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66B1 -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66B1
KR100575566B1 KR1019980044693A KR19980044693A KR100575566B1 KR 100575566 B1 KR100575566 B1 KR 100575566B1 KR 1019980044693 A KR1019980044693 A KR 1019980044693A KR 19980044693 A KR19980044693 A KR 19980044693A KR 100575566 B1 KR100575566 B1 KR 10057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ing
diameter
mounting hole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795A (ko
Inventor
사토시 야마나카
야스히로 이케다
시노부 무나카타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0952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253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838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202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the sealing action depending on movements; pressure difference, temperature or presence of lea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링 외주에 고무로 만든 정지 밀봉부를 가지는 외주 고무형의 립 타입 밀봉재에 관한 것으로, 정지 밀봉부의 고무두께 만큼 보강 링의 외주가 밀봉재 장착 구멍 내주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스톱 기능 부재에 맞물리는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스톱 기능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보강 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밀봉장치는, 보강 링(11)의 원통부(12) 외주에 부착된 고무로 만든 정지 밀봉부(18)에 의해 하우징(1)과의 결합부가 밀봉되고, 보강 링(11)에 지지된 실링 립(19,21)에 의해 축(3)과의 슬라이드 이동부가 밀봉되고, 보강 링(11)이 하우징(1) 내주에 고정되는 스톱 링(4) 등의 스톱 기능 부재와 축방향으로 맞물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밀봉장치로서, 보강 링(11)에는 상기 원통부(12)보다 대기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통부(12)보다 직경이 큰 하우징(1)의 내주 근처에 배치되어 스톱 링(4) 등과의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13)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밀봉장치
본 발명은 각종 장치의 축 밀봉부에 사용되는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링 립(sealing lip)을 구비한 립 타입의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금속 링 외주가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금속 링에 지지되는 실링 립이 축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립 타입 밀봉재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립 타입의 밀봉장치에서는,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와의 정지부(靜止部)의 밀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금속 링 외주에 고무상 탄성재로이루어진 정지 밀봉부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밀봉유체가 압력유체인 경우, 밀봉장치를 대기 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내압(內壓)이 작용하므로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에 스톱 링을 결합하거나, 베어링이 밀봉장치의 대기 측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베어링의 외륜에 의해 이탈 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금속 링 외주에 정지 밀봉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금속 링 외주의 대기측 단부가 스톱 링에 확실하게 맞물림되지만, 금속 링 외주에 정지 밀봉부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속 링의 외주와 하우징의 실링 링 장착 구멍의 내주와의 사이에 통상 Imm 정도의 간극(間隙)이 생기므로 스톱 링과의 맞물림 대가 그 만큼 좁아져 이탈방지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톱 링이 변형되어 밀봉장치의 고정상태가 경사져 밀봉성능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또 베어링에 의해 이탈방지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축과 함께 회전하는 내륜과의 간섭을 피하여 외륜에 맞물림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베어링의 사이즈는 다양하고, 외륜의 내경단(內徑斷)의 위치가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큰 경우도 발생하여 베어링의 사이즈에 따라 이탈방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링 외주에 정지 밀봉부를 가지는 타입의 밀봉장치로서, 스톱 기능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하고, 밀봉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도모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밀봉장치는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두 부재 중 한 쪽의 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부재와 빈틈 없이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립 타입 밀봉재(seal) 구조를 제공하는 밀봉장치로서,
강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쪽의 운동 부재에 고정되는 보강 링과,
상기 보강 링에 탑재되어 상기 보강 링과 상기 한 쪽의 운동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정지 밀봉부와,
상기 보강 링에 지지되어 상기 다른 쪽의 운동 부재와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실링 립과,
상기 한 쪽의 운동 부재에 고정되는 스토퍼 부재 (스톱 기능 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링은 스토퍼 부재와 축방향으로 맞물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보강 링에는 상기 한 쪽의 운동 부재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와의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가 제공되는 밀봉 장치이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밀봉장치와 같이, 보강 링의 원통부로부터 하우징 등의 한 쪽의 부재의 근처에 배치되고, 스톱 링 등의 스톱 기능 부재와의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가 보강 링에 그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으면, 스톱 기능 부재에 확실하게 맞물림하여 안정된 스톱 기능이 발휘된다.
특히 스톱 기능 부재로서 스톱 링을 이용한 경우에는, 밀봉유체에 의한 가압시의 스톱 작용점의 위치가 종래의 기술보다 한 쪽의 부재 측으로 변경되어, 그 만큼 작용점과 지점(支點)의 거리가 비교적 짧게 설정되므로 스톱 링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비교적 작아지고, 스톱 링이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맞물림영역은 간섭영역, 접촉영역 또는 접촉면적 등으로 바꿔 말할 수 있고, 또 맞물림길이, 간섭길이 또는 접촉길이 등과 같이, 직경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한 특징으로, 스토퍼 부재는 상기 한 쪽의 운동 부재로서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 단부 에지에 형성된 맞물림 홈에 맞물림되는 스톱 링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대기측단부에 연속하여 원통부보다 직경이 크고 축 구멍(shaft hole)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로부터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는 밀봉재 장착 구멍 내에 위치하고, 그 최대 외경이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고, 또한 스톱 링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스톱 기능 부재가 스톱 링인 경우에,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의 범위에서 맞물림영역 확대부를 원통부의 직경보다 확대함으로써 스톱 링과의 맞물 림영역이 확대되어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금속 링 외주의 대기측 단부 위치에 맞물림영역 확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맞물림영역 확대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내향 플랜지부의 굽힘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밀봉압력이 작용해도 내향 플랜지부가 잘 구부러지지 않고, 실링 립을백업하여 실링 립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에는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 구멍이 형성되고,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 단부에는 대 기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어 대직경 구멍으로 이어지는 테이퍼 구멍이 형성되며, 스톱 링의 맞물림 홈은 상기 테이퍼 구멍의 대기측 단부와 대직경 구멍의 경계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테이퍼 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스톱 링이 한바퀴 큰 사이즈로 되어 스톱 링의 내경단 위치가 방사상 외측으로 약간 벗어나지만, 맞물림영역 확대 부에 의해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테이퍼 구멍에 의해 정지 밀봉부가 안내되어 장착하기 쉽다.
한편,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에는 상기 내경 단부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선단이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클로(claw)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클로부를 이용하여 밀봉장치를 뽑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뽑을 때에 금속 링의 내향 플랜지부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내향 플랜지부의 굽힘 강성이 맞물림영역 확대부에 의해 고강성화되어 있으므로 내향 플랜지부가 잘 변형되지 않는다.
실링 립은 상기 보강 링에 일체로 된 고무상 탄성재로 형성되는 제1 밀봉부재에 형성되는 제1 실링 립부와, 상기 제1 밀봉부재와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조립되는 수지제의 제2 밀봉부재에 형성되어 제1 실링 립의 대기측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실링 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보강 링의 원통부 내주에 접합되고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를 가지고, 제1 실링 립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축방향 밀봉유체측으로 신장하고 축 외주에 밀봉 접촉하는 립 선단부를 구비하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재의 방사상부와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제2 실링 립은 상기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로부터 굽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실링 립과 축 외주면 사이의 환상 공간에 삽입되고, 내주가 축 외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실링 립을 구비한 복합 타입의 경우에는, 금속 링의 내향 플랜지부에 의해 제2 밀봉부재의 플랜지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내향 플랜지부가 변형되면 제2 밀봉부재의 제2 실링 립이 벗어나고, 또한 이 제2 실링 립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실링 립의 접촉상태도 변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맞물림영역 확대부를 설치하여 굽힘 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보조 금속링이 제2 밀봉부재와 제1 밀봉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금속 링은 제1 실링 립과 제2 실링 립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실링 립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실링 립에 작용하는 밀봉유체압이 보조 금속 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밀봉유체압이 높아져도 상기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의 고강성화와 더불어, 제1 실링 립의 변형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축에 대한 접촉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스토퍼 부재는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한 쪽의 운동 부재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밀봉재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외륜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에 이어져 원통부보다 직경이 크고 축 구멍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외경은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고, 또한 베어링의 외륜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일부가, 내향 플랜지부의 대기측 단면으로부터 축방향대기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베어링의 외륜 단면에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스톱 기능 부재는 하우징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베어링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베어링의 외륜이고,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제1 원통부와,상기 제1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에 이어져 제1 원통부보다 직경이 크고 하우징의 밀 봉재 장착 구멍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제1 원통부의 밀 봉유체측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으로 축방향 대기측으로 반전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원통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와, 상기 제2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직경이 밀봉재 장착 구멍의 직경과 대략 동등하고, 또한 외륜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원통부가 제2 원통부와 반전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원통부가 탄력성을 가지므로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직경을 밀봉재 장착 구멍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해도 장착에 지장은 없고, 밀봉재 장착 구멍 내에서 맞물림영역을 최대로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스톱 기능 부재는 하우징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베어링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베어링의 외륜이고,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고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와,상기 내향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으로 직경방향 외측으로 반전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하여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직경을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크고,또한 베어링의 외륜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외경측부분을 외륜의 밀봉유체측 측면과 밀봉재 장착 구멍과 베어링 결합 구멍의 경계의 스텝부의 사이에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외륜의 내경이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커도 확실하게 밀봉장치의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스톱 기능 부재는 하우징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베어링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베어링의 외륜이고,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제1 원통부와,상기 제1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맞물림영역확대부와, 상기 제1 원통부의 밀봉유체측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상으로 축방향 대기측으로 반전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하여 제1 원통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원통부와, 상기 제2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직경을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크고,또한 베어링의 외륜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외경측부분을 외륜의 밀봉유체측 측면과 밀봉재 장착 구멍과 베어링 결합 구멍 의 경계의 스텝부의 사이에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로서의 립 타입 밀봉재는,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1 운동 부재로서의 하우징(1)의 축 구멍(2)에 그 대기측(반(反) 밀봉유체측이라고도 함, 도면 상부 좌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축 구멍(2) 내주에 결합되고,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다른 쪽의 부재로서의 축(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스톱 기능 부재로서의 스톱 링(4)에 의해 축방향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우징(1)의 축 구멍(2) 내주 형상은 대기측으로부터 장치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은 스텝을 가지는 원통형상이고, 기구내 안쪽에 위치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통형을 이루는 소직경 구멍(5)과, 이 소직경 구멍(5)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직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6)과, 이 스텝부 단면(6)의 외경단으로 부터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소직경 구멍(5)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밀봉재 장착 구멍(7)과, 이 밀봉재 장착 구멍(7)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더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내경 치수가 점차 확대되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구멍(8)과, 이 테이퍼 구멍(8)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더 대기 측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직경이 큰 원통형을 이루는 대직경 구멍(9)이, 장치 내측으로부터 대기측으로 향하여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고, 테이퍼 구멍(8)과 대직경 구멍(9)의 경계에 스톱 링(4)을 장착하는 장착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에서 립 타입 밀봉재의 우측이 밀봉유체측(내부유체측, 장치 내측이라고도 함), 좌측이 대기측이다. 스톱 링(4)은 직경방향 스프링력을 발휘할 금속 등의 강체(剛體)에 의해, 축방향으로부터 이것을 보아 대략 C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밀봉장치(1)는 원통부(12)를 구비하여 하우징(1)에 고정되는 강체 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링(11)과, 이 보강 링(11)에 부착되어 보강 링(11)과 하우징(1)의 내주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18)와, 보강 링(11)에 지지되어 상기 축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실링 립(19)과, 수지제의 제2 실링 립(2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정지 밀봉부(18)와 제1 실링 립(19)은 고무상 탄성재에 의해 보강 링(11)과 일체로 성형되어 제1 밀봉부재(130)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수지제의 제2 실링 립(21)은 보강 링(11)과 제1 밀봉부재(130)와의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수지제의 제2 밀봉부재(140)로서 구성된다.
