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681B1 -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681B1
KR100576681B1 KR1019990028043A KR19990028043A KR100576681B1 KR 100576681 B1 KR100576681 B1 KR 100576681B1 KR 1019990028043 A KR1019990028043 A KR 1019990028043A KR 19990028043 A KR19990028043 A KR 19990028043A KR 100576681 B1 KR100576681 B1 KR 10057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now
chain portion
storage block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299A (ko
Inventor
에어올디로모로
아리조니네리마르코
Original Assignee
코니그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그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코니그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0005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 B60C27/1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resilient pre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바퀴(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데 적합한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외측 부재(3)와, 바퀴(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데 적합한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내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부재들이 트레드의 트랙션(traction)을 발생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1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 부재가, 체인 인장방향으로만 말단 체인부분(7)이 슬라이드하게 하고 반대의 이완방향으로는 슬라이드하지 않게 하는 된 역지(逆止) 블록(5)을 통과하는 말단 체인부분(7)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말단 체인부분(7)을 구속하고 인장하여 보유할 수 있는 탄성부재(21)를 수용하는 저장 블록(20)을 가지는 차량의 스노우 체인(2)용 자기인장장치이다.

Description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Self-tensioning device for snow chains}
도 1은 바퀴의 외측에서 본 자기인장장치의 정면도로서, 탄성부재(탄성 케이블)가 신장되어 있고, 바퀴에 감긴 체인이 느슨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탄성부재가 철회되어 있고, 바퀴에 감긴 체인이 팽팽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자기인장장치의 세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자기인장장치의 부분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인장장치의 저장 블록의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탄성부재가 그 안에 거두어 들여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퀴 2: 스노우 체인 3: 외측 부재
5: 역지(逆止) 블록 13: 포올(pawl) 14: 스프링
20: 저장 블록 21: 탄성 케이블 22: 후크
31, 32: 풀리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에 장착되는 스노우 체인, 즉, 미끄럼 방지(anti-skid) 장치용의 자기인장(self-tensioning)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설(積雪) 또는 빙결(氷結)된 도로면에서 차량이 주행할 때, 타이어가 양호한 그립(grip)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차량의 위험한 차로(車路) 이탈 또는 미끄러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통상 스노우 체인이라 불리는 미끄럼 방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차량의 구동륜에 통상 장착되는 스노우 체인이 도로면상에 쌓인 눈 및/또는 얼음에 파고들어가, 트레드의 트랙션(traction)을 증가시키고, 차량의 타이어가 양호한 그립성을 가지게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스노우 체인은 일반적으로, 사용 시에 바퀴의 내측과 외측 각각에 링과 같이 폐쇄되는 2개의 측부 부재(체인, 가요성 케이블, 강선(鋼線), 로프 등)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측부 부재는 트레드의 트랙션을 얻기 위해 여러가지로 배치된 일련의 체인부분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부 부재들을 위한 텐셔너(tensioner)로 알려진 인장(tensioning)장치에 의해 전체가 완성된다.
통상, 이러한 인장장치는, 체인의 외측부 또는 체인 인장장치의 여러 지점에 고정되는 일련의 후크 또는 하나 이상의 캠 또는 레버를 구비한 탄성 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우 빠르고 쉽게 장착될 수 있고, 사용자에 상해를 입힐 위험성이 적고, 체인을 확고하게 고정시키며, 타이어 및 타이어 림(rim)의 마모를 적게 하는 인장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실제로는, 예를 들어, 정통적인 링 타입의 인장장치는 체인의 링크들에 많은 수의 후크를 고정시키는 것을 요하는데, 이것은 장착작업을 복잡하게 하는 외에, 사용중에 그 장치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경우 손에 상처를 입힐 수 있다.
다른 인장장치는, 외측 링부재의 체인의 말단부분이 통과하지만, 그 말단부분이 일 방향으로만 견인되게 하고 다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역지(逆止)(non-return)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의 말단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가능한 한 멀리 당겨지고, 미끄럼 방지 장치의 외측 링부재에 걸어 고정된다.
이러한 장치는 미끄럼 방지 장치의 양호한 인장을 제공하지 못한다. 실제로, 내측 링부재를 외측 링부재에 연결하는 체인 부분들이 타이어의 바닥부분에 위치되어 도로면에 멈추게 되고, 따라서, 적절히 인장될 수 없다.
