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94B1 -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 Google Patents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94B1
KR102008294B1 KR1020180043208A KR20180043208A KR102008294B1 KR 102008294 B1 KR102008294 B1 KR 102008294B1 KR 1020180043208 A KR1020180043208 A KR 1020180043208A KR 20180043208 A KR20180043208 A KR 20180043208A KR 102008294 B1 KR102008294 B1 KR 10200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lasses
magnet
fashion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김명희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18004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94B1/ko
Priority to JP2020555231A priority patent/JP7307748B2/ja
Priority to US17/047,125 priority patent/US11994752B2/en
Priority to PCT/KR2018/006738 priority patent/WO2019198875A1/ko
Priority to CN202010884667.8A priority patent/CN112034631A/zh
Priority to CN202210791646.0A priority patent/CN115128838A/zh
Priority to CN201910111154.0A priority patent/CN11037675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94B1/ko
Priority to PH12020551621A priority patent/PH12020551621A1/en
Priority to JP2022166543A priority patent/JP2022188280A/ja
Priority to JP2023080781A priority patent/JP202310337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션안경(2)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자석(17)(15)에 자석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17)(15)을 갖는 두부용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6a)(10a)가 별도로 구비하며, 좌우의 안경다리(4)와 브릿지(10)와 안경렌즈(12)중 하나 이상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함으로써,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의 색상이나 무늬를 착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착용자의 개성과 기호에 맞는 안경으로 자가 맞춤이 가능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ASSEMBLY FASHION GLASSESE WITH MULTI-TONE COLOR}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의 색상이나 무늬, 렌즈크기를 착용자가 직접 자유롭게 선택하여 착용자의 개성과 기호에 맞게 할 수 있고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을 가능케 하는 자가맞춤형 패션안경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안경은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목적으로 착용되고 있다. 시력 보정용이나 시력 보호용으로 주로 착용되고 있으며, 요즈음 자기 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어하는 시대 트랜드에 알맞는 디자인과 본인의 패션이나 주변 환경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용도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안경은 미세한 차이에 따라 착용자의 느낌과 주위 분위기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오늘 패션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안경을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으로 셋팅할 수 있고 또 요즈음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면 수백년 안경 역사상 혁명적인 일이고 많은 사람들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패션안경은 안경 제작업자가 만들어 놓은 최소 수백 수천개의 디자인 제품을 착용자가 착용했을 뿐인데, 만일 누구 한사람도 같은 디자인의 안경이 있을 수 없는 획기적인 착용자만의 이 세상 하나뿐일 수 있는 유일한 안경을 창착할 수 있다면 많은 현대인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 안경테나 안경다리, 필요에 따라서는 안경렌즈의 일부까지 단순하게 색상이 입혀진 것이 아니라 중간중간 끊겨 있기도 하고 채도나 모양이 변화하는 현상 등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으면서도 임의대로 안경 디자인을 창작 연출할 수 있다면 소비자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956호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로서 안경다리, 브릿지, 안경테,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무늬를 착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고 착용자의 기호와 개성에 맞는 창작 안경디자인으로 할 수 있는 자가 맞춤형 패션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착용자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과 무테나 반테, 온테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자가 맞춤조절이 가능한 패션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렌즈의 색상이나 크기, 형태를 순식간에 변형이나 교환할 수 있으며 안경테의 유무에 상관없고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면서 착용자가 표시하고 싶은 안경테 및 렌즈의 표현을 여러 디자인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며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이 오롯이(unique) 발현되는 조절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패션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자석(17)(15)에 자석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17)(15)을 갖는 두부용 및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6a)(10a)가 별도로 구비하며, 좌우의 안경다리(4)와 브릿지(10)와 안경렌즈(12)중 하나 이상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안경렌즈(12)를 자력으로 지지 고정하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와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간에와 브릿지부(10)와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간에는 이음줄(62)로 각각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패션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된 좌우 안경다리(4)와, 코받침(8)이 포함되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가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자석(17)(15)이 매립된 자력 부착홈부(16)(14)가 구비되게 구성하고, 안경렌즈(12)의 가장자리에는 자력부재(18)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자력부재(18)를 