보강 링(11)은 하우징(1)의 축 구멍(2)의 밀봉재 장착 구멍(7) 내주에 고무상 탄성재의 정지 밀봉부(18)를 통하여 장착된 단면이 대략 L자형상으로 성형된 판금(板金) 등의 금속제 링으로서, 개략적으로 외주에 정지 밀봉부(18)가 부착되는 원통형의 원통부(12)와, 이 원통부(12)의 대기측 단부에 이어지고 원통부(21)보다 직경이 크고 하우징(1)의 밀봉재 장착 구멍(7)의 내주 근처에 배치되어 스톱 링(4)과의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13)와, 이 맞물림영역 확대부(13)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항하여 연장되는 내향의 플랜지부(14)를 구비하고, 이들이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보강 링(11)은 드로잉가공 및 굽힘 가공을 수반하는 프레스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맞물림영역 확대부(13)에는 상기 원통부(12)에 이어지는 장치 내측의 테이퍼부(15)와, 원통부(16)와, 내향 플랜지부(14)에 이어지는 대기측의 굽힘부(17)가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16)가 최대 직경부로서, 원통부(16)의 장치 내측(밀봉유체측)의 단부가 밀봉유체측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15)를 통하여 원통부(12)로 이어지고, 원통부(16)의 대기측 단부가 대략 직각의 굽힘부(17)를 통하여 내향의 플랜지부(14)에 이어져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13)는 하우징(1)의 밀봉재 장착 구멍(7) 내에 위치하고, 보강 링(11)의 외주의 대기측 단부를 직경방향 외측, 즉 하우징(1)의 밀봉재 장착 구멍(7) 내주측으로 연장, 팽창 내지 굽힘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최대 외경치수가 원통부(12)의 외경치수보다 크고, 밀봉재 장착 구멍(7)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고, 또한 스톱 링(4)의 장착상태에서의 내경 치수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스톱 링(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2)의 외경치수는 종래와 동일하게, 밀봉재 장착 구멍(7)의 내경 치수보다 한바퀴 작게 설정되어 있고(실제 치수 1mm이상의 차),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최대 외경치수는 밀봉재 장착 구멍(7)의 내경 치수보다 극히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실제 치수로 1mm미만의 차).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원통부(16)의 내경 치수는, 스톱 링(4)의 장착상태에서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 밀봉부재(130)는 밀봉유체측을 향하여 열리는 단면이 대략 U자형상으로성형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환상부재이고, 상기 원통부(12) 외주에 부착되는 정지 밀봉부(18)와, 원통부(12) 및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내주에 부착되어 상기정지 밀봉부(18)와 연결부(20)를 통하여 연결되는 내주 고무부(131)와, 내주고무부(131)의 대기측 하프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U자의 저변에 대응하는 본체부인 방사상부(132)와, 이 방사상부(132)의 내경 단부로부터 축방향 밀봉유체 측(장치 내측)으로 연장되어 립 선단부(19a)가 축(3) 표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밀봉 접촉되는 상기 제1 실링 립(19)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지 밀봉부(18)는 원통부(12) 및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테이퍼부(15), 또한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원통부(16)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고 있다.
또 내주고무부(131)는 원통부(12) 및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테이퍼부(15), 또한 원통부(16)의 내주에 가황 접착(vulcanization-bonding)되어 있다. 즉 원통부(16) 내주와 제2 밀봉부재(140)의 외경 단부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에도 내주고무부(131)가 파고 들어가고, 원통부(16) 및 굽힘부(17)의 내주 및 내향 플랜지부(14)의 밀봉유체측 측면의 외경 단부에 가황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지 밀봉부(18)와 제1 실링 립(19)은 연결부(20), 내주고무 부(131) 및 방사상부(13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보강 링(11) 및 제2 밀봉부재(140)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가황 성형되어 있다. 방사상부(132)의 직경방향 치수는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보다 짧고, 그 내경단이 내향 플랜지부(14)의 내경단보다 소정치수만큼 직경방향 외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1 실링 립(19)의 밀봉유체측 측면은 방사상부(132)의 밀봉유체측 측면과의 원호형의 코너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1 실링 립(19)의 대기측 측면은 방사상부(132)의 내주면과 연속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방사상부(132) 내주면과 대기측 측면과의 각부에는 방사상부(132)의 내주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단차를 갖도록 움푹 들어가게 한 환상의 요부(凹部)(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133) 저면과 방사상부(132) 내주면과의 각부는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립 선단부(19a)의 내주형상은,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단면이 삼각산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 정상부가 축(3) 표면에 전체 원주적으로 접촉하여 밀봉하고 있다. 이 제1 실링 립(19)의 립 선단부(19a)의 슬라이드 이동면, 상기 정상부를 간격을 두고 대기측의 경사면에는 축(3)과의 회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유체를 밀봉유체측으로 수송하는 나사펌프기능을 구비한 나사 홈이나 돌기 등의 나사펌프 작용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 립 선단부(19a) 외주에는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 링을 부착해도 된다.
한편 상기 제2 실링 립(21)을 구비한 제2 밀봉부재(140)는 PTFE(4불화 에틸렌수지,tetrafluoroethylene) 등의 수지재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고,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의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형 내지 칼라형상의 플랜지형부인 중간삽입부(141)와, 이 중간삽입부(141)의 내경 단부로부터 굽힘부(144)를 통하여 구부려져 축방향 밀봉유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실링 립(21)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의 두께치수는, 보강 링(11)의 맞물림 영역 확대부(13)의 원통부(16)의 축방향 길이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고, 중간삽입부(141)의 외주와 맞물림영역 확대부(13)의 원통부(16) 내주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링 립(21)은 제1 실링 립(19)의 대기측 측면과 축(3)간의 환상의 간극에 위치하여 내주가 축 표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밀봉 접촉한다. 제2 실링 립(21)의 립 선단부는 제1 실링 립(19)의 립 선단부(19a)의 턱부(19c) 위치까지 연장되고 있다. 이 제2 실링 립(21)은 자유상태에서는 축방향 밀봉유체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고, 축(3)을 삽입하면 축(3)의 외주보다 직경이 작은 원추형상부분이 축(3) 표면에 따라 원통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접촉면압(接觸面壓)을 얻고 있다.
그리고 축(3) 삽입상태에서는 제2 실링 립(2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밀봉유체측 측면과 제1 실링 립(19)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대기측 측면이 환상의 간극을 통하여 이간되어 있고, 제1 실링 립(19)은 제2 실링 립(21)과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유체가 통상의 압력에서는 간극만큼 제1 실링 립(19)은 자유롭게 변형되어 축(3)의 편심에 대한 우수한 추종성을 발휘한다.
물론, 밀봉유체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제1 실링 립(19)의 근원부(19b)가 직경방향 내측으로 휘고, 소정의 압력을 넘으면 간극이 없어져 제1 실링 립(19)의 근원부(19b)의 대기측 측면이 제2 실링 립(21)의 대기측 측면에 접촉하고 축(3)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제2 실링 립(21)에 의해 제1 실링 립(19)의 근원부(19b)가 지지되어, 제1 실링 립(19)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여 밀봉성을 유지한다.
제1 실링 립(19)의 변형을 규제할 때에 제2 실링 립(21)은 중간삽입부(141)와 이어지는 부분에 위치하는 굽힘부(144)로부터 소정 길이까지의 범위가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 내주면을 지지하고, 또한 선단부가 제1 밀봉부재(130)의 제1 실링 립(19)의 근원부(19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의 내주면과 대기측 측면과의 각부에는 요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133)는 제2 밀봉부재(140)의 굽힘부(144)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밀봉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1 실링 립(19) 및 방사상부(132)가 변형되어 제2 실링 립(21)에 접촉해도, 굽힘부(144)와 방사상부(132) 간에 요부(133)에 대응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을 이용하여 제2 실링 립(21)이 굽힘부(144)의 근본으로부터 크게 구부러지고, 축(3)의 편심 또는 축방향 변위에 대해, 물론 흔들림에 대해서도 추종성이 높아져 있다.
