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234A - 조립식 안경 - Google Patents

조립식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234A
KR20180069234A KR1020160171223A KR20160171223A KR20180069234A KR 20180069234 A KR20180069234 A KR 20180069234A KR 1020160171223 A KR1020160171223 A KR 1020160171223A KR 20160171223 A KR20160171223 A KR 20160171223A KR 20180069234 A KR20180069234 A KR 20180069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coupling
shaft
coupling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네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네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네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17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234A/ko
Publication of KR2018006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분할되어있는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각각 고리부를 형성하고, 템플에는 고리부를 걸어줄 수 있는 축을 구비한 결합구를 조립할 수 있는 결합부를 설치하며, 결합구의 축에는 고리부를 중앙으로 모아주는 누름편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고리부를 템플에 조립할때 고리부가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별도의 결속용 클립을 결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리를 결합구의 축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안경의 조립이 구현되므로 제품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고, 렌즈의 교체가 용이해지도록 한 조립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안경{Prefabricated glasses}
본 발명은 조립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분할되어있는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각각 고리부를 형성하고, 템플에는 고리부를 걸어줄 수 있는 축을 구비한 결합구를 조립할 수 있는 결합부를 설치하며, 결합구의 축에는 고리부를 중앙으로 모아주는 누름편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고리부를 템플에 조립할때 고리부가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별도의 결속용 클립을 결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리를 결합구의 축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안경의 조립이 구현되므로 제품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고, 렌즈의 교체가 용이해지도록 한 조립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 회복 또는 시력 저하를 방지하거나,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더군다나, 최근에는 패션의 일방편으로 매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렌즈 고정구를 갖는 림(rim)과, 상기 림의 양단에서 조립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하기 위한 템플(temple)(또는 '안경 다리'라 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안경은 합성 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림의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힌지암에 템플(temple)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켜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시켜 사용한다.
상기 안경의 림, 즉 소위 안경테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때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나,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재질의 안경테의 경우 상기 림의 일측을 절개시키고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약간 벌린 후 렌즈를 상기 림의 렌즈 고정구에 삽입 후, 소형 볼트를 이용하여 마무리한다.
그러나, 소형볼트를 이용하여 림의 절개부를 마무리하는 종래기술은 일일이 볼트를 이용한 조립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빠지고, 또한 림의 절개부와 템플을 또다시 조립공구를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해야만 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리고, 림의 절개부에 별도의 클립을 끼워서 림의 절개부가 다물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기술 역시 림의 절개부 결속 후 다시 템플을 연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 선행기술문헌 *
공개실용신안 20-2010-0010777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분할되어있는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각각 고리부를 형성하고, 템플에는 고리부를 걸어줄 수 있는 축을 구비한 결합구를 조립할 수 있는 결합부를 설치하며, 결합구의 축에는 고리부를 중앙으로 모아주는 누름편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고리부를 템플에 조립할때 고리부가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별도의 결속용 클립을 결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리를 결합구의 축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안경의 조립이 구현되므로 제품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고, 렌즈의 교체가 용이해지도록 한 조립식 안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분할되어 있는 상측림(11)과 하측림(12)으로 이루어진 안경테(10)와;
안경테(1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템플(20); 을 포함하는 조립식안경에 있어서,
상측림(11)과 하측림(12)의 연장부(13a)(13b)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14)와;
템플(20)의 일단 내측 상하부에 끼움홀(23)을 구비한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를 형성하고,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나사홀(26)을 구비한 중간결합부(2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외측으로 끼워지고, 그 하단에는 중간결합부(25)에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부(14)에 연결되는 축(34)이 구비된 결합구(30)와;