갖는 안경렌즈(12)가 자력부착홈부(16)(14)에 끼워져 자력 고정되게 하며, 좌우의 안경다리(4)와 브릿지(10)와 안경렌즈(12)중 하나 이상에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안경렌즈(12)의 자력부재(18)는 띠형태로 렌즈 표면에 코팅 형성된 투명자석막(18a) 및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배열 식입된 자성편(18b)중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경렌즈(12)에 형성된 투명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은 테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안경렌즈(12)의 외주부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션 안경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의 색상이나 무늬, 디자인을 착용자가 임의대로 취할 수 있어 안경의 모든 형태도 착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맞는 자가 선택이 가능하며, 안경을 무테나 반테, 온테 느낌의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안경테가 반테형태나 온테형태라도 테와는 상관없이 착용자가 안경을 표현하게 싶은 디자인과 형태를 창작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의 결합 사시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안경렌즈의 변형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경렌즈를 자력 고정한 패션안경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경렌즈를 자력 고정한 패션안경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를 자력 고정하는 렌즈연결 두부 및 브릿지부의 분리 평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라 패션 안경의 외표면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이 입혀지게 형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의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의 구동 일예 사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안경의 안경다리에 내장된 본체 마스터부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안경의 안경렌즈 및 렌즈연결 두부에 형성된 원격 슬레이브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12는 패션안경과 스마트폰간의 안경디자인 및 색상변화를 위한 제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테 안경에 적용한 사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의 사시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렌즈연결 두부의 종단면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에서 렌즈연결 두부 및 브릿지부의 평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경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그 착용자의 느낌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오늘 패션이나 주위 분위기에 어울리는 안경을 착용자 본인의 창작 디자인으로 셋팅할 수 있도록 하고 요즈음 유행하는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이 나타나도록 구현한다. 즉 안경테나 안경다리, 안경렌즈의 모양이나 형태나 칼라 등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아주 짧은 시간에 새로운 안경형태로 변형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안경테나 안경다리가 단순하게 색상만 입혀진 것이 아니라 중간중간 색깔이나 무늬나 채도도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등 지금까지 안경형태로는 없었던 착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역할과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안경이 되게 한다. 그리고 착용자가 임의대로 디자인의 창작을 연출할 수 있어 이 세상 하나뿐인 패션안경이 되므로 패션안경의 개념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아서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안경 구성품의 분리와 조립과 색깔 또는 무늬의 변색 변화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며, 또 외부로 노출되는 안경의 주요부분이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스킨으로 된 입혀진 패션안경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안경(2)의 결합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12)를 자력 고정하는 렌즈연결 두부(6) 및 브릿지부(10)의 분리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2)은 분리가 가능한 조립형의 자가맞춤형 무테 안경형태의 구성이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본 발명의 패션안경(2)은 안경테 프레임이 없이 자력(磁力)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좌우의 안경다리(4)와, 그 좌우 안경다리(4)에 힌지연결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와, 코받침(8)을 가지며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는 브릿지부(10)와, 한쌍의 안경렌즈(12)로 구성되며, 각부가 분리와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다.
브릿지부(10)의 좌우측벽에는 안경렌즈(12)가 삽입되어 자력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는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4)를 가지며,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4)의 내벽에는 자석(15)이 매설고정된다. 그리고, 안경다리(4)와 힌지연결된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내측벽에는 좌우 안경렌즈(12)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자력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는 자력 부착홈부(16)를 가지며, 자력 부착홈부(16)의 내벽에는 자석(17)이 매설고정된다.
도 2에서는 자석(15)(17)은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4)(16)의 일측 내벽부에는 매설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자력 부착홈부(14)(16)의 전후 마주보는 양측 내벽부에 매설될 수도 있고 자력 부착홈부(14)(16)의 심측 내벽부에 까지도 매설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석(15)(17)은 자석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브릿지부(10)나 렌즈연결 두부(6)가 수지재질로 구성될 경우 수지에 자석분말이 혼합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7)의 내벽에 매설된 자석(17)은 자력 부착홈부(17)의 일측 내벽부와 심부 내벽부에는 매설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도 6 참조), 필요에 따라 자력 부착홈부(14)의 전방 내벽부에도 매설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6)와 브릿지부(10)의 자력 부착홈부(14)에는 안경테의 지지됨에 없이도 좌우의 각 안경렌즈(12)의 좌우측단부가 자력 부착되는데, 이를 위해 각 안경렌즈(12)의 좌우측단부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력부착을 위한 자력부재(18)가 존재한다.