또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는 보강 링(11)의 원통부(16) 내주면과 소정의 환상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이 환상 간극은 제1 밀봉부재(130)의 고무상 탄성재에 의해 묻혀 있다. 보강 링(11)의 원통부(16)의 축방향 길이는 대략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의 두께치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는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에 대하여 접착 고정하고, 또한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대해서는 외경측을 접착 고정하는 동시에 내경측의 굽힘부(144)를 비접착으로 하여 이간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의 밀봉유체측(0)의 측면과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의 대기측(A)의 측면이 비접착상태인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3) 삽입시에 축(3)과의 접촉마찰에 의해 제2 실링 립(21)이 축 방향 밀봉유체측(0)에 삽입되고, 중간삽입부(141)가 외경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내 경단이 축방향 밀봉유체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된다. 이 중간삽입부(141)의 변형에 의해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의 내경 단부가 축방향 밀봉유체측(0)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제2 실링 립(21)의 립 선단부(21a)가 제1 실링 립(19)의 립 선단부(19a)와 축(3)의 사이에 들어가고, 제1 실링 립(19)의 립 선단부(19a)가 부상(浮上)하여 축(3)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밀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를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대해서도 접착 고정한 것이다.
제2 밀봉부재(140)의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대한 접착영역(41A)과 비접착영역(41B)과의 경계(P1)는,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0)와 중간삽입부(141)와의 접착영역의 내경단 위치(P2)에 일치시키고 있다(도 3 참조).이 접착영역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몰드 성형시에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대해 제2 밀봉부재(140)를 구성하는 수지판(140A)을 통하여 제1 밀봉부재(130)의 가황 성형압이 가해지는 영역에 대응한다.
이 제2 밀봉부재(140)의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의 접착영역의 경계(P1)를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와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의 접착부의 내경단 위치(P2)보다 외경측으로 위치시키면, 축(3)의 장착시에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의 사이에 간극이 개방되기 쉬워진다.
한편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의 접착영역의 경계(P1)를,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와 제1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의 접착부의 내경단 위치(P2)보다 내경측에 위치시키면, 축(3)의 장착시에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 보강 링(11)의 내 향 플랜지부(14)와의 사이에 간극이 개방되기 어려워지지만, 축(3)의 축 편심에 대한 제2 실링 립(21)의 편심추종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의 접착영역의 내경단 위치(P1)는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와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의 접착부의 내경단 위치(P2)와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이 일치시켜 두면, 몰드 성형시에 고무상 탄성재의 성형재료의 가황 성형압이 접착면 전면에 작용하게 되어 확실하게 접착할수 있다.
이 제2 실링 립(21)의 축(3)과의 슬라이드 이동면에도, 축(3)과의 회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면 간의 유체를 밀봉유체측으로 수송하는 나사펌프기능을 구비한 나선 홈 등의 제2 나사펌프작용부를 설치해도 되고, 환상 홈을 형성하여 밀봉성을 높이도록 해도 된다.
밀봉장치의 하우징축 구멍(2)에의 조립은, 축 구멍(2)의 대기측에 위치하는 대직경 구멍(9)으로부터 축방향 밀봉유체측으로 삽입하여 밀봉재 장착 구멍(7) 내에 가압하여 삽입한다. 밀봉재 장착 구멍(7)의 입구측에는 테이퍼 구멍(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 링(11) 외주의 정지 밀봉부(18)가 테이퍼 구멍(8)에 안내되어 원활하게 밀봉재 장착 구멍(7)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밀봉장치를 가압하여 삽입하면 C링 등의 스톱 링(4)을 장착홈(10)에 끼움으로써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밀봉장치는 도면 상부 좌측의 밀봉유체(미도시)를 밀봉하는 것으로서,하우징(1)측이 보강 링(11)의 원통부(12) 외주의 정지 밀봉부(18)에 의해 밀봉되고, 이동 가능한 축(3)측은 제1, 제2 실링 립(19,21)에 의해 밀봉된다.
또 제2 실링 립(21)의 선단부에서 제1 실링 립(19)의 근원부(19b)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제1 실링 립(19)이 말려지는 것 등이 방지되어 안정된 밀봉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를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접착 고정하고 있으므로 제2 밀봉부재(140)의 회전방지가 도모되는 동시에,축(3) 삽입시의 마찰에 의해 제2 밀봉부재의 중간삽입부(141)가 보강 링(11)의 내 향 플랜지부(14)의 대기측 측면이 떨어지지 않고 제1 실링 립(19b)의 부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내향 플랜지부(14)에 대하여, 중간삽입부(141)의 외경측만을 접착 고정하고 내경측의 굽힘부(144)를 비접착으로하고 있으므로 축(3)의 편심 등에서 제2 밀봉부재(140)의 제2 실링 립(21)뿐만 아니라 중간삽입부(141)의 내경측도 변형시킴으로써 제2 밀봉부재(140)의 편심추종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밀봉장치의 밀봉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측으로 연장되어 스톱 링(4)과의 축방향맞물림영역을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13)가 보강 링(11)에 그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확실하게 맞물림하여 안정된 스톱 기능이 발휘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에 테이퍼 구멍(8)을 가지고, 스톱 링(4)이 대직경부(9)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스톱 링(4)이 한바퀴 큰 사이즈로 되어 스톱 링(4)의 내경단 위치가 방사상 외측으로 약간 벗어나지만, 맞물림영역 확대부(13)에의해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밀봉유체에 의한 가압시의 작용점의 위치가 종래보다 직경방향 외측, 즉 하우징(1)측으로 변경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점(P3)과 지점(P4)의 거리(L2)가 짧게 설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당해 밀봉장치를 통하여 스톱 링(4)에 작용하는 밀봉유체에 의한 굽힘 모멘트가 비교적 작아지고, 스톱 링(4)이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유체압력이 커져도 스톱 링(4)의 변형에 기인하는 밀봉장치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밀봉성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맞물림영역확대부(13)를 포함하는 보강 링(11)은 스톱 링(4)과 직접 맞물림되지만, 고무막 등의 완충재(미도시)를 통하여 맞물림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보강 링(11) 외주의 대기측 단부 위치에 맞물림영역 확대부(13)가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맞물림영역 확대부(13)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내향 플랜지부(14)의 굽힘 강성이 높아져 있다. 따라서 밀봉압력이 작용해도 내향 플랜지부(14)가 구부러지기 어려워 제1, 제2 실링 립(19,21)을 백업하여 각 실링 립의 접촉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스톱 링(4)의 변형방지기능과 더불어 한층 더 밀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제2 실링 립(19,21)을 구비한 복합 타입의 경우에는,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의해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내향 플랜지부(14)가 변형되면 제2 밀봉부재(140)의 제2 실링 립(21)이 벗어나고, 또한 이 제2 실링 립(2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실링 립(19)의 접촉상태도 변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맞물림영역 확대부(13)를 설치하여 굽힘 강성을 높이는 것은 중요하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밀봉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밀봉장치의 제조는 미리 제2 밀봉부재(140)로 되는 플랫 와셔형의 수지판(140A)과 보강 링(11)을 예비부품 레벨로 가공해 둔다. 보강 링(11)은 드로잉가공및 굽힘 가공을 수반하는 프레스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또 수지판(140A)에 대해서는 PTFE 등의 수지시트재로부터 플랫 와셔형으로 뚫어냄으로써, 또는 두께가 두꺼운 원통형상의 수지소재의 단면을 소정의 두께로 플랫 와셔형으로 잘라냄으로써 성형된다.
이 보강 링(11)과 수지판(140A)을 성형 몰드(391) 내에 인서트하여 제1 밀봉부재(130)와 일체로 성형하는 이른 바 인서트성형을 행하여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고, 그 후 몰드로부터 분리한 중간성형체의 수지판(140A)을 구부려 제2 실링 립(21)을 성형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에서 중간성형체란, 제2 밀봉부재(140)의 제2 실링 립(21)을 굽힘 성형하기 전의 상태에서, 제2 밀봉부재(140)를 구성하는 플랫와셔형의 수지판(l40A)의 내경측 하프부가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본 발명의 중간성형체의 성형 몰드(39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몰드 구성부로서의 하부 다이(392)와, 제2 몰드 구성부로서의 제1 상부 다이(393)와,제3 몰드 구성부로서의 제2 상부 다이(394)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다이(392)는 보강 링(11)과 플랫 와셔형의 수지판(140A)이 삽입되는 원형상의 요부(凹部)(392b)와, 이 요부(392b)의 저면 중앙에 돌출되고 수지판(140A)의 내주를 안내하여 그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 기준으로 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392a)를 구비한 중앙돌출부(392c)와, 요부 저면의 가이드부(392a) 주변에 요부 저면보다 1스텝 높게 되어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 내주가 결합하는 환상 스텝부(392d)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392a)는 중앙돌출부(392c) 하단부 외주에 형성되는 것이고, 중앙돌출부(392c)의 가이드부(392a)로부터 위의 부분은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지판(140A)이 삽입되기 쉽게 되어 있다.
환상 스텝부(392d)의 높이치수는 내향 플랜지부(14)의 두께치수와 합치하고 있고, 보강 링(11)을 장착했을 때에는 내향 플랜지부(14)와 환상 스텝부(392d)가 동일 평면을 구성한다. 이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 환상 스텝부(392d)의 연속평면 상에 수지판(140A)이 놓여지고, 그 내주를 중앙돌출부(392c)의 가이드부(392a) 외주에 결합함으로써 수지판(140A)의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있다.
