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96B1 -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 Google Patents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96B1
KR102008296B1 KR1020180053656A KR20180053656A KR102008296B1 KR 102008296 B1 KR102008296 B1 KR 102008296B1 KR 1020180053656 A KR1020180053656 A KR 1020180053656A KR 20180053656 A KR20180053656 A KR 20180053656A KR 102008296 B1 KR102008296 B1 KR 10200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microled
transparent
lens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18005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96B1/ko
Priority to JP2020555231A priority patent/JP7307748B2/ja
Priority to US17/047,125 priority patent/US11994752B2/en
Priority to PCT/KR2018/006738 priority patent/WO2019198875A1/ko
Priority to CN202010884667.8A priority patent/CN112034631A/zh
Priority to CN202210791646.0A priority patent/CN115128838A/zh
Priority to CN201910111154.0A priority patent/CN11037675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96B1/ko
Priority to PH12020551621A priority patent/PH12020551621A1/en
Priority to JP2022166543A priority patent/JP2022188280A/ja
Priority to JP2023080781A priority patent/JP202310337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으로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렌즈(12)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렌즈(12)에 구비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SELF ASSEMBLY MICRO-LED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 착용자의 개성과 기호 또는 기능에 맞게 안경렌즈를 표현할 수 있고 착용자 본인이 원하는 창작 디자인 표출이 가능케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안경은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목적으로 착용되고 있다. 시력 보정용이나 시력 보호용으로 주로 착용되고 있으며, 요즈음 자기 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어하는 시대 트랜드에 알맞는 디자인과 본인의 패션이나 주변 환경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용도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안경은 미세한 차이에 따라 착용자의 느낌과 주위 분위기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오늘 패션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안경을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으로 셋팅할 수 있고 또 요즈음 트랜드에 알맞고 시대를 앞서나갈 수 있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면 수백년 안경 역사상 혁신적인 일이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 지금까지의 안경은 안경 제작업자가 만들어 놓은 최소 수백 내지 수천개의 디자인 제품중에서 착용자가 선택해서 착용했을 뿐이다. 그런데 만일 누구 한사람도 같은 디자인 제품이 아니고 안경 착용자에게는 이 세상 하나뿐인 자기만의 디자인 안경을 구현하거나 여러 안경기능이 안경렌즈 등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면 개성을 추구하고 기능성도 중시하는 현대인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 안경이 안경에 대한 기존 고정관념을 없애는 획기적인 것이라면 안경 착용자뿐만 아니라 안경제품 관련 종사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956호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로서 안경다리, 브릿지, 안경테,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무늬를 착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고 안경렌즈의 기능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자가 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크기, 형태를 변형이나 교환할 수 있고 순식간에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디자인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안경렌즈를 주간이나 야간에 따른 시력보호, 도로나 해변, 설상과 같은 주변환경에 따른 시력보호기능이나 시력교정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렌즈(12)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와,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본체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이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석(17) 및 브릿지부(10)의 자석(15)에 각기 자력(磁力)이 작용하는 두부용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6a)(10a)가 별도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 마스터부(30)는 스마트폰(60)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무선 접속되며, 스마트폰(60)에 다운로드된 안경렌즈 디자인 및 색상 모바일앱의 구동에 따른 디자인 및 색상 제어명령에 따라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색상 및 디자인이 표현되게 무선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외부 빛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48)를 본체 마스터부(30) 및 원격 슬레이브(3O)중의 하나 이상에 구비하여서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에 인가되는 외부 광량감지에 근거하여 본체 마스터부(30)와 원격 슬레이브(50)에 의한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디스플레이 휘도밝기가 제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렌즈(12)에 덧씌움이 가능한 구조의 좌우의 덧렌즈(11)를 더 구비하되, 덧렌즈(11)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와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본체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안경렌즈(12)가 각기 결합된 좌우의 안경테(70)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테(70)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테(70)에 결합된 안경렌즈(12)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테(70)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른 좌우의 안경테(70) 각각은 자력에 의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맞춤테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안경테(70)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로서 안경다리, 브릿지, 안경테,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무늬를 하나의 안경으로 착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고 변환할 수도 있으며 안경렌즈의 