그 결과, 차량을 출발시킨 후, 사용자는 대략 100 미터를 주행한 후에 체인이 느슨해진 것을 느낄 수 있고,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손상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는 차량을 멈추고 체인을 더욱 조이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인장장치의 단점을 제거하고, 일단 장착된 때 체인의 일정하고 연속적인 자기인장(self-tensioning)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실용적이고, 취급이 간단하며, 사용자에 안전 한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특허청구범위의 종속청구항들의 기재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는 역지 블록에 후크로 고정되는 스노우 체인의 외측 링부재의 일 단부에 제공되고, 그 외측 링부재의 다른 단부는 말단 체인부분을 포함한다. 그 말단 체인부분은, 그 체인부분을 일 방향으로만 당기고 반대방향으로는 통과시키지 않게 된 역지 블록을 통과한다.
이렇게 하여, 말단 체인부분을 당김으로써, 스노우 체인이 팽팽하게 될 수 있고, 체인이 느슨해지는 것이 역지 블록에 의해 방지된다.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저장 블록이 외측 링부재에 제공되어 있다. 그 탄성부재는 잡아당김에 의해 저장 블록의 밖으로 당겨져 나오고, 말단 체인부분의 단부에 후크에 의해 걸린다. 탄성부재의 탄성 복귀력과 저장 블록내의 적당한 슬라이딩 시스템 때문에, 탄성부재가 저장 블록내로 복귀되어, 말단 체인부분을 당기게 되고, 따라서, 스노우 체인의 자기인장을 달성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탄성부재의 후크를 말단 체인부분의 단부에 걸기만 하면 되고, 탄성부재의 복귀력에 의해 당김이 발휘되므로 말단 체인부분에 과도한 당김력을 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또한, 차량이 출발하면, 탄성부재가 그의 복귀력을 말단 체인부분에 계속 발휘하기 때문에,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에 물려 있어 적절히 인장되지 않은 체인부분들이 추가로 인장된다. 이렇게 하여, 전체 바퀴상의 스노우 체인의 균일한 인장이 달성되어, 타이어상에서 스노우 체인이 완벽하게 균형이 잡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인장장치에 의하면, 스노우 체인이 부정확하게 장착되어 타이어가 불량하게 작동하고 타이어에 노화 및 손상을 끼칠 가능성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오직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인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미끄럼 방지(anti-skid) 장치로서 스노우 체인(2)이 감겨 있는 차량의 바퀴(1)를 나타낸다.
그 스노우 체인(2)은 바퀴의 내측면에 원 또는 고리 모양으로 배치되는 내측 부재(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와, 바퀴의 외측면에 원 또는 고리 모양으로 배치되는 외측 부재(3)와, 바퀴의 트레드(tread)상에 횡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측 부재(3)와 내측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일련의 미끄럼 방지 체인부분(10)들을 포함한다.
외측 부재(3)는 그의 일 단부(4)에서 역지(逆止)(non-return) 블록(5)에 후크로 걸려 있고, 다른 단부(6)에서는 말단 체인부분(7)에 후크로 걸려 있다. 그 말단 체인부분(7)은 마찰에 의해 바퀴의 림(rim)(8)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피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역지 블록(5)은 외측 부재(3)의 단부(4)를 걸기 위한 후크(9)와, 미끄럼 방지 체인부분(10)을 걸기 위한 후크(11)와, 말단 체인부분(7)이 통과하기 위한 개방부(12)를 포함한다. 또한, 포올(pawl)(13)이 부호 15로 나타낸 피벗 핀에 의해 역지 블록(5)에 피벗되어 있다. 그 포올(13)은 그 포올이 말단 체인부분(7)의 링크에 대하여 밀어붙여져 래칫(ratchet)으로 작용하도록 스프링(14)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다.