한편 하부 다이(392) 내에 보강 링(11)과 수지판(140A)을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수지판(140A)의 외경 단부(141c)와 보강 링(11)의 원통부(16)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g)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가이드부(392a)에 대한 수지판(140A)의 위치결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수지판(140A)을 하부 다이(392) 내에 세트할 때에 수지판(140A)의 외경 단부원주면을 보강 링(11)의 원통부(321) 내주에 결합하여 위치결정해도 되지만, 수지판(140A)의 내경 치수와 두께에 관해서는 제2 실링 립(21)이 축(3)과 슬라이드 이동할 때의 긴장력이나 제1 실링 립(19)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특성으로 되어 있고, 엄격한 치수 공차(公差)로 관리되어 있다.
이 수지판(140A)의 내경단 위치는, 수지판(140A)의 외경 단부에 의해 위치결정하기 위해서는 수지판(140A)의 외경단 면도 엄격한 치수관리 하에 가공할 필요가 있다. 또 수지제(140A)의 부착기준이 되는 보강 링(11)의 하부 다이(392)에 대한 위치결정도 적정하게 행할 필요가 있으며,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의 내 경단과 하부 다이의 환상 스텝부(392d)와의 결합을 고정밀도로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 환상 스텝부(392d)가 금속끼리의 결합이 되므로 환상 스텝부(392d)에 마모가 발생되기 쉽고, 적절한 치수 관리를 소홀히 하면 보강 링(11)의 편심 및 부수되는 제2 실링 립(21)의 편심이 발생하여 밀봉성 저하의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 몰드(392)에 대한 위치결정을 수지판(140A)의 내경단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하면 수지판(140A)의 외경 단부의 고정밀도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특히 중요한 특성이 되는 내경 치수와 두께에 관해서 가공을 행하기만 하면 되므로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보강 링(11)에 대해서는 수지판(140A)의 위치결정기준으로서 사용하지 안으므로 보강 링(11) 자체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엄격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그리고 보강 링(11)과 하부 다이(392)의 환상 스텝부(392d)와의 사이의 금속끼리의 결합에 의한 마모를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허용할 수도 있고, 성형 몰드(391)의 유지보수나 품질관리 공정의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2 밀봉부재(140)의 가공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성형공정에서 제2 밀봉부재(140)의 구성시의 조립, 및 공정개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밀봉장치가 얻어진다.
제1 상부 다이(393)는 하부 다이(392)의 요부(392b) 내에 삽입되고, 요부(392b) 저면 위에 놓여진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 상에 수지판(140A)을 압압하는 환상의 압압면(393a)과, 제1 밀봉부재(130)의 제1 실링 립(19)의 대기측 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제1 실링 립 대기측 측면 형성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상부 다이(393)의 하단면에는 상기 하부 다이의 중앙돌출부(392c)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구멍(393b)이 형성되고, 이 구멍(392b)을 둘러싸는 환상의 삽입부(393c)의 하단면의 외경 단부에 상기 압압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상부 다이(394)는 하부 다이(392)의 요부(392b) 내에 삽입되어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 및 제1 실링 립(19)의 밀봉유체측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환상 돌출부(394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상부 다이(394)는 중앙에 상기 제1 상부 다이(393)가 조립되는 링형 부재이고, 환상 돌출부(394a)의 방사상 외측의 하단면(394b)이 하부 다이(392)의 요부(392b)를 둘러싸는 평탄면(392e)에 이르는 분할면으로 되어 있다.
중간성형체의 성형은, 개방한 하부 다이(392) 내에, 보강 링(11)을 그 내향 플랜지부(14)를 아래로 하여 넣는 동시에, 내향 플랜지부(14)의 위에 접착제를 통하여 플랫 와셔형으로 성형된 수지판(140A)을 넣고, 또한 고무상 탄성재의 원재료(R)를 넣는다.
그 후, 제1 상부 다이(393)를 닫아 그 압압면으로 수지판(140A)을 압압하여수지판(140A)의 외경측 하프부와 내경측 하프부와의 경계에서 스위싱(swishing)을 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상부 다이(394)를 소정의 속도로 닫는 동시에 성형 몰드(391) 전체를 가열하여 고무 원재료를 유동화시키고, 닫는 압력으로 고무 원재료(R)를 가압하여 캐비티 전체에 충만시키고, 제1 밀봉부재(130)를 성형하는 동시에 수지판(140A)의 외경측 하프부와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를 접착 고정하여 중간성형체를 성형한다.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와 수지판(140A)은 특별히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몰드 성형의 단계에서 접착되지만, 수 지판(140A)의 접착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해 두어도 좋다.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 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와의 접촉면에 대해서는 고무 원재료(R)의 성형압력이 작용하는 영역, 즉 제1 상부 다이(393)의 압압면(393a)보다 방사상 외측의 수지판(140A)을 통하여 가황 성형압이 작용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접착에 의해 고정한다. 압압면(393a)을 포함하는 영역보다 방사상 내측의 가황 성형압이 작용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비접착상태로된다.
인서트성형이 종료되면 성형 몰드(391)를 열어 성형품을 몰드로부터 분리하고, 그 후 제1 밀봉부재(130)의 제1 실링 립(19)을 가공(예를 들면, 도면에서의 커트선의 1면 커트 또는 2면 커트)하는 동시에, 수지판(140A)의 내경측 하프부를 굽 힘성형장치에 의해 굽힘 가공하여 제2 실링 립(21)을 성형한다.
이 굽힘 가공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굽힘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행한다.
굽힘 성형 전의 중간성형체를 제1 실링 립(19) 및 수지판(140A)의 내경 하프부를 내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환상의 고정 지그(200)에 의해 고정하고, 이 고정 지그(200)에 테이퍼면(210a)을 가지는 막대기모양의 성형 지그(210)를 삽입함으로써 수지판(140A)의 내경 하프부를 직경을 확대시키면서 원통형상으로 굽힘 가공한다.
고정 지그(200)는 서로 축방향으로 압착·이간 가능하고, 상기 제1 실링 립(19) 및 수지판(140A)의 내경측 하프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제1, 제2 고정 링(201,20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 링(201)의 내경 단부의 상 에지부에는 단면이 L자인 환상 스텝부(201b)가 형성되고, 이 환상 스텝부(201b)에 중간성형체의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를 위에 놓는 동시에, 제1 밀봉부재(130)의 외주 고무(18)가 환상 스텝 부(201b)를 둘러싸는 내주벽(201a)에 맞물림된다. 한편 제2 고정 링(202)에는 제1 밀봉부재(130)의 원통부(12)의 선단에 접촉하여 중간성형체가 제1 고정 링(201)의 환상 스텝부(201b)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압압면(202a)과, 내경 단부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하여 제1 밀봉부재(130)의 원통부(12)의 내주에 맞물리는 동시에 방사상부(132)를 누르는 환상의 지지돌기(202b)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성형체를 고정 지 그(200)로 고정한 상태에서는, 제1 실링 립(19)이 제2 고정 링(202)의 센터구멍(202c) 내에 수납된다.
성형 지그는 고정 지그에 대하여 동일한 축에서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선단부에 수지판의 센터구멍 내에 가압하여 삽입되어 수지판의 내경 하프부를 서서히 직경을 확대하면서 축방향으로 구부리는 테이퍼형상부를 구비한 성형 지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성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성형 지그(210)는 축(3)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둥근 막대기에 의해 구성되므로, 고정 지그(200)에 대해 동축적으로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선단부에 수지판(140A)의 센터구멍 내에 가압하여 삽입되어 수지판(140A)의 내경 하프부를 서서히 직경을 확대하면서 축방향으로 구부리는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부(210a)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판(140A)의 굽힘 성형은, 성형 지그(210)의 테이퍼형상부(210a)를 앞으로 하여 수지판(140A)의 센터구멍에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삽입하고, 테이퍼형상부(210a)의 형상에 따라 수지판(140A)의 내경 단부를 서서히 직경을 확대하면서 축방향으로 구부려 제2 실링 립(21)이 성형된다. 이 때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와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에 의해 끼워지는 수지판(140A)의 외경 하프부(제2 밀봉부재(140)의 중간삽입부(141))에 대해 성형 지그(410)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넣는 힘이 작용하지만, 수지판(140A)의 외경측 하프부는 내향 플랜지부(14)에 접착되어 있고, 또한 제2 고정 링(202)의 지지돌기(422b)에 의해 방사상부(132)를 통하여 눌러져 있으므로 수지판(140A)의 외경 하프부의 변형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실링 립(21)을 굽힘 성형한 후, 성형 지그(210)를 축방향의 역방향으로 뽑아내고, 제1, 제2 고정 링(201,202)을 이간시켜 밀봉장치의 완성품을 빼낸다.
제2 실시예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내경 단 부로부터 대기측으로 연장되어 외향으로 구부려지는 클로부(230)를 설치한 것으로,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실시예의 클로부(230)는 내향 플랜지부(14)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일한 내경 치수의 원통부(231)와, 원통부(231)의 대기측의 단부로부터 외향으로 구부려 지는 외향 플랜지부(232)로 구성되어 있다.