기능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을 안경렌즈에만 적용하거나 안경렌즈 및 안경테에 함께 적용할 수 있으므로 안경렌즈나 안경테의 전체 색상이나 표현 디자인을 순식간에 변형할 수 있고, 안경렌즈를 주간이나 야간에 따른 시력보호, 도로나 해변, 설상과 같은 주변환경에 따른 시력보호기능이나 핀홀안경(pinhole glasses)과 같은 핀홀효과 시력교정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결합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확대 사시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횡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렌즈연결 두부의 종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에서 렌즈연결 두부 및 브릿지부의 부분 평단면 분리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기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에서 안경렌즈의 외표면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이 입혀지게 형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의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의 구동 일예 사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안경다리에 내장된 본체 마스터부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안경렌즈에 구비된 원격 슬레이브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12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과 스마트폰 간의 안경렌즈 디자인 및 색상변화를 위한 원격제어 개략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선글라스와 같은 칼라가 입혀진 상태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예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에 안경테가 표현된 상태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예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에 착용자가 선호하는 도형이 표현된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예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핀홀안경과 같은 시력교정용 역할용도로 구현한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예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이 입혀진 덧렌즈를 이용한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예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결합 사시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횡단면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의 분리 사시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경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그 착용자의 느낌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오늘 패션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안경을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으로 셋팅할 수 있도록 하고 요즈음 유행하는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이 나타나도록 조립 셋팅을 통해 구현한다. 즉 안경테나 안경다리, 안경렌즈의 모양이나 형태나 칼라 등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짧은 시간에 새로운 안경형태로 변형 착용하는 것이 조립셋팅으로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안경렌즈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을 입힘으로써 상기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을 이용해서 안경렌즈상에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형성할 수 있기에 지금까지 안경형태로는 없었던 착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역할과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안경이 되게 한다. 그리고 착용자가 임의대로 디자인의 창작을 연출하고 색상 및 무늬를 변경할 수 있어 이 세상 하나뿐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이 될 수 있게 하여 안경의 기존 개념을 넘어서서 새로운 개념의 안경을 창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안경 구성품의 분리와 조립과 색깔 또는 무늬의 변색 변화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며, 또 안경렌즈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스킨으로 입혀진 패션적인 안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결합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확대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횡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렌즈연결 두부(6)의 종단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에서 렌즈연결 두부(6) 및 브릿지부(10)의 부분 평단면 분리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분리가 가능한 조립형의 자가맞춤형 무테 안경형태의 구성이며, 안경렌즈(12)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스킨(20)으로 입혀지게 구성한다.
즉,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안경테 프레임이 없이 자력(磁力)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좌우의 안경다리(4)와, 그 좌우 안경다리(4)에 힌지연결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와, 코받침(8)을 가지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와, 한쌍의 안경렌즈(12)로 구성되며, 각부가 분리와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7)이 매립된 렌즈연결 두부(6)에는 자석(17)이 매립된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가 렌즈연결 두부(6)와 한 쌍을 이루며 별도로 구비되며,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에는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가 브릿지부(10)와 한쌍을 이루며 별도로 구비된다.
안경다리(4)와 연결된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와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는 각기 독립형태이므로 자력에 의해서 한쌍을 이루는 렌즈연결 두부(6)의 매립 자석(17)이나 브릿지부(10)의 자석(15)와는 잘 부착고정되지만, 혹시나 모를 분실의 우려가 있을 수 있기에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이나 비탄성의 이음줄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안경(2)은 각 안경렌즈(12)의 일측 가장자리가 렌즈연결 두부(6)에 매립된 자석(17)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자석(17)간에 작용하는 자력(磁力)에 의해 지지고정되고, 각 안경렌즈(12)의 타측 가장자리가 브릿지부(10)에 매립된 자석(15)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의 자석(15)간에 작용하는 자력(磁力)에 의해서 지지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연결 두부(6)와 안경렌즈(12)간의 고정 및 브릿지부(10)와 안경렌즈(12)간의 고정이 자력에 의해서 지지고정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언급하였지만, 자력에 의한 지지고정되는 것이외에도 끼움고정구조나 걸림고정구조로도 지지고정될 수도 있다.