도 2에서는 좌우의 각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존재하는 자력부재(18)로서 투명자석막(18a)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하로 띠형태로 연장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자력부재(18)로서 상하로 띠형태로 연장되어 코팅 형성된 투명자석막(18a)은 이산화티타늄(TiO2)에 자석으로서의 성질을 갖는 코발트원자를 수 퍼센트(%) 첨가한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Co:TiO2)막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Co:TiO2)막은 실온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에서도 자석을 성질을 잃지 않고 가시광에 대해서 거의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Co:TiO2)막으로 된 투명자석막(18a)은 상온에서 강자성체이다.
도 3에서는 좌우의 각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존재하는 자력부재(18)로서 자석이나 철심과 같은 자성편(18b)들이 식입되어 배열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하로 다수개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패션안경(2)은 안경테 프레임이 없이도 자기력으로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와 브릿지부(10)간에 안경렌즈(12)가 삽입후 부착고정됨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다.
도 6의 (a)에서는 안경렌즈(12)가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에 형성된 자력부착홈부(16)에 삽입된 후 자력 고정된 평단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6의 (b)에서는 안경렌즈(12)가 브릿지부(10)에 형성된 자력부착홈부(14)에 삽입된 후 자력 고정된 평단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안경렌즈(12)의 투명자석막(18a)이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6)의 내측벽에 매립된 자석(17)에 자력 고정된 패션안경(2)의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5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안경렌즈(12)의 자성편(18b)이 렌즈연결 두부(6)의 자력 부착홈부(16)의 내측벽에 매립된 자석(17)에 자력 고정된 패션안경(2)의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와 함께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6)와 안경렌즈(12)내 상하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자력부재(18)를 이용한 자력 부착 구성을 설명하였는데, 변형 예시로서 도 14 내지 도 17과 함께 설명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경렌즈(12)에 자력부재(18)를 형성하지 않고 두개의 자석을 이용한 자력부착 구성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2)으로서,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2)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렌즈연결 두부(6)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2)에서 렌즈연결 두부(6) 및 브릿지부(10)의 평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2)의 안경렌즈(12)에는 도 1 내지 도 6과는 다르게 자력부재(18)가 없다. 대신 렌즈연결 두부(6)에는 자력부착홈부(16)가 없이 자석(17)을 갖는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를 별도로 구비하며, 브릿지부(10)에는 자력부착홈부(14)가 없이 자석(15)을 갖는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를 별도로 구비한다.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와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는 독립형태이므로 분실 우려가 있을 수 있기에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이나 비탄성의 이음줄(62)로 대응 렌즈연결 두부(6)와 대응 브릿지부(10)에 매달려 있게 연결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안경(2)은 각 안경렌즈(12)의 일측 가장자리가 렌즈연결 두부(6)에 매립된 자석(17)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자석(17)의 자석 인력(자력)에 의해 지지고정되고, 각 안경렌즈(12)의 타측 가장자리가 브릿지부(10)에 매립된 자석(15)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의 자석(15)의 자석 인력(자력)에 의해서 지지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면들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션안경(2)이 안경다리(4)의 렌즈연결 두부(6)와 브릿지부(10)간에 안경렌즈(12)가 삽입된후 자력으로 부착고정시키게 되면, 착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맞게 안경렌즈(12)의 상하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안경렌즈(12)는 안경테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안경렌즈의 디자인형태나 모양을 각기 달리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본인의 개성이나 주위환경이나 상황에 맞는 안경렌즈(12)를 자유롭게 선정하되 좌우 렌즈형태나 크기, 색깔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다르게도 할 수도 있고 연결 조립과 해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패션 안경(2)을 구성하는 주요 부위로서 안경다리(4), 렌즈연결 두부(6), 브릿지부(10), 심지어는 안경렌즈(12)의 외주부(특히 상하측 외주부)에 색상이나 무늬, 디자인을 착용자가 임의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외부노출되는 표면부에 입혀지게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 안경의 외표면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우 안경다리(4)의 외표면부(측방 및 상방),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외표면(전방 및 상방), 브릿지부(10)의 외표면(전방 및 상방), 좌우 안경렌즈(12)의 외주부(특히 상하측 외주부)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된다.