밀봉장치의 하우징축 구멍(2)에의 조립은, 밀봉장치를 축 구멍(2)의 밀봉재장착 구멍(7)의 안쪽의 스텝부 단면(6)에 대해, 보강 링(11)의 원통부(12)의 밀봉 유체측 단부를 연결부(20)를 통하여 맞닿도록(실제로는 스텝부 단면(6)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음), 축 구멍(2)의 대기측으로부터 밀봉유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하고, C링 등의 스톱 링(4)을 장착홈(10)에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밀봉장치를 축 구멍(2)으로부터 빼는 것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스톱 링(4)을 제거한 후,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형성된 클로부(230)를, 빼기 지그(233)의 클로(234)로 끼워 A1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빼낼 때에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에 대해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내향 플랜지부(14)의 굽힘 강성이 맞물림영역 확대부(13)에 의해 고강성화(高剛性化)되어 있으므로 내향 플랜지부(14)가 잘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클로부(230)의 외향 플랜지부(232)를 잘라내고, 그 잘라낸 부분에 빼기 지그(233)의 클로부(234)를 삽입하고 빼기 지그(233)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클 로부(234)와 외향 플랜지부(232)의 잘려나가지 않은 부분을 맞물림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 실시예는 제1 실링 립(19)의 배면측으로서 제1 실링 립(19)과 제2 실링 립(21)의 사이에 내압용(耐壓用)의 보조 금속 링(22)을 장착한 것이고, 밀봉유체압력의 영향에 의해 제1 실링 립(19)이 과대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보조 금속 링(22)은 제1 밀봉부재(19)에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성하는 테이퍼통부(235)와, 이 테이퍼통부(235)의 대직경 단부에 형성되고 제1 밀봉부재(130)의 방사상부(132)의 대기측 측면을 따라 접착 고정되는 고정플랜지부(236)와, 테이퍼통부(235)의 소직경 단부에 형성되고 제1 실링 립(19)의 턱부(19c)를 따라 굽혀지는 내향의 굽힘부(237)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퍼통부(235)는 제1 실링 립의 근원부(19b)를 지지하고, 내향 플랜지부가 립 선단부(19a)의 턱부(19c)로부터 방사상 내측(축(3)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유체가 고압 하에 있는 경우라도 제1 실링 립(19)이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링 립(19)에 작용하는 밀봉유체압이 보조 금속 링(22)에 의해 지지되므로 밀봉유체압이 높아져도 상기 보강 링(11)의 내향 플랜지부(14)의 고강성화와 더불어, 제1 실링 립(19)의 변형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축에 대한 접촉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4 실시예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는 파워스티어링용 요동(搖動) 밀봉재로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한 쪽의 부재로서의 하우징(401)의 축 구멍(402)에 그 대기측(반 밀봉유체측이라고도 함, 도면 상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축 구멍(402) 내주에 장착되고,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다른 쪽의 부재로서의 축(4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스톱 기능 부재로서의 베어링(423)의 외륜(424)에 의해 축방향의이탈방지, 지지 내지 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에서 밀봉장치의 상측이 밀 봉유체측(내부유체측 또 장치 내측이라고도 함), 하측이 대기측이다.
하우징(401)의 축 구멍(402) 내주형상은 대기측으로부터 장치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은 스텝을 가지는 원통형상이고, 기구 안쪽에 위치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통형을 이루는 소직경 구멍(405)과, 이 소직경 구멍(405)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직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406)과, 이 스텝부 단면(406)의 외 경단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소직경 구멍(405)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밀봉재 장착 구멍(407)과, 이 밀봉재 장착 구멍(407)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더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427)과, 이 스텝부 단면(427)의 대직경단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비교적 직경이 큰 원통형을 이루는 대직경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결합 구멍(409)이, 장치 내측으로부터 대기측을 향하여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423)은 하우징(401)의 축 구멍(402) 내주(대직경 구멍(409)의 내주)에 장착되는 외륜(424)과, 축(403)의 외주에 장착되는 내륜(425)과, 양 외,내륜(424,425)의 사이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장착된 원하는 수의 볼 등의 전동체(426)를 가지고 있으며, 축(40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423)의 장치 내측에 당해 밀봉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장치는 원통부(412)를 구비하여 하우징(401)에 고정되는 강체 재료의 보강 링(411)과, 이 보강 링(411)에 부착되어 보강 링(411)과 하우징(401)의 내주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418)와, 보강 링(411)에 지지되어 상기 축(403)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419)을 가지고 있다.
보강 링(411)은 하우징(401)의 축 구멍(402)의 밀봉재 장착 구멍(407) 내주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418)를 통하여 장착된 단면이 L자형상으로 성형된 판금 등의 금속제 링으로서, 개략적으로 외주에 정지 밀봉부(418)가 부착되는 원통형의 원통부(412)와, 이 원통부(412)의 대기측 단부에 이어지고 원통부(412)보다 직경이 크고 하우징(401)의 밀봉재 장착 구멍(407)의 내주 근처에 배치되고 베어링의 외륜과의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413)와, 이 맞물림영역 확대부(413)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항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414)를 구비하고, 이들이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413)에는 원통부(412)에 이어지는 테이퍼부(415)와, 원통부(416)와, 내향 플랜지부(414)에 이어지는 굽힘부(417)가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416)가 최대 직경부로서, 원통부(416)의 장치 내측(밀봉유체측)의 단부가 밀봉유체측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415)를 통하여 원통부(412)로 이어지고, 원통부(416)의 대기측 단부가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예각(銳角)으로 굽혀지는 굽힘부(417)를 통하여 내향 플랜지부(414)에 이어져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413)는 대부분이 하우징의 밀봉재 장착 구멍(407) 내에 위치하고, 보강 링(411)의 외주의 일부인 대기측 단부를 직경방향 외측, 즉 하우징(401)의 밀봉재 장착 구멍(407) 내주측으로 연장, 팽창 내지 굽힘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최대 외경치수가 원통부(412)의 외경치수보다 크고, 밀봉재 장착구멍(407)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고, 또한 베어링(423)의 외륜(424)의 내경 치수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외륜(4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412)의 외경치수는 밀봉재 장착 구멍(407)의 내경 치수보다 한바퀴 작게 설정되어 있고, 맞물림영역 확대부(413)의 최대 외경치수는 밀봉재 장착 구멍(407)의 내경 치수보다 극히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이 맞물림영역 확대부(413)는 그 일부가, 이 실시예에서는 원통부(416)와 굽힘부(417)의 각부가 내향 플랜지부(414)로부터 대기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28)로 되어 있고, 이 돌출부(428)가 스텝부 단면(427)으로부터 대기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외륜(424)의 장치 내측 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외륜(424)의 장치 내측 단면과 스텝부 단면(427)의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의 축방향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원통부(412)의 외주면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고무부분이라고도 함)(418)가 가황 접착되어 있고, 또 원통부(412) 및 맞물림영역 확대부(413)의 내주측으로서 플랜지부(414)의 장치 내측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고무 립이라고도 함)(419)이 가황 접착되어 있다. 정지 밀봉부(418)와 실링 립(419)은 원통부(412)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42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일체로 가황 성형되어 있다. 실링 립(419)은 제1 및 제2 밀봉재 단부(429,430)를 가지는 더블타입이고, 그 외주에 가터 스프링(garter spring)(431)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실링 립(419)의 배면측으로서 플랜지부(414)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더스트 립(432)이 대기측을 향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역시 축(4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당해 립 타입 실은 모든 부품 및 부분이 환상의 엔드리스이다.
상기 밀봉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01)의 축 구멍(402) 내주에 장착되어 도면 상측의 밀봉유체(미도시)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401)측으로 연장되어 베어링(423)의 외륜(4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413)가 보강 링(411)에 그 일부로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강 링(411)이 외륜(424)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고, 외륜(424)이 압압 이동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립 타입 밀봉재가 경사지지 않고 우수한 밀봉성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맞물림영역 확 대부(413)를 포함하는 보강 링(411)은 외륜(424)과 직접 맞물림하지만, 고무막 등의 완충재(미도시)를 통하여 맞물림하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예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실시형태에 관한 립 타입 밀봉재는 파워스티어링용 요동 밀봉재로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1 운동 부재로서의 하우징(501)의 축 구멍(502)에 그 대기측(반 밀봉유체측이라고도 함, 도면 상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축 구멍(502) 내주에 장착되고,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다른 쪽의 부재로서의 축(5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스톱 기능 부재로서의 베어링(523)의 외륜(524)에 의해 축방향의 이탈방지, 지지 내지 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밀봉장치의 상측이 밀봉유체측(내부유체측, 장치 내측이라고도 함), 하측이 대기측이다.
하우징(501)의 축 구멍(502) 내주형상은 대기측으로부터 장치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은 스텝을 가지는 원통형상이고, 기구 안쪽에 위치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통형을 이루는 소직경 구멍(505)과, 이 소직경 구멍(505)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506)과, 이 스텝부 단면(506)의 외경단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소직경 구멍(505)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밀봉재 장착 구멍(507)과, 이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527)과, 이 스텝부 단면(527)의 대직경단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비교적 직경이 큰 원통형을 이루는 대직경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결합 구멍 (509)이, 장치 내측으로부터 대기측을 향하여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523)은 하우징(501)의 베어링 결합 구멍 (509) 내주에 장착되는 외륜(524)과, 축(503)의 외주에 장착되는 내륜(525)과, 양 외,내륜(524,525)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하는 수의 볼 등의 전동체(526)를 가지고 있으며, 축(50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523)의 장치 내측에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장치는 원통부(512)를 구비하여 하우징(501)에 고정되는 강체 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링(511)과, 이 보강 링(511)에 부착되어 보강 링(511)과 하우징(501)의 내주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518)와, 보강 링(511)에 지지되어 상기 축(503)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519)을 가지고 있다.
