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571B1 -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571B1
KR100578571B1 KR1020040022596A KR20040022596A KR100578571B1 KR 100578571 B1 KR100578571 B1 KR 100578571B1 KR 1020040022596 A KR1020040022596 A KR 1020040022596A KR 20040022596 A KR20040022596 A KR 20040022596A KR 100578571 B1 KR100578571 B1 KR 10057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fixed
steering
cowl cross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320A (ko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5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시패널의 내측에 위치하여 양 측 프론트 필라에 고정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10)와, 대시 패널 내측의 차체에 마운팅되며 페달(21)이 장착된 마운팅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대시패널 측으로 경사져 돌출되는 샤프트 결합부(22)가 구비된 페달 브라켓트(20)와, 상단에 운전자가 잡고 조작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스티어링 휠(40)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에 고정 설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에는 상기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를 카울 크로스 멤버(10)로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트(50)가 장착되어 스티어링 휠이 결합된 스티어링 샤프트가 장착되는 페달 브라켓트가 고정 브라켓트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주행 중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도로면의 요철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서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주행 중 조향 시 안정감이 증대되고, 스티어링 휠에서 느껴지는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Vib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Steering Wheel for One Box Vehicle}
도 1 은 종래의 카울 크로스 멤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조향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 멤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카울 크로스 멤버 20 - 페달 브라켓트
21 - 페달 22 - 샤프트 결합부
30 - 스티어링 샤프트 40 - 스티어링 휠
50 - 고정 브라켓트
본 발명은 원 박스 차량용 스티어링의 진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행 시 스티어링 휠에 발생되는 진동을 줄여 주행 중 안전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잡고 조작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이 스티어링 휠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적소에 장착되어 운전에 필요한 부가 편의 시설을 위한 틸팅 장치 및 텔레스코픽 장치 등이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 등을 포함하는 조작기구와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 장치는 도 1 에서 도시한 카울 크로스 멤버에 설치되며 이 카울 크로스 멤버(10)는 운전석 정면의 대시 패널(Dash Pannel)의 내측에 차량의 엔진룸과 차 실내 사이를 경계하고 양측 프론트 필라에 고정된다.
한편, 원 박스 차량은 일반 승용차와는 달리 운전석의 하단에 엔진 룸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이며, 소형 승합차, 버스, 트럭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박스 차량의 조향 장치는 차량의 구조 상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울 크로스 멤버(10)에 설치되지 않고, 페달(21)이 장착된 페달 브라켓트(20)에 스티어링 샤프트(30)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원박스 차량의 조향장치는 카울 크로스 멤버에 설 치 고정되지 않고 페달 브라켓트에 설치 고정되므로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취약하여 그 진동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주행 중 운전자가 파지하여 조향하는 스티어링 휠에 진동이 발생되어 운전 시 안정성이 저하되고, 운전 시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차량이 정지하여 엔진이 공회전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의 진동은 증폭되어 크게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이 스티어링 휠의 그립감을 격감시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고 차량의 성능에 대한 불신감으로 확대되어 차량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박스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운전 시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운전자의 불쾌감을 저하시켜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시패널의 내측에 위치하여 양 측 프론트 필라에 고정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10)와;
대시 패널 내측의 차체에 마운팅되며 페달(21)이 장착된 마운팅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대시패널 측으로 경사져 돌출되는 샤프트 결합부(22)가 구비된 페달 브라켓트(20)와;
상단에 운전자가 잡고 조작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스티어링 휠(40)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에 고정 설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에는 상기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를 카울 크로스 멤버(10)로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트(50)가 장착되므로 달성된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30)가 고정 설치되는 페달 브라켓트(20)가 카울 크로스 멤버(10)에 고정 브라켓트(50)로 연결되어 견고히 고정되므로 엔진 룸에서 발생된 진동 내지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 스티어링 샤프트(30)를 통해서 스티어링 휠(40)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 멤버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카울 크로스 멤버에 페달 브라켓트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트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조향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페달 브라켓트가 고정 브라켓트로 카울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카울 크로스 멤버(10)에 스티어링 샤프트(30)가 고정 설치되는 페달 브라켓트(20)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브라켓트(50)를 장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카울 크로스 맴버의 하부멤버(11)는 상기 페달 브라켓트(20)를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부 절결된 절결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11a)에 고정 브라켓트(50)가 장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트(50)의 양 단이 상기 절결부(11a)의 절결된 각 단부에 고정되고, 몸체는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 앞 측에 위치하여 이 샤프트 결합부(22)가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트(50)에는 체결구멍(51)이 뚫려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용접 또는 그 밖에 고정 브라켓트에 샤프트 결합부(22)를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트(50)에 고정되는 페달 브라켓트(20)는 운전자가 밟아 차량의 정지시키고, 가속하는 브레이크 페달(21a)과 가속 페달(21b)이 구비되어 있으며 대시패널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돌출된 샤프트 결합부(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결합부(22)에는 상단에 운전자가 잡고 좌, 우로 회전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티어링 휠(40)이 결합된 스티어링 샤프트(30)가 장착 고정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스티어링 샤프트(30)의 하단에는 차축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40)의 조작에 의해 휠의 방향을 변경하는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가 구비된다.