안경렌즈(12)는 유리재질도 가능하지만 안경용 플라스틱재질이 양호하며 표면에 내스크래치성(scaratch-resistant) 및 내지문성(fingerprint-resistant)을 갖는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내스크래치성을 높이기 위한 경도가 있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12)의 가장자리상의 자력고정 구조에 따른 내스크래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안경렌즈(12)에 접촉하는 렌즈연결두부(6)의 접촉내면 및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접촉내면이나 브릿지부(10)의 접촉 내면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의 접촉내면에 우레탄과 같은 긁힘방지 피복층이 추가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에 있어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와 브릿지부(10)간에 안경렌즈(12)가 위치된후 자력으로 부착고정시키게 되면, 착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맞게 안경렌즈(12)의 상하 높낮이를 위치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안경렌즈(12)는 안경테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안경렌즈의 디자인형태나 모양을 각기 달리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본인의 개성이나 주위환경이나 상황에 맞는 안경렌즈(12)를 자유롭게 선정하되 좌우 렌즈형태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다르게도 할 수도 있고 연결 조립과 해제를 할 수 있다.
즉 안경렌즈(12)는 안경테로부터 자유롭고 자력부착홈부(16)(14)로부터도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안경렌즈(12)의 디자인형태나 모양, 크기를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좌우 서로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경렌즈(12)상에서의 고정 위치 즉 렌즈연결 두부(6)와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간의 자력 고정위치나 브릿지부(10)와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간의 자력 고정위치를 도 2 내지 도 4에 예시한 일예와 같이 착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인의 개성이나 주위환경이나 상황에 맞는 안경렌즈(12)를 자유롭게 선정하되 좌우 렌즈형태나 크기를 임의대로 고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12)상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입힘으로써 그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이용해서 평소 안경렌즈 기능은 그대로 하면서도 안경렌즈(12)상에 다양한 색상과 무늬 또는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고 착용자가 필요로 하는 역할과 효과를 낼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 안경의 외표면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우 안경렌즈(12) 면상에 전방을 향하는 외부로 색상과 무늬,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부착 형성한다.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진 안경렌즈(12)는 본 발명에 따라 독립적으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좌우 렌즈크기를 착용자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으며,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안경렌즈로 대체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5~100㎛(10만분의 1cm임) 크기의 초소형 LED 입자를 기판(본 발명에서는 투명기판)에 이어 붙인 디스플레이로서, LED칩 자체를 화소(픽셀)로 활용해 유연성있거나(flexible) 둥글게 휨이 가능한(rollable) 화면을 구현하는데 적합하고, OLED 대비 전력 소모량은 매우 적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 OLED에 비해서도 조도, 채도, 전력 효율성면에서 훨씬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표면부에 입혀지게 부착한다. 본 발명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은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안경렌즈(12)가 안경렌즈 역할을 그대로 할 수 있도록 투명성과 아울러 가요성을 모두 갖는 투명 가요성기판(22)을 사용하며, 마이크로LED칩으로 된 화소 즉 마이크로LED 화소(26)들도 투명성을 최대로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안경렌즈(12)에 입혀진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화소수가 조절되게 배치하여서(즉 화면 해상도를 낮게 조절하여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작동되어 디자인형상이 표현되고 있더라도 착용자가 전방을 주시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해준다.
마이크로 p-n다이오드층으로 된 수많은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을 갖는 반도체디바이스(24)가 마이크로 전사인쇄 기술방식에 의해서 투명 가요성기판(22)에 이식형성됨에 의해서 본 발명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스킨(20)이 마련된다. 이때 전사인쇄 기술을 행함에 있어서도 롤전사 기술을 이용하여 초당 1만여개 이상의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을 투명 가요성기판(22)에 전사 부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은 모(native)기판 상에 준비된 후 투명 가요성기판(22)에 전사 인쇄되어지며, 모기판 및 불필요 부분은 이후 제거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명 가요성기판(22)은 투명하고 연성을 갖는다. 투명 가요성기판(22)은 5∼10㎛, 10∼50㎛, 50∼100㎛, 100∼200㎛, 200∼500㎛, 0.5∼1mm, 1∼5mm, 5∼10mm의 두께범위들중 하나의 두께범위로 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성도로서, 투명성과 가요성을 모두 갖는 투명 가요성기판(22)상에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을 갖는 반도체디바이스층(24)이 부착형성된 구성이다.