보강 링(511)은 하우징(501)의 축 구멍(502) 내주(밀봉재 장착 구멍(507) 내주)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518)를 통하여 장착된 판금 등의 금속제 링으로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518)가 부착되는 제1 원통부(512)와, 이 제1 원통부(512)의 대기측 단부로 이어지고 제1 원통부(512)보다 직경이 크고 하우징(501)의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513)와, 제1 원통부(512)의 밀봉유체측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으로 반전되는 반전부(513)와, 반전부(533)를 통하여 상기 제1 원통부(51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534)와, 제2 원통부(534)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의 플랜지부(514)가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고, 맞물림영역 확대부(513)의 최대 직경은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내경과 대략 동등하고, 또한 외륜(52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513)는 제1 원통부(512)보다 직경이 큰 원통부(516)와, 이 원통부(516)의 밀봉유체측 단부로부터 밀봉유체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작아져 상기 제1 원통부(512)에 이어지는 테이퍼부(5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맞물림영역확대부(513)는 보강 링(511)의 외주의 일부, 즉 대기측 단부를 직경방향 외측, 즉 하우징(501)의 밀봉재 장착 구멍(507) 내주측으로 연장, 팽창 내지 굽힘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최대 외경치수가 제1 원통부(512)의 외경치수보다 크고,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고, 또한 베어링(523)의 외륜(524)의 내경 치수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외륜(5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원통부(512)의 외경치수는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내경 치수보다 한바퀴 작게 설정되어 있고, 맞물림영역 확대부(513)의 최대 외경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고 원통부(516)의 외주면이 밀봉재 장착 구멍(507)에 접촉하고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513)의 원통부(516)의 내경 치수는 외륜(524)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이 맞물림영역 확대부(513)는 그 대기측 단면이 스텝부 단면(527)과 대략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고 외륜(524)의 장치 내측 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외륜(524)의 장치 내측 단면은 스텝부 단면(527)에 접촉하고 있다. 제1 원통부(512)와 제2 원통부(534)의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의 직경방향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제1 원통부(512)의 외주면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고무부분이라고도 함)(518)가 가황 접착되어 있고, 또 제2 원통부(534)의 내주측으로서 플랜지부(514)의 장치 내측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고무 립이라고도 함)(519)이 가황 접착되어 있다. 정지 밀봉부(518)와 실링 립(519)은 반전부(533)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52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일체로 가황 성형되어 있다.
실링 립(519)은 제1 및 제2 밀봉재 단부(529,530)를 가지는 더블타입이고, 그 외주에 가터 스프링 등의 스프링 링(531)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실링 립(519)의 배면측으로서 플랜지부(514)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에,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더스트 립(532)이 대기측을 향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역시 축(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당해 립 타입 밀봉재는 모든 부품 및 부분이 환상의 엔드리스이다.
상기 밀봉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01)의 축 구멍(502) 내주에 장착되어, 도면 상측의 밀봉유체(미도시)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다음의 작용효과를 가지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501)측으로 연장되어 베어링(523)의 외륜(5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513)가 보강 링(511)에 그 일부로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강 링(511)이 외륜(524)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고, 외륜(524)이 압압 이동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립 타입 밀봉재가 경사지지 않고 우수한 밀봉성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513)를 포함하는 보강 링(511)은 외륜(524)과 직접 맞물림하지만, 고무막 등의 완충재(미도시)를 통하여 맞물림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와 같이 제1 원통부(512)가 제2 원통부(534)와 반전부(53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원통부(512)가 직경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므로 맞물림영역 확대부(513)의 직경을 밀봉재 장착 구멍(507)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해도 장착에 지장은 없고, 밀봉재 장착 구멍(507) 내에서 맞물림영역을 최대로 확대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밀봉장치도 파워스티어링용 요동 밀봉재로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한 쪽의 부재로서의 하우징(601)의 축 구멍(602)에 그 대기측(반 밀봉유체측이라고도 함, 도면 상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축 구멍(602) 내주에 장착되고,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다른 쪽의 부재로서의 축(6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스톱 기능 부재로서의 베어링(623)의 외륜(624)에 의해 축방향의 이탈방지, 지지 내지 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밀봉장치의 상측이 밀봉유체측(내부유체측, 장치 내측이라고도 함), 하측이 대기측이다.
하우징(601)의 축 구멍(602) 내주형상은 대기측으로부터 장치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은 스텝을 가지는 원통형상이고, 기구 안쪽에 위치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통형을 이루는 소직경 구멍(605)과, 이 소직경 구멍(605)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직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606)과, 이 스텝부 단면(606)의 외경단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소직경 구멍(605)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밀봉재 장착 구멍(607)과, 이 밀봉재 장착 구멍(607)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627)과, 이 스텝부 단면(627)의 대직경단으로부터 더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비교적 직경이 큰 원통형을 이루는 대직경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결합 구멍 (609)이, 장치 내측으로부터 대기측을 향하여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623)은 하우징(601)의 베어링 결합 구멍 (609) 내주에 장착되는 외륜(624)과, 축(603)의 외주에 장착되는 내륜(625)과, 양 외,내륜(624,625)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하는 수의 볼 등의 전동체(626)를 가지고 있으며, 축(60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623)의 장치 내측에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장치는 원통부(612)를 구비하여 하우징(601)에 고정되는 강체 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링(611)과, 이 보강 링(611)에 부착되어 보강 링(611)과 하우징(601)의 내주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618)와, 보강 링(611)에 지지되어 상기 축(603)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619)을 가지고 있다.
보강 링(611)은 하우징(601)의 축 구멍(602) 내주(밀봉재 장착 구멍(607) 내주)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618)를 통하여 장착된 판금 등으로 성형된 금속제 링으로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618)가 부착되는 원통부(612)와, 이 원통부(612)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614)와, 내향 플랜지부(614)의 내경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으로 반전되는 반전부(635)와, 반전부(635)를 통하여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향 플랜지형 내지 칼라형의 맞물림영역 확대부(613)가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613)는 보강 링(611)의 일부, 즉 대기측 단부를 직경방향 외측, 즉 하우징(601)측으로 플랜지형으로 연장, 팽창 내지 굽힘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최대 외경치수가 원통부(612)의 외경치수 및 밀봉재 장착 구멍(607)의 내경 치수보다 크고, 또한 베어링(623)의 외륜(624)의 내경 치수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외륜(6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612)의 외경치수는 밀봉재 장착 구멍(607)의 내경 치수보다 한바퀴 작게 설정되어 있고, 맞물림영역 확대부(613)의 최대 외경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재 장착 구멍(607)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맞물림영역 확대부(613)의 외주 에지부가 외륜(624)의 장치 내측 단면과 스텝부 단면(627)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613)의 대기측 단면과 베어링(623)의 내륜(625)의 장치 내측 단면의 사이에는, 양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의 축방향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또 맞물림영역 확대부(613)의 장치 내측 단면과 플랜지부(614)의 대기측 단면의 사이에도, 소정의 크기의 축방향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통부(612)의 외주면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고무부분이라고도 함)(618)가 가황 접착되어 있고, 또 원통부(612)의 내주측으로서 플랜지부(614)의 장치 내측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고무 립이라고도 함)(619)이 가황 접착되어 있다. 정지 밀봉부(618)와 실링 립(619)은 원통부(612)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62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일체로 가황 성형되어 있다. 실링 립(619)은 제1 및 제2 실 단(629,630)을 가지는 더블타입이고, 그 외주에 가터 스프링 등의 스프링 링(631)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실링 립(619)의 배면측으로서 반전부(635)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더스트 립(632)이 대기측을 향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역시 축(6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당해 립 타입 밀봉재는 모든 부품 및 부분이 환상의 엔드리스이다.
상기 밀봉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01)의 축 구멍(602) 내주에 장착되어 도면 상측의 밀봉유체(미도시)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601)측으로 연장되어 베어링(623)의 외륜(6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실질적으로 확대하고, 또한 외륜(624)과 하우징(601)의 스텝부 단면(627)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613)가 보강 링(611)에 그 일부로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강 링(611)이 외륜(624)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고 외륜(624)이 압압 이동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립 타입 밀봉재가 경사지지 않고 우수한 밀봉성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613)를 포함하는 보강 링(611)은 외륜(624)과 직접 맞물림하지만, 고무막 등의 완충재(미도시)를 통하여 맞물림하도록 해도 된다.
또 맞물림영역 확대부(613)를 스텝부 단면(627)과 외륜(624) 간에 면 접촉시켜 끼우고 있으므로 맞물림영역 확대부(613)와 정지 밀봉부(618)가 부착되는 원통부(612)의 사이의 직각도에 편차가 있는 경우, 반전부(635)가 없으면 정지 밀봉부(618)가 비스듬하게 될 우려가 있지만 편차는 반전부(635)에 의해 흡수되고, 정지 밀봉부(18)는 축방향으로 정규의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실시형태에 관한 립 타입 밀봉재는 파워스티어링용 요동 밀봉재로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1 운동 부재로서의 하우징(701)의 축 구멍(702)에 그 대기측(반 밀봉유체측이라고도 함, 도면 상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축 구멍(702) 내주에 장착되고,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다른 쪽의 부재로서의 축(7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스톱 기능 부재로서의 베어링(723)의 외륜(724)에 의해 축방향의 이탈방지, 지지 내지 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밀봉장치의 상측이 밀봉유체측(내부유체측, 장치 내측이라고도 함), 하측이 대기측이다.
하우징(701)의 축 구멍(702) 내주형상은 대기측으로부터 장치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은 스텝을 가지는 원통형상이고, 기구 안쪽에 위치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통형을 이루는 소직경 구멍(705)과, 이 소직경 구멍(705)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직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706)과, 이 스텝부 단면(706)의 외경단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소직경 구멍(705)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밀봉재 장착 구멍(707)과, 이 밀봉재 장착 구멍(707)의 대기측단 에지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 단면(727)과, 이 스텝부 단면(727)의 대직경단으로부터 더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비교적 직경이 큰 원통형을 이루는 대직경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결합 구멍 (709)이, 장치 내측으로부터 대기측을 향하여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723)은 하우징(701)의 베어링 결합 구멍 (709) 내주에 장착되는 외륜(724)과, 축(703)의 외주에 장착되는 내륜(725)과, 양 외,내륜(724,725)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하는 수의 볼 등의 전동체(726)를 가지고 있으며, 축(70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723)의 장치 내측에 당해 립 타입 밀봉재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장치는 원통부(712)를 구비하여 하우징(701)에 고정되는 강체 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링(711)과, 이 보강 링(711)에 부착되어 보강 링(711)과 하우징(701)의 내주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718)와, 보강 링(711)에 지지되어 상기 축(703)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무상 탄성재로이루어진 실링 립(719)을 가지고 있다.