안경렌즈(12)는 본 발명에 따라 독립적으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렌즈크기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적용된 좌우 렌즈연결 두부(6)를 가진 좌우 안경다리(4)나 브릿지부(10)도 서로 다른 디자인이나 색상, 무늬 표현이 가능하게 해준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5~100㎛(10만분의 1cm임) 크기의 초소형 LED 입자를 기판(본 발명에서는 투명기판)에 이어 붙인 디스플레이로서, LED칩 자체를 화소(픽셀)로 활용해 유연성있거나(flexible) 둥글게 휨이 가능한(rollable) 화면을 구현하는데 적합하고, OLED 대비 전력 소모량은 매우 적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 OLED에 비해서도 조도, 채도, 전력 효율성면에서 훨씬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를 패션안경(2)의 표면부에 입혀지게 부착하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패션안경(2)이 갖는 고유의 색상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투명성과 아울러 가요성을 모두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기판(22)을 사용하며, 마이크로LED칩으로 된 화소 즉 마이크로LED 화소(26)들도 투명성을 최대로 갖도록 구성한다.
마이크로 LED디스플레이는 수많은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을 갖는 반도체 구조물(24)이 마이크로 전사인쇄 기술을 사용하여서 투명 마이크로LED 기판(22)에 이식형성된다. 이때 전사인쇄 기술을 행함에 있어서도 롤전사 기술을 이용하여 초당 1만여개 이상의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을 디스플레이 투명기판(22)에 전사 부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LED 화소(26)들은 모(native)기판 상에 준비된 후 투명 디스플레이기판(22)에 전사 인쇄되어지며, 모기판 및 불필요 부분은 이후 제거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투명기판(22)은 투명하고 및/또는 연성이다. 디스플레이 투명기판(22)은 5∼10㎛, 10∼50㎛, 50∼100㎛, 100∼200㎛, 200∼500㎛, 0.5∼1mm, 1∼5mm, 5∼10mm의 두께범위들중 하나의 두께범위로 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성도로서, 투명성과 가요성을 모두 갖는 투명디스플레이기판(80)상에 마이크로LED 화소(26)를 갖는 반도체구조물(24)이 부착형성된 구성이다.
도 8에서, 반도체구조물(24)의 마이크로LED 화소(26)는 양전극층(30), 투명도전층(32), p-전극층(34), p-GaN층(38), 활성층(40), 상부의 투명 n-전극층(44)으로 구성되며, 각 마이크로LED 화소(26)간에는 투명성 절연층(44)으로 형성된다.
투명 p-전극층(34)은 은 전원공급을 위한 것으로, 투과율이 70% 이상의 Al, Ga, Ag, Sn, In, Zn, Co, Ni, Au를 포함하는 산화물로 전극을 형성하며, 양전극층(90)은 회로패턴이나 범프, 전도성 접착층이 되며, 투명 n-전극층(44)은 전기전도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갖는 세 가지 소자, 즉 마이크로 LED 패널들을 배열함으로써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풀 컬러로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 일예 사진도로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투명성을 가지므로 패션안경(2)을 이루는 각부 본체 바탕에 있는 색상이나 글자를 포함한 문양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안경렌즈(12)에도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부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12)의 외주부에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부착 형성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12)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작동하지 않으면 안경렌즈(12)만 보이므로 무테형태를 나타내며, 안경렌즈(12)의 외주상부측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작동하면 안경렌즈(12)를 이용한 반테 느낌의 표현을 가능케 하고, 안경렌즈(12)의 외주 상하부측 모두의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함께 작동하면 안경렌즈(12)를 이용한 온테 느낌(마치 안경테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의 표현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경렌즈(12)가 무테안경이기 때문에 조립식 안경테도 덧 쉬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패션안경(2)은 안경의 각부에 장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플레이 스킨(2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회로를 각부에 내장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안경(2)의 안경다리(4)에 내장된 본체 마스터부(3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안경(2)의 안경렌즈(12) 및 렌즈연결 두부(6)에 형성된 원격 슬레이브(5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션안경(2)의 안경다리(4)에는 본 발명의 본체 마스터부(30)로서, 전원스위치(32)와 USB케이블을 통한 내장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34), 및 전원부(36), 배터리(38)를 구비하고, 또 렌즈연결 두부(6) 및 안경렌즈(12)로의 전원 무선공급을 위한 무선전기 코일을 갖는 전원무선공급부(40), 스마트폰(도 12의 60)과 같은 외부기기나 도 11의 원격제어부(54)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42) 및 안경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제어부(44)를 구비한다. 또한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46)도 구비할 수 있고, 패션안경(2)의 외부 빛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48)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안경다리(4)에 내장시키는 메인제어부(44)의 IC칩은 주문형 반도체칩(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전기와 에너지 하베스팅부(46)의 일 예로 태양전지(photovoltaic)를 이용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안경다리(4)로부터의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수신하기 위한 렌즈연결 두부(6)나 안경렌즈(12)의 원격 슬레이브(50)에는, 무선전기 안테나(52)를 구비하며, 해당 마이크로LED 투명 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IC칩 형태의 원격제어부(54)를 구비하며, 본체 마스터부(30)와의 초근접 원격 송수신을 위한 원격 송수신부(60)를 구비한다.