도 8에서, 반도체디바이스층(24)의 마이크로LED 화소(26)는 양전극층(30), 투명도전층(32), 투명 p-전극층(34), p-GaN층(36), 활성층(38), n-GaN층(40), 및 상부의 투명 n-전극층(42)으로 구성되며, 각 마이크로LED 화소(26)간에는 투명성 절연층(44)으로 형성된다. 반도체디바이스층(24)에 형성된 마이크로LED 화소(26)들 각각은 p-n 다이오드 층으로서 스펙트럼 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밴드갭을 갖는 화합물 반도체이며,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Ⅲ∼Ⅴ족 질화물 재료의 대표적 일예인 질화갈륨(GaN)으로 형성된다.
투명 p-전극층(34)은 전원공급을 위한 것으로, 투과율이 70% 이상의 Al, Ga, Ag, Sn, In, Zn, Co, Ni, Au를 포함하는 산화물로 전극을 형성하며, 양전극층(90)은 회로패턴이나 범프, 전도성 접착층이 되며, 투명 n-전극층(42)은 전기전도성을 갖는다. 양전극층(30)은 가시 스펙트럼에 대해 반사성을 갖는 은 및 니켈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잠재적 반사성 미러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갖는 세 가지 소자, 즉 마이크로 LED 패널들을 배열함으로써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풀 컬러로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 일예 사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투명성을 가지므로 예컨대 도 9의 일예와 같이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렌즈(12)의 일측방에 위치한 글자 등을 포함한 문양이 그 반대쪽으로도 그대로 드러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작동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안경렌즈(12)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안경렌즈(12)에 입혀진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작동하면 안경렌즈(12)를 이용해 외부로 다양한 디자인 표현이나 색상표현 및 기능 구현이 가능하며, 구체 일예로는 선글라스와 같은 기능도 가능한 것이다.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디스플레이가 되더라도 착용자는 그 스킨(20)이 투명성을 가지므로 안경렌즈(12)를 통해서 외부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안경렌즈(12)에 입혀진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회로를 도 7에 도시된 일예에서와 같이 안경다리(4)나 안경렌즈(12)에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다리(4)에 내장된 본체 마스터부(3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렌즈(12)에 구비된 원격 슬레이브(5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다리(4)에는 본 발명의 본체 마스터부(30)로서, 전원스위치(32)와 USB케이블을 통한 내장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34), 및 전원부(36), 배터리(38)를 구비하고, 또 렌즈연결 두부(6) 및 안경렌즈(12)로의 전원 무선공급을 위한 무선전기 코일을 갖는 전원무선공급부(40), 스마트폰(도 12의 60)과 같은 외부기기나 도 11의 원격제어부(54)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42) 및 안경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제어부(44)를 구비한다. 또한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46)도 구비할 수 있고,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외부 빛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48)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안경다리(4)에 내장시키는 메인제어부(44)의 IC칩은 주문형 반도체칩(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전기와 에너지 하베스팅부(46)의 일 예로 태양전지(photovoltaic)를 이용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안경다리(4)에 구비된 본체마스터부(30)로부터의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수신하기 위한 안경렌즈(12)의 원격 슬레이브(50)는, 무선전기 안테나(52)를 구비하며, 해당 마이크로LED 투명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IC칩 형태의 원격제어부(54)를 구비하며, 본체 마스터부(30)와의 초근접 원격 송수신을 위한 원격 송수신부(60)를 구비한다.
또 원격 슬레이브(50)는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56)도 구비할 수 있고,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외부 빛 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58)도 구비한다.
원격제어부(54)의 IC(integrated circuit)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metal-oxide semiconductor; CMOS)를 이용하여서 미크론 단위의 직접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IC칩의 면적은 1mm×1mm이며 두께는 0.5mm가 바람직하다.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다리(4)에 구비된 전원무선공급부(40)의 무선전기 코일에서 공진현상을 통해 발생된 파워는 안경렌즈(12)의 무선전기 안테나(52)에서 수신되고, 원격제어부(54)의 제어를 통해 수신된 파워를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에 사용한다.