실제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 체인부분(7)은 견인력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발휘될 때는 그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반면에, 화살표 R로 나타낸 반대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은 방지되어 있어, 체인의 느슨해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스노우 체인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포올(13)의 일 단부(50)에 수동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포올(13)의 일 단부(50)에 힘을 가하면, 포올(13)이 피벗 핀(1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말단 체인부분(7)의 해당 링크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고, 그 다음, 말단 체인부분(7)이 화살표 R의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어, 스노우 체인(2)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말단 체인부분(7)의 자유 단부를 걸기 위한 후크(22)를 끝에 가지고 있는 탄성 케이블(21)을 수용하는 저장 블록(20)이 외측 부재(3)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저장 블록(20)은 2개의 실질적으로 대칭의 케이스 절반부(25, 25')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절반부(25)는, 통로(30)에 의해 서로 통하여 있는 2개의 원통형 시이트(seat)(28, 29)의 중심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축(26, 27)을 가지고 있다. 그 원통형 시이트(28, 29)는, 축(26, 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중앙 구멍(51, 52)을 각각 가진 2개의 풀리(31, 32)를 각각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풀리(31, 32)의 레이스(race)는, 탄성 케이블(20)을 수용하고, 그 케이블이 풀리에 감길 때 그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한쪽 시이트(28)로부터 통로(33)가 연장하여 있고, 그 통로(33)의 말단부에는 넓게 된 막힌 시이트(34)가 제공되어 있다. 다른쪽 시이트(29)로부터 통로(35)가 연장하여 있고, 그 통로(35)는 케이스 절반부(25)로부터 개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절반부(25)에는, 케이스 절반부(25')에의 고정을 위한 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구멍(38)들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절반부(25')는 케이스 절반부(25)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도 4에서, 케이스 절반부(25)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케이스 절반부(25')의 구성요소들이 프라임 부호를 가지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어져 있다.
탄성 케이블(21)은 그의 일 단부(40)에서 후크(22)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에는 헤드(41)를 가지고 있다. 그 헤드(41)는 상기한 넓게 된 막힌 시이트(34)내에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케이블(21)은 헤드(41)로부터 출발하여 통로(33)내를 통과하고, 풀리(31)의 둘레를 지나고, 통로(30)내를 통과하고, 풀리(32)의 둘레를 지나고, 통로(35)내를 통과한 다음, 케이스 절반부(25)로부터 나와, 후크(22)가 고정된 그 케이블의 단부가 케이스 절반부(25)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 절반부(25')가 케이스 절반부(25)상에 장착되어 저장 블록(20)을 형성할 수 있다.
스노우 체인(2)을 장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후크(22)를 손으로 잡고 탄성 케이블(21)에 견인력을 발휘하면, 그 탄성 케이블(21)이 풀리(31, 32) 위에서 주행하고, 통로(33, 30, 35)들에 의해 형성된 래비린스(labyrinth)를 통과하여 탄력적으로 신장한다. 이때, 탄성 케이블(2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소 최대 신장 위치에 있게 되고, 체인이 여전히 느슨한 상태에 있을 때 후크(22)를 말단 체인부분(7)의 자유 단부에 걸 수 있다.
스노우 체인의 첫번째 인장(tensioning)은, 조작자의 수동 작용과, 저장 블록(20)내로 부분적으로 복귀하여 탄성 케이블(21)과 함께 말단 체인부분(7)을 당기게 되는 탄성 케이블(21)의 탄성적 견인 작용을 통해 일어난다. 이러한 스노우 체인(2)의 첫번째 인장은 오직 부분적인데, 그 이유는, 타이어의 트레드와 도로면 사이에 끼어 있는 미끄럼 방지 체인부분(10)은 팽팽하게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조작자가 차량을 출발시키면, 타이어의 트레드와 도로면 사이에 끼어 있던 미끄럼 방지 체인부분(10)이 자유롭게 되고, 이때, 탄성 케이블의 탄성적 견인 작용은 계속되기 때문에, 말단 체인부분(7)이 탄성 케이블(21)에 의해 계속 당겨져,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서 적절히 팽팽하게 되지 않은 체인부분들이 팽팽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인장장치는, 사용자가 탄성부재의 후크를 말단 체인부분의 단부에 걸기만 하면 되고, 탄성부재의 복귀력에 의해 당김이 발휘되므로 말단 체인부분에 과도한 당김력을 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인장장치에 의하면, 스노우 체인이 부정확하게 장착되어 타이어가 불량하게 작동하고 타이어에 노화 및 손상을 끼칠 가능성이 제거된다.