또 원격 슬레이브(50)는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56)도 구비할 수 있고, 패션안경(2)의 외부 빛 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58)도 구비한다.
원격제어부(54)의 IC(integrated circuit)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metal-oxide semiconductor; CMOS)를 이용하여서 미크론 단위의 직접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IC칩의 면적은 최대 1mm×1mm이며 두께는 최대 0.5mm이다.
패션안경(2)의 안경다리(4)에 구비된 전원무선공급부(40)의 무선전기 코일에서 공진현상을 통해 발생된 파워는 안경렌즈(12)나 렌즈연결 두부(6)의 무선전기 안테나(52)에서 수신되고, 원격제어부(54)의 제어를 통해 수신된 파워를 안경렌즈(12) 및 렌즈연결 두부(6)의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구동에 사용한다.
렌즈연결 두부(6) 및 안경렌즈(12), 안경다리(4)에 각기 구비되는 광검출부(photodetector)(48)에서는 패션안경(2)에 인가되는 외부 광량을 감지하고 해당 메인제어부(44)나 원격제어부(54)에 인가하고, 해당 메인제어부(44)나 원격 제어부(54)는 그 광량에 근거하여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디스플레이 휘도밝기를 제어한다. 패션안경(2) 주위의 주야에 따른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의 휘도밝기도 자동조절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렌즈(12)는 진동 자기장에 기반한 공진에너지를 전달하는 개념의 무선전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송수신방식을 통해 안경렌즈(12)와 같은 각부의 정보를 안경 본체마스터부(30)나 스마트폰(60)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이나 도 11의 에너지 하베스팅부(46)(56)는 주변의 에너지를 수확하는 수단으로서 별도의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전력을 생성하여 내부 각부에 공급한다. 에너지 하베스팅부(2)는 광전소자, 열전소자, 압전소자 및 무선전기 변환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패션안경(2)은 요즈음 트랜드에 알맞는 다양한 안경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며,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을 이용한 안경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할 수 있다. 패션 안경(2)이 색상이 단순하게 입혀진 것이 아니라 중간중간 끊겨 있기도 하고 채도가 달라지며 무늬가 변하는 패션안경 디자인의 창작 연출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패션안경(2)과 스마트폰(60)간의 안경디자인 및 색상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션안경(2)이 블루투스통신, 와이파이통신, NFC통신, IR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해 스마트폰(60)과 무선접속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60)에 다운로드된 패션안경(2)의 디자인 및 색상 모바일앱을 구동시켜서 디자인 및 색상 제어에 따라 패션안경(2)의 색상 및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전기한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방식에 적용하였지만, 도 13에서와 같은 반테안경(200)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테 안경(200)에 적용한 사시 구성도로서, 반테안경(200)의 안경테 프레임(202)에 안경렌즈(12)가 자력식으로 착탈 고정될 수 있고, 안경다리(4)와 안경테 프레임(202) 및 안경렌즈(12)에 마이크로LED 투명디스플레이 스킨(20)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전술한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패션안경 (4)-- 안경다리
(6)-- 렌즈연결 두부 (8)-- 코받침
(10)-- 브릿지부 (12)-- 안경렌즈
(14)(16)-- 자력 부착홈부 (15)(17)-- 자석
(18)-- 자력부재 (18a)-- 투명자석막
(18b)-- 자성편 (20)--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
(22)-- 투명 디스플레이기판 (24)-- 반도체구조물
(26)-- 마이크로LED 화소 (30)-- 본체 마스터부
(50)-- 원격 슬레이브 (60)-- 스마트폰
(62)-- 이음줄

Claims (5)

  1. 패션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각기 자석(17)이 매립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되어진 좌우 안경다리(4)와,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며 좌우측부에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가, 서로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경렌즈(12)의 크기나 디자인형태 및 모양에 무관하게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상하좌우 위치조정 가능케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석(17)에 자력 작용하는 다른 자석(17)을 갖는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와, 브릿지부(10) 좌우측부의 각 자석(15)에 자력 작용하는 다른 자석(15)을 갖는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를 별도로 구비하여서, 좌우의 안경렌즈(12)가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자석(17)과 두부용 자석고정부재(6a)의 자석(17) 사이에서와 브릿지부(10)의 자석(15)과 브릿지용 자석고정부재(10a)의 자석(15) 사이에서 상하좌우 위치조정되어서 자력고정되게 구성하며,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가 연결된 좌우의 안경다리(4)와 브릿지(10)와 안경테 느낌을 제공하기 위한 안경렌즈(12)의 외주부중 하나 이상에는 투명성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가요성기판(22)상에 마이크로LED화소(26)들을 갖는 반도체디바이스층(24)이 전사 부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며,