또 스티어링 샤프트(30)의 적소에는 운전에 필요한 부가 편의 시설을 위한 틸팅 장치 및 텔레스코픽 장치 등이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이 장착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잡고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40)을 포함한 조향장치가 장착된 스티어링 샤프트(30)가 결합되는 페달 브라켓트(20)가 상기 고정 브라켓트(50)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10)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주행 중 도로면에 의한 진동이 발생할 경우 그 진동이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에서 증폭되어 스티어링 샤프트(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스티어링 샤프트(30)를 통해서 스티어링 휠(40)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이 결합된 스티어링 샤프트가 장착되는 페달 브라켓트가 고정 브라켓트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주행 중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도로면의 요철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서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주행 중 조향 시 안정감이 증대되고, 스티어링 휠에서 느껴지는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대시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여 양측 프론트 필라에 고정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10)와; 대시 패널 내측의 차체에 마운팅되며 페달(21)이 장착된 마운팅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대시 패널 측으로 경사져 돌출되는 샤프트 결합부(22)가 구비되는 페달 브라켓트(20)와; 상단에 스티어링 휠(40)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에 고정되는 스티어링샤프트(30)와;로 구성되고, 상기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를 고정 브라켓트(50)를 통해 카울 크로스 멤버(10)에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50)는 양단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의 하부멤버(11)에 형성된 절결부(11a)의 절결된 각 단부에 고정되고, 몸체가 페달 브라켓트(20)의 샤프트 결합부(22) 앞측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 결합부(22)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3. 삭제
KR1020040022596A 2004-04-01 2004-04-01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KR10057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596A KR100578571B1 (ko) 2004-04-01 2004-04-01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596A KR100578571B1 (ko) 2004-04-01 2004-04-01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20A KR20050097320A (ko) 2005-10-07
KR100578571B1 true KR100578571B1 (ko) 2006-05-12

Family

ID=3727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596A KR100578571B1 (ko) 2004-04-01 2004-04-01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06B1 (ko) * 2015-12-14 2021-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휠 진동 저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20A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896B2 (en) Anti-intrusion pedal system
JP2003341377A (ja) 変速機操作装置
KR100578571B1 (ko) 원박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 방지 구조
JP2007186055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3491792B2 (ja) ニーボルスタの保持構造
JP2019006249A (ja) 車体前部の構造
JP3956785B2 (ja) 車輌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構造
JP3595077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JP4466123B2 (ja) ステアリングラックマウント構造
KR100387775B1 (ko)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조립구조
KR100418677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부재 보강 구조
JPH11291952A (ja) 車体構造
KR20060062096A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마운팅 구조
JP2000108751A (ja) 車両用回転式アシストグリップ
JP4193409B2 (ja) At車用変速操作装置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JPH10297457A (ja) Abs装置取付構造
KR100218180B1 (ko) 지지바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결합구조
KR100362119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멤버의 전후강성 보강용 레그브라켓
JPH07323796A (ja) 自動車のニーボルスター取付構造
KR100461055B1 (ko) 자동차용 클러치페달의 진동방지구조
JPH1026483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JP3923679B2 (ja) キャブオーバ型自動車の床構造
JPS61105231A (ja) 自動車のチルトメ−タ−装置
KR20020050602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시스템의 진동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