보강 링(711)은 하우징(701)의 축 구멍(702) 내주(밀봉재 장착 구멍(707) 내주)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718)를 통하여 장착된 판금 등으로 성형된 금속제 링으로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718)가 부착되는제1 원통부(712)와, 제1 원통부(712)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하여 플랜지형 내지 칼라형으로 연장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와, 제1 원통부(712)의 밀봉유체측 단부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단면이 U자형상으로 반전되는 반전 부(733)와, 반전부(733)를 통하여 제1 원통부(71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 대 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원통부(733)와, 제2 원통부(733)의 대기측 단부로부터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714)를 구비하고 있으며,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의 최대 직경을 밀봉재 장착 구멍(707)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베어링(723)의 외륜(724)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의 외경측 부분을 외륜(724)의 밀봉유체측 측면과 밀봉재 장착 구멍(707)과 베어링 결합 구멍 (709)의 경계의 스텝부 단면(727)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에는 원통부(712)에 이어지는 외향의 플랜지부(736)와, 이 플랜지부(736)의 외주단부로부터 장치 내측으로 굽혀져 스텝부 단면(727)에 단면(斷面) 접촉하는 원통부(환상 돌출부라고도 함)(737)가 이 순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맞물림영역 확대부(713)는 보강 링(711)의 일부, 즉 원통부(712)의 대기측 단부를 직경방향 외측, 즉 하우징(701)측으로 플랜지형으로 연장, 팽창 내지 굽힘 형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고, 그 최대 외경치수가 원통부(712)의 외경치수및 밀봉재 장착 구멍(707)의 내경 치수보다 크고, 또한 베어링(723)의 외륜(724)의 내경 치수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외륜(7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712)의 외경치수는, 밀봉재 장착 구멍(707)의 내경 치수보다 한바퀴 작게 설정되어 있고,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의 최대 외경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재 장착 구멍(707)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의 외주에지부가 외륜(724)의 장치 내측 단면과 스텝부 단면(727)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와 베어링(723)의 내륜(725)은 양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원통부(712)와 제2 원통부(734)의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의 직경방향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원통부(712)의 외주면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제1 정지 밀봉부 또는 고무부분이라고도 함)(718)가 가황 접착되어 있고, 또 제2 원통부(734)의 내주측으로서 플랜지부(714)의 장치 내측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실링 립(고무 립이라고도 함)(719)이 가황 접착되어 있다. 또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의 장치 내측 단면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2 정지 밀봉부(738)가 가황 접착되어 있다. 정지 밀봉부(718)와 실링 립(719)은 반전부(733)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72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정지 밀봉부(718)와 제2 정지 밀봉부(738)는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고, 3개가 일체로 가황 성형되어 있다. 실링 립(719)은 제1 및 제2 밀봉재 단부(729,730)를 가지는 더블타입이고, 그 외주에 가터스프링 등의 스프링 링(731)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실링 립(719)의 배면측으로 플랜지부(714)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에,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더스트 립(732)이 대기측을 향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역시 축(703)의 주위면에 밀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정지 밀봉부(738)는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의 플랜지부(736)의 장치 내측 단면에 가황 접착되어 정지 밀봉부(718)로 이어지는 플랜지형 부분(739)과, 이 플랜지형 부분(739)의 외주단부로부터 장치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스텝부 단면(727)에 단면 접촉하는 원통부(환상 돌출부 또는 환상실링 돌기라고도 함)(740)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립 타입 밀봉재는 모든 부품 및 부분이 환상의 엔드리스이다.
상기 밀봉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701)의 축 구멍(702) 내주에 장착되어 도면 상측의 밀봉유체(미도시)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701)측으로 연장되어 베어링(723)의 외륜(724)과의 축방향 맞물림영역을 실질적으로 확대하고, 또한 외륜(724)과 하우징(701)의 스텝부 단면(727)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713)가 보강 링(711)에 그 일부로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강 링(711)이 외륜(724)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고, 외륜(724)이 압압 이동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립 타입 밀봉재가 경사지지 않고 우수한 밀봉성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또 외륜(724)과 하우징(701)의 스텝부 단면(727)의 사이에 끼워져 스텝부 단면(727)에 대해 단면 접촉하는 제2 정지 밀봉부(73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지(靜止)측의 밀봉성능도 높다. 맞물림영역 확대부(713)를 포함하는 보강 링(711)은 외륜(724)과 직접 맞물림하지만, 고무막 등의 완충재(미도시)를 통하여 맞물림하도록 해도 된다.
보강 링(711)의 굽힘의 양태로는, 상기 각 실시형태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다. 링 외경을 하우징이 허용하는 최대한까지 크게 하거나, 링을 플랜지형 내지 칼라형으로 하거나, 하우징과 베어링 사이에 끼우는 링을 칼라형으로 하거나, 찌부 러짐에 의한 밀봉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 등을 실현함으로써 밀봉의 유지성 및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맞물림영역 확대부(713)는 제6 실시예와 동일하게 스텝부 단면(727)과 외륜(724)간에 끼워져 있지만, 제6 실시예와 달리 외경 단부의 원통부(737)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맞물림영역 확대부(713)와 제1 원통부(712)의 사이의 직각도의 편차가 있는 경우라도 이 정지 밀봉부(718)가 비스듬하게 되지 않고, 정지 밀봉부(718)는 축방향으로 정규의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다. 또 제1 원 통부(712)가 제2 원통부(734)와 반전부(73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1 원통부(712)가 직경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므로 정지 밀봉부(718)를 밀봉재 장착 구멍(707) 내주에 확실하게 밀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금속 링 외주에 정지 밀봉부를 가지는 타입의 밀봉장치로서, 스톱 기능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하고, 밀봉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밀봉장치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밀봉장치의 제2 밀봉부재의 중간삽입부와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가 비접촉인 경우의 축 장착 불량 발생상태를 과장되게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의 중간성형체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성형된 중간성형체를 수지판의 굽힘 성형 공정을 나타낸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치를 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밀봉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이다.

Claims (10)

  1.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두 운동부재 중 제1 운동부재에 고정되고, 제2 운동부재와 기밀식으로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립 타입 밀봉 구조를 제공하는 밀봉장치에 있어서,
    강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운동 부재에 고정되는 보강 링과,
    상기 보강 링에 장착되어 상기 보강 링과 상기 제1 운동 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정지 밀봉부와,
    상기 보강 링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운동 부재와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실링 립(sealing lip)과,
    상기 제1 운동 부재에 고정되는 스토퍼 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링은 스토퍼 부재와 축방향으로 맞물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보강 링은 상기 제1 운동 부재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와의 맞물림영역을 확대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1 운동 부재로서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의 밀봉 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홈에 결합되는 스톱 링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에 연속하고 상기 원통부보다 직경이 크고 축 구멍(shaft hole)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로부터 방사상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는 밀봉재 장착 구멍 내에 위치하고, 그 최대 외경이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고, 또한 스톱 링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축 구멍 내주에는 상기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 단부에는 대기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어 대직경 구멍으로 이어지는 테이퍼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스톱 링의 맞물림 홈은 상기 테이퍼 구멍의 대기측 단부와 상기 대직경 구멍 사이의 경계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클로(claw)부가 상기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클로부는 방사상 외측으로 굽혀지는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보강 링에 일체로 된 고무형 탄성재로 형성되는 제1 밀봉부재에 형성되는 제1 실링 립부와, 상기 제1 밀봉부재와 상기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 사이에 조립되는 수지제의 제2 밀봉부재에 형성되어 제1 실링 립의 대기측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실링 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보강 링의 원통부 내주에 접합되고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를 가지고,
    제1 실링 립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축방향 밀봉유체측으로 연장되고 축의 외주에 밀봉 접촉하는 립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재의 방사상부와 상기 보강 링의 내향 플랜지부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제2 실링 립은 상기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로부터 굽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실링 립과 축 외주면 사이의 환상 공간에 삽입되고, 축의 외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내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재와 상기 제1 밀봉부재 사이에 보조 금속 링이 배치되고, 상기 보조 금속 링은 상기 제1 실링 립과 상기 제2 실링 립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실링 립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제1 운동 부재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밀봉재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외륜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에 이어져 원통부보다 직경이 크고 축 구멍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외경은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고, 또한 베어링의 외륜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가 내향 플랜지부의 대기측 단면으로부터 축방향 대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제1 운동 부재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베어링 결합 구멍에 끼워맞춤되는 베어링의 외륜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제1 원통부와, 상기 제1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에 이어져 제1 원통부보다 직경이 크고 하우징의 밀봉재 장착 구멍 내주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제1 원통부의 밀봉유체측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으로 축방향 대기측으로 반전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원통부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축방향 대기측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와, 상기 제2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직경이 밀봉재 장착 구멍의 직경과 대략 동등하며, 또한 외륜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제1 운동 부재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베어링 결합 구멍에 맞추어진 베어링의 외륜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와, 상기 내향 플랜지부의 내경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으로 직경방향 외측으로 반전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하여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직경이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베어링의 외륜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외경측 단부는 외륜의 밀봉유체측 측면과, 밀봉재장착 구멍과 베어링 결합 구멍의 경계의 스텝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제1 운동 부재의 밀봉재 장착 구멍의 대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밀봉재 장착 구멍보다 직경이 큰 베어링 결합 구멍에 끼워맞춤된 베어링의 외륜이고,