    패션안경(2)의 안경다리(4)에는 본체 마스터부(30)를 구비하되, 본체 마스터부(30)는 전원스위치(32)와 USB케이블을 통한 내장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34), 및 전원부(36), 배터리(38), 렌즈연결 두부(6) 및 안경렌즈(12)로의 전원 무선공급을 위한 무선전기 코일을 갖는 전원무선공급부(40),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외부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렌즈연결 두부(6)나 안경렌즈(12)에 구비된 원격제어부(54)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42), 안경의 투명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서의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제어부(44)와,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46)와, 패션안경(2)의 외부 빛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4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안경.
  2. 삭제
  3. 패션안경에 있어서,
    한쌍의 안경렌즈(12)와, 각기 자석(17)이 매립된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에 연결되어진 좌우 안경다리(4)와, 좌우의 안경렌즈(12)를 공동 연결하며 좌우측부에 자석(15)이 매립된 브릿지부(10)가, 서로 독립되어서 분리 및 자력에 의한 조립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경렌즈(12)의 크기나 디자인형태 및 모양에 무관하게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상하 위치조정 가능케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자석(17)을 갖는 좌우 렌즈연결 두부(6)의 각 일측부 및 자석(15)을 갖는 브릿지부(10)의 좌우측부에는 해당 자석(17)(15)이 매립되어진 상하개방형 자력 부착홈부(16)(14)를 구비하고,
    좌우의 안경렌즈(12)를 상하 위치조정 가능케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안경렌즈(12)내 렌즈 상하방연장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다수로 배열된 자력부재(18)가 형성되며, 자력부재(18)는 띠형태로 렌즈표면에 코팅 형성된 투명자석막(18a)이나 안경렌즈(12)의 좌우 양측단부에 배열 식입된 다수 자성편(18b)들중의 하나로 구성하여서, 다수로 배열된 자력부재(18)를 갖는 좌우의 안경렌즈(12)가 좌우 렌즈연결두부(6)에서와 브릿지부(10)에서의 상하방 개방형의 자력부착홈부(16)(14)에 끼워져 상하 위치조정되며 자력 고정되게 구성하고,
    좌우의 렌즈연결 두부(6)가 연결된 좌우의 안경다리(4)와 브릿지(10)와 안경테 느낌을 제공하기 위한 안경렌즈(12)의 외주부중 하나 이상에는 투명성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가요성기판(22)상에 마이크로LED화소(26)들을 갖는 반도체디바이스층(24)이 전사 부착된 투명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스킨(20)이 입혀지게 형성하며,
    패션안경(2)의 안경다리(4)에는 본체 마스터부(30)를 구비하되, 본체 마스터부(30)는 전원스위치(32)와 USB케이블을 통한 내장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34), 및 전원부(36), 배터리(38), 렌즈연결 두부(6) 및 안경렌즈(12)로의 전원 무선공급을 위한 무선전기 코일을 갖는 전원무선공급부(40),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외부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렌즈연결 두부(6)나 안경렌즈(12)에 구비된 원격제어부(54)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42), 안경의 투명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스킨(20)에서의 색상 및 디자인 표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제어부(44)와, 에너지 자체생성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46)와, 패션안경(2)의 외부 빛밝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4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안경.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3208A 2018-04-13 2018-04-13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KR10200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08A KR102008294B1 (ko) 2018-04-13 2018-04-13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US17/047,125 US11994752B2 (en) 2018-04-13 2018-06-15 Self-customized glasses