안경렌즈(12)나 안경다리(4)에 구비되는 광검출부(photodetector)(48)에서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에 인가되는 외부 광량을 감지하고 해당 메인제어부(44)나 원격제어부(54)에 인가하고, 해당 메인제어부(44)나 원격 제어부(54)는 그 광량에 근거하여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디스플레이 휘도밝기를 제어한다.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 주위의 주야에 따른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휘도밝기도 자동조절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렌즈(12)는 진동 자기장에 기반한 공진에너지를 전달하는 개념의 무선전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송수신방식을 통해 안경렌즈(12)의 정보를 안경 본체마스터부(30)나 스마트폰(60)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안경렌즈(12)와 본체마스터부(30)간의 무선 송수신방식이나 본체마스터부(30)와 스마트폰(60)간의 무선 송수신방식, 안경렌즈(12)와 스마트폰(60)간의 무선 송수신방식은 LED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이용해 빠른 통신 속도를 구현하는 라이파이(Li-Fi)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마이크로 LED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부품 소형화와 경량화가 더욱 용이해진다.
도 10이나 도 11의 에너지 하베스팅부(46)(56)는 주변의 에너지를 수확하는 수단으로서 별도의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전력을 생성하여 내부 각부에 공급한다. 에너지 하베스팅부(2)는 광전소자, 열전소자, 압전소자 및 무선전기 변환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요즈음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며,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이용한 안경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과 스마트폰(60)간의 근거리 원격제어를 통해서 안경렌즈(12)의 디자인 및 색상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개념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본체 마스터부(30)가 블루투스통신, 와이파이통신, NFC통신, IR통신, 라이파이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해 스마트폰(60)과 무선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60)에 다운로드된 안경렌즈 디자인 및 색상 모바일앱의 구동에 따른 디자인 및 색상 제어 명령에 따라 본체 마스터부(30)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안경렌즈 색상 및 디자인이 표현되게 무선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식형태 겸용 자석고정편 역할의 안경테(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안경테(70)에도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입혀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본체 마스터부(30)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안경렌즈(도 20 및 도 21의 70)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안경렌즈 색상 및 디자인이 표현되게 무선 제어를 수행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안경렌즈(12)에 적용하므로 안경렌즈(12)의 전체 색상이나 표현 디자인을 순식간에 표현하는 예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선글라스와 같은 칼라를 표현하여서 그 칼라가 입혀진 상태의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내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갈색 칼라로 표현되면,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효과가 있으며 빛의 산란을 막아 눈부심을 줄이고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내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옅은 검은색 칼라로 표현되면, 빛의 파장을 고르게 흡수해 본래 색상이 보이게 하며 눈부심 방지효과가 크고 자외선 차단효과가 높다. 그리고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내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노랑색 칼라로 표현되면, 시야를 밝게 해주므로 야간 활동하는 착용자에게 적합하다.
이러한 안경렌즈(12)를 이용하면 주간이나 야간에 따른 시력보호, 도로나 해변, 설상과 같은 주변환경에 따른 시력보호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그외 착용자가 표현하고 싶고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디자인 및 칼라를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내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표현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외곽부에 안경테가 표현되게 하여서 무테형태의 안경렌즈(12)에 마치 온테나 반테와 같은 안경테가 있는 것과 같은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12)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착용자가 선호하는 도형 예컨대 국기문양의 도형이나 하트와 같은 도형이 즉각 표현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예시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 핀홀안경(pinhole glasses)과 같은 시력교정용 역할용도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예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자기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다른 실시예로서, 좌우의 안경렌즈(12)에 덧씌움이 가능한 구조의 좌우의 덧렌즈(11)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별도로 더 구비된 좌우의 덧렌즈(11)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구성하고, 그 덧렌즈(11)가 일반 안경렌즈(12)에 덧씌워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에도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는 덧렌즈(11)에 구비되게 구성한다.
즉, 도 17에 도시된 자가맞춤형 안경(2)은,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자력에 의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렌즈(12)에 덧씌움이 가능한 구조의 좌우의 덧렌즈(11)를 더 구비하되, 덧렌즈(11)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렌즈(12)에 구비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로서, 도 18은 결합 사시구성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횡단면 구성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조립형의 자가맞춤형 테갖춤 안경형태의 구성이며, 안경렌즈(12)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스킨(20)으로 입혀지게 구성한다.
