能インサートシャーシクリップを有するアイウェア
US20060250571A1 (en) Spectacle set with multiple decorative frame
US9261711B1 (en) Eyeglasses with replaceable lenses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US9740021B1 (en) Glasses with lens fastened by pivotal members
US20160231588A1 (en) Interchangeabal Eyewear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KR20170059329A (ko) 안경용 경첩
KR20180069234A (ko) 조립식 안경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KR200472592Y1 (ko)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20110009662U (ko) 안경다리 교환기능을 가진 안경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200467559Y1 (ko) 안경
KR102375436B1 (ko) 렌즈 교체형 안경
KR102570372B1 (ko) 안경의 교환식 안경다리
JP6924481B2 (ja) 多機能眼鏡
JP3179031U (ja) 眼鏡類
KR20090012361U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