PCT/KR2018/006738 WO2019198875A1 (ko) 2018-04-13 2018-06-15 자가맞춤형 안경
JP2020555231A JP7307748B2 (ja) 2018-04-13 2018-06-15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CN202010884667.8A CN112034631A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CN202210791646.0A CN115128838A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CN201910111154.0A CN110376757B (zh) 2018-04-13 2019-02-12 自我调节型眼镜
PH12020551621A PH12020551621A1 (en) 2018-04-13 2020-10-01 Self-customized glasses
JP2022166543A JP2022188280A (ja) 2018-04-13 2022-10-17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JP2023080781A JP2023103377A (ja) 2018-04-13 2023-05-16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08A KR102008294B1 (ko) 2018-04-13 2018-04-13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94B1 true KR102008294B1 (ko) 2019-08-14

Family

ID=6762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08A KR102008294B1 (ko) 2018-04-13 2018-04-13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1962A1 (fr) * 2021-04-15 2023-07-21 Abderrahim Ouabbas Monture optique à éléments personnalisables et à structure transformable par l’utilisateur.
US11921553B2 (en) 2020-07-1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197A (ja) * 1994-04-16 1995-10-31 I Pro-Taa Kobayashi:Kk メガネ
KR200382633Y1 (ko) * 2004-12-14 2005-04-22 강진욱 조립식 안경
KR200453956Y1 (ko)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KR20180018659A (ko) * 2015-06-08 2018-02-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전달이 없는 마이크로엘이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197A (ja) * 1994-04-16 1995-10-31 I Pro-Taa Kobayashi:Kk メガネ
KR200382633Y1 (ko) * 2004-12-14 2005-04-22 강진욱 조립식 안경
KR200453956Y1 (ko)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KR20180018659A (ko) * 2015-06-08 2018-02-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전달이 없는 마이크로엘이디 디스플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1553B2 (en) 2020-07-1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FR3131962A1 (fr) * 2021-04-15 2023-07-21 Abderrahim Ouabbas Monture optique à éléments personnalisables et à structure transformable par l’utilisate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7748B2 (ja)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US9606376B2 (en) Eyeglasses with changeable image display and related methods
US9720258B2 (en) Electronic ornamentation for eyewear
CN204462560U (zh) 一种蓝牙lcd太阳眼镜
KR102008294B1 (ko) 칼라 및 무늬 선정이 가능한 자가맞춤형 패션안경
KR102008296B1 (ko) 자가맞춤형 마이크로led 안경
CN203673163U (zh) 一种带有隐藏式磁吸合结构的眼镜
CN110610668A (zh) 智能眼镜
DE102006005652A1 (de) Kontaktlinsenanzeige
CN104716978A (zh) 一种智能显示装置
CN105204187A (zh) 一种镜片七色变换led变色眼镜
CN201262668Y (zh) 遥控眼镜
US11375758B2 (en) Self-customizable micro LED garment capable of changing colors and patterns like TV screen
US11994752B2 (en) Self-customized glasses
CN210329629U (zh) 一种智能发光镂空饰品
KR101471504B1 (ko) 이-페이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CN212276141U (zh) 一种应用于蓝牙眼镜上的lcd显示屏可折装结构
KR102134884B1 (ko) 자가 맞춤형 마이크로 led 가발
CN209946575U (zh) 一种发光眼镜
CN218383529U (zh) 一种可发柔和光亮的眼镜
CN208849765U (zh) 一种物联网中的智能终端
CN110376760A (zh) 用于移动互联的穿戴装备
TWI585486B (zh) The use of three-dimensional metal line technology produced sunglasses
CN113574674A (zh) 能够选择性控制的微型发光二极管系统
CN202487116U (zh) 新型数字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