도 18 내지 도 20에 예시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안경테 프레임이 있되 자력(磁力)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좌우의 안경다리(4)와, 그 좌우 안경다리(4)에 힌지연결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와, 코받침(8)을 가지며 안경렌즈(12)가 결합된 좌우의 안경테(70)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와, 좌우의 각 안경렌즈(12)가 결합된 좌우 안경테(70)로 구성되며, 각부가 분리와 자력(磁力)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은, 안경렌즈(12)가 각기 결합된 좌우의 안경테(70)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테(70)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자력에 의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테(70)에 결합된 안경렌즈(12)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테(70)에 구비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서, 미설명된 부호 (72)(74)(76)은 자력에 의한 고정용 자석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에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안경렌즈(12)에 입혀진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안경테(70)에도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안경렌즈(12)에만 적용하거나 아니면 안경렌즈(12) 및 안경테(70)에 함께 적용하므로 안경렌즈(12) 단독이나 안경렌즈(12) 및 안경테(70) 전체에 색상이나 표현 디자인을 순식간에 변형 표현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이 변형된 분리 사시 구성도로서, 좌우의 안경테(70) 각각은 자력(磁力)에 의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맞춤테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안경테(70)는 장식역할을 겸하고 자력고정편 역할도 도모하게 된다.
도 21에서는 안경테(70)가 반테형태로 조립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70a)는 자력에 의한 반테형태의 안경테(70)에 맞춤 조립되는 장식 안경테이다.
도 21에서, 미설명된 부호 (230)(232)는 안경테(70)와 장식 안경테(70a)를 자력 고정하기 위한 자석이다.
도 21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에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안경테(70)에도 입혀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장식 안경테(70a)에는 도 21와 같은 장식미를 갖는 무늬가 입혀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장식 안경테(70a)에도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1에서 안경테(70)와 장식 안경테(70a)는 모두 장식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모두가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중 일부만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4)-- 안경다리 (6)-- 렌즈연결 두부
(6a)-- 두부용 자석고정부재 (8)-- 코받침
(10)-- 브릿지부 (10a)--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
(12)-- 안경렌즈 (15)(17)-- 자석
(20)--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
(22)-- 투명 가요성기판 (24)-- 반도체디바이스층
(26)-- 마이크로LED 화소 (30)-- 본체 마스터부
(50)-- 원격 슬레이브 (60)-- 스마트폰
(70)-- 안경테 (70a)-- 장식 안경테

Claims (7)

  1.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렌즈(12) 면상에는 전방을 향하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하며 투명성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가요성기판(22)상에 마이크로LED화소(26)들을 갖는 반도체디바이스층(24)이 전사 부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좌우의 안경렌즈(12)에 각각 구비되게 구성하되;
    안경다리(4)의 본체 마스터부(30)는,
    전원스위치(32)와 USB케이블을 통한 내장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34), 및 전원부(36), 배터리(38), 렌즈연결 두부(6) 및 안경렌즈(12)로의 전원 무선공급을 위한 무선전기 코일을 갖는 전원무선공급부(40),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외부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렌즈연결 두부(6)나 안경렌즈(12)에 구비된 원격슬레이브(5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42),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서의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제어부(44)와,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46)와,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2)의 외부 빛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48)로 구성하고,
    좌우의 안경렌즈(12)에 구비된 원격슬레이브(50)는,
    무선전기 안테나(52)와, 해당 마이크로LED 투명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IC칩 형태의 원격제어부(54)와, 본체 마스터부(30)와의 초근접 원격 송수신을 위한 원격 송수신부(60)를 구비하며,
    안경다리(4)에 구비된 전원무선공급부(40)의 무선전기 코일에서의 공진현상을 통해 발생된 파워가 안경렌즈(12)의 무선전기 안테나(52)를 통해 원격슬레이브(50)에 전달되고, 원격제어부(54)의 제어하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에 사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2. 삭제
  3. 삭제
  4.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렌즈(12)에 덧씌움이 가능한 구조의 좌우의 덧렌즈(11)를 더 구비하되, 덧렌즈(11)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와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본체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5. 자가맞춤형 안경에 있어서,
    안경렌즈(12)가 각기 결합된 좌우의 안경테(70)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좌우의 안경테(70)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상호 분리 및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의 안경테(70)에 결합된 안경렌즈(12)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본체 마스터부(30)가 안경다리(4)에 구비되고,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슬레이브(5O)가 안경테(70)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좌우의 안경테(70) 각각은 자력에 의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맞춤테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안경테(70)에는 외부로 색상 및 디자인이 디스플레이 표현 가능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KR1020180053656A 2018-04-13 2018-05-10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KR10200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56A KR102008296B1 (ko) 2018-05-10 2018-05-10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US17/047,125 US11994752B2 (en) 2018-04-13 2018-06-15 Self-customized glasses