    상기 보강 링은 고무상 탄성재료 이루어진 정지 밀봉부가 연결되는 제1 원통부와, 상기 제1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맞물림영역 확대부와, 상기 제1 원통부의 밀봉유체측 단부로부터 단면이 U자형상으로 축방향 대기측으로 반전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하여 제1 원통부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축방향 대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원통부와, 상기 제2 원통부의 대기측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최대 직경은 밀봉재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베어링의 외륜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맞물림영역 확대부의 외경측 단부는 외륜의 밀봉유체측 측면과, 밀봉재 장착 구멍과 베어링 결합 구멍의 경계의 스텝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KR1019980044693A 1997-10-24 1998-10-24 밀봉장치 KR100575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9522A JPH11125337A (ja) 1997-10-24 1997-10-24 リップタイプシール
JP97-309522 1997-10-24
JP31838898A JP4152023B2 (ja) 1998-10-21 1998-10-21 密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中間成形体の成形型および曲げ成形装置
JP98-318388 1998-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795A KR19990066795A (ko) 1999-08-16
KR100575566B1 true KR100575566B1 (ko) 2006-11-30

Family

ID=2656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693A KR100575566B1 (ko) 1997-10-24 1998-10-24 밀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79914B1 (ko)
EP (1) EP0913605B1 (ko)
KR (1) KR100575566B1 (ko)
DE (1) DE69828475T2 (ko)
PT (1) PT913605E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802A (ko) * 2013-11-18 2016-07-2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83580B1 (ko) * 2017-03-20 2017-09-29 장광양 레토르트 살균장치용 도어개폐기구
JP2019066026A (ja) * 2017-10-05 2019-04-25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7410027B2 (ja) 2018-09-01 2024-01-09 ヴィーアール・オートモーティヴ・ディヒトゥングスジステーメ・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ラジアルシャフトシ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1710A1 (en) 1997-09-25 2002-01-31 Oldenburg Michael R. Retrofittable severe duty seal for a shaft
US6186507B1 (en) 1997-09-25 2001-02-13 Michael R. Oldenburg Retrofittable severe duty seal for a shaft
JP2001263499A (ja) * 2000-03-17 2001-09-26 Eagle Ind Co Ltd リップ型シール
JP2003035373A (ja) * 2001-07-23 2003-02-07 Toyota Industries Corp 軸封装置及び該軸封装置を備えた圧縮機、軸封方法
US6692007B2 (en) 2001-10-31 2004-02-17 Transcom, Inc. Seal for a shaft
JP2004138091A (ja) * 2002-10-15 2004-05-13 Nok Corp 往復動シール
US20060103075A1 (en) * 2004-11-15 2006-05-18 Zahn Henry W Triple lip fork seal
US7854432B2 (en) * 2005-02-24 2010-12-21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Dynamic seal
DE102005024006B4 (de) * 2005-05-25 2015-09-03 Ab Skf Kompressordichtung
US20080012238A1 (en) * 2006-02-07 2008-01-17 Federal-Mogul World Wide, Inc. Method of retaining a dynamic seal in a bore that has a draft
US7681888B2 (en) * 2006-02-15 2010-03-23 Skf Usa Inc. Robust sealing system for power steering input shaft
DE102008030287A1 (de) * 2008-06-30 2009-12-31 Dichtungstechnik G. Bruss Gmbh & Co. Kg Wellendichtring
US20100201072A1 (en) * 2009-02-06 2010-08-12 Wians Jeffrey A One piece shaft seal apparatus and method
US9746081B2 (en) * 2009-08-25 2017-08-29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Low load offset seal
GB201021266D0 (en) * 2010-12-14 2011-01-26 Crane John Uk Ltd Seals
GB201021931D0 (en) * 2010-12-23 2011-02-02 Agco Int Gmbh Rotary seal arrangement
JP5977665B2 (ja) * 2012-12-14 2016-08-24 Kyb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ォーク
US20140284883A1 (en) * 2013-03-22 2014-09-2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ip Seal Assembly
DE102013108419A1 (de) * 2013-08-05 2015-02-05 Dr. Walter Hunger Beteiligungs GmbH & Co. Besitz KG Dichtungssatz sowie Dichtungsanordnung mit zumindest einem Dichtungssatz
DE102013018108B4 (de) * 2013-12-03 2015-08-06 Carl Freudenberg Kg Dichtung
US9759330B2 (en) 2014-02-04 2017-09-12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Energy saving seal with rocking dust lip
US9695937B2 (en) 2014-02-04 2017-07-04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Energy saving seal with vacuum induced counter-balance and rocking feature
US9714710B2 (en) 2014-02-04 2017-07-25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Energy saving self-contact seal with pushing bead
DE102017202613B4 (de) * 2017-02-17 2019-06-13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Germany Gmbh Dichtungsanordnung
JP7058673B2 (ja) * 2017-05-16 2022-04-22 ドレッサー ランド カンパニー ターボ機械ケーシングのためのシール装置
JP7075941B2 (ja) * 2017-10-13 2022-05-26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DE102019205780A1 (de) * 2019-04-23 2020-10-29 Zf Friedrichshafen Ag Axialdichtungseinrichtung
JP7252824B2 (ja) * 2019-05-08 2023-04-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密封構造
IT201900015647A1 (it) * 2019-09-05 2021-03-05 Skf Ab Dispositivo di tenuta per gruppo mozzo-ruota
US20230120905A1 (en) * 2021-10-19 2023-04-20 DRiV Automotive Inc. Hydraulic damper with a baffl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1740B1 (ko) * 1968-11-14 1973-06-30
JPS5136748U (ko) * 1974-09-12 1976-03-18
JPS6347567A (ja) * 1986-08-15 1988-02-29 Nok Corp 密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74679A (ja) * 1987-12-28 1989-07-11 Yoshimitsu Saito 皺付加工を施した溶液吸収能を有するフイルムまたはシート類の積層体の着色加工体
JPH0230527U (ko) * 1988-08-20 1990-02-27
JPH0312666A (ja) * 1989-06-12 1991-01-21 Fuji Photo Film Co Ltd 静電写真用液体現像剤
JPH07305775A (ja) * 1994-05-10 1995-11-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ップ型シール
JPH09177989A (ja) * 1995-12-26 1997-07-11 Eagle Ind Co Ltd リップ型シール
JPH09303569A (ja) * 1996-05-17 1997-11-25 Eagle Ind Co Ltd リップ型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61U (ja) * 1984-05-17 1985-12-06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オイルシ−ル
US4522411A (en) * 1984-10-01 1985-06-11 Chicago Rawhide Mfg. Co. Fluid seals with self-venting auxiliary lips
US4755115A (en) * 1984-11-21 1988-07-05 Atsugi Motor Parts Company, Limited Shaft seal assembly for compressor
DE3642082A1 (de) 1985-12-21 1987-06-2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Fluessigkeitsdichtung fuer zueinander rotations- und axialbewegliche maschinenteile
GB2210115B (en) 1987-07-24 1991-12-04 Taiho Kogyo Co Ltd Lip seal device
US5456475A (en) * 1988-04-28 1995-10-10 Skf Usa Inc. Protected seal assembly and protective filter unit therefor
US4834397A (en) * 1988-05-20 1989-05-30 Taiho Kogyo Co., Ltd. Lip seal device having an annular groove
US5213343A (en) * 1988-07-11 1993-05-25 White Hydraulics, Inc. Shaft seal with support member and backing ring
JPH02229966A (ja) 1989-02-28 1990-09-12 Taiho Kogyo Co Ltd リップシール装置
US5183271A (en) 1990-01-25 1993-02-02 Nok Corporation Seal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3443423B2 (ja) * 1993-06-04 2003-09-02 Nok株式会社 密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1740B1 (ko) * 1968-11-14 1973-06-30
JPS5136748U (ko) * 1974-09-12 1976-03-18
JPS6347567A (ja) * 1986-08-15 1988-02-29 Nok Corp 密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74679A (ja) * 1987-12-28 1989-07-11 Yoshimitsu Saito 皺付加工を施した溶液吸収能を有するフイルムまたはシート類の積層体の着色加工体
JPH0230527U (ko) * 1988-08-20 1990-02-27
JPH0312666A (ja) * 1989-06-12 1991-01-21 Fuji Photo Film Co Ltd 静電写真用液体現像剤
JPH07305775A (ja) * 1994-05-10 1995-11-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ップ型シール
JPH09177989A (ja) * 1995-12-26 1997-07-11 Eagle Ind Co Ltd リップ型シール
JPH09303569A (ja) * 1996-05-17 1997-11-25 Eagle Ind Co Ltd リップ型シ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802A (ko) * 2013-11-18 2016-07-2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60977B1 (ko) 2013-11-18 2021-06-03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83580B1 (ko) * 2017-03-20 2017-09-29 장광양 레토르트 살균장치용 도어개폐기구
JP2019066026A (ja) * 2017-10-05 2019-04-25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7410027B2 (ja) 2018-09-01 2024-01-09 ヴィーアール・オートモーティヴ・ディヒトゥングスジステーメ・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ラジアルシャフト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9914B1 (en) 2001-08-28
EP0913605A3 (en) 2000-05-31
DE69828475T2 (de) 2005-08-18
EP0913605A2 (en) 1999-05-06
EP0913605B1 (en) 2005-01-05
PT913605E (pt) 2005-05-31
KR19990066795A (ko) 1999-08-16
DE69828475D1 (de) 200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566B1 (ko) 밀봉장치
US6182975B1 (en) Sealing device having an annular space between sealing lips
CN108603597B (zh) 密封垫
KR101403365B1 (ko) 동적 샤프트 시일 및 동적 샤프트 시일의 설치방법
KR101396834B1 (ko) 독립적인 시일 립들을 갖춘 샤프트 시일
EP1760371B1 (en) Sealing device
JP4875597B2 (ja) リップタイプシール
US9163731B2 (en) Lip type seal
KR20060130761A (ko) 왕복동축용 밀봉 장치
US55956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ing device
JP6361277B2 (ja) シールリング
JP5016423B2 (ja) リップタイプシール
JP2007107550A (ja) 往復動軸用密封装置
JPH11125337A (ja) リップタイプシール
JP2023075322A (ja) ガスケット
CN113874640B (zh) 密封装置
JP7432171B2 (ja) 密封装置
JP4051865B2 (ja) 密封装置の製造方法
US5697711A (en) Rolling bearing with sealing plates
WO2021010104A1 (ja) 密封装置
CN202001614U (zh) 密封组件
JP2018035844A (ja) 密封装置
JP4152023B2 (ja) 密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中間成形体の成形型および曲げ成形装置
CN111771074A (zh) 密封装置
CN112805492A (zh) 密封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