Claims (9)

  1. 바퀴(1)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외측 부재(3)와, 바퀴(1)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내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는 트레드의 트랙션(traction)을 달성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1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측 부재(3)가 말단 체인부분(7)을 가지고 있고, 그 말단 체인부분(7)은 그 말단 체인부분(7)이 스노우 체인(2)의 인장방향으로만 슬라이드하게 하고 반대의 이완방향으로는 슬라이드하지 않게 하는 역지(逆止) 블록(5)을 통과하여 당겨져 스노우 체인(2)이 장력 하에 있도록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self-tensioning)장치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말단 체인부분(7)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말단 체인부분(7)을 인장하여 보유할 수 있는 탄성부재(21)가 저장 블록(20)의 외부로 연장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 절반부(25, 25')들로 이루어진 저장 블록(20)이 상기 외측 부재(3)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블록(20)이,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상기 외측 부재(3)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블록(20)이, 상기 탄성부재(21)가 통과하는 래비린스(labyrinth)와 닮은 통로(33, 30, 3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1)가 상기 저장 블록(20) 내측에서 한쌍의 풀리(31, 32) 위를 통과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1)가 그의 제1 단부에, 상기 저장 블록(20) 내측에 제공된 시이트(seat)(34)내에 고정될 수 있는 헤드(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체인부분(7)이, 마찰에 의한 바퀴(1)의 림(rim)(8)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플라스틱 또는 그와 유사한 연질 재료로 된 가소화 체인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블록(5)이,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상기 외측 부재(3)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블록(5)이, 링 형태로 폐쇄될 수 있는 상기 외측 부재(3)의 일 단부와, 타이어의 트레드상에 배치되는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10)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블록(5)이, 스프링 수단(14)에 의해 상기 말단 체인부분(7)에 대하여 밀어붙여져 래칫(ratchet)으로 작용하는 포올(pawl)(13)을 포함하고, 그 포올(13)은, 상기 스노우 체인(2)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말단 체인부분(7)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KR1019990028043A 1999-01-28 1999-07-12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KR100576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30031.3 1999-01-28
EP99830031A EP1024035B1 (en) 1999-01-28 1999-01-28 Self-tensioning device for snow cha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99A KR20000052299A (ko) 2000-08-16
KR100576681B1 true KR100576681B1 (ko) 2006-05-09

Family

ID=824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043A KR100576681B1 (ko) 1999-01-28 1999-07-12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89291A (ko)
EP (1) EP1024035B1 (ko)
JP (1) JP4253400B2 (ko)
KR (1) KR100576681B1 (ko)
AT (1) ATE246099T1 (ko)
AU (1) AU749103B2 (ko)
DE (1) DE69909958T2 (ko)
DK (1) DK1024035T3 (ko)
ES (1) ES2205750T3 (ko)
PT (1) PT1024035E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065A (ko) * 2004-07-29 2006-05-19 툴레 에스피에이 스노우 체인용 논리턴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815C1 (de) * 1997-01-17 1998-11-12 Rud Ketten Rieger & Dietz Gleitschutzkette
IT1313243B1 (it) 1999-07-26 2002-07-17 Koenig Spa Dispositivo di autotensionamento per catene da neve.
IT1318190B1 (it) 2000-07-18 2003-07-28 Maggi Catene Spa Dispositivo di autotensionamento per catene da neve e catena da neveutilizzante lo stesso
DE60018732T2 (de) * 2000-08-07 2006-01-26 Thule S.P.A. Freigabevorrichtung für Schneeketten
KR20020072010A (ko) * 2001-03-08 2002-09-14 박만석 차량용 스노우 체인
AT412202B (de) * 2002-09-05 2004-11-25 Pewag Austria Gmbh Gleitschutzkette
US6915825B1 (en) 2002-09-18 2005-07-12 Peter K. Stevenson, Jr. Self-tensioning tire cable chain system
ITMI20030456U1 (it) 2003-10-02 2005-04-03 Maggi Catene Spa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fezionato per catene da neve
FR2879507A1 (fr) * 2004-12-17 2006-06-23 Targa Sa Chaine a neig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fermeture
AT503793B1 (de) * 2006-05-31 2008-01-15 Pewag Austria Gmbh Anschluss- und führungselement für eine reifenkette
PL2008838T3 (pl) * 2007-06-28 2010-03-31 Thule Spa Urządzenie zapobiegające zadrapaniom felgi do łańcuchów śniegowych
US8453690B2 (en) * 2009-10-15 2013-06-04 Steven Dennis Moore Tire chain t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EP2759420B1 (de) * 2013-01-28 2015-10-07 Ottinger Schneeketten GmbH Spannelemente für Schneeketten
AT517199A1 (de) * 2015-05-05 2016-11-15 Pewag Schneeketten Gmbh & Co Kg Gleitschutzvorrichtung für fahrzeugreife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0894A (en) * 1926-06-30 1927-03-15 Jones William Harold Tire-chain catch
CH157251A (de) * 1930-02-22 1932-09-15 Ig Farbenindustr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üpenfarbstoffpräparates.