결합구(30)의 축(34)에 끼워져 연결부(14)가 중간결합부(2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누름편(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리부를 템플에 조립할때 고리부가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상측림과 하측림의 연장부에 별도의 결속용 클립을 결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리를 결합구의 축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안경의 조립이 구현되므로 제품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고, 렌즈의 교체가 용이해지도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식안경을 보인 분해도.
도 2 와 도 3 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도.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안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측이 분할되어 있는 상측림(11)과 하측림(12)으로 이루어진 안경테(10)와;
안경테(1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템플(20); 을 포함하는 조립식안경에 있어서,
상측림(11)과 하측림(12)의 연장부(13a)(13b)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14)와;
템플(20)의 일단 내측 상하부에 끼움홀(23)을 구비한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를 형성하고,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나사홀(26)을 구비한 중간결합부(2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외측으로 끼워지고, 그 하단에는 중간결합부(25)에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부(14)에 연결되는 축(34)이 구비된 결합구(30)와;
결합구(30)의 축(34)에 끼워져 연결부(14)가 중간결합부(2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누름편(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구(30)에는 축(34)에 비해 큰 직경의 중간몸체(33)가 구비되어 누름편(40)을 중간결합부(25)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간몸체(33)에 축방향으로 끼움홈(35)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35)에 누름편(40)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36)을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안경은 안경테(10), 템플(20), 결합구(30), 누름편(40)으로 대별 구성된다.
안경테(10)는 렌즈가 끼워지는 상측림(11)과 하측림(12)으로 구성되는데, 상측림(11)과 하측림(12)의 일측이 분할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림(11)과 하측림(12)의 끝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부(13a,13b)가 형성된다.
연장부(13a,13b)의 끝단에는 후설하는 결합구(30)의 축(34)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14)가 형성되는데, 이 연결부(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리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연결부(14)를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34)에 기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부(14)는 축(34)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측림(11)고 하측림(12)의 사이에 렌즈를 결합 할 때에는 분할된 절개부를 살짝 벌린 상태에서 렌즈를 끼워 결합한다.
템플(20)은 상기 안경테(10)의 연결부(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템플에는 연결부(14)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는데, 그 결합수단은, 템플(20)의 일단 내측 상하부에 끼움홀(23)을 구비한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를 형성하고,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나사홀(26)을 구비한 중간결합부(25)를 템플(20)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외측면에는 끼움홀(23)에 비해 직경이 확대된 헤드끼움홈(24)을 더 형성하여 후설하는 결합구(30)의 헤드(31)가 헤드끼움홈(24)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결합구(30)는 연결부(14)를 템플(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가장 직경이 크면서 표면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체결될 수 있는 공구홈이(32) 형성된 헤드(31)가 구비되고, 이 헤드(31)의 하측으로는 끼움홀(23)에 끼워지는 중간몸체(33)가 형성되며, 중간몸체(33)의 하측으로는 나사홀(26)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축(34)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구(30)를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외측으로 부터 끼워넣은 후 축(34)에 연결부(14)의 끝단을 끼운상태로 축(34)을 중간결합부(25)의 나사홀(26)에 결합시키면 연결부(14)가 축(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템플(20)이 안경테(10)에 접혀짐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편(40)은 축(34)이 끼워지는 축홀(4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누름편(40)을 축(34)에 끼워 결합한 상태로 연결부(14)를 축(34)에 끼워 중간결합부(25)에 나사결합하게되면, 중간몸체(33)가 누름편(40)을 가압하게되므로 누름편(40)이 연결부(14)를 중간결합부(25) 측으로 밀어내게되고, 이에의해 연결부(14)가 가운데로 모아지게되면서 상측림(11)과 하측림(12)의 연장부(13a)(13b)가 벌어지지 않고 다물어지게되어 상측림(11)과 하측림(12) 사이에 끼워진 렌즈가 이탈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간몸체(33)에 축방향으로 끼움홈(35)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35)에 누름편(40)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36)을 끼워 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누름편(40)을 스프링(36)이 중간결합부(25) 측으로 밀어내게되므로 연결부(14)가 중간결합부(25)에 밀착되었을때 누름편(40)과 중간몸체(33) 사이에 소정의 갭이 발생하게된다.
이에따라. 렌즈를 교체하고자 할때 도 6 과 같이 스프링(36)이 수축되도록 연결부(14)를 벌려주게되면 상측림(11)과 하측림(12)이 살짝 벌어지게되어 손쉽게 렌즈를 이탈시켜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안경테, 11: 상측림,
12: 하측림, 13a,13b: 연장부,
14: 연결부, 20: 템플,
21: 상측결합부, 22: 하측결합부,
23: 끼움홀, 24: 헤드끼움홈,
25: 중간결합부, 26: 나사홀,
30: 결합구, 31: 헤드,
32: 공구홈, 33: 중간몸체,
34: 축, 35: 끼움홈,
36: 스프링, 40: 누름편,
41: 축홀,