PCT/KR2018/006738 WO2019198875A1 (ko) 2018-04-13 2018-06-15 자가맞춤형 안경
JP2020555231A JP7307748B2 (ja) 2018-04-13 2018-06-15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CN202010884667.8A CN112034631A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CN202210791646.0A CN115128838A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CN201910111154.0A CN110376757B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PH12020551621A PH12020551621A1 (en) 2018-04-13 2020-10-01 Self-customized glasses
JP2022166543A JP2022188280A (ja) 2018-04-13 2022-10-17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JP2023080781A JP2023103377A (ja) 2018-04-13 2023-05-16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56A KR102008296B1 (ko) 2018-05-10 2018-05-10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96B1 true KR102008296B1 (ko) 2019-08-14

Family

ID=6762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656A KR102008296B1 (ko) 2018-04-13 2018-05-10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8018A1 (en) * 2019-11-27 2021-06-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mart eyewear including electrochromic lenses
IT202000005008A1 (it) * 2020-03-09 2021-09-09 Ivan Biginelli Occhiali provvisti di un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rimovibile a effetto magnetico
KR20220079270A (ko) * 2020-12-04 2022-06-13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197A (ja) * 1994-04-16 1995-10-31 I Pro-Taa Kobayashi:Kk メガネ
KR200453956Y1 (ko)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KR20150010229A (ko) * 2013-07-18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안경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8659A (ko) * 2015-06-08 2018-02-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전달이 없는 마이크로엘이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197A (ja) * 1994-04-16 1995-10-31 I Pro-Taa Kobayashi:Kk メガネ
KR200453956Y1 (ko)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KR20150010229A (ko) * 2013-07-18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안경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8659A (ko) * 2015-06-08 2018-02-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전달이 없는 마이크로엘이디 디스플레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8018A1 (en) * 2019-11-27 2021-06-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mart eyewear including electrochromic lenses
IT202000005008A1 (it) * 2020-03-09 2021-09-09 Ivan Biginelli Occhiali provvisti di un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rimovibile a effetto magnetico
EP3879335A1 (en) 2020-03-09 2021-09-15 Ivan Biginelli Eyeglasses provided with a removable coupling device with magnetic effect
DE202021004028U1 (de) 2020-03-09 2022-06-01 Ivan Biginelli Brille, versehen mit einer abnehmbaren Verbindungsvorrichtung mit magnetischer Wirkung
KR20220079270A (ko) * 2020-12-04 2022-06-13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KR102478658B1 (ko) 2020-12-04 2022-12-19 임성규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7748B2 (ja)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KR102008296B1 (ko)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US9720258B2 (en) Electronic ornamentation for eyewear
US9606376B2 (en) Eyeglasses with changeable image display and related methods
CN203673163U (zh) 一种带有隐藏式磁吸合结构的眼镜
CN110610668A (zh) 智能眼镜
KR102008294B1 (ko)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US9740029B2 (en) Eyeblack glass frames
JP2020531928A (ja) グレア軽減具
US11994752B2 (en) Self-customized glasses
US11375758B2 (en) Self-customizable micro LED garment capable of changing colors and patterns like TV screen
CN101655618A (zh) 防眩目智能眼镜
US20220218061A1 (en) Self-customized microled wig
KR102243431B1 (ko) 비주얼 디지털 장신구 장치
KR102149879B1 (ko)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한 마이크로 led 시스템
CN209946575U (zh) 一种发光眼镜
US20220201115A1 (en) Self-customizable microled accessory
KR200224594Y1 (ko) 야광 안경테
KR200361448Y1 (ko) 야광 렌즈
KR200361456Y1 (ko) 야광 렌즈
TWI585486B (zh) The use of three-dimensional metal line technology produced sunglasses
JP3063144U (ja) 光電式眼鏡の給電構造
CN110376760A (zh) 用于移动互联的穿戴装备
JP2003084245A (ja) サングラス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