US2110152A (en) * 1937-01-27 1938-03-08 Ivan L Hoffer Tool
US2316718A (en) * 1939-09-08 1943-04-13 William R Royer Tire chain
US2275994A (en) * 1940-09-09 1942-03-10 Ruhkala Gideon Michael Tire chain
US2332113A (en) * 1941-11-26 1943-10-19 Jesse O Reed Antiskid tire chain
CH296222A (fr) * 1951-12-29 1954-01-31 Venoge S A Dispositif de fermeture de chaîne antidérapante.
US2717623A (en) * 1952-09-18 1955-09-13 Girardy Adolphe John Closing device for anti-skid chains
US2820502A (en) * 1956-04-10 1958-01-21 Spencer Ralph Cushman Automobile antiskid device
DE2253813A1 (de) * 1972-11-03 1974-05-09 Erlau Ag Eisen Drahtwerk Reifenkette
US3893499A (en) * 1974-03-08 1975-07-08 Der Hellen Robert L Von Inside latch unit for tire chains
CH630565A5 (de) * 1975-12-12 1982-06-30 Sesamat Anstalt Schneekette an fahrzeugreifen.
DE2631967A1 (de) * 1976-07-13 1978-01-19 Rud Ketten Rieger & Dietz Spannvorrichtung
US4130155A (en) * 1977-04-15 1978-12-19 Barnett Forest H Self tightening connector for non-skid tire chains
DE3319774C2 (de) * 1983-05-27 1985-03-21 Rud-Kettenfabrik Rieger & Dietz Gmbh U. Co, 7080 Aalen Bauteil für Rundgliederketten
EP0255119A3 (en) * 1986-07-30 1989-11-15 Bridgestone Corporation Retaining apparatus for skid preventing device
GB8716272D0 (en) * 1987-07-10 1987-08-19 Ellis R C L Attachment apparatus for tyre mat
DE3825745A1 (de) * 1988-07-26 1990-02-01 Rud Ketten Rieger & Dietz Gleitschutzvorrichtung fuer fahrzeugraeder
DE3906486A1 (de) * 1989-03-01 1990-09-13 Weissenfels Contiweiss Gleitschutzkette
US5804001A (en) * 1997-01-03 1998-09-08 Christian Joseph Snow chains for vehicles
DE19708756C2 (de) * 1997-03-04 2002-07-11 Weissenfels Spa Spannschloss für Gleitschutzket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065A (ko) * 2004-07-29 2006-05-19 툴레 에스피에이 스노우 체인용 논리턴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4035B1 (en) 2003-07-30
ATE246099T1 (de) 2003-08-15
ES2205750T3 (es) 2004-05-01
DE69909958D1 (de) 2003-09-04
JP2000219017A (ja) 2000-08-08
DE69909958T2 (de) 2004-04-22
AU749103B2 (en) 2002-06-20
JP4253400B2 (ja) 2009-04-08
EP1024035A1 (en) 2000-08-02
KR20000052299A (ko) 2000-08-16
US6089291A (en) 2000-07-18
PT1024035E (pt) 2003-12-31
AU3506999A (en) 2000-08-03
DK1024035T3 (da) 200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681B1 (ko) 스노우 체인용 자기인장장치
US5082039A (en) Anti-skid chain for vehicle tires
US6026876A (en) Tire traction enhancement system
KR970001099B1 (ko) 자동차바퀴의 미끄럼방지용 부착물
EP0298697B1 (en) Attachment apparatus for a tyre mat
US5261470A (en) Wheelchair traction device for snow and ice
US6725894B2 (en) Traction device
EP1072448B1 (en) Self-tensioning device for snow chains
US1571764A (en) Chain
US2637364A (en) Metal strap tire chain
US1802689A (en) Tire-chain tightener
US3479910A (en) Device for applying skid chains to tires
US5899536A (en) Tire chain wrapper
EP1132221B1 (en) Cable for anti-return device particulary for anti-skid devices
KR200262028Y1 (ko) 타이어 미끄럼방지기구
KR100456789B1 (ko) 타이어 미끄럼방지기구
US1835659A (en) Traction chain for vehicles
KR20027050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JPS5914246Y2 (ja) タイヤチェ−ンの弛止装置
JPH07205622A (ja) タイヤチェーン
JPH05262108A (ja) タイヤ滑止具用緊締装置
CA2217132A1 (en) Traction-aid device for a vehicle wheel
US1327369A (en) Automobile non-skid chain
CH576361A5 (en) Pneumatic tyre anti-skid equipment - has stirrups with flat strips and rope hooks against sidewalls
KR200335593Y1 (ko) 줄조임구를 구비한 스노우 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