Claims (3)

  1. 일측이 분할되어 있는 상측림(11)과 하측림(12)으로 이루어진 안경테(10)와;
    안경테(1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템플(20); 을 포함하는 조립식안경에 있어서,
    상측림(11)과 하측림(12)의 연장부(13a)(13b)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14)와;
    템플(20)의 일단 내측 상하부에 끼움홀(23)을 구비한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를 형성하고,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나사홀(26)을 구비한 중간결합부(2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측결합부(21)와 하측결합부(22)의 외측으로 끼워지고, 그 하단에는 중간결합부(25)에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부(14)에 연결되는 축(34)이 구비된 결합구(30)와;
    결합구(30)의 축(34)에 끼워져 연결부(14)가 중간결합부(2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누름편(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구(30)에는 축(34)에 비해 큰 직경의 중간몸체(33)가 구비되어 누름편(40)을 중간결합부(25)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몸체(33)에 축방향으로 끼움홈(35)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35)에 누름편(40)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36)을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경.
KR1020160171223A 2016-12-15 2016-12-15 조립식 안경 KR20180069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23A KR20180069234A (ko) 2016-12-15 2016-12-15 조립식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23A KR20180069234A (ko) 2016-12-15 2016-12-15 조립식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234A true KR20180069234A (ko) 2018-06-25

Family

ID=6280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223A KR20180069234A (ko) 2016-12-15 2016-12-15 조립식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2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560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WO2019240561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KR102091967B1 (ko) 2019-02-26 2020-03-2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접힘유지수단이 구비된 무힌지 안경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560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WO2019240561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WO2019240552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WO2019240558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WO2019240553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WO2019240555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WO2019240554A1 (ko) 2018-06-15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KR102091967B1 (ko) 2019-02-26 2020-03-2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접힘유지수단이 구비된 무힌지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213B2 (en) Interchangeable frames for eyeglasses
US8303111B2 (en) Eyeglasses
KR20180069234A (ko) 조립식 안경
JPH0490508A (ja) 被せサングラス眼鏡
KR102282966B1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WO2003045672A3 (en) Computer-controlled milling machine for producing lenses for clip-on accessory or eyeglasses
US20110273661A1 (en) Eyeglasses
JP3202202U (ja) ゴグルレンズを用いたクリップオン眼鏡
US20160231588A1 (en) Interchangeabal Eyewear
KR102234023B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
AU2017293435B2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US20130335695A1 (en) Magnetic Pulling Type Free Hanging Frame For eyeglasses
US20190079311A1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JP3198789U (ja) 眼鏡フレーム
CN112904587B (zh) 一种可以快速更换眼镜腿的眼镜架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102206631B1 (ko) 안경
KR20170059329A (ko) 안경용 경첩
KR102334087B1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KR20060116788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US8845094B2 (en) Universal props for wearing secondary glasses over primary glasses
KR200493352Y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구조
KR20180001138U (ko) 보조안경에 사용하는 자기적으로 마운트되는 조립체
KR200330955Y1 (ko) 무테안경용 너트어셈블리
KR101699302B1 (ko) 금